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043A - Deep Drawing Apparatus for Laminated Shee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and Method for Deep Draw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ep Drawing Apparatus for Laminated Shee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and Method for Deep Draw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043A
KR20180032043A KR1020160120710A KR20160120710A KR20180032043A KR 20180032043 A KR20180032043 A KR 20180032043A KR 1020160120710 A KR1020160120710 A KR 1020160120710A KR 20160120710 A KR20160120710 A KR 20160120710A KR 20180032043 A KR20180032043 A KR 20180032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sheet
mold frame
gripper
deep drawing
horizont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0010B1 (en
Inventor
허준우
고명훈
선승식
임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2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010B1/en
Publication of KR2018003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2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H01M2/0267
    • H01M2/028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30Iron, e.g.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ep drawing apparatus which forms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on a laminate sheet contain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The deep drawing apparatus comprises: a first mold frame unit in which a depressed groove, corresponding to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upward opening; a second mold frame unit which includes a punch introduced into the depressed groove for deep drawing; a roller unit which moves a laminate sheet in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on a first mold frame unit; and grip units which are disposed in pair on an extension line of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having the depressed groove therebetween, to fix the laminate sheet, and are formed to be movabl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particular, the laminate sheet is disposed between the depressed groove and the punch, and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thereon by pressing of the punch; and the grip units are formed to mov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reduce a tensile force transmitted to the laminate sheet.

Description

라미네이트 시트의 인장력 조절이 가능한 딥 드로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딥 드로잉 방법 {Deep Drawing Apparatus for Laminated Shee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and Method for Deep Drawing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ep draw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ensile force of a laminate sheet and a deep draw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인장력 조절이 가능한 딥 드로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딥 드로잉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ep draw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tensile force of a laminate sheet and a deep drawing method using the same.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을 포함하여 고출력 대용량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동력원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The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is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plug-in electric vehicle (HEV) and the like, which are proposed as solutions for the air pollution of existing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Hybrid electric vehicles (Plug-In HEVs) and the like, and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devices requiring high output large capacity.

상기와 같이, 이차전지가 적용되는 디바이스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으며, 더불어, 소형 경박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devices to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applied are diversifie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been diversified so as to provide an output and a capacity suitable for the device to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applied. In addition, miniaturization and miniaturization are strongly demanded.

이차전지는, 그것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전지셀, 각형 전지셀, 파우치형 전지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저렴하고 변형이 용이한 파우치형 전지셀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battery cell, a prismatic battery cell, and a pouch-shaped battery cell depending on its shape. Among them, a pouch-type battery cell which can be stacked with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has a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and is inexpensive and easy to deform is attracting much attention.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은 전지케이스가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전지셀을 의미하며, 상기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는 구조이다.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means a battery cell having a battery case made of a laminate sheet, and an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 the battery case.

이와 같이, 파우치형 전지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 내부에 안정적으로 내장 및 고정시키며, 전지셀 내의 사공간(dead space)을 줄이기 위해, 라미네이트 시트에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일반적으로 거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s stably embedded and fixed in the battery case, and in order to reduce the dead space in the battery cell, A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using the apparatus is generally performed.

참고로, 평평한 금속판재를 원통형이나 각통형의 제품으로 성형하려면, 펀치를 이용하여 소재를 다이 공도부로 밀어 넣는 딥 드로잉가공을 해야 하며, 이 가공법은 속이 깊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뜻으로 딥 드로잉이라고 하고,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깊이가 얇은 제품을 가공하는데도 빈번히 적용된다.For reference, in order to form a flat metal plate into a cylindrical or square-shaped product, it is necessary to use a punch to push the material into the die hole, which means deep drawing, which means deep drawing , And is often applied to the processing of thin products, such as forming an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in a laminate sheet.

도 1 내지 3에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과정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FIGS. 1 to 3 schematically show a process of forming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received in the laminate sheet.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딥 드로링 장치(10)는 상부 금형 프레임(12), 하부 금형 프레임(14), 동력 수단(11) 및 한 쌍의 그리퍼(18)로 구성되어 있다. 1 to 3, a conventional deep drawing apparatus 10 is composed of an upper mold frame 12, a lower mold frame 14, a power unit 11, and a pair of grippers 18.

도 1에는, 라미네이트 시트(16)의 양단부 측이 한 쌍의 그리퍼(18)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부 금형 프레임의 펀치(12a) 및 하부 금형 프레임의 만입홈(14a)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아직 상부 금형 프레임의 펀치(12a)가 하측을 향해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16)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이다. 1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 portions of the laminate sheet 16 are fixed by a pair of grippers 18. Specifically, the punch 12a of the upper mold frame and the indentation grooves of the lower mold frame 14a, and the punch 12a of the upper mold frame still moves downward before the laminate sheet 16 is pressed.

이 때, 상부 금형 프레임(12)은 동력 수단(11)과 피스톤 부재(13)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피스톤 부재(13)는 동력 수단(1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피스톤 부재(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금형 프레임의 펀치(12a)가 라미네이트 시트(16)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mold frame 12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11 through the piston member 13, and the piston member 13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ower unit 11. [ And the punch 12a of the upper mold frame can press the laminate sheet 16 while the piston member 13 moves downward.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금형 프레임의 펀치(12a)가 만입홈을 향해 이동됨으로써, 라미네이트 시트(16)를 가압하고, 라미네이트 시트(16)에 홈 형상인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2, the punch 12a of the upper mold frame is moved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 to press the laminate sheet 16, and the groove-lik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Are formed.

도 3에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금형 프레임의 만입홈에 밀착되어 있는 상부 금형 프레임의 펀치(12a)가 다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 수용부(16a)가 형성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16)는 하부 금형 프레임(1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punch 12a of the upper mold fram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ssed groove of the lower mold frame, is moved upward again in the state shown in Fig. 2, The laminate sheet 16 on which the upper mold part 16a is formed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lower mold frame 14.

