KR20180036899A - Edge Ben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Google Patents

Edge Ben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899A
KR20180036899A KR1020160127126A KR20160127126A KR20180036899A KR 20180036899 A KR20180036899 A KR 20180036899A KR 1020160127126 A KR1020160127126 A KR 1020160127126A KR 20160127126 A KR20160127126 A KR 20160127126A KR 20180036899 A KR20180036899 A KR 20180036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lay
emitting diode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3413B1 (en
Inventor
이충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413B1/en
Publication of KR2018003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01L27/3223
    • H01L27/3246
    • H01L27/3258
    • H01L27/3276
    • H01L51/0097
    • H01L51/525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21Patterning of a layer by embossing, e.g. stamping to form trenches in an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51/105
    • H01L2251/5338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n edge unit/edge side be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n edge unit/edge side bending structure comprises: a back plate including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a dam surrounding the display region; a barrier film surface-bonded to the back plate above the dam; a bending shaft defined at an edge bending position of the back plate; and a crack prevention pattern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bending shaft by separating from the outside in the display region by a certain distance.

Description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Edge Ben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본 발명은 측부/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구부림 부위에서 발생하는 배선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패턴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 side bent struct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edge bending structur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a pattern for preventing wiring cracking occurring at a bending portion.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등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capable of reducing weight and volume, which are disadvantages of cathode ray tubes (CRTs), have been developed. 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n 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have.

평판 표시장치는 얇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나 휴대용 정보 처리기에서 표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Portable) 혹은 모바일(Mobile) 기기에서는 더욱 얇고, 더 가벼우며, 전력 소비가 작은 표시 패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Since the flat panel display is thin and light in weight, it is widely used as a display mea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Particular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isplay panels that are thinner, lighter, and have lower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or mobile devices.

이러한, 요구에 가장 적합한 표시 소자로 전계발광 표시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전계발광장치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전계발광장치와 유기발광 다이오드장치로 대별되며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가진다. Such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receives the spotlight as a display device most suitable for the demand.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divided into an in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has a self-luminous self-luminous device, which has a high response speed and high luminous efficiency, luminance and viewing ang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전계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층과,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캐소드 전극(Cathode) 및 애노드 전극(Anode)을 포함한다.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한다. OLED는 캐소드전극과 음극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EML)에서 재결합할 때의 여기 과정에서 여기자(excition)가 형성되고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로 인하여 발광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 layer that emits light by an electric field, and a cathode electrode and an anode that face each other wit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 lay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layer, EIL). The OLED emits electrons due to the energy generated from the excitons and excitons formed in the excitation process when the holes and electrons injected into the cathode and the cathode are recombined in the emission layer (EML).

전계발광소자인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특징을 이용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D)에는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Pass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MOLED)와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MOLED)로 대별된다. 또한,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Top-Emission) 방식과 하부 발광(Bottom-Emission) 방식 등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D)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s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es a pass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MOLED)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MOLE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emitted, there are a top-emission type and a bottom-emission type.

특히, 액정 표시장치나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유연성 및 탄성이 높은 자발광 소자를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어, 플렉서블 표시장치로 응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 박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유기 박막의 특징인 유연성 및 탄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장치로 응용할 수 있는 최적의 소재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Flexible AMOLED)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용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Particularly,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plasma display device have limitations in developing a self-luminous element having high flexibility and elasticity,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application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Howev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s formed by using an organic thin film. Therefore, attention is focused on an optimum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by taking advantage of the flexibility and elasticity characteristic of the organic thin film. An active matrix typ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flexible AMOLED) displays an image by controlling a current flowing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도 1을 참조하여,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단순히, 유기발광 표시장치라고도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초박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채용한 정보 처리 장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소자층(FL), 유기발광 소자층(FL)의 기저에 부착된 백 플레이트(BP), 유기발광 소자층(FL) 상면에 부착된 편광필름(POL), 편광필름(POL) 위에 배치된 터치 패널 필름(TSP), 그리고, 터치 패널 필름(TSP) 위에 커버 기판(CV)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1,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simply referred to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organ employing an ultra-th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Referring to FIG. 1, the OLED display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ayer FL, a back plate BP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ayer FL, A touch panel film TSP disposed on the film POL and the polarizing film POL and a cover substrate CV laminated on the touch panel film TSP in this order.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초박형화하기 위해서는 표시소자를 지지하는 기판의 두께가 얇아야 한다. 하지만, 현재 사용하는 표시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라인에서 대량 생산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공정에 사용하는 기판이 최소 0.5mm의 두께를 유지하여야 한다. 하여, 초박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0.5mm 두께를 갖는 제조용 기판 위에서 표시 소자를 완성한 후에, 기판을 분리하고, 초박형 백 플레이트(BP)를 다시 합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mak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inner,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supporting the display element must be thin. However, in order to satisfy the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in a production line for forming a display device to be used at present, the substrate used for the process must be at least 0.5 mm thick. In order to mass-produce an ultra-thi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is completed on a production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0.5 mm, a substrate is separated, and an ultra-thin back plate BP is again cemented.

유기발광 소자층(FL)은 제조용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형성된 플렉서블 기저층(PI), 플렉서블 기저층(PI) 위에 형성된 표시층(ACT), 그리고 표시층(ACT)을 보호하기 위해 접착층(ADH)을 매개로 표시층(ACT) 위에 합착된 보호층(BA)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소자층(FL)을 완성한 후에는 유기발광 소자층(FL)의 플렉서블 기저층(PI)을 제조용 기판으로부터 분리하고, 얇으면서도 유기발광 소자층(FL)을 보호하는 백 플레이트(BP)를 부착한다. 여기서, 백 플레이트(BP)는 보호 필름 혹은 배면 필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includes a flexible base layer PI formed on a substrate for production (not shown), a display layer ACT formed on the flexible base layer PI, and an adhesive layer ADH for protecting the display layer ACT. And a protective layer BA adhered on the display layer ACT via the protective layer BA. After comple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the flexible base layer PI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is separated from the production substrate, and a back plate BP for prote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is attached do. Here, the back plate (BP) is also referred to as a protective film or a backing film.

