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023A - 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 - Google Patents

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023A
KR20180036023A KR1020160126040A KR20160126040A KR20180036023A KR 20180036023 A KR20180036023 A KR 20180036023A KR 1020160126040 A KR1020160126040 A KR 1020160126040A KR 20160126040 A KR20160126040 A KR 20160126040A KR 20180036023 A KR20180036023 A KR 20180036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
oil
gasolin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창관
Original Assignee
신창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관 filed Critical 신창관
Priority to KR102016012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6023A/en
Publication of KR20180036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8Mean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scape of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oil vapor liquefier using metering and mist injection during unloading of oil comprises: a portable tank collecting gasoline unloaded from a tank lorry; and an underground storage tank storing the gasoline introduced from the portable tank. The portable tank comprises: an oil collection un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portable tank to primarily collect the gasoline; a transfer pipe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oil collection unit to transfer the gasoline discharged from the oil collection unit to the storage tank; the liquefier disposed on an inner side of the oil collection unit to liquefy oil vapor generated from the storage tank; and an oil/water separator separating the liquefied oil vapor introduced from the liquefier into gasoline and water. Accordingly, metering is precisely performed when the gasoline is unloaded from an oil transport vehic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oil vapor is lowered while the unloaded gasoline passes through an oil vapor pipe installed in the portable tank. A mist injection apparatus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il vapor pipe, such that the oil vapor can be adsorbed, and the adsorbed oil vapor is separated into oil and water, thereby further enhancing liquefying efficiency of the oil vapor.

Description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유소에서 하역되는 휘발유를 탱크에 저장시 발생되는 유증기를 모아 차가운 냉각수와 함께 안개형태로 분사하여 유증기를 응축시킴으로서 다시 휘발유로 환원되게 하는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using metering and mist injection during the unloading operation and more specifically, collecting vapor generated when gasoline unloaded from a gas station is stored in a tank, and discharging it in the form of mist together with cold cooling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using metering and mist injection during the unloading operation, which causes the vapor to condense back to gasoline.

일반적으로 주유소나 유류저장소 등의 지하에 매설된 유류 저장탱크로의 오일공급은 탱크로리에 의해 이루어지며, 오일 적하시 많은 양의 유증기가 탱크 내부에서 발생한다.Generally, the oil supply to the oil storage tank embedded in the underground of the gas station or the oil reservoir is made by the tanker, and a large amount of the oil vapor is generated inside the tank when the oil is loaded.

상기 유증기는 인체에 유해한 독성물질 즉,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렌 등을 포함하고 있어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대기 중 배출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The vapor contains toxic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that is, benzene, toluene, xylene, ethylene and the like, which causes air pollution, so that atmospheric emissions are strictly restricted.

따라서 유증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별도의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유증기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되도록 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air containing the vapor should be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with the vapor removed by using a separate treatment device

종래 유증기의 대기 중 방출을 방지하고 액화시킴으로써 다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한 여러 장치들이 개발되어 있다.There have been developed various devices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vapor in the air and liquefying it to enable recovery of the vapor.

도 1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1721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그러한 유증기 회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such a vapor recovery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21721.

도 1을 참조하면,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류탱크(1)에서 발생하는 유증기가 송풍기(2)에 의해 인출되어 제1냉각챔버(3)로 유입되도록 하고, 제1냉각챔버(3)로 유입된 유증기는 냉각 제습을 통해 물이 제거되고 일부 유류가 액화된다. 제1냉각챔버(3)에서 1차 냉각 제습된 유증기는 제2냉각챔버(7)로 유입되어 2차 냉각되는데, 상기 유증기에 함유된 유류는 초저온 냉각 상태에서 응결되어 분리된다. 제1, 2냉각챔버(3, 7)에서 배출된 물과 유류는 유수분리기(6)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유류가 다시 유류탱크(1)로 회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recovering vapo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apor generated in the oil tank 1 is drawn out by the blower 2 to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ooling chamber 3, The water vapor is removed by cooling and dehumidifying, and some oil is liquefied. The primary cooling and dehumidifying vapor in the first cooling chamber 3 flows into the second cooling chamber 7 and is secondarily cooled. The oil contained in the vapor is condensed and separated in the cryogenic cooling state. The water and the oil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chambers 3 and 7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oil separator 6 so that the oil is returned to the oil tank 1 again.

