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651A -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및 상기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및 상기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651A
KR20180035651A KR1020170067500A KR20170067500A KR20180035651A KR 20180035651 A KR20180035651 A KR 20180035651A KR 1020170067500 A KR1020170067500 A KR 1020170067500A KR 20170067500 A KR20170067500 A KR 20170067500A KR 20180035651 A KR20180035651 A KR 2018003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blade elements
base element
conditioning system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604B1 (ko
Inventor
토르스텐 클라인
토마스 알버트에른스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3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04D29/305Flexible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1)의 송풍기 휠(4, 4a, 4b, 4c)에 관한 것이다. 송풍기 휠(4, 4a, 4b, 4c)은 서로 간격을 갖게 배치되는,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 베이스 소자(9) 및 쟈켓 링(12)을 포함한다. 베이스 소자(9)와 쟈켓 링(12) 사이에 연장되고 베이스 소자(9) 상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은 유입 에지(7)와 배출 에지(8)를 포함하게 형성된다. 유입 에지들(7)은 유입 각(β1)으로 배치되어 내경(D1)을 나타내고 유출 에지들(8)은 배출 각(β2)으로 배치되어 송풍기 휠(4, 4a, 4b, 4c)의 외경(D2)을 나타낸다.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은 유입 에지들(7)의 위치가 송풍기 휠(4, 4a, 4b, 4c)의 회전수에 따라 2 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변하고 상기 외경(D2) 상에서 상기 유출 에지들(8)의 배치가 변화없이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소자(9)와 상기 쟈켓 링(12)과 가동적으로 결합된다. 내경(D1)은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커지고 외경(D2)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및 상기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BLOWER WHEEL OF A BLOWER DEVICE FOR AN AIR-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LOWER WHEEL}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에 관한 것이다. 송풍기 장치는 통과하는 유체용 유체 유입구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한다. 송풍기 휠은 하우징 내에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간격을 갖게 배치된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블레이드 소자들, 베이스 소자 및 자켓 링을 포함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소자와 쟈켓 링 사이에서 연장되고 베이스 소자 상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소자들은 각각 하나의 유입 에지 및 유출 에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을 통해 공기 유량을 운반하기 위해 차량 산업에서 종래의 레이디얼 송풍기는 에어컨디셔닝 시스템과 연결된다. 공기는 송풍기 휠을 포함하는 전기 구동식 레이디얼 송풍기에 의해 하우징 내에 형성된 유입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흡입된다. 송풍기 휠은 휜 블레이드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의 운동에 의해 공기가 회전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송풍기 휠 내로 유입되고, 송풍기 휠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하우징 내에 형성된 공기 채널 내로 유출된다. 그 후, 공기 유량은 조화되고 객실에 공급된다. 레이디얼 송풍기를 포함하게 형성된 공지된 에어컨디셔닝 시스템들은 작동시 흐름 또는 진동에 의해 야기되는 높은 소음 방출과 연관된다. 레이디얼 송풍기는 또한 극단적 주행 조건하에서 객실 내의 소정의 안락함을 위해 충분하지 않은 공기 유량을 발생시킨다. 종래 기술에는 송풍기 휠들이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경우에 따라 광물섬유로 강화되게 및/또는 유리 섬유로 강화되게 제조되는 것이 공지된다. 송풍기 휠들은 사출된다. 블레이드 소자들이 고정되고, 즉 비가동적으로 배치되고 특히 고정식의, 진입 에지라고도 하는 유입 에지를 포함한다. 송풍기 장치들의 종래의 송풍기 휠들은 장치가 가장 큰 효율 및 이로써 가장 큰 총효율로 작동될 수 있는 특별 작동점을 위해 설계된다. 전방으로 휜 블레이드 소자들을 포함한 공지된 멀티 블레이드 송풍기 휠은 상이한 회전수 및 이로써 상이한 속도 및 역압으로 이루어지는 작동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블레이드 소자들의 고정 배치 및 기하학으로 인해, 모터, 유체 유입구, 유출 스파이럴 및 송풍기 휠의 조합인 송풍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최적의 총효율을 가지는 하나의 작업점만을 갖는다. 플렉시블하게 배치되는, 즉 대체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운동하는 블레이드 소자들을 가진 송풍기 휠들은 상기 거동을 개선시킨다. 