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659A -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659A
KR20180031659A KR1020180031539A KR20180031539A KR20180031659A KR 20180031659 A KR20180031659 A KR 20180031659A KR 1020180031539 A KR1020180031539 A KR 1020180031539A KR 20180031539 A KR20180031539 A KR 20180031539A KR 20180031659 A KR20180031659 A KR 20180031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ealing cap
mount
coupl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좌락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닉스 filed Critical (주)포인트닉스
Publication of KR2018003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마운트 고정부; 밀봉 캡; 및 석영으로 구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밀봉 캡과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결합된 마운트 고정부가 위치되어 있고,
마운트 고정부는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장착될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와 밀봉 캡이 결합된 곳에 알루미늄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포장용기.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Packaging vessel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픽스츄어(implant fixture)(이하,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구강 내부의 상·하악골(上·下顎骨)에 식립(植立)되는 것으로 상·하악골에 식립 하는 시술 이전까지 멸균상태를 유지토록 별도의 포장재에 내입되어 보관되는바, 종래 이러한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내입상태로 포장 및 보관하는 포장재가 다수 개발되어 시중에 보급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335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10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4-0059044호에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포장재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포장재에 내입되기 전에, 생체 활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외선 처리를 하여 초친수성으로 개질 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내입되는데, 시간이 어느 정도 경과하면 초친수성의 특성이 낮아지므로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포장재로부터 빼내어 다시 초친수성 처리를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공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오염이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종래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은 장시간 보관하기 어려우며 공장에서 출고된 후 가능한 빨리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오염이 없으면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으로부터 임플란트의 오염이 없으면서 임플란트를 식립 할 수 있도록 하는 임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생체활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임플란트가 친수성을 유지하고, 친수성 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와 마운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
상기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마운트 고정부;
밀봉 캡; 및
석영으로 구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캡과 상기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결합된 마운트 고정부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서 일 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밀봉 캡은 상기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결합된 마운트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마운트 고정부에 결합된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과 상기 밀봉 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에서의 임플란트는 상기 마운트 고정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밀봉 캡이 결합된 곳에 알루미늄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친수성 유지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물질, 글루곤, 또는 코르크와 같은 물질로 구성 또는 코팅된 것이며,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알루미늄 또는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물질로 코팅되거나 구성된 것이고,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 고정부는, 친수성 유지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 고정부는, 알루미늄 또는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물질로 코팅되거나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친수성 유지 물질로 코팅되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로 코팅된 것이고,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알루미늄 또는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물질로 코팅되거나 구성된 것이고,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마운트 고정부는 상기 밀봉 캡과 결합되는 바디부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장착되는 걸림턱, 걸림턱과 바디부를 연결하는 레그부, 상기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임플란트용 커버 스크류; 및 상기 밀봉 캡과 결합되어 상기 임플란트용 커버 스크류가 내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밀봉 캡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가 사용직전까지 임플란트 밀폐된 공간에 위치되므로 오염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이 임플란트에 전혀 닿지 않으면서 임플란트를 식립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가 밀폐된 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친수성 처리(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편리성은 물론 임플란트가 오염될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와 함께 자외선에 노출되는 구성요소들은, 친수성을 악화시키는 입자가 생성되지 않는 물질로 코팅되거나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외선 처리 후에도 임플란트의 친수성은 악화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 표면 고유의 물리적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는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임플란트의 소수성 표면을 초 친수성 표면으로 개질 하고, 개질된 표면의 초 친수성을 장시간 유지하도록 보관할 수 있으며, 이렇게 개질 및 보관된 임플란트는 표면의 체액 및 혈액 친화성이 향상되어 임플란트 시술 후 우수한 초기 골형성 효과 및 골융합 기간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임플란트가 장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부분 파쇄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부분 파쇄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임플란트가 장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부분 파쇄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부분 파쇄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는 케이스(111), 밀봉 캡(119), 및 마운트 고정부(1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 고정부(121)에 마운트(115)가 결합된 임플란트(11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마운트(115)가 결합된 임플란트(113)’를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113, 115)라고 부르기로 한다.