전술한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의 경우, 유증기의 회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제1,2냉각챔버(3,7)를 구비함에 따라 제1냉각챔버(3)와 제2냉각챔버(7)에 각각의 냉각시스템(4,5)이 구비되어야 하는 바, 전체적인 설비가 증가하고 비교적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vapor recovery apparatus,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chambers 3 and 7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chambers 3 and 7 so as to increase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vapor. Cooling system (4, 5) must be provided, which increases the overall equipment and consum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energy.

따라서, 단일의 냉각시스템을 구비하여 설비의 규모를 줄이더라도 유증기의 회수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구성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figuration capable of increasing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vapor even if the size of the facility is reduced by providing a single cooling system.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39551호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163955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류차에서 휘발유를 하역하는 동한 정확한 계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하역하는 휘발유가 간이탱크속내에 설치된 유증기 배관이 통과하면서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어주며, 상기 유증기 배관 일측에 안개분사장치를 설치하여 유증기를 흡착가능하게 하며, 흡착된 유증기를 유수분리함으로서 유증기의 액화효율을 보다 향상시킨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accurately metering the loading of gasoline in a petrol car, And a mist jetting devic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apor pipe to allow the vapor to be adsorbed and the liquefaction efficiency of the vapor is further improved by separating the adsorbed vapor from the vapor,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에 따른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탱크로리로부터 하역하는 휘발유를 수집하는 간이탱크와, 상기 간이탱크로부터 유입된 휘발유를 저장하는 지하 저장탱크을 포함하며,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using metering and mist in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imple tank for collecting gasoline unloaded from a tank and an underground storage tank for storing gasoline introduced from the simple tank,

상기 간이탱크는 상측에는 하역하는 휘발유를 1차 수집하는 유류수집부와;The simple tank includes an oil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gasoline to be unloaded first;

상기 유류수집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류수집부에서 배출되는 휘발유를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송관과;A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gasoline discharged from the oil collecting unit to the storage tank, the transfer pipe being located below the oil collecting unit;

상기 유류수집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액화하는 액화장치 및;A liquefie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oil collector and liquefies the vapor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상기 액화장치로부터 유입된 액화된 유증기를 휘발유와 물로 분리하는 유수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oil water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liquefied vapor introduced from the liquefier into gasoline and water.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류수집부는 저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이송관으로 유입이 원활하게 형성되며, 유류수집부와 이송관 사이에는 거름망이 형성되어 이송관으로 유입되는 휘발류에 회오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oil collecting part is tapered to smoothly flow into the transfer pipe, and a filtering net is formed between the oil collecting part and the transfer pipe to generate a whirlpool in the volatiles flowing into the transfer pipe .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류수집부는 계량기가 설치되어 하역되는 휘발류량의 정확한 계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il collecting unit is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the amount of volatiles to which the meter is installed and unloaded.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화장치는 저장탱크로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유입하는 플로우관과;In another embodiment, the liquefaction apparatus includes a flow pipe for introducing the vapor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상기 플로우관의 일측에 위치하며 미스트 형태의 물을 주입하는 안개발생장치와;A mist generating device located at one side of the flow pipe and injecting mist type water;

상기 플로우관의 일단에 설치되며 잔류된 유증기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증기잔량회수관과, A residual vapor volume recovery pip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low pipe and capable of recovering residual vapor,

상기 유증기잔량회수관의 일측에 위치하며 저장탱크에 유증기의 잔량을 배출하는 유증기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vapor discharge pipe located at one side of the residual vapor volume recovery pipe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vapor in the storage tank.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부는 수분이 흡착된 유증기를 수집하고 이를 휘발유와 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분리된 물은 안개발생장치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oil separator may collect the moisture-absorbed vapor, divide it into gasoline and water, and separate the water into the mist generator.

