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647A -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647A
KR20180031647A KR1020180028338A KR20180028338A KR20180031647A KR 20180031647 A KR20180031647 A KR 20180031647A KR 1020180028338 A KR1020180028338 A KR 1020180028338A KR 20180028338 A KR20180028338 A KR 20180028338A KR 20180031647 A KR20180031647 A KR 2018003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mmutator
slip ring
armature
brush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상규
Original Assignee
선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상규 filed Critical 선상규
Priority to KR1020180028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647A/ko
Priority to KR1020180028350A priority patent/KR20180032215A/ko
Publication of KR2018003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3Structural associations of sli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1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sli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02K7/10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machin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 Dc Machiner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전기자(250)와 상기 계자(240)는 상기 발전부하우징(220)의 내부공간에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상기 제2정류자(210b) 또는 중공형슬립링(205b)과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상기 전기자(250)와 상기 계자(240)와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배전부하우징(230)에 설치하며, 상기 계자코일(242)이 상기 DC전류(221)를 공급받는 때, 상기 DC모터축(202)에 의해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가 회전되면서 상기 전기자철심(251)에 N극(+)와 S극(-)의 순차적이며 반복적인 교번이 일어나므로 상기 전기자코일(252)에도 유도기전력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전기자코일(252)에 연결된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상기 제2정류자(210b) 또는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과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중간 매개체로 활용하여 상기 출력배선(260)을 통해 기전력이 도출되므로 외부동력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A generator using of multibrush and slip ring}
본 발명은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부하우징의 내측면에 계자를 구성하고 상기 계자의 안쪽에 전기자를 구성하며, 이와 별도로 배전부하우징의 안쪽에 제1정류자와 제2정류자의 직렬구성 또는 중공형슬립링과 상기 제2정류자의 직렬로 구성하여, 기존에 큰문제가 되었던 무거운 회전자(rotor)와 정류자(commutator)를 함께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브러시홀더 또는 상기 제2정류자를 회전시켜 많은 외부동력을 줄이고, 또한, 상기 전기자와 상기 제1정류자 또는 상기 전기자와 상기 중공형슬립링과의 고정축을 분리한 후, 코일연결선으로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거리에 연결함으로써 발전부하우징과 별도로 지상과 지하에 분리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가용성과 유용성을 증가시키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발전기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자(stator)와, 상기 고정자를 감싸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전자를 전기자(armature)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자를 계자(magnetic field)로 구성하여 DC전류를 공급받는 상기 계자(magnetic field)로부터의 자속이 전기자 권선(armature coil)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전기자 권선(armature coil) 내에 전류를 유도하게 된다.
종래의 발전기는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자 및 정류자를 강제로 회전시켜야 함으로 매우 무거운 중량을 갖는 상기 회전자 및 상기 정류자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동력에너지의 낭비는 물론 마찰 및 기타 요인들에 의한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종래의 발전기에서 반드시 회전축에서 회전시켜야만 발전이 가능하던 상기 회전자 및 상기 정류자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자철심에 상기 전기자코일이 권선된 상기 전기자로 구성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기자와 대응하고 있는 상기 계자에는 상기 계자철심에 상기 DC전류가 유도되도록 하여, 상기 전기자코일에서 전기적위상차를 발생시켜 전자력의 발생과 소멸을 반복시키면서 상기 제1정류자와 상기 제2정류자 또는 상기 중공형슬립링과 상기 제2정류자를 함께 구성하여 기전력이 도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자와 상기 정류자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계자에 상기 DC전류를 공급하여 계자극을 만들어 주면서 상기 전기자의 상기 제1정류자 및 상기 제2정류자에 상기 브러시를 밀착한 제1브러시홀더 또는 상기 제2정류자를 회전시킴으로써 종래의 발전기에 비해서 외부동력에너지 공급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전기자코일에 원하는 유도기전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고효율의 기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전기이다.
