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095A -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095A
KR20180034095A KR1020160124197A KR20160124197A KR20180034095A KR 20180034095 A KR20180034095 A KR 20180034095A KR 1020160124197 A KR1020160124197 A KR 1020160124197A KR 20160124197 A KR20160124197 A KR 20160124197A KR 20180034095 A KR20180034095 A KR 2018003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computing
improvement
computing system
evaluation condi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김민선
김상훈
김현지
이태경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2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095A/ko
Publication of KR2018003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7Certifying or maintaining trusted computer platforms, e.g. secure boots or power-downs, version controls, system software checks, secure updates or assessing vulnerabilities
    • G06F21/577Assessing vulnerabilities and evaluating computer system security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하고, 평가조건에 따른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Cloud Computing System for Providing of Service associated with Cloud Computing}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최적화 상태를 분석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들의 IT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축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복수개의 컴퓨터가 하나의 컴퓨터처럼 작동하도록 연결된 동일한 하드웨어 플랫폼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립적인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을 제공하는 분산 컴퓨팅 시스템이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한 기업들은 각종 유해한 악성코드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보안성에 대한 장점을 갖지만, 능동적으로 악성코드에 대처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규모의 기업은 여건 상의 문제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초기에 구축할 때 또는 클라우스 컴퓨팅 시스템에 문제점이 발생되었을 때에만 전문적인 컨설팅 업체를 통해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과 관련된 개선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개선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하고, 상기 평가조건에 따른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평가조건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인지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에 대한 최적화 상태여부에 따라 상기 평가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이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이 최적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문자메시지 및 이메일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는, 웹 페이지 형태로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과 관련된 하이퍼바이저 및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확인된 이용패턴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평가조건에 따른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를 분석하는 동작이다.
또한,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인지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가 아니면, 상기 평가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확인하는 동작이다.
또한,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이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이 최적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문자메시지 및 이메일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웹 페이지 형태로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과 관련된 하이퍼바이저 및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확인된 이용패턴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과 관련된 하이퍼바이저 및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하고, 상기 평가조건에 따른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생성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서비스제공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과 관련된 개선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개선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은 모니터링 장치(100), 가상 머신(110), 하이퍼바이저(120), 클라우드 플랫폼(130) 및 전자장치(20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에 존재하는 모든 종단 장치를 모니터링하여, 종단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종단 장치는 가상 머신(110), 하이퍼바이저(120) 및 클라우드 플랫폼(130)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장치(100) 자체를 포함한다.
가상 머신(110)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을 포함한다. 가상 머신(110)은 소프트웨어인 하이퍼바이저(120)에 의해 구현된다. 가상 머신(110)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가상 머신으로, 사용자 소프트웨어 등을 실행한다. 가상 머신(110)은 가상 머신의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네트워크 inbound/outbound 통신량에 대한 이용패턴을 수집한다.
하이퍼바이저(120)는 가상 머신(110)을 관리하는 가상 환경을 제공하여 가상화된 풀을 관리하고, 가상 머신(110)의 CPU, 메모리 사용량 및 물리 호스트 장비에 대한 이용패턴을 가상 머신(110)으로 제공한다.
클라우드 플랫폼(130)은 가상 머신(110)의 IP주소, 포트 포워딩 정보 및 가상 머신(110)에 대한 이미지 및 스냅샷 정보 등과 관련된 이용패턴을 수집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가상 머신(110), 하이퍼바이저(120) 및 클라우드 플랫폼(130)의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정보 중에서 특정 정보에 Critical/Warning/Info 알람을 설정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알람이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 중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이용패턴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취합한다.
전자장치(200)는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취합된 정보 예컨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 전자장치(200)는 수신된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한다. 평가조건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를 포함한다. 구조 상태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조건이다. 가성비 상태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성능 예컨대, 데이터를 얼마나 빨리 또는 많이 처리할 수 있는지를 비용에 대비하여 분석하기 위한 평가조건이다. 보안 상태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얼마나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조건이다.
전자장치(200)는 평가조건의 분석결과, 평가조건이 최적화된 상태이면 최적화된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 메시지를 생성한다. 전자장치(200)는 상태 메시지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전자장치(200)는 평가조건이 최적화된 상태가 아니면, 평가조건과 관련된 개선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개선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확인하여 출력한다. 전자장치(200)는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문자메시지 및 이메일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외부 장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장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모니터링 서버(100), 가상 머신(110), 하이퍼바이저(120) 및 클라우드 플랫폼(130) 등의 종단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부(2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종단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BLE(bluetooth low energy) 및 IR(infrared ray)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2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 shuttle), 센서(sensor), 터치 키(touch key) 및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23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출력부(230)는 입력부(2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과 관련된 개선점 및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40)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평가조건과 관련된 개선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테이블을 저장한다.
