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155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155A
KR20180034155A KR1020160124313A KR20160124313A KR20180034155A KR 20180034155 A KR20180034155 A KR 20180034155A KR 1020160124313 A KR1020160124313 A KR 1020160124313A KR 20160124313 A KR20160124313 A KR 20160124313A KR 20180034155 A KR20180034155 A KR 20180034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water
dissolution
valve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to KR102016012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155A/ko
Priority to CN201710242348.5A priority patent/CN107869019B/zh
Priority to US15/499,686 priority patent/US10422066B2/en
Publication of KR2018003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브를 포함하는 세탁기는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내부 공기를 혼합하는 용해부, 및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어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버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블을 생성하여 터브에 공급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 내부에 설치된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한 물과 세탁물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한다. 구체적으로,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조 외주면에는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터브로 유입된 물이 세탁조 내부로 유입되거나 세탁조 내부의 물이 터브로 배출된다. 즉,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 행정시, 터브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 라인을 통해 터브의 물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세탁조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은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터브 및 세탁조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의 회전 및 이와 세탁물의 접촉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하지만, 세탁물 표면에 잔여 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이 세탁물에 잔류하는 경우, 이러한 의류를 사용자가 반복 착용하면 아토피와 같은 피부염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세탁수를 표면에 미소한 크기로 공급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세탁수를 미소한 크기로 생성하기 위한 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펌프의 구동에 따른 소음 및 이의 반복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들이 세탁물로부터 제거되도록 버블을 공급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브를 포함하는 세탁기는,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내부 공기를 혼합하는 용해부, 및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어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버블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해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형인 외부 바디와, 일측이 개방되고 외주면이 상기 외부 바디의 내주면과 서로 이격되어 용해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바디와, 상기 외부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내부 바디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용해 유입구가 형성된 용해캡과, 상기 내부 바디의 일영역에 형성된 다공부, 그리고 상기 외부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용해 유로를 통과한 물을 상기 버블 생성부로 안내하는 용해 안내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탁기의 상기 용해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내부 바디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하고, 상기 내부 바디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다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용해 유로로 넘쳐흐르며 상기 용해부에 저장된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부는, 상기 외부 바디에 상기 용해 안내구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부 바디 내측에 저유된 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일 때 상기 터브의 드레인 라인을 통해 배출도록 안내하는 용해 배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부는, 상기 용해캡에 설치되고 상기 용해 배수구를 통해 상기 터브의 드레인 라인으로 물을 배출시, 개방되어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내부 바디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일측에 형성된 버블 유입구와 타측에 형성된 버블 배출구를 포함하는 버블 바디, 그리고 상기 버블 바디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버블 유입구로부터 상기 버블 배출구로 갈수록 내경이 확경 형성되어 버블을 생성하는 버블 유로를 갖는 버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버블 노즐과 상기 버블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블 노즐을 통과하여 생성된 버블을 감압시키는 감압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 바디는 일측에 상기 버블 유입구가 형성된 제1 바디와,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타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버블 배출구가 형성된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바디의 일측은 일영역이 상기 용해캡을 향하는 방향으로 확경 형성된 경사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바디의 일단은 상기 내부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바디의 일단은 상기 외부 바디의 개방된 일측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캡은 상기 내부 바디와 대향하는 상기 용해 유입구의 일단이 상기 용해캡의 반구형 형상을 따라 확경 형성된 확경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버블 유입구와 상기 버블 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블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용해된 물을 상기 버블 노즐로 안내하는 버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브와,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내부 공기를 혼합하는 용해부, 그리고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어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하부로 공급하는 버블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브와,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내부 공기를 혼합하는 용해부, 그리고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어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상부로 공급하는 버블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탁기는 세탁물에 침투 가능한 버블을 공급하여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과 세탁물 사이의 표면장력을 떨어뜨려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용해부와 버블 생성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용해부와 버블 생성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용해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배출 체크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급기 체크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버블 생성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용해부의 상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세탁기(101)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터브(200)는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필요한 세탁수가 저수된다. 구체적으로, 터브(200)는 세탁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이다.
터브(200) 내측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250)가 배치되며, 세탁조(250) 하부에는 세탁조(250) 내부의 수류를 생성하는 펄세이터(260)가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구동부(270)가 설치되고 구동부(270)는 펄세이터(260) 및 세탁조(250)가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부(300)와 버블 생성부(400)를 포함한다.
용해부(300)는 내부에 공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용해부(300) 내부는 중공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 일정 압력이 유지되도록 공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용해부(300)로 물이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용해부(300)로 공급되는 물은 터브(200)에 저수될 세탁수의 적어도 일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용해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터브(200)의 상부측 보다 터브(200)의 하부측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용해부(300)는 터브(200)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하우징(100)과 터브(200) 사이에 배치된 현가장치의 공간을 방해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하우징(10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용해부(300)의 외부로부터 용해부(300)로 공급되는 물은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필요한 세탁수의 적어도 일부이다.
따라서, 용해부(300)는 외부로부터 용해부(300)로 공급된 물에 의해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함께 혼합되어, 공급된 물 내부에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한다.
버블 생성부(400)는 용해부(300)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로 버블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버블 생성부(400)는, 용해부(300)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버블 생성부(400)로 유입되어 버블을 생성하며, 생성된 버블을 터브(200)로 공급한다.
