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835A -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835A
KR20180033835A KR1020160123291A KR20160123291A KR20180033835A KR 20180033835 A KR20180033835 A KR 20180033835A KR 1020160123291 A KR1020160123291 A KR 1020160123291A KR 20160123291 A KR20160123291 A KR 20160123291A KR 20180033835 A KR20180033835 A KR 20180033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liquid
hub
casing
cak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수
Original Assignee
김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수 filed Critical 김은수
Priority to KR102016012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835A/ko
Publication of KR2018003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4Applications of 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44House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 케익배출구와 분리액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케익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가 형성되는 케이싱;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지를 상기 공간 내에 공급하는 허브가 상기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경감소부에 대응하여 외경이 감소되는 제 1 테이퍼부가 상기 허브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허브에서 상기 제 1 테이퍼부로부터 단부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테이퍼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의 유격이 상기 케이싱의 끝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외측면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날개가 마련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슬러지를 분리액과 탈수케익으로 분리시켜서 상기 케익배출구와 상기 분리액배출구로 각각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도록 한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의 허브가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 막힘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러지의 분리액에 대한 수위 확보가 충분하여 수압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탈수케익의 함수율 저감 효율 및 분리액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분리액 배출시 분리액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식 및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Inclined screw conveyor}
본 발명은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 막힘 현상을 줄이고, 탈수케익의 함수율 저감 효율 및 분리액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분뇨,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의 처리공정으로부터 발생되는 슬러지는 슬러지 투입관을 통해 원심탈수기 또는 농축기에 공급되어 오폐수와 고형물로 분리된다.
이러한 슬러지의 탈수 또는 농축에 의해 슬러지로부터 오폐수를 제거하기 위해서, 주로 스크류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는 회전축 둘레에 스크류 날개가 설치된 스크류를 중공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스크류 컨베이어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0288호의 "방향성 분사각을 가진 분사노즐로 구성된 데칸더형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슬러지 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토출시키는 분사노즐을 구비한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이 스크류허브로부터 원통형 내동보올 내벽으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토출 경로가 스크류날개 앞쪽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그 형태가 방향성 분사각을 갖도록 굽어져 스크류허브에 형성된 다수개의 토출구에 각각 돌출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분사각을 가진 분사노즐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스크류허브 대부분이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 막힘 현상을 유발하고, 슬러지의 분리액에 대한 수위 확보가 충분하지 못하여 수압 상승에 따른 탈수케익의 함수율 저감 효율 및 분리액의 제거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크류의 허브가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 막힘 현상을 줄이고, 슬러지의 분리액에 대한 수위 확보가 충분하여 수압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탈수케익의 함수율 저감 효율 및 분리액의 제거 효율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 케익배출구와 분리액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케익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가 형성되는 케이싱;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지를 상기 공간 내에 공급하는 허브가 상기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경감소부에 대응하여 외경이 감소되는 제 1 테이퍼부가 상기 허브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허브에서 상기 제 1 테이퍼부로부터 단부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테이퍼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의 유격이 상기 케이싱의 끝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외측면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날개가 마련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슬러지를 분리액과 탈수케익으로 분리시켜서 상기 케익배출구와 상기 분리액배출구로 각각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 1 테이퍼부의 테이퍼진 경사각도가 상기 제 2 테이퍼부의 테이퍼진 경사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되, 수평면을 기준으로 15~20도일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 끝단의 수직벽에 위치하도록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케익배출구 측으로 탈수케익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익배출구의 상부에 상기 플랜지를 향하여 모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날개는, 상기 제 1 및 제 2 테이퍼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 2 테이퍼부의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를 회전 지지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허브를 회전구동부에 연결시키는 연결축을 회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이 내측에 설치되고, 오일순환공급부로부터 오일이 상기 베어링에 순환 공급되도록 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로부터 오일이 순환 공급을 위해 배출되는 측에 설치되고, 오일의 높이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오일배출구보다 높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오일높이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하면, 스크류의 허브가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 막힘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러지의 분리액에 대한 수위 확보가 충분하여 수압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탈수케익의 함수율 저감 효율 및 분리액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탈수케익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하고, 분리액 배출시 분리액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식 및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의 오일순환공급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100)는 케이싱(110) 및 스크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슬러지는 하수, 분뇨, 산업폐수, 축산폐수, 그 밖의 여러 오,폐수 등의 처리공정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으로서, 탈수 내지 농축 과정을 거침으로써 탈수케익과 분리액으로 각각 분리된다.