공지된 송풍기 휠들은 각각 하나의 플렉시블하게 배치 가능한, 후방 에지 또는 배출 에지라고도 하는 유출 에지를 포함하게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 휠들은 예컨대 고정 배치된 블레이드 소자들을 가진 송풍기 휠들의 최대 공기 유량에 도달하지 못한다. 또한, 플렉시블하게 배치된 블레이드 소자들을 가진 송풍기 휠들은 특히 다수의 컴포넌트들로 인해 제조가 까다롭고 조립이 고비용이다. 블레이드 소자들의 플렉시블한 유출 에지들을 가진 송풍기 휠의 플렉시블하게 배치된 블레이드 소자들로 인한 적은 총효율 또는 적은 공기 유량은 수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플렉시블한 블레이드 소자들을 가진 송풍기 휠들은 강성 블레이드 소자들을 가진 송풍기 휠들보다 더 높은 제조 비용 및 더 복잡한 조립으로 인해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는 종래 기술로부터 모터(2), 유체 유입구(3a) 및 유출 스파이럴(3b)을 가진 하우징(3) 및 송풍기 휠(4. 4')을 포함하는 차량 내에 사용하기 위한 송풍기 장치들(1, 1')이 도시된다. 송풍기 휠(4, 4')은 서로 일정하게 간격을 갖게 배치되는 전방으로 휘는 다수의 블레이드 소자들(5, 5')을 포함하게 형성되고, 하우징(3) 내에서 회전 축(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블레이드 소자들(5, 5')은 회전 축(6)의 방향으로 배향된다. 송풍기 휠(4')은 특히 도 2a에 도시되듯이 내경(D1), 외경(D2) 및 폭(B)과 같은 특징적인 치수들을 가진다. 비가동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 소자들(5, 5')을 가진 송풍기 장치(1, 1')에서 직경들(D1, D2)의 값들은 일정하다. 도 2b에는 운반될 유체의 유동 방향과 조합되어 송풍기 휠(4') 상의 배치와 관련된 블레이드 소자들(5')의 상이한 각들이 도시된다. 유체는 유체 유입구(3a)를 통해 흡입되고 회전 축(6)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송풍기 휠(4') 내로 유입되고, 블레이드 소자들(5')의 영역에서 변위되어 송풍기 방사방향으로 휠(4')로부터 하우징(3)의 유출 스파이럴(3b) 내로 유출된다. 유체는 유입 각(β1)으로 배향되는 블레이드 소자들(5')의 유입 에지 상으로 들어오고, 유출 각(β2)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 소자들(5')의 유출 에지로부터 유출된다. 블레이드 소자들(5')은 진입 각이라고도 하는 유입 각(β1), 및 배출 각이라고도 하는 유출 각(β2)을 포함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는 종래 기술의 베이스 소자(9) 및 블레이드 소자(5', 5'', 5''')를 가진 송풍기 휠(4', 4'', 4''')이 각각 도시된다. 도 3a에는 모든 작동점을 위한 강성 블레이드 소자(5')를 가진 송풍기 휠(4')이 도시된다. 각각 고정되고 비가동적으로 배치되는 유입 에지(7') 및 유출 에지(8')는 항상 일정한 유입 각(β1) 또는 일정한 유출 각(β2)으로 배향된다. 강성 블레이드 소자들(5')을 가진 송풍기 휠들(4')에 있어서, 모터(2), 송풍기 휠(4') 및 하우징(3)의 유출 스파이럴(3b)이 최상의 조합을 가지는 표준 설계 포인트가 주어진다. 송풍기 휠(4')의 블레이드 소자들(5')은 강성이고 기하학은 상이한 작동점들에 독립적이다. 기하학적 치수들이 서로 매칭되더라도 3 개의 컴포넌트들로 달성 가능한 장치의 총효율은 최대가 아닌 것으로 수용된다. 도 3b에는 플렉시블한 유입 에지(8'')을 가진 블레이드 소자(5')를 포함한 송풍기 휠(4'')이 도시된다. 고정되고 비가동적으로 배치되는 유입 에지(7'')는 항상 일정한 유입 각(β1)으로 배향되지만, 유출 에지(8'')의 유출 각(β2)은 가변적이다. 유출 에지(8'')의 운동 및 유출 각(β2)의 변화는 화살표로 표시된다. 도 3c에는 플렉시블한 유입 에지(7'') 및 플렉시블한 유출 에지(8''')를 가진 블레이드 소자(5''')를 포함한 송풍기 휠(4''')이 도시된다. 가동적으로 배치되는 유입 에지(7''') 및 유출 에지(8''')에 의해 유입 각(β1) 및 유출 각(β2)이 가변적이다. 유입 에지(7''') 및 유출 에지(8''')의 운동 및 이로써 유입 각(β1) 및 유출 각(β2)의 변화는 화살표들로 표시된다.
JP 2004 353593 A에는 팬의 멀티 블레이드 송풍기 휠이 도시된다. 팬은 메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가동적 스토퍼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들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출 각이 송풍기 휠의 회전에 따라 변하도록 다수의 블레이드 소자들과 각각 연결되게 형성된다. 가동적 스토퍼들은 메인 플레이트 내에 형성되는 각각 하나의 홈 및 리프 스프링 또는 고무 블록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소자들의 하나의 하부 단부는 리프 스프링 또는 고무 블록처럼 홈 내에 배치된다.
JP 199490101696 A에는 블레이드 소자들의 플렉시블하거나 또는 가동적 유출 에지들을 가진 팬의 멀티 블레이드 송풍기 휠이 공지된다. 유출 각은 송풍기 휠의 회전수에 의존한다. 송풍기 휠의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송풍기 휠의 외경(D2)이 작아지고 유출 각(β2)이 커진다.
JP 199490101696 A와 달리, JP 2004 353593 A에는 상부 쟈켓 링과 베이스 소자 사이의 느슨한 소자들로서 가동적으로 지지되는 강성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소자들이 공지된다. 상기 2 개의 실시예들에서 송풍기 휠의 외경이 가변적이다. 또한, 송풍기 휠들은 종래의 베어링들을 가진 느슨한 부분들로 조립되고, 이는 소음 방출을 야기하고 송풍기 휠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 블레이드 소자들의 운동은 추가 소자들에 의해 제어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는 작동 전압이 높아지고 이로써 송풍기 휠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출 각이 작아지고 송풍기 휠의 외경이 커지는 송풍기 휠들이 공지된다.