즉, 버블 생성부(400)를 통해 터브(200)로 공급되는 물에는 물과 버블이 함께 혼합되어 있어,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과 세탁물 사이의 표면장력을 떨어뜨려 세제 또는 이물질이 세탁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는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에 의해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바디(310)와 내부 바디(320)와 용해캡(330) 그리고 용해 안내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바디(310)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외부 바디(310)는 하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단면이 약"U"자형인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바디(320)는 외부 바디(310)와 동일하게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바디(320)는 외부 바디(3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바디(320)의 외주면은 내부 바디(320)의 외주면과 서로 이격되어 용해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바디(310)의 일측에 내부 바디(320)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다.
즉, 내부 바디(320)의 일측은 외부 바디(310)의 일측에 지지되고, 내부 바디(320)의 외주면은 외부 바디(31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용해 유로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용해캡(330)은 외부 바디(3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캡(330)은 약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외부 바디(310)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용해부(300) 내부에는 용해캡(330)의 반구형 형상과 외부 바디(310) 하부의 반구형 형상에 의해 공기가 효과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용해캡(330)에는 용해 유입구(331)가 형성될 수 있다. 용해 유입구(33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내부 바디(320)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내부 바디(320)의 일영에는 다공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공부(321)는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내부 바디(3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현재 유입되는 물과 충돌되어 용해 유로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다공부(321)는 내부 바디(320)의 일측의 일영역 또는 내부 바디(320)의 외주면의 일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부(321)는 용해 유입구(331)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내부 바디(320)의 일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다공부(321)는 복수의 홀이 서로 내부 바디(3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다공부(321)는 용해 유입구(331)와 인접한 내부 바디(32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용해캡(330)에 형성된 용해 유입구(331)로 유입된 물은 내부 바디(320) 내측으로 유입되어 내부 바디(320) 내측으로부터 다공부(321)를 통해 용해 유로를 따라 용해 유입구(33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캡(330)에 형성된 용해 유입구(331)로 공급된 물은 내부 바디(320) 그리고 내부 바디(320)와 외부 바디(310) 사이에 형성된 용해 유로를 따라 이동하며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와 혼합되며 용해 유입구(331)로부터 유입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별도의 교반 장치나 혼합 부재 없이, 용해부(300)의 용해 유입구(331)로 유입된 물은 용해부(300) 내부의 내부 바디(320)의 내측과 용해 유로를 따라 이동하며 효과적으로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용해 안내구(311)는 외부 바디(31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해 안내구(311)는 내부 바디(320)와 외부 바디(310) 사이에 형성된 용해 유로를 통과한 물이 버블 생성부(400)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용해 유입구(331)로 유입된 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바디(32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한다. 이때, 용해 유입구(331)로 계속 유입되는 물은 내부 바디(32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과 충돌하며 내부 바디(320)의 내벽을 따라 내부 바디(320)의 일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바디(32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한 물은 다공부(321)를 통해 용해 유로로 이동된다. 용해 유로로 유입된 물은 용해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 바디(310)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즉, 용해 유입구(331)로 유입된 물은 내부 바디(320)의 길이방향의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다 내부 바디(320) 내측에 저유된 물과 충돌되며 내부 바디(320)의 길이방향의 타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다공부(321)를 통해 넘쳐흘러 용해 유로를 따라 내부 바디(320)의 길이방향의 일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용해부(300)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와 혼합되어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입된 물 내부로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영역(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영역(323)은 내부 바디(320)의 일측의 일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영역(323)은 내부 바디(320) 중 용해캡(330)과 상대적으로 인접한 일영역이 용해캡(330)을 향하는 방향으로 확경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영역(323)은 내부 바디(320)의 일측 일영역이 외부 바디(310)의 내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경사영역(323)은 내부 바디(320) 중 내부 바디(3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내부 바디(320)로 유입된 물이 외부 바디(310)의 내주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내부 바디(32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유입된 물은 경사영역(323)과 접촉되며 내부로 공급된 물과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공급된 물에 공기가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부(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공부(321)는 내부 바디(3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공부(321)는 내부 바디(320)로 유입된 물이 용해 유로로 흘러 넘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부(321)는 내부 바디(320)의 경사영역(323)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다공부(321)는 복수의 홀이 내부 바디(3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영역(323)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바디(32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은 내부 바디(320) 내부에 저수되며, 내부 바디(320) 내측의 수위는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용해 유입구(331)로 계속 유입되는 물은 내부 바디(320)의 내측에 저유된 물과 충돌하게 되며, 이 물은 내부 바디(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바디(320)의 일측과 인접해 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다공부(321)를 통해 용해 유로로 흘러 넘칠 수 있다.
따라서, 다공부(321)는 용해부(300) 내부로 유입된 물이 내부 바디(320) 및 외부 바디(310) 그리고 내부 바디(320)와 외부 바디(310) 사이의 용해 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유입된 물에 효과적으로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용해부(300)는 별도의 교반창치 없이 효과적으로 유입된 물에 공기를 용해시킬 수 있다.
