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892A - 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odel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ode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892A
KR20180034892A KR1020160124659A KR20160124659A KR20180034892A KR 20180034892 A KR20180034892 A KR 20180034892A KR 1020160124659 A KR1020160124659 A KR 1020160124659A KR 20160124659 A KR20160124659 A KR 20160124659A KR 20180034892 A KR20180034892 A KR 20180034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pace
modeling
user
control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지혜
박진호
김경주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892A/en
Publication of KR2018003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3D model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irtual space generating part forming a grid snap corresponding to each interval set on X, Y, and Z axes, and generating a 3D virtual space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cells through the formed grid snap; an object control part generating an object in the 3D virtual space according to object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or moving, rotating, deforming or deleting the generated object; and a display part displaying the object on a screen with respect to the 3D virtual space based on a capturing screen of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3D coordinate is provided by visualization, and a 3D object is provided so as to control with a simple operation, so that a beginner can easily model the 3D object, and space ability and creativity of the user can be improved.

Description

3D 모델링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ODELING}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ODELING [0002]

본 발명은 3D 모델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보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3D 모델링 제작도구를 제공하는 3D 모델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modeling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modeling control device that provides a 3D modeling and authoring tool so that novices can easily access the device.

3D 프린터는 컴퓨터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만든 3차원 도면을 바탕으로 실물의 입체 모양 그대로 제작하는 기계로, 어떤 제품 아이디어든 설계도만 있으면 실물로 제작 가능하다. 개발 초기, 플라스틱에 국한됐던 소재는 나일론, 금속 등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초기 제조업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었으나 의료, 건설, 소매, 식품, 의류 산업으로 활용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A 3D printer is a machine that produces a real three-dimensional shape based on a three-dimensional drawing created by a computer design program. In the early days of development, materials limited to plastics expanded to nylon and metal, and were used mainly in the early manufacturing sector, but they are expanding their use to medical, construction, retail, food and clothing industries.

이와 같이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제작 제품이 가볍고 필요한 소량만 맞춤 생산이 가능하며, 제품 출시가 획기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As such, 3D printers are becoming popular in a variety of fields because they are lightweight and can only be customized in small quantities.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3D 프린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3D 모델링 능력이 필수적이므로 3D 프린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적으로 3D 모델링 교육이 요구된다. 3D modeling capability is essential for 3D printing using a 3D printer, so 3D modeling educ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enhance the usability of a 3D printer.

기존의 3D 모델링의 어핀 변환은 PC 버전으로 터치 중심인 모바일, 태블릿 버전에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으며, 터치라는 입력형태가 마우스를 통한 컨트롤에 비해 세밀하지 못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은 컨트롤하기 어렵다. 또한, 기존의 3D 모델링 프로그램은 실무 작업을 위한 툴이기 때문에 3D 모델 제작 연산 및 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초보자들은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우며, 창의 교육에 활용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Conventional 3D modeling is not suitable for use in mobile and tablet versions that are touch-oriented, and it is difficult for beginners to control because the input type of touch is less detailed than the mouse control. Also, since the existing 3D modeling program is a tool for practical work, it is difficult for beginners who do not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process of 3D model creation to intuitively judge, and there is a limit to utilize it in creative education.

그러므로, 터치 중심의 기기 환경에도 초보자들이 3D 모델링하기 쉽고 창의 교육에도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have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for 3D modeling easily for beginners in the touch-oriented device environment and can be used for creative education.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국내등록특허 제10-1652719호(2016.09.01.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652719 (published on Sep. 01, 201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보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3D 모델링 제작도구를 제공하는 3D 모델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3D modeling device that provides a 3D modeling and authoring tool for novice users to easily acces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D 모델링 제어 장치는 X,Y,Z 축에 각 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그리드 스냅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그리드 스냅을 통해 복수의 셀로 표현되는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가상 공간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3D 가상 공간에서 객체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객체를 이동, 회전시키거나, 변형 또는 삭제하는 객체 컨트롤부, 그리고 카메라의 촬영 화면을 기준으로 상기 3D 가상 공간에 대해 객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forms a grid snap corresponding to each set interval on X, Y, and Z axes, and generates 3D snapshots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cells through the formed grid snap, An object control unit for creating an object in the 3D virtual space according to the object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or moving, rotating, deforming or deleting the created objec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bject on the 3D virtual space on the screen based on the photographed screen.

상기 객체 컨트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3D 가상 공간에 있는 하나의 셀을 선택받으면, 상기 선택된 셀의 위치로 3D 객체의 중심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object control unit selects one cell in the 3D virtual space from the user, the object control unit can move the center position of the 3D object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cell.