유기발광 소자층(FL)은 실제로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층 등을 포함하는 표시 소자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AA), 그리고 표시 영역(AA)의 주변에서 표시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들이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NA)으로 구분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includes a display area AA in which display elements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re dispose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 non-display area NA where driving elements for driving are arranged.

유기발광 소자층(FL) 위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추가적인 소자 필름들이 더 부착된다. 예를 들어, 외부광이 반사되어 표시 장치가 표현하는 영상의 시청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광필름(POL)을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필름(TSP)을 부착할 수 있다. 터치 필름(TSP)은 가로 방향 배열된 배선층을 구비한 제1 터치 필름(TS1)과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배선층을 구비한 제2 터치 필름(TS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필름(TSP)도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인지하는 전극부가 배치되는 표시 영역(AA)과, 전극부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동부가 배치되는 비 표시 영역(NA)으로 구분된다.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additional element films for user's convenience are further attached. For example, a polarizing film (POL) can be attached to prevent external light from being reflected and disturbing the viewing of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display device. A touch film (TSP) can be attached to touch the screen to input user's information. The touch film TSP may include a first touch film TS1 having a wiring layer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second touch film TS2 having a wiring layer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touch film TSP is also divided into a display area AA in which an electrode part recognizing a user's touch signal is arranged and a non-display area NA in which a driving part for processing a signal in the electrode part is arranged.

초박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최상층부에는 이 모든 표시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기판(CV)이 부착된다. 이후, 초박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각종 정보 처리 장치와 합착되어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프레임(FR)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의 상부에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한다. 이 때, 프레임(FR)의 일부가 표시장치의 측변 상층부를 덮는 구조를 갖는다. 이 부분이 보통 베젤 영역(BZ)이 된다. 베젤 영역(BZ)은 구동 회로부가 배치되는 영역 및/또는 구동 회로부와 표시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들이 설치되는 영역들로서, 유기발광 소자층(FL)의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A cover substrate (CV) for protecting all the display elements is attach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ultra-thi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ereafter, the ultra-thi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ttached to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and made into a final product. For example, the frame (FR) is used to coup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the upper part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to one apparatus. At this time, a part of the frame FR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ide of the display device. This area is usually the bezel area (BZ). The bezel area BZ includes areas for disposing the driving circuit part and / or connecting areas for connecting the driving circuit part and the display panel, and includes 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ayer FL.

휴대용 정보 장치에서 정밀하고 정확한 화면 정보를 제공하고, 표시 패널에 직접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동일한 면적에서도 더 큰 표시 패널을 사용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베젤 영역(BZ)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고집적 기술을 적용하더라도,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비 표시 영역(NA)의 존재 때문에 베젤 영역(BZ)을 최소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use a larger display panel in the same area in order to provide precise and accurate screen information in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to be able to input user information directly into the display panel. Efforts to reduce the bezel area (BZ) have been made for this purpose. However, even when a highly integrated technology is applied, there is a limit to minimizing the bezel area BZ due to 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발명으로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변 및 우측변에 베젤 영역이 인지되지 않는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의 측변을 구부려 커버 글래스와 합착하는 과정에서 구부림 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lateral bending structure in which a bezel area is not recogniz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which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bending structu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distributing stress generated in a bending axis in a process of bending side surfaces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attaching the same to a cover glass.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측변/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백 플레이트, 댐, 배리어 필름, 구부림 축, 그리고 크랙 방지 패턴을 포함한다. 백 플레이트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댐은, 표시 영역을 둘러싼다. 배리어 필름은, 댐 위에서 백 플레이트와 면 합착된다. 구부림 축은, 백 플레이트의 측변 구부림 위치에 정의되어 있다. 크랙 방지 패턴은, 표시 영역에서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구부림 축과 중첩하여 배치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lateral side / side be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 plate, a dam, a barrier film, a bending axis, and a crack prevention pattern. The back plate includes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The dam surrounds the display area. The barrier film is surface-bonded to the back plate on the dam. The bending axis is defined in the side bending position of the back plate.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bending axis at a distance from the display area to the outside.

일례로, 크랙 방지 패턴은, 배리어 필름의 끝단과 일부 중첩한다.For example,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rtially overlaps with the end of the barrier film.

일례로, 크랙 방지 패턴은, 표시 영역과 적어도 50㎛ 이상 이격되고, 백 플레이트의 인접한 테두리로부터 적어도 100㎛ 이상 이격된 섬 모양을 갖는다.In one example, the crack preventing pattern has an island shap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area by at least 50 mu m and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edge of the back plate by at least 100 mu m.

일례로, 크랙 방지 패턴은, 댐과 적어도 50㎛ 이상 이격되고, 백 플레이트의 인접한 테두리로부터 적어도 100㎛ 이상 이격된 섬 모양을 갖는다.In one example, the crack-preventing pattern has an island shape spaced apart by at least 50 mu m and at least 100 mu m from the adjacent rim of the back plate.

일례로, 크랙 방지 패턴은, 구부림 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100㎛ 이상의 폭을 갖는 섬 모양을 갖는다.For example, the anti-crack pattern has island shapes each having a width of 100 mu m or mor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일례로, 게이트 구동 소자, 기저 배선,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 평탄화 막, 뱅크 그리고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 소자는, 표시 영역의 좌변 및 우변 중 적어도 어느 한 변과 댐 사이에 배치된다. 기저 배선은, 게이트 구동 소자와 댐 사이에 배치되며, 표시 영역을 둘러싼다.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다. 평탄화 막은, 표시 영역을 덮는다. 뱅크는, 평탄화 막 위에서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스페이서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에 배치되며, 배리어 필름과 백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For example, it further includes a gate driving element, a base wiring,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planarizing film, a bank and a spacer. The gate driving element is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area and the dam. The base wiring is disposed between the gate driving element and the dam and surrounds the display area.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e disposed in the display region. The flattening film covers the display area. The bank defines the light emitting reg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n the planarizing film. The spacer is disposed in a region where the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and maintains a space between the barrier film and the back plate.