본 발명은 지하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수집하는 배관에 다수개의 절곡지점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지점에 안개형태의 미스트를 분무하고, 배관의 내부에는 필터를 구비하여 유증기와 물의 흡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고 유수분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in a pipe for collecting vapor generated in an underground storage tank, and mist-type mist is sprayed at the bending point, and a filter is provided in the pipe to easily adsorb the vapor and wat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vapor can be lowered and the water separation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은 유류 저장탱크내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회수하여 액화하고 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유증기에서 발생되는 발암성 물질 및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벤젠과 아세틸렌 휘발유 등 다양한 대기 오염물질이 공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ver, liquefy, and reuse the vapor generated in the oil storage tank, so that various kinds of air pollutants such as benzene and acetylene gasoline, which cause the global warm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ir pollution by blocking the discharge.

도 1는 종래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를 이용한 하역되는 휘발유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를 이용한 유증기를 액화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에 물을 분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apor liquid condensation recovery apparatus,
2 is a schematic view of a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unloaded gasoline using the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liquefying a vaporized vapor using a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spraying water on a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적으로 기술된 설명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exemplary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를 이용한 하역되는 휘발유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를 이용한 유증기를 액화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액화장치에 물을 분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flow of unloaded gasoline using a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liquefying a vaporized vapor using the vaporizing and lique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vaporized liquid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spraying water on a vapor liquef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로리로부터 하역하는 휘발유를 수집하는 간이탱크(100)와, 상기 간이탱크(100)로부터 유입된 휘발유를 저장하는 지하 저장탱크(2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mple tank 100 for collecting gasoline unloaded from a tank lorry, and an underground storage tank 200 for storing gasoline introduced from the simplified tank 100.

상기 간이탱크(100)는 상측에는 하역하는 휘발유를 1차 수집하는 유류수집부(10)와, 상기 유류수집부(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류수집부(10)에서 배출되는 휘발유를 저장탱크(200)로 이송하는 이송관(20)과, 상기 유류수집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저장탱크(200)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액화하는 액화장치(30)와, 상기 액화장치(30)로부터 유입된 액화된 유증기를 휘발유와 물로 분리하는 유수분리부(40)를 포함한다. The simple tank 100 is provided with a gas collecting portion 10 for collecting gasoline to be unloaded on the upper side and a gas storage portion 10 for storing gasoline discharged from the gas collecting portion 10, A liquefying device 30 for liquefying the vapor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200 and disposed in the oil collecting part 10; And an oil water separator 40 separating the liquefied vapor introduced from the oil separator 40 into gasoline and water.

상기 유류수집부(10)는 유조차로부터 하역되는 휘발유를 내측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측면에 형성하는 유입배관(11)과, 상기 유류수집부의 저면에 위치하며 후술되는 이송관(20)에 과 연결되는 제1배출구(12) 및 제2배출구(13)를 포함한다. The oil collecting unit 10 includes an inlet pipe 11 formed at a side surface to allow gasoline to be unloaded from the oil tanker to flow inwardly and a connecting pipe 11 locat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oil collecting unit and connected to a transfer pipe 20 And includes a first outlet (12) and a second outlet (13).

상기 유류수집부(10)의 저면에는 제1배출구(12)의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배관(11)을 통해 유입되는 휘발류를 상기 이송관(20)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1배출구(12)의 상면에는 거름망이 형성되어 이송관(20)으로 유입되는 휘발류에 회오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후술되는 이송관(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계량기(222) 의해 정확한 계량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bottom of the oil collecting part 10 is taper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 so that the volatiles flowing through the inflow pipe 11 can be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pipe 20. A drople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let 12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whirl due to the volatiles flowing into the transfer pipe 20 and a meter 222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ipe 20 Make accurate weighing possible.

또한, 상기 제1배출구(12)와 이송관(20)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송관(20)의 일단이 깔데기 형태로 되어 이송관(20) 내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휘발유를 받을 수 있어 유류수집부(10) 내에 휘발유가 머무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상기 유류수집부(10) 내에 위치하는 액화장치(30)가 수집된 휘발유에 담가져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discharge port 12 and the transfer pipe 20 can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nd one end of the transfer pipe 20 is formed in a funnel shape so that a large amount of gasoline can be injected into the transfer pipe 20 So tha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for which the gasoline stays in the oil collecting unit 10 and to prevent the liquefier 30 located in the oil collecting unit 10 from being trapped in the collected gasoline.