상기 객체 컨트롤부는, 상기 객체의 무게 중심과 카메라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지나는 선 또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하나의 셀과 카메라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지나는 선을 회전축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회전축 또는 객체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객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object control unit may set a line passing through a line passing through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bject and a position of the camera or a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camera, You can rotate the objec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enter of gravity.

상기 객체 컨트롤부는, 복수의 객체를 이용하여 논리 연산을 통한 모델링하는 경우, 첫번째 객체가 선택되면 두번째 객체가 선택되기 전에 상기 논리 연산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화면에 제공하여 첫번째 객체와 두번째 객체간의 수행되는 논리 연산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논리 연산을 통해 객체를 모델링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modeling using logical operations using a plurality of objects, when the first object is selected, the object control unit provide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operation to the screen before the second object is selected, A logic operation is input, and the object is modeled through the logic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3D 좌표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3D 객체의 컨트롤이 가능해지도록 제공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3D 객체를 모델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공간 능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del a 3D object easily by providing visualization of 3D coordinates and providing a control of a 3D object by a simple operation, so that even a novice user can easily improve the space capability and creativity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제어 장치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제어 장치의 객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제어 장치의 불 연산 아이콘을 화면에 제공하여 객체를 모델링하는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an object of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otating an object of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modeling an object by providing a non-operation icon of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scree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가상 공간 생성부(110), 객체 컨트롤부(120),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space generation unit 110, an object control unit 120, and a display unit 130.

가상 공간 생성부(110)는 X,Y,Z 축에 각 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그리드 스냅이 형성된 3D 가상 공간을 생성한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10 creates a 3D virtual space in which a grid snap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set interval on the X, Y, and Z axes.

예를들어, 가상 공간 생성부(110)는 3D 프린트에 설정된 간격을 이용하여 Z 축으로는 0.1mm 단위로 X,Y축에 대해서는 0.4mm 단위로 최소 간격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각 축의 그리드 스냅 간격을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irtual space generation unit 110 may set a minimum interval in units of 0.1 mm in the Z-axis and 0.4 mm in the Y-axis using the interval set in 3D printing, Snap interval can be input and set.

가상 공간 생성부(110)는 그리드 스냅을 통해 복수의 셀로 표현되는 3D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10 may create a 3D virtual space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cells through grid snapping.

객체 컨트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설정 정보에 따라 3D 가상 공간에서 객체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객체를 이동, 회전시키거나, 변형 또는 삭제한다. The object control unit 120 generates an object in the 3D virtual space according to the object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or moves, rotates, deforms or deletes the created object.

객체 컨트롤부(120)는 객체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별도로 회전축을 설정할 수 있다. 객체 컨트롤부(120)는 객체의 무게 중심과 카메라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지나는 선 또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하나의 셀과 카메라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지나는 선을 회전축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회전축 또는 객체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객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object control unit 120 can separately set the rotation axis when rotating the object. The object control unit 120 sets a line passing through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or a line passing through a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The object can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bject.

또한, 객체 컨트롤부(120)는 복수의 객체를 이용하여 논리 연산을 통한 모델링하는 경우, 첫번째 객체가 선택되면 두번째 객체가 선택되기 전에 논리 연산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화면에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논리 연산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object is selected, the object control unit 120 provide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operation on the screen before the second object is selected, Input can be received.

즉, 객체 컨트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첫번째 객체를 선택받으면 논리 연산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제공하고, 해당 아이콘을 선택받은 후, 두번째 객체를 선택받으면 첫번째 객체와 두번째 객체를 선택받은 논리 연산을 통해 객체를 생성 및 변환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irst object is selected from the user, the object control unit 120 provide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operation, and when the second object is selected after receiving the ico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selected You can create and transform objects.

디스플레이부(130)는 카메라의 촬영 화면을 기준으로 3D 가상 공간에 대해 객체를 화면에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object on the 3D virtual space on the screen based on the photographing screen of the camera.

여기서, 카메라의 촬영 화면은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며, 3D 가상 공간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Here,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amera can be adjusted by the user at a later time, and the 3D virtual space can be expressed stereoscopically.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3D 모델링 제어 장치가 3D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3D modeling process performed by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제어 장치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an object of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그리드 스냅을 통해 형성된 복수개의 셀로 형성된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느 한 셀을 선택받으면, 해당 셀의 위치로 객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can move an object to a position of a corresponding cell when a cell is selected from a user in a virtual space formed by a plurality of cells formed through a grid snap.

설명의 편의상 객체는 정육면체로 각 면은 9개의 셀을 포함되는 크기로 생성되었으며, 각 무게 중심의 위치는 붉은색 점으로 표시하였다.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object is a cube, each side has a size including 9 cells, and the position of each center of gravity is indicated by a red dot.