도 1 - 본 발명의 제1정류자와 제2정류자를 이용한 직류발전장치의 일체형 구성도
도 2 - 본 발명의 제1정류자와 제2정류자를 이용한 직류발전장치의 분리형 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제1정류자와 제2정류자의 결합 참고도
도 4 - 본 발명의 A, B, C의 단면도
도 5 - 본 발명의 제1정류자와 제2정류자를 이용한 교류발전장치의 일체형 구성도
도 6 - 본 발명의 제1정류자와 제2정류자를 이용한 교류발전장치의 분리형 구성도
도 7 - 본 발명의 제1정류자와 제2정류자의 결합 참고도
도 8 - 본 발명의 A, B, C의 단면도
도 9 - 본 발명의 중공형슬립링과 제2정류자를 이용한 직류발전장치의 일체형 구성도
도 10 - 본 발명의 중공형슬립링과 제2정류자를 이용한 직류발전장치의 분리형 구성도
도 11 - 본 발명의 중공형슬립링과 제2정류자의 결합 참고도
도 12 - 본 발명의 A, B, C의 단면도
도 13 - 본 발명의 중공형슬립링과 제2정류자를 이용한 교류발전장치의 일체형 구성도
도 14 - 본 발명의 중공형슬립링과 제2정류자를 이용한 교류발전장치의 분리형 구성도
도 15 - 본 발명의 A, B, C의 단면도
도 16 - 본 발명의 중공형슬립링의 참고도
도 17 - 본 발명의 교류용 슬립링의 참고도
도 18 - 본 발명의 직류용 슬립링의 참고도
도 19 - 본 발명의 계자코일과 전기자코일의 결선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 도 5와 도 6, 도 9와 도 10, 도 13과 도1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발전부(200a)를 설명하면,
상기 발전부하우징(220)의 내측면에 상기 계자코일(242)이 감겨진 상기 계자철심(241)을 구비하는 상기 계자(240)와, 상기 계자(240)의 안쪽에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상기 전기자철심(251)에 상기 전기자코일(252)로 구비되는 상기 전기자(250)는 상기 발전부브라켓a(221a) 및 발전부브라켓b(221b)를 이용하여 상기 발전부하우징(2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전부(200b)를 설명하면,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상기 제2정류자(210b) 또는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과 상기 제2정류자(210b)는 상기 배전부브라켓a(231a) 또는 상기 배전부브라켓b(231b)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부하우징(23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부(200c)를 설명하면, 상기 DC모터(201) 및 상기 냉각팬(232)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하우징(27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DC모터축(202)의 일측단에 블레이드(255), 풀리(Pulley), 로터 휠(Rotor Wheel), 자력 회전체(magnetic power rotor) 등을 병행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 1, 도 5, 도 9, 도 13에서와 같이 일체형 발전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DC입력선(243)은 상기 교류형슬립링(208a) 또는 상기 직류형슬립링(208b)을 이용하여 상기 계자코일(242)과 축전지(280)를 연결한다.
상기 코일연결선(253)은 상기 전기자코일(252)과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상기 정류자편(211) 또는 상기 전기자코일(252)과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로터회로단자(206a)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 2, 도 6, 도 10, 도 14에서와 같이 분리형 발전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발전부(200a)와 상기 배전부(200b)가 분리된다.
그러므로 상기 DC입력선(243)은 상기 교류형슬립링(208a) 또는 상기 직류형슬립링(208b)과 상기 계자코일(242)간에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거리로 연결된다.
상기 코일연결선(253)은 상기 전기자코일(252)과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상기 정류자편(211) 또는 상기 전기자코일(252)과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로터회로단자(206a)간에 일정한 거리로 연결된다.
상기 교류형슬립링(208a)은 2개의 링에 따로 + 전원 및 - 전원을 공급하도록 성형하고, 상기 직류형슬립링(208b)은 1개의 링을 2등분 또는 복수로 등분하여 + 전원 및 - 전원을 공급하도록 성형된다.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는 브러시a(213a)와 브러시b(213b)가 1쌍씩 좌우로 구비된다.
상기 브러시a(213a)는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정류자편(211)과 밀착하고, 상기 브러시b(213b)는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상기 정류자편(211)과 밀착하며, 각각 상기 정류자편(211) 수의 절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된다.
