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452A - 전력 어댑터,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어댑터,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452A
KR20180033452A KR1020177034562A KR20177034562A KR20180033452A KR 20180033452 A KR20180033452 A KR 20180033452A KR 1020177034562 A KR1020177034562 A KR 1020177034562A KR 20177034562 A KR20177034562 A KR 20177034562A KR 20180033452 A KR20180033452 A KR 2018003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ower
switching circuit
terminal device
powe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롱 구오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8Three-wire systems; Systems having more than three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2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 H02M3/33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전력 어댑터,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이 제공된다. 전력 어댑터는, 충전을 위해서 단말기 장치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하는 포트와, 제 2 핀과 접속되고, 또한 제 1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1 스위칭 회로와, 제 3 핀과 접속되고, 또한 제 4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2 스위칭 회로와, 제 1 핀 및 제 4 핀에 접속된 전력 스위칭 회로와, 전력 스위칭 회로,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또한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 각각을 통해서 제 2 핀 및 제 3 핀에 접속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는 제 2 핀 및 제 3 핀을 통해서 단말기 장치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한다.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도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충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어댑터,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본 개시는 충전 분야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전력 어댑터,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 폰이 소비자들에게 선호되고 있다. 스마트 폰은 상당한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자주 충전될 필요가 있다. 스마트 폰의 배터리 용량이 커짐에 따라서, 충전 시간은 더 길어졌다. 고속 충전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가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가 되었다.
관련 기술에서, 고속 충전의 목적을 달성하는 2가지 방법, 즉 (1) 전력 어댑터의 출력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과 (2) 전력 어댑터의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이 존재한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서 출력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과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는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없으며,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더 증가시키거나 충전 시간을 더 단축하는 것을 어렵게 혹은 심지어 불가능하게 한다. 출력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을 선택한다면, 전력 어댑터와 충전될 단말기 장치가 모두 특수한 커스터마이징된 포트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더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는 전력 어댑터,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 1 측면에 따라서, 포트, 제 1 스위칭 회로, 제 2 스위칭 회로, 전력 스위칭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어댑터가 제공된다.
이 포트는 충전할 단말기 장치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이 포트는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한다.
제 1 스위칭 회로는 제 2 핀에 접속되고, 또한 제 1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 2 스위칭 회로는 제 3 핀에 접속되고, 또한 제 4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전력 스위칭 회로는 제 1 핀 및 제 4 핀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는 전력 스위칭 회로,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 각각을 통해서 제 2 핀 및 제 3 핀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는 제 2 핀 및 제 3 핀을 통해서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제 1 핀에 더 접속해서 제 1 핀과 제 2 핀을 단락시키도록 하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제 4 핀에 더 접속해서 제 3 핀과 제 4 핀을 단락시키도록 하고,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 2 측면에 따라서, 포트, 제 1 스위칭 회로, 제 2 스위칭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포트는 충전되도록 전력 어댑터과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이 포트는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한다.
제 1 스위칭 회로는 제 2 핀에 접속되고, 또한 제 1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 2 스위칭 회로는 제 3 핀에 접속되고, 또한 제 4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 회로는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를 통해서 제 2 핀 및 제 3 핀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는 제 2 핀 및 제 3 핀을 통해서 전력 어댑터와의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제 1 핀에 더 접속해서 제 1 핀과 제 2 핀을 단락시키도록 하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제 4 핀에 더 접속해서 제 3 핀과 제 4 핀을 단락시키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 3 측면에 따라서, 전력 어댑터 및 단말기 장치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단말기 장치 및 전력 어댑터 모두 포트, 제 1 스위칭 회로, 제 2 스위칭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전력 어댑터는 전력 스위칭 회로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 장치 및 전력 어댑터 각각의 포트는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한다.
단말기 장치와 전력 어댑터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는 각각의 포트의 각각의 제 2 핀에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제 1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며, 단말기 장치 및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는 각각의 포트의 각각의 제 3 핀 및 각각의 제 4 핀에 더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전력 스위칭 회로는 전력 어댑터의 포트의 제 1 핀 및 제 4 핀에 접속된다.
단말기 장치 및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제어 회로는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 및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 및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 각각을 통해서 각각의 포트의 제 2 핀 및 제 3 핀에 접속되며, 단말기 장치 및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제어 회로는 제 2 핀 및 제 3 핀을 통해서 서로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각각의 제 1 핀에 더 접속해서 각각의 제 1 핀과 각각의 제 2 핀을 단락시키도록 하며,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각각의 제 4 핀에 더 접속해서 각각의 제 3 핀과 각각의 제 4 핀을 단락시키도록 하고, 전력 어댑터의 제어 회로는 전력 스위칭 회로를 더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 4 측면에 따라서, 포트를 가진 전력 어댑터에 적용될 수 있는 충전 방법이 제공되며, 이 포트는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하고, 이 충전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단말기 장치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 전력 어댑터는 핸드셰이크를 개시하고 핸드셰이크가 성공적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핸드셰이크가 성공되면, 전력 어댑터는 제 1 핀과 제 2 핀을 단락시키고 제 3 핀과 제 4 핀을 단락시킨다.