일례로, 크랙 방지 패턴은, 평탄화 막 및 뱅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is formed by laminating a planarizing film and a bank.

일례로, 크랙 방지 패턴은, 평탄화 막, 뱅크 및 스페이서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is formed by laminating a planarizing film, a bank, and a spacer.

본 발명은,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은, 측변에서 곡면부가 시작하는 구부림 축과 중첩하는 크랙 방지 패턴을 구비한다. 따라서, 구부림 축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확보하여,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곡면형 커버 글래스에 합착할 때 응력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는 응력 차이로 인한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크랙 방지 패턴은 표시 영역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 크랙 방지 패턴을 통해 외부 이물질이 표시 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that can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bending structure.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ck prevention pattern which overlaps with a bending axis at which a curved surface starts from a side. Therefore, a certain thickness is ensured across the bending axis so that the stress is uniformly dispersed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attached to the curved cover glass.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ide be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cracks due to the stress difference. Further, the crack preventing pattern i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area by a certain distance, thereby preventing external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display area through the crack preventing pattern.

도 1은 초박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채용한 정보 처리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측변/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곡면 표시 패널의 합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곡면 표시 패널의 곡면부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절취선 II-II'로 자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절취선 III-III'로 자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an ultra-th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having a lateral side / side bending structur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nding structure of a curved display panel us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be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curved structure of a curved surfac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to a perforated line II-II 'in FIG. 5;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to a perforated line III-III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component name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asiness of specifica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parts names of actual products.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측부/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측변/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 side be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edge / side be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메인 패널(MP)과 곡면 표시 패널(CDP)을 구비한다. 곡면 표시 패널(CDP)은, 표시 면의 일부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져 있는 표시 패널을 말한다. 예를 들어, 90도 이상 180도까지 휘거나 구부려도, 완전히 접히지만 않는다면, 표시 소자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정상적인 표시 기능을 하는 표시 패널을 말한다. 여기서는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곡면부가 측변에 배치된 표시 패널의 경우로 커브드 표시 패널(Curved Display Panel)이라고도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bending structure includes a main panel MP and a curved display panel (CDP). The curved surface display panel (CDP) refers to a display panel in which a part of the display surface is curved or warped. For example, it refers to a display panel that does not affect the display element at all and performs a normal display function unless it is bent or bent to 90 degrees or more and 180 degrees or completely folded. Here,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bending structure, in the case of a display panel in which a curved surface portion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it is also referred to as a curved display panel.

메인 패널(MP)은, 대략 장방형의 얇은 판상 구조를 갖는다. 메인 패널(MP)에는 곡면 표시 패널(CDP)을 구동하기 위한 여러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휴대폰)의 경우, 통신 기능을 갖는 여러 구성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휴대용 개인 컴퓨터의 경우에는, 컴퓨터 기능을 위한 여러 구성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메인 패널(MP)의 앞 면에는 곡면 표시 패널(CDP)이 부착되어 있다.The main panel MP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hin plate-like structure. The main panel MP may include various devices for driving the curved display panel CDP.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various components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In the case of a portable personal computer, various components for a computer function may be provided. A curved display panel (CDP)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panel (MP).

곡면 표시 패널(CDP)은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평탄 표시면(PS)과 곡면 표시면(CS)을 갖는다. 평탄 표시면(PS)은 곡면 표시 패널(CDP)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평탄한 표면이다. 곡면 표시면(CS)은, 평탄 표시면(PS)의 좌측변과 우측변에서 각각 연장된 곡면이다. 특히, 곡면 표시면(CS)은 원통의 1/4에 해당하는 만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urved surface display panel (CDP) has a side bending structure. For example, a flat display surface PS and a curved display surface CS. The flat display surface PS is a flat surface occupying most of the curved display panel CDP. The curved surface display surface CS is a curv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lat display surface PS,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curved surface display surface CS may have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1/4 of the cylinder.

곡면 표시 패널(CDP)을 휴대용 전화기에 응용하는 경우, 장변에 해당하는 좌측변과 우측변은 배면을 향해 90도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변과 우측변에는 비 표시 영역 혹은 베젤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단변에 해당하는 상변과 하변에는 일정 폭을 갖는 비 표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변과 하변의 비 표시 영역에는 제품의 상호 또는 제조사의 로고와 같은 장식 표시, 혹은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렌즈, 광 센서 등과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When a curved surface display panel (CDP) is applied to a portable telephon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corresponding to the long side may have a structure bent 90 degrees toward the back side.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re are no non-display areas or bezel areas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have a non-display area having a constant width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corresponding to the shorter side. In the non-display area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 external display device such as a product name or a manufacturer's logo, or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microphone, a speaker, a camera lens, or an optical sensor can be disposed.

이하, 도 3 및 4를 참조하여, 곡면 표시 패널(CDP)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사용하는 곡면 표시 패널의 합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곡면 표시 패널의 곡면부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Hereinafter, the curved surface display panel (CD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urved display panel us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be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curved structure of a curved surfac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 표시 패널(CDP)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과 커버 글라스(CG)를 구비한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은 표시 패널 전체가 탄성과 유연성이 뛰어나서 평탄한 상태로만 유지하는 것이 아니고, 자유롭게 휘어지거나 구부릴 수 있는 표시 패널이다. 본 발명에서, 편의상, 표시 패널 전체가 유연성을 갖는 표시 패널을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로 명명하였다. 한편, 견고성을 갖지만 곡면을 갖는 커버 글래스(CG)에 합착된 표시 패널을 곡면 표시 패널(CDP)로 명명하였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에 대한 설명은,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의 경우로 설명한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른 표시 패널에도 본 발명의 사상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urved surface display panel CDP includes a flexible display panel FDP and a cover glass CG.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is a display panel in which the entire display panel is excellent in elasticity and flexibility and is not held in a flat state but is free to bend or ben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is referred to as a flexible display panel. On the other hand, a display panel bonded to a cover glass (CG) having a hard surface but having a curved surface is called a curved surface display panel (CDP).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will be described as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display panels that can secure flexibility.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은, 백 플레이트(BP), 유기발광 소자층(FL), 편광 필름(POL) 및 터치 필름(TSP)을 포함한다. 백 플레이트(BP)는 유기발광 소자층(FL)을 보호하는 강성과 함께 쉽게 구부러지면서도 탄성이 있는 필름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 플레이트(BP)는, 일측 표면 위에 도포된 기포 발생을 억제하는 특성이 있는 감압 접착제(PSA)를 매개로하여 유기발광 소자층(FL)과 합착되어 있다.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includes a back plate BP,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a polarizing film POL, and a touch film TSP.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plate BP is a film material which is easily bent while being flexible with a rigidity for prote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The back plate BP is adher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via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having a property of suppressing bubble formation applied on one side surface.