KR 2010 0005802 A에는 한편으로는, 작동 전압이 높아지고 송풍기 휠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출 각이 커지고 팬 휠의 외경이 작아지나, 동시에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입 각 및 송풍기 휠의 내경은 커지는 팬의 멀티 블레이드 송풍기 휠이 공지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 작동 전압이 높아지고 이로써 송풍기 휠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출 각이 작아지고 송풍기 휠의 외경이 커지나, 동시에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입 각 및 송풍기 휠의 내경이 작아지는 것도 공지된다. 블레이드 소자들은 블레이드 소자들의 단부들 상에 형성된 측면 에지들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베어링들에 의해 가동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송풍기 휠의 외경이 가변적이다. 또한, 송풍기 휠은 다수의 느슨한 소자들로 조립되고, 이는 제조의 복잡성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블레이드 소자들의 지지는 현저한 소음 방출을 야기한다.
종래 기술의 팬의 멀티 블레이드 송풍기 휠들은 강성 블레이드 소자들을 가진 송풍기 휠에 의해, 최대 작동 전압 그리고 이로써 팬의 최대 회전수 및 최대 공기 유량으로 작동되는 경우 송풍기 휠들의 다른 형성들에 비해 최대 공기 유량이 달성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적은 작동 전압으로 작동되는 경우 블레이드 소자들의 플렉시블한 기하학 및 더 큰 외경을 가진 송풍기 휠들이 강성 블레이드 소자들을 가진 송풍기 휠보다 더 높은 총효율 또는 더 큰 총능률을 갖는다. 요약하면,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출 에지들의 플렉시블한 배치를 가진 송풍기 휠들은 적은 작동 접압으로 작동시 장점을 가지나, 높은 작동 전압으로 작동시 달성 가능한 공기 유량과 관련해서 단점을 갖는다.
모터의 설정과 하우징의 유출 스파이럴의 확장률이 각각 동일하다는 가정하에서, 모터 설정 및 송풍기 장치, 특히 송풍기 휠의 설치 공간이 결정된다. 배출 스파이럴의 최대 치수를 위한 면적 및 송풍기 휠의 최대 외경이 규정된다. 송풍기 장치의 4 개의 작동점들의 사전 설정하에서, 작동의 전체 개선이 시도된다. 4 개의 작동점들은 예컨대 차량의 객실용 공급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을 위한 작동의 경우인 전압이 높고 이로써 송풍기의 회전수가 높은 2 개의 설정들, 예컨대 안락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인 전압이 적고 이로써 송풍기의 회전수가 적은 설정, 그리고 각각 하나의, 예컨대 계기판 내 공기 배출에 의한 객실의 탑승자들의 직접 블로우-인을 위한 작동의 경우와 같은 역압이 적은 설정 및 발밑 공간 내로 공기의 블로우-아웃을 위한 작동의 경우와 같은 역압이 높은 설정으로서 간주된다. 역압들의 값들은 일정하다. 적은 전압으로 작동되는 경우 값들의 설정이 조금 가변적인데, 그 이유는 특수 송풍기 단의 경우, 규정된 공기 체적 유량, 예컨대 계기판 내의 공기 배출에 의한 탑승자의 직접 블로우-인을 위해서 약 60 l/s, 발밑 공간 내로 공기의 블로우-아웃을 위해서 약 45 l/s가 객실 내로 운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높은 압력으로 작동되는 경우 최대 전압은 12.8 V로 설정된다. 높은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작동의 설정에 있어서, 공기 유량은 객실의 냉방 및 난방을 안락하도록 보장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공지된 송풍기 장치들을 필요 전력 및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면서 송풍기 장치 및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의 작동시의 효율 및 총효율을 최대화하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송풍기에 의해 운반되는 공기 유량은 하우징의 필요 공간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예컨대 객실 내의 소정의 안락함을 달성하기 위해 증가될 수 있다. 송풍기 장치의 제조 비용 및 유지 비용, 그리고 소음 방출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을 가진 대상들에 의해 해결된다.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상기 과제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송기 휠에 의해 해결된다. 송풍기 장치는 통과 유체용 유체 유입구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내에서 회전 방향으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배치된 송풍기 휠은 서로 간격을 갖게 배치된,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블레이드 소자들, 베이스 소자 및 쟈켓 링을 포함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소자와 쟈켓 링 사이에서 연장되고 베이스 소자 상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소자들은 각각 하나의 유입 에지 및 유출 에지를 포함하게 형성된다. 유입 에지들은 유입 각으로 놓여 내경을 나타내고 유출 에지들은 유출 각으로 놓여 송풍기 휠의 외경을 나타낸다.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입 에지들은 내경 상에 배치되고, 유출 에지들은 외경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내경은 유입 에지들을 따라서 그리고 외경은 유출 에지들을 따라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송풍기 장치는 특히 다익 송풍기(multi blade blower)로서 형성되고, 송풍기 휠은 날개차(impeller)라고도 한다. 날개차는 바람직하게는 전방으로 휜 블레이드 소자들을 포함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소자 및 쟈켓 링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하고 서로 간격을 갖게 배치된 2 개의 평면들로 배향된다.
