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694A - Fixing device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694A
KR20180035694A KR1020170124228A KR20170124228A KR20180035694A KR 20180035694 A KR20180035694 A KR 20180035694A KR 1020170124228 A KR1020170124228 A KR 1020170124228A KR 20170124228 A KR20170124228 A KR 20170124228A KR 20180035694 A KR20180035694 A KR 2018003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nip
film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3082B1 (en
Inventor
아키히로 마에다
쇼헤이 츠자키
히로시 모리타
Original Assignee
캐논 파인테크 니스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파인테크 니스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파인테크 니스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6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0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3G15/2078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회전 유닛; 회전 유닛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 유닛; 회전 유닛과 가압 부재 사이에 기록재를 끼움지지하고 기록재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롤러; 및 회전 유닛이 회전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변화될 때, 회전 상태의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에 따라 정지 상태의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가 개시된다.A rotating unit; A heating unit configured to heat the rotating unit; A pressing roller configured to hold a recording material between the rotating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and to convey the recording material;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variably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tationary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rotating unit when the rotating unit is changed from the rotating state to the stationary state.

Description

정착 장치{FIXING DEVICE}FIX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자사진방식 시스템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합한 정착 장치 및 정착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정착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복사기, 레이저 빔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 fixing device suitabl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on a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by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a laser beam printer, and a facsimile machine having a fixing device.

전자사진방식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하는 정착 장치로서, 히터와, 히터에 접촉해서 가열되면서 회전하는 필름(회전 유닛) 과, 필름을 가압하면서 회전하는 가압 롤러(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서는, 필름과 가압 롤러로 형성되는 정착 닙부에서, 미정착의 토너상(현상제 상)을 담지하는 기록재가 끼움지지 및 반송되면서 가열되어, 기록재 상의 화상이 기록재에 정착된다.[0003] As a fixing device mounted o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 is known a configuration in which a heater, a film rotating (rotating unit) in contact with the heater while rotating, and a pressing roller (pressing member) rotating while pressing the film are known . In this configuration, a recording material carrying an unfixed toner image (developer image) is heated while being fitted and conveyed in a fixation nip formed by a film and a pressure roller, and the image on the recording material is fixed on the recording material.

여기서, 기록재 상의 미정착 토너상은 그 모두가 적절하게 가열 및 용융되어서 정착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열에 의해 용해되지 않은 토너, 지나치게 용해된 토너, 또는 정전적으로 가압 롤러나 필름에 부착된 토너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토너가 가압 롤러나 필름에 전사되고, 또한 필름에 전사된 토너는 시트 사이에서 가압 롤러에 전사된다.Here, it is ideal that all of the unfixed toner images on the recording material are properly heated and melted and fixed. However, when there is a toner that is not dissolved by heat, an overly dissolved toner, or an electrostatic toner adhering to the pressure roller or film, such toner is transferred to the pressure roller or film, To the pressure roller.

이 상태에서 정착 동작이 반복되면, 가압 롤러에 전사된 토너가 축적된다. 축적된 토너가 미리정해진 축적량을 초과하면, 가압 롤러 상의 토너가 다음 기록재의 이면에 부착되어버려, 기록재 이면에 두드러진 토너 오염을 발생시킨다.When the fixing operation is repeated in this state, the toner transferred to the pressure roller is accumulated. If the accumulated toner exceeds a predetermined accumulation amount, the toner on the pressure roller adheres to the back surface of the next recording material, thereby causing toner contamination noticeable on the recording material.

그러므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H11-344894호에서는, 정착 동작의 완료 후에, 필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필름이 토너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필름을 가열함으로써, 가압 롤러 상의 토너를 필름에 전사시키도록 토출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토출 제어를 행함으로써, 가압 롤러를 클리닝할 수 있고, 기록재 이면의 토너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11-344894, after completion of the fixing operation, the film is heated until the film reaches the temperature above the softening point of the toner, And a discharg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transfer is performed. By performing such discharge control, the pressure roller can be cleaned, and toner contamination on the back of the recording material can be suppressed.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H11-344894호에 기재된 구성과 같이, 필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필름을 계속해서 가열할 경우, 히터와 접촉하는 정착 닙부에서만 온도가 크게 상승하고, 정착 닙부 이외의 부분의 온도는 주위 온도로부터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의 회전 방향에서, 정착 닙부와 그 이외의 부분 사이에서 온도 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가압 롤러가 갑자기 구동되면, 다음에 설명하는 대로, 필름이 변형되어서 오목부 자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However, when the film is continuously heated while the film is stopped as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11-344894, the temperature rises significantly only at the fixation nip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eater, Does not vary greatly from the ambient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sing roller is suddenly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xing nip and the other part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ilm, the film is deformed as described below, and a concave mark is likely to occur .

도 27a 및 도 27b는 필름의 변형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필름의 모식도이다.27A and 27B are schematic diagrams of films for explaining the deformation mechanism of the film.

도 27a는 필름이 정지한 상태(비회전 상태)에서 히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b는 도 27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가압 롤러를 회전시켜서 필름을 종동 회전시키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7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raised in a state where the film is stopped (non-rotating state). 27B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ilm is driven to rotate by rotating the pressure roller from the state shown in Fig.

도 2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이 정지한 상태에서 히터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필름은 정착 닙부 근방(파선부)에서 국소적으로 열팽창하고, 다른 부분(실선부)은 열팽창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필름의 회전 방향(둘레 방향)에서, 열팽창하는 부분과 열팽창하지 않는 부분 사이의 경계 부근에서 열응력이 가해지고, 필름에 왜곡이 발생한다.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에서의 온도 차가 커짐에 따라, 팽창량의 차로 인해 왜곡량이 증가한다.As shown in Fig. 27A,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raised while the film is stopped, the film thermally expands locally in the vicinity of the fixation nip (broken line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solid line portion) does not thermally expand. As a result, in the rotation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m, thermal stress is applied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thermally expanding portion and the non-thermally expanding portion, and distortion occurs in the film. 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and the outside of the nip increases, the amount of distortion increases due to the difference in expansion amount.

이어서,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필름이 회전하면, 필름은 가압 롤러에 의해 인장되고, 열팽창하는 부분과 열팽창하지 않는 부분 사이의 경계 부근에서 응력이 더 집중되어, 필름을 영구적으로 변형시켜 오목부 자국을 발생시킨다.Then, as shown in Fig. 27B, when the film is rot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rmal stress is applied, the film is stretched by the pressure roller, and the stress is more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thermally expanding portion and the non- Permanently deformed to produce recessed marks.

오목부 자국이 있는 상태에서 정착 처리가 행하여지면, 오목부 자국 부분에서는 필름 표면이 기록재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토너에 열이 전해지지 않고 정착이 불충분해져서, 화상의 하얘짐 같은 화상 불량이 발생한다. 특히 정착성의 확보가 비교적으로 곤란한 저온 환경에서는, 이러한 화상 불량이 현저하게 발생한다. 또한, 오목부 자국이 발생한 상태에서 필름을 계속해서 사용하면, 오목부 자국의 굴곡이 수회 반복될 수 있고 필름은 균열될 수 있다.If the fix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the recessed portion, the surface of the film does not contact the recording material at the recessed portion, heat is not transmitted to the toner, the fixing becomes insufficient, and image defects such as darkness of the image occur do. Particularly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where securing of fixability is relatively difficult, such image defects occur remarkably. Further, if the film is continuously used in the state where the concave mark is formed, the curvature of the concave mark can be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 film can be cracked.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하여 기록재 상의 현상제 상을 가열하는 회전 유닛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deformation of a rotating unit that heats a developer image on a recording material by rotating.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In a typ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회전 유닛;A rotating unit;

상기 회전 유닛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 유닛;A heating unit configured to heat the rotating unit;

상기 회전 유닛과 가압 부재 사이에서 기록재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기록재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 및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hold the recording material between the rotating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and to convey the recording material; And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변화될 때, 상기 회전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에 따라 상기 정지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이다.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variably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in the stationary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in the rotating state when the rotating unit is changed from the rotating state to the stationary state, Fixing device.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Fur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정착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히터 기판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히터의 통전 제어 경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필름의 오목부 자국이 발생하는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시동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시동 제어를 실행했을 때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후-회전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토출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후-회전 제어를 실행했을 때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토출 제어를 실행했을 때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시동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시동 제어를 실행했을 때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정착 동작, 후-회전 제어, 및 토출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정착 동작으로부터 정착 대기 상태까지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토출 제어 동안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필름의 닙 외측의 온도를 산출하는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정착 동작으로부터 다음 화상 형성 작업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필름의 닙 외측의 온도를 산출하는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정착 동작으로부터 다음 화상 형성 작업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정착 닙부의 폭이 좁고 넓은 경우의 필름의 열팽창으로 인한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토출 제어 중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정착 닙부의 폭과 가압 롤러 구동 시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에 관련된 역치 값이 서로 연관된 표이다.
도 25는 정착 장치에 의해 정착된 시트 매수와 정착 닙부의 폭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토출 제어 중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종래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필름과 가압 롤러의 개략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fixing device.
3A and 3B are plan views showing the heater substrat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nergization control path of the heater.
Fig. 6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in which recesses of a film are generated. Fig.
7 is a flowchart of start control.
8 is a graph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when the start control is executed.
9 is a flowchart of the post-rotation control.
10 is a flowchart of the discharge control.
11A and 11B are graphs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when the post-rotation control is performed.
12A and 12B are graphs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when the discharge control is performed.
13 is a flowchart of start control.
14 is a graph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when the start control is executed.
15 is a flow chart of the fixing operation, the post-rotation control, and the discharge control.
16A and 16B are graphs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from the fixing operation to the fixing standby state.
17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in the case of receiving an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during discharge control.
18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for calculat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19 is a graph showing the transition of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outside the nip of the film from the fixing operation until the next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20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for calculat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1 is a graph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from the fixing operation until the next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22A and 22B are schematic views schematically showing deformation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film when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is narrow and wide.
23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when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s are received during ejection control.
24 is a table in which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and the threshold value related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at the time of driving the pressure roller are related to each other.
2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sheets fixed by the fixing device and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26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when an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during discharge control.
27A and 27B are schematic views of a film and a pressure roller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problem.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이하,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정착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A의 전체 구성을 화상 형성 동작과 함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부재의 종류, 형상, 배치, 개수 등은 이하의 실시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구성 요소를 동등한 기능 및 효과를 갖는 것으로 적절히 치환하는 것 등의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가능하다.Hereinafter,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including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gether with an image forming operation. The type, shape, arrangement, number and the like of the members are not limited to thos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such as appropriately replacing the constituent elements with equivalent functions and effects Do.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A는 기록재로서의 시트(P)에 토너상을 전사하는 화상 형성부와, 화상 형성부에 시트(P)를 공급하는 시트 급송부와, 시트(P)에 토너상을 정착하는 정착부를 구비한다.1,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includes an image forming section for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to the sheet P as a recording material, a sheet feeding section for feeding the sheet P to the image forming section,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toner image.

화상 형성부는, 감광체 드럼(1), 대전 롤러(2), 레이저 스캐너 유닛(3), 현상 장치(4), 전사 롤러(5) 등을 구비한다.The image forming section includes a photoconductor drum 1, a charging roller 2, a laser scanner unit 3, a developing device 4, a transfer roller 5, and the like.

화상 형성 시에는, 도 4에 도시하는 CPU(80)가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면, 시트 적재부(9)에 적재 및 수납된 시트(P)가 급송 롤러(6)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7)에 보내진다. 그 후, 화상 형성부와 타이밍 보정을 행하고, 레지스트 롤러(7)에 의해 시트(P)가 화상 형성부에 반송된다.4, the sheet P stacked and stored in the sheet stacking section 9 is conveyed by the feed roller 6 to the registration rollers 7 ). Thereafter, the sheet P is conveyed to the image forming portion by the resist roller 7 after performing the timing correction with the image forming portion.

한편, 화상 형성부에서는, 대전 롤러(2)에 대전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대전 롤러(2)와 접촉하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이 대전된다. 그리고, 레이저 스캐너 유닛(3) 내부에 제공되는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레이저광(L)을 출사하고, 레이저광(L)을 감광체 드럼(1)에 조사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의 전위가 부분적으로 저하되고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mage forming secti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drum 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roller 2 is charged by applying a charging bias to the charging roller 2. [ The laser beam L is emitted from a light source (not shown) provided in the laser scanner unit 3 and irradiates the photosensitive drum 1 with the laser beam L. [ Thereby, the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is partially lowered, and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drum 1. [

그 후, 현상 장치(4)의 현상 슬리브(4a)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서, 현상 슬리브(4a) 상의 토너가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부착되어 토너상(현상제 상)을 형성한다.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은, 감광 드럼(1)과 전사 롤러(5) 사이에 형성된 전사 닙부에 보내진다. 토너상이 전사 닙부에 도착하면, 전사 롤러(5)에 토너와 역극성의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토너상이 시트(P)에 전사된다.Thereafter, by applying a developing bias to the developing sleeve 4a of the developing apparatus 4, the toner on the developing sleeve 4a is attached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to form a toner image (developer image) .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is sent to a transfer nip formed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1 and the transfer roller 5. [ When the toner image arrives at the transfer nip portion, a transfer bias of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toner is applied to the transfer roller 5, and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to the sheet P. [

그 후,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P)는 정착 장치(11)에 반송되고, 여기서 토너상이 정착 장치(11)의 정착 동작에서 가열 및 가압되어 토너상을 시트(P) 상(기록재 상)에 영구 정착시킨다. 그 후, 시트(P)는 배출 롤러(13)에 의해 반송되고 배출 트레이(15)에 배출된다.Thereafter, the sheet P onto which the toner image has been transferred is conveyed to the fixing device 11 where the toner image is heated and pressed in the fixing operation of the fixing device 11 to form a toner image on the sheet P (recording material) Lt; / RTI &gt; Thereafter, the sheet P is conveyed by the discharge roller 13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tray 15.