유기발광 소자층(FL) 위에는 라미네이팅 공법으로 편광 필름(POL)이 부착되어 있다. 편광 필름(POL) 위에는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필름(TSP)이 부착되어 있다. 유기발광 소자층(FL), 편광 필름(POL) 및 터치 필름(TSP)들을 유연한 성질과 얇은 두께를 갖는 백 플레이트(BP) 위에 적층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이 완성된다.A polarizing film (POL) is attach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by a laminating method. A touch film (TSP) is attached on the polarizing film (POL) to directly input the user's information by touching the scr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is completed by stack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the polarizing film POL and the touch film TSP on the back plate BP having a flexible property and a thin thickness.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은 쉽게 구부러지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로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측변부가 약간 구부러진 "U"자형 커버 글라스(CG)의 내측변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을 부착하여 상부 표면 및 구부러진 측부까지도 표시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곡면 표시 패널(CDP)을 제공한다.Since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is easily ben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display panel (FDP)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a "U" -shaped cover glass (CG) whose sides are slightly curved to provide a curved display panel (CDP) which can use the upper surface and the curved side as a display area do.

예를 들어, 커버 글래스(CG)는, 평탄 표시면(PS)과 곡면 표시면(CS)을 갖는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상층에 합착된 터치 필름(TSP)의 표면 위에 광학 접착제(OCA)를 도포하여 커버 글라스(CG)의 내측변에 합착할 수 있다. 그 결과, 평탄 표시면(PS)에서 곡면 표시면(CS)에 이르기는 표면에서 비디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측변/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ver glass CG has a flat display surface PS and a curved display surface CS. An optical adhesive OCA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touch film TSP bonded to the upper layer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and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ver glass C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lateral / side bending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video information on the surface from the flat display surface PS to the curved display surface CS.

이와 같이, 측변 일부 영역이 구부러진 구조를 달성함에 있어서, 측변이 구부러진 커버 글래스(CG) 안쪽 표면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을 면 합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구부러지는 부분 즉, 곡면 표시면(CS)에 대향하는 부분인 곡면부에서 구부림 응력(Bending Stress)이 발생할 수 있다. 구부림 응력은 여러 가지 불량들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 소자층(FL)을 구성하는 박막들에 크랙(Crack)이나, 눌림이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chieve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side surface is bent, a method of surface-bon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glass (CG) curved side is us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a bending stress may occur in a ben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that is, a curved portion that is a portion facing the curved display surface CS. Bending stresses can cause various defects. For example, cracks or sagging may occur in the thin films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FL.

본 발명에서는, 합착력에 의해 박막들에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곡면부에서 발생하는 단차부에서 구부림 응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크랙 방지 패턴을 구비한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a crack generated in thin films by an assembling forc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ide edge bending structure with a crack prevention pattern for preventing cracks that may be caused by bending stress at a step formed in a curved portion.

<제1 실시 예>&Lt; Embodiment 1 >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커버 글래스(CG)의 내측변에 부착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절취선 II-II'로 자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and 6, the structur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ver glass CG having a side-side bend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exibl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exibl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to a perforated line II-II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은 장방형의 플렉서블 백 플레이트(BP)를 포함한다. 백 플레이트(BP)는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으로 구분된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장치가 표현하는 비디오 정보를 직접 표시하는 영역으로 백 플레이트(BP)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비 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의 주변에 배치되며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표시 소자들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구동 소자들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AA)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어 있다. 비 표시 영역(NA)에는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게이트 구동 소자(GIP) 및 데이터 구동 소자(DIC)들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includes a rectangular flexible back plate BP. The back plate BP is divided into a display area AA and a non-display area NA. The display area AA is an area for directly displaying video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display device, an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ack plate BP. The non-display area NA is an area disposed around the display area AA and in which driving elements necessary for driving the display elements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ar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AA,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in film transistors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e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NA, gate driving elements (GIP) and data driving elements (DIC) necessary for performing a display function are disposed.

게이트 구동 소자(GIP)는 표시 영역(AA)에 형성되는 표시 소자들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양 측변에 게이트 구동 소자(GIP)가 모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게이트 구동 소자(GIP)는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 소자(GIP)보다 훨씬 복잡하고, 구조가 까다로운 데이터 구동 소자(DIC)는 표시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하여 백 플레이트(BP) 위에 실장하거나, FPCB와 같은 연결 소자를 이용하여 백 플레이트(BP)에 배치된 연결 패드와 연결한다. 여기서는, 백 플레이트(BP) 위에 실장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The gate driving element GIP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display elements formed in the display area AA. FIG. 5 shows a structure in which gate drive elements (GIP) are arranged on both sides. However, the gate driving element (GIP) may be disposed on either side. The data driving device (DIC), which is much more complicated than the gate driving device (GIP) and has a complicated structure, is not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device but separately manufactured and mounted on the back plate (BP) And connects to the connection pads disposed on the back plate (BP). Here, the case of mounting on the back plate BP is shown.