본 발명의 컨셉에 따라, 블레이드 소자들은 유입 에지들의 위치가 송풍기 휠의 회전수에 따라 2 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변하고 외경 상의 유출 에지들의 배치가 변하지 않게 유지되도록 베이스 소자 및 쟈켓 링과 가동적으로 결합된다. 회전수가 증가하면 내경이 커진다. 외경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위치, 즉 유입 에지의 배치는 2 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단없이 가동적이다.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출 각 및 유입 각은 바람직하게는 가변적이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소자와 쟈켓 링 사이에는 결합 소자들이 형성된다. 결합 소자들은 베이스 소자의 외부 테두리 상에 배치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소자들이 유출 에지를 따라 진행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블레이드 소자들은 유출 에지의 영역에서 제 1 단부 상에서 베이스 소자와, 제 2 단부 상에서 쟈켓 링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 소자의 외경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소자들의 전방 에지들, 즉 유입 에지들은 가동적이나 외경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입 에지들 및 유출 에지들은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 소자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형성하는 2 개의 측면 에지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 1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소자들의 유출 에지는 각각 베이스 소자와 쟈켓 링 사이에서 연장되는 결합 소자들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2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소자들은 각각 베어링에 의해 베이스 소자 및 쟈켓 링과 결합된다. 이로써 블레이드 소자들은 베이스 소자 및 쟈켓 링 상에서 플렉시블하게 가동적으로 설치된다. 베어링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된다.
발명의 실시예는 블레이드 소자들이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써, 블레이드 소자들 자체가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하다.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소자들이 예컨대 베이스 소자 및 쟈켓 링과 같은 잘 쉬어지지 않고 강성인 재료로 형성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소자는 블레이드 소자들의 제 1 단부의 영역 내에 각각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한다. 리세스들 내에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가 배치된다. 블레이드 소자는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베이스 소자와 결합부에 의해 연결된다. 블레이드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제 1 단부 상에서 베이스 소자와 결합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이다.
상기 과제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강성으로 형성되는 송풍기 휠의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베이스 소자, 쟈켓 링, 결합 소자들 및 블레이드 소자들이 하나의 방법 단계에서 제 1 재료로 사출된다.
상기 과제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방법은
- 제 1 재료로 베이스 소자, 쟈켓 링 및 결합 소자들을 사출하는 단계,
- 공구에 의해 베어링들의 형성을 위한 영역들을 비워두는 단계 및
- 제 1 재료와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제 2 재료로 블레이드 소자들 및 베어링들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강성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소자들을 가진 송풍기 휠의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상기 방법은
- 제 1 재료로 베이스 소자, 쟈켓 링 및 결합 소자들, 그리고 블레이드 소자들을 사출하는 단계,
- 공구에 의해 베어링들의 형성을 위한 영역들을 비워두는 단계 및
- 제 1 재료와 다른 특성들을 가진 제 2 재료로 베어링들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소자 내에 형성되는 리세스는 제 2 재료로 충진된다. 블레이드 소자들의 각각 하나의 하부 자유 단부는 리세스 내에 배치된 제 2 재료와 결합된다.
제 1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높은 강도, 충분한 탄성 또는 비틀림 안정성의 특징들을 가지므로 강성이고 잘 휘어지지 않지만, 제 2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높은 팽창성의 특징을 가지므로 잘 휘어지고 플렉시블하다. 제 2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이다.
송풍기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휠은 요약하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들과 다른 하기 장점들을 갖는다:
- 송풍기 장치의 출력의 개선 및 이로써 작동 동안 시스템의 적은 에너지 소비,
- 다양한 작동점들에 대한 양호한 매칭, 즉 대부분의 작동 영역에서 최대 총효율 및/또는 최대 공기 유량,
- 다수의 컴포넌트들이 아닌 하나의 컴포넌트로 제조되므로, 모든 특징들을 가진 덜 복잡한 송풍기 휠이 최대 2 개의 제조 단계들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사출 공구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될 수 있고, 및
- 이로써 제조 및 유지 비용 그리고 소음 방출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들의 참조 하에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에 제시된다.
도 1은 모터, 유체 유입구 및 배출 스파이럴을 가진 하우징 및 송풍기 휠을 포함한 차량 내에 사용되는 송풍기 장치를 도시하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의 멀티 블레이드 송풍기 휠을 가진 송풍기 장치의 측면 및 정면의 단면도이고,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종래 기술의 베이스 소자 및 블레이드 소자를 가진 송풍기 휠을 각각 도시하고,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결합 소자들에 의해 서로 결합된 베이스 소자 및 쟈켓 링, 및 베이스 소자와 쟈켓 링 사이에 배치된 블레이드 소자를 각각 가진 송풍기 휠들을 도시하고,
도 5a는 베이스 소자, 쟈켓 링, 및 그 하부 에지 상에서 베이스 소자와 결합된 블레이드 소자를 가진 송풍기 휠을 도시하고,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상이한 작동 위치들에 있는 블레이드 소자를 도시하고,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상이한 작동 위치들에 있는 블레이드 소자를 가진 송풍기 휠의 정면도이고, 및
도 7은 블레이드 소자의 에지들 상의 속도 벡터들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4c에는 허브라고도 하는 베이스 소자(9) 및 쟈켓 링(12)을 포함하는 송풍기 휠들(4a, 4b, 4c)이 각각 도시된다. 베이스 소자(9) 및 쟈켓 링(12)은 평행하게 서로 간격을 갖게 배치된 2 개의 평면들로 배향되고, 결합 소자들(11)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베이스 소자(9)와 쟈켓 링(12) 사이에 각각 하나의 블레이드 소자(5a, 5b, 5c)가 형성된다. 블레이드 소자(5a, 5b, 5c)의 각각 하나의 단부가 베이스 소자(9) 및 쟈켓 링(12) 상에서 지지된다. 송풍기 휠(4a, 4b, 4c)의 외경(D2)은 송풍기 휠 (4a, 4b, 4c)의 작동 조건에 독립적이고 이로써 변화없거나 또는 일정하지만, 내경(D1)은 회전 축(6)을 중심으로 송풍기 휠(4a, 4b, 4c)의 회전시 원심력으로 작용하는 힘 및 압력차에 의해 변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송풍기 휠들(4a, 4b)에서 베이스 소자(9)와 쟈켓 링(12) 사이에서 연장되는 블레이드 소자들(5a, 5b)은 각각 베어링(10)에 의해 제 1 단부 상에서 베이스 소자(9)와 제 2 단부 상에서 쟈켓 링(12)과 결합된다. 블레이드 소자(5a, 5b)의 베어링들(10)은 유출 에지(8) 상에 또는 유출 에지(8)의 연장부 내에 배치되고 예컨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탄소성체 또는 간략하게 TPE라고도 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실온에서 전형적 탄성중합체처럼 처신하고 열 공급하에서 소성 변형될 수 있고 이로써 열가소성 거동을 갖는 플라스틱이다. 블레이드 소자들(5a, 5b)은 베이스 소자(9) 및 쟈켓 링(12) 상의 외부 종축으로부터 좁은 측면으로의 이행부들의 영역 에서 각각 지지된다. 유출 에지(8)의 영역 내의 베어링들(10)에 의한 블레이드 소자들(5a, 5b)의 배치에 의해 블레이드 소자들(5a, 5b)은 특히 유출 에지들(7a, 7b)의 영역에서 가동적이다. 블레이드 소자들(5a, 5b)의 운동은 제 2 단부 상에 배치된 화살표로 표시된다.