이와 관련하여,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금속층과 수지층이 포함되어 있으며, 금속층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연신율이 높은 알루미늄이 사용되나, 외부의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은 전지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금속층에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Use Steel, SUS)층이 포함된 라미네이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laminate sheet includes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In general, aluminum having a high elongation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metal layer. In order to manufacture a battery case having high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stainless steel (Stainless Use Steel) layer may be used.

그러나, 라미네이스 시트의 양단부가 그립퍼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펀치로 라미네이스 시트를 가압시킬 때, 알루미늄 대비 연신율이 낮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특성 때문에,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허용 인장력을 초과하는 인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laminate sheet is pressed with a punch while both ends of the laminate sheet are fixed by the gripp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ainless steel having a lower elongation to aluminum ratio, the laminate sheet is subjected to tensile force exceeding the allowable tensile strength of stainless steel Can be applied.

이와 같이,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의 허용 인장력을 초과하는 인장력이 인가됨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에 주름이 생기거나,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문제로 인해,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의 밀봉성을 담보하지 못하게 되는 바, 궁극적으로 전지셀의 불량을 초래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tensile force exceeding the allowable tensile force of the laminate sheet is applied, wrinkles may occur on the laminate sheet, or breakage may occur. Due to the above problem, the sealing property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is not secured Which may ultimately lead to defects in the battery cells.

따라서, 라미네이트 시트의 금속층에 외부의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층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층이 포함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펀치로 가압할 때,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when a metal sheet of the laminate sheet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layer which is resistant to external impact and has high durability, and when the laminate sheet containing the stainless steel layer is pressed by a punch,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numb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딥 드로잉 장치를 특정한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알루미늄 층에 비해 연신율이 낮은 스테인리스 스틸층이 포함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할 때,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펀치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라미네이트 시트에 주름이 생기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conducted intensive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and have found that when a deep drawing apparatus is formed into a specific structure, a laminated sheet including a stainless steel layer having a lower elongation than an aluminum lay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of wrinkling or tearing of the laminate shee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the process of pressing with the punch by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when pressurized, It came to the following.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딥 드로잉 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에 대응하는 만입홈이 상향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금형 프레임부; 딥 드로잉을 위해 상기 만입홈으로 도입되는 펀치가 구비되어 있는 제 2 금형 프레임부;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서 제 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부; 및 상기 제 1 수평 방향의 연장선 상에,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시키며, 제 1 수평 방향과 상기 제 1 수평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그립부; 를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만입홈 및 펀치 사이에 위치되며, 펀치의 가압에 의해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ep drawing apparatus for form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n a laminated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wherein the recesse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 an upward opening shape, ; A second mold frame part having a punch introduced into the indentation groove for deep drawing; A roller portion for moving the laminate sheet in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And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to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re arranged in pairs so that the recessed grooves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 formed grip portion;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y pressing of the punch, and the grip por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reduc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And is configured to move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이 때, 상기 롤러부는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이에 두고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ller portions may be formed in pairs at corresponding positions with the laminate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그립부는, 라미네이트 시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되도록,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에 각각 수직인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grip portion may be formed to be vertically movabl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is fixed.

구체적으로, 그립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 및 제 1 금형 프레임부 사이에는 미세하게 이격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는 바, 상기 이격된 공간으로 인해 펀치로 가압시 주름 등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그립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팽팽한 상태로 밀착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aminated sheet in a state of being fixed by the grip portion may be located o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and a minute space may be present between the laminate sheet and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The laminate sheet can be tightly adhered o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in a tense state by moving the grip por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rinkles or the like when pushed by the punch.

이와 관련하여, 상기 그립부는, 상부 그립 플레이트 및 하부 그립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그립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폭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그립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라미네이트를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grip portion includes an upper grip plate and a lower grip plate; The width of the upper grip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aminate sheet, and the laminate sheet can be fixed by placing the laminate between the upper grip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pressing the laminate sheet.

이 때,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와 대면하여 상부 및 하부 그립 플레이트의 부위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시 라미네이트 시트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grip plates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as to face the laminate sheet, and may be formed so as not to damage the laminate sheet when pressed.

한편,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금속층으로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Use Steel, SUS)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력에 강하고, 내구성이 강한 전지케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aminate sheet may include a stainless steel (SUS) layer as a metal layer, thereby forming a battery case having high resistance against external force and having high durability.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 그립퍼; 및 상기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제 1 그립퍼에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제 2 그립퍼;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립퍼는 만입홈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grip portion includes: a first gripper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gripper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gripper with the indentation groove therebetween and having a fixed posi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gripper may be form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

이 때, 상기 제 1 그립퍼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단부 측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그립퍼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타단부 측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그립퍼 및 제 2 그립퍼 사이의 중간이 되는 위치에 만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gripper may be formed to fix one end side of the laminate sheet, and the second gripper may be formed to fix the other end side of the laminate sheet. Preferably,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An indentation groov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intermediate between the second grippers.

한편, 제 1 그립퍼는 제 1 및 2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및 2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그립퍼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단부 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단부 측과 함께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gripper may be formed on the guide rails for guiding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directions so as to be moved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 first gripper may be formed on one end side of the laminate sheet And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rai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gether with one end side of the laminate sheet in a fixed state.

이 때, 상기 제 1 그립퍼가 제 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및 2 그립퍼로 인해 인장력이 인가되어 팽팽한 상태였던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단부 측에 인가되는 인장력은 감소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first gripper moves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tensile force is applied due to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one end side of the laminated sheet, which was in a tense state, can be reduced.