표시 영역(AA)을 모두 덮도록 평탄화 막(PL)이 도포되어 있다. 평탄화 막(PL)은 게이트 구동 소자(GIP)까지는 덮지 않는다. 또한, 평탄화 막(PL) 위에는 뱅크(BA)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화 막(PL)과 뱅크(BA)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유기 물질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표시 영역(AA)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갖도록 제한된 영역 내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기 물질이 비 표시 영역(NA)에서 표시 영역(AA)에까지 연결되어 배치되는 경우, 수분 및 공기가 유기 물질을 타고 유입되어 소자 전체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물질은 표시 영역(AA)에 한정되며, 외부와 단절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planarizing film PL is coated so as to cover all of the display area AA. The planarizing film PL does not cover the gate driving element GIP. On the planarizing film PL, a bank BA is formed. The planarizing film PL and the bank BA ar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Since the organic material is vulnerable to moisture and air introduced from outside, it is preferable to coat the planarizing film PL and the bank BA in a limited area so as to have a size slightly larger than the display area AA . That is, when the organic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display area AA from the non-display area NA, water and air may flow through the organic material and damage the entire devic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rganic material is confined to the display area AA and is arranged so as to be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표시 영역(AA) 주변에는 기저 배선(GND)이 둘러싸듯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게이트 구동 소자(GIP)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 배선(GND)은 데이터 구동 소자(DIC)에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 소자(DIC)는 외부와 연결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기저 전압은 데이터 구동 소자(DIC)의 기저 패드를 통해 기저 배선(GND)으로 공급된다.Around the display area AA, a ground wiring GND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it.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gate driving element (GIP). The ground wiring GND is connected to the data driving element DIC. The data driving element DIC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ground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ground wiring GND via the base pad of the data driving element DIC.

기저 배선(GND)의 외곽에는 댐(DM)이 배치된다. 댐(DM)은 표시 영역(AA) 및 게이트 구동 소자(GIP)들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댐(DM)은 백 플레이트(BP)에 형성된 표시 소자들을 외부에서 침투할 수 있는 입자들(수분 혹은 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입자 방지층(PCL)이 댐(DM) 내부 영역 안에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입자 방지층(PCL)은 열 경화성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다.A dam DM is disposed outside the base wiring GND. The dam DM is disposed so as to completely enclose the display area AA and the gate driving elements GIP. The dam DM limits the particle prevention layer PCL for protecting the display elements formed on the back plate BP from particles (moisture or air) capable of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in a stable manner in the inner region of the dam DM. . The particle barrier layer (PCL) is made of a thermosetting organic material.

입자 방지층(PCL) 위에는 투명 접착층(PSA)이 도포되어 있다. 투명 접착층(PSA)을 매개로 하여, 배리어 필름(BF)이 백 플레이트(BP)와 합착되어 있다. 배리어 필름(BF) 위에는 편광 필름(POL)이 면 합착되어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않았지만, 배리어 필름(BF)과 편광 필름(POL) 사이에는 터치 필름이 더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편광 필름(POL) 위에 터치 필름이 적층될 수도 있다.A transparent adhesion layer (PSA) is applied on the particle prevention layer (PCL). The barrier film BF is bonded to the back plate BP via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PSA. On the barrier film BF, a polarizing film POL is surface-bond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touch film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arrier film BF and the polarizing film POL. Alternatively, the touch film may be laminated on the polarizing film POL.

배리어 필름(BF)은 댐(DM)으로 정의된 면적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편광 필름(POL)은 배리어 필름(BF)과 동일한 면적을 갖고, 서로 면 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rrier film BF may have an area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area defined by the dam DM.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ing film POL has the same area as the barrier film BF and is cemented to each other.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단면 구조를 더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은, 백 플레이트(BP) 그리고 백 플레이트(BP)와 면 합착된 배리어 필름(BF)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배리어 필름(BF) 위에는 편광 필름(POL)이 면 합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터치 필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필름은 편광 필름(POL) 위에 혹은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터치 기능을 하는 박막이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터치 필름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터치 필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Referring to Fig. 6,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includes a backing plate BP and a barrier film BF bonded to the back plate BP. If necessary, a polarizing film (POL) may be adhered on the barrier film (BF).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film. The touch film may be disposed above or below the polarizing film POL. Alternatively, a thin film having a touch function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ince the touch film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the description of the touch film is omitted here.

백 플레이트(BP)의 표시 영역(AA)에는 박막 트랜지스터(ST, DT)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 영역(AA)에는, 데이터 구동 소자(DIC)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DL) 및 구동 전류 배선(VDD) 그리고 게이트 구동부(GIP)에 연결된 스캔 배선(SL)이 교차하여 정의된 다수 개의 화소 영역(PA)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화소 영역(PA) 내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와 스위칭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가 화소 영역(PA) 내에 형성되어 있다.The thin film transistors ST and DT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 are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of the back plate BP. The display region A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data lines) DL, a driving current line VDD connected to the data driving device DIC and a scanning line SL connected to the gate driving portion GIP, PA are arranged in a matrix manner. In each pixel region PA,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connected to the switching drain electrode are forme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 connected to the driving drain electrode is formed in the pixel region PA.

비 표시 영역(NA)에는 스위칭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ST, DT)와 동시에 형성된 게이트 구동 소자(GIP)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구동 소자(GIP)의 박막 트랜지스터, 그리고 스위칭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들(ST, DT) 위에는 평탄화 막(PL)이 도포되어 있다. 평탄화 막(PL) 위에서 화소 영역(PA) 내에는 애노드 전극(ANO)이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 전극(ANO)이 형성된 백 플레이트(BP) 위에는 뱅크(BA)가 도포되어 있다.In the non-display area NA, thin film transistors of a gate driving element (GIP)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s ST and DT are formed. A flattening film PL is appli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gate driving element GIP and on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s ST and DT. An anode electrode ANO is formed in the pixel region PA on the planarizing film PL. The bank BA is coated on the back plate BP on which the anode electrode ANO is formed.

뱅크(BA)는 애노드 전극(ANO)에서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개구부를 정의한다. 뱅크(BA) 위에는 유기발광 층(OL) 및 캐소드 전극(CAT)이 연속하여 적층되어 있다. 화소 영역(PA)에서 뱅크(BA)에 의해 정의된 개구부에는 애노드 전극(ANO), 유기발광 층(OL) 및 캐소드 전극(CAT)이 적층되어 형성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가 형성되어 있다.The bank BA defines an opening defining the light emitting region at the anode electrode ANO. On the bank BA,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L and a cathode electrode CAT are successively laminat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formed by stacking an anode electrode ANO,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L and a cathode electrode CAT in an opening defined by the bank BA in the pixel region PA.