<정착 장치><Fixing device>

이어서, 정착 장치(1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device 11 will be described.

도 2는, 정착 장치(11)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 장치(11)는, 시트(P)에 담지된 토너 화상을 가열하고, 토너를 용융시켜서 시트(P)에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가열 유닛(14)을 갖는다. 정착 장치(11)는 또한 가열 유닛(14)의 필름(22)을 가압하고, 필름(22)과 함께 시트(P)를 끼움지지 및 반송하는 가압 롤러(24)(가압 부재)를 포함한다.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fixing device 11. As shown in Fig. 2, the fixing device 11 has a heating unit 14 that heats a toner image carried on the sheet P and fuses the toner to fix the toner image on the sheet P. As shown in Fig. The fixing device 11 also includes a pressing roller 24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film 22 of the heating unit 14 and holding and conveying the sheet P together with the film 22.

가압 롤러(24)는, 회전축인 코어 금속(24a)과, 코어 금속(24a)의 주위에 제공된 탄성층(24b)과, 탄성층(24b)의 주위에 제공된 최외측 토너 분리층(24c)으로 구성된다. 코어 금속(24a)의 양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단부 측에 배치된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정착 모터(86)(도 4 참조)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여, 가압 롤러(24)를 회전시킨다. 가압 롤러(24)의 코어 금속(24a)의 양 단부는, 가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120N의 힘으로 필름(22)을 향해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가압 롤러(24)는 필름(22)을 가압한다.The pressing roller 24 includes a core metal 24a as a rotating shaft, an elastic layer 24b provided around the core metal 24a and an outermost toner separating layer 24c provided around the elastic layer 24b . Both ends of the core metal 24a are rotatably supported and a gear (not shown) arranged on the end side is rotated by a driving force from the fixing motor 86 (see Fig. 4) . Both ends of the core metal 24a of the pressure roller 24 are pressed toward the film 22 with a force of 120 N by a pressure spring (not shown). As a result, the pressure roller 24 presses the film 22.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금속(24a)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고, 탄성층(24b)은 실리콘 고무로 만들어지며, 토너 분리층(24c)은 PFA 튜브로 만들어진다. 가압 롤러의 외경은 30mm이고, 토너 분리층의 두께는 50㎛이며, 고무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는 330 mm이다.In this embodiment, the core metal 24a is made of aluminum, the elastic layer 24b is made of silicone rubber, and the toner separating layer 24c is made of a PFA tube.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ure roller is 30 mm, the thickness of the toner separating layer is 50 占 퐉, and the total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bber is 330 mm.

가열 유닛(14)은, 필름(22), 필름(22)을 보유지지하는 가이드 부재(21), U 형상 스테이(31), 필름(22)을 가열하는 히터(23), 서미스터(25)(온도 검출부), 비접촉 온도계(89)(도 4 참조) 등을 구비한다.The heating unit 14 includes a film 22, a guide member 21 for holding the film 22, a U-shaped stay 31, a heater 23 for heating the film 22, a thermistor 25 Temperature detector), a non-contact thermometer 89 (see Fig. 4), and the like.

필름(22)(회전 유닛)은 내열성을 갖는 무단 원통형 필름상 부재이며, 액정 중합체로 형성된 욕조(tub) 형상 종방향 단면을 갖는 가이드 부재(21) 위에 끼워진다. 필름(22)은 회전 가압 롤러(20)와 필름(2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종동 회전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롤러(24)에 구동력을 전달해서 가압 롤러를 회전시키는 정착 모터(86)는 필름(22)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이다.The film 22 (rotating unit) is an endless cylindrical film-like member having heat resistance and is fitted on a guide member 21 having a tub-shaped longitudinal cross section formed of a liquid crystal polymer. The film 22 is driven to rotate by a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ry pressing roller 20 and the film 22.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motor 86 that rotates the pressure roller b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o the pressure roller 24 is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film 22.

또한 필름(22)의 내주 길이는, 가이드 부재(21)의 외주 길이보다 대략 3mm 길고, 필름(22)은 둘레 길이에 여유를 갖고서 가이드 부재(21) 위에 끼워진다. 필름(22)의 내주면과 가이드 부재(21)의 외주면 사이에 윤활제(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고,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21)와 필름(22)의 내주면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할 때 미끄럼 저항이 저하된다.The inn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film 22 is about 3 mm lon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guide member 21 and the film 22 is fitted on the guide member 21 with margin arou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A lubricant (not shown) is appli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2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1 so that when the guide member 2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22 are rota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sistance is lowered.

또한, 필름(22)은, 기재로서의 기층, 기층의 표면을 덮는 표층, 및 표층을 기층에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기층은 막 두께 40㎛의 스테인리스강 필름이며, 기층의 외주면에 PFA가 코팅되어 있다. 또한, 필름(22)의 외경은 30mm로 설정되며, 가압 롤러(24)의 회전축 방향인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는 A3 사이즈 시트의 통과를 처리할 수 있도록 340 mm로 설정된다.The film 22 is composed of three layers including a base layer as a base material, a surface layer covering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surface layer to the base layer. The base layer is a stainless steel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탆,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layer is coated with PFA. Further, the outer diameter of the film 22 is set to 30 mm, and the entir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ure roller 24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set to 340 mm so as to process the passage of the A3 size sheet.

또한, 필름(22)의 두께는 열용량을 감소시켜 시동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층은 스테인리스강 이외에 니켈 등의 금속 또는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PFA 대신에, 표층에는 토너로부터의 토너 분리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PTFE 같은 다른 불소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은 수지 필름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금속 필름의 경우에 현저하게 발생하기가 더 쉽다. 이것은, 금속과 같이 가요성이 비교적으로 작은 재료는 한번 국소적으로 변형되면 영구적으로 오목부 자국이 남기 때문이다.The thickness of the film 22 is preferably 100 占 퐉 or less in order to reduce the heat capacity and shorten the startup time. The base layer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nickel or a resin such as polyimide in addition to stainless steel. Further, in place of PFA, another fluorine resin such as PTFE may be used in the surface layer in order to secure the toner separation property from the toner. In addition, although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lm 22 described above can also occur in the resin film, it is more likely to occur remarkably in the case of the metal film. This is because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flexibility such as a metal is permanently deformed once it is locally deformed.

U 형상 스테이(3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U 형상 금속이며 가이드 부재(21)의 상측에 배치된다. U 형상 스테이(31)는, 가이드 부재(21)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고, 가압 롤러(24)에 의한 가이드 부재(21)의 가압에 대하여 강도를 갖는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열전도성을 증가시켜서 길이 방향의 온도 불균일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서, U 형상 스테이(31)의 재료로서 강도가 높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U 형상 스테이(31)의 재료로서 아연도금 강판이 사용된다.The U-shaped stay 31 is an elongated U-shaped meta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21. The U-shaped stay 31 applies a uniform pressure to the guide member 21 and has a strength against the pressure of the guide member 21 by the pressure roller 24. [ Further, the thermal conductivity is increa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mprove the temperature uneven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realize this effect, a metal having high strength and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is generally used as the material of the U-shaped stay 31. In this embodiment, a galvanized steel sheet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U-shaped stay 31. [

히터(23)는, 정착 닙부 내에서 필름(22)의 내주면과 접촉(및 대향)하고 내주면으로부터 필름(22)을 가열하도록 필름 내측에 배치된다. 히터(23)는, 질화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히터 기판(27)의 홈부에 단열되어 끼워지는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가열 저항체(26)(가열원)를 구비한다. 가열 저항체(26)는 통전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가열 저항체(26)는 유리 코트(28)로 덮인다. 필름(22)과의 미끄럼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폭이 10㎛인 폴리이미드 코팅(30)이 히터 기판(27)의 표면에 인쇄되고, 상기 표면은 필름(22)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필름(22)과 폴리이미드 코팅(30) 사이에 윤활제를 도포하여 필름(22)이 회전할 때에 미끄럼 특성을 더 향상시킨다. 히터 기판(27)은, 가이드 부재(21)의 가압 롤러(24)에 대면하는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목 형상을 갖는 홈에 끼워져서 보유지지되고, 이에 의해 히터(23)는 히터 기판(27)을 통해 가이드 부재(21)에 고정된다.The heater 23 is disposed inside the film so as to contact (and oppo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22 in the fixation nip and to heat the film 22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eater 23 is provided with a heating resistor 26 (heating source) made of ceramic which is insulated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of the heater substrate 27 made of aluminum nitride. The heating resistor 26 generates heat by energization. In order to ensure insulation, the heating resistor 26 is covered with a glass coat 28. A polyimide coating 30 having a width of 10 탆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heater substrate 27 and th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ilm 22 in order to secure the sliding property with the film 22. Further, a lubricant is applied between the film 22 and the polyimide coating 30 to further improve the sliding property when the film 22 is rotated. The heater substrate 27 is held and held in a groove having a concave shap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facing the pressing roller 24 of the guide member 21, Is fixed to the guide member (21) through the guide member (27).

히터 기판(27)의 가이드 부재(21)에 대면하는 표면에는, 히터(23)의 온도를 계측하는 서미스터(25)(제1 온도 검출부)가 배치된다. 서미스터(25) 각각의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는 단열층이 제공된다. 단열층에는 칩 서미스터 소자가 고정된다. 칩 서미스터 소자는 미리정해진 압력으로 히터 기판(27)에 대해 가압되고, 이에 의해 지지 부재는 히터 기판(27)과 접촉한다.A thermistor 25 (first temperature detecting section)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heater substrate 27 which faces the guide member 21.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not shown) of the thermistor 25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layer. A chip thermistor element is fixed to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 chip thermistor element is pressed against the heater substrate 27 at a predetermined pressure, whereby the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heater substrate 27.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23)는 필름(22)과 접촉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필름(22)의 히터(23)와의 접촉 영역의 온도는 히터(23)의 온도와 거의 동일하다. 즉, 서미스터(25)는, 필름(22)의 히터(23)와의 접촉 영역의 온도를 계측 및 검출하는 히터 온도 센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22)의 히터(23)와의 접촉 영역은, 정착 닙부의 내측에 제공되고, 당해 접촉 영역의 온도와 정착 닙부의 온도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 접촉 영역의 온도를 이하에서는 닙 내측 온도라고 칭한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er 23 is in contact with the film 22.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film 22 in contact with the heater 23 is almost the same a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That is, the thermistor 25 is a heate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nd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film 22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er 23.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region of the film 22 with the heater 23 is provided inside the fixation nip, and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reg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xation nip ar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the nip inner temperature.

또한, 비접촉 온도계(89)는, 필름(22)의 히터(23)와 접촉하지 않는 영역의 온도를 측정한다. 즉, 비접촉 온도계(89)는, 필름(22)의 히터(23)와의 비접촉 영역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비접촉 온도계(89)는 정착 닙부로부터 필름(22)의 표면을 따라 τ°(본 실시형태에서는 30°) 기운 위치(도 2의 S 점)의 필름(22)과 접촉하는 표면의 온도를 측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22)의 히터(23)와의 비접촉 영역은 정착 닙부의 외측에 제공되기 때문에, 이 비접촉 영역의 온도는 이하에서는 닙 외측 온도라고 칭한다. 또한, 닙 내측 온도와 닙 외측 온도 사이의 온도 차를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라 칭한다.Further, the non-contact thermometer 89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area of the film 22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heater 23. That is, the non-contact thermometer 89 i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ilm 22 in the non-contact area with the heater 23. [ Specifically, the non-contact thermometer 89 detects the surface of the film 22 contacting the film 22 at a tilting position (point S in Fig. 2) along the surface of the film 22 from the fixing nip Measure the temperatur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non-contact area of the film 22 with the heater 23 is provided outside the fixation nip, the temperature of the non-contact area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ip outer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nip inner temperature and the nip outer temperature is referred to a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도 3a 및 도 3b는, 히터 기판(27)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가이드 부재(21)에 대면하는 표면측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3b는 필름(22)과의 접촉면에 있는 표면측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열 저항체(26)는 가이드 부재(21)에 대면하는 히터 기판(27)의 표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가열 저항체(26)에 급전을 행하기 위해 표면에 급전부(33)(33a, 33b)가 제공된다.Figs. 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er substrate 27. Fig. Fig. 3A shows a configuration on the surface side facing the guide member 21, and Fig. 3B shows a surface side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film 22. Fig.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two heating resistors 26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heater substrate 27 facing the guide member 2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feeding portions 33 (33a, 33b) are provided on the surface to feed the heating resistor 26.