이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단부 측은 하측 방향으로 늘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가 상대적으로 연신율이 낮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Use Steel, SUS)층을 포함하더라도,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펀치하는 과정에서 라미네이트 시트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ne end side of the laminate sheet may be formed to be downwardly elongated. Even though the laminate sheet includes a stainless steel (SUS) layer having a relatively low elong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minate sheet from being torn or wrinkled during the punching process.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단부 측이 하측 방향으로 늘어진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체 길이, 제 1 그립퍼의 이동 거리, 금속층 중 스테인리스 스틸층의 비율 등에 의해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단부 측은 상측 방향으로 말려 올라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ne end side of the laminate sheet is described as being based on the downward direction. However, the total length of the laminate sheet,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gripper, the ratio of the stainless steel layer in the metal layer, May be formed in a state of being lifted up in the upward direction.

이 때, 그립퍼의 이동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단부 측이 상측 방향으로 말려 올라가더라도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감소되는 것은 마찬가지인 바, 제 1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단부 측이 상측 방향으로 말려 올라가더라도 무방하다.At this time, as the gripper moves, the size of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is reduced even if the one end side of the laminate sheet is curled upward, so that one end side of the first laminate sheet is curled upward It is safe to go up.

한편, 상기 롤러부는 제 2 그립퍼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의 제 2 그립퍼 측을 가압하여, 제 1 그립퍼가 이동한 거리의 절반만큼,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서 제 2 그립퍼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ller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gripper,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laminate shee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aminate sheet is moved to the second gripper side o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by a half of the distance that the first gripper moved by pressing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 sheet.

이 때, 상기 롤러부가 라미네이트 시트의 제 2 그립퍼 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2 그립퍼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펀치로 형성하기 전에, 라미네이트 시트의 부위 중 제 1 그립퍼 측에 인가되는 인장력 및 제 2 그립퍼 측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moving the laminate sheet to the second gripper side by pressing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 sheet at this time is that before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y the punch, So that the applied tensile force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gripper side are the same.

이에 따라,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할 때, 라미네이트 시트의 부위 중, 제 1 및 2 그립퍼 측 모두 하측 방향으로 동일하게 늘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만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의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laminate sheet is pushed by the punch, both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can be formed in a state of being laid down in the same downward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both sides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하나의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그립부는, 제 1 그립퍼; 및 상기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제 1 그립퍼에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그립퍼;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립퍼 및 2 그립퍼는 만입홈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ne other specific example, the grip portion includes: a first gripper; And a second gripper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gripper with the indentation groove in between; And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may be formed to move by the same distance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롤러부를 상하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함 없이, 제 1 그립퍼 및 제 2 그립퍼를 만입홈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라미네이트 시트의 부위 중 제 1 그립퍼 측에 인가되는 인장력 및 제 2 그립퍼 측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This is because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are moved by the same distance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 without moving the roller portion up and down to press the laminate sheet, unlike the above embodiment, The tensile force to be applied and the tensile force to be applied to the second gripper can be made equal.

한편, 전극조립체의 형상은 곡면이 포함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형상을 기준으로 만입홈의 형상 및 펀치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formed to include a curved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indentation groove and the shape of the punch may be variously formed based on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 1 금형 프레임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 형상과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개구부가 하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만입홈을 형성하고,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frame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And a lower frame supporting the upper frame; The opening of the upper frame is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to form a recessed groove, and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의 개구부의 형상을 전극조립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전극조립체의 형상에 따라, 상부 프레임만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전극조립체에 대한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upper frame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ompatibility with various electrode assemblies can be improved by using only the upper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

한편, 상기 펀치는 상기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매립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가압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밀착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가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punch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formed in a state embedded in the second mold frame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is tightly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th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laminate sheet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이 때,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부면 중 개구부가 형성된 부위 이외의 부분은 라미네이트 시트와 대면할 수 있으며, 제 2 금형 프레임부 하부면은 모두 라미네이트 시트와 대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may face the laminate shee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may be formed to face the laminate sheet.

이에 따라, 제 1 및 2 그립퍼로 라미네이트 시트의 양단부 측을 고정함과 동시에, 이에 더하여,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를 통해 라미네이트 시트의 중간부 측을 고정함으로써, 라미네이트 시트를 좀 더 안정적으로 딥 드로잉할 수 있다. Thus, by fixing the both end sides of the laminate sheet with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and fixing the intermediate portion side of the laminate shee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the laminate sheet can be more reliably deep drawn can do.

전술한, 제 1 그립퍼, 제 2 그립퍼, 제 1 금형 프레임부, 제 2 금형 프레임부, 펀치 및 가압 부재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펀치 및 가압 부재는 소정의 온도로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를 열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gripper, the second gripper,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the punch and the press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predetermined rigidity so as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in the laminate sheet. The punch and the pressing member can be formed to be adjustabl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us can be formed so as to be able to heat-press the laminate sheet.

또한, 상기 구성들을 동작시키는 동력 장치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전기 모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동력 수단이라도 적용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Further, the power unit for operating the above configurations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but any power unit known in the art is applicab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구성 요소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설명을 제외한 나머지 사항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The remaining matters with respect to the above compon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딥 드로잉 장치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uch-shaped battery case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deep drawing device, and can provide the battery cell including the pouch-shaped battery case.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딥 드로잉하는 방법으로서, (a) 롤러부가 작동하여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과정; (b) 상기 제 1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된 만입홈이 중간 지점이 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그립퍼 및 2 그립퍼를 위치시킨 후에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시키는 과정; (c)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시키는 과정; (d)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을 각각 만입홈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과정; 및 (e) 상기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이 이동함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동일하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ep dra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n a laminate sheet using the above-described deep draw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s of: (a) positioning the laminate sheet between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 (b) fixing the laminate sheet after locating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form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indentation grooves formed i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are at the intermediate points; (c)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downward to bring the laminate shee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frame part; (d)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horizontally by the same distance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s, respectively; And (e) pressing the laminate sheet with a punch formed on the second mold frame part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art. Wherein as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mov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is reduced equally.