게이트 구동 소자(GIP) 외곽에는 기저 배선(GND)이 배치되어 있다. 기저 배선(GND)은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금속 물질들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 또는 소스-드레인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금속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기저 배선(GND), 게이트 구동 소자(GIP) 및 박막 트랜지스터들(ST, DT)이 형성된 백 플레이트(BP) 표면 위에는 보호막(PAS)이 덮고 있다. 유기 물질인 평탄화 막(PL) 및 뱅크(BA)는 표시 영역(AA)에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round wiring (GND) is disposed outside the gate driving element (GIP). The ground wiring G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the metal materials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electrode or the source-drain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separate metal layer. A protective film PAS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ck plate BP on which the base wiring GND, the gate driving element GIP and the thin film transistors ST and DT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arizing film PL and the bank BA which are organic substances are disposed only in the display area AA.

배리어 필름(BF)이 표시 소자들이 형성된 백 플레이트(BP)와 면 합착되어 있다. 배리어 필름(BF)과 백 플레이트(BP)의 사이에는 입자 방지층(PCL)이 채워져 있어 외부로부터 수분 및 공기가 표시 소자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입자 방지층(PCL)은 열 경화성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다.The barrier film BF is surface-bonded to the back plate BP on which the display elements are formed. An anti-particle layer (PCL) is filled between the barrier film (BF) and the back plate (BP) to prevent moisture and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display element from the outside. The particle barrier layer (PCL) is made of a thermosetting organic material.

박막 트랜지스터(ST, DT)들이 배치된 영역 중에는 백 플레이트(BP)와 배리어 필름(BF) 사이의 합착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SP)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BP) 위에는, 배리어 필름(BF)의 테두리에서 약간 안쪽에 대응하는 부위에 댐(DM)이 형성되어 있다. 댐(DM)은 평탄화 막(PL), 뱅크(BA) 및/또는 스페이서(SP)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A spacer SP for keeping the adhesion distance between the back plate BP and the barrier film BF constant can be disposed in the region where the thin film transistors ST and DT are arranged. A dam DM is formed on the back plate BP at a position slightly inward from the rim of the barrier film BF. The dam DM can be formed by laminating a planarizing film PL, a bank BA and / or a spacer SP.

평탄화 막(PL) 및 뱅크(BA)와 같은 유기 물질로 댐(DM)을 형성하더라도, 댐(DM)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즉, 댐(DM)을 이루는 유기 물질이 표시 영역(AA)을 덮는 유기 물질과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댐(DM) 외부에 존재할 수 있는 수분이나 공기가 표시 영역(AA) 내부로 침투하지는 않는다.Even if the dam DM is formed of an organic material such as the planarizing film PL and the bank BA, the dam DM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area AA by a certain distance. That is, the organic material forming the dam DM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organic material covering the display area AA. Therefore, moisture or air that may exist outside the dam DM does not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display area AA.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평탄 표시면(PS)과 곡면 표시면(CS)의 경계부에 구부림 축(BL)이 정의된다. 구부림 축(BL)은, 커버 글래스(CG) 혹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CDP)에 실제로 존재하는 구성 요소는 아니다. 곡면 표시면(CS)이 시작하는 부분으로서, 곡면 표시면(CS)의 중심축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표시면(CS)이 원통의 1/4에 해당하는 경우, 구부림 축(BL)은 평탄 표시면(PS)과 곡면 표시면(CS)의 경계선과 일치하되, 곡면 표시면(CS)의 반경만큼 수직 방향으로 떨어져 정의된다.Referring back to FIG. 5, a bending axis BL is defin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lat display surface PS and the curved surface display surface CS. The bending axis BL is not a component that actually exists in the cover glass CG or the flexible display panel CDP. It can be defined that it corresponds to the center axis of the curved surface display surface CS as a part where the curved surface display surface CS starts. For example, when the curved surface display surface CS corresponds to 1/4 of the cylinder, the bending axis BL coincides with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lat display surface PS and the curved surface display surface CS, Lt; RTI ID = 0.0 &gt; CS). &Lt; / RTI &gt;

플렉서블 표시 패널(CDP)을 커버 글래스(CG) 내부 표면에 합착할 경우, 합착력은 평탄 표시면(PS)에서 구부림 축(BL)을 지나 곡면 표시면(CS)으로 고르게 가해진다. 구부림 축(BL)을 따라 세로 방향의 적층 구조를 보면, 하변의 경우 댐(DM)과 백 플레이트(BP)의 경계가 무척 가깝다. 하지만, 상변의 경우, 댐(DM)과 백 플레이트(BP)의 경계가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이는 데이터 구동 소자(DIC)를 상변에 부착하기 때문에, 데이터 구동 소자(DIC)를 배치할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CDP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glass CG, the combining force is evenly applied from the flat display surface PS to the curved display surface CS through the bending axis BL. Looking at the laminated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ending axis BL, the boundary between the dam DM and the back plate BP is very close to the lower side. However, in the case of the upper side, the boundary between the dam (DM) and the back plate (BP) is considerably far away. This is to secure a sufficient area for disposing the data driving element DIC because the data driving element DIC is attached to the top side.