3개의 서미스터(25)는 가이드 부재(21)에 대면하는 히터 기판(27)의 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제공된다. 3개의 서미스터(25) 중 길이 방향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메인 서미스터(25a)는, 최소 폭 사이즈의 시트(P)가 시트(P)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시트 폭 방향을 통과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즉, 임의의 폭을 갖는 시트(P)가 실패 없이 이 영역을 통과한다. 제1 서브 서미스터(25b)는, A4 사이즈의 시트(P)가 R 방향으로 반송될 때 A4 사이즈의 시트(P)가 통과하지 않은 시트 폭 방향의 비통과 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제2 서브 서미스터(25b)는 B5 사이즈의 시트(P)가 R 방향으로 반송될 때 B5 사이즈의 시트(P)가 통과하지 않는 시트 폭 방향의 비통과 영역에 배치된다.Three thermistors 25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heater substrate 27 facing the guide member 21. [ The main thermistor 25a closest to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e thermistors 25 is disposed in a region where the sheet P having the minimum width size passes through the sheet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heet P . That is, the sheet P having an arbitrary width passes through this area without fail. The first sub thermistor 25b is disposed in the non-passage area in the sheet width direction in which the A4 size sheet P does not pass when the A4 size sheet P is transported in the R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ub thermistor 25b is disposed in the non-passing region in the sheet width direction in which the sheet P of the B5 size does not pass when the sheet P of the B5 size is transported in the R direction.

그리고, 시트(P)의 통과 영역의 온도는 메인 서미스터(25a)에 의해 검출되고, A4R, B5R 등과 같은 작은 사이즈의 시트를 통과할 때에 비통과 영역의 온도는 서브 서미스터(25b 및 25c)에 의해 검출된다. 결과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시트가 정착 닙부를 연속해서 통과할 때 비통과 영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The temperature of the passage area of the sheet P is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and the temperature of the non-passage area when passing through a sheet of a small size such as A4R, B5R, etc. is detected by the sub thermistors 25b and 25c . As a result, abnormal temperature rise in the non-passage area is prevented from occurring when the sheet of small size passes through the fixing nip in succession.

히터 기판(27) 상에는, 길이 방향 중앙부에 대하여 메인 서미스터(25a)와 대칭인 위치에 서모스위치(32)(도 5 참조)가 배치된다. 서모 스위치(32)는, 서미스터(25)의 고장이나 제어부의 고장에 의해 히터(23)가 과도하게 가열되었을 때에 안전 장치로서 작용하는 스위치이다. 서모 스위치(32)에는 바이메탈이 내장되어 있다. 바이메탈이 미리정해진 온도에 도달하면, 바이메탈이 변형되어, 가열 저항체(26)에의 통전이 차단된다.On the heater substrate 27, a thermoswitch 32 (see Fig. 5) is dispos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main thermistor 25a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The thermo switch 32 is a switch that acts as a safety device when the heater 23 is excessively heated due to a failure of the thermistor 25 or a failure of the control unit. A bimetal is incorporated in the thermo-switch 32. Fig. When the bimetal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bimetal is deformed and the electric current to the heating resistor 26 is cut off.

<제어부><Control section>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 A를 제어부의 구성, 특히 정착 장치(11)의 제어에 관계되는 구성의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particularly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fixing apparatus 11. FIG.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 A의 제어부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CPU(80)(제어부, 설정부), RAM(81), 및 ROM(82)을 구비한다. 또한, CPU(80)에는, 히터(23), 조작부(83), 환경 센서(88)(환경 검출부), 비접촉 온도계(89), 정착 모터(86) 등이 접속되어 있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t of the control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Fig.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section includes a CPU 80 (control section, setting section), a RAM 81, and a ROM 82. [ The CPU 80 is connected with a heater 23, an operation unit 83, an environmental sensor 88 (environment detecting unit), a non-contact thermometer 89, a fixing motor 86, and the like.

ROM(82)은, 온도 제어 프로그램 및 전력 공급 제어 프로그램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정착 온도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CPU(80)는 ROM(8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다양한 연산 처리를 행한다. RAM(81)은, CPU(80)의 연산 처리에서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된다.The ROM 82 stores various programs such as a temperature control program and a power supply control program, fix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like. Further, the CPU 80 performs various calculation processes based on the program stored in the ROM 82. [ The RAM 81 is used as a work area in the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CPU 80. [

조작부(83)는, 유저 등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CPU(80)에 출력한다. 정착 모터(86)는, CPU(80)의 제어 하에서 가압 롤러(24)를 회전시킨다.The operation unit 83 outputs to the CPU 80 an operation instruction from the outside input by the user or the like. The fixing motor 86 rotates the pressure roller 24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80.

환경 센서(88)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배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 A의 분위기 온도(내부 온도)를 검출해서 CPU(80)에 출력한다. 비접촉 온도계(89)는 필름(22)의 닙 외측의 온도를 검출해서 그것을 CPU(80)에 출력한다. 서미스터(25)는 히터(23)의 온도 및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를 히터(23)의 온도에 기초하여 검출하고 그것들을 CPU(80)에 출력한다. CPU(80)는, 온도 정보 등에 기초하여 히터(23)의 온도 및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environmental sensor 88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etects the ambient temperatur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and outputs the detected ambient temperature to the CPU 80. The non-contact thermometer 89 detects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and outputs it to the CPU 80. [ The thermistor 25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and outputs them to the CPU 80. [ The CPU 8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and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based 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어서, 화상 형성 시의 히터(23)의 통전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energization control of the heater 23 at the time of image forma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히터의 통전 제어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80)가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면, CPU(80)는 트라이액(42)을 온하고, 이에 의해 AC 전원(43)으로부터 급전부(33a, 33b) 및 서모 스위치(32)를 통해 가열 저항체(26)를 통전한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energization control path of the heater. Fig. 5, when the CPU 80 receives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the CPU 80 turns on the triac 42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s 33a and 33b are disconnected from the AC power supply 43, And the heating resistor 26 through the thermo-switch 32.

이 통전에 의해, 가열 저항체(26) 전역이 가열해서 승온한다. 이 온도 상승에 따라 가열되는 히터 기판(27)의 온도를 서미스터(25)의 출력을 변환하는 A/D에 의해 검출한다. 히터 기판(27)의 온도, 즉 히터(23)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통전이 계속된다.By this energization, the entire area of the heating resistor 26 is heated and raise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substrate 27 he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ise is detected by A / D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thermistor 25. The energization continues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substrate 27,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즉, 히터(23)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서미스터(25)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트라이액(42)에 의해 히터(23)에 공급되는 전력을 위상 제어, 주파수 제어 등에 의해 제어하여, 히터(23)의 온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CPU(80)는 서미스터(25)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열 저항체(26)를 승온시키고,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가열 저항체(26)의 온도를 저하시켜 히터(23)의 온도를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트라이액(42)을 제어한다.That is, when the heater 23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based on the output signal from the thermistor 25,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3 by the triac 42 is controlled by phase control, frequency control, ,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Specifically, the CPU 80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esistor 26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hermistor 25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esistor 26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controls the triac 42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at the set temperature.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되면, 트라이액(42)은 오프되고 히터(23)에의 통전이 종료된다.When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triac 42 is turned off and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terminated.

<필름 오목부 자국의 발생 실험>&Lt; Experiments on occurrence of marks in film recesses >

이어서,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 실험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results of experiments for generating concave mark marks on the film 22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은, 필름(22)의 회전 방향(둘레 방향)의 온도 차로 인한 필름(22)에서의 열응력에 의해 왜곡이 발생한 후에 필름(22)에 구동력을 가함으로써 발생된다. 본 실험에서는, 필름(22)과 가압 롤러(24)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80℃ 내지 100℃에서 변화시켰을 때에 정착 닙부에서의 필름(22)의 변형량을 측정하였다. 그 후, 필름(22)을 회전시키도록 가압 롤러(24)를 구동하였고, 필름(22)에 오목부 자국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concave traces of the film 22 are formed so that, after the distortion occurs due to the thermal stress in the film 22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rotation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m 22, Lt; / RTI &gt; In this experiment,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was changed from 80 캜 to 100 캜 while the film 22 and the pressure roller 24 were stopped, Was measured. Thereafter, the pressing roller 24 was driven to rotate the film 22,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film 22 had a concave mark.

닙 내측 온도로서, 정착 닙부의 시트 반송 방향의 실질적 중앙부에서의 필름(22)의 시트(P)와의 접촉면에서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닙 외측의 온도로서, 상술한 비접촉 온도계가 필름(22)의 시트(P)와의 접촉면에 배치된 위치(도 2에서 S 점)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변형량으로서, 가열 전과 후의 필름(22)의 형상의 변화량(도 27a에 나타내는 화살표 h의 길이)을 측정하였다.The temperature 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lm 22 with the sheet P at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xing nip portion was measured as the nip inner temperature. The temperature at the position outside the nip (the point S in Fig. 2) at which the above-mentioned non-contact thermometer was dispos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lm 22 with the sheet P was measured. As a deformation amount, the amount of change (the length of the arrow h shown in Fig. 27A) of the shape of the film 22 before and after heating was measured.

도 6은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회의 실험에서는,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95℃ 이상일 때, 변형량이 50㎛ 이상이 되고 그 후에 필름(22)을 회전시킴으로써 필름(22)에 오목부 자국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필름(22)의 변형(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95℃ 미만이 되도록, 후술하는 제어를 행한다.Figure 6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6,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95 占 폚 or more, the amount of deformation becomes 50 占 퐉 or more and then the film 22 is rotated by rotating the film 22 ), It was confirmed that a concave portion was formed.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film 22 (generation of concave marks), a control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becomes less than 95 占 폚.

<시동 제어><Start control>

먼저,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할 때 히터(23)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상승시키는 시동 제어에 대해서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터(23)의 폴리이미드 코팅(30)과 필름(22) 사이에 도포된 윤활제가 용융하기 시작하고 윤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온도는 80℃이다.First, the start control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to the set temperature when receiving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lubricant applied between the polyimide coating 30 and the film 22 of the heater 23 starts melting and secures lubricity is 80 占 폚.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의 작업 신호를 수신하면(S1), 필름(22)이 정지한 상태에서 히터(23)에의 통전을 개시한다(S2). 이어서, 메인 서미스터(25a)로 검출한 히터(23)의 온도가 85℃에 도달하면(S3), 정착 모터(86)가 구동되기 시작하고(S4), 가압 롤러(24)가 필름(22)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된다. 즉, CPU(80)는, 메인 서미스터(25a)에 의해 검출되는 히터(23)의 온도의 결과를 취득하고, 히터(23)의 온도가 85℃에 도달했을 때에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개시시킨다. 그 후, 히터(23)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정착 닙부에 시트(P)를 통과시키면서 정착 동작을 행한다(S5).As shown in Fig. 7, upon reception of an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S1),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star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lm 22 is stopped (S2). The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reaches 85 deg. C (S3), the fixing motor 86 starts to be driven (S4) As shown in Fig. That is, the CPU 80 obtains the result of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and drives the fixing motor 86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reaches 85 캜 . Thereafter, when the heater 23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he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passing the sheet P through the fixing nip (S5).

도 8은, 25℃의 환경하에서 상기 시동 제어를 실행했을 때의 필름 닙 내측의 온도와 닙 외측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받으면, 필름(22)이 정지되고 가열된다. 결과적으로,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필름(22)은 비회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닙 외측의 온도는 주위 온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승하지 않는다.8 is a graph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film nip and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when the start control is performed under an environment of 25 캜. As shown in Fig. 8, upon receiving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the film 22 is stopped and heat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rises. At this time, since the film 22 is in the non-rotating state,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does not rise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ambient temperature.

이어서, 히터의 온도가 85℃까지 상승하면, 정착 모터(56)는 구동되기 시작하고 필름(22)은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필름(22)의 닙 외측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 경우, 서미스터의 검출된 온도가 210℃에 도달하면, 정착 동작이 행해지고, 이때 닙 내측의 온도는 200℃ 정도가 된다.The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raised to 85 DEG C, the fixing motor 56 starts to be driven and the film 22 rotates.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rises. In this case,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of the thermistor reaches 210 占 폚, the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is about 200 占 폚.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0℃ 환경과 같은 저온 환경에서도,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85-0=85℃가 되고, 이는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95℃ 내로 억제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시동 제어에서,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가 될 때 필름(22)의 회전을 개시시킴으로써, 필름(22)이 회전될 때 필름(22)의 회전 방향에서의 온도 차를 미리정해진 값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윤활제를 용융하여 구동 개시 시의 필름(22)과 히터(23) 사이의 마찰을 경감할 수 있다.By performing such a contro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becomes 85-0 = 85 DEG C even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such as, for example, a 0 DEG C environment, Means that the tea can be suppressed to 95 占 폚. That is, in the start control, by starting the rotation of the film 22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rotating direction can be suppress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film 22 and the heater 23 at the start of driving by melting the lubricant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lm 22.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서미스터(25a)의 검출 온도가 85℃가 될 때에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개시하는 제어가 실행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필름(22)과 히터(23) 사이에 도포된 윤활제의 윤활성을 확보하면서, 필름(22)이 회전될 때에 필름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 영역에서 필름(22)을 회전시키는 제어가 실행되면,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to start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executed when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ain thermistor 25a becomes 85 deg. 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o say, while ensuring the lubricity of the lubricant applied between the film 22 and the heater 23, the film 22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temperature region where the occur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lm can be prevented when the film 22 is rotated When the control for rotating is executed, the same effect as that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후-회전 제어><Post-rotation control>

이어서, 정착 동작 후에 행하여지는 후-회전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ost-rotation control performed after the fix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정착 동작의 종료 직후 가압 롤러(24)와 필름(22)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양자가 모두 고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정착 닙부에서 양자가 서로 부착할 가능성이 있다. 양자가 서로 부착한 상태에서 다시 회전이 개시되면, 필름(22) 표층의 불소 코트, 불소 튜브 등이 박리되고, 가압 롤러(24)와 필름(22)에 토너가 부착되어서, 화상 오염이 발생한다.When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roller 24 and the film 22 is stoppe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fixing operation, both of them are at a high temperature,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are attached to each other at the fixing nip portion. The fluorine coat and the fluorine tube on the surface layer of the film 22 are peeled off and the toner adheres to the pressing roller 24 and the film 22 to cause image contamination .