평가조건 카테고리 개선점 개선점 상세정보 개선 방안
구조 상태 가용성 향상 서버이중화 사용자 계정 내에 이중화 되지 않은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서버 이중화 권고
가용성 향상 로드밸런서 구성 웹 서버에 로드밸런서 구성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로드밸런서 구축 권고
기본 스냅샷 구성 서버에 연결된 스냅샷이 없는 경우 스냅샷 백업 권고
기본 이미지 구성 이미지 템플릿으로 관리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 템플릿 제작 권고
장애분산 멀티미디어센터 구성 하나의 영역에 모든 서버를 구성한 경우 복수개의 영역에 서버의 분산 배치 권고
장애분산 GSLB구성 복수개의 영역에 웹 서버 구성 후, GSLB(global load balancer)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 GSLB구축 권고
가성비 상태 성능 과다성능 서버점검 (3개월 이상 사용서버를 대상으로)서버 CPU 및 메모리 부하가 단 한번도 50%를 넘지 않은 경우 서버 사양 축소 권고
성능 과소성능 서버점검 (3개월 이상 사용서버를 대상으로)서버 CPU 및 메모리 부하가 10번 이상 70%를 넘은 경우 서버 사양 증설 권고
비용 정지대상 서버점검 (3개월 이상 사용서버를 대상으로)서버 CPU 및 메모리 부하가 1개월 이상 10%미만인 경우 또는 3개월 이상 트래픽이 0인 경우 서버 정지 권고
비용 장기미사용 탐지 3개월 이상 정지 상태가 유지된 경우(정지요금 부과) 서버 삭제 권고
안정성 장기사용 탐지 200일 이상 구동 중인 경우 서버 재시작 권고
보안 상태 접근제한 Open port탐지 IP포트 접근이 제한없이 모두 열려있는 경우 또는 well-known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포트포워딩 재설정 권고
모니터링 인프라 모니터링 디폴트로 제공하는 알람 외 기타 알람 기능 미사용 시 알람 설정 권고
보안강화 웹 방화벽 웹 서버에 웹 방화벽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웹 방화벽 솔루션 권고(솔루션 자동 추천)
제어부(250)는 모니터링 장치(100), 가상 머신(110), 하이퍼바이저(120) 및 클라우드 플랫폼(130)을 포함하는 종단장치로부터 수신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평가조건을 분석한다. 평가조건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를 포함한다.
구조 상태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조건이다. 제어부(250)는 클라우드 플랫폼(130)에 의해 확인된 가상 머신(100)의 위치 주소, 원본 이미지 정보 등의 상세 구성정보, 가상 머신(100)의 이미지 및 스냅샷 정보 등과 관련된 이용패턴으로부터 구조 상태에 대한 평가조건을 분석한다.
가성비 상태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성능 예컨대, 현재 구성한 가상 머신(100)의 스펙 대비하여 가상 머신(100)이 사용하는 자원들의 수준이 적절한가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조건이다. 제어부(250)는 가상 머신(110)에서 확인된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클라우드 플랫폼(130)에서 확인된 네트워크 inbound/outbound 통신량에 대한 이용패턴으로부터 가성비 상태에 대한 평가조건을 분석한다.
보안 상태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얼마나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조건이다. 제어부(250)는 클라우드 플랫폼(130)에 의해 확인된 가상 머신(110)의 IP 포트 포워딩 구성 정보, WEB/WAS 보안 목적의 가상 머신(100)(예컨대, 원본 이미지 정보 등으로 대조 확인) 추가 구성 여부, LB(load balancer)구성 정보 등과 관련된 이용패턴으로부터 보안 상태에 대한 평가조건을 분석한다.
제어부(250)는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이면, 각각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이므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이 최적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리는 상태 메시지를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상태 메시지를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외부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가 아니면, 각각의 평가조건에 따른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확인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분석결과, 구조 상태가 최적화 상태가 아니면, 구조 상태에 대한 개선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표 1에서와 같이 서버 이중화와 관련된 점을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개선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개선점의 상세정보로 사용자 계정 내에 이중화되지 않은 서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점에 대한 개선 방안이 서버 이중화를 수행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 방안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250)는 분석결과, 가성비 상태가 최적화 상태가 아니면, 가성비 상태에 대한 개선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표 1에서와 같이 과다성능을 가진 서버가 점검되면, 이를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개선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개선점의 상세정보로 3개월 이상 사용한 서버를 대상으로 서버 CPU 및 메모리 부하가 단 한 번도 50%를 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점에 대한 개선 방안이 서버 사양을 축소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 방안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250)는 분석결과, 보안 상태가 최적화 상태가 아니면, 보안 상태에 대한 개선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표 1에서와 같이 오픈 포트가 탐지되면, 이를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개선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개선점의 상세정보로 IP포트 접근이 제한 없이 열려 있는 경우 또는 well-known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점에 대한 개선 방안이 포트 포워딩을 재설정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 방안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250)는 상태 메시지를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출력한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개선 방안을 적용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개선 방안을 적용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에 개선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출력한 이후에, 입력부(220)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임계 시간 동안 개선 방안을 적용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에 개선 방안을 자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동작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종단 장치인 모니터링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110), 하이퍼바이저(120) 및 클라우드 플랫폼(130)으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장치(100)는 가상 머신(110), 하이퍼바이저(120) 및 클라우드 플랫폼(130)을 모니터링한다.