따라서, 백 플레이트(BP) 상변부의 적층 구조를 보면, 커버 글래스(CG)와 백 플레이트(BP) 사이에는 아무런 적층 구성 요소가 없다. 즉, 표시 영역에는 평탄화 막(PL) 및 뱅크(BA)와 같은 두꺼운 유기층들이 적층되어 있으며, 그 위에 배리어 필름(BF) 및 편광 필름(POL)이 합착되어 있다. 반면에, 배리어 필름(BF) 및 편광 필름(POL) 외부에는 아무런 적층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 벤딩 합착력은 구부림 축(BL)을 따라 균일하게 적용된다. 백 플레이트(BP)의 상변에서는 합착력을 견뎌내는 적층 구조물이 없다. 이 경우, 상부변에 배치된 배선, 특히 기저 배선(GND)에는 합착력이 지나치게 집중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 글래스(CG)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을 합착한 후에 기저 배선(GND)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표시 장치의 불량을 야기한다.Therefore, there is no stacking component between the cover glass CG and the back plate BP in view of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back plate BP. That is, in the display area, thick organic layers such as the planarizing film PL and the bank BA are laminated, and the barrier film BF and the polarizing film POL are laminated there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laminated structure outside the barrier film (BF) and the polarizing film (POL). The bending assisting force is uniformly applied along the bending axis (BL). There is no stacked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the combining force at the upper side of the back plate (BP). In this case, the bonding force may be excessively concentrated on the wiring disposed on the upper side, particularly, the ground wiring (GND). As a result, cracks may occur in the base wiring (GND) after the flexible display panel (FDP) is attached to the cover glass (CG). This causes defective display devices.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크랙 방지 패턴(PAT)을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측 및 우측의 구부림 축(BL)들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에 크랙 방지 패턴(PAT)이 더 배치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for preventing such cracks. Specifically, a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is further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around the left and right bending axes BL.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는, 크랙 방지 패턴(PAT)은 평탄화 막(PL)과 뱅크(BA)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크랙 방지 패턴(PAT)을 평탄화 막(PL)과 뱅크(BA)를 적층하여 형상하는 경우, 섬 모양으로 구부림 축(BL)에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ide be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ck preventing pattern PAT can be formed using the planarizing film PL and the bank BA. When the crack prevention film PAT is formed by laminating the planarizing film PL and the bank BA,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crack preventing film PAT so as to overlap the bending axis BL in an island shape.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평탄화 막(PL)과 뱅크(BA)로 크랙 방지 패턴(PAT)을 형성하는 경우, 크랙 방지 패턴(PAT)을 따라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공기가 표시 영역(AA)으로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표시 영역(AA)에 형성된 평탄화 막(PL)과 뱅크(BA)로부터 적어도 50㎛ 이상 이격된 섬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 플레이트(BP)의 외곽으로부터도 적어도 100㎛ 이상 이격된 섬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랙 방지 패턴(PAT)이 백 플레이트(BP) 영역 외부로 벗어나면 후속 공정에 장애를 유발하거나,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경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is formed by the planarizing film PL including the organic material and the bank BA, moisture or air should not flow into the display area AA from the outside along the crack preventing pattern PAT do.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tening film PL formed in the display area AA and the island shape separated from the bank BA by at least 50 mu m or more.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plate BP has an island shape at least 100 mu m or more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back plate BP. If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is out of the region of the back plate (BP), it may cause a failure in the subsequent process or create a path for foreign foreign matter to penetrate.

크랙 방지 패턴(PAT)의 크기는 백 플레이트(BP)의 크기. 표시 영역(AA)의 크기 및/또는 곡면 표시면(CS)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구부림 축(BL)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적어도 100㎛의 폭을 가져야한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했듯이, 표시 영역(AA)을 덮는 평탄화 막(PL) 및/또는 뱅크(BA)로부터의 최소 이격 거리(ⓐ), 백 플레이트(BP) 측변으로부터의 최소 이격 거리(ⓑ) 그리고 백 플레이트(BP) 상변으로부터의 최소 이격 거리(ⓒ)를 확보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ze of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is the size of the back plate (BP).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AA and / or the size of the curved surface display surface CS. Therefore, it can be defined in various sizes. However, it should have a width of at least 100 μm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ound the bending axis BL. As described above,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a from the planarizing film PL and / or the bank BA covering the display area AA,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b from the side of the back plate BP,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c)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ate (BP) is secured.

크랙 방지 패턴(PAT)과 댐(DM)을 평탄화 막(PL), 뱅크(BA) 및/또는 스페이서(SP)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 막(PL)과 뱅크(BA)를 적층하여, 크랙 방지 패턴(PAT)과 댐(DM)을 형성한다. 그리고, 댐(DM)이 형성될 부분에는 스페이서(SP)를 더 적층하여, 댐(DM)을 완성한다. 그러면, 크랙 방지 패턴(PAT)은 댐(DM)에서 일정 거리 내측으로 연장되고, 댐(DM)을 지나 외측으로 일정 거리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이 때, 크랙 방지 패턴(PAT)의 내측 경계선은 표시 영역(AA)을 덮는 평탄화 막(PL) 및 뱅크(BA)와 적어도 50㎛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and the dam DM can be formed by using the planarizing film PL, the bank BA and / or the spacer SP. For example, the planarizing film PL and the bank BA are laminated to form a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and a dam DM. Then, a spacer SP is further laminated on the portion where the dam DM is to be formed, thereby completing the dam DM. Then,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extends inside the dam DM a certain distance and has a structure extending a certain distance outward beyond the dam DM.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boundary line of the crack preventing pattern PAT is separated by at least 50 mu m or more from the planarizing film PL and the bank BA covering the display area AA.

<제2 실시 예>&Lt; Embodiment 2 >

제2 실시 예로, 크랙 방지 패턴(PAT)은 댐(DM)의 외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섬 모양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제2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절취선 III-III'로 자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may be formed to have an island shape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dam DM. 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exibl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to a perforated line III-III 'in FIG.

제2 실시 예에 의한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할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기본적인 구조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중요한 특징을 나타내는 크랙 방지 패턴(PAT)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to be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lateral b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The structure of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showing important features will be mainly described.

제2 실시 예의 경우, 크랙 방지 패턴(PAT)은 댐(DM)과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 막(PL), 뱅크(BA) 및/또는 스페이서(SP)를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하고, 이 세개의 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can be form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dam DM. For example, the planarizing film PL, the bank BA and / or the spacer SP may be 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se three layers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또한, 크랙 방지 패턴(PAT)은 댐(DM)으로부터 약 50㎛ 정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크랙 방지 패턴(PAT)의 일부가 배리어 필름(BF) 및/또는 편광 필름(POL)과 중첩하도록, 편광 필름(POL)의 크기가 상변으로 적어도 50㎛이상 확장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is disposed at a distance of about 50 mu m from the dam DM.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polarizing film POL is at least 50 mu m or more enlarged in size by the upper side so that a part of the anti-crack pattern PAT overlaps with the barrier film BF and / or the polarizing film POL .