단,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의 상기 브러시a(213a)는 상기 제1정류자(210a)를 대신에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을 사용할 경우에는 생략된다.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는 상기 회전체(216)에 의해서 회전되거나 또는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가 기 제1정류자(210a)의 일측면에 고정될 때는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상기 회전체(216)에 의해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와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216)에 의해서 동시에 회전시키는 방법도 구비된다.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상기 정류자편(211) 일측에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의 상기 브러시b(213b)가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의 상기 브러시c(213c)가 밀착하게 된다.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의 상기 브러시c(213c)는 상기 계자(140)의 극수만큼 구비되고, 상기 브러시c(213c)로부터 기전력이 최종적으로 도출된다.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상기 제2정류자(210b)가 직렬로 구비된 후, 상호간의 연결은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 사이를 상기 브러시연결선(215)으로 연결된다.
단,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를 도체인 브러시결합나사(217)로 연결할 때는 상기 브러시연결선(215)이 생략된다.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과 상기 제2정류자(210b)가 직렬로 구성하고 상호간 연결을 위해서는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상기 스테이터회로단자(206b)와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의 상기 브러시b(213b)와 상기 브러시연결선(215)이 연결된다.
즉 상기 전기자코일(252)은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상기 로터회로단자(206a)에 상기 코일연결선(253)으로 연결된 후,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상기 스테이터회로단자(206b)를 통해서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외주면에 위치한 상기 브러시b(213b)와 상기 브러시연결선(215)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과 상기 제2정류자(210b)가 직렬로 구비된 경우는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에 구비된 상기 브러시b(213b)는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제2정류자(210b)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에 구비된 상기 브러시a(213a)는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브러시b(213b)은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외주면의 일부와 밀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에 구비된 상기 브러시c(213c)는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외주면의 일부와 밀착하게 된다.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는 상기 브러시결합나사(217)을 이용하여 절연체인 상기 배전부브라켓b(231b)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체(216)의 내부는 중공원형으로 상기 DC모터축(20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DC모터축(202)에 의해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원리를 도 1부터 도 19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교류형슬립링(208a) 또는 상기 직류형슬립링(208b)에 의해 상기 계자코일(242)에 상기 DC전류(281)를 공급하여 상기 계자철심(241)은 N극(+)과 S극(-)이 유도되는데 상기 계자철심(241)이 N극(+)일 때, 상기 전기자(250)의 상기 정류자편(211)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가 1A번부터 6F번까지 이동할 때 상기 계자철심(241)의 N극(+)과 맞대응하는 상기 전기자철심(251)에 S극(-)의 전기적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반대로 상기 계자철심(241)이 S극(-)일 때, 상기 전기자(250)의 정류자편(211)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가 A1번부터 F6번까지 이동할 때 상기 계자철심(241)의 S극(-)과 맞대응하는 상기 전기자철심(251)에 N극(+)의 전기적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즉, 종래 발전기의 회전자인 전기자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계자철심과 전기자철심 사이에 자극(magnetic pole)이 만들어진 자기장 내에서 자속이 쇄교될 때 전기자코일에 전압이 유도되어 정류자를 통해 기전력이 발생되는 원리를 역이용하여 상기 회전자인 상기 전기자를 고속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전기자의 정류자편에 밀착한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 또는 상기 제2정류자(210b)를 회전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즉, 상기 계자철심(241)과 상기 전기자철심(251)은 고정시키고 상기 계자철심(241)과 상기 전기자철심(251) 사이에 자극(magnetic pole)이 만들어진 자기장 내에서 자속을 쇄교될 때,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는 고정시키고 상기 제2정류자(210b)를 회전시켜 상기 전기자코일(252)에 유도된 전압을 도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전기자코일(252)에 연결된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직렬로 구성한 후,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상기 제2정류자(210b)에 밀착된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와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를 중간 매개체로 활용하여 상기 출력배선(260)을 통해 기전력이 출력된다.