전력 어댑터는 충전을 위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고 단말기 장치와 성공적으로 핸드셰이크했다는 것을 검출하면, 전력 어댑터는 전력 어댑터의 포트의 제 1 핀과 제 2 핀을 단락하고 제 3 핀 및 제 4 핀을 단락하도록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키고, 이로써 충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인 솔루션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하며, 이하에 설명되는 도면은 본 개시의 실시예로, 당업자라면 창조적인 수고를 하지 않고도 이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어댑터의 블록도,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력 어댑터의 포트의 개략 블록도,
도 1b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장치의 제어 회로의 블록도,
도 1c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어댑터의 전력 스위칭 회로의 블록도,
도 1d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어댑터의 회로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블록도,
도 2a는 도 2에 도시된 단말기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3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기술적인 솔루션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겠지만, 분명히,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며 단지 일부일 뿐이다.
도 1을 참조하며,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어댑터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어댑터(100)는 포트(101), 제 1 스위칭 회로(102), 제 2 스위칭 회로(103), 전력 스위칭 회로(104) 및 제어 회로(105)를 포함한다. 전력 어댑터(100)의 회로도는 도 1d를 참조할 수 있으며, 분명히 본 개시는 이 도면으로 한정될 수 없다.
상세하게, 포트(101)는 충전을 위해서 단말기 장치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포트(101)는 제 1 핀(D1), 제 2 핀(D2), 제 3 핀(D3) 및 제 4 핀(D4)을 포함한다. 예컨대, 포트(101)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가 될 수 있으며, 제 1 핀은 VBUS 핀이 될 수 있고, 제 2 핀은 D- 핀이 될 수 있고, 제 3 핀은 D+ 핀이 될 수 있으며, 제 4 핀은 GND 핀이 될 수 있고, 혹은 제 1 핀은 VBUS 핀이 될 수 있으며, 제 2 핀은 D+ 핀이 될 수 있고, 제 3 핀은 D- 핀이 될 수 있으며, 제 4 핀은 GND 핀이 될 수 있다. 상세하게, USB 데이터 케이블의 배선도가 도 1a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전력 어댑터의 포트의 개략도이다.
제 1 스위칭 회로(102)는 제 2 핀(D2)에 접속되고 또한 제 1 핀(D1)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 2 스위칭 회로(103)는 제 3 핀(D3)에 접속되고 또한 제 4 핀(D4)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전력 스위칭 회로(104)는 제 1 핀(D1) 및 제 4 핀(D4)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105)는 전력 스위칭 회로(104), 제 1 스위칭 회로(102) 및 제 2 스위칭 회로(103)에 접속되며, 제 1 스위칭 회로(102) 및 제 2 스위칭 회로(103) 각각을 통해서 제 2 핀(D2) 및 제 3 핀(D3)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105)는 제 2 핀(D2) 및 제 3 핀(D3)을 통해서 단말기 장치의 대응하는 제 2 핀 및 제 3 핀과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제 1 스위칭 회로(102)를 제어해서 제 1 핀(D1)에 더 접속되어서 제 1 핀(D1)과 제 2 핀(D2)을 단락시키고, 제 2 스위칭 회로(103)를 제어해서 제 4 핀(D4)에 더 접속되어서 제 3 핀(D3)과 제 4 핀(D4)을 단락시킨다. 제어 회로(105)는 또한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킨다.
예컨대, 전력 어댑터의 D+ 핀과 D- 핀이 다른 단말기 장치의 대응하는 D+ 핀과 D- 핀과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면, 제어 회로(105)는 제 1 스위칭 회로(102)를 제어해서 동시에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며, 또한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VBUS 핀과 D+ 핀 및 단락된 GND 핀과 D-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킨다. 이와 달리, 전력 어댑터의 D+ 핀과 D- 핀이 단말기 장치의 대응하는 D+ 핀과 D- 핀과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면, 제어 회로(105)는 제 1 스위칭 회로(102)를 제어해서 동시에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며, 또한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VBUS 핀과 D- 핀 및 단락된 GND 핀과 D+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05)는 단말기 장치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와 성공적으로 핸드셰이크한 경우에,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킨다. 제어 회로(105)는 단말기 장치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원래의 핀들이 1.8A의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경우에,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이 통과시키는 전류를 1.8A보다 크게 하고,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이 통과시키는 전류도 1.8A보다 크게 한다. 예컨대, 제어 회로(105)는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의 전류가 각각 3.6A에 도달하게 한다. 원래의 핀들이 2A의 전류를 통과시키는 경우에, 제어 회로(105)는 단말기 장치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의 전류가 각각 4A에 도달하게 한다.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에 실패한 경우에, 전력 어댑터는 기존 통신 상태를 유지하고, 제 1 핀과 제 2 핀은 단락되지 않으며, 제 3 핀과 제 4 핀은 단락되지 않고, 출력 전류는 각각의 핀의 최대 출력 전류를 1.8A로 유지된다. 금속 포트의 도전성이 크기 때문에, 금속 컨택트의 최대 출력 전류는 2A에 이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05)는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킨다. 제어 회로(105)는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기존 핀의 USB 정의된 표준 전압이 3.8V이면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의 전압을 3.8V보다 크게 한다. 예컨대, 제어 회로(105)는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의 최대 출력 전압이 3.8V과 20V 사이의 임의의 전압이 되게 한다.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에 실패하면, 전력 어댑터는 기존의 통신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제 1 핀과 제 2 핀은 단락되지 않으며, 제 3 핀과 제 4 핀은 단락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05)는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키고,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킨다. 즉, 제어 회로(105)가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1.8A의 전류가 흐를 수 있고 3.8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경우에, 제어 회로(105)는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의 전압을 3.8V보다 크게 하고, 전류를 1.8A보다 크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05)는 또한 제 1 핀(D1)에 접속되고 제어 회로에 동작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1b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어댑터의 제어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05)는 제어 칩(1051) 및 옵토커플러(10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칩(1051)은 제 1 스위칭 회로(102) 및 제 2 스위칭 회로(103)에 접속되고, 옵토커플러(1052)를 통해서 전력 스위칭 회로(104)에 접속된다.