303동작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이용패턴 정보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305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이용패턴 정보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한다. 평가조건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를 포함한다. 307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인지 분석한다. 분석결과, 전자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가 아니면 309동작을 수행한다.
309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최적화 상태가 아닌 평가조건과 관련된 개선점을 확인한다. 311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확인된 개선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확인한다. 313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확인된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출력한다. 307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모든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이면, 313동작을 수행한다. 313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최적화 상태임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동작에서 제어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신한다. 이용패턴 정보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사용자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종단 장치인 모니터링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110), 하이퍼바이저(120) 및 클라우드 플랫폼(130)등을 이용하는 패턴에 대한 정보이다.
403동작에서 제어부(250)는 수신된 이용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구조 상태를 분석한다. 제어부(250)는 구조 상태를 분석하여 표 1의 평가조건 중 구조 상태에 포함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화 상태를 확인한다. 405동작에서 제어부(250)는 수신된 이용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가성비 상태를 분석한다. 제어부(250)는 가성비 상태를 분석하여 표 1의 평가조건 중 가성비 상태에 포함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화 상태를 확인한다. 407동작에서 제어부(250)는 수신된 이용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보안 상태를 분석한다. 제어부(250)는 보안 상태를 분석하여 표 1의 평가조건 중 보안 상태에 포함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화 상태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가 순차적으로 분석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는 병렬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
409동작에서 제어부(250)는 403, 405 및 407동작의 분석결과,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가 최적화 상태이면 411동작을 수행한다. 411동작에서 제어부(250)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이 최적화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메시지를 출력한다.
409동작에서 제어부(250)는 403, 405 및 407동작의 분석결과,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최적화 상태가 아니면 413동작을 수행한다. 413동작에서 제어부(250)는 개선점을 확인한다. 415동작에서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점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확인한다. 417동작에서 제어부(250)는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출력부(230)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50)는 구조 상태 분석결과, 표 1에서와 같이 서버 이중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계정 내에 이중화되지 않은 서버가 존재하는 것을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개선점인 것으로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점에 대한 개선 방안이 서버 이중화를 수행하는 것임을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개선 방안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출력부(230)에 출력한다. 제어부(250)는 상태 메시지를 외부 장치 예컨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어부(250)는 입력부(220) 또는 사용자의 장치로부터 개선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에 개선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임계 시간 동안 개선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에 개선 방안을 자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50)에서 확인된 개선점 및 개선 방안과 관련된 결과화면(500)은 웹 페이지 형태로 출력부(230)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장치에 출력된다. 결과 화면(500)은 메뉴 화면(510)과 가이드 화면(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화면(520)은 평가 조건 즉, 구조 최적화 탭(521), 가성비 최적화 탭(523) 및 보안 최적화 탭(5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조 최적화 탭(521)을 활성화하면, 가이드 화면(520)에는 구조 최적화와 관련된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50)는 구조 상태 분석결과, 표 1에서와 같이 서버 이중화, 예컨대, 사용자 계정 내에 이중화되지 않은 서버가 존재하는 것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의 개선점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가이드 화면(520)에 개선점(531)을 표시하고, 진단 결과 영역(533)에 개선점의 상세한 이유, 개선 방안 및 개선 시의 장점/주의점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250)는 진단 결과 영역(533)에 표시된 해결패턴 및 구현방법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10)에 개선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은 모니터링 장치(600), 가상 머신(610), 하이퍼바이저(620), 클라우드 플랫폼(630), 패턴DB(650), 전자장치(700) 및 서비스제공장치(75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장치(600), 가상 머신(610), 하이퍼바이저(620) 및 클라우드 플랫폼(630)은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패턴DB(650)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의 이용패턴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고, 이를 전자장치(700)로 제공한다.
전자장치(700)는 패턴DB(650)에서 취합된 정보 예컨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를 패턴DB(650)로부터 수신한다. 전자장치(700)는 수신된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한다. 전자장치(700)는 분석결과, 평가조건이 최적화된 상태이면 이를 알리는 상태 메시지를 생성한다. 전자장치(700)는 상태 메시지를 서비스제공장치(750)로 전송한다.
서비스제공장치(750)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외부장치로, 사용자의 스마트 폰, 컴퓨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700)는 서비스제공장치(750)와 통신을 수행한다. 서비스제공장치(750)는 전자장치(700)로부터 수신된 상태 메시지를 출력한다.