또는, 상기 전기자코일(252)에 연결된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와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직렬로 구성한 후, 상기 제2정류자(210b)에 밀착된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와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를 중간 매개체로 활용하여 상기 출력배선(260)을 통해 기전력이 출력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200a: 발전부 200b: 배전부 200c: 동력부
201: DC모터 202: DC모터축
203a: 고정축a 203b: 고정축b
204a: 제1베어링 204b: 제2베어링
205b: 중공형슬립링 206a: 로터회로단자 206b: 스테이터회로단자
207: 회로단자 208a: 교류형슬립링 208b: 직류형슬립링
210a: 제1정류자 210b: 제2정류자
211: 정류자편 212a: 제1브러시홀더 212b: 제2브러시홀더
213a: 브러시a 213b: 브러시b 213c: 브러시c
214: 브러시홀더지지대 215: 브러시연결선
216: 회전체 217: 브러시결합나사
220: 발전부하우징 221a: 발전부브라켓a 221b: 발전부브라켓b 222: 발전부냉각팬
230: 배전부하우징 231a: 배전부브라켓a 231b: 배전부브라켓b 232: 배전부냉각팬
240: 계자 241: 계자철심 242: 계자코일 243: DC입력선
250: 전기자 251: 전기자철심 252: 전기자코일 253: 코일연결선
254: 풀리(Pulley) 255: 블레이드(Blade) 257 : 결합기구
260: 출력배선 261: 배선도출구
270: 동력부하우징
280: 축전지 281: DC전류 282: 단락스위치

Claims (21)

  1. 계자(240)와 전기자(250)가 구성되는 발전부하우징(220)과,
    제1정류자(210a)와 제2정류자(210b) 또는 중공형슬립링(205b)과 상기 제2정류자(210b)로 구성되는 배전부하우징(230)과,
    DC모터(201)와 배전부냉각팬(232)이 구성되는 동력부하우징(270)과,
    상기 전기자(250)의 중심부에 구성되는 고정축a(203a)와,
    분리형 발전장치에서 상기 전기자(250)의 상기 제1정류자(210a) 중심부에 구성되는 고정축b(203b)와,
    DC모터축(202)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제1베어링(204a)과,
    회전체(216)의 외주면 및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 또는 상기 제2정류자(210b)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제2베어링(204b)과,
    중공원형으로 상기 고정축a(203a) 또는 상기 고정축b(203b)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중공원형으로 상기 제1정류자(210a)와 동일한 정류자편(211)으로 성형하여 상기 제2베어링(204b)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2정류자(210b)와,
    중공원형으로 상기 전기자코일(252)의 수와 비례하도록 로터회로단자(206a)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회로단자(206a)와 대응하도록 스테이터회로단자(206b)를 구비하여 내측면이 상기 고정축a(203a) 또는 상기 고정축b(203b)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과,
    절연제로 성형하여 상기 제1정류자(210a) 또는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일측을 결합하는 배전부브라켓a(231a)와,
    절연제로 성형하여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일측면 및 제2브러시홀더(212b)의 일측면을 결합하는 배전부브라켓b(231b)와,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브러시a(213a)와 브러시b(213b) 및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브러시c(213c)와,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를 구비하는 제1브러시홀더(212a)와,
    상기 브러시c(213c)를 구비하는 제2브러시홀더(212b)와,
    일측이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의 브러시홀더지지대(214) 또는 상기 제2정류자(210b)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DC모터축(202)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216)와,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의 좌우에 1쌍씩 구비된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를 각각 연결하는 브러시연결선(215)과,
    상기 전기자(250) 외측에서 절연제로 결속되며 계자철심(141)과 계자코일(142)을 구비한 상기 계자(240)와,
    상기 계자코일(142)로부터 축전지(280)를 연결하는 DC입력선(243)과,
    상기 DC입력선(243)과 상기 계자코일(142)에게 상기 DC전류(281)의 공급을 실시하는 교류형슬립링(208a) 또는 직류형슬립링(208b)과,
    상기 발전부하우징(220)의 내부공간에서 절연제로 결속되고 상기 계자(240)의 내측에 전기자철심(251)과 전기자코일(252)을 구비한 상기 전기자(250)와,
    상기 전기자코일(252)로부터 상기 제2정류자(210b) 또는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로터회로단자(206a)를 연결하는 코일연결선(253)과,
    상기 계자코일(242)에게 상기 DC전류(281)를 공급하는 상기 축전지(280) 및:
    상기 배전부브라켓b(231b)으로 배선도출구(261)가 성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200a)는 상기 발전부하우징(220)의 내측면에 상기 계자코일(242)이 감겨진 상기 계자철심(241)을 구비하는 상기 계자(240)와, 상기 계자(240)의 안쪽에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상기 전기자철심(251)에 상기 전기자코일(252)로 구비되는 상기 전기자(250)는 상기 발전부브라켓a(221a) 및 발전부브라켓b(221b)를 이용하여 상기 발전부하우징(22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배전부(200b)는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상기 제2정류자(210b) 또는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과 상기 제2정류자(210b)는 상기 배전부브라켓a(231a) 또는 상기 배전부브라켓b(231b)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부하우징(23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동력부(200c)는 상기 DC모터(201) 및 상기 냉각팬(232)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하우징(27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상기 