도 1c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어댑터의 전력 스위칭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스위칭 회로(104)는 정류 회로(1041), 전기 변압기 회로(1042) 및 전력 제어 회로(10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류 회로(1041)는 외부 교류 전력에 접속되어서 이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변압기 회로(1042)는 직류 전력을 입력하는 입력 단자 및 제 1 핀과 접속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전력 제어 회로(1043)는 제어 회로(105)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해서 전기 변압기 회로(1042)의 출력 전력을 제어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핸드셰이크의 핸드셰이크 프로토콜이 먼저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05)는 또한 제 2 핀(D2) 및 제 3 핀(D3)을 통한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에 실패하면, 제 1 스위칭 회로(102)를 제어해서 제 2 핀(D2)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 2 스위칭 회로(103)를 제어해서 제 3 핀(D3)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포트(101)가 단말기 장치와의 접속을 해제하면, 제어 회로(105)는 또한 제 1 스위칭 회로(102)를 제어해서 제 1 핀(D1)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제 2 스위칭 회로(103)를 제어해서 제 4 핀(D4)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며, 이로써 다음에 단말기 장치와 접속할 때 통상의 핸드셰이크 통신의 수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고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에 성공했다는 것을 검출하면, 전력 어댑터는 그 포트의 제 1 핀과 제 2 핀이 단락하고 제 3 핀과 제 4 핀이 단락하도록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충전시에 D+ 및 D-의 2개의 케이블을 아이들 상태로 하는 현재 관련 충전 기술에 비해서 포트의 최대 리소스 사용을 달성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표준 USB 케이블이 충전하고 있을 때 리소스의 최대 사용을 달성하고, 표준 포트에 기초한 충전 용량을 개선시킴으로써, 충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며,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장치(200)는 포트(201), 제 1 스위칭 회로(202), 제 2 스위칭 회로(203) 및 제어 회로(204)를 포함한다.
단말기 장치는 모바일 전화, 웨어러블 장치, 태블릿 컴퓨터, OBU(on-board equipment) 혹은 다른 전자 장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포트(201)는 충전되도록 전력 어댑터와 접속되고, 포트(201)는 제 1 핀(D1), 제 2 핀(D2), 제 3 핀(D3) 및 제 4 핀(D4)을 포함한다. 전력 어댑터는 본 개시의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전력 어댑터일 수 있다. 제 1 핀(D1), 제 2 핀(D2), 제 3 핀(D3) 및 제 4 핀(D4)은 VBUS 핀, D+ 핀, D- 핀 및 GND 핀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핀(D1), 제 2 핀(D2), 제 3 핀(D3) 및 제 4 핀(D4)은 VBUS 핀, D- 핀, D+ 핀 및 GND 핀이 될 수 있다.
제 1 스위칭 회로(202)는 제 2 핀(D2)에 접속되고 또한 제 1 핀(D1)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 2 스위칭 회로(203)는 제 3 핀(D3)에 접속되고 또한 제 4 핀(D4)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 회로(204)는 제 1 스위칭 회로(202) 및 제 2 스위칭 회로(203)에 접속되고, 제 1 스위칭 회로(202) 및 제 2 스위칭 회로(203) 각각을 통해서 제 2 핀(D2) 및 제 3 핀(D3)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204)가 제 2 핀(D2) 및 제 3 핀(D3)을 통해서 전력 어댑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제 1 스위칭 회로(202)는 제어 회로(204)에 의해서 제 1 핀(D1)에 접속되어서 제 1 핀(D1) 및 제 2 핀(D2)을 단락시키도록 제어되며, 제 2 스위칭 회로(203)도 또한 제어 회로(204)에 의해서 제 4 핀(D4)에 접속되어서 제 3 핀(D3) 및 제 4 핀(D4)을 단락시키도록 제어된다. 상세하게, 제어 회로(204)는 D+ 핀 및 D- 핀을 통해서 전력 어댑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제 1 스위칭 회로(202)를 제어해서 D+ 핀과 VBUS를 단락시키고, 제 2 스위칭 회로(203)를 제어해서 D- 핀과 GND를 단락시킨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204)는 D+ 핀과 D- 핀을 통해서 전력 어댑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제 1 스위칭 회로(202)를 제어해서 D- 핀과 VBUS를 단락시키고, 제 2 스위칭 회로(203)를 제어해서 D+ 핀과 GND를 단락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핸드셰이크의 핸드셰이크 프로토콜이 먼저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204)는 또한 제 2 핀 및 제 3 핀을 통한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에 실패하면, 제 1 스위칭 회로(202)를 제어해서 제 2 핀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 2 스위칭 회로(203)를 제어해서 제 3 핀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단말기 장치(200)가 전력 어댑터와 매칭되지 않으면 단말기 장치(200)는 통상의 충전 모드로 돌아간다.