일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부(321)에 형성된 복수의 홀은 내부 바디(320)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약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바디(320)의 일단이 외부 바디(310)의 일측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내부 바디(320)의 일단은 내부 바디(320)의 최끝단으로, 내부 바디(320)의 일측의 최끝단일 수 있다. 내부 바디(320)의 일단은 내부 바디(32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바디(320)의 일단의 직경은 외부 바디(310)의 내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부 바디(310)의 개방된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내부 바디(320)의 일단은 외부 바디(310)의 일측의 두께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바디(320)의 일단이 내부 바디(32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 바디(320)의 외주면이 내부 바디(320)의 내주면과 서로 이격 되어 용해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경 유로(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캡(330)은 확경 유로(335)를 포함할 수 있다. 확경 유로(335)는 용해 유입구(33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경 유로(335)는 내부 바디(320)와 대향하는 확경 유로(335)가 용해캡(330)의 반구형 형상을 따라 확경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경 유로(335)는 내부 바디(320)와 대향하는 용해 유입구(331)의 일단에 형성되며, 용해캡(330)의 반구형 형상을 따라 내부 바디(320)를 향할수록 확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해 유입구(331)로 유입된 물은 확경 유로(335)를 따라 용해부(300) 내부로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어,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바디(310)는 용해 안내구(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해 안내구(311)는 외부 바디(310)의 타측에 외부 바디(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용해 안내구(311)는 용해부(300) 내부의 용해 유로를 통해 저장된 공기와 유입된 물이 혼합되어 공기가 용해된 물이 용해부(300)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용해부(300)는 배수홀(315)과 밸브 수용돌기(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바디(310)의 일측은 개방형으로 형성되고, 외부 바디(310)의 타측에는 배수홀(315)이 형성된다. 즉, 외부 바디(310)는 단면이 약 "U"자 형으로, 내부에 유체를 저유시킬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바디(310)의 일측은 전면이 완전히 개방되고, 외부 바디(310)의 타측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배수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배수홀(315)은 외부 바디(310)의 타측 최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수용돌기(351)는 배수홀(315)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수용돌기(351)는 외부 바디(310)의 타측 일영역이 외부 바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수용돌기(351)는 배수홀(315)을 감싸도록 외부 바디(310)의 타측 일영역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밸브 수용돌기(351) 내부는 배수홀(315)과 연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는 배출 체크밸브(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체크밸브(3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바디(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배수홀(3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배수홀(315)과 용해 배수구(31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체크밸브(350)에 의해 개방된 용해 배수구(312)를 통과한 물은 드레인 라인(210)을 통해 터브(200)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체크밸브(350)는 배수홀(315)을 개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배출 체크밸브(350)는 용해캡(330)과 외부 바디(310)가 결합되어 구획하는 내부의 압력 또는 용해 유입구(331)로부터 공급된 물의 수위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용해부(300)는 외부 바디(310)에 형성된 배수홀(315)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배출 체크밸브(350)를 포함하고 있어, 겨울철 용해부(300) 내에 물이 잔여하는 경우 잔여하는 물이 얼어 용해부(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배출 체크밸브(3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부재(20)와 밸브 커버부재(10) 그리고 탄성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재(20)는 일단부가 배수홀(315)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밸브 수용돌기(351) 내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밸브부재(20)는 배수홀(315)에 삽입된 일단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배수홀(315)을 개폐할 수 있다. 밸브부재(20)는 일단부가 배수홀(315)에 삽입 지지될 수 있다.
밸브 커버부재(10)는 밸브 수용돌기(351)의 외주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배수홀(315)을 통과한 물이 외부 바디(31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용해 배수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커버부재(10)는 밸브 수용돌기(351)의 외주면을 감싸며 밸브 수용돌기(35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부에 배수홀(315)과 밸브부재(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용해 배수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밸브부재(20)는 용해 배수구(312)와 배수홀(315)을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밸브 수용돌기(35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밸브 커버부재(10)의 밸브 수용돌기(351)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일면에는 밸브 수용돌기(351)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밸브부재(20)와 밸브 커버부재(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0)는 밸브부재(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30)는 밸브부재(20)가 배수홀(315)을 개방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30)는 밸브부재(20)가 배수홀(315)을 폐쇄시 압축되고, 밸브부재(20)가 배수홀(315)을 개방시 팽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의 밸브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중공(21)을 포함하고, 밸브부재(20)의 일단부의 외경은 배수홀(315)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밸브부재(20)는 밸브 중공(21)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중공(21)은 밸브부재(20)의 일단부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부이다. 구체적으로, 밸브부재(2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하고 있어, 밸브 중공(21)에 의해 외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변형되어 배수홀(315)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중공(21)을 중심으로 밸브부재(20)의 일단부의 외경은 배수홀(31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부재(20)는 밸브 중공(21)을 포함하고 있어, 배수홀(315)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밸브부재(20)의 일단부를 배수홀(315)에 효과적으로 삽입설치 할 수 있다. 즉, 밸브부재(20)는 중심부에 형성된 밸브 중공(21)이 외력에 의한 밸브부재(20)의 일단부가 변형되도록 변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밸브부재(20)를 배수홀(315)에 삽입 설치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의 밸브부재(20)의 타단부의 외경은 상기 배수홀(315)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부재(20)의 타단부에는 지지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부재(20)의 타단부의 외경은 배수홀(315)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부재(20)의 타단부의 외경은 밸브부재(20)의 일단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부재(20)의 타단부에는 지지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밸브 커버부재(10)의 내측과 대향하는 밸브부재(20)의 타단부에는 밸브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홈(22)은 밸브부재(20)의 중심을 따라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22)은 탄성부재(3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홈(22)에 적어도 일부의 탄성부재(30)의 일측이 삽입되어, 탄성부재(30)가 작용하는 탄성력을 밸브부재(2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의 밸브 커버부재(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40)는 밸브 커버부재(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40)는 밸브 커버부재(10)의 용해 배수구(312)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밸브부재(20)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40)는 탄성부재(30)의 타측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탄성부재(30)가 밸브 커버부재(10)와 탄성부재(30) 사이에서 신장과 수축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걸림돌기(40)는 탄성부재(30)가 탄성부재(30)의 내주면을 지지여, 밸브 커버부재(10) 내측에 효과적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의 밸브 커버부재(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리브(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리브(12)는 밸브 커버부재(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리브(12)는 밸브 수용돌기(351)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커버 외벽(11)과 걸림돌기(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커버부재(10)는 밸브 수용돌기(351)의 외주면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커버 외벽(11)과 중심부에 형성된 용해 배수구(312)를 포함한다.
