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350A - 뿌리식물 재배용기 - Google Patents

뿌리식물 재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350A
KR20180033350A KR1020160122182A KR20160122182A KR20180033350A KR 20180033350 A KR20180033350 A KR 20180033350A KR 1020160122182 A KR1020160122182 A KR 1020160122182A KR 20160122182 A KR20160122182 A KR 20160122182A KR 20180033350 A KR20180033350 A KR 20180033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protruding
shaft
vessel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진
김주성
Original Assignee
이성진
김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김주성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102016012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350A/ko
Publication of KR2018003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뿌리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가 결합 및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하며,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가 연속해서 필요한 크기와 면적를 갖도록 결합하고, 상부 재배용기의 내부가 여러 개로 구획되어 다양한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되; 재배용기는 뿌리식물의 재배시마다 상토를 교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뿌리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4면에서 돌출된 돌출날개(14)의 2면에는 상부 결합축(16)이 돌출된 상부 결합부재(15)를 형성하고, 상기 4면 중 나머지 2면에는 상부 결합구멍(19)이 있는 상부 결합홈(18)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결합축(16)이 상부 결합구멍(19)에 결합되고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상부몸체(11)의 상측에서 공간(12)을 갖도록 격벽(13)이 형성되는 상부 재배용기(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뿌리식물 재배용기{Plant roots grow container}
본 발명은 뿌리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가 결합 및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하며,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가 연속해서 필요한 크기와 면적를 갖도록 결합하고, 상부 재배용기의 내부가 여러 개로 구획되어 다양한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되; 재배용기는 뿌리식물의 재배시마다 상토를 교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뿌리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곧은 뿌리 식물의 일종인 감초는 우랄감초, 굽은감초라고 하며 시베리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국, 몽골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기도 한다.
이러한 감초는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달고, 효능으로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약리작용으로는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으며,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고 소화성 궤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감초의 우수한 효능과 약리작용에 의해 감초는 한약재뿐만 아니라 제약회사, 식품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토양에 맞는 감초의 재배 기술이 정착되지 않아 대부분의 감초를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약용작물 연구원에서 국내토양에 맞게 질 좋은 감초를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적응성 실험연구를 수행한 결과, 해발 800m 이하에 배수가 잘 되고 토심이 깊은 땅에서는 어디든지 무성하게 잘 자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감초 종자를 골과 이랑이 형성된 밭이나 평지로 이루어진 재배토양에 파종하거나 종근을 일정 간격으로 식재하는 방식으로 감초가 재배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재배된 감초의 주근(토양의 아래로 뻗은 뿌리)은 평근(포복경; 옆으로 뻗은 뿌리)에 비해 성장 속도가 떨어져서 주근이 아래로 곧게 뻗어나가지 못하므로 약재로 사용되는 주근의 상품성이 떨어지고, 단위 면적당 감초의 재배량이 현저하게 부족하며, 병충해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여 감초 재배 방식에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뿌리식물을 재배하는 용기로는 특허등록번호 제1319787호(2013. 10. 11. 등록)가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구조와 제2결합구조를 갖는 곧은 뿌리 식물 재배용 판상부재로서,
상기 제1결합구조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내측은 이에 대응하여 오목한 제1 홈을 가지고,
상기 제2결합구조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내측은 이에 대응하여 오목한 제2 홈을 가지고,
상기 제1결합구조의 돌출된 부분이 제2결합구조의 제2 홈에 압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2결합구조의 돌출된 부분이 제1결합구조의 제1 홈에 압입되어서, 통 형상으로 감겨서 내부에 재배 토양이 채워지는 재배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판상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토양이 채워지는 재배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말아주어 선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마련하게 되므로 이러한 작업을 위한 시간의 소모가 많아지며, 원형으로 말아주어 고정된 형태를 일렬로 세워 고정시켜 별도의 크기 또는 공간을 갖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재배를 수행해야 하므로 식물의 재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판상부재는 뿌리가 곧고 길게 성장하는 일부 품목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319787호(2013. 10. 11. 등록) 특허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59971호(2012. 04. 16. 등록) 특허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190133호(2012. 10. 05. 등록) 특허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15-0064509호(2015. 06. 11. 