먼저, 객체(210)의 중심 위치는 바닥에 노란 셀의 부분(a 지점)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객체(210)를 선택한 뒤, 바닥 면의 어느 한 셀을 선택받으면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해당 셀의 위치로 제1 객체(210)의 중심 위치를 이동시킨다.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object 210 is at a portion (a point) of a yellow cell at the bottom. If one of the cells on the bottom surface is selected after the object 210 is selected,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moves the center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210 to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ell.

예를 들어 도 2에서 객체(220)를 객체(200-1)의 위치로 이동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For example, in FIG. 2, it is assumed that the object 220 is to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object 200-1.

사용자로부터 객체(220)를 선택받고, c 지점의 셀을 선택받으면,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기존의 객체(220)의 중심 위치를 앞서 선택받은 c 지점의 위치로 수직하게 이동시킨다. When the user selects an object 220 and selects a cell at point c,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vertically moves the center position of the existing object 220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c point.

이와 같이,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간단한 터치 방법으로 3D 가상 공간의 셀을 선택받음으로써, 객체를 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객체를 표시하는 투명도를 조절하여 3D 공간에서의 셀을 인식하기 쉽게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can easily move an object by selecting a cell in the 3D virtual space by a simple touch method. In addition,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can easily control the cells in the 3D space by adjusting transparency to display object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제어 장치의 객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otating an object of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는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가 객체를 회전시키는 두가지 방법에 대해서 도시하였고, (b)는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가 회전축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a) illustrates two methods by which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rotates an object, and FIG. 3 (b) illustrates a process of setting a rotation axis by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FIG.

먼저,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객체의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회전축을 설정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객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First,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can rotate the object around the rotation axis by rotating the center of the object or setting the rotation axis.

도 3의 (a)에서 첫번째는 객체의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객체를 회전시키는 모습이고, 두번째는 표시된 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축을 생성하고, 생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객체를 회전시키는 모습이다.In FIG. 3 (a), the first object rotates about the center position of the object, the second rotates around the center of the displayed spot, and the object rotates around the generated rotation axis.

여기서,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지점 또는 객체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으로부터 카메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까지를 잇는 선(붉은 색 화살표)인 공간축을 회전축으로 설정할 수 있다. 3 (b),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 space (red arrow) connecting a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or a point indicating the center position of the object to a poin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The axis can be set as the axis of rotation.

도 3의 (b)의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카메라의 촬영 화면은 사용자가 보는 화면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의 눈에서 선택된 지점 또는 객체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잇는 선이 회전축으로 설정되어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회전을 인식할 수 있다.The camera of FIG. 3 (b) has the same meaning as that of the user's eyes, and the photographing screen of the camera represents the screen that the user views. That is, a line connecting the selected point in the user's eyes or the point indicating the center position of the object is set as the rotation axis,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rotation more intuitively.

그리고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카메라의 위치와 중심점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추후에 사용자가 회전을 수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may separately store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d the information of the center point so as to provid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later correct the rotation.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제어 장치의 불 연산 아이콘을 화면에 제공하여 객체를 모델링하는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modeling an object by providing a non-operation icon of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screen.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기하학 특성에 맞춰진 블록 놀이에서 착안된 3D 모델링 방식 중 하나인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방식을 제공한다. CSG는 논리 연산을 통한 모델링 방식으로 입체 도형 간의 불연산(Boolean Operation)을 통해 입체 도형의 형태를 구성한다.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provides a CSG (Constructive Solid Geometry) scheme, which is one of the 3D modeling schemes focused on the block play adapted to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CSG is a modeling method based on logical operation, which forms a shape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through Boolean operation between three-dimensional graphics.

기존의 CSG 방식은 선택되는 객체의 순서에 따라 논리 연산이 되기 때문에 기능이 숙달되지 않은 사용자들은 쉽게 객체의 변형을 예상하기 어려운 반면에,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객체를 선택받으면 불연산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객체에 적용할 아이콘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객체의 변형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existing CSG method is a logic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elected objects, it is difficult for users who are not skilled in the function to easily predict the deformation of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when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selects an object from the user,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n icon to be applied to the object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predict the deformation of the object.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객체(420)을 객체(450)로 변형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For example, as in FIG. 4, it is assumed that an object 420 is to be transformed into an object 450.

먼저, 사용자로부터 기준이 되는 객체(420)을 선택받으면,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불 연산에 해당하는 논리 연산 기호를 제공한다.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차집합에 해당하는 논리 연산 기호(430)를 선택받고, 논리 연산에 적용할 객체(440)를 입력받는다. First, when the user selects a reference object 420 from the user,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provides a logic oper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non-operation.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selects a logic operation symbol 430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set from a user and receives an object 440 to be applied to the logical operation.