크랙 방지 패턴(PAT)이 댐(DM)과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 구부림 응력을 더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리어 필름(BF) 및/또는 편광 필름(POL)과 일부 중첩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 크랙 방지 패턴(PAT)과의 사이에 공백 없이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부림 축(BL) 부분에서 배리어 필름(BF) 및/또는 편광 필름(POL)이 휘어지면서 받는 응력 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When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PAT) has the same lamination structure as the dam D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ending stress can be more effectively dispersed. Further, when the barrier film BF and / or the polarizing film POL are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y can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crack preventing pattern PAT without any gap. Therefor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change in stress that the barrier film (BF) and / or the polarizing film (POL) are bent at the bending axis (BL) portion can be absorb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tail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ST: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DT: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GL: 스캔 배선 DL: 데이터 배선
VDD: 구동 전류 배선 IN: 절연막
PAS: 보호막 PL: 평탄화 막
OL: 유기발광 층 OLE: 유기발광 다이오드
ANO: 애노드 전극 CAT: 캐소드 전극
BF: 배리어 필름 POL: 편광 필름
GIP: 게이트 구동 소자 DIC: 데이터 구동 소자
DM: 댐 GND: 기저 배선
PAT: 크랙 방지 패턴 BL: 구부림 축
ST: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DT: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GL: scan wiring DL: data wiring
VDD: driving current wiring IN: insulating film
PAS: protective film PL: planarization film
OL: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O: anode electrode CAT: cathode electrode
BF: Barrier film POL: Polarizing film
GIP: Gate driving device DIC: Data driving device
DM: Dam GND: Ground wiring
PAT: crack prevention pattern BL: bending axis

Claims (8)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된 백 플레이트;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댐;
상기 댐 위에서 상기 백 플레이트와 면 합착된 배리어 필름;
상기 백 플레이트에 정의된 구부림 축;
상기 표시 영역에서 일정 거리 이격하여 상기 구부림 축과 중첩하여 배치된 크랙 방지 패턴을 포함하는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A back plate on which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re defined;
A dam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 barrier film bonded to the back plate on the dam;
A bending axis defined in said back plate;
And a crack preventing patter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region and overlapping the bending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방지 패턴은,
상기 배리어 필름의 끝단과 일부 중첩하는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ck protection pattern
And a side-side bending structure partially overlapping with an end of the barrier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방지 패턴은,
상기 표시 영역과 적어도 50㎛ 이상 이격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인접한 테두리로부터 적어도 100㎛ 이상 이격된 섬 모양을 갖는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ck protection pattern
At least 50 mu m apart from the display area,
And a side-side bending structure having an island shape spaced apart by at least 100 mu m from an adjacent rim of the back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방지 패턴은,
상기 댐과 적어도 50㎛ 이상 이격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인접한 테두리로부터 적어도 100㎛ 이상 이격된 섬 모양을 갖는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ck protection pattern
At least 50 占 퐉 apart from the dam,
And a side-side bending structure having an island shape spaced apart by at least 100 mu m from an adjacent rim of the back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방지 패턴은,
상기 구부림 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100㎛ 이상의 폭을 갖는 섬 모양을 갖는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ck protection pattern
And a side-side bending structure having an island shape having a width of 100 mu m or mor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좌변 및 우변 중 적어도 어느 한 변과 상기 댐 사이에 배치된 게이트 구동 소자;
상기 게이트 구동 소자와 상기 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기저 배선;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
상기 표시 영역을 덮는 평탄화 막;
상기 평탄화 막 위에서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배리어 필름과 상기 백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ate driving element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of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the display region and the dam;
A base wiring disposed between the gate driving element and the dam and surrounding the display region;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in the display region;
A planarizing film covering the display area;
A bank defining a light emitting reg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n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 spacer disposed in a region where the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and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barrier film and the back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방지 패턴은,
상기 평탄화 막 및 상기 뱅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rack protection pattern
Wherein the flattening film and the bank are lamin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방지 패턴은,
상기 평탄화 막, 상기 뱅크 및 상기 스페이서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rack protection pattern
Wherein the planarizing film, the bank, and the spacer are lamin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20160127126A 2016-09-30 2016-09-30 Edge Ben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633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126A KR102633413B1 (en) 2016-09-30 2016-09-30 Edge Ben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126A KR102633413B1 (en) 2016-09-30 2016-09-30 Edge Ben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899A true KR20180036899A (en) 2018-04-10
KR102633413B1 KR102633413B1 (en) 2024-02-07

Family

ID=6197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126A KR102633413B1 (en) 2016-09-30 2016-09-30 Edge Ben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4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2901A1 (en) * 2019-12-31 2021-07-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373A (en) * 2014-11-27 2016-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gr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60080289A (en) * 2014-12-26 2016-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373A (en) * 2014-11-27 2016-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gr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60080289A (en) * 2014-12-26 2016-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2901A1 (en) * 2019-12-31 2021-07-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413B1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168B1 (en) Touch panel integrat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615791B1 (en) None-Bezel Display Panel Having Edge Bending Structure
US10381427B2 (en) Curved display device
US1122302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with bent substrate
US20150090969A1 (en) Display device
KR20120061486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163939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908955B2 (en)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8194632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6887799B2 (en) Display device
CN112542490A (en) Display device
KR20090059376A (en) Multi vision display
KR102600186B1 (en) Edge Bending Display Device
KR20180062522A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397800B1 (en) Display Having Edge Ben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89953B1 (en) None-Bezel Display Panel Having Edge Bending Structure
KR102633413B1 (en) Edge Ben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358393B1 (en) Flexible display having add-on type touch panel and method fabricating the same
KR102446338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27283B1 (en) Edge Ben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90081337A (en) Foldable Display Having Step Stack Structure
KR10125602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370126B1 (en) Foldable Display
US20070164660A1 (en) Dual-emiss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170077916A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Embedding In-Cell Touch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