일부 구현예에서, 포트(201)가 전력 어댑터에서 접속 해제될 때, 제어 회로(204)는 또한 제 1 스위칭 회로(202)를 제어해서 제 1 핀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제 2 스위칭 회로(203)를 제어해서 제 4 핀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단말기 장치는 그 D+ 및 D-를 통해서 전력 어댑터의 D+ 및 D-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한다. 단말기 장치가 전력 어댑터와 성공적으로 핸드셰이크하면, 단말기 장치(200)의 제어 회로(204)는 성공적인 핸드셰이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단말기 장치의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거나 혹은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며, 따라서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105)는 성공적인 핸드셰이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또한 전력 어댑터의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거나 혹은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며, 따라서 전력 어댑터와 단말기 장치 모두 동기화된 고속 충전 모드를 달성할 수 있다. 단말기 장치가 전력 어댑터와의 핸드셰이크에 실패하면, 전력 어댑터와 단말기 장치 모두 통상 통신 상태를 유지한다. 단말기 장치가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와의 접속이 해제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면, 단말기 장치의 제어 회로는 복구 신호를 생성하며, 이 복구 신호는 단말기 장치(200)의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D+ 핀 및 D- 핀과만 접속하도록 돌아가게 하고, 이로써 단말기 장치를 통상 통신 상태으로 돌린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고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에 성공했다는 것을 검출하면, 전력 어댑터는 그 포트의 제 1 핀과 제 2 핀이 단락하고 제 3 핀과 제 4 핀이 단락하도록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충전시에 D+ 및 D-의 2개의 케이블을 아이들 상태로 하는 현재 관련 충전 기술에 비해서 포트의 최대 리소스 사용을 달성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표준 USB 케이블이 충전하고 있을 때 리소스의 최대 사용을 달성하고, 표준 포트에 기초한 충전 용량의 개선을 달성해서, 충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며,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시스템(300)은 단말기 장치(200) 및 전력 어댑터(100)를 포함한다.
단말기 장치(200) 및 전력 어댑터(100)는 모두 포트(201, 101), 제 1 스위칭 회로(202, 102), 제 2 스위칭 회로(203, 103) 및 제어 회로(204, 105)를 포함한다. 전력 어댑터(100)는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 장치(200) 및 전력 어댑터(100)의 각각의 포트(201, 101)는, 제 1 핀(D1), 제 2 핀(D2), 제 3 핀(D3) 및 제 4 핀(D4)을 포함한다.
단말기 장치(200) 및 전력 어댑터(100)의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202, 102)는 각각의 포트의 각각의 제 2 핀(D2)에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제 1 핀(D1)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며,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203, 103)는 각각의 포트의 각각의 제 3 핀(D3)에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제 4 핀(D4)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 회로(105)는 전력 어댑터(100)의 포트(101)의 제 1 핀(D1) 및 제 4 핀(D4)에 접속된다.
단말기 장치(200) 및 전력 어댑터(100)의 각각의 제어 회로(204, 105)는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202, 102) 및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203, 103)에 접속되고,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202, 102) 및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203, 103)을 통해서 각각의 포트의 제 2 핀(D2) 및 제 3 핀(D3)에 접속된다. 각각의 제어 회로(204, 105)가 제 2 핀(D2) 및 제 3 핀(D3)를 통해서 서로 핸드셰이크할 때, 단말기 장치(200) 및 전력 어댑터(100)의 각각의 제어 회로(204, 105)는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202, 102)를 제어해서 각각의 제 1 핀(D1)에 접속되어서 각각의 포트의 각각의 제 1 핀(D1)과 각각의 제 2 핀(D2)을 단락시키고,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203, 103)를 제어해서 각각의 제 4 핀(D4)에 접속되어서 각각의 포트의 각각의 제 3 핀(D3)과 각각의 제 4 핀(D4)을 단락시킨다.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105)는 또한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전력 어댑터(100)의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에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킨다.