케이싱(110)은 내측에 원통형의 공간(111)이 형성되고, 양단에 케익배출구(112)와 분리액배출구(113)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에 케익배출구(112)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114)가 형성된다.
스크류(1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지를 케이싱(110)의 공간(111) 내에 공급하는 허브(121)가 케이싱(110)의 공간(1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경감소부(114)에 대응하여 외경이 감소되는 제 1 테이퍼부(122)가 허브(121)의 일측에 형성되며, 허브(121)에서 제 1 테이퍼부(122)로부터 단부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123)가 형성됨으로써 제 2 테이퍼부(123)와 케이싱(110)의 내측면 사이의 유격(d)이 케이싱(110)의 끝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허브(121)의 외측면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날개(124)가 마련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공간(111) 내의 슬러지를 분리액과 탈수케익으로 분리시켜서 케익배출구(112)와 분리액배출구(113)로 각각 배출되도록 한다.
제 1 테이퍼부(122)의 테이퍼진 경사각도는 제 2 테이퍼부(123)의 테이퍼진 경사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되, 수평면을 기준으로 15~20도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테이퍼부(122)의 테이퍼진 경사각도가 15도 미만일 경우 탈수케익의 함수율 저감 효율이 저하되며, 20도 초과인 경우 탈수 내지 농축에 무리한 힘을 요구하게 된다.
허브(121)는 연결축(141)에 의해 회전구동부(140)에 연결될 수 있는데, 회전구동부(140)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연결축(141)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수단은 예컨대 감속기나 기어어셈블리 또는 풀리 및 벨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구동부(140)는 회전력전달수단의 구조 내지 방식에 따라, 허브(121)의 다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축(141)을 다양한 구조 내지 방식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축(141)은 허브(121)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허브(121)에 축이음부재 등에 의해 일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실시레에서처럼 분리액배출구(113)를 통해 케이싱(11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다른 예로서 분리액배출구(113)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홀을 통해서 외부로 인출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허브(121)는 케이싱(110)의 내측 끝단의 수직벽(117)에 위치하도록 끝단에 플랜지(127)가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127)는 케익배출구(112) 측으로 탈수케익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경사면(12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0)은 케익배출구(112)의 상부에 플랜지(127)를 향하여 모따기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와 함께, 상기의 제 1 테이퍼부(122)의 테이퍼진 경사각도 범위(15~20도)로 인해서, 탈수처리를 마친 탈수케익이 케이싱(110) 내벽에 의한 반발력, 스크류(120)의 원심력 및 이송력 등으로 인해 케익배출구(112)를 통한 탈수케익의 미끌림 등에 의해 배출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탈수케익의 함수율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제시한 허브(121)의 플랜지(127) 및 경사면(128) 및 모따기부(116) 구조와 함께 제 1 테이퍼부(122)의 테이퍼진 경사각도가 15도인 경우는, 기존에 제 1 테이퍼부(122)의 테이퍼진 경사각도가 12도인 경우와 함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출되는 탈수케익의 함수율이 82%에서 75%로 크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류날개(124)는 제 1 및 제 2 테이퍼부(122,123)의 경계에서 제 2 테이퍼부(123)의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h1 → h2)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슬러지의 탈수 효율을 높이면서도 케이싱(110) 내의 분리액 수위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스크류날개(124)는 제 1 테이퍼부(122)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100)는 슬러지투입관(140), 분리액저류조(150) 및 분리액배출배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러지투입관(140)은 케이싱(110)에 축방향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구(115)를 통해서 허브(121)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허브(121)에 형성되는 슬러지투입구(129)를 통해 케이싱(110)의 공간(111)에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허브(121)는 슬러지투입관(140)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축방향을 따라 중공부(1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슬러지투입관(140)의 끝단을 감싸는 투입챔버(126)가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투입챔버(126)의 둘레에 케이싱(110)의 공간(111)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러지투입구(129)가 형성될 수 있다.