도 4a에 따른 송풍기 휠(4a)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소자(5a) 자체가 강성으로 형성된다. 도 4b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체 블레이드 소자(5b)가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하고 예컨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형성된다. 쟈켓 링(12)은 허브(9)와 쟈켓 링(12) 사이의 결합 소자들(11)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 제조된다. 도 4a에 따른 강성으로 형성된 블레이드 소자들(5a)을 가진 송풍기 휠(4a)의 제조 방법은 송풍기 휠(4a) 또는 휠 바디의 소자들인 베이스 소자(9), 결합 소자들(11) 및 쟈켓 링(12), 그리고 블레이드 소자들(5a)이 블레이드 소자들(5a)의 선회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베어링들(10) 없이 제 1 재료로 사출되는 제 1 방법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방법 단계에서 휠 바디의 제조를 위한 공구가 베어링들(10)의 영역을 비운다. 그 후, 베어링들(10)은 제 1 재료와 상이한 특성을 가진 제 2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 특히 사출된다. 제 1 재료는 강성 및 잘 휘어지지 않고, 높은 강도, 충분한 탄성 및 비틀림 안정성을 갖는다. 제 2 재료는 제 1 재료에 비해 잘 휘어지고 플렉시블하고 높은 팽창성을 갖는다.
블레이드 소자들(5b)이 완전히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하게, 예컨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형성되는 도 4b에 따른 송풍기 휠(4b)의 실시예의 경우, 송풍기 휠(4b)의 전체 제조 공정은 도 4a에 따른 송풍기 휠(4a)의 실시예에서보다 덜 복잡하다. 베어링들(10) 및 블레이드 소자들(5b)은 제 2 재료인 동일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하나의 방법 단계에서 제조된다. 예비 지지된 방법 단계에서 송풍기 휠(4b)의 소자들인 베이스 소자(9), 결합 소자들(11) 및 쟈켓 링(12)이 제 1 재료로 사출된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형성된 베어링들(10)에 의해 송풍기 휠(4a, 4b)은 추가의 느슨한 부분들 없이 하나의 공구로 제조, 즉 사출되고, 이는 송풍기 휠(4a, 4b)의 제조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블레이드 소자들(5a, 5b)의 위치들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형성된 베어링들(10)에 의해 고정적으로 사전 설정되고, 이로써, 블레이드 소자들(5a, 5b)의 운동은 추가 소자들의 사용 없이 운동시 나타나는 힘에 대해 거의 비례한다.
도 4c에 따른 송풍기 휠(4c)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소자(9), 결합 소자들(11), 쟈켓 링(12) 및 블레이드 소자들(5c)를 가진 송풍기 휠(4c)은 하나의 방법 단계에서 제 1 재료로 사출된다. 각각의 블레이드 소자(5c)는 결합 소자(11)에 의해 쟈켓 링(12) 및 베이스 소자(9)와 결합된다. 쟈켓 링(2) 및 블레이드 소자(5c)의 사출은 결합 소자(11)에 의해 달성된다. 결합 소자(11)는 유출 에지(8) 상에서 진행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하는 블레이드 소자(5c)의 휨을 보장하는 회전 바이기도 하다.
유출 에지(8) 상에 형성되는 결합 소자(11)를 중심으로 하는 블레이드 소자(5c)의 회전에 의해 블레이드 소자(5c)가 특히 유입 에지(7c)의 영역에서 가동적이다. 블레이드 소자(5c)의 운동은 제 2 단부 상에 놓인 화살표로 표시된다.
송풍기 휠(4a, 4b, 4c)의 베이스 소자(9) 내에 각각 하나의 리세스(13)가 블레이드 소자(5a, 5b, 5c)의 하부 자유 단부(14), 즉 자유롭게 운동하는 하부 에지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다. 하부 자유 단부(14) 및 베이스 소자(9)는 리세스(13)의 영역에서 갭(15)을 형성하게 서로 간격을 갖게 배치된다.
고정식 유출 에지(8)를 중심으로 하는 블레이드 소자들(5a, 5b, 5c)의 운동에 의해, 송풍기 휠(4a, 4b, 4c)의 외경(D2)은 일정하게 유지되나, 내경(D1)은 변한다.