상세하게, 단말기 장치(200)는 전력 어댑터(200)의 D+ 및 D-를 통해서 전력 어댑터(100)의 D+ 및 D-와 핸드셰이크한다. 단말기 장치(200)가 전력 어댑터(100)와 성공적으로 핸드셰이크하면, 단말기 장치(200)의 제어 회로(204)는 성공적인 핸드셰이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단말기 장치(200)의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105)는 성공적인 핸드셰이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전력 어댑터(100)의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방안으로서, 도 3a를 참조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단말기 장치(200)는 그 D+ 및 D-를 통해서 전력 어댑터(100)의 D+ 및 D-와 핸드셰이크한다. 단말기 장치(200)가 전력 어댑터(100)와 성공적으로 핸드셰이크하면, 단말기 장치(200)의 제어 회로(204)는 성공적인 핸드셰이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단말기 장치(200)의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105)는 성공적인 핸드셰이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단말기 장치(200)의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력 어댑터(100)는 성공적인 핸드셰이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전력 어댑터(100)의 VBUS 핀과 D- 핀을 단락시키고 GND 핀과 D+ 핀을 단락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는 단말기 장치(200)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는 단말기 장치(200)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는 단말기 장치(200)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전력 스위칭 회로(104)를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키고, 단락된 제 1 핀(D1)과 제 2 핀(D2) 및 단락된 제 3 핀(D3)과 제 4 핀(D4)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105)는 또한 전력 어댑터의 제 1 핀(D1)에 접속되고, 이는 제어 회로에 동작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는 제어 칩 및 옵토커플러 회로를 더 포함한다. 제어 칩은 전력 어댑터(100)의 제 1 스위칭 회로 및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옵토커플러 회로를 통해서 전력 스위칭 회로에 접속된다.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105)의 특정한 구조는 도 1b에 도시된 전력 어댑터의 제어 회로의 블록도가 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력 스위칭 회로는 정류 회로, 전기 변압기 회로 및 전력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정류 회로는 외부 교류 전력에 접속되어서 이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변압기 회로는 직류 전력을 입력하는 입력 단자 및 제 1 핀과 접속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전력 제어 회로는 전력 어댑터(100)의 제어 회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해서 전기 변압기 회로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스위칭 회로의 특정한 구조는 도 1c에 도시된 전력 어댑터의 전력 스위칭 회로의 블록도가 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핸드셰이크의 핸드셰이크 프로토콜이 먼저 단말기 장치(200)로부터 송신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말기 장치(200) 및 전력 어댑터(100)의 각각의 제어 회로(204, 105)는 또한 각각의 제 2 핀(D2) 및 각각의 제 3 핀(D3)을 통한 서로의 핸드셰이크에 실패하면,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202, 102)를 제어해서 각각의 제 2 핀(D2)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203, 103)를 제어해서 각각의 제 3 핀(D3)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포트가 서로의 접속을 해제하면, 단말기 장치(200) 및 전력 어댑터(100)의 각각의 제어 회로(204, 105)는 또한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202, 102)를 제어해서 각각의 제 1 핀(D1)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203, 103)를 제어해서 각각의 제 4 핀(D4)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한다.
단말기 장치(200) 및 전력 어댑터(100)의 특정한 구조는 본 개시의 상술한 2개의 실시예의 관련 설명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고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에 성공했다는 것을 검출하면, 전력 어댑터는 그 포트의 제 1 핀과 제 2 핀이 단락하고 제 3 핀과 제 4 핀이 단락하도록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충전시에 D+ 및 D-의 2개의 케이블을 아이들 상태로 하는 현재 관련 충전 기술에 비해서 포트의 최대 리소스 사용을 달성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표준 USB 케이블이 충전하고 있을 때 리소스의 최대 사용을 달성하고, 표준 포트에 기초한 충전 용량의 개선을 달성해서, 충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며,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충전 방법은 포트를 가진 전력 어댑터에 적용될 수 있고, 이 포트는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방법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S401에서,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검출한다.
S402에서, 단말기 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검출되면, 전력 어댑터는 핸드셰이크를 개시하고 핸드셰이크가 성공되었는지 검출한다.
S403에서, 핸드셰이크가 성공되었다면, 전력 어댑터는 제 1 핀과 제 2 핀을 단락시키고, 제 3 핀과 제 4 핀을 단락시킨다.
S404에서, 전력 어댑터는 충전을 위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충전을 위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는 특정한 구현 방식은 다음과 같이 달성될 수 있다.
전력 어댑터는 충전을 위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류와 전압 중 하나 혹은 모두를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력 어댑터는 핸드셰이크를 개시하고 핸드셰이크가 성공했는지 여부를 검출한 이후에 다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핸드셰이크가 실패했다면, 전력 어댑터는 제 1 핀과 제 2 핀의 기존 상태를 유지하고, 제 3 핀과 제 4 핀의 기존 상태를 유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력 어댑터는 충전을 위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킨 이후에 다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어댑터는 전력 어댑터가 접속을 해제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전력 어댑터가 접속을 해제한 것이 검출되면, 전력 어댑터는 제 1 핀 및 제 2 핀을 제어해서 기존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고, 제 3 핀 및 제 4 핀을 제어해서 기존 상태로 돌아가도록 한다.