이 때,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은 상기 제 1 금형 프레임부의 상부면보다 약간 낮은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의 상부면에 좀 더 강하게 밀착시킴으로써, 라미네이트 시트 및 제 1 금형 프레임부의 상부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펀치로 가압하기 전에 라미네이트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are moved to a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ld frame part, the laminate sheet is more tightly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ld frame part so that the laminate sheet and the first mol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ace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s of the frame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laminate from being wrinkled before being pressed by the punch.

또한 본 발명은,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딥 드로잉하는 방법으로서, (a) 롤러부가 작동하여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과정; (b) 상기 제 1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된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2 그립퍼들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시키는 과정; (c)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시키는 과정; (d) 상기 제 1 그립퍼를 만입홈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과정; (e) 상기 제 2 그립퍼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롤러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 중 제 2 그립퍼 측을 가압시키는 과정; 및 (f) 상기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가 라미네이트 시트 중 제 2 그립퍼 측을 가압하여,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그립퍼가 이동한 거리의 절반만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서 제 2 그립퍼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동일하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ep dra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nto a laminate sheet using a deep draw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s of: (a) positioning the laminate sheet between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by operating a roller portion; (b) fixing the laminate sheet with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form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with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c)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downward to bring the laminate shee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frame part; (d) moving the first gripp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ndentation groove direction; (e) a roller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gripper moves downward to press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 sheet; And (f) pressing the laminate sheet with a punch formed on the second mold frame part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art. Wherein the roller portion presses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 sheet such that the laminate sheet is moved to the second gripper side o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by half the distance moved by the first gripper, And the applied tensile force is reduced equally.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펀치는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매립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가압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과정 (f)는, (f-1) 상기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이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 및 (f-2) 상기 가압 부재가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punch is formed of a pressing member embedded in the second mold frame part. In the step (f),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arts A process of closely fixing and fixing the laminate shee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And (f-2) pressing the laminate sheet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And a control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는, 알루미늄 층에 비해 연신율이 낮은 스테인리스 스틸층이 포함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할 때,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의 양단부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그립부를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할 때, 라미네이트 시트에 주름이 생기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aminated sheet including a stainless steel layer having a lower elongation rate than an aluminum layer is pressed, a pair of grip portions for fixing both ends of the laminate sheet 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o reduce the magnitude of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and accordingly, when the laminate sheet is pressed by the punch, the phenomenon of wrinkling or tearing of the laminate sheet The effect can be prevented.

도 1은 종래의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그리퍼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상부 금형 프레임의 펀치가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하부 금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부 금형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딥 드로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상태에서 제 1 및 2 그립퍼들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제 1 및 2 그립퍼들이 만입홈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 2 금형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딥 드로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상태에서 제 1 그립퍼가 만입홈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롤러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 중 제 2 그립퍼 측이 가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롤러부가 다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 2 금형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펀치가 가압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딥 드로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가 가압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의 가압 부재가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펀치가 가압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금형 프레임부의 가압 부재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상태에서 가압 부재가 이동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minate sheet is fixed by a pair of grippers in order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n a laminate sheet using a conventional deep drawing apparatus;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nch of the upper mold frame pressurizes the laminate sheet in the state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mold frame moves upward to separate the laminate sheet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from the lower mold frame in the state of FIG. 2;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using the deep draw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eep drawing using a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move downward in the state of FIG. 4 and the laminate shee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frame part;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are moved in the state of FIG. 6 by the same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is pressed by a punch formed in the second mold frame part in the state of FIG. 7;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ld frame moves upward in order to separate the laminated sheet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from the first mold frame in the state of FIG. 8;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eep drawing using a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per is moved in the indentation groove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6;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er portion moves downward in the state of FIG. 11 and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d sheet is pressed;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er portion is moved upward again in the state of FIG. 12;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is pressed by a punch formed in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in the state of Fig. 13;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ld frame moves upward in order to separate the laminate sheet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from the first mold frame in the state of FIG. 14;
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eep drawing using a deep drawing apparatus in which a pun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ressing member;
FIG. 1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unch formed in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in the state of FIG. 13 is formed of a pressing member;
Fig. 1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is moved downward in the state of Fig. 17; Fig.
Fig. 1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of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presses the laminate sheet in the state of Fig. 18; Fig.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punch of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in which the punch of Fig. 17 is formed by the pressing member, moves;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has moved in the state of Fig. 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aminate sheet is positioned between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using a deep dra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딥 드로잉 장치(100)는 제 1 금형 프레임부(110), 제 2 금형 프레임부(120), 롤러부(170), 제 1 그립퍼(150), 제 2 그립퍼(160) 및 동력 수단(190)으로 구성되어 있다. 4, the deep draw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irst mold frame 110, a second mold frame 120, a roller 170, a first gripper 150, a second gripper 160, And a power means (190).

이 때, 제 1 금형 프레임부(110)에는 라미네이트 시트(140)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전극조립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만입홈(112)이 상향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in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the indentation groove 112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in an upward opening shape so as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art in the laminate sheet 140.

또한, 제 2 금형 프레임부(120)는 제 1 금형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되어 있으며, 딥 드로잉을 위해 만입홈(112)으로 도입되는 펀치(112)가 구비되어 있다. The second mold frame part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es a punch 112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indentation groove 112 for deep drawing. .

이 때, 제 1 금형 프레임부(110)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금형 프레임부(120)는 동력 수단(190)과 제 1 피스톤 부재(19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바, 제 1 피스톤 부재(19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 금형 프레임부(120) 역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ground, the second mold frame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190 through the first piston member 192, As the first piston member 192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mold frame part 120 is also form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제 1 및 2 그립퍼(150,160)는 만입홈(112)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상부 및 하부 그립 플레이트로 이루어져있으며, 상부 및 하부 그립 플레이트들은 각각 제 2 피스톤 부재(152,162)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제 2 피스톤 부재(152,162)들은 동력 수단(190)과 연결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 그립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150 and 160 are position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indentation groove 112,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150 and 160 is composed of an upper and a lower grip plate, And the second piston members 152 and 162 are connected to the power means 19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grip plates can be moved up and down.