케이스(111)와 밀봉 캡(119)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케이스(111)는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케이스(111)는 석영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11)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가지며, 케이스(111)의 일 단부는 밀봉 캡(119)과 결합되고 케이스(111)의 나머지 단부(B)는 외부와 차단되도록 밀봉되어 있다. 즉, 케이스(111)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서 일 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단부는 밀봉 캡(119)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 고정부(121), 및 마운트-임플란트 복합체(113, 115)는 케이스(111)와 밀봉 캡(119)이 결합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케이스(111)와 밀봉 캡(119)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형성된 공간을 ‘밀봉 공간’ 또는 ‘내부 공간’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115)는 마운트 고정부(121)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마운트(115)에 임플란트(113)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 고정부(121)는 밀봉 캡(119)에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운트 고정부(121)와 밀봉 캡(119)는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 캡(119)은 통형상으로 된 부분과, 헤드 부분을 포함한다. 밀봉 캡(119)의 통형상의 내부로 마운트 고정부(121)가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후술하겠지만 밀봉 캡(119)의 통형상이 케이스(111)의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
밀봉 캡(119)의 헤드 부분은 밀봉 캡(142)과 결합되어 임플란트용 커버 스크류(144)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임플란트용 커버 스크류(144)는 밀봉 캡(119)의 헤드와 밀봉 캡(142)이 형성하는 공간에 내장된다. 임플란트용 커버 스크류(144)는, 임플란트(113)가 잇몸(미 도시)에 식립 된 후, 임플란트(113)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결합된다. 이로써, 잇몸(미 도시)에 식립 된 임플란트(113)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 고정부(121)가 밀봉 캡(119)의 헤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마운트 고정부(121)가 그렇게 결합된 밀봉 캡(119)은 케이스(1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11)와 밀봉 캡(119)이 결합되는 부분에 알루미늄 테이프(146: 146a, 146b)가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1)와 밀봉 캡(119)이 결합되는 부분을 겉에서 싸는 방식으로 부착되며, 이는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포장용기를 사용자가 케이스(111)와 밀봉 캡(119)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알루미늄(14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6a와 146b로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 고정부(121)는 밀봉 캡(119)과 결합되는 바디부(121a),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113, 115)’가 장착되는 걸림턱(121c), 걸림턱(121c)과 바디부(121a)를 연결하는 레그부(121b),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113, 115’가 케이스(111)의 단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 유지부(121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113, 115)의 마운트(115)가 걸림턱(126)에 결합하되, 임플란트(113)는 마운트 고정부(121)의 내부 공간이 아닌 외부에 위치되는 방향(즉, 케이스(111)의 단부(B)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됨으로써, 외부에서 자외선을 조사할 때, 마운트 고정부(121)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임플란트(113)가 자외선에 완전하게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 캡(119)과 케이스(11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임플란트의 친수성을 악화시키는 물질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밀봉 캡(119)과 케이스(11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친수성 악화 입자를 생성하는 물질(이하,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이라고 함)이 자외선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밀봉 캡(119)과 케이스(11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구성요소들은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로 구성되지 않거나, 또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친수성 악화 입자’이라고 함은 임플란트의 친수성을 악화시키거나 좋지 않게 하는 물질을 의미하고,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이라고 함은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친수성 악화 입자를 생성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고분자 물질과 같은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임플란트(113)의 친수성을 악화시키는 입자(실험결과, 임플란트(113)에 흡착되어 친수성을 악화시키는(친수성 특성을 나쁘게 하는)것으로 추측됨)가 생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밀봉 캡(119)과 케이스(12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이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내부 공간에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 번째는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들을 자외선 차단 물질로 코팅하는 방법(즉, 자외선 차단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내부 공간에 노출되는 구성요소들 및 부분은, 상술한 마운트 고정부(121)나 밀봉 캡(119)뿐 만 아니라 어떠한 것이라도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표면이 자외선 차단층으로 코팅된다. 예를 들면,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마운트 고정부(121))은 자외선 차단층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물질이 아닌 다른 물질로 구성된다. 한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본원 명세서에서, ‘친수성 유지 물질’은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친수성 악화 입자를 생성하지 않은 물질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밀봉 캡(119)과 케이스(11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자외선에 노출되는 구성요소들은 친수성 유지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층으로 코팅된다.
이렇게 구성된 실시예는, 자외선 방사 장치(미도시)에 넣어져서 자외선이 임플란트(113)에 방사되더라도, 자외선에 노출된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마운트 고정부(121))은 적어도 친수성 악화 입자가 생성되지 않게 된다.
코팅 방법은 증착을 포함하여 종래 알려진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친수성 유지 물질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과 같은 금속 물질이나, 글루곤, 또는 음료 용기의 마개로 사용되는 코르크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 고정부(121)는 친수성 유지 물질, 예를 들면 글루곤이나 금속 물질 자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마운트 고정부(121)의 자체는 친수성 악화 물질일 수 있으나, 그 표면이 자외선 차단층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 캡(119) 역시 친수성 유지 물질로 구성되거나, 다르게는 밀봉 캡(119) 자체는 합성 수지와 같이 친수성 악화 입자 유발문질로 구성되고, 밀봉 캡(119)의 표면이 자외선 차단 물질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113)가 있는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구성요소는 그 표면이 자외선 차단 물질로 코팅되거나, 임플란트(113)가 있는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구성요소는 친수성 유지 물질로 구성된다.