이처럼, 사용자는 기준이 되는 객체, 논리 연산 아이콘, 적용할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직관적으로 객체의 변형을 예상할 수 있다. Thus, the user can intuitively predict the deformation of the object by selecting the reference object, the logical operation icon, and the object to be applied.

즉, 3D 모델링 제어 장치(100)는 처음 선택된 객체(420)에서 다음 선택된 객체(440)와의 차집합(430)을 적용하여 객체(450)으로 변형시킨다. That is, the 3D modeling control apparatus 100 transforms the first selected object 420 into the object 450 by applying the difference set 430 with the next selected object 4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D 좌표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3D 객체의 컨트롤이 가능해지도록 제공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3D 객체를 모델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공간 능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odel a 3D object even by a novice user by providing 3D coordinates and visualizing the 3D coordinates and controlling the 3D object by simple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space capacity and creativity of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3D 모델링 장치 110: 가상 공간 생성부
120: 객체 컨트롤부 130: 디스플레이부
100: 3D modeling device 110: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object control unit 130: display unit

Claims (4)

X,Y,Z 축에 각 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그리드 스냅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그리드 스냅을 통해 복수의 셀로 표현되는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가상 공간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3D 가상 공간에서 객체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객체를 이동, 회전시키거나, 변형 또는 삭제하는 객체 컨트롤부, 그리고
카메라의 촬영 화면을 기준으로 상기 3D 가상 공간에 대해 객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3D 모델링 제어 장치.
A virtual spa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grid snap corresponding to each set interval on the X, Y, and Z axes and generating a 3D virtual space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cells through the grid snap formed;
An object control unit for creating an object in the 3D virtual space according to object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moving, rotating, deforming or deleting the created object,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bject on the 3D virtual space on the screen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amer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컨트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3D 가상 공간에 있는 하나의 셀을 선택받으면, 상기 선택된 셀의 위치로 3D 객체의 중심 위치를 이동시키는 3D 모델링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control unit includes:
And moves the center position of the 3D object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cell when the user selects one cell in the 3D virtual space from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컨트롤부는,
상기 객체의 무게 중심과 카메라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지나는 선 또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하나의 셀과 카메라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지나는 선을 회전축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회전축 또는 객체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객체를 회전시키는 3D 모델링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control unit includes:
A line passing through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bject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or a line passing through a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is set as a rotation axis, A 3D modeling control device that rotates an objec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컨트롤부는,
복수의 객체를 이용하여 논리 연산을 통한 모델링하는 경우, 첫번째 객체가 선택되면 두번째 객체가 선택되기 전에 상기 논리 연산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화면에 제공하여 첫번째 객체와 두번째 객체간의 수행되는 논리 연산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논리 연산을 통해 객체를 모델링하는 3D 모델링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control unit includes:
When a first object is selected,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operation is provided on the screen before a second object is selected, and a logical operation performed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is input And a 3D modeling controller for modeling the object through the logic operation.
KR1020160124659A 2016-09-28 2016-09-28 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odeling KR201800348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59A KR20180034892A (en) 2016-09-28 2016-09-28 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ode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59A KR20180034892A (en) 2016-09-28 2016-09-28 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ode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92A true KR20180034892A (en) 2018-04-05

Family

ID=6197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59A KR20180034892A (en) 2016-09-28 2016-09-28 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ode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48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1410A (en) Avatar pointing mode
JP6625523B2 (en) HUD object design and display method.
US20090319892A1 (en) Controlling the Motion of Virtual Objects in a Virtual Space
US10467791B2 (en) Motion edit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culated object
US10649615B2 (en) Control interface for a three-dimensional graphical object
US20170177077A1 (en) Three-dimensio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CN102819385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80113596A1 (en) Interface for positioning an object in three-dimensional graphical space
US10713853B2 (en) Automatically grouping objects in three-dimensional graphical space
CN1051031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the orientation of object on display device
JP6598984B2 (en) Object selection system and object selection method
CN106681506B (en) Interaction method for non-VR application in terminal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Wang et al. Key technique of assembly system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KR2018003489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odeling
Ohnishi et al. Virtual interaction surface: Decoupling of interaction and view dimensions for flexible indirect 3D interaction
GB2539182A (en) Dynamic augmented reality system
Aloor et al. Design of VR headset using augmented reality
JP3413145B2 (en) Virtual space editing method and virtual space editing device
US20040243538A1 (en) Interaction with a three-dimensional computer model
US20210278954A1 (en) Projecting inputs to three-dimensional object representations
Rodrigues et al. Mid-air manipulation of 3D models in (semi-)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JP201611514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1291119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CN109064563A (en) The method of real-time control model vertices in a kind of Fusion Edges program of 3D exploitation
Wesson et al. Evaluating organic 3D sculpting using natural user interfaces with the Ki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