상기 이송관(20)은 상기 유류수집부(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이송관(21), 제2이송관(22) 및 제3이송관(23)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별도의 펌프 없이 자연스럽게 후술되는 저장탱크(200)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The transfer pipe 20 is located below the oil collecting unit 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pipe 21, the second transfer pipe 22 and the third transfer pipe 23 continuously, So that it can flow into the storage tank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out a separate pump.

상기 제1이송관(21)은 상측 직경은 넓고 하측 직경은 좁게 형성되어 깔데기모양으로 형성되며, 상측의 공간이 넓게 형성되므로 후술되는 솔레노이드밸브(221)에 의해 유량을 조절할 경우 유입된 휘발류가 상기 유류수집부(10)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transfer pipe 21 has a large upper diameter and a narrower lower diameter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unnel. Since the space on the upper side is formed to be wide, when the flow rate is controlled by the solenoid valve 221 described later,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into the oil collecting part (10).

또한, 상기 제1이송관(21)의 일측에는 온도계(211)와 압력계(212)가 설치되어 상기 유류수집부(10)로부터 유입되는 휘발유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여 후술되는 제2이송관(22)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21)를 조절하여 이송되는 휘발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A thermometer 211 and a pressure gauge 212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transfer pipe 21 to measure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gasoline flowing in from the oil collecting unit 10, 22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gasoline to be transferred.

상기 제2이송관(22)은 제1이송관(21)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솔레노이드밸브(221) 및 계량기(222)가 형성되어 이송되는 휘발유의 양의 조절 및 정확한 계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conveyance pipe 2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veyance pipe 21 and a solenoid valve 221 and a meter 222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o that the amount of the gasoline to be transferred can be controlled and metered accurately .

상기 제3이송관(23)은 상기 제2이송관(22)의 타단에 연결된 것으로서 저장탱크(200)내로 휘발유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제3이송관(23)의 상측에는 후술되는 액화장치(30)로부터 발생되는 유증기의 잔량을 유입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액화장치(30)의 유증기배출관(34)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hird transfer pipe (2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ansfer pipe (22) and can transfer the gasoline into the storage tank (200). The third transfer pipe 23 is connected to the vapor discharge pipe 34 of the liquefier 30 to allow the remaining amount of the vapor generated from the liquefaction device 30 to be introduced therein.

따라서, 유조차에서 하역되는 휘발유는 유입배관(11)을 통해 유류수집부(1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휘발유는 제1배출구(12)를 통해 이송관(20)에 유입되고, 이는 지하에 매립되어 있는 저장탱크(200)내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흐름에 따라 이송된 휘발유는 온도환산(Kg)방법으로 하역된 기름의 양을 현장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계와 계량기를 설치하고, 기름의 온도, 비중 유속 등을 측정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gasoline unloaded from the oil tanker carries into the oil collecting unit 10 through the inflow pipe 11, and the inflow gasoline flows into the transfer pipe 2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2,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into the storage tank 200 where it is installed. The gasoline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above flow is installed with a thermometer and a meter to measure the amount of oil unloaded by the temperature conversion method (Kg), and the oil temperature, the specific gravity flow rate, .

상기와 같이, 저장탱크(200)내로 유입된 휘발유는 유증기를 발생하게 되며, 상기 유증기는 유증기회수관(211)에 의해 액화장치(30)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유입된 유증기와 물과 흡착되어 휘발유로 환원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gasolin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200 generates the vapor, and the vapor can be introduced into the liquefier 30 by the bead opportunity water pipe 211, and adsorbed with the introduced vapor and water So that it can be reduced to gasoline.