제2정류자(210b)가 직렬로 구비된 후, 상호간의 연결은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사이를 상기 브러시연결선(215)으로 연결되며,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를 도체인 브러시결합나사(217)로 연결할 때는 상기 브러시연결선(215)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과 상기 제2정류자(210b)가 직렬로 구성하고 상호간 연결을 위해서는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상기 로터회로단자(206a)와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의 상기 브러시b(213b)와 상기 브러시연결선(215)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코일(252)은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상기 로터회로단자(206a)에 상기 코일연결선(253)으로 연결된 후,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상기 스테이터회로단자(206b)를 통해서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외주면에 위치한 상기 브러시b(213b)와 상기 브러시연결선(215)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분리형 발전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발전부(200a)와 상기 배전부(200b)가 분리되고, 상기 DC입력선(243)은 상기 교류형슬립링(208a) 또는 상기 직류형슬립링(208b)과 상기 계자코일(242)간에 일정한 거리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연결선(253)은 상기 전기자코일(252)과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상기 정류자편(211) 또는 상기 전기자코일(252)과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상기 로터회로단자(206a)간에 일정한 거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는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가 1쌍씩 좌우로 구비되고, 상기 브러시a(213a)는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상기 정류자편(211)과 밀착하고, 상기 브러시b(213b)는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상기 정류자편(211)과 밀착하며, 각각 상기 정류자편(211) 수의 절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의 상기 브러시a(213a)는 상기 제1정류자(210a)대신에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을 사용할 경우에는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는 상기 회전체(216)에 의해서 회전되거나 또는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가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일측면에 고정될 때는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상기 회전체(216)에 의해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와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216)에 의해서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상기 정류자편(211) 일측에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의 상기 브러시b(213b)가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의 상기 브러시c(213c)가 밀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과 상기 제2정류자(210b)가 직렬로 구성된 경우는,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에 구비된 상기 브러시a(213a)는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브러시b(213b)은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일부분 외주면과 밀착시켜,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에 구비된 상기 브러시b(213b)는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제2정류자(210b)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의 상기 브러시c(213c)는 상기 계자(140)의 극수만큼 구비되고, 상기 브러시c(213c)로부터 상기 전기자코일(252)의 기전력이 최종적으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에 구비된 상기 브러시c(213c)는 상기 제2정류자(210b)의 일부분 외주면과 밀착하게 되고,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는 브러시결합나사(217)을 이용하여 절연체인 상기 배전부브라켓b(231b)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16)의 내부는 중공원형으로 상기 DC모터축(20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DC모터축(202)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형슬립링(208a)은 2개의 링에 따로 + 전원 및 - 전원을 공급하도록 성형하고, 상기 직류형슬립링(208b)은 1개의 링을 2등분 또는 복수로 등분하여 + 전원 및 - 전원을 공급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일체형 발전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DC입력선(243)은 상기 교류형슬립링(208a) 또는 상기 직류형슬립링(208b)을 이용하여 상기 계자코일(242)과 상기 축전지(280)를 연결하고, 상기 코일연결선(253)은 상기 전기자코일(252)과 상기 제1정류자(210a)의 상기 정류자편(211) 또는 상기 전기자코일(252)과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의 상기 로터회로단자(206a)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형슬립링(208a) 또는 상기 직류형슬립링(208b)에 의해 상기 계자코일(242)에 상기 DC전류(281)를 공급하여, 상기 계자철심(241)은 N극(+)과 S극(-)이 유도되는데 상기 계자철심(241)이 N극(+)일 경우 상기 전기자(250)의 상기 정류자편(211)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가 1A번부터 6F번까지 이동할 때 상기 계자철심(241)의 N극(+)과 맞대응하는 상기 전기자철심(251)에 S극(-)의 전기적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반대로 상기 계자(240)의 