리세스(13)는 송풍기 휠(4a, 4b, 4c)을 제조하는 방법의 상기 단계 후에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와 같은 제 2 재료로 충진된다. 블레이드 소자들(5a, 5b, 5c)의 하부 자유 단부(14)는 리세스(13) 내에 놓인 재료와 결합된다. 하부 자유 단부(14)와 베이스 소자(9) 사이에 형성된 갭(15)은 폐쇄되고, 이는 도 5a에 도시된다. 도 5a에는 베이스 소자(9), 쟈켓 링(12), 그리고 그 하부 단부(14) 상에서 베이스 소자(9)와 결합된 블레이드 소자(5)를 가진 송풍기 휠(4)이 도시된다. 하부 단부(14)와 베이스 소자(9) 간의 결합부(16)는 플렉시블한 제 2 재료로 인해 역시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로써 결합 소자(11) 상에서 유출 에지(8)와 고정 배치되는 블레이드 소자(5)는 특히 유입 에지(7)의 영역에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다. 잠재적 운동은 화살표로 도시된다.
도 5b 및 도 5c에는 상이한 작동 위치들, 특히 2 개의 단부 위치들에 있는 도 5a의 블레이드 소자(5)가 도시된다. 베이스 소자(9)의 리세스(13) 내로 충진되고 베이스 소자(9)를 블레이드 소자(5)의 하부 단부(14)와 결합시키는 플렉시블한 제 2 재료는 휠 바디에 대한 하부 자유 단부(14) 및 이로써 전체 블레이드 소자(5)의 플렉시블한 운동을 달성시킨다. 도 5b에는 송풍기 휠(4)의 회전수가 적거나 또는 0이고 내경(D1)이 최소인 제 1 단부 위치에 있는 블레이드 소자(5)가 도시된다. 결합부(16)는 짧게 형성된다. 도 5c에는 송풍기 휠(4)의 회전수가 최대이고 내경(D1)이 최대인 제 2 단부 위치에 있는 블레이드 소자(5)가 도시된다. 결합부(16)는 짧게 변위되거나 또는 팽창된다.
블레이드 소자(5)의 운동은 생성된 공기 압력에 의해 및/또는 회전 축(6)을 중심으로 하는 송풍기 휠(4)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제어될 수 있다. 전술된 수동 제어 대신 블레이드 소자들(5), 특히 블레이드 소자들(5)의 유입 에지들(7)의 운동이 능동적으로도 제어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상이한 작동 위치들에 있는 베이스 소자(9) 상에 배치된 블레이드 소자(5)를 가진 송풍기 휠(4)이 정면도로 도시된다. 블레이드 소자(5)는 도 6a에서 도 5b에 따른 제 1 단부 위치에서, 도 6b에서 도 5c에 따른 제 2 단부 위치에서 도시된다. 도 6a 및 도 6b의 도시들의 비교가 분명하게 하듯이, 블레이드 소자(5)는 회전 축(6)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17)으로 송풍기 휠(4)의 회전시 유출 에지(8)를 통해 진행되는 축을 중심으로 외부로 회전한다. 유입 에지(7)는 외경이 더 키지게 운동한다.
도 4a 내지 도 4c, 그리고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되듯이,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은 매우 적은 회전수에서 쟈켓 링(12) 및 베이스 소자(9)의 외부 테두리에 대해 큰 각으로 배향된다. 블레이드 소자(5, 5a, 5b, 5c)의 압력측 상에서 증가하는 압력으로 인해 그리고 더 커지는 원심력으로 인해, 회전 축(6)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17)으로 송풍기 휠(4)의 회전시 회전수가 증가하면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은 외부를 향하게 배향된다. 더 큰 회전수로 회전시 나타나는 힘에 의해 쟈켓 링(12)에 대한 각은 감소한다. 블레이드 소자(5)는 특히 유입 에지(7)의 영역에서 베이스 소자(9)의 외부 테두리를 향하는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운동한다.
유입 각(β1) 및 유출 각(β1)은 커진다. 외경(D2)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내경(D1)은 커지고, 이는 도 6c에 도시된다. 유입 각(β1)은 2° 내지 20°의 범위에서, 특히 2° 내지 5°의 범위에서, 구체적으로 약 3.6°만큼 커진다. 유출 각(β2)도 2° 내지 20°의 범위에서, 특히 2° 내지 5°의 범위에서, 구체적으로 약 3°만큼 커진다.
송풍기 휠들(4)은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의 다양한 작동 조건하에서, 예컨대 안락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적은 공기 유량을 운반하기 위해, 및 객실용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큰 공기 유량을 운반하기 위해, 그리고 계기판 내 공기 배출에 의한 탑승자의 직접 블로우-인을 위한 작동의 경우와 같은 적은 역압에서, 및 발밑 공간 내로 공기의 블로우-아웃을 위한 작동의 경우와 같은 높은 역압에서 작동된다. 종래 기술의 전방으로 휜 블레이드 소자들(5)을 가진 멀티 블레이드 송풍기 휠인 송풍기 휠(4)에 의해 상기 요구들이 충족될 수 있다. 하지만, 작동의 효율을 개선하는 변화는 거의 가능하지 않다.