상기 액화장치(30)는 저장탱크로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유입하는 플로우관(31)과, 상기 플로우관(31)의 일측에 위치하며 미스트 형태의 물을 주입하는 안개발생장치(32)와, 상기 플로우관(31)의 일단에 설치되며 잔류된 유증기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증기잔량회수관(33)과, 상기 유증기잔량회수관(33)의 일측에 위치하며 저장탱크에 유증기의 잔량을 배출하는 유증기 배출관(34)을 포함한다.The liquefier 30 includes a flow pipe 31 for introducing the vapor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a mist generator 32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flow pipe 31 and injecting mist-like water, A remaining amount of water vapor recovery pipe 33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low pipe 31 to recov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sidual vapor and a drain pipe 33 located at one side of the remaining amount water vapor recovery pipe 33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vapor in the storage tank And a vapor discharge pipe (34).

상기 액화장치(30)는 간이탱크(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유류수집부(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iquefier 3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mple tank 100 and can be located inside the oil collecting part 10.

상기 플로우관(31)은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하부로 절곡하여 유증기의 이동거리를 길게 형성하므로 이동중의 유증기에 포함된 압력 및 온도가 낮아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플로우관(31)의 내측에는 필터(311)이 형성되고, 상기 플로우관(31)의 상측 절곡구간에는 분사장치(312)가 형성되어, 플로우관(31)을 이동하는 유증기에 물을 미스트형태로 분사하고 회전하는 필터(311)에 의해 물과 유증기의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과 유증기의 혼합물은 플로우관(31)의 하부 절곡구간에 모일 수 있도록 하며, 이는 혼합물배출관(313)을 통해 유수분리부(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The flow pipe 31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s bent upward and downward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vapor is long so that the pressure and the temperature included in the moving vapor can be lowered. Inside the flow pipe 31, 31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ipe 31 and an injection device 312 is formed in the upper bending section of the flow pipe 31. The filter 311 for spraying water in the form of mist in the vapor flowing through the flow pipe 31 So that the adsorption force of water and vapor can be increased. The mixture of water and vapor can be collected in the lower bending section of the flow pipe 31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oil water separator 40 through the mixture discharge pipe 313 (see FIG. 4).

또한, 상기 플로우관(31)의 내측에는 플로우관(31)와 길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필터(311)가 형성되며, 필터의 회전에 따라 분무되는 물과 유증기가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도 5참조).A filter 311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low pipe 3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low pipe 31 so that water and vapor can be adsorbed by the rotation of the filter ).

이때, 상기 안개발생장치(32)는 후술되는 유수분리부(40)에서 분리된 물과 휘발유에서 물만을 배출하고, 일측에 형성된 모터(321)를 통해 물을 끌어올려 플로우관(31)의 내부로 미스트형태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도 6참조). 상기와 같이 유증기에서 흡착된 물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재사용하므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At this time, the mist generating unit 32 discharges only water from the water and gasoline separated from the oil water separating unit 40 described later, and draws up water through the motor 321 formed at one side, (See Fig. 6).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adsorbed in the vapo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reused, it has an effect of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상기 저장탱크(200)는 주유소에서 사용하는 휘발유 저장탱크, 화학공장에서 사용하는 휘발성 용제탱크 등 유증기가 발생하는 탱크를 의미한다.The storage tank 200 means a tank in which oil vapor is generated, such as a gasoline storage tank used in a gas station or a volatile solvent tank used in a chemical plan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간이탱크 200 : 저장탱크
10 : 유류수집부 20 : 이송관
30 : 액화장치 40 : 유수분리부
100: Simple tank 200: Storage tank
10: Oil collecting unit 20: Transfer pipe
30: Liquefaction device 40: Oil-water separator

Claims (5)