S극(-)일 경우 상기 전기자(250)의 상기 정류자편(211)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가 A1번부터 F6번까지 이동할 때 상기 계자철심(241)의 S극(-)과 맞대응하는 상기 전기자철심(251)에 N극(+)의 전기적 상호작용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자철심(241)과 상기 전기자철심(251)은 고정시키고 상기 계자철심(241)과 상기 전기자철심(251) 사이에 자극(magnetic pole)이 만들어진 자기장 내에서 자속을 쇄교될 때,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브러시a(213a)와 상기 브러시b(213b)는 고정시키고 상기 제2정류자(210b)를 회전시켜 상기 전기자코일(252)에 유도된 전압을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의 상기 브러시c(213c)를 통해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코일(252)에 연결된 상기 제1정류자(210a)와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직렬로 구성한 후,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와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를 중간 매개체로 활용하거나, 상기 전기자코일(252)에 연결된 상기 중공형슬립링(205b)와 상기 제2정류자(210b)를 직렬로 구성한 후, 상기 제1브러시홀더(212a)와 상기 제2브러시홀더(212b)를 중간 매개체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홀더(212)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DC모터(201)를 대신하여 상기 블레이드(255), 풀리(Pulley), 로터 휠(Rotor Wheel), 자력 회전체(magnetic power rotor) 등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DC모터축(202)의 일측단에 블레이드(255), 풀리(Pulley), 로터 휠(Rotor Wheel), 자력 회전체(magnetic power rotor) 등을 병행하여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180028338A 2018-03-10 2018-03-10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180031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338A KR20180031647A (ko) 2018-03-10 2018-03-10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180028350A KR20180032215A (ko) 2018-03-10 2018-03-11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338A KR20180031647A (ko) 2018-03-10 2018-03-10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647A true KR20180031647A (ko) 2018-03-28

Family

ID=619015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338A KR20180031647A (ko) 2018-03-10 2018-03-10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180028350A KR20180032215A (ko) 2018-03-10 2018-03-11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350A KR20180032215A (ko) 2018-03-10 2018-03-11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316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6504A (zh) * 2024-03-05 2024-04-09 潍坊智汇电子科技有限公司 无换向轴向磁通直流电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430B1 (ko) * 2021-01-25 2023-06-0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식 dc 변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6504A (zh) * 2024-03-05 2024-04-09 潍坊智汇电子科技有限公司 无换向轴向磁通直流电机
CN117856504B (zh) * 2024-03-05 2024-05-17 潍坊智汇电子科技有限公司 无换向轴向磁通直流电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215A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7730B1 (en) Electric generator
ATE201292T1 (de) Elektrische gleichstrom-maschine
KR102078684B1 (ko) 모터와 알터네이터를 융합한 구동기계
KR102081454B1 (ko) 다중브러시를 이용한 직류발전장치
US4982128A (en) Double air gap alternator
KR20180031647A (ko)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81455B1 (ko) 다중브러시를 이용한 직류발전장치
JP2017225335A (ja) 永久磁石モータ及びこれを有する家庭電化製品
KR101883799B1 (ko) 코어형 배터리를 갖춘 발전기
GB962322A (en) Improvements in dynamo electric machines of the flat annular air-gap type
KR101989233B1 (ko) 다중브러시와 분배기를 이용한 ac 또는 dc 발전장치
GB947769A (en) Improvements in flat annular air-gap dynamo-electric machines
KR20190099367A (ko) 브러시홀더의 회전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기
KR20180032214A (ko) 다중브러시 및 슬립링을 이용한 발전장치
US6727621B1 (en) Motor-based electrical power supply
US1922028A (en) Dynamo-electric machine
KR20190090755A (ko) 모터와 알터네이터를 융합한 구동기계
CN109936269A (zh) 一种三相交流绕线转子非接触换向供电电动机
KR20230062955A (ko) 다중브러시와 분배기를 이용한 ac 또는 dc 발전장치
KR20190016413A (ko) 다중브러시와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직류발전장치
RU2096898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белашова
KR20230063439A (ko)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190026074A (ko) 다중브러시와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교류발전장치
US498537A (en) Charles e
US1301334A (en) Electricity transforming and conver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