또한, 정착 동작 시에 시트(P)와의 마찰에 의해 가압 롤러가 대전되는 차지 업(charge-up)이 발생할 수 있다. 가압 롤러(24)가 토너의 것과 동일한 극성으로 차지 업되는 경우, 토너가 필름(22) 측에 부착되어서 다음에 토너상이 정착되는 시트(P)가 오염된다.In addition, a charge-up in which the pressure roller is charged by friction with the sheet P during the fixing operation may occur. When the pressure roller 24 is charged up to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toner, the toner is adhered to the film 22 side, and then the sheet P to which the toner image is fixed is contaminated.

그때, 정착 동작 후에 가압 롤러(24)와 필름(22)을 회전시켜서 양자를 냉각시키며 가압 롤러(24)가 제전되는 후-회전 제어가 실행된다.Then, after the fixing operation, the post-rotation control is performed in which the pressurizing roller 24 and the film 22 are rotated to cool them and the pressurizing roller 24 is de-electrified.

먼저, 종래의 후-회전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에는, 정착 동작의 종료 후에, 히터(23)에의 통전을 오프하고, 회전 제어만을 행해서 필름(22)과 가압 롤러(24)를 냉각하고 있었다. 회전 제어를 행하는 시간은, 정착되는 시트(P)의 평량이 큰 경우에는 20초로 설정되고, 평량이 작은 경우는 2.5초로 설정된다. 이것은 평량이 증가할수록 시트(P)의 전기 저항이 증가하여 가압 롤러(24)가 시트(P)와의 마찰에 의해 더 용이하게 차지 업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트(P)의 평량이 큰 경우에는, 후-회전 시간이 증가하도록 제어를 행하여, 시트(P)보다 도전성이 높은 필름(22)을 가압 롤러(24)에 장시간 접촉시켜서 충분히 제전한다.First, the conventional post-rotation control will be described. Conventionally, after the end of the fixing operation, the power to the heater 23 is turned off and only the rotation control is performed to cool the film 22 and the pressure roller 24. The time for performing the rotation control is set to 20 seconds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to be fixed is large, and is set to 2.5 seconds when the basis weight is small. This is because as the basis weight increases, the electric resistance of the sheet P increases, and the pressure roller 24 is more easily charged up due to friction with the sheet P. [ Therefore,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is larg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post-rotation time is increased, and the film 22 having a higher conductivity than the sheet P is contacted with the pressure roller 24 for a long time to sufficiently discharge.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후-회전 제어에 대해서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Next, the post-rotation control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동작의 완료 후(S21), 정착 동작이 행하여지는 시트(P)의 평량, 즉 토너상이 정착되는 시트(P)의 평량이 미리정해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2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P)의 평량이 90g/m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트(P)의 평량은 유저가 조작부(83)(도 4 참조) 상에서 유저에 의해 설정된 시트(P)의 종류를 기초로 판독한다.9, after completion of the fixing operation (S2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on which the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that is,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to which the toner image is fixed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S22).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is 90 g / m 2 or more.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is read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 of the sheet P set by the user on the operation unit 83 (see Fig. 4).

시트(P)의 평량이 90g/m2 미만인 경우, 히터의 통전이 오프되고(S23), 2.5초 동안 가압 롤러(24)와 필름(22)을 회전시킨다(S24). 그 후,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오프하고(S28), 이에 의해 후-회전 제어를 종료한다.When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is less than 90 g / m 2 , energization of the heater is turned off (S23), and the pressure roller 24 and the film 22 are rotated for 2.5 seconds (S24). Thereafter,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turned off (S28), thereby terminating the post-rotation control.

한편, 시트(P)의 평량이 90g/m2 이상인 경우, 가압 롤러(24)를 제전하기 위해서, 종래 장치와 마찬가지로 가압 롤러(24)와 필름(22)을 20초 동안 회전시킨다. 이때, 처음 10초간은, 히터(23)의 통전을 계속하는 상태에서 가압 롤러(24)와 필름(22)을 회전시킨다(S25). 이때의 히터(23)의 온도는 정착 동작 동안의 조절 온도로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is 90 g / m 2 or more, the pressure roller 24 and the film 22 are rotated for 20 second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in order to discharge the pressure roller 24. At this time, for the first 10 seconds, the pressure roller 24 and the film 22 are rotated (S25) while continuing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at this time is controlled to the adjustment temperature during the fixing operation.

그 후, 히터(23)의 통전을 오프하고(S26), 가압 롤러(24)와 필름(22)을 10초 동안 회전시킨다(S27). 그 후,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오프하고(S28), 이에 의해 후-회전 제어를 종료한다.Thereafter,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turned off (S26), and the pressing roller 24 and the film 22 are rotated for 10 seconds (S27). Thereafter,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turned off (S28), thereby terminating the post-rotation control.

<토출 제어><Discharge Control>

이어서, 후-회전 제어의 완료 후에 가압 롤러(24)를 클리닝하기 위한 토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discharge control for cleaning the pressure roller 24 after completion of the post-rotation control will be described.

토출 제어에서는, 정착 모터(86)가 정지한 상태에서, 필름(22)의 온도가 토너의 연화점 이상이 될 때까지 히터(23)의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필름(22)을 가열하고, 이에 의해 가압 롤러(24) 상의 토너를 필름(22)에 전사하여 가압 롤러(24)를 클리닝한다. 결과적으로, 다음 정착 동작 시에, 필름(22)으로부터 시트(P)의 표면에 토너를 조금씩 전사한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가압 롤러(24) 상의 토너의 축적을 방지하고, 시트(P)의 두드러진 토너 오염을 억제한다.In the ejection control, the film 22 is heat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film 22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oftening point of the toner in the state where the fixing motor 86 is stopped, The toner on the roller 24 is transferred to the film 22 and the pressure roller 24 is cleaned. As a result, the toner is gradually transferred from the film 22 to the surface of the sheet P at the next fixing operation. By repeating this operation, accumulation of the toner on the pressure roller 24 is prevented, and stagnant toner contamination of the sheet P is suppressed.

먼저, 종래의 토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제어에서는, 후-회전 제어의 완료 후에 정착 모터(86)의 구동이 오프되면, 먼저 히터(23)에의 통전을 개시한다. 그 후, 메인 서미스터(25a)가 190℃를 검출할 때까지 통전을 계속한다. 190℃에 도달 후, 메인 서미스터(25a)를 사용하여 190℃에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PI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히터(23)가 190℃를 검출하고 나서 5초 경과 후에 히터(23)에의 통전을 오프한다. 이에 의해, 가압 롤러(24) 상의 토너를 필름(22)에 전사시킨다.First, the conventional discharge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control, when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turned off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st-rotation control,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is started first. Thereafter, the energization continues until the main thermistor 25a detects 190 占 폚. After reaching 190 占 폚, PI control is performed to adjust the temperature at 190 占 폚 using the main thermistor 25a. Then, the heater 23 turns OFF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after 5 seconds have elapsed from the detection of 190 占 폚. Thereby, the toner on the pressing roller 24 is transferred to the film 22.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토출 제어를 도 10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의 연화점은 160℃인 것으로 상정한다.Next, the discharge control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softening point of the toner is 160 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정착 모터(86)가 오프되고 후-회전 제어가 완료되면, 히터(23)에의 통전을 온해서 토출 제어를 개시한다(S31).As shown in Fig. 10, when the fixing motor 86 is first turned off and the post-rotation control is completed,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is turned on to start the discharge control (S31).

이어서, 정착 동작 시의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210℃ 이상(제1 온도)인 경우, 토출 제어 중의 히터(23)의 조절 온도를 190℃(제2 온도)로 설정한다(S32, S33). 한편, 정착 동작 시의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190℃ 이상 210℃ 미만(제3 온도)인 경우에는, 토출 제어 중의 조절 온도를 180℃(제4 온도)로 설정한다(S34, S35).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190℃ 미만인 경우에는, 토출 제어시의 조절 온도를 170℃로 설정한다(S34, S36).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터(23)의 조절 온도는, 평량이 큰 시트(P)에서는 정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높게 설정되고, 평량이 작은 시트(P)에서는 토너의 핫 오프셋을 방지하기 위해서 낮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시트의 평량은, 조작 유닛(83)을 통해 유저가 입력할 수 있다. 시트의 평량이 유저에 의해 설정됨으로써, 시트에 따라, 정착 동작 시의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결정된다.Subsequently, when the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during the fixing operation is 210 DEG C or higher (first temperature), the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during the discharge control is set to 190 DEG C (second temperature) (S32, S33 ).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during the fixing operation is 190 ° C or more and 210 ° C or less (third temperature), the control temperature during the discharge control is set to 180 ° C (fourth temperature) (S34 and S35) . When the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s less than 190 DEG C, the control temperature at the time of the discharge control is set to 170 DEG C (S34, S3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s set to be high in order to secure fixability in the sheet P having a large basis weight, and set low in order to prevent hot offset of the toner in the sheet P having a small basis weight do. For example,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can be inputted by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83. [ By setting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by the user, the temperature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during the fixing oper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eet.

이어서, 온도가 정해진 조절 온도에 도달하고 나서 5초 경과 후(S37), 히터(23)를 오프하고(S38), 이에 의해 토출 제어를 종료하여 정착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Subsequently, the heater 23 is turned off (S38) after elapse of 5 seconds (S37) after the temperature reaches the predetermined adjustment temperature, thereby terminating the discharge control and entering the fixing standby state.

도 11a 및 도 11b는, 후-회전 제어 후에 전술한 토출 제어를 행했을 때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a는 종래의 후-회전 제어를 행했을 때의 온도 추이를 나타낸다. 도 11b는 본 실시형태의 후-회전 제어를 행했을 때의 온도 추이를 나타낸다. 이들 그래프는, 0℃의 저온 환경 하에서, 정착 동작이 평량이 100g/m2인 5매의 시트(P)에 대해 210℃의 조절 온도에서 실행된 후의 온도 추이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그래프에서, 0초 시점은 정착 동작의 완료 후의 후-회전 제어가 개시되는 시점이다.11A and 11B are graphs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when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control is performed after the post-rotation control. 11A shows the temperature transition when the conventional post-rotation control is performed. Fig. 11B shows the temperature transition when the post-rot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These graphs show the temperature change after the fixing operation was carried out at a regulating temperature of 210 DEG C for five sheets (P) having a basis weight of 100 g / m &lt; 2 &gt; Also, in these graphs, the 0 second time point i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post-rotation contro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xing operation is started.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제어에서는, 후-회전 제어 개시 시에 히터(23)에의 통전이 차단되기 때문에 닙 내측의 온도와 닙 외측의 온도는 모두 저하되고, 닙 내측의 온도와 닙 외측의 온도 사이의 차이는 낮아진다. 그 후, 토출 제어 동안 정지 상태에서의 가열을 행하면,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지만, 닙 외측의 온도는 계속해서 저하되어 간다. 이로 인해, 토출 제어 중에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커지고, 그 후의 토출 제어 중이나 토출 제어 직후에 화상 형성 작업이 수신되어서 정착 모터(86)가 구동되면, 필름(22)에 오목부 자국이 발생한다.As shown in Figs. 11A and 11B, in the conventional control, since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is blocked at the time of the start of the post-rotation control, both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are lowe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is lowered. Thereafter, when heating is performed in the stopped state during the discharge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abruptly increases, but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continues to decrease. As a resul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increases during the ejection control. When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received during the subsequent ejection control and immediately after the ejection control and the fixing motor 86 is driven, Occurs.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제어에서는, 후-회전 제어 개시 후에도 전반 10초 동안은 히터에의 통전을 행하면서 회전을 행하기 때문에, 후-회전 제어 종료 시에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가 종래의 제어와 비교해서 높아진다. 이로 인해, 그 후에 토출 제어에 의해 정지 상태의 가열을 행해도,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95℃ 미만이 된다. 이때, 정착 모터(86)가 구동되는 경우에도,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이 억제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rotation is performed while energizing the heater for the first 10 seconds after the start of the post-rotation control,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ontrol. Therefore, even when heating is performed in the stationary state by the ejection control thereaft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becomes less than 95 占 폚. At this time, even when the fixing motor 86 is driven, the occur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lm 22 is suppressed.