공개)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하여 뿌리가 곧게 뻗어 성장하는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재배용기 또는 하부 재배용기를 독립되게 사용하여 뿌리가 얕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재배용기와 상부 재배용기 및 하부 재배용기를 각각 재배하기 원하는 면적을 갖도록 평면형태로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또 다른 해결과제는, 일정한 면적으로 갖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하여 급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상토를 공급하여 뿌리식물을 재배한 후에는 새로운 상토를 공급하여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재배용기를 재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4면에서 돌출된 돌출날개의 2면에는 상부 결합축이 돌출된 상부 결합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4면 중 나머지 2면에는 상부 결합구멍이 있는 상부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결합축이 상부 결합구멍에 결합되고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상부몸체의 상측에서 공간을 갖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상부 재배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4면 외측 중 2면에는 하부 결합축이 돌출된 하부 결합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4면 중 2면 중 나머지 2면에는 하부 결합구멍이 있는 하부 결합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결합축이 하부 결합구멍에 결합되고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하부몸체로 형성되는 하부 재배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4면에서 돌출된 돌출날개의 2면에는 상부 결합축이 돌출된 상부 결합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4면 중 나머지 2면에는 상부 결합구멍이 있는 상부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결합축이 상부 결합구멍에 결합되고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상부몸체의 상측에서 공간을 갖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상부 재배용기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4면 외측 중 2면에는 하부 결합축이 돌출된 하부 결합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4면 중 2면 중 나머지 2면에는 하부 결합구멍이 있는 하부 결합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결합축이 하부 결합구멍에 결합되고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하부몸체로 형성되는 하부 재배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하여 높이가 높게 제공되므로 뿌리가 곧게 뻗어 성장하는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재배용기 또는 하부 재배용기를 독립되게 사용하여 높이가 낮아 뿌리가 얕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므로 뿌리의 성장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재배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재배용기와 상부 재배용기 및 하부 재배용기를 각각 재배하기 원하는 면적을 갖도록 평면형태로 결합하여 원하는 면적과 형태를 조절하면서 재배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한 면적으로 갖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 재배용기가 결합된 사이에 파이프를 꽃아 일정한 간격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하여 급수를 통하여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토를 공급하여 뿌리식물을 재배한 후에는 사용한 상토를 버리고 새로운 상토를 공급하여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므로 상토를 재공급하면서 재배용기를 여러번 재사용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에 대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를 연속해서 결합하는 상태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를 연속해서 결합하는 상태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하부 재배용기를 연속해서 결합하는 상태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하부 재배용기를 연속해서 결합하는 상태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하부 재배용기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평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에 대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재배용기(10)가 상측에 위치하고,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재배용기(20)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부 재배용기(10)와 하부 재배용기(20)를 결합하여 독립되게 사용하거나, 상기 상부 재배용기(10)와 하부 재배용기(20)를 사각형의 어느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하여 평면상에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뿌리식물 재배용기(10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재배용기(10)는 평면상에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독립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재배용기(20)는 평면사에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독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상부 재배용기(10)와 하부 재배용기(20)를 결합한 상태에서 평면상에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재배용기(1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상부몸체(11)를 형성하며, 상부몸체(1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비하여 하측이 넓어지는 상협하광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재배용기(10)는 사각형의 내부에 다수 개의 사각형을 갖는 공간(12)을 형성하도록 격벽(13)으로 상측에서 분리되어 있으며, 외경의 상측 선단에서 하측으로 조금 내려간 위치에서 사면을 따라서 돌출날개(14)가 형성되고 각 방향의 돌출날개(14)에 2개의 방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재(15)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날개(14)에 2개의 다른 방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홈(18)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결합부재(15)와 상부 결합홈(18)이 요철형태로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날개(14)의 각 방향 코너와 이 코너의 사이 중앙에는 파이프 홈(14a)이 형성되어 필요한 위치에 파이프(31)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 재배용기(2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하부몸체(21)를 형성하며, 하부몸체(2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비하여 하측이 넓어지는 상협하광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재배용기(20)는 사각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조금 내려간 위치에 4면 중 2면에 하부 결합부재(23)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나머지 2면에 하부 결합돌부(26)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재(23)와 하부 결합돌부(26)와 요철형태로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결합부재(23)와 하부 결합돌부(26)가 형성된 사이에서 4면 중 적어도 2면에 