탱크로리로부터 하역하는 휘발유를 수집하는 간이탱크와, 상기 간이탱크로부터 유입된 휘발유를 저장하는 지하 저장탱크을 포함하며,
상기 간이탱크는 상측에는 하역하는 휘발유를 1차 수집하는 유류수집부와;
상기 유류수집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류수집부에서 배출되는 휘발유를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유류수집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액화하는 액화장치 및;
상기 액화장치로부터 유입된 액화된 유증기를 휘발유와 물로 분리하는 유수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
A simple tank for collecting gasoline unloaded from the tank, and an underground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gasoline introduced from the simple tank,
The simple tank includes an oil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gasoline to be unloaded first;
A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gasoline discharged from the oil collecting unit to the storage tank, the transfer pipe being located below the oil collecting unit;
A liquefie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oil collector and liquefies the vapor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And an oil-water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liquefied vapor introduced from the liquefier into gasoline and water. The apparatus for vaporizing liquefied petroleum gas according to claim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수집부는 저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이송관으로 유입이 원활하게 형성되며, 유류수집부와 이송관 사이에는 거름망이 형성되어 이송관으로 유입되는 휘발류에 회오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portion of the oil collecting portion is tapered so that the oil collecting portion is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conveying pipe and a sieve net is formed between the oil collecting portion and the conveying pip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hirlpools in the volatile substances flowing into the conveying pipe. A vapor liquefaction system using metering and mist injection during unloa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수집부는 계량기가 설치되어 하역되는 휘발류량의 정확한 계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il collecting unit is capable of accurately weighing the amount of volatiles loaded and unloaded by the 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장치는 저장탱크로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유입하는 플로우관과;
상기 플로우관의 일측에 위치하며 미스트 형태의 물을 주입하는 안개발생장치와;
상기 플로우관의 일단에 설치되며 잔류된 유증기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증기잔량회수관과,
상기 유증기잔량회수관의 일측에 위치하며 저장탱크에 유증기의 잔량을 배출하는 유증기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efaction apparatus includes a flow pipe for introducing the vapor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A mist generating device located at one side of the flow pipe and injecting mist type water;
A residual vapor volume recovery pip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low pipe and capable of recovering residual vapor,
And a vapor discharge pipe located at one side of the vapor remaining amount recovery pipe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vapor in the storage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부는 수분이 흡착된 유증기를 수집하고 이를 휘발유와 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분리된 물은 안개발생장치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하역시 계량 및 안개분사를 이용한 유증기 액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oil separator collects water vapor adsorbed on the water vapor, separates the water vapor into gasoline and water, and allows the separated water to flow into the mist generator. Device.
KR1020160126040A 2016-09-30 2016-09-30 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 KR201800360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40A KR20180036023A (en) 2016-09-30 2016-09-30 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40A KR20180036023A (en) 2016-09-30 2016-09-30 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23A true KR20180036023A (en) 2018-04-09

Family

ID=6197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40A KR20180036023A (en) 2016-09-30 2016-09-30 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02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369B1 (en) * 2020-05-12 2020-12-08 곽영단 Vapor oil recycling and ai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369B1 (en) * 2020-05-12 2020-12-08 곽영단 Vapor oil recycling and ai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6192B2 (en) Gasoline vapor recovery
US8814992B2 (en) Gas expansion cooling method
JP6037243B2 (en) Vapor collection device and gas station system
US10792587B2 (en) Method for aeration of a flammable liquid to extract flammable vapor
KR20180036023A (en) 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
CA2660047C (en) Vapor trapping canister vapor pressure management system
CN108467743B (en) Oil gas recovery condensate collecting and convey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324095B1 (en) Apparatus for controling and retrie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 having membrane
RU2383447C2 (en) Device to entrap gasoline vapors (versions)
CN105026308A (en) Facility for storing and dispensing fuels,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KR101407497B1 (en) Equipment for reusing volatile organic compound
KR100885741B1 (en) Vocs processing apparatus using hybrid composite membrane
JP5958409B2 (en) Vapor collection device
KR200486932Y1 (en) Deodorization apparatus of odorant for city gas
CN206837787U (en) Gas recovery system for oil
JP2010111405A (en) Gasoline vapor recovering system
JP6320124B2 (en) Vapor collection system
JP6037242B2 (en) Gas station system
WO2011034777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and processing sour fluids
KR20110000889U (en) Vapor recovery system
US10493382B1 (en) Vapor recovery tank
KR101667375B1 (en) Recovery equipment of oil mist
RU2343081C1 (en) Relocator of liquid evaporating substances in capacity supplied with neck
RU2211960C1 (en) Plant for storage of petroleum or petroleum products (modifications)
JP6020847B2 (en) Vapor collection device and gas s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