이와 같이, 후-회전 제어에서 즉시 히터(23)의 통전을 오프하지 않고 통전을 계속함으로써, 후-회전 제어 종료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정지 상태의 가열이 행해져도,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필름(22)의 비회전 시에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작아지도록 히터(23)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그 후 정착 모터(86)가 온되는 경우에도,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manner, by continuing the energization without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23 immediately after the post-rotation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at the end of the post-rotation control can be increased. Further, even if heating is subsequently performed in the stationary stat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can be reduced. That is, even when the fixing motor 86 is subsequently turned on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becomes small at the time of non-rotation of the film 22,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lm 22.

후반 10초에 히터(23)에의 통전을 행하지 않고 필름(22)과 가압 롤러(24)를 냉각하므로, 필름(22)과 가압 롤러(24) 사이의 들러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23)에의 통전을 행하면서 회전을 행해도 필름(22) 표면 및 가압 롤러(24) 표면의 전기 저항은 크게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가압 롤러(24)의 제전 효과는 바뀌지 않고, 가압 롤러(24)의 차지 업에 의한 토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lm 22 and the pressure roller 24 are cooled without energizing the heater 23 in the latter half of 10 seconds so that sticking between the film 22 and the pressure roller 24 can be prevented. Since the electric resistance of the surface of the film 22 and the surface of the pressure roller 24 does not change largely even when the heater 23 is energized and rotated, the static elimination effect of the pressure roller 24 is not changed, Toner contamination due to the charge-up of the roller 24 can be prevented.

도 12a 및 도 12b는, 0℃ 환경 하에서, 정착 동작이 행해지는 시트(P)의 평량과 정착 동작 동안의 설정 조절 온도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정착 동작, 후-회전 제어, 및 토출 제어 동안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a는, 정착 동작이 실행되는 시트(P)의 평량이 80g/m2이고, 정착 동작 시의 히터(23)의 설정 조절 온도가 210℃인 조건에서 종래의 토출 제어와 본 실시형태의 토출 제어를 행했을 때의 온도 추이를 나타낸다.12A and 12B are graph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on which the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setting adjustment temperature during the fixing operation under the environment of 0 ° C during the fixing oper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Fig. 12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ntional discharge control and the ej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ondition that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on which the fixing operation is carried out is 80 g / m 2 and the setting adjustment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n the fixing operation is 210 캜. This shows the temperature transition when the control is performed.

도 12b는 정착 동작이 실행되는 시트(P)의 평량이 60g/m2이고, 정착 동작 시의 히터(23)의 설정 조절 온도가 190℃인 조건에서 종래의 토출 제어와 본 실시형태의 토출 제어를 행했을 때의 온도 추이를 나타낸다.12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on which the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is 60 g / m &lt; 2 &gt;, and the setting adjustment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n the fixing operation is 190 DEG C, Is shown in Fig.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동작이 실행되는 시트(P)의 평량이 80g/m2인 경우, 본 실시형태 및 종래의 제어 모두의 토출 제어 시의 조절 온도는 190℃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의 온도 추이는 종래 제어의 것과 동등하다. 구체적으로는, 정착 동작이 완료된 후 후-회전 동작 동안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가 저하된다. 그 후, 토출 제어가 시작되고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는 조절 온도가 190℃로 제어될 때까지 상승한다. 한편, 닙 외측의 온도는 토출 제어 중에도 계속해서 저하되기 때문에, 토출 제어 종료 시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의 온도 차는 80℃이다. 이때,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95℃ 이내이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가압 롤러를 구동시켜서 필름을 회전시켜도 필름 오목부 자국은 발생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12A,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on which the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is 80 g / m &lt; 2 &gt;, the regulat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discharge control in both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control is 190 deg. Therefore, the temperature transition of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quivalent to that of the conventional control.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is lowered during the post-rotation operation after the fix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reafter, the discharge control is started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rises until the regulated temperature is controlled at 190 占 폚.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continues to decrease during the discharge contro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at the end of the discharge control is 80 占 폚. At this time, sin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within 95 占 폚, the film recess is not generated even if the film is rotated by driving the pressure roller in this state.

한편,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동작이 실행되는 시트의 평량이 60g/m2이고, 정착 동작 시의 히터의 설정 조절 온도가 190℃인 경우, 조절 온도는 평량이 80g/m2인 경우보다 낮기 때문에, 정착 동작 동안 필름(22)에 저장된 열량은 적다. 이로 인해, 후-회전 제어 종료 시의 필름의 온도는 전체적으로 낮아진다. 이 경우, 종래의 제어에서는, 토출 제어의 개시 후에 필름의 닙 내측의 온도가 상승하고 조절 온도가 190℃로 제어되면, 토출 제어 종료 시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100℃가 된다. 이로 인해, 토출 제어의 종료 시에 모터의 구동을 개시하면, 온도 차는 95℃보다 크기 때문에, 필름에 오목부 자국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s shown in FIG. 12b, the fixing operation, and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running 60g / m 2, the set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at the time of the fixing operation 190 ℃, control temperature when the basis weight of 80g / m 2 , The amount of heat stored in the film 22 during the fixing operation is small.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film at the end of the post-rotation control is lowered as a whole. In this case, in the conventional control,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rises after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and the adjustment temperature is controlled at 190 占 폚,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at the end of the discharge control becomes 100 占 폚 do. As a result, when driving of the motor is start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control,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r than 95 DEG C, so that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on the film.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제어에서는, 필름의 닙 외측 온도는 종래의 제어와 동등한 추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토출 제어 시의 히터의 조절 온도는 정착 동작 시의 조절 온도에 따라서 180℃로 변화한다. 이로 인해, 토출 제어 종료 시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90℃이다. 결과적으로, 토출 제어의 종료 시에 모터의 구동이 개시되는 경우에도 필름에는 오목부 자국이 발생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represents a transition equivalent to the conventional control. However, the adjustment temperature of the heater at the time of discharge control changes to 180 DEG C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temperature at the time of fixing operation. Thu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at the end of the discharge control is 90 占 폚. As a result, even when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art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control, no marks are produced on the film.

이와 같이, 토출 제어 시의 히터의 조절 온도는 정착 동작 시의 히터의 조절 온도에 기초하여 변화되므로, 토출 제어 시의 필름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작아진다. 즉, 필름의 비회전 시에서,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가 되도록 히터의 온도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그 후에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도, 필름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Thus, the temperature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at the time of discharge control changes based on the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at the time of the fix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at the time of discharge control becomes small. That is, at the time of non-rotation of the film,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Thereby, even when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subsequently received and the motor is driven, the occurrence of recesses in the film can be suppressed.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 유닛(23)이 히터 유닛으로서 사용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열 유닛으로서 히터를 사용하지 않고, 필름(22)에 대향하는 IH 코일을 필름을 가열시키기 위해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eating unit 23 is used as a heater unit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without using a heater as a heating unit, an IH coil opposed to the film 22 can be provided for heating the film.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착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을 사용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ing the sam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시동 제어에서, 메인 서미스터가 85℃ 검출한 시점에서 정착 모터(86)를 구동시켜, 가압 롤러(24)와 필름(22)의 회전을 개시시켰다. 그러나, -15℃ 환경과 같은 초저온 환경 하에서, 정착 동작이 오랫동안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필름(22)의 온도는 약 -15℃로 저하된다. 이 경우, 시동 제어 시에 85℃에서 정착 모터(86)를 구동시키는 제어에서는,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95℃ 이상이 되고, 이는 오목부 자국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tart control, the fixing motor 86 is driven at the time when the main thermistor is detected at 85 DEG C, and rotation of the pressing roller 24 and the film 22 is started. However, under a very low temperature environment such as the -15 deg. C environment, when the fix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for a long time, the temperature of the film 22 drops to about -15 deg. In this case, in the control of driving the fixing motor 86 at 85 占 폚 in the start contro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becomes 95 占 폚 or more, which may cause a concave mark .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서미스터(25a)의 검출 온도, 전회의 화상 형성 작업 수신시부터의 경과 시간, 환경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정착 모터(86)의 구동 개시 온도를 변화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동 제어에 대해서 도 1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start of the fixing motor 86 is started based on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ain thermistor 25a, the elapsed time from the reception of the previous image forming job, and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environment sensor (not shown) Change the temperature. The start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면(S41), 히터(23)의 통전을 온한다(S42). 이어서, 환경 센서(88)에 의해 주위 온도를 검출한다(S43). 이어서, 주위 온도가 미리정해진 온도(본 실시형태에서는 0℃)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4).As shown in Fig. 13, when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first received (S41),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23 is turned on (S42). T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detect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88 (S43).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0 deg. C in the present embodiment) (S44).

주위 온도가 0℃보다 높은 경우, 초저온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의 제어와 마찬가지로, 85℃를 검출한 시점에서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개시시킨다(S45, S50).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0 占 폚,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started (S45, S50) at the point of time when 85 占 폚 is detected, similarly to the control of the first embodiment.

한편, 주위 온도가 0℃ 미만의 경우, 전회의 화상 형성 작업 신호의 수신시부터 45분 이상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6). 45분 이상이 경과한 경우, 필름(22)의 온도도 주위 온도와 동등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환경 센서(88)에 의해 검출된 온도 + 85℃를 메인 서미스터(25a)가 검출한 시점에서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개시시킨다(S47, S50).On the other han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ess than 0 占 폚,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more than 45 minutes have elapsed from the reception of the previous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S46). If it is more than 45 minutes, it is consider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lm 22 is equal to the ambient temperature. Therefore, when the main thermistor 25a detects the temperature + 85 占 폚 detect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88, the drive of the fixing motor 86 is started (S47, S50).

한편, 45분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경우, 메인 서미스터(25a)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0℃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48). 검출 온도가 0℃ 미만인 경우, 필름(22)의 온도도 이 검출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등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검출 온도 + 85℃를 메인 서미스터(25a)가 검출한 시점에서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개시시킨다(S49, S50).On the other hand, if not longer than 45 minute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is less than 0 deg. C (S48). When the detection temperature is lower than 0 占 폚, the temperature of the film 22 is consider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detection temperature. Therefore, when the main thermistor 25a detects the detection temperature + 85 占 폚,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started (S49, S50).

한편, 메인 서미스터(25a)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0℃ 이상인 경우, 85℃를 메인 서미스터(25a)가 검출한 시점에서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개시시킨다(S45, S50).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is 0 deg. C or more,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started (S45, S50) when the main thermistor 25a detects 85 deg.

도 14는, -15℃ 내지 35℃의 다양한 환경 하에서, 제1 실시형태의 시동 제어와 본 실시형태의 시동 제어를 실시했을 때의 정착 모터(86)의 구동 개시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정착 장치(11)는 그 온도가 실온과 동일해질 때까지 방치된다.1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nip portion of the film 22 at the start of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when the start contr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tart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carried out under various environments of -15 DEG C to 35 DEG C,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measured. Further, the fixing device 11 is left until the temperature becomes equal to the room temperature.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제어에서는, -15℃ 환경 하에서도 85℃로 정착 모터(86)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85 - (-15)=100℃가 되고, 오목부 자국을 발생시키는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제어에서는, -15℃ 환경과 같은 초저온 환경하에 정착 장치(11)가 놓이는 경우에도, 정착 모터(86)의 구동은 85 + (-15)=70℃를 메인 서미스터(25a)가 검출한 시점에서 구동을 개시한다. 이로 인해,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85℃가 되고, 95℃ 이내에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시동 제어 동안의 정착 모터(86)의 구동 개시 온도를 주위 온도에 따라서 변경함으로써,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in the control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fixing motor 86 is driven at 85 DEG C even under the -15 DEG C environmen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85 - (-15) = 100 deg. C, and there is a fear that a recessed portion may be gener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of this embodiment, even when the fixing device 11 is placed under a very low temperature environment such as the environment of -15 deg. C,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performed by setting the temperature of 85 + (-15) = 70 deg. The driving is start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becomes 85 占 폚, and is within 95 占 폚. Thus, by changing the drive start temperature of the fixing motor 86 during the start-up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ambient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recesses in the film 22.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때에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개시한다. 그러나, 정착 모터(86)가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는 상태에서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정착 모터(86)는 서서히(단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거나 화상 형성 시보다 완만한 가속도 및 느린 속도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start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However, when the fixing motor 86 starts driving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the fixing motor 86 can be driven slowly (intermittently) It can be configured with slow acceleration and slow speed.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착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을 사용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portion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ing the sam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정착 장치(11)에서, 정착 동작시 실행되는 시트(P)가 예를 들어 평량 50g/m2로 얇은 경우, 시트 막힘, 시트 권취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속 회전으로 히터(23)의 조절 온도를 낮게 설정해서 정착 동작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낮게 설정되기 때문에, 후-회전 제어로부터 토출 제어까지 필름(22)의 온도가 낮아진다.In the fixing device 11, when the sheet P to be subjected to the fixing operation is thin, for example, with a basis weight of 50 g / m 2 , in order to prevent the sheet from clogging, Is set to a low value to perform the fixing operation. In this case, since the regulating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s set low, the temperature of the film 22 from the post-rotation control to the discharge control becomes low.