단말기 장치 및 전력 어댑터의 특정한 구조는 본 개시의 상술한 2개의 실시예의 관련 설명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고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에 성공했다는 것을 검출하면, 전력 어댑터는 그 포트의 제 1 핀과 제 2 핀이 단락하고 제 3 핀과 제 4 핀이 단락하도록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충전시에 D+ 및 D-의 2개의 케이블을 아이들 상태로 하는 현재 관련 충전 기술에 비해서 포트의 최대 리소스 사용을 달성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표준 USB 케이블이 충전하고 있을 때 리소스의 최대 사용을 달성하고, 표준 포트에 기초한 충전 용량의 개선을 달성해서, 충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며,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충전 방법은 포트를 가진 전력 어댑터에 적용될 수 있고, 이 포트는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 방법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S501에서,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검출한다.
S502에서, 단말기 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검출되면, 전력 어댑터는 핸드셰이크를 개시하고 핸드셰이크가 성공되었는지 검출한다.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와 성공적으로 핸드셰이크했다면, 단말기 장치는 S503 내지 S506의 단계를 수행한다.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와 핸드셰이크에 실패하면 단말기 장치는 단계 S507을 수행한다.
S503에서, 핸드셰이크가 성공되었다면, 전력 어댑터는 제 1 핀과 제 2 핀을 단락시키고, 제 3 핀과 제 4 핀을 단락시킨다.
S504에서, 전력 어댑터는 충전을 위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류과 전압 중 하나 혹은 모두를 증가시킨다.
S505에서,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의 접속이 해제되었는지 검출한다.
S506에서, 단말기 장치가 접속을 해제한 것이 검출되면, 전력 어댑터는 제 1 핀 및 제 2 핀을 제어해서 기존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고, 제 3 핀 및 제 4 핀을 제어해서 기존 상태로 돌아가도록 한다.
S507에서, 핸드셰이크가 실패했다면, 전력 어댑터는 제 1 핀과 제 2 핀의 기존 상태를 유지하고, 제 3 핀과 제 4 핀의 기존 상태를 유지한다.
단말기 장치 및 전력 어댑터의 특정한 구조는 본 개시의 상술한 2개의 실시예의 관련 설명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어댑터는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력 어댑터가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고 단말기 장치와의 핸드셰이크에 성공했다는 것을 검출하면, 전력 어댑터는 그 포트의 제 1 핀과 제 2 핀이 단락하고 제 3 핀과 제 4 핀이 단락하도록 제어해서,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충전시에 D+ 및 D-의 2개의 케이블을 아이들 상태로 하는 현재 관련 충전 기술에 비해서 포트의 최대 리소스 사용을 달성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표준 USB 케이블이 충전하고 있을 때 리소스의 최대 사용을 달성하고, 표준 포트에 기초한 충전 용량의 개선을 달성해서, 충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제공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 프로그램은 상세하게 상술한 방법의 실시예에 설명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임의의 방법의 동작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방법의 실시예 각각에서,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일련의 동작의 조합으로 설명되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설명된 일련의 동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에 기초해서, 일부 단계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여기에 포함되는 동작 및 유닛/모듈은 본 개시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은 각각의 포커스를 갖고 있으며, 일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다른 실시예의 관련 설명이 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제공된 실시예에서, 개시된 장치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예컨대, 상술한 유닛의 분할은 논리적인 기능의 분할로, 구현시에 다른 분할 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유닛 혹은 어셈블리가 조합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부 특징부는 생략되거나 구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상호 연결, 직접 연결 혹은 통신 조합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혹은 유닛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 혹은 통신 접속될 수 있고, 이는 전기나 혹은 다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개별적인 컴포넌트로서 도시되어 있는 상술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컴포넌트는 물리적인 유닛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으로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 중 일부 혹은 전부가 본 개시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제 필요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의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고, 혹은 각각의 기능 유닛은 개별적으로 및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통합된 것으로 설명된 유닛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 혹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합된 것으로 설명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서 독립 제품으로서 판매 혹은 사용되는 경우에,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인 솔루션 중 관련 기술이나 기술적인 솔루션 중 일부 혹은 전부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장비(퍼스널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장치 및 상세하게는 컴퓨터 컴퓨터의 프로세서 등과 같은)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상술한 방법의 단계 중 일부 혹은 전부를 구현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디스크, 모바일 디스크, 디스크, CD, ROM 혹은 RAM,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매체가 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술한 실시예의 방법의 처리 중 일부 혹은 모두를 구현하는 것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저장 매체는 플래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및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범주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에게는, 본 개시는 그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남없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고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 결정된다.