이 때, 제 2 피스톤 부재들(152,162)은 가이드 레일부(154,164)와 결합됨으로써,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길이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piston members 152 and 162 are form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sheet 140 an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being engaged with the guide rail portions 154 and 164.

이하, 본 명세서의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길이 방향을 제 1 수평 방향이라고 정의하며,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 2 수평 방향이라고 정의한다.Hereinaft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sheet 140 is defined as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sheet 140 is defined as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한편, 제 2 그립퍼(160) 측에는 롤러부 지지부재(162)에 의해 가이드 레일부(164)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부(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롤러부(170)는 제 1 및 2 수평방향으로 라미네이트 시트(14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on the side of the second gripper 160, a roller portion 170,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portion 164 by the roller portion supporting member 162, is formed, and the roller portion 170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Thereby moving the laminate sheet 14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구체적으로는, 제 1 금형 프레임부(110)의 만입홈(112)의 정중앙을,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양단부의 가운데 지점에 위치시킴으로써, 만입홈(112)을 기준으로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양측 방향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상호 균일하도록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Specifically, by positioning the center of the indentation groove 112 of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at the center of both ends of the laminate sheet 140, the center of the recessed groove 112 of the laminate sheet 140 The position of the laminate sheet 14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ensile forces applied to both directions are mutually uniform.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딥 드로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eep drawing using a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딥 드로잉하는 방법은, 롤러부가 작동하여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과정(S110), 상기 제 1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된 만입홈이 중간 지점이 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그립퍼 및 2 그립퍼를 위치시킨 후에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시키는 과정(S120),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시키는 과정(S130),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을 각각 만입홈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과정(S140) 및 상기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과정(S1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a method of deep drawing using a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10 of placing the laminate sheet between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by operating a roller portion, (S120) of fixing the laminate sheet after placing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form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recessed grooves formed i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are at the intermediate points, A step S140 of moving the grippers in a downward direction to closely contact the laminate sheet on the first mold frame part S130,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horizontally by the same distance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 S140, And pressing the laminate sheet with a punch formed in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S150).

도 6은 도 4의 상태에서 제 1 및 2 그립퍼들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move downward in the state of FIG. 4 and the laminate shee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도 6을 참조하면, 과정(S110) 및 과정(S120)이 진행된 후, 라미네이트 시트(140)를 제 1 금형 프레임부(110)의 상부면 중 만입홈(112)을 제외한 부위에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6, after the process (S110) and the process (S120), the laminate sheet 140 is tightly adhered to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except for the indentation groove 112 FIG.

이 때, 라미네이트 시트(140)가 제 1 금형 프레임부(110)의 상부면의 연장선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제 1 그립퍼 및 제 2 그립퍼(150,160)가 상하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며, 라미네이트 시트(140)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라미네이트 시트(140)를 팽팽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150 and 160 move fin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aminate sheet 140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extension li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140 of the laminate sheet 140 so as not to cause wrinkles.

또한, 제 1 그립퍼(150) 및 제 1 금형 프레임부(110) 사이의 거리(d1)는 제 2 그립퍼(150) 및 제 1 금형 프레임부(110)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중간 지점의 하측 방향에 만입홈(112)이 위치되어 있다.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gripper 150 and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is set to be equal to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econd gripper 150 and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And the indentation groove 112 is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laminated sheet 140. [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제 1 및 2 그립퍼들이 만입홈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ar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same distance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 in the state of FIG. 6;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제 1 그립퍼(150)는 제 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 2 그립퍼(160)는 제 2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며, 구체적으로는 d1-d2 만큼 이동되고, 이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140)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6 and 7, the first gripper 150 moves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gripper 160 moves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pecifically moving by d1-d2, , The size of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140 can be reduced.

또한, 라미네이트 시트(140)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부위 중, 제 1 그립퍼(150) 및 제 1 금형 프레임부(11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부위는, 중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늘어지도록 형성된다. As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140 is reduced, a portion of the laminate sheet 14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ipper 150 and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110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gripper 150, And is formed to be pulled downward by gravity.

또한, 제 1 및 2 그립퍼들(150,160)은 상호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됨으로써, 만입홈(112)을 기준으로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양측 방향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150 and 160 are moved by the same distance to each other, thereby uniformly forming a magnitude of a tensile forc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laminate sheet 140 with respect to the indentation groove 112.

한편, 롤러부(170)는 그 자체로 소정의 무게를 갖는 바, 라미네이트 시트(140)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만, 도 7에는 롤러부(17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롤러부(17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ller unit 170 has a predetermined weight per se and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so as not to affect the magnitude of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140. 7, the roller unit 170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operator performing the process, the process is performed without moving the roller unit 170 in the upward direction You may.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is pressed by a punch formed in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in the state of FIG.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피스톤 부재(192)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 금형 프레임부의 펀치(122)가 제 1 금형 프레임부(110)의 만입홈에 삽입되면서 라미네이트 시트(140)가 가압되며, 이 과정에서 라미네이트 시트(140)에 전극조립체 수용부(142)가 형성된다. 8, as the first piston member 192 moves downward, the punch 122 of the second mold frame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of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142 is formed in the laminate sheet 140 in this process.