밸브 리브(12)는 밸브 커버부재(10)에 형성되며, 용해 배수구(312)와 커버 외벽(11) 사이에 용해 배수구(312)의 중심을 따라 외부 바디(310) 또는 밸브부재(20)를 향해 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리브(12)는 걸림돌기(40)와 커버 외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밸브 리브(12)는 걸림돌기(40) 보다 상대적으로 용해 배수구(32)와 멀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밸브 리브(12)와 커버 외벽(11) 사이에 밸브 수용돌기(35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의 배출 체크밸브(350)는 제1 밀봉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부재(60)는 커버 외벽(11)과 밸브 리브(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밀봉부재(60)는 밸브 수용돌기(351)와 밸브 커버부재(10) 사이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리브(12)와 커버 외벽(11) 사이에 배치된 제1 밀봉부재(60)의 일면은 밸브 수용돌기(351)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홀(315)을 통해 용해 배수구(312)를 통과하는 물이 커버 외벽(11)과 밸브 수용돌기(351) 외주면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밀봉부재(60)는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부(3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의 외부 바디(310)는 지지돌기(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352)는 외부 바디(3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352)는 배수홀(315)을 중심으로 외부 바디(310)의 타측의 외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돌기(352)는 외부 바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 바디(310)의 외주부에 돌출 형성되고, 복수로 형성되어 배수홀(315)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352)는 밸브부재(20)의 타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352)는 밸브부재(20)가 배수홀(315)을 개방하는 경우, 배수홀(315)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밸브부재(20)의 타단부가 배수홀(315)을 폐쇄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즉, 밸브부재(20)가 배수홀(315)을 개방하는 경우, 밸브부재(20)의 타단부는 지지돌기(352)의 일면과 접촉하고, 복수의 지지돌기(352)는 배수홀(315)을 통과한 물이 복수의 지지돌기(352) 사이를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체크밸브(35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밀봉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봉부재(50)는 외부 바디(310)의 일면과 대향하는 커버 외벽(11)의 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밀봉부재(50)는 커버 외벽(11)의 외부 바디(310)와 대향하는 일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 배치되어, 외부 바디(310)와 밸브 커버부재(10) 사이의 기밀 및 밀봉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용해부(300)는 용해 배수구(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해 배수구(312)는 외부 바디(310)의 타측에 형성되며, 용해 안내구(311)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 배수구(312)는 외부 바디(310)의 반구형의 최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용해 안내구(311)는 용해 배수구(31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해 배수구(312)는 외부 바디(310) 내측에 저유된 물의 양(또는 내부 바디(320) 및 외부 바디(310)의 내측의 저수된 수위가)이 일정량 이상일 때 터브(200)의 드레인 라인(210)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레인 라인(210)은 터브(200) 하부에 설치되어, 터브(200)에 저유된 세탁수가 터브(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즉, 용해 배수구(312)와 드레인 라인(210)은 배관 또는 호스 등으로 연결되어 외부 바디(310)와 내부 바디(320)에 저유된 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일 때 용해 배수구(312)를 통과한 물이 드레인 라인(210)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는, 외부 바디(310) 내측에 저유된 물의 양이 일정량(또는 일정 수위) 이상일 때, 용해부(300) 내부에 기저장된 공기가 용해부(300) 내부로 이미 유입된 물에 용해되어 버블 생생부(400)로 이동하여 현재 용해부(300) 내부에 잔여하는 공기가 용해부(3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용해부(30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차단하고 용해부(300) 내측에 저장된 물이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용해부(300) 외부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바디(320)의 반구형 타측에는 내부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홀(322)은 내부 바디(320)의 일측의 개방된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미소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있어, 용해 유입구(331)로 유입된 물이 바로 내부홀(322)을 통해 용해 안내구(311)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홀(322)은 내부 바디(320)의 내측 및 외부 바디(310)와 내부 바디(320) 사이의 용해 유로에 저유된 물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터브(200)의 드레인 라인(210)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용해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체크밸브(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캡(33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캡(330) 상이 용해 유입구(331)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터브(200)의 드레인 라인(210)으로 물이 배출되는 경우, 개방되어 용해부(300)의 내부 바디(320)와 외부 바디(31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일 때 개방되어 용해부(300) 내부로 공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즉, 별도의 공기가 저장된 탱크 또는 펌프로부터 용해부(300)에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급기 체크밸브(340)가 개폐되어, 용해부(300) 내부로 공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급기 체크밸브(3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효과적을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부(3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용해부(3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가 되면 개방되어 용해부(300) 내부고 공기를 충전시키고,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폐쇄될 수 있다. 즉,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부(30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해부(300)는 급기 체크밸브(340)를 포함하고 있어, 용해부(300) 내부로 공급된 물에 공기가 용해되도록 용해부(300) 내부의 공기의 양(압력)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용해부(300) 내부에 충전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용해부(3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체크밸브(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캡(33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캡(330) 상이 용해 유입구(331)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터브(200)의 드레인 라인(210)으로 물이 배출되는 경우, 개방되어 용해부(300)의 내부 바디(320)와 외부 바디(31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 체크밸브(340)는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일 때 개방되어 용해부(300) 내부로 공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즉, 별도의 공기가 저장된 탱크 또는 펌프로부터 용해부(300)에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급기 체크밸브(340)가 개폐되어, 용해부(300) 내부로 공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급기 체크밸브(3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효과적을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 체크밸브(3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공(332)과 급기 커버(341) 그리고 급기밸브(347)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공(332)은 용해캡(33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통공(332)은 용해 유입구(331)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기 커버(341)와 용해캡(330) 사이에는 급기 기밀부재(348)가 설치되어,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의 기밀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예로, 연통공(332)이 형성된 용해캡(330)은 용해 유입구(331)가 형성된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용해캡(330)의 일영역이 용해 유입구(33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된 일영에 연통공(332)이 형성될 수 있다.