분리액저류조(150)는 스크류(120)에 의해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액이 저장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분리액이 중력에 의해 내측에 저장되도록 설치되거나, 본 실시례와 달리,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여 펌핑력에 의해 분리액이 내측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액배출배관(160)은 분리액배출구(113)로부터 배출되는 분리액이 분리액저류조(150)에 공급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되, 분리액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분리액이 채워지는 트랩부(161)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트랩부(161)는 예컨대 단일의 U자관을 이용하거나, 다수의 U자관을 서로 연결시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100)는 베어링(170), 베어링하우징(180) 및 오일높이유지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170)은 일례로 허브(121)를 회전 지지하도록 설치되거나, 다른 예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허브(121)를 회전구동부(140)에 연결시키는 연결축(141)을 회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베어링하우징(180)은 베어링(170)이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베어링(170)을 감싸도록 수용하고, 오일순환공급부(210)로부터 오일이 베어링(170)에 순환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오일순환공급부(210)는 베어링하우징(180)에 각각 마련되는 오일주입구(181)와 오일배출구(18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베어링하우징(180)에 오일을 순환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오일순환라인(211)이 마련될 수 있고, 오일순환라인(211)에 순환 오일의 제공, 오일의 순환량 조절 등을 비롯하여 오일 순환 공급에 필요한 오일순환유니트(2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오일순환라인(211)에 오일 순환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오일순환펌프(213)가 설치될 수 있다.
오일높이유지부재(190)는 베어링하우징(180)로부터 오일이 순환 공급을 위해 배출되는 측, 예컨대 오일순환라인(211)에서 베어링하우징(180)의 후단 또는 베어링하우징(180)의 오일배출구(182) 측에 설치될 수 있고, 오일의 높이를 오일배출구(182)보다 높게 유지시키도록 한다. 오일높이유지부재(19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자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베어링하우징(180) 내의 오일 높이를 원하는 높이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하우징(180) 내의 오일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오일순환펌프(213) 등의 고장 또는 오일순환라인(211)의 막힘 등으로 인하여 베어링하우징(180) 내의 오일 높이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오일 부족으로 인한 베어링(17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슬러지투입관(130)을 통해 슬러지가 허브(121) 내측으로 공급되어 투입챔버(126) 및 슬러지투입구(129)를 통해서 케이싱(110)의 공간(111) 내에 투입되면, 회전구동부(140)의 동작에 의해 스크류(120)가 회전하여 슬러지를 탈수 내지 농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슬러지는 탈수케익과 분리액으로 분리되고, 탈수케익은 케익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고, 분리액은 분리액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스크류(120)의 허브(121), 즉 제 2 테이퍼부(123)가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슬러지의 처리 경로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로 막히게 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2 테이퍼부(123) 구조 등으로 인해, 슬러지의 분리액에 대한 수위 확보가 충분하여 수압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탈수케익의 함수율 저감 효율 및 분리액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케익배출구(112) 주변 구조와 제 1 테이퍼부(122)의 경사 각도 등으로 인해 탈수케익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트랩부(161)를 가진 분리액배출배관(160) 등의 구조에 의해 분리액 배출시 분리액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100)의 부식 및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1 : 공간 112 : 케익배출구
113 : 분리액배출구 114 : 내경감소부
115 : 삽입구 116 : 모따기부
117 : 수직벽 120 : 스크류
121 : 허브 122 : 제 1 테이퍼부
123 : 제 2 테이퍼부 124 : 스크류날개
125 : 중공부 126 : 투입챔버
127 : 플랜지 128 : 경사면
129 : 슬러지투입구 130 : 슬러지투입관
140 : 회전구동부 141 : 연결축
150 : 분리액저류조 160 : 분리액배출배관
161 : 트랩부 170 : 베어링
180 : 베어링하우징 181 : 오일주입구
182 : 오일배출구 190 : 오일높이유지부재
210 : 오일순환공급부 211 : 오일순환라인
212 : 오일순환유니트 213 : 오일순환펌프

Claims (6)

  1. 내측에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 케익배출구와 분리액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케익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가 형성되는 케이싱;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지를 공간 내에 공급하는 허브가 상기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경감소부에 대응하여 외경이 감소되는 제 1 테이퍼부가 상기 허브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허브에서 상기 제 1 테이퍼부로부터 단부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테이퍼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 사이의 유격이 상기 케이싱의 끝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외측면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날개가 마련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슬러지를 분리액과 탈수케익으로 분리시켜서 상기 케익배출구와 상기 분리액배출구로 각각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류;