또한, 도 7에 도시된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부위 중, 제 1 및 2 그립퍼들(150,160)의 이동에 따라 인장력이 감소되어 하측 방향으로 늘어진 부위는, 다시 회복되어 제 1 금형 프레임부(110)의 상부면과 나란하게 위치된다. 7, the tensile force i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150 and 160, and the downwardly stretched portion is restored to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110 ). ≪ / RTI >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 2 금형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ld frame is moved upward to separate the laminated sheet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from the first mold frame in the state of FIG. 8;

도 9를 참조하면, 제 2 금형 프레임부의 펀치(122)의 가압에 의해 전극조립체 수용부(142)가 형성된 라미네이트 시트(140)를 제 1 금형 프레임부(1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제 1 피스톤 부재(192)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 2 금형 프레임부(12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다.9, in order to separate the laminate sheet 140 formed with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142 from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110 by the punch 122 of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The member 192 is moved upward so that the second mold frame part 120 is moved upward.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딥 드로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eep drawing using a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딥 드로잉하는 방법은, 롤러부가 작동하여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과정(S210), 상기 제 1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된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2 그립퍼들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시키는 과정(S220),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시키는 과정(S230), 상기 제 1 그립퍼를 만입홈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과정(S240), 상기 제 2 그립퍼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롤러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 중 제 2 그립퍼 측을 가압시키는 과정(S250) 및 상기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과정(S26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a method of deep-drawing using a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ositioning the laminate shee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S220) of fixing the laminate sheet with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formed in mutually opposing directions with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S220),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S230) moving the laminate shee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ld frame (S230), moving the first gripper in the recess groov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240), and arranging the laminate sheet adjacent to the second gripper (S250) of moving the roller unit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pressing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 sheet (S250) And pressing the laminate sheet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S260).

도 11은 도 6의 상태에서 제 1 그립퍼가 만입홈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과정(S210) 내지 과정(S23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per is moved in the indentation groove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6, and the processes (S210) to (S23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

도 11을 참조하면,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고 있는 제 1 그립퍼(150) 및 제 2 그립퍼(160) 중 제 1 그립퍼(140)만을 만입홈(112)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인장력이 감소된, 제 1 그립퍼(150) 및 제 1 금형 프레임부(110) 사이의 라미네이트 시트(140)는 중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h1)만큼 늘어지게 된다. 11, only the first gripper 140 among the first gripper 150 and the second gripper 160 fixing the both ends of the laminate sheet 14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indentation groove 112, The first gripper 150 and the laminate sheet 140 between the first mold frame part 110 with the tensile force reduced are lowered by a predetermined height h1 downward due to gravity.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롤러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 중 제 2 그립퍼 측이 가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er portion moves downward in the state of FIG. 11 and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 sheet is pressed.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롤러부(170)가 라미네이트 시트(140)의 부위 중 제 2 그립퍼(160) 측의 부위를 가압함에 따라, 가압된 부위의 라미네이트 시트(140)는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h2)만큼 늘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이미 소정의 높이(h1)만큼 늘어져 있던 제 1 그립퍼(150) 및 제 1 금형 프레임부(110) 사이의 라미네이트 시트(140) 부위는 소정의 높이(h2)만큼 상승되게 된다. 11 and 12, as the roller portion 170 presses the portion of the laminate sheet 140 on the second gripper 160 side, the laminate sheet 140 of the pressed portion is pressed downward The first gripper 150 and the portion of the laminate sheet 140 betwee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110 which have been already lined up by the predetermined height h1 are moved to a predetermined height h1, (h2).

이 때, 롤러부(170)가 라미네이트 시트(140) 중 제 2 그립퍼(160) 측을 가압하여, 라미네이트 시트(140)가, 제 1 그립퍼(150)가 이동한 거리의 절반만큼, 제 1 금형 프레임부(110) 상에서 제 2 그립퍼(160) 측으로 이동된다. At this time, the roller portion 170 presses the second gripper 160 side of the laminate sheet 140 so that the laminate sheet 140 is folded by half the distance that the first gripper 150 has moved, And is moved to the second gripper 160 side on the frame portion 110.

또한, 라미네이트 시트(140) 중 롤러부(170)에 의해 가압된 부위가 늘어진 높이(h2) 및 라미네이트 시트 중 제 1 그립퍼(150) 및 제 1 금형 프레임부(110) 사이의 늘어진 높이(h2)는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만입홈(112)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에 동일한 인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The height h2 of the portion of the laminate sheet 140 pressed by the roller portion 170 and the height h2 between the first gripper 150 and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110 of the laminate sheet, The same tensile force can b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indentation groove 112 as a reference.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롤러부가 다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er unit is moved upward again in the state of FIG.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시트(140)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롤러부(170)를 다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Referring to FIG. 13, the roller unit 170 is moved upward again so as not to affect the magnitude of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140, as described above.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 2 금형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된다. Fig.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is pressed by the punch formed in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in the state of Fig. 13, Fig.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And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ld frame is moved upward to separate from the mold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laminate sheet.

도 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펀치가 가압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딥 드로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eep drawing using a deep drawing apparatus in which a pun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ressing member.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과정(S260)은 상기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이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S262) 및 상기 가압 부재가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과정(S264)으로 이루어져 있다. Referring to FIG. 16,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S260), a process (S262) of closely fixing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to each other, And pressing the laminate sheet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S264).

도 17은 도 13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가 가압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1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unch formed in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in the state of FIG. 13 is formed of a pressing member.

도 17을 참조하면, 제 2 금형 프레임부의 펀치는 제 2 금형 프레임부(220)에 매립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가압 부재(224)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압 부재(224)는 제 3 피스톤 부재(222)를 통해 동력 수단(290)과 연결되어 있다. 17, the punch of the second mold frame part is composed of a pressing member 224 formed in a shape embedded in the second mold frame part 220, and the pressing member 224 is composed of a third piston member 222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means 29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290.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Fig. 1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is moved downward in the state of Fig. 17;

도 18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제 2 금형 프레임부(22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라미네이트 시트(240)에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가압 부재(224)의 가압 전 제 2 금형 프레임부(220)의 이동이 선행된다. 18,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art is not formed in the laminate sheet 240 dur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ld frame part 220 in the downward direction,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ld frame unit 220 before pressing is preceded.