한편, 정착 동작이 행해지는 시트(P)의 평량이 작은 경우, 시트(P)에 빼앗기는 열량은 비교적 작고, 시트(P)에의 토너의 정착성은 양호한 경향에 있다. 이로 인해, 가압 롤러(24)의 표면에의 토너의 축적량은 비교적으로 적은 경향이 있고, 토출 제어의 실행 필요성은 적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P on which the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is small, the amount of heat consumed by the sheet P is relatively small and the fixability of the toner to the sheet P tends to be good. As a result, the accumulation amount of toner on the surface of the pressure roller 24 tends to be relatively small, and the necessity of performing discharge control is small.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착 동작 동안의 히터(23)의 조절 온도에 따라, 토출 제어의 실행 여부를 판정하나.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제어를 도 15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ischarge control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during the fixing operation. Hereinafter, the control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착 모터(86)의 구동이 오프되고 후-회전 제어가 종료하면(S51), 정착 동작 동안의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미리정해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52).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가 17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170℃의 수치는 환경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when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turned off and the post-rotation control is ended (S5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gulation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during the fixing operation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S52).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is 170 DEG C or higher. The value of 170 占 폚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the like.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170℃ 미만인 경우, 상술한 이유에 의해 토출 제어의 필요성이 적기 때문에 토출 제어를 행하지 않고 장치는 정착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S61). 한편,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170℃ 이상인 경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토출 제어를 행한 후에 장치는 정착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S53 내지 S61). 즉, CPU(80)는, 필름(22)의 회전 상태에서의 가열 온도에 따라, 필름(22)이 정지 후에 히터(23)의 가열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필름(22)의 회전 상태에서의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170℃ 이상인 경우(미리정해진 값 이상)에는, 필름(22)이 정지한 후에 히터(23)에 의한 가열을 행하고, 필름(22)의 회전 상태에서의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170℃ 미만(미리정해진 값 미만)인 경우에는 히터(23)에 의한 가열을 행하지 않는다.If the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s lower than 170 占 폚, the apparatus enters the fixing standby state without discharging control because the necessity of discharge control is small due to the above-described reason (S61).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s 170 DEG C or higher, the ejection control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performed and then the apparatus enters the fixing wait state (S53 to S61). That is, the CPU 80 controls the heating of the heater 23 after the film 22 stops, in accordance with 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rotating state of the film 22. Specifical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n the rotating state of the film 22 is 170 占 폚 or highe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heating with the heater 23 is performed after the film 22 stops , And the heater 23 is not heat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in the rotating state of the film 22 is less than 170 deg. C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도 16a 및 도 16b는, 조절 온도가 160℃이고 정착 동작이 행해지는 시트(P)가 박지인 경우에 정착 동작으로부터 0℃ 하의 정착 대기 상태까지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a는 제1 실시형태의 제어를 행할 때의 온도 추이를 나타내고, 도 16b는 본 실시형태의 제어를 행할 때의 온도 추이를 나타낸다.16A and 16B are graph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between the nip inner side and the nip outer side of the film 22 from the fixing operation to the fixing waiting state under 0 DEG C in the case where the adjustment temperature is 160 DEG C and the sheet P on which the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is thin, Of FIG. Fig. 16A shows a temperature transition when performing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6B shows a temperature transition when performing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제어에서는, 정착 동작 동안의 히터(23)의 조절 온도가 160℃로 낮기 때문에, 후-회전 제어 후의 필름(22)의 온도가 낮아진다. 그러므로, 170℃의 가장 낮은 조절 온도에서 토출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도, 토출 제어 종료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120℃로 매우 커진다.As shown in Fig. 16A, in the control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film 22 after the post-rotation control is lowered because the regulating temperature of the heater 23 during the fixing operation is as low as 160 deg. Therefore, even when the discharge control is performed at the lowest regulation temperature of 170 占 폚,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t the end of the discharge control becomes very high at 120 占 폚.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에서는, 조절 온도가 170℃ 이하인 때에는 토출 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장치가 정착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 따라서, 토출 제어 동안의 정지 상태에서의 가열에 의한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확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정착 대기 상태에 들어가고 나서도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는 작게 유지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한 후에 정착 모터(86)가 구동되는 경우에도, 정착 모터(86) 구동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95℃ 미만이 되기 때문에,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regulating temperature is 170 캜 or lower, the apparatus enters the fixing standby state without executing the discharge control. Therefo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due to the heating in the stopped state during the discharge control is not enlarged. Therefo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kept small even after entering the fixing waiting state. Therefore, even when the fixing motor 86 is driven after receiving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t the time of driving the fixing motor 86 becomes less than 95 占 폚,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lm 22.

(제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착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을 사용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portions as tho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ing the sam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종래, 토출 제어시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토출 제어가 중지되고 화상 형성 동작이 개시되며, 정착 장치(11)에서는 정착 모터(86)가 구동되어서 가압 롤러(24)와 필름(22)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토출 제어에서는 정지 상태에서의 가열이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크고, 그 상태에서 필름(22)이 회전하면 오목부 자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When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during the ejection control, the ejection control is stopped and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started. In the fixing device 11, the fixing motor 86 is driven to rotate the pressing roller 24 and the film 22 ). However, since the heating in the stopped state is performed in the discharge contro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large, and when the film 22 rotates in this state, .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출 제어 중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로 될 때까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다. 도 17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어를 설명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during the ejection control,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not started unti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The control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동작 후에 후-회전 제어가 완료되면, 필름(22)이 비회전 상태에서 히터(23)의 통전이 온되고, 토출 제어가 개시된다(S71). 이어서, 토출 제어 중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통상대로 히터(23)가 미리정해진 설정 온도에 도달한 후에 5초가 경과하고 나서 히터(23)의 통전이 오프되고(S72 내지 S74), 토출 제어가 완료된다.17, when the post-rotation control is completed after the fixing operation,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turned on while the film 22 is in the non-rotating state, and the discharge control is started (S71). Next, when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not received during the discharge control,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turned off (S72 to S74) after 5 seconds have elapsed after the heater 23 reaches the predetermined set temperature as usual, The discharge control is completed.

한편, 토출 제어 중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서미스터(25a)와 비접촉 온도계(89)에 의해 닙 내측의 온도와 닙 외측의 온도를 검출하고,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산출한다(S72, S75, S76, S77). 이어서,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78).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90℃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On the other hand, upon receiving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during the ejection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are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and the non-contact thermometer 89,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calculated (S72, S75, S76, S77).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S78).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90 DEG C or more.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90℃ 미만인 경우,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온하고(S79),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한다(S87).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less than 90 占 폚,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turned on (S79) and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performed (S87).

한편,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90℃ 이상일 때, 즉시 화상 형성 동작으로 옮기지 않고 히터(23)의 통전을 오프해서 냉각을 행한다(S80). 그 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다시 검출하고(S82 내지 S84), 온도 차가 90℃ 이하가 되었을 때에, 히터(23)의 통전을 온하고(S85), 정착 모터의 구동을 온하며(S86),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한다(S87).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90 DEG C or more, the heater 23 is turned off and cooled without immediately moving to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80). Thereafter, similarly to the abov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detected again (S82 to S84), an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comes 90 DEG C or less,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turned on (S85),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is turned on (S86), and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performed (S87).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 제어 중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값 이상인 상태에서 CPU(80)가 정착 모터(86)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했을 때,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값 미만이 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지속하여 냉각 동작을 행한 후에 정착 모터(86)를 구동시킨다. 즉, CPU(80)가 정지 상태에서 필름(22)을 히터(23)로 가열하는 동안 필름(22)을 회전시키는 신호를 수신했을 때, CPU(80)는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필름(22)의 회전 동작을 개시시키고,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값보다 크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필름(22)의 회전 동작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필름(22)을 회전시킬 때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필름(22)의 오목부 자국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CPU 80 receives a signal for driving the fixing motor 86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during ejection control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fixing motor 86 is driven after the cooling operation is performed. That is, when the CPU 80 receives a signal to rotate the film 22 while heating the film 22 with the heater 23 in the stopped state, the CPU 80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ilm 22 is star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ilm 22 is regulated. Thereb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when the film 22 is rotated,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recessed marks on the film 22.

(제5 실시형태)(Fifth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착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도면을 사용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fifth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portions as thos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ing the sam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4 실시형태의 토출 제어에서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를 비접촉 온도계(도시하지 않음)로 계측하는 것 대신에, 닙 내측의 온도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즉,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단계 S76 및 단계 S83의 필름(22)의 닙 외측의 온도의 검출을 후술하는 제어에 의해 행하고, 기타의 제어는 제4 실시형태의 제어와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필름(22)의 닙 외측의 온도의 산출하는 동작을, 도 18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도 19에 나타내는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와 닙 외측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stead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by the non-contact thermometer (not shown) in the discharge control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per unit time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 That is, the detection of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in steps S76 and S83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is performed by the control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control is the same as the control of the fourth embodiment.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 chart shown in Fig. 18 and a graph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and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shown in Fig. .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동작의 종료 후에 히터(23)의 통전을 오프해서 후-회전 제어를 개시할 때, 후-회전 제어의 개시 시간을 ROM(82)에 기록하고,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를 메인 서미스터(25a)에 의해 검출해서 ROM(82)에 저장한다(S91). 이어서,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오프해서 후-회전 제어를 종료할 때, 후-회전 제어의 종료 시간을 ROM(82)에 기록하고, 또한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를 메인 서미스터(25a)에 의해 검출해서 ROM(82)에 저장한다(S92).18, the start time of the post-rotation control is recorded in the ROM 82 when the post-rotation control is started by turning off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after the end of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and stored in the ROM 82 (S91). Next, when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turned off to terminate the post-rotation control, the end time of the post-rotation control is recorded in the ROM 82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is set to the main thermistor 25a and stored in the ROM 82 (S92).

이어서, 후-회전 제어 중의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의 변화량과, 후-회전 제어의 시간에 기초하여, 후-회전 제어에서의 단위 시간당의 닙 내측의 온도의 변화량을 온도 저하율(η)(도 19 참조)로서 산출한다(S93).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회전 제어를 2초간 실행하고,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는 190℃에서 120℃로 변화했기 때문에 온도 변화율 η=35가 된다.Subsequently,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during the post-rotation control and the time of the post-rotation control,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per unit time in the post- ) (See Fig. 19) (S9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t-rotation control is performed for 2 seconds,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changes from 190 deg. C to 120 deg.

온도 저하율(η)과, 토출 제어에서의 단위 시간당의 필름(22)의 닙 외측의 온도의 변화량인 온도 저하율(α)(도 19 참조)은 α=0.286η의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실험에 의해 미리 알고 있다. 이로 인해, 토출 제어 동안의 닙 외측의 온도의 온도 저하율(α)은 상기 식에 온도 저하율(η)(=35)을 대입함으로써 0.286×35=10로서 얻어진다(S94).It is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rate of temperature decrease? And the rate of temperature decrease? (See FIG. 19), which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per unit time in the discharge control, I know in advance. Therefore, the temperature decrease rate? Of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during the discharge control is obtained as 0.286 占 35 = 10 by substituting the temperature decrease rate? (= 35) in the above equation (S94).

전술한 바와 같이, 후-회전 제어에서는, 일정 시간 경과하면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와 닙 외측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동등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회전 제어 개시부터 2초가 경과한 후(후-회전 제어 종료 시)에는,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와 닙 외측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동등해진다. 즉, 단계 S2에서 검출된 후-회전 제어 종료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는, 토출 제어 개시 시의 필름(22)의 닙 외측의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st-rotation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becomes substantially equal to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9,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temperature at the outside of the nip ar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after the elapse of 2 seconds from the start of the post- . That is,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at the end of the post-rotation control detected in step S2 becomes substantially equal to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at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이로 인해, 토출 제어 개시 시(= 후-회전 제어 종료 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를 판정할 수 있다. 즉, 토출 제어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T이고, 토출 제어 개시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가 β인 경우에, 다음 식 1에 의해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θ)를 산출한다(S95).Therefore,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discharge control (= at the end of the post-rotation control). That is, when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is T and the nip inn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at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is?, The nip out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95).