Claims (31)

  1. 전력 어댑터로서,
    충전을 위해서 단말기 장치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하는 포트와,
    상기 제 2 핀과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1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1 스위칭 회로와,
    상기 제 3 핀과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4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2 스위칭 회로와,
    상기 제 1 핀 및 상기 제 4 핀에 접속된 전력 스위칭 회로와,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 각각을 통해서 상기 제 2 핀 및 상기 제 3 핀에 접속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핀 및 상기 제 3 핀을 통해서 상기 단말기 장치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1 핀에 접속해서 상기 제 1 핀과 상기 제 2 핀을 단락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4 핀에 접속해서 상기 제 3 핀과 상기 제 4 핀을 단락시키며,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는
    전력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핀 및 상기 제 3 핀을 통해서 상기 단말기 장치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전력 어댑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의 상기 전류를 1.8A보다 크게 하는
    전력 어댑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는
    전력 어댑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의 상기 전압을 3.8V보다 크게 하는
    전력 어댑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는
    전력 어댑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의 상기 전압을 3.8V보다 크게 하고,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의 상기 전류를 1.8A보다 크게 하는
    전력 어댑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제 1 핀에 접속되고,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어 회로의 동작 전력을 상기 제 1 핀의 전압 혹은 전력에 따라 제공하는 것을 유지하게 하는
    전력 어댑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어 칩 및 옵토커플러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칩은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옵토커플러 회로를 통해서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는
    전력 어댑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는 정류 회로, 전기 변압기 회로 및 전력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 회로는 외부 교류 전력에 접속되어서 상기 외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기 변압기 회로는 상기 직류 전력을 입력하는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1 핀과 접속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회로는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해서 상기 전기 변압기 회로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어댑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셰이크의 핸드셰이크 프로토콜이 먼저 상기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력 어댑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핀 및 상기 제 3 핀을 통한 상기 단말기 장치와의 상기 핸드셰이크에 실패하면,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2 핀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3 핀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전력 어댑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상기 단말기 장치와의 접속을 해제하면, 상기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1 핀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4 핀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는
    전력 어댑터.
  14. 단말기 장치로서,
    충전되도록 전력 어댑터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하는 포트와,
    상기 제 2 핀과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1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1 스위칭 회로와,
    상기 제 3 핀과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4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2 스위칭 회로와,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 각각을 통해서 상기 제 2 핀 및 상기 제 3 핀에 접속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핀 및 상기 제 3 핀을 통해서 상기 전력 어댑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1 핀에 더 접속해서 상기 제 1 핀과 상기 제 2 핀을 단락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4 핀에 더 접속해서 상기 제 3 핀과 상기 제 4 핀을 단락시키는
    단말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셰이크의 핸드셰이크 프로토콜이 먼저 상기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단말기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핀 및 상기 제 3 핀을 통한 상기 전력 어댑터와의 상기 핸드셰이크에 실패하면,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2 핀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3 핀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말기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상기 전력 어댑터와의 접속을 해제하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1 핀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4 핀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는
    단말기 장치.
  18. 단말기 장치 및 전력 어댑터를 포함하는 충전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 장치 및 상기 전력 어댑터 모두 포트, 제 1 스위칭 회로, 제 2 스위칭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어댑터는 전력 스위칭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장치 및 상기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포트는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는 각각의 상기 포트의 각각의 제 2 핀에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제 1 핀에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 장치 및 상기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제 2 스위칭 회로는 각각의 상기 포트의 각각의 제 3 핀에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제 4 핀에 더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포트의 상기 제 1 핀 및 상기 제 4 핀에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제어 회로는 각각의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 및 각각의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 및 각각의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 각각을 통해서 각각의 상기 포트의 상기 제 2 핀 및 상기 제 3 핀에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 장치 및 상기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상기 제어 회로는 각각의 상기 제 2 핀 및 각각의 상기 제 3 핀을 통해서 서로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각각의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각각의 상기 제 1 핀에 더 접속해서 각각의 상기 제 1 핀과 각각의 상기 제 2 핀을 단락시키며, 각각의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각각의 상기 제 4 핀에 더 접속해서 각각의 상기 제 3 핀과 각각의 상기 제 4 핀을 단락시키고,
    상기 전력 어댑터의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더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는,
    충전기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충전기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는
    충전기 시스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는
    충전기 시스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제 1 핀에 접속되고,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제어 회로의 동작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충전기 시스템.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제어 회로는 제어 칩 및 옵토커플러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칩은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옵토커플러 회로를 통해서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는
    충전기 시스템.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칭 회로는 정류 회로, 전기 변압기 회로 및 전력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 회로는 외부 교류 전력에 접속되어서 상기 외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기 변압기 회로는 상기 직류 전력을 입력하는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1 핀과 접속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어댑터의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해서 상기 전기 변압기 회로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충전기 시스템.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셰이크의 핸드셰이크 프로토콜이 먼저 상기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충전기 시스템.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 및 상기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상기 제어 회로는 각각의 상기 제 2 핀 및 각각의 상기 제 3 핀을 통한 서로의 상기 핸드셰이크에 실패하면, 각각의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각각의 상기 제 2 핀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각각의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각각의 상기 제 3 핀과의 기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충전기 시스템.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 및 상기 전력 어댑터의 각각의 상기 제어 회로는, 각각의 상기 포트가 서로의 접속을 해제한 이후에,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제 1 핀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해서 제 4 핀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는
    충전기 시스템.