송풍기 휠들(4)의 개선의 가능성은 플렉시블한 블레이드 소자들(5'', 5''')을 가진, 특히 유츨 에지(8'', 8''')가 플렉시블하게 배치되는 송풍기 휠들(4'', 4''')의 형성을 제공하고, 이는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되고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다. 특히 블레이드 소자들(5)의 유출 각(β2)이 적은 공기 유량에서 작아지는 것이 제안된다. 모터(2)는 더 높은 속도 및 더 적은 회전 모멘트로 작동될 수 있고, 이는 총 효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높은 작동 압력 및 블레이드 소자들(5'', 5''')의 적은 유출 각(β2)으로 작동되는 경우 필요한 공기 유량이 달성되지 않는다. 유출 각(β2)의 더 큰 영역에서 플렉시블한 유출 에지들(8'', 8''')의 영역에서 블레이드 소자들(5'', 5''')의 변형은 더 높은 에너지 전달 및 더 큰 공기 유량의 운반을 달성시킨다. 플렉시블하게 조절 가능한 유출 에지(8'', 8''')에 의해 송풍기 휠(4'', 4''')의 외경(D2)도 변하고, 이는 내경(D1)의 변화보다 송풍기 휠(4'', 4''')의 출력에 실질적으로 더 큰 영향을 주며, 이것은 도 7에서 에너지 전달을 규정하는 오일러 방정식과 관련되어 도시된다:
Hth = C2uU2 - C1uU1 이고,
U1 = 2πn/60D1/2 및
U2 = 2πn/60D2/2 이다.
속도(C1u)는 전방으로 휜 블레이드 소자들(5)을 가진 송풍기 휠들(4')에서 속도(C2u)보다 더 낮고, 속도 (U1 )의 영향은 제한적이다. 도 3b 및 도 3c에 따른 플렉시블한 유출 에지(8'', 8''')을 가진 송풍기 휠(4'', 4''')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본 실시예에서, 높은 작동 압력으로 작동되는 경우 외경(D2)이 작아지고, 이는 공기 유량을 감소시킨다.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에 따른 송풍기 휠(4, 4a, 4b, 4c)의 본 발명의 형성에 의해, 외경(D2)의 강한 영향이 감소된다. 외경(D2)은 일정하고 각각의 작동점에 대해 변하지 않는다. 블레이드 소자(5)의 유입 각(β1)의 플렉시블한 변화에 의해 입구 또는 유입 에지(7, 7a, 7b, 7c) 상에서의 충돌 손실도 감소된다. 종래 기술의 송풍기 휠은 일반적으로 특정 공기 유량 및 특정 회전수에서의 역압을 위해 최적화되므로, 이와 다른 작동 조건에서 특히 충격 손실이 증가된다.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의 플렉시블한 유입 에지들(7, 7a, 7b, 7c)을 가진 송풍기 휠들(4, 4a, 4b, 4c)에 의해 작동 거동이 최적화된다. 사전에 설정되는 설치 공간에 의해 한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200mm인 최대 외경(D2)이 변화없이 유지된다.
1, 1' 송풍기 장치
2 모터
3 하우징
3a 유체 유입구
3b 유출 스파이럴
4, 4a, 4b, 4c, 4', 4'', 4''' 송풍기 휠
5, 5a, 5b, 5c, 5', 5'', 5''' 송풍기 휠의 블레이드 소자
6 송풍기 휠의 회전 축
7, 7a, 7b, 7c, 7', 7'', 7''' 유입 에지
8, 8', 8'', 8''' 유출 에지
9 베이스 소자
10 블레이드 소자의 베어링
11 결합 소자
12 쟈켓 링
13 리세스
14 블레이드 소자의 하부 단부
15 갭
16 결합부
B 송풍기 휠의 폭
D1 송풍기 휠의 내경
D2 송풍기 휠의 외경
C,U, W 속도
n 회전수
β1 블레이드 소자의 유입 각, 진입 각
β2 블레이드 소자의 유출 각, 배출 각

Claims (15)

  1.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1)의 송풍기 휠(4, 4a, 4b, 4c)로서,
    - 상기 송풍기 휠(4, 4a, 4b, 4c)은 서로 간격을 갖게 배치되는,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 베이스 소자(9) 및 쟈켓 링(12)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은
    - 상기 베이스 소자(9)와 상기 쟈켓 링(12)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베이스 소자(9) 상에 배치되고,
    - 유입 에지(7) 및 유출 에지(8)를 포함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입 에지들(7)은 유입 각(β1)으로 놓여 내경(D1)을 나타내고, 상기 유출 에지들(8)은 유출 각(β2)으로 놓여 상기 송풍기 휠(4, 4a, 4b, 4c)의 외경(D2)을 나타내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1)의 송풍기 휠(4, 4a, 4b, 4c)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은 상기 유입 에지들(7)의 위치가 상기 송풍기 휠(4, 4a, 4b, 4c)의 회전수에 따라 2 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변하고 상기 외경(D2) 상에서 상기 유출 에지들(8)의 배치가 변화없이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소자(9)와 상기 쟈켓 링(12)과 가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내경(D1)은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커지고, 상기 외경(D2)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소자(9)와 상기 쟈켓 링(12) 사이에 결합 소자들(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소자들(11)은 상기 베이스 소자(9)의 외부 테두리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이 상기 유출 에지(8)를 따라 진행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은 각각 상기 유출 에지(8)의 영역에서 제 1 단부 상에서 상기 베이스 소자(9)와, 그리고 제 2 단부 상에서 상기 쟈켓 링(1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5, 5c)은 상기 베이스 소자(9)와 상기 쟈켓 링(12)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기 결합 소자(11) 상에서 각각 상기 유출 에지(8)를 포함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은 각각 베어링(10)에 의해 상기 베이스 소자(9) 및 상기 쟈켓 링(1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들(10)이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5, 5b, 5c)이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소자(9)는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의 상기 제 1 단부의 영역 내에 각각 하나의 리세스(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들(13) 내부에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가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는 상기 베이스 소자(9)를 결합부(16)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소자(5, 5a, 5b, 5c)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소자(5, 5a, 5b, 5c)는 상기 제 1 단부 상에서 상기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상기 베이스 소자(9)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12. 제 1 항에 따른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1)의 강성으로 형성된 블레이드 소자들(5, 5c)을 갖는 송풍기 휠(4, 4c)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소자(9), 쟈켓 링(12), 결합 소자들(11) 및 블레이드 소자들(5, 5c)이 하나의 방법 단계에서 제 1 재료로 사출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강성으로 형성된 블레이드 소자들을 갖는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13. 제 1 항에 따른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1)의 송풍기 휠(4, 4b)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 제 1 재료로 베이스 소자(9), 쟈켓 링(12) 및 결합 소자들(11)을 사출하는 단계,
    - 공구에 의해 베어링들(10)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들을 비워두는 단계, 및