급기 커버(341)는 일측에 급기공(340)이 형성될 수 있다. 급기공(340)은 외기가 용해부(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홀일 수 있다. 또한, 급기 커버(341)의 타측에는 설치영역(343)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영역(343)은 급기 커버(341)의 타측이 급기공(340)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즉, 설치영역(343)은 연통공(332)과 급기공(340)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급기 커버(341)는 용해캡(33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 커버(341)는 연통공(332)이 형성된 용해캡(330)의 돌출된 일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급기밸브(347)는 설치영역(343)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급기밸브(347)는 용해부(3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급기공(340)과 연통공(332)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밸브(347)는 용해부(300)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 용해부(300)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급기공(340)을 폐쇄시킬 수 있다. 또는, 급기밸브(347)는 용해부(300)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미만인 경우, 용해부(30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충전되도록 급기공(340)과 연통공(332)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급기밸브(347)는 별도의 전자적인 구동수단 없이 용해부(3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급기공(340)과 연통공(332)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일예로, 급기밸브(347)는 탄성소재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 체크밸브(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지지공(3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지지공(336)은 용해캡(33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지지공(336)은 연통공(332)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지지공(336)은 급기밸브(347)를 지지할 수 있다. 즉, 급기밸브(347)는 밸브 지지공(336)과 급기공(340) 사이의 용해캡(330)과 급기 커버(341)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연통공(332)은 밸브 지지공(336)을 중심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연통공(332)은 밸브 지지공(336)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지지공(336)의 중심 축과 급기공(342)의 중심 축은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급기 커버(341)에 형성된 설치영역(343)은 복수의 연통공(332)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밸브(34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급기밸브(347)의 일단부는 급기공(34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밸브(347)의 일단부는 급기 커버(341)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급기공(340)을 개폐할 수 있다.
급기밸브(347)의 타단부는 급기밸브(347)의 일단부의 일단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밸브(347)의 타단부는 밸브 지지공(336)을 커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기밸브(347)의 일단부는 급기공(34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밸브립(34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기공(342)과 대향하는 급기밸브(347)에는 밸브돌기(346)이 형성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밸브립(344)의 경사진 일면은 복수의 연통공(332)과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용해부(300) 내부의 저장된 공기가 연통공(332)을 통해 밸브립(344)의 경사진 일면을 가압하여, 연통공(332)을 통해 용해부(300) 외부로 저장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급기밸브(347)의 일단부가 급기공(340)을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밸브(347)는 급기돌기(345)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돌기(345)는 급기밸브(347)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기돌기(345)는 밸브 지지공(336)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미만인 경우, 급기공(342)을 통해 공급된 외기는 급기밸브(347)의 일단부와 설치영역(343) 사이를 통과하여 연통공(332)을 통해 용해부(300) 내부로 충전될 수 있다. 이때, 급기밸브(347)의 급기돌기(345)는 밸브 지지공(336)에 삽입되어, 급기밸브(347)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압력에 의해 급기밸브(347)의 위치가 이탈되어 연통공(33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버블 생성부(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블 바디(410)와 버블 노즐(420)을 포함할 수 있다.
버블 바디(410)는 버블 유입구(411)와 버블 배출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블 유입구(411)는 버블 바디(4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용해 안내구(311)와 연결될 수 있다. 버블 배출구(412)는 버블 바디(41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버블 노즐(420)은 버블 바디(4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블 노즐(420)은 버블 유입구(411)로부터 버블 배출구(412)로 갈수록 내경이 확경 형성된 버블 유로(42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블 유입구(411)로 유입된 공기가 용해된 물은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며 물에 용해된 물이 탈기하며 버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버블 노즐(420)에는 버블 유로(421)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버블 노즐(420)에는 하나 이상의 버블 유로(4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블 생성부(400)는 버블 유로(421)가 형성된 버블 노즐(420)에 의해 공기가 용해된 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버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버블 생성부(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영역(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압영역(440)은 버블 노즐(420)과 버블 배출구(412) 사이의 버블 바디(4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감압영역(440)은 버블 유입구(411) 보다 버블 배출구(412)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버블 유로(421)의 일측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버블 유로(421)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감압영역(440)이 형성된 버블 바디(410)의 내측은 복수의 버블 유로(421)의 일측의 합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며 생성된 버블은 감압영역(440) 내부에서 감압되어 버블 배출구(412)를 통해 터브(2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버블 생성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 체크밸브(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블 체크밸브(430)는 버블 바디(410) 내의 버블 유입구(411)와 버블 노즐(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블 체크밸브(430)는 공기가 용해된 물을 버블 유입구(411)로부터 버블 노즐(420)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버블 체크밸브(430)는 버블 배출구(412)로부터 버블 유입구(411)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버블 체크밸브(430)는 공기가 용해된 물의 압력에 의해 버블 유입구(411)를 개방시켜 버블 유입구(411)로 유입된 공기가 용해된 물이 버블 노즐(420)에 형성된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버블 배출구(412)로부터 유체가 공급되어 버블 유입구(411)로 이동되는 경우, 버블 유입구(411)를 폐쇄시켜 유체가 용해부(30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버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버블 및 이를 포함하는 물이 터브(200)의 하부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버블 및 이를 포함하는 물은 터브(200) 하부와 연결되어, 터브(200)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00) 내측으로 공급된 버블 및 이를 포함하는 물은 세탁기(101)의 터브(200) 내측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2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버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버블 및 이를 포함하는 물은 세탁조(250) 