이상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석영유리를 이용한 밀봉 포장을 하되, 제조공정 과정에서 세척 및 건조 후 석영유리로 포장한 상태에서 멸균과 자외선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장기간 보관으로 인하여 임플란트의 친수성이 떨어지면 포장을 뜯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 처리가 가능하므로, 유통 및 병원 내에서의 오염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영유리포장 임플란트를 사용하게 되면 자외선 처리를 위한 시간이 단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3: 임플란트
111: 케이스
115; 마운트
119: 밀봉 캡
121: 마운트 고정부
146: 알루미늄 테이프

Claims (10)

  1. 임플란트와 마운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
    상기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마운트 고정부;
    밀봉 캡; 및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캡과 상기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결합된 마운트 고정부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서 일 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밀봉 캡은 상기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결합된 마운트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마운트 고정부에 결합된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과 상기 밀봉 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밀봉 캡이 결합된 곳에 알루미늄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친수성 유지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물질, 글루곤, 또는 코르크와 같은 물질로 구성 또는 코팅된 것이며,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노출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알루미늄 또는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물질로 코팅되거나 구성된 것이고,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노출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고정부는, 친수성 유지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고정부는, 알루미늄 또는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물질로 코팅되거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친수성 유지 물질로 코팅되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로 코팅된 것이고,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노출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알루미늄 또는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물질로 코팅되거나 구성된 것이고, 상기 밀봉 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노출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고정부는 상기 밀봉 캡과 결합되는 바디부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장착되는 걸림턱, 걸림턱과 바디부를 연결하는 레그부, 상기 임플란트-마운트 복합체가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용 커버 스크류; 및
    상기 밀봉 캡과 결합되어 상기 임플란트용 커버 스크류가 내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밀봉 캡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80031539A 2016-03-25 2018-03-19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1800316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134 2016-03-25
KR1020160036134 2016-03-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345A Division KR20170113004A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659A true KR20180031659A (ko) 2018-03-28

Family

ID=60140243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034U KR20170003501U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0170000035U KR20170003502U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70000256A KR20170113003A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70000354A KR20170113006A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70000345A KR20170113004A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70000348A KR20170113005A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0180001181U KR20180000868U (ko) 2016-03-25 2018-03-19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80031539A KR20180031659A (ko) 2016-03-25 2018-03-19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80031521A KR20180037934A (ko) 2016-03-25 2018-03-19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0180001180U KR20180000895U (ko) 2016-03-25 2018-03-19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034U KR20170003501U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0170000035U KR20170003502U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70000256A KR20170113003A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70000354A KR20170113006A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70000345A KR20170113004A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70000348A KR20170113005A (ko) 2016-03-25 2017-01-02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0180001181U KR20180000868U (ko) 2016-03-25 2018-03-19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521A KR20180037934A (ko) 2016-03-25 2018-03-19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0180001180U KR20180000895U (ko) 2016-03-25 2018-03-19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2017000350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004A (ko) 2018-12-24 2020-07-02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맞춤 수술 지원용 기구 단위형 키트
KR20200079008A (ko) 2018-12-24 2020-07-02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맞춤 수술 지원용 수술 단위형 키트
KR20200078964A (ko) 2018-12-24 2020-07-02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맞춤 수술 지원용 그룹 지정형 키트
KR20210027714A (ko) 2019-09-02 2021-03-11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맞춤 수술 지원용 기구 포장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867B1 (ko) 2018-05-08 2020-05-29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004A (ko) 2018-12-24 2020-07-02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맞춤 수술 지원용 기구 단위형 키트
KR20200079008A (ko) 2018-12-24 2020-07-02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맞춤 수술 지원용 수술 단위형 키트
KR20200078964A (ko) 2018-12-24 2020-07-02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맞춤 수술 지원용 그룹 지정형 키트
KR20210027714A (ko) 2019-09-02 2021-03-11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맞춤 수술 지원용 기구 포장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68U (ko) 2018-03-28
KR20170113004A (ko) 2017-10-12
KR20170113003A (ko) 2017-10-12
KR20170113005A (ko) 2017-10-12
KR20170113006A (ko) 2017-10-12
KR20180037934A (ko) 2018-04-13
KR20180000895U (ko) 2018-03-30
KR20170003502U (ko) 2017-10-12
KR20170003501U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57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180031659A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705830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06495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160081880A (ko) 임플란트 표면의 생체 활성도를 높이기 위한 임플란트 포장 용기 및 체결 방법
KR10168893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130028508A (ko) 습도유지 가능한 임플란트 보관용 앰플
KR20160058071A (ko) 임플란트 표면의 생체 활성도를 높이기 위한 임플란트 포장 용기 및 체결 방법
KR20180085949A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170086857A (ko) 석영유리포장 임플란트
KR20040015027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살균장치
KR20180086111A (ko)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834731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70086856A (ko) 석영유리포장 임플란트
KR10204745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042682B1 (ko)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170086860A (ko) 석영유리포장 임플란트
JP2016214340A (ja) 生体インプラント用パッケージおよび生体インプラントのパッケージ方法
KR20180079779A (ko) 임플란트 오염 방지 및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석영유리 포장용기
KR102172858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209803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190088757A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170122457A (ko) 치과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60057714A (ko) 임플란트 표면의 생체 활성도를 높이기 위한 임플란트 포장 용기 및 체결 방법
KR102437214B1 (ko)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