이 때, 제 2 금형 프레임부(220)는 라미네이트 시트(240) 상에 밀착하여 이동하며, 제 2 금형 프레임부(220)가 라미네이트 시트(240)를 가압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라미네이트 시트(240)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mold frame part 220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laminate sheet 240 and the second mold frame part 220 does not press the laminate sheet 240, As shown in FIG.

도 19는 도 18의 상태에서 제 2 금형 프레임부의 가압 부재가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1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of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presses the laminate sheet in the state of Fig. 18; Fig.

도 19를 참조하면, 제 2 금형 프레임부(220)가 라미네이트 시트(240)와 밀착하여 대면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224)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만입홈(212)에 삽입됨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240)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240)에 전극조립체 수용부(242)가 형성된다. 19, when the pressing member 224 is moved downward and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groove 212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220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laminate sheet 240,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242 is formed on the laminate sheet 240. [0051]

이와 같이, 제 2 금형 프레임부(220)를 먼저 라미네이트 시트(240) 상에 위치시킨 후, 다시 가압 부재(224)로 라미네이트 시트(240)를 가압함에 따라, 제 2 금형 프레임부(220)가 라미네이트 시트(240)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라미네이트 시트(240)의 위치를 제 1 및 2 수평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After the second mold frame part 220 is first positioned on the laminate sheet 240 and the laminate sheet 240 is pressed again by the pressing member 224, the second mold frame part 220 The position of the laminate sheet 240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directions even when the laminate sheet 2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aminate sheet 240.

도 20은 도 17의 펀치가 가압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금형 프레임부의 가압 부재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상태에서 가압 부재가 이동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pressing member of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formed by the punch of Fig. 17 is moved,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moved in the state of Fig. 20 Fig.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가압 부재(224)가 제 2 금형 프레임부의 본체(226)에 매립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 부재(224)의 하부면은 제 2 금형 프레임부의 본체(226)의 하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 3 피스톤 부재(292)가 이동함에 따라, 가압 부재(224)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20 and 21, the pressing member 224 is formed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body 226 of the second mold frame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224 is formed in the body 226 of the second mold frame part, And as the third piston member 292 moves, the pressing member 224 is formed to move in the downward direction.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laims (14)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딥 드로잉 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에 대응하는 만입홈이 상향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금형 프레임부;
딥 드로잉을 위해 상기 만입홈으로 도입되는 펀치가 구비되어 있는 제 2 금형 프레임부;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서 제 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부; 및
상기 제 1 수평 방향의 연장선 상에,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시키며, 제 1 수평 방향과 상기 제 1 수평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그립부;
를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만입홈 및 펀치 사이에 위치되며, 펀치의 가압에 의해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장치.
1. A deep drawing apparatus for form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n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A first mold frame portion having a depresse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an upward opening shape;
A second mold frame part having a punch introduced into the indentation groove for deep drawing;
A roller portion for moving the laminate sheet in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And
The laminate sheet is fixed on the extended lin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indentation grooves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be movabl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 grip portion;
/ RTI >
The laminate sheet is positioned between the indentation grooves and the punches, and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y the pressing of the punches,
Wherein the grip portion is formed to mov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reduce a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라미네이트 시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되도록,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에 각각 수직인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is fixed Wherein the deep drawing device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부 그립 플레이트 및 하부 그립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그립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폭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그립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라미네이트를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An upper grip plate and a lower grip plate;
Wherein the width of the upper grip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aminate sheet and the laminate sheet is fixed by pressing the laminate between the upper grip plate and the lower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 그립퍼; 및
상기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제 1 그립퍼에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제 2 그립퍼;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립퍼는 만입홈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A first gripper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gripper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gripper with the indentation groove therebetween and having a fixed posi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Lt; / RTI >
Wherein the first gripper is form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 to reduc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제 2 그립퍼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의 제 2 그립퍼 측을 가압하여, 제 1 그립퍼가 이동한 거리의 절반만큼,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서 제 2 그립퍼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장치.
5.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roller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gripper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herein the laminate sheet is formed such that the laminate sheet is moved toward the second gripper side o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by a half of the distance that the first gripper moved by pressing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 she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제 1 그립퍼; 및
상기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제 1 그립퍼에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그립퍼;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립퍼 및 2 그립퍼는 만입홈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A first gripper; And
A second gripper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gripper with the indentation groove in between;
Lt; / RTI >
Wherein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are configured to move the same distance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 to reduc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금속층으로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Use Steel, SUS)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장치.The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inate sheet includes a stainless steel (Stainless Use Steel) layer as a metal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 프레임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 형상과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개구부가 하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만입홈을 형성하고,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comprises:
An upper frame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And
A lower frame supporting the upper frame;
/ RTI >
Wherein the opening of the upper frame is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to form a recessed groove, and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formed to be detachab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는 상기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매립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가압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밀착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가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unch comprises a pressing member formed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second mold frame part;
Wherein th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laminate sheet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sheet is tightly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A pouch-shaped battery case manufactured by the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제 10 항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A battery cell comprising the pouch-shaped battery case according to claim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딥 드로잉하는 방법으로서,
(a) 롤러부가 작동하여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과정;
(b) 상기 제 1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된 만입홈이 중간 지점이 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그립퍼 및 2 그립퍼를 위치시킨 후에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시키는 과정;
(c)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시키는 과정;
(d)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을 각각 만입홈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과정; 및
(e) 상기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이 이동함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동일하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방법.
10. A method of deep dra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n a laminate sheet using the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positioning the laminate shee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by operating the roller portion;
(b) fixing the laminate sheet after locating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form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indentation grooves formed i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are at the intermediate points;
(c)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downward to bring the laminate shee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frame part;
(d)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horizontally by the same distance toward the indentation grooves, respectively; And
(e) pressing the laminate sheet with a punch formed in the second mold frame part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art;
/ RTI >
Wherein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is equally reduced as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move.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딥 드로잉 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딥 드로잉하는 방법으로서,
(a) 롤러부가 작동하여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과정;
(b) 상기 제 1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된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2 그립퍼들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시키는 과정;
(c) 상기 제 1 및 2 그립퍼들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 밀착시키는 과정;
(d) 상기 제 1 그립퍼를 만입홈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과정;
(e) 상기 제 2 그립퍼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롤러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미네이트 시트 중 제 2 그립퍼 측을 가압시키는 과정; 및
(f) 상기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치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가 라미네이트 시트 중 제 2 그립퍼 측을 가압하여, 라미네이트 시트가, 제 1 그립퍼가 이동한 거리의 절반만큼, 제 1 금형 프레임부 상에서 제 2 그립퍼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동일하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방법.
10. A method of deep dra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n a laminate sheet using the deep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positioning the laminate shee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ortions by operating the roller portion;
(b) fixing the laminate sheet with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form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with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c)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downward to bring the laminate shee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frame part;
(d) moving the first gripp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ndentation groove direction;
(e) a roller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gripper moves downward to press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 sheet; And
(f) pressing the laminate sheet with a punch formed on the second mold frame portion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 RTI >
As the roller portion presses the second gripper side of the laminate sheet and the laminate sheet is moved toward the second gripper side on the first mold frame portion by half the distance moved by the first gripper,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aminate sheet And the number of the deep drawing is reduc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는 제 2 금형 프레임부에 매립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가압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과정 (f)는,
(f-1) 상기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이 제 1 및 2 금형 프레임부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 및
(f-2) 상기 가압 부재가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 드로잉 방법.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unch comprises a pressing member formed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second mold frame part,
In the step (f)
(f-1) fixing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arts in close contact with the laminate shee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 frame parts; And
(f-2) a step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laminate sheet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deep drawing method comprises:
KR1020160120710A 2016-09-21 2016-09-21 Deep Drawing Apparatus for Laminated Shee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and Method for Deep Drawing Using the Same KR102150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710A KR102150010B1 (en) 2016-09-21 2016-09-21 Deep Drawing Apparatus for Laminated Shee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and Method for Deep Drawing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710A KR102150010B1 (en) 2016-09-21 2016-09-21 Deep Drawing Apparatus for Laminated Shee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and Method for Deep Drawing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043A true KR20180032043A (en) 2018-03-29
KR102150010B1 KR102150010B1 (en) 2020-08-31