내부에 수납된 세탁물의 하부로 공급되어, 세탁물에 부착된 잔여 세제 또는 이물질이 세탁물로부터 이탈되도록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0)의 하부로 버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버블 및 이를 포함하는 물을 공급하는 경우, 터브(200)의 상부로 공급되어 세탁조(250) 및 터브(200) 내로 유입되어 저수되는 세탁수를 통과하며 더욱 효과적으로 버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버블 바디(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415)의 일측에는 버블 유입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416)의 일측은 제1 바디(415)의 타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415)의 타측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416)의 일측 내주면에는 제1 바디(41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계합 가능한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416)의 타측에는 버블 배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블 유입구(411)와 버블 배출구(412)는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415)와 타측과 제2 바디(416)의 일측 사이에 버블 노즐(42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415)의 버블 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용해된 물은 버블 노즐(420)의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며 버블을 생성한 후, 생성된 버블이 제2 바디(416)의 버블 배출구(412)를 통해 버블 생성부(4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버블 노즐(420)에 형성된 버블 유로(421)에 이물질 등이 끼는 경우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를 분리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버블 생성부(400)의 제조시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 그리고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버블 노즐(420)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블 노즐(42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버블 노즐(420)의 일측에는 버블 유로(4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블 노즐(420)의 일측의 외주면은 제1 바디(415)의 내주면과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블 노즐(420)의 타측은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블 노즐(420)의 타측의 외주면은 제2 바디(416)의 내주면과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버블 노즐(420)의 일측의 직경은 버블 노즐(420)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서오딜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415)의 일측 내주면은 제2 바디(416)의 타측 외주면과 버블 노즐(420)의 타측 외주면과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블 노즐(420)의 타측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버블 노즐(420)의 일측에 형성된 버블 유로(421)와 제2 바디(416)의 타측에 형성된 버블 배출구(412)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블 생생부(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415)의 타측과 버블 노즐(420)의 타측 사이에 배치된 노즐 밀봉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밀봉부재(450)는 버블 노즐(420)의 일측의 외주면과 제2 바디(416)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여 발생된 버블이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 사이로 누기 및 누설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2)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가 포함하는 용해부(300)와 버블 생성부(400)의 구성을 동일하게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2)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며, 버블 생성부(400)로부터 터브(200) 사이의 연결 관계만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2)의 버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버블을 포함하는 물은 터브(200)의 상부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버블 및 이를 포함하는 물은 세탁기(101)의 터브(20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노즐 젯(Nozzle jet)(220)을 통해 터브(200)의 상부로 공급될 수 있다. 즉, 버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버블 및 이를 포함하는 물은 세탁기(102)의 터브(200) 상부의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된 노즐 젯(220)을 통해 터브(200) 상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세탁기(101)의 세탁 또는 헹굼 모드시 터브(200)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세탁수는 터브(200)의 상부 및 용해부(300)로 공급된다. 용해부(300)로 공급된 세탁수는,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와 혼합된다.
구체적으로, 용해부(300) 내부에는 급기 체크밸브(340)를 통해 용해부(300)의 내부의 압력에 따라 일정 압력이하일 때 공급된 공기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용해부(300) 내부로 공급된 물은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물에 용해되도록 용해부(300) 내부를 따라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유입된 물은 내부 바디(32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내부 바디(320)의 중공형 내측에 저유된다. 이때,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계속 공급이 유지되는 물과 내부 바디(320)의 중공형 내측에 저유된 물은 서로 충돌하며 내부 바디(32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며, 내부 바디(320)의 개방된 일측과 인접한 내부 바디(320)의 일영역에 형성된 다공부(321)를 통해 외부 바디(310)의 내주면과 내부 바디(320)의 외주면 사이의 용해 유로로 흘러 넘친다.
따라서, 용해부(300)로 유입된 물은 내부 바디(320) 및 내부 바디(320)와 외부 바디(310) 사이의 용해 유로를 따라 이동하며, 별도의 펌프 또는 교반장치 없이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와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용해 유입구(331)로 유입된 물에 공기가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용해부(300) 내의 공기가 용해된 물은 용해 안내구(311)를 통해 버블 생성부(400)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용해된 물의 압력에 의해 버블 바디(410) 내측에 배치된 버블 체크밸브(430)는 개방되며 버블 유입구(411)를 통해 버블 노즐(420)로 안내된다.
그리고, 공기가 용해된 물은 버블 노즐(420)에 형성된 버블 유입구(411)로부터 버블 배출구(412)로 갈수록 내경이 확경 형성된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며, 공기가 용해된 물로부터 공기가 탈기되며 버블이 생성된다. 즉, 버블 유로(421)의 직경 및 개수에 따라 미세한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버블은 감압영역(440)이 저장되어 감압되어, 버블 배출구(412)를 통해 터브(200)의 하부에 연결된 드레인 라인(210)을 통해 터브(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조(250)에 수용된 세탁물에 버블을 포함하는 물이 터브(200) 하부로 공급되고, 터브(200) 상부로 세탁수가 함께 공급되어 세탁물 표면에 잔여하는 세제 및 이물질이 세탁물로 탈거 되도록 할 수 있다. 터브(200)의 하부로 공급된 버블은 터브(200)의 상부에서 공급되어 터브(200)에 저수된 세탁수 내부를 통과하며 효과적으로 버블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세탁조(250)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과 터브(200)의 하부를 통해 공급된 버블이 충돌하며 세탁물 표면에 부착된 잔여 세제 또는 이물질이 세탁물로 부퍼 효과적으로 탈거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는 수위 센서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부(300)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수위 센서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수위 센서가 검출한 용해부(300) 내부의 현재 수위에 따라, 검출된 용해부(300) 내부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의 수위에 따라 기설정된 일정량 이상의 물이 용해부(300) 내측으로 공급된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용해부(300) 내부에 기저장된 공기가 용해부(300) 외부로 배출되어 용해 유입구(331)로 공급된 물에 공기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키지 못하는 경우, 용해 유입구(331)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차단시킨다. 이때, 용해부(300) 내부에 잔여하는 공기가 용해된 물은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버블 생성부(400)로 공급된다.