θ = β - (αT) ... (식 1)? =? - (? T) (1)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 제어 개시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가 120℃이고, 토출 제어 개시로부터 4초 경과 후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 온도 저하율 α=10이기 때문에, 필름의 닙 내측 온도 θ = 120 - (4 × 10) = 80℃가 된다.19, when the nip inn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at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is 120 占 폚 and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after 4 seconds have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the rate of temperature decrease? = 10, the nip inner temperature? = 120 - (4 占 10) = 80 占 폚 of the film is obt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를, 비접촉 온도계 등의 온도 센서에 의해 계측하는 것이 아니고,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산출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저감시켜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is not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such as a non-contact thermometer, but is calculated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nip inn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Thus,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제6 실시형태)(Sixth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착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을 사용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sixth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ing the sam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4 실시형태의 토출 제어에서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를 비접촉 온도계(도시하지 않음)로 계측하는 것 대신에, 닙 내측 온도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즉,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단계 S76 및 S83의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의 검출을 후술하는 제어에 의해 행하고, 기타의 제어는 제4 실시형태의 제어와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의 산출 동작을, 도 20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도 21에 나타내는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와 닙 외측 온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stead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by the non-contact thermometer (not shown) in the discharge control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of the nip inner temperature per unit time. That is, the detection of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in steps S76 and S83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is performed by the control described below, and the other control is the same as the control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flow chart shown in Fig. 20 and a graph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nip inner temperature and the nip out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shown in Fig. 21 Explain.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후-회전 제어의 완료 후, 바로 시동 제어를 개시하지 않고, 히터(23)의 통전과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오프로 하는 냉각 기간을 제공한다. 이때, 냉각 기간의 개시 시(히터의 통전과 모터의 구동이 모두 오프되는 때)의 시간과, 냉각 기간 개시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를 ROM(82)에 저장한다(S101). 닙 내측 온도는 메인 서미스터(25a)에 의해 검출한다.As shown in Fig. 20,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st-rotation control, the start control is not immediately started but the cooling of the heater 23 and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are turned off. At this time, the ROM 82 stores the time of the start of the cooling period (when the heater is energized and the motor is all turned off) and the nip inn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at the start of the cooling period (S101). The nip inner temperature is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이어서, 미리정해진 시간이 경과 후, 히터(23)의 통전을 온하고, 토출 제어를 개시한다. 즉, 토출 제어의 개시 시점은 냉각 기간 종료 시와 동일한 시점이다. 이때, 토출 제어의 개시(냉각 기간의 종료)의 시점과 메인 서미스터(25a)에 의해 검출된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를 ROM(82)에 저장한다(S102).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turned on and the discharge control is started. That is, the start timing of the discharge control is the same timing as that at the end of the cooling period. At this time, the start time of the discharge control (the end of the cooling period)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are stored in the ROM 82 (S102).

이어서, 냉각 기간에서의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을 온도 변화율(ε)로서 산출한다(S103).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기간 개시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는 120℃이고, 냉각 기간 종료 시의 닙 내측 온도는 110℃이었다. 또한, 냉각 기간은 1초이다. 따라서, 온도 변화율(ε)은 (120-110)/1=10이다.Subsequently, the change amount per unit time of the nip inn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in the cooling period is calculated as the temperature change rate? (S103). As shown in Fig. 21, in this embodiment, the nip inn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at the start of the cooling period was 120 占 폚, and the nip inner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cooling period was 110 占 폚. The cooling period is 1 second. Therefore, the temperature change rate? Is (120-110) / 1 = 10.

전술한 바와 같이, 후-회전 제어에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와 닙 외측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동등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회전 제어 종료 시에는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와 닙 외측 온도는 거의 서로 동일해진다(도 21). 또한, 냉각 기간 중에, 히터(23)에의 통전과 정착 모터(86)의 구동이 오프되기 때문에, 닙 내측 온도와 닙 외측 온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계속 변화한다. 즉, 단계 S102에서 검출된 토출 제어 개시 시(냉각 기간 종료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는 닙 외측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st-rotation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become substantially equal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the end of the post-rotation control, the nip inner side temperature and the nip outer side temperature of the film 22 becom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Fig. 21). Further, during the cooling period, since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and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are turned off, the nip inner temperature and the nip outer temperature keep changing to remain substantially the same. That is, the nip inn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at the start of discharge control (at the end of the cooling period) detected in step S102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nip outer temperature.

또한, 토출 제어 개시 시에 히터(23)에의 통전이 온되고 정지 상태에서의 가열이 행하여지면,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는 상승한다. 그러나, 닙 외측 온도는 냉각 기간에서와 마찬가지로 온도 변화율에 따라 저하된다. 즉, 토출 제어에서의 단위 시간당의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의 변화량인 온도 저하율(Ψ)과, 냉각 기간에서의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의 온도 변화율(ε)은 동일하다(도 21 참조). 즉, 온도 저하율(Ψ)=온도 저하율(ε)이 성립하기 때문에, CPU(80)는 온도 저하율(Ψ)의 값을 온도 저하율(ε)의 값으로 설정한다(S104). 이 결과는 실험 결과로부터도 판명되고 있다.Further,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is turned on at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and the heating in the stop state is performed,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rises. However,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changes, as in the cooling period. That is, the rate of decrease in temperature (?), Which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per unit time in the discharge control, and the rate of change in temperature of the nip inside the film 22 in the cooling period are the same 21). That is, since the rate of decrease in temperature (?) = The rate of decrease in temperature (?) Is established, the CPU 80 sets the value of the rate of decrease in temperature (?) To the value of the rate of temperature decrease? (S104). These results are also confirm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이로 인해, 토출 제어 개시 시(= 냉각 기간 종료 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결정되면,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가 결정된다. 즉, 토출 제어 개시 시부터의 경과 시간이 T이고, 토출 제어 개시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의 온도가 β이면, 다음 식 2에 의해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γ)가 산출된다(S105).Therefore, when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discharge control (at the end of the cooling period) is determined,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is determined. That is, when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is T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nip of the film 22 at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is β,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S105).

γ = β - (ΨT) ... (식 2)γ = β - (ΨT) (2)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 제어 개시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β)가 110℃이고, 토출 제어 개시 후 3초가 경과한 후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 온도 저하율 Ψ=10이기 때문에, 필름의 닙 내측 온도 θ = 110 - (3 × 10) = 80℃가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when the nip inner temperature [beta] of the film 22 at the start of discharge control is 110 [deg.] C and three seconds have elapsed after the start of the discharge control, Since the rate of temperature decrease? = 10, the nip inner temperature? = 110 - (3 占 10) = 80 占 폚 of the film is obt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를 비접촉 온도계 등의 온도 센서에 의해 계측하는 것이 아니고, 필름(22)의 닙 내측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산출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저감시켜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is not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such as a noncontact thermometer, but is calculated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nip inner temperature of the film 22 ,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제7 실시형태)(Seventh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착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7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을 사용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seventh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ing the sam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2a 및 도 22b는, 정착 닙부가 좁은 경우(도 22a)와 넓을 경우(도 22b)의 필름(22)의 열팽창에 의한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22A and 22B are schematic views schematically showing deformation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film 22 when the fixing nip portion is narrow (FIG. 22A) and when the fixing nip portion is wide (FIG. 22B).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닙부가 넓은 경우, 정착 닙부가 좁은 경우보다 열팽창에 의한 필름(22)의 신장량은 커지고, 필름(22)의 온도 경계면에서의 변형량도 커진다. 정착 닙부는 정착 장치(11)의 시트 반송 방향의 폭뿐만 아니라, 가압 롤러(24)의 회전축 방향의 폭도 갖기 때문에, 필름(22)의 변형이 양방향에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변형량이 커지면, 필름(22)이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오목부 자국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로 인해,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정착 닙부가 넓은 경우, 정착 닙부가 좁은 경우보다 가압 롤러(24) 구동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As shown in Figs. 22A and 22B, when the fixing nip portion is wide, the amount of elongation of the film 22 due to thermal expansion becomes larger and the amount of deformation at the temperature boundary surface of the film 22 becomes larger than when the fixing nip portion is narrower. Since the fixing nip portion has not only the width of the fixing device 11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but also the width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pressing roller 24, deformation of the film 22 occurs in both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mount of deformation is large, the film 22 tends to be permanently deformed, so that a concave mark is likely to occur.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lm 22, when the fixing nip portion is w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lm 22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착 닙부의 폭에 따라, 가압 롤러(24) 구동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2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t the time of driving the pressure roller 24 is set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oncave mark marks on the film 22. Hereinafter, the control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동작 후에 후-회전 제어가 종료되면, 필름(22)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히터(23)의 통전이 온되고, 토출 제어가 개시된다(S111). 이어서, 토출 제어 중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통상대로 히터(23)가 미리정해진 설정 온도에 도달 후에 5초가 경과하고 나서 히터(23)에의 통전이 오프되고(S112 내지 S114), 토출 제어가 완료된다.As shown in Fig. 23, when the post-rotation control is finished after the fixing operation,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turned on with the film 22 not rotating, and the discharge control is started (S111). Next, when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not received during the ejection control,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is turned off (S112 to S114) after five seconds have elapsed after the heater 23 reaches the predetermined set temperature as usual Control is completed.

한편, 토출 제어 중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서미스터(25a)와 비접촉 온도계(89)에 의해 닙 내측 온도와 닙 외측 온도를 검출하고,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산출한다(S112, S115 내지 S117).On the other hand, upon reception of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during the ejection control, the nip inner temperature and the nip outer temperature are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and the non-contact thermometer 89,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calculated S112, S115 to S117).

다음에, CPU(80)는 정착 닙부의 폭 정보를 ROM(82)으로부터 취득한다(S118). 정착 닙부의 폭은 부재의 변동에 의해 유닛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폭 정보는 출하시에 미리 ROM(82)에 저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하시의 시트 반송 방향(필름(22)의 회전 방향)에서의 정착 닙부의 폭은 9.0 mm이다.Next, the CPU 80 acquires the width information of the fixing nip portion from the ROM 82 (S118). Since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differs from unit to unit due to the variation of the member, the width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ROM 82 before shipment.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at the time of shipp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lm 22) is 9.0 mm.

이어서, CPU(80)는,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정착 닙부의 폭(N)과 가압 롤러(24) 구동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에 관한 역치 값(ν)(미리정해진 온도)가 서로 연관된 테이블(μ)(도 24 참조)을 참조하여 역치 값(ν)을 설정한다(S119). 테이블(μ)은 ROM(82)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μ)에서, 역치 값(ν)은, 정착 닙부의 폭이 큰 경우, 작은 경우보다 작게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정착 닙부의 폭(N)은 9.0 mm이기 때문에, 역치 값(ν)은 80℃로 설정된다.Next, the CPU 8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idth N of the fixing nip portion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and the threshold value vu abou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t the time of driving the pressing roller 24, (Step S119) by referring to the table mu (see Fig. 24) in which the predetermined values (predetermined temperatures)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The table μ is stored in the ROM 82 in advance. Further, as shown in Fig. 24, in the table (μ), the threshold value v is set to be small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is large, and small.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idth N of the fixing nip portion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is 9.0 mm, the threshold value v is set at 80 占 폚.

이어서, CPU(80)는,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역치 값(ν)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0).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22)의 닙의 온도 차가 80℃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ubsequently, the CPU 8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v (S120). That is, in this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80 DEG C or more.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80℃ 미만일 때,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온하고(S127),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한다(S129).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less than 80 占 폚,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turned on (S127) and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executed (S129).

한편,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80℃ 이상일 때, 즉시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하지 않고 히터(23)의 통전을 오프하고 냉각 동작을 행한다(S123). 그 후,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다시 검출하고(S124 내지 S126), 온도 차가 80℃ 이내일 때에, 히터(23)의 통전을 온하고(S127), 정착 모터의 구동을 온하여(S128),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한다(S129).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80 DEG C or more, the heater 23 is turned off and the cooling operation is performed immediately without performing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123). Thereaft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detected again (S124 to S126).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within 80 占 폚, the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turned on (S127) (S128), and executes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129).

상기와 같이 가압 롤러(24)의 구동 시에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정착 닙부의 폭에 따라서 설정함으로써, 정착 닙부의 폭이 넓은 정착 장치에서도,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By sett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at the time of driving the pressure roller 24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as described above, ) Can be suppress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착 닙부에서의 시트 반송 방향의 폭에 기초하여 역치 값(ν)을 설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 롤러(24)의 회전축 방향의 폭에 기초하여 역치 값(ν)을 설정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shold value? Is set based on the width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in the fixation nip por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based on the width of the pressure roller 24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제8 실시형태)(Eighth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착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8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7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을 사용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ing the sam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5는, 정착 장치(11)에 의해 정착되는 시트의 매수와 정착 장치(11)의 정착 닙부의 폭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닙부의 폭은, 정착 시트의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가압 롤러(24)의 고무의 연화, 열화 등의 발생에 의해 서서히 증가한다. 선 A, 선 B, 및 선 C 각각은, 다른 정착 장치(11)의 정착 닙부의 폭의 변화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착 닙부의 폭은 부재의 변동에 의해 유닛별로 상이하다.2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sheets to be fixed by the fixing device 11 and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of the fixing device 11. Fig. As shown in Fig. 25,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gradually increases as the rubber of the pressure roller 24 is softened or deteriorated as the number of fixing sheets increases. Each of the lines A, B, and C represents a change in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of the other fixing device 11.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varies from unit to unit due to variation of members.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착 닙부의 폭을 판정하고, 판정된 정착 닙부의 폭에 따라서 가압 롤러(24)가 구동되는 상태에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설정한다. 이하, 도 26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어를 설명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is determined,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ssure roller 24 is driven is se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do. Hereinafter, the control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동작 후에 후-회전 제어가 완료되면, 필름(22)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히터(23)에의 통전이 온되고, 토출 제어가 개시된다(S131). 이어서, 토출 제어 중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통상대로 히터(23)가 미리정해진 설정 온도에 도달 후에 5초가 경과하고 나서 히터(23)에의 통전이 오프되고(S132 내지 S134), 토출 제어가 완료된다.As shown in Fig. 26, when the post-rotation control is completed after the fixing operation, energization of the heater 23 is turned on in the state that the film 22 is not rotating, and the discharge control is started (S131). Next, when no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during the ejection control,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is turned off (S132 to S134) after five seconds have elapsed after the heater 23 reaches the predetermined set temperature as usual Control is completed.