  28. 포트를 구비한 전력 어댑터에 적용되는 충전 방법으로서,
    상기 포트는 제 1 핀, 제 2 핀, 제 3 핀 및 제 4 핀을 포함하고,
    단말기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와,
    단말기 장치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 핸드셰이크를 개시하고 상기 핸드셰이크가 성공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셰이크가 성공되었다면, 상기 제 1 핀과 상기 제 2 핀을 단락시키고, 상기 제 3 핀과 상기 제 4 핀을 단락시키는 단계와,
    충전을 위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을 위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충전을 위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류와 전압 중 하나 혹은 모두를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셰이크를 개시하고 상기 핸드셰이크가 성공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핸드셰이크가 실패하면, 상기 제 1 핀과 상기 제 2 핀이 단락되지 않은 기존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3 핀과 상기 제 4 핀이 단락되지 않은 기존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충전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을 위해서 상기 단락된 제 1 핀과 제 2 핀 및 상기 단락된 제 3 핀과 제 4 핀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 장치가 접속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장치가 접속 해제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제 1 핀과 상기 제 2 핀을 제어해서 기존의 단락되지 않은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고, 상기 제 3 핀과 상기 제 4 핀을 제어해서 기존의 단락되지 않은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충전 방법.
KR1020177034562A 2016-08-19 2016-08-19 전력 어댑터,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201800334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6043 WO2018032503A1 (zh) 2016-08-19 2016-08-19 一种电源适配器、终端设备、充电系统及充电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452A true KR20180033452A (ko) 2018-04-03

Family

ID=6045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562A KR20180033452A (ko) 2016-08-19 2016-08-19 전력 어댑터,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097315A1 (ko)
EP (1) EP3330835A4 (ko)
JP (1) JP2018529301A (ko)
KR (1) KR20180033452A (ko)
CN (1) CN107438932A (ko)
CA (1) CA2989841A1 (ko)
WO (1) WO2018032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5614A (zh) * 2018-09-04 2020-03-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接口的保护方法及充电装置
CN109802457A (zh) * 2019-01-18 2019-05-2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充电方法
US11609622B2 (en) * 2020-09-03 2023-03-2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Ground and supply cable compensation architecture for USB power delivery subsystem
US11811239B2 (en) * 2021-04-16 2023-11-07 Aptiv Technologies (2) S.À R.L. Modular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ssembl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4270B (zh) * 2012-05-31 2014-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识别usb充电器类型的方法及usb设备
KR20150001194A (ko) * 2013-06-26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충전기
CN203747451U (zh) * 2014-01-28 2014-07-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充电装置
CN103972955B (zh) * 2014-03-24 2016-05-25 西安乾易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usb接口充电握手方法以及可快速充电的电源适配器
TWI508411B (zh) * 2014-04-21 2015-11-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Usb適配器及usb線
CN105022468B (zh) * 2014-04-21 2018-06-01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Usb适配器及usb线
JP5986145B2 (ja) * 2014-07-02 2016-09-0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ポータブル・デバイス、ケーブル・アセンブリおよびusbシステム
CN104506055B (zh) * 2014-12-26 2018-07-06 东莞市时瑞电池有限公司 自适应电压输出电源电路及电源装置
US10015434B2 (en) * 2016-04-22 2018-07-03 Shenzhen Skyworth-Rgb Electronic Co., Ltd Switched-mode power supply for outputting a steady voltage and current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2503A1 (zh) 2018-02-22
JP2018529301A (ja) 2018-10-04
US20180097315A1 (en) 2018-04-05
CN107438932A (zh) 2017-12-05
EP3330835A1 (en) 2018-06-06
CA2989841A1 (en) 2018-02-19
EP3330835A4 (en)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077B2 (en) Electronic equipment, charger and charging method
EP3285356B1 (en) Charger,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ethod
CN106571663B (zh) 一种充电方法、终端及充电适配器
EP2985856A1 (en) Usb charging system with variable charging voltage, charger, and intelligent terminal
CN105811506B (zh) 用于为电子设备充电的方法和电子设备
EP29911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large-current charging on intelligent terminal
KR20180033452A (ko) 전력 어댑터, 단말기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CN108886261B (zh) 调节充电端口的连接和分离
CN105429245A (zh) 一种充电控制方法及充电控制装置
EP3543827A1 (en) Electronic device, charger,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KR20150048086A (ko) 충전기, 충전 단말기, 충전 시스템, 충전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18513660A (ja) 充電制御方法と装置及び電子機器
CN106201758B (zh) 一种服务器节点硬盘上电的方法及装置
CN105549712B (zh) 一种供电方法、供电模组和电子设备
CN104919388A (zh) 经由数据接口给电子设备充电
CN113949167A (zh) 一种充电装置及电子设备
CN109861038B (zh) 可自动切换连接模式的usb连接埠及其控制方法
WO2021031842A1 (zh) 充电电路、充电芯片、终端和电路控制方法
US104815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connection control
US1019328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300214A1 (en) Transmission c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switching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O2019027612A1 (en) MANAGING THE SURPRISE HOT PLUG FUNCTION IN A LOW POWER STATE
CN105762884B (zh) 用于为电子设备充电的方法和电子设备
CN113836065A (zh) 一拖多数据线电路及数据线
CN116742740B (zh) 一种充电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