이후,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공급이 차단된 후, 버블 생성부(400)의 버블 체크밸브(430)를 가압하여 버블 유입구(411)를 개방할 수 없는 물이 용해부(300) 내부에 잔존한다. 이때, 내부 바디(320)의 반구형 타측에 형성된 내부홀(322)을 통해 내부 바디(320) 내측에 잔존하는 물은 내부 바디(320)의 반구형 타측과 외부 바디(310)의 반구형 타측 사이의 용해 유로에 모인다.
그리고, 외부 바디(310)의 반구형 타측에 배치된 배출 체크밸브(350)가 용해부(300) 내부의 잔존하는 물의 수위(압력)에 따라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바디(320)의 반구형 타측에 형성된 내부홀(322)을 통해 내부 바디(320) 내측에 잔존하는 물은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터브(200)에 저장된 물이 터브(200)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터브(200)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 라인(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용해캡(330)에 설치된 급기 체크밸브(340)는 개방되어 용해부(3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에 의해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잔존하는 물이 드레인 라인(210)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용해부(300)에 잔존하는 물이 배출되고 공기가 용해부(300)에 충전되면, 급기 체크밸브(340)와 배출 체크밸브(350)가 폐쇄되어 용해부(300)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계속 버블을 터브(200)에 공급해야 하는 경우, 용해 유입구(331)로 물의 공급이 재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용해 유입구(331)로 공급된 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해부(300) 내부에서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과 혼합되며 공기가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수위 센서 또는 기설정된 세탁 및 헹굼 프로그램에 따라 용해 유입구(331)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는 공기가 용해된 물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버블을 생성하여 터브(200)의 하부로에 공급시킬 수 있어, 세탁물을 세탁 또는 헹굼시 세탁물에 잔여하는 세제 및 이물질이 세탁물로부터 효과적으로 탈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세탁물에 세제 또는 이물질이 잔여 하는 경우 발생되는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2)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2)의 동작 과정 중 버블 생성부(400)가 버블을 생성하는 부분까지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와 동일하다. 따라서, 버블 생성부(400)에서 버블이 생성된 후 터브(200)로 공급되는 과정만을 서술한다.
버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버블 및 이를 포함하는 물은 하우징(100) 내의 터브(200)의 상부에 설치된 노즐 젯(220)을 통해 터브(200) 및 세탁조(250)에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2)의 세탁수는 터브(200)의 상부 및 버블을 포함하는 세탁수가 터브(200)의 상부에 설치된 노즐 젯(220)을 통해 함께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조(250)에 수용된 세탁물에 효과적으로 버블 및 세탁수를 함께 공급하여 세탁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및 잔여 하는 세제가 세탁물로부터 효과적으로 탈거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2)는 공기가 용해된 물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버블을 생성하여 터브(200)의 상부로 공급시킬 수 있어, 세탁물을 세탁 또는 헹굼시 세탁물에 잔여 하는 세제 및 이물질이 세탁물로부터 효과적으로 탈거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세탁물에 세제 또는 이물질이 잔여 하는 경우 발생되는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01,102: 세탁기
200: 터브 210: 드레인 라인
300: 용해부 310: 외부 바디
311: 용해 안내구 312: 용해 배수구
320: 내부 바디 321: 다공부
330: 용해캡 331: 용해 유입구
340: 급기 체크밸브 400: 버블 생성부
410: 버블 바디 411: 버블 유입구
412: 버블 배출구 420: 버블 노즐
421: 버블 유로 430: 버블 체크밸브
440: 감압영역 315: 배수홀
350: 배출 체크밸브 351: 밸브 수용돌기
10: 밸브 커버부재 20: 밸브부재
30: 탄성부재

Claims (1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브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내부 공기를 혼합하는 용해부; 및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어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버블 생성부
    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서,
    상기 용해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형인 외부 바디;
    일측이 개방되고, 외주면이 상기 외부 바디의 내주면과 서로 이격되어 용해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바디;
    상기 외부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내부 바디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용해 유입구가 형성된 용해캡;
    상기 내부 바디의 일영역에 형성된 다공부; 및
    상기 외부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용해 유로를 통과한 물을 상기 버블 생성부로 안내하는 용해 안내구
    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2항에서,
    상기 용해부는,
    상기 외부 바디의 타측에 형성된 배수홀; 및
    상기 배수홀을 감싸며, 상기 외부 바디의 타측 일영역이 상기 외부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 형성된 밸브 수용돌기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4. 제3항에서,
    상기 외부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홀을 개폐 가능한 배출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5. 제4항에서,
    상기 배출 체크밸브는,
    일단부가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밸브부재;
    상기 밸브 수용돌기의 외주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홀을 통과한 물이 상기 외부 바디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도록 상기 용해 배수구가 형성된 밸브 커버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2항에서,
    상기 용해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내부 바디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하고, 상기 내부 바디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다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용해 유로로 넘쳐흐르며 상기 용해부에 저장된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2항에서,
    상기 용해부는,
    상기 외부 바디에 상기 용해 안내구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부 바디 내측에 저유된 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일 때 상기 터브의 드레인 라인을 통해 배출도록 안내하는 용해 배수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8. 제4항에서,
    상기 용해부는,
    상기 용해캡에 설치되고 상기 용해 배수구를 통해 상기 터브의 드레인 라인으로 물을 배출시, 개방되어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내부 바디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9. 제1항에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일측에 형성된 버블 유입구와, 타측에 형성된 버블 배출구를 포함하는 버블 바디; 및
    상기 버블 바디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버블 유입로부터 상기 버블 배출구로 갈수록 내경이 확경 형성되어 버블을 생성하는 버블 유로를 갖는 버블 노즐