전자장치(700)는 평가조건이 최적화된 상태가 아니면, 평가조건과 관련된 개선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개선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확인한다. 전자장치(700)는 확인된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서비스제공장치(750)로 전송한다. 서비스제공장치(750)는 전자장치(700)로부터 수신된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출력한다. 이때, 상태 메시지,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은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의 텍스트 형태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고, 도 5와 같이 웹 페이지의 형태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750)는 사용자로부터 개선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에 개선 방안을 적용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750)는 개선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URL주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750)는 사용자로부터 임계시간 동안 개선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에 개선 방안을 자동적으로 적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동작은 도 3의 301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703동작에서 모니터링 장치(600)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이용패턴 정보를 패턴DB(650)로 전송한다. 705동작에서 패턴DB(650)는 이용패턴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한다. 707동작에서 패턴DB(650)는 저장한 정보를 전자장치(700)로 전송한다. 709동작은 도 3의 305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711동작에서 전자장치(700)는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인지 분석한다. 확인결과, 전자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가 아니면 713동작을 수행한다.
717동작에서 전자장치(700)는 최적화 상태가 아닌 평가조건과 관련된 개선점을 확인한다. 719동작에서 전자장치(700)는 확인된 개선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확인한다. 721동작에서 전자장치(700)는 확인된 개선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서비스제공장치(750)로 전송한다. 723동작에서 서비스제공장치(750)는 전자장치(700)로부터 수신된 상태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서비스제공장치(750)는 사용자로부터 개선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에 개선 방안을 적용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750)는 개선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URL주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750)는 사용자로부터 임계시간 동안 개선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에 개선 방안을 자동적으로 적용한다.
711동작에서 전자장치(700)는 모든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이면, 713동작을 수행한다. 713동작에서 전자장치(700)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60)이 최적화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메시지를 서비스제공장치(750)로 전송한다. 715동작에서 서비스제공장치(750)는 전자장치(700)로부터 수신된 상태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750)는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의 형태로 상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웹 페이지 형태로 상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하고, 상기 평가조건에 따른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조건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인지 확인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에 대한 최적화 상태여부에 따라 상기 평가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이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이 최적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문자메시지 및 이메일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웹 페이지 형태로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과 관련된 하이퍼바이저 및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확인된 이용패턴인 전자장치.
  9.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평가조건에 따른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출력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조 상태, 가성비 상태 및 보안 상태를 분석하는 동작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인지 확인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가 아니면, 상기 평가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확인하는 동작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조건을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평가조건이 최적화 상태이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이 최적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문자메시지 및 이메일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웹 페이지 형태로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과 관련된 하이퍼바이저 및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확인된 이용패턴인 방법.
  17.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과 관련된 하이퍼바이저 및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용패턴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조 상태를 포함하는 평가조건을 분석하고, 상기 평가조건에 따른 개선점 및 개선 방안을 생성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개선점 및 상기 개선 방안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서비스제공장치;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KR1020160124197A 2016-09-27 2016-09-27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KR20180034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97A KR20180034095A (ko) 2016-09-27 2016-09-27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97A KR20180034095A (ko) 2016-09-27 2016-09-27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95A true KR20180034095A (ko) 2018-04-04

Family

ID=6197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197A KR20180034095A (ko) 2016-09-27 2016-09-27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40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29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network security control and configuration
US9621595B2 (en) Conditional declarative policies
US11596008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cure Bluetooth cryptography in a virtual mobile device platform
US9667703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remote views in a virtual mobile device platform
US9130943B1 (en) Managing communications between client applications and application resources of on-premises and cloud computing nodes
CN109314713B (zh) 支持多个虚拟容器的移动设备管理的系统、设备和方法
CN105022659B (zh) 虚拟机状态控制方法与系统
US93549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android virtual machine application
KR101680702B1 (ko) 클라우드 기반 웹 호스팅 시스템
US20170147462A1 (en) Agent dynamic service
JP2015524128A5 (ko)
Ding et al. A framework of cloud-based virtual phones for secure intelligent information management
US20170353546A1 (en) Operating status display system
US1053635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feature utilization in a software-defined network
JP201318679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管理方法
CN112000880A (zh) 推送消息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80034095A (ko)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WO2017073050A1 (ja) サーバ端末装置、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80011727A1 (en) Virtualization system, server, terminal, virtualizat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17157146A (ja) 仮想化基盤運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仮想化基盤運用管理方法
JP6214445B2 (ja) Vpn通信端末、vpn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Oyama et al. ADvisor: A Hypervisor for Displaying Images on a Desktop
KR101580037B1 (ko) Vdi의 클라이언트 제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Zadeh Secure Intelligent Information Management by Using a Framework of Virtual Phones based on Cloud Computation
JP201802605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