Family

ID=6190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710A KR102150010B1 (en) 2016-09-21 2016-09-21 Deep Drawing Apparatus for Laminated Shee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and Method for Deep Draw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0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43A1 (en) * 2020-07-15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pouch press mold
WO2022086278A1 (en)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case forming apparatus, and battery case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141A (en)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uch Curling Prevent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825A (en) * 1997-08-20 1999-03-09 Fujitsu Ltd Method and equipment for mounting semiconductor chip
JP2007319892A (en) * 2006-05-31 2007-12-13 Aisin Seiki Co Ltd Sequential forming method and sequential forming apparatus
JP2009063499A (en) * 2007-09-07 2009-03-26 Toyota Motor Corp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bending amount of sheet-like material
KR20110024366A (en) * 2009-09-02 2011-03-09 김기수 Press mold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for corner molding of press product
KR101321125B1 (en) * 2012-05-08 2013-10-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inuous fabrication method of with micro channel bipolar plate for lage are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825A (en) * 1997-08-20 1999-03-09 Fujitsu Ltd Method and equipment for mounting semiconductor chip
JP2007319892A (en) * 2006-05-31 2007-12-13 Aisin Seiki Co Ltd Sequential forming method and sequential forming apparatus
JP2009063499A (en) * 2007-09-07 2009-03-26 Toyota Motor Corp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bending amount of sheet-like material
KR20110024366A (en) * 2009-09-02 2011-03-09 김기수 Press mold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for corner molding of press product
KR101321125B1 (en) * 2012-05-08 2013-10-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inuous fabrication method of with micro channel bipolar plate for lage are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43A1 (en) * 2020-07-15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pouch press mold
WO2022086278A1 (en)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case forming apparatus, and battery case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010B1 (en)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445B1 (en) Taping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Adhesive Tape to Battery Cell
KR102015898B1 (en) Folding Device for electrode lead Part of Battery Cell
EP3748801A1 (en) Device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secondary battery
CN110998906B (en) Battery module and vehicle equipped with same
KR101531234B1 (en) High-Speed Stak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the same
JP6331201B2 (en) Battery cell stack jig
KR20180032043A (en) Deep Drawing Apparatus for Laminated Sheet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and Method for Deep Drawing Using the Same
KR101811474B1 (en) Apparatus of degassing battery cell and method of degassing battery cell using the same
KR20140019933A (en)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case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KR20150014544A (en) Pressurizing tray for squeezing battery cell
EP3930086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device which uses battery cell as power supply
EP2858163A1 (en) Meandering correction device for electrode assembly
KR20200092760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using thereof
KR102106872B1 (en) Jig Apparatus with Improved Compression Adjustment of Coil Spring
EP3032609B1 (en) Notching apparatus having scrap removing part
KR101888209B1 (en) Zig for stacking battery cell
JP6290071B2 (en) Battery electrode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battery electrode plate manufacturing method
KR102015901B1 (en) Secondary battery cell case insertion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cell insertion system
KR101726792B1 (en) Folding Device for Sealing Part of Battery Cell
JP720572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laminate
KR101835542B1 (en) Method for connecting cell outgoing conductors and battery arrangement
US9300003B2 (en) Meandering correction apparatus for electrode assembly
JP713590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sheath
JP2020095917A (en) Laminate mobile device
KR20130132093A (en) Apparatus for forming a pack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