    을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버블 노즐과 상기 버블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블 노즐을 통과하여 생성된 버블을 감압시키는 감압영역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9항에서,
    상기 버블 바디는,
    일측에 상기 버블 유입구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타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버블 배출구가 형성된 제2 바디
    를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2항에서,
    상기 내부 바디의 일측은,
    일영역이 상기 용해캡을 향하는 방향으로 확경 형성된 경사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2항에서,
    상기 내부 바디의 일단은 상기 내부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바디의 일단은 상기 외부 바디의 개방된 일측에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2항에서,
    상기 용해캡은,
    상기 내부 바와 대향하는 상기 용해 유입구의 일단이 상기 용해캡의 반구형 형상을 따라 확경 형성된 확경 유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1항에서,
    상기 용해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9항에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버블 유입구와 상기 버블 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블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용해된 물을 상기 버블 노즐로 안내하는 버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7.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브;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내부 공기를 혼합하는 용해부; 및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어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하부로 공급하는 버블 생성부
    를 포함하는 세탁기.
  18.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브;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내부 공기를 혼합하는 용해부; 및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어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상부로 공급하는 버블 생성부
    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60124313A 2016-09-27 2016-09-27 세탁기 KR20180034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313A KR20180034155A (ko) 2016-09-27 2016-09-27 세탁기
CN201710242348.5A CN107869019B (zh) 2016-09-27 2017-04-13 洗衣机
US15/499,686 US10422066B2 (en) 2016-09-27 2017-04-27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313A KR20180034155A (ko) 2016-09-27 2016-09-27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155A true KR20180034155A (ko) 2018-04-04

Family

ID=6168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313A KR20180034155A (ko) 2016-09-27 2016-09-27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22066B2 (ko)
KR (1) KR20180034155A (ko)
CN (1) CN1078690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3993B (zh) * 2018-08-31 2023-06-06 厦门米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气泡减阻波轮及包含该波轮的清洗机
CN210085836U (zh) 2018-11-21 2020-02-1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WO2020103380A1 (zh) * 2018-11-21 2020-05-2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WO2020103379A1 (zh) * 2018-11-21 2020-05-2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56429Y (zh) * 1996-02-01 1997-06-18 王志锐 微泡及喷射水流洗衣机
JP2002306886A (ja) * 2000-07-11 2002-10-22 Natural Clean Inc 業務用洗濯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業務用洗濯装置
US7255332B2 (en) * 2004-05-25 2007-08-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System and method for dissolving gases in liquids
WO2009057952A2 (en) * 2007-10-31 2009-05-07 Robotous Co., Ltd. Shower and wash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US9060916B2 (en) * 2009-01-12 2015-06-23 Jason International, Inc.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US8201811B2 (en) * 2009-01-12 2012-06-19 Jason International, Inc.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KR20120071528A (ko) * 2010-12-23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5561492B2 (ja) * 2011-11-04 2014-07-30 Smc株式会社 チェック弁
CN104711824B (zh) * 2013-12-12 2018-09-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及控制方法
KR101568209B1 (ko) * 2013-12-24 2015-1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버블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87200A1 (en) 2018-03-29
CN107869019B (zh) 2020-10-23
CN107869019A (zh) 2018-04-03
US10422066B2 (en)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155A (ko) 세탁기
KR101757740B1 (ko) 세제함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80034145A (ko) 세탁기
CN110318211B (zh) 洗衣机和用于洗衣机的微泡产生器
US20180274150A1 (en) Washing Machine and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US20180274164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 Water Including Micro-Bubbles
EP2412866A2 (en) Washing machine
US20180274152A1 (en) Washing Machine,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in Washing Machine
US20180274149A1 (en) Washing Machine,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Wash Water Including Micro-Bubbles in the Washing Machine
KR20150135043A (ko) 세탁기
KR20180034154A (ko) 세탁기
KR20180034146A (ko) 세탁기
US20180274151A1 (en) Washing Machine,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 Water Including Micro-Bubbles in a Washing Machine
CN213267180U (zh) 储液盒和衣物处理装置
CN107869025B (zh) 洗衣机
KR10250266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발생기
EP4071289A1 (en) Microbubble spray head, microbubble treatment agent box assembly and washing device
KR20180034144A (ko) 세탁기
KR20180034152A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9187686A (ja) 洗濯機の注水ケース、及び洗濯機
CN110318212B (zh) 洗衣机和用于洗衣机的微泡产生器
US20180274153A1 (en) Washing Machine,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 Water Including Micro-Bubbles in a Washing Machine
JP6449419B2 (ja) 洗濯機
CN218090182U (zh) 滚筒洗衣机
JP201806464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