    를 포함하는,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 1 테이퍼부의 테이퍼진 경사각도가 상기 제 2 테이퍼부의 테이퍼진 경사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되, 수평면을 기준으로 15~20도인,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 끝단의 수직벽에 위치하도록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케익배출구 측으로 탈수케익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익배출구의 상부에 상기 플랜지를 향하여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날개는,
    상기 제 1 및 제 2 테이퍼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 2 테이퍼부의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삽입구를 통해서 상기 허브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허브에 형성되는 슬러지투입구를 통해 상기 공간에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하는 슬러지투입관;
    상기 분리액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분리액을 저장하는 분리액저류조; 및
    상기 분리액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분리액이 상기 분리액저류조에 공급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되, 분리액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분리액이 채워지는 트랩부를 가지는 분리액배출배관;
    을 더 포함하는,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를 회전 지지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허브를 회전구동부에 연결시키는 연결축을 회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이 내측에 설치되고, 오일순환공급부로부터 오일이 상기 베어링에 순환 공급되도록 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로부터 오일이 순환 공급을 위해 배출되는 측에 설치되고, 오일의 높이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오일배출구보다 높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오일높이유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KR1020160123291A 2016-09-26 2016-09-26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KR20180033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291A KR20180033835A (ko) 2016-09-26 2016-09-26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291A KR20180033835A (ko) 2016-09-26 2016-09-26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835A true KR20180033835A (ko) 2018-04-04

Family

ID=6197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291A KR20180033835A (ko) 2016-09-26 2016-09-26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383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983A (en) * 1892-04-19 chase
EP1106258A1 (en) * 1999-05-21 2001-06-13 Tomoe Engineering Co. Ltd. Decanter type centrifugal separator
KR100320792B1 (ko) * 1999-09-10 2002-01-17 이승철 원심분리기의 회전축 윤활지지구조
KR100998167B1 (ko) * 2010-04-16 2010-12-03 윤근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KR101433308B1 (ko) * 2014-03-12 2014-08-21 (주)이화에코시스템 배출성능 향상형 배출구를 갖는 원심 분리기
KR20150085245A (ko) *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송포하이테크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983A (en) * 1892-04-19 chase
EP1106258A1 (en) * 1999-05-21 2001-06-13 Tomoe Engineering Co. Ltd. Decanter type centrifugal separator
KR100320792B1 (ko) * 1999-09-10 2002-01-17 이승철 원심분리기의 회전축 윤활지지구조
KR100998167B1 (ko) * 2010-04-16 2010-12-03 윤근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KR20150085245A (ko) *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송포하이테크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KR101433308B1 (ko) * 2014-03-12 2014-08-21 (주)이화에코시스템 배출성능 향상형 배출구를 갖는 원심 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0096B1 (en) Filter material cleaning device
EP2664386B1 (en) A centrifugal separator
KR101006925B1 (ko)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JP5101688B2 (ja) 遠心分離機及び液相排出ポート部材
KR101011354B1 (ko) 스프르트 펌프용 임펠러 및 이를 갖는 수중용 스프르트 펌프
JP6813361B2 (ja) 気液分離装置
CN205779766U (zh) 一种用于输送高干固流体的螺心泵
MX2012006452A (es) Herramienta de fondo de perforacion para la limpieza de barrenos o para mover fluido en un barreno.
KR101569450B1 (ko) 폭기장치
JP2009195829A (ja) 遠心脱水装置
KR20180033835A (ko)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
US20010038572A1 (en) Hydrodynamic stirring device and lance
CN105920913B (zh) 一种自动泥浆除砂净化设备
CN105733660B (zh) 一种油田原油泥砂分离清洗装置
KR100945274B1 (ko) 고농도 유기폐수의 원심 탈수장치
KR101913944B1 (ko) 내구성 및 탈수효율을 증대시킨 원심농축 탈수기
KR20180078900A (ko) 폐페인트 처리용 원심분리장치
US9751787B1 (en) Anaerobic digest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imal waste
KR19990037267A (ko) 부정수중 슬러지를 원심분리하는 청정장치
JP6683553B2 (ja) ポンプ設備
KR100939737B1 (ko) 폐액처리장치
JP2010194383A (ja) スクリーン装置
SU1262135A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сепаратор
CN106015024B (zh) 一种用于输送高干固流体的螺心泵
CN205956048U (zh) 螺旋排渣器及使用该螺旋排渣器的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