    - 상기 제 1 재료와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제 2 재료로 블레이드 소자들(5, 5b) 및 상기 베어링들(10)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14. 제 1 항에 따른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1)의 강성으로 형성된 블레이드 소자들(5, 5a)을 가진 송풍기 휠(4, 4a)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 제 1 재료로 베이스 소자(9), 쟈켓 링(12) 및 결합 소자들(11), 그리고 블레이드 소자들(5, 5a)을 사출하는 단계,
    - 공구에 의해 베어링들(10)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들을 비워두는 단계, 및
    - 상기 제 1 재료와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제 2 재료로 상기 베어링들(10)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강성으로 형성된 블레이드 소자들을 가진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소자(9)의 내부에 형성되는 리세스(13)는 제 2 재료로 충진되고, 상기 블레이드 소자들(5, 5a, 5b, 5c)의 하부 자유 단부(14)는 상기 리세스(13)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재료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KR1020170067500A 2016-09-29 2017-05-31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및 상기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KR102069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8504.3 2016-09-29
DE102016118504.3A DE102016118504A1 (de) 2016-09-29 2016-09-29 Gebläserad einer Gebläseanordnung für ein Klimatisierungssystem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Gebläsera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651A true KR20180035651A (ko) 2018-04-06
KR102069604B1 KR102069604B1 (ko) 2020-01-23

Family

ID=6156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500A KR102069604B1 (ko) 2016-09-29 2017-05-31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및 상기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9604B1 (ko)
DE (1) DE102016118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9914A1 (de) * 2019-12-17 2021-06-17 Ziehl-Abegg Se Ström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Erfassen des Abströmwinkels bei Strömungsmaschin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593A (ja) * 2003-05-30 2004-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遠心ファン
KR20060016915A (ko) * 2004-08-19 2006-02-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가변 베인형 터빈
JP2015068269A (ja) * 2013-09-30 2015-04-13 日清紡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風機用羽根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49679A1 (de) 1970-10-09 1972-04-13 Bosch Gmbh Robert Lüfte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DE4434598A1 (de) 1994-09-28 1996-04-04 Braun Ag Radiallüfter zur Luftkühlung eines elektrischen Kleinmotors
DE19909748C2 (de) 1999-03-05 2003-03-27 Valeo Klimasysteme Gmbh Lüfterrad
KR101454758B1 (ko) 2008-07-08 2014-10-2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593A (ja) * 2003-05-30 2004-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遠心ファン
KR20060016915A (ko) * 2004-08-19 2006-02-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가변 베인형 터빈
JP2015068269A (ja) * 2013-09-30 2015-04-13 日清紡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風機用羽根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604B1 (ko) 2020-01-23
DE102016118504A1 (de)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75912A1 (ja) 空調装置
US20130064660A1 (en) Centrifugal Fan Assembly
CN101509496B (zh) 电动鼓风机
WO2003104001A1 (en) Center console dual centrifugal fan blower
US20070231145A1 (en) Multiple Fans of Cascade Connection
RU2697176C2 (ru) Нагнетательный узел (варианты),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узел, и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я скорости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в нагнетательном узле
KR20180035651A (ko)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송풍기 장치의 송풍기 휠 및 상기 송풍기 휠의 제조 방법
US20080176502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passage control device with slide resistance generating part
KR101616617B1 (ko) 곡선형 블레이드들을 가지는 송풍기
JP5471710B2 (ja) 空気通路調節装置
US20190264696A1 (en) Centrifugal fan
US20180079282A1 (en) Air Vent and Method for Introducing Air into an Area
RU2699527C2 (ru) Нагнетательный узел (варианты),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я скорости потока воздуха
JP2010106746A (ja) 遠心圧縮機
JP2002031097A (ja) 軸流送風機
US10137756B2 (en) Rotary door for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the rotary door
EP2361796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KR101961220B1 (ko)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상반회전 프로펠러 시스템
JPH1193893A (ja) 遠心多翼ファン
RU2696106C2 (ru) Нагнетательный узел (варианты),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я скорости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в нагнетательном узле
KR20040026882A (ko) 축류팬
KR20070079163A (ko) 자동차 에어컨용 블로워 휠
WO2022263346A1 (en) Fan unit having a radial fan wheel and an axial outlet and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unit for a motor vehicle
CN219282086U (zh) 入口导叶调整装置及离心机
JP4105085B2 (ja) 遠心式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9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21

Effective date: 201912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