손잡이(28)가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28)는 하부 결합부재(23)의 사이 1면과 하부 결합돌부(26)의 사이 1면에 형성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하부 재배용기(20)의 상측에는 안으로 들어가도록 몸체 결합돌부(22)가 형성되어 상부몸체(11)가 요철형태로 결합되어 상부 재배용기(10)와 하부 재배용기(20)가 결합되어 뿌리가 곧게 뻗어 깊게 성장하는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를 연속해서 결합하는 상태의 분리상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를 연속해서 결합하는 상태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상부 재배용기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 재배용기(10)는 4면 중 2면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재(15)가 상부 보강리브(17)로 돌출된 형태가 보강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15)의 선단에는 하측으로 상부 결합축(1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4면의 상부 결합부재(15)가 설치된 2면을 제외한 나머지 2면에 상부 결합홈(18)이 돌출되어 상부 결합부재(15)를 감싸도록 결합하며, 내부에는 상부 결합구멍(19)이 형성되어 상부 결합축(16)과 요철형태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몸체(11)의 상측에서 사면으로 돌출된 돌출날개(14)의 코너 부분과 중앙에는 파이프홈(14a)이 형성되어 파이프(31)가 직립되게 설치된 후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하부 재배용기를 연속해서 결합하는 상태의 분리상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하부 재배용기를 연속해서 결합하는 상태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하부 재배용기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하부 재배용기(20)는 4면 중 2면에 형성된 하부 결합부재(23)가 하부 보강리브(25)로 돌출된 형태가 보강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하부 결합부재(23)의 선단에는 하측으로 하부 결합축(2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4면의 하부 결합부재(23)가 설치된 2면을 제외한 나머지 2면에 하부 결합돌부(26)가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하부 결합구멍(27)이 형성되어 하부 결합축(24)과 요철형태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뿌리식물 재배용기(100)는, 상부 재배용기(10)와 하부 재배용기(20)가 독립되게 플라스틱(PP, PE, PVC, PET, 화이바 그라스 중 어느 하나)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며,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재배용기(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하여 일정한 면적으로 갖도록 설치한 후 내부에 상토를 공급한 상태에서 비교적 얕은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 재배용기(20)를 원하는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하여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설치한 후 상토를 공급한 상태에서 비교적 얕은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재배용기(10)와 하부 재배용기(20)를 각각 원하는 면적을 갖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재배용기(10)를 하부 재배용기(10)의 하부몸체(21) 상측으로 형성한 몸체 결합돌부(22)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 재배용기(10)와 하부 재배용기(20)를 각각 원하는 면적을 갖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상토를 공급하여 비교적 곧게 뻗어 길이가 긴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재배용기(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 홈(14a)을 통하여 제공되는 파이프 구멍(30)에는 파이프(31)를 세울 수 있게 되므로 바닥에 배관을 통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파이프(31)의 상측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하여 급수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재배용기(10)는 4면 중 2면에 상부 결합부재(15)가 상부 보강리브(17)를 통하여 상부몸체(11)로부터 견고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 결합홈(18)에 형성한 상부 결합구멍(19)에 상부 결합축(16)을 결합하는 것으로 연속해서 안정되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재배용기(10)는 상측에서 4면에 돌출날개(14)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부 결합부재(15)와 상부 결합홈(18)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로 사용되어 간편하게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재배용기(10)는 상부몸체(11)의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형태를 제공하여 상토를 사용한 후에 사용한 상토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새로운 상토의 공급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재배용기(20)는 4면 중 2면에 하부 결합부재(23)가 하부 보강리브(25)를 통하여 하부몸체(21)로부터 견고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 결합돌부(26)에 형성한 하부 결합구멍(27)에 하부 결합축(24)이 안정되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 재배용기(20)는 상측에서 4면 중 2면에 형성된 손잡이(28)를 통하여 간편하게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재배용기(20)는 하부몸체(21)의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형태를 제공하여 상토를 사용한 후에 사용한 상토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새로운 상토의 공급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각각 원하는 면적을 갖도록 결합하여 비교적 얕은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상부 재배용기와 하부 재배용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원하는 면적을 갖도록 결합하여 뿌리가 곧고 깊은 뿌리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상부 재배용기 11 : 상부몸체
12 : 공간 13 : 격벽
14 : 돌출날개 14a : 파이프 홈
15 : 상부 결합부재 16 : 상부 결합축
17 : 상부 보강리브 18 : 상부 결함홈
19 : 상부 결합구멍 20 : 하부몸체
21 : 하부몸체 22 : 몸체 결합돌부
23 : 하부 결합부재 24 : 하부 결합축
25 : 하부 보강리브 26 : 하부 결합돌부
27 : 하부 결합구멍 28 : 손잡이
30 : 파이프 구멍 31 : 파이프

Claims (7)

  1.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4면에서 돌출된 돌출날개(14)의 2면에는 상부 결합축(16)이 돌출된 상부 결합부재(15)를 형성하고, 상기 4면 중 나머지 2면에는 상부 결합구멍(19)이 있는 상부 결합홈(18)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결합축(16)이 상부 결합구멍(19)에 결합되고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상부몸체(11)의 상측에서 공간(12)을 갖도록 격벽(13)이 형성되는 상부 재배용기(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식물 재배용기.