한편, 토출 제어 중에 화상 형성 작업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서미스터(25a)와 비접촉 온도계(89)에 의해 닙 내측 온도와 닙 외측 온도를 검출하고,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산출한다(S132, S135 내지 S137).On the other hand, upon reception of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ignal during the ejection control, the nip inner temperature and the nip outer temperature are detected by the main thermistor 25a and the non-contact thermometer 89,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calculated S132, S135 to S137).

다음에, CPU(80)는, 출하 시에서의 정착 닙부의 폭 정보와 화상 형성이 행해지는 현재 시트 매수를 취득한다(S138). 정착 닙부의 폭 정보는 출하시에 미리 ROM(82)에 저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하시의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정착 닙부의 폭(N)은 9.5 mm이다.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현재의 정착 닙부의 폭을 판정한다(S139).Next, the CPU 80 acquires the width information of the fixing nip portion at the time of shipment and the current number of sheets in which image formation is performed (S138). The width information of the fixing nip portion is stored in the ROM 82 before ship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N of the fixing nip portion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at the time of shipping is 9.5 mm. Based on these pieces of information, the width of the current fixing nip portion is determined as described below (S139).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매수를 n으로 할 때, 정착 닙부의 폭의 증가량(Δ)은 Δ=2×10-5×n(mm)의 관계를 갖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화상 형성이 행해지는 현재의 화상 형성 매수가 50,000매인 것을 상정할 경우, 현재의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정착 닙부의 폭(N)은 10.5 mm인 것으로 판정된다. 즉, CPU(80)는, 정착 장치(11)에 의해 정착 동작을 행한 시트의 누적 매수가 많을수록, 정착 닙부의 폭이 크다고 판정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increase amount? Of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has a relationship of? = 2 占 10-5 占 n (mm) when the image forming number is n. Therefore, for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current number of image forming operations in which image formation is performed is 50,000 sheets, it is determined that the width N of the fixing nip portion in the current sheet conveying direction is 10.5 mm. That is, the CPU 80 determines that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is larger as the cumulative number of sheets subjected to the fixing operation by the fixing device 11 is larger.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7 실시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테이블(μ)(도 24 참조)이 미리 ROM(82)에 저장된다. 테이블(μ)에서,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정착 닙부의 폭(N)과 가압 롤러(24) 구동 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에 관한 역치 값(ν)(미리정해진 온도)이 서로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CPU(80)는, 판정된 정착 닙부의 폭에 기초하여, 테이블(μ)을 참조하여 역치 값(ν)을 설정한다(S140). 본 실시형태에서는, 역치 값(ν)은 70℃로 설정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milarly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 table μ (see FIG. 24) is stored in the ROM 82 in advance. A threshold value v relat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width N of the fixing nip portion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and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at the time of driving the pressure roller 24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CPU 80 sets the threshold value? By referring to the table (?) Based on the determined width of the fixation nip (S14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shold value v is set at 70 deg.

이어서,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역치 값(ν)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41).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7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Then,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v (S141).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70 ° C or more.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70℃ 미만일 때, 정착 모터(86)의 구동을 온되고(S142), 화상 형성 동작이 실행된다(S150).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less than 70 占 폚, the driving of the fixing motor 86 is turned on (S142) and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performed (S150).

한편,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가 70℃ 이상일 때, 즉시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하지 않고, 히터(23)에의 통전을 오프하고 냉각 동작을 행한다(S143). 그 후,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다시 검출하고(S145 내지 S147), 온도 차가 70℃ 이내일 때, 히터(23)에의 통전을 온하고(S148), 정착 모터의 구동을 온하여(S149),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한다(S150).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and the outside of the nip is 70 deg. C or more,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not immediately performed,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is turned off and the cooling operation is performed (S143). Thereaft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is detected again (S145 to S147).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within 70 占 폚, the energization to the heater 23 is turned on (S148) (S149), and executes the image forming operation (S150).

가압 롤러(24) 구동 시에서의 필름(22)의 닙 내측과 닙 외측 사이의 온도 차를, 판정된 정착 닙부의 폭에 따라서 설정함으로써, 사용 상황에 따라 정착 닙부의 폭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필름(22)의 오목부 자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Even when the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use situation by sett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nip and the outside of the nip of the film 22 when the pressure roller 24 is driv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width of the fixing nip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lm 22.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착 닙부에서의 시트 반송 방향의 폭에 기초하여 역치 값(ν)을 설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 롤러(24)의 회전축 방향의 폭에 기초하여 역치 값(ν)을 설정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shold value? Is set based on the width in the sheet conveying direction in the fixation nip por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based on the width of the pressure roller 24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상기 제1 내지 제8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의 검출 방법 외에는, 필름(22)의 닙 외측 온도의 온도 추이 테이블을 ROM(82)에 미리 저장시켜 두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ther than the method of detect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described in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transition table of the temperature outside the nip of the film 22 is previously stored in the ROM 82 And the same effects as those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so as to encompas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structures and functions.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통합되는 2016년 9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191158호 및 2017년 6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17027호의 우선권을 청구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fro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191158 filed on September 29, 2016,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17027, filed on June 14, do.

Claims (19)

정착 장치이며,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유닛;
가압 부재로서, 상기 회전 유닛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서 기록재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기록재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 및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변화될 때, 상기 회전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에 따라, 상기 정지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
A fixing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unit;
A heating unit configured to heat the rotating unit;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hold the recording material between the rotating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and to convey the recording material; An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variably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in the stationary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in the rotating state when the rotating unit is changed from the rotating state to the stationary state. Fix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재의 평량 정보에 따라서 상기 회전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온도를 설정하는, 정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rotation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basis weight information of the recording material.
정착 장치이며,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유닛;
가압 부재로서, 상기 회전 유닛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서 기록재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기록재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 및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변화될 때, 상기 회전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에 따라, 상기 정지 상태에서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동작을 행할지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
A fixing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unit;
A heating unit configured to heat the rotating unit;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hold the recording material between the rotating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and to convey the recording material; An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in the stopped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in the rotating state when the rotating unit is changed from the rotating state to the stationary state , A fix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재의 평량 정보에 따라서 상기 회전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온도를 설정하는, 정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rotation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basis weight information of the recording material.
정착 장치이며,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유닛;
가압 부재로서, 상기 회전 유닛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서 기록재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기록재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 및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변화될 때, 상기 기록재의 평량 정보에 따라, 상기 정지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
A fixing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unit;
A heating unit configured to heat the rotating unit;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hold the recording material between the rotating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and to convey the recording material; An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variably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in the stationary state according to the basis weight information of the recording material when the rotating unit is changed from the rotating state to the stationary state.
정착 장치이며,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유닛;
가압 부재로서, 상기 회전 유닛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서 기록재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기록재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 및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변화될 때, 상기 기록재의 평량 정보에 따라, 상기 정지 상태에서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동작을 행할지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
A fixing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unit;
A heating unit configured to heat the rotating unit;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hold the recording material between the rotating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and to convey the recording material; An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in the stationary state according to the basis information of the recording material when the rotating unit is changed from the rotating state to the stationary state.
정착 장치이며,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유닛;
가압 부재로서, 상기 회전 유닛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서 기록재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기록재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 및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변화될 때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가 제1 온도일 때,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정지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를 제2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회전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3 온도일 때,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정지 상태에서의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온도를 상기 제2 온도보다 낮은 제4 온도로 설정하는, 정착 장치.
A fixing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unit;
A heating unit configured to heat the rotating unit;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hold the recording material between the rotating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and to convey the recording material; And
And a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when the rotating unit is changed from the rotating state to the stationary state,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in the rotating state is the first temperature, the setting unit sets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in the stopped state to the second temperature, And the setting unit sets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in the stopped state to a fourth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is a thir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정착 장치이며,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유닛;
가압 부재로서, 상기 회전 유닛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서 기록재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기록재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 및
정지 상태의 상기 회전 유닛이 상기 가열 유닛에 의해 가열되는 중에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 방향에서의 온도 차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될 때, 미리정해진 회전 동작을 행하고,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정해진 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될 때, 상기 미리정해진 회전 동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
A fixing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unit;
A heating unit configured to heat the rotating unit;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hold the recording material between the rotating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and to convey the recording material; And
When a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is started while the rotation unit in the stopped state is being heated by the heat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unit is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And to control the predetermined rotation operati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determined to be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정해진 값 이하일 때,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을 개시하는, 정착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starts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otation unit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정해진 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회전 유닛을 회전시키는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정해진 값 이하로 될 때까지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을 개시하지 않는, 정착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starts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unti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come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when a signal for rotating the rotation unit is received while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otation unit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Do not, fix the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장치의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환경 검출부;
상기 가열 유닛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착 장치의 주위의 온도와, 전회의 화상 형성 동작으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상기 가열 유닛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 상태의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을 개시하는, 정착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 environment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around the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tarts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in the stopped state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periphery of the fixing device, the elapsed time from the previous image forming oper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유닛이 상기 가압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 영역의 온도와, 상기 접촉 영역으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회전 유닛이 상기 가압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차를 판정하는, 정착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ng unit so that the rotating unit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area in which the rotat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And determines a temperature differen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영역의 상기 회전 방향의 폭이 큰 경우,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온도 차에 관한 상기 미리정해진 값을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정착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predetermined value concern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otation unit to a small value when the width of the contact area in the rotation direction is larg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착 동작을 행한 기록재의 누적 매수가 많아질수록 상기 접촉 영역의 상기 회전 방향의 폭이 크다고 판정하는, 정착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width of the contact area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s larger as the cumulative number of recording materials subjected to the fixing operation increas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접촉 영역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1 검출부와;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비접촉 영역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검출부와 상기 제2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차를 판정하는, 정착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first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of the contact area of the rota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of the non-contact area of the rotating unit,
And the control section determin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first detection section and the second detection se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부는 상기 가열 유닛의 온도를 계측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인, 정착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detecting unit is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비접촉 영역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비접촉 영역 온도 센서인, 정착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detection unit is a non-contact are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of the non-contact area of the rotation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와, 상기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비접촉 영역의 온도를 판정하는, 정착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detecting section determines the temperature of the noncontact region of the rotating unit on the basis o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ng section and the amount of change per unit time o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ng sec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원통형 필름인, 정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unit is a cylindrical film.
KR1020170124228A 2016-09-29 2017-09-26 Fixing device KR1021930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1158 2016-09-29
JPJP-P-2016-191158 2016-09-29
JP2017117027A JP6634048B2 (en) 2016-09-29 2017-06-14 Fixing device, fix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JP-P-2017-117027 2017-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694A true KR20180035694A (en) 2018-04-06
KR102193082B1 KR102193082B1 (en) 2020-12-18

Family

ID=6190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228A KR102193082B1 (en) 2016-09-29 2017-09-26 Fix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34048B2 (en)
KR (1) KR1021930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7254B2 (en) * 2018-10-22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forming device
JP7481675B2 (en) 2020-07-28 2024-05-13 株式会社リコー Heater member, heating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489A (en) * 1998-02-27 1999-09-17 Canon Inc Image forming device
JP2006221115A (en) * 2005-02-14 2006-08-24 Sharp Corp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heating method of fixing device, and heating control program of fix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2010002536A (en) * 2008-06-19 2010-01-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3117577A (en) * 2011-12-01 2013-06-13 Canon Inc Image form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4737B2 (en) * 1998-10-20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Fixing device
JP2004157242A (en) * 2002-11-05 2004-06-03 Canon Inc Fixing device
US6823150B1 (en) * 2003-05-06 2004-11-23 Lexmark International, Inc. Backup roller temperature prediction and control for fuser
JP2004354416A (en) * 2003-05-26 2004-12-16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76618A (en) * 2005-03-30 2006-10-12 Canon Finetech In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x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489A (en) * 1998-02-27 1999-09-17 Canon Inc Image forming device
JP2006221115A (en) * 2005-02-14 2006-08-24 Sharp Corp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heating method of fixing device, and heating control program of fix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2010002536A (en) * 2008-06-19 2010-01-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3117577A (en) * 2011-12-01 2013-06-13 Canon Inc Image form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082B1 (en) 2020-12-18
JP6634048B2 (en) 2020-01-22
JP2018060167A (en)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85061B (en) Fixing device
JP4444223B2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FIXING DEVICE CONTROL METHOD, FIXING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6535701B2 (en) Fixing device having shortened standby period
US8725019B2 (en) Fixing device, fix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275409A (en) Fixing device and heating device control method
US84728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02857A (en) Fixing device
US20170185013A1 (en) Image h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143291A (en) Image forming device
KR102193082B1 (en) Fixing device
JP2008015344A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173536A (en) Image forming device
US103597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hanges a threshold temperature of a fixing device depending on an output from a counter
JP2002214961A (en) Heat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06422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ntrols rotation of a rotating unit and a heating process of a heating portion
JP2000250374A (en) Image forming device
JP201906101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29256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33998A (en) Image heating device
US10496018B2 (en) Fixing apparatus
JPH1010919A (en) Fixing device
JPH10233276A (en) Heating device, image he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5230316B2 (en) Image heating device
JP2000235326A (en) Heat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H10301434A (en)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