  2.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4면 외측 중 2면에는 하부 결합축(24)이 돌출된 하부 결합부재(23)를 형성하고, 상기 4면 중 2면 중 나머지 2면에는 하부 결합구멍(27)이 있는 하부 결합돌부(26)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결합축(24)이 하부 결합구멍(27)에 결합되고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하부몸체(21)로 형성되는 하부 재배용기(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식물 재배용기.
  3.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4면에서 돌출된 돌출날개(14)의 2면에는 상부 결합축(16)이 돌출된 상부 결합부재(15)를 형성하고, 상기 4면 중 나머지 2면에는 상부 결합구멍(19)이 있는 상부 결합홈(18)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결합축(16)이 상부 결합구멍(19)에 결합되고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상부몸체(11)의 상측에서 공간(12)을 갖도록 격벽(13)이 형성되는 상부 재배용기(10)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4면 외측 중 2면에는 하부 결합축(24)이 돌출된 하부 결합부재(23)를 형성하고, 상기 4면 중 2면 중 나머지 2면에는 하부 결합구멍(27)이 있는 하부 결합돌부(26)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결합축(24)이 하부 결합구멍(27)에 결합되고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하부몸체(21)로 형성되는 하부 재배용기(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식물 재배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날개(14)는 4방향의 코너에 파이프 홈(14a)을 더 형성하여 파이프 구멍(3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식물 재배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재(15)는 돌출날개(14)의 상측으로 상부 보강리브(17)가 돌출되어 연결되고, 상부 결합홈(18)에 결합하며 선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상부 결합축(16)이 상부 결합구멍(19)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식물 재배용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1)는 하부 결합부재(23)와 하부 결합돌부(26)의 상측에 상부몸체(11)가 결합되는 몸체 결합돌부(22)가 형성되어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20)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식물 재배용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1)는 4면 중 2면에 손잡이(28)를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28)는 하부 결합부재(23)의 사이 1면과 하부 결합돌부(26)의 사이 1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식물 재배용기.
KR1020160122182A 2016-09-23 2016-09-23 뿌리식물 재배용기 KR20180033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182A KR20180033350A (ko) 2016-09-23 2016-09-23 뿌리식물 재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182A KR20180033350A (ko) 2016-09-23 2016-09-23 뿌리식물 재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350A true KR20180033350A (ko) 2018-04-03

Family

ID=6197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182A KR20180033350A (ko) 2016-09-23 2016-09-23 뿌리식물 재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33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97B1 (ko) * 2019-03-13 2019-09-16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구근식물재배용 컨테이너
KR20200026562A (ko) * 2018-09-03 2020-03-11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케어팜 조립형 재배장치
KR20210034329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뿌리식물재배용 조립식 컨테이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62A (ko) * 2018-09-03 2020-03-11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케어팜 조립형 재배장치
KR102021397B1 (ko) * 2019-03-13 2019-09-16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구근식물재배용 컨테이너
KR20210034329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뿌리식물재배용 조립식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0808T3 (es) Elemento de columna para un dispositivo para el cultivo vertical de plantas
KR101319787B1 (ko) 곧은 뿌리 식물 재배용 판상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1232644B1 (ko) 수경 재배용 베드
KR20180033350A (ko) 뿌리식물 재배용기
KR101899724B1 (ko)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20140055561A (ko) 식물 재배용 용기
KR101780467B1 (ko) 농작물 지지대
KR100995370B1 (ko)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CN206744131U (zh) 水耕袋
KR101951591B1 (ko) 곧은 뿌리 작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배 방법
CN206078450U (zh) 一种铁皮石斛板皮立体栽种架
CN205546823U (zh) 一种适用于水培牧草系统中的育苗装置
KR101698112B1 (ko) 격자형 셀이 형성된 육묘 상자 및 블록매트형 상토를 포함하는 육묘 장치
CN107624431A (zh) 一种水生蔬菜或水生作物的种植装置及种植方法
KR200469808Y1 (ko) 식물 재배용기
KR102193027B1 (ko) 식물 재배 장치
CN202979737U (zh) 蔬菜栽培箱
US20030046866A1 (en) Planter having multiple cells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20210054881A (ko) 조립식 화분체
CN211430195U (zh) 一种种植箱
TWI795314B (zh) 植株端盤
TWM479011U (zh) 具多孔式栽培杯的穴盤
CN108271568A (zh) 一种园林育苗培养皿
CN204291862U (zh) 一种陡峭岩质边坡的绿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