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159A - 휴믹산에서 분리된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휴믹산에서 분리된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159A
KR20180031159A KR1020160119144A KR20160119144A KR20180031159A KR 20180031159 A KR20180031159 A KR 20180031159A KR 1020160119144 A KR1020160119144 A KR 1020160119144A KR 20160119144 A KR20160119144 A KR 20160119144A KR 20180031159 A KR20180031159 A KR 20180031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lant
volatile organic
composition
plant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록
김태완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159A/ko
Publication of KR2018003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12R1/1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를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식물이 생육중인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환경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믹산에서 분리된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Volatile organic compound-producing Bacillus megaterium strain isolated from humic acids, composition for phytoremedia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phytoremedi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휘발성 유기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를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식물이 생육중인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환경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현대까지 이르러 여러 종류의 광석, 비광석, 석탄 등이 광산에서 채취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2015년도 광업광산물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내 금속광 25개, 비금속광 348개, 석탄광 5개로 총 378개가 운영되어지고 있다.
광산 활동으로 인하여 수질오염, 산림오염, 토양오염, 지반침하, 폐석, 광물찌꺼기, 폐시설물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매년 야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광폐방지 사업을 실시하여 광미유실 방지, 먼지날림 방지, 사후관리 운영, 산림토지 복구, 소음진동 방지, 오염수질 개선, 지반침하 방지, 토양개량복원, 폐석유실 방지, 폐시설물 철거 등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문제는 아직 많은 오래 전 사용이 중지된 휴폐 광산 등이 제대로 된 환경 복원 설비 등이 없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광해관리공단의 2016년도 폐광산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내 폐광산은 금속광 1268개, 비금속광 1041개, 석탄광 279개로 총 2588개로 현재 운영되어 지고 있는 광산의 약 6.8배에 달하며, 이들 중 광폐방지를 위한 사업 등을 실시하는 광산은 일부에 불과하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효율적으로 방지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지속적으로 개발연구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광산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 중 대표적인 것이 중금속 오염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식물환경복원법 (phytoremediation)이 있다.
상기 식물환경복원법은 식물과 미생물의 오염물질을 흡수 혹은 분해하는 능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환경 친화적인 공법이며, 대부분의 토양복원 기술의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해당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방법들도 일반 비축적 식물들에 비하여 100배 이상의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축적할 수 있는 초축적자(hyperaccumulato)를 찾거나, 유전자 변형 식물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초축적자의 경우 중금속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생장이 저해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전자 조작은 유전 조작 식물 등의 생태계 교란 등의 문제를 야기 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 등으로 인하여 아직 크게 실용화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관련 종래기술로는 양이온성 염료 및 금속에 흡착 효능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B-01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2968호), 양이온성 염료 및 금속에 흡착 효능을 갖는 바실러스 카테눌라투스 JB-02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0463호), 중금속 흡착제 조성물(일본등록특허 제4478022호)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바실러스 박테리아가 생산하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식물환경복원에 이용하는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함으로써, 식물환경복원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바실러스 속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균주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균주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식물이 생육중인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환경복원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는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며,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휘발성 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며,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금속을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의 처리에 따른 중금속 배지에서의 애기장대의 생장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의 처리에 따른 중금속 배지에서의 애기장대의 클로로필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의 처리에 따른 중금속 배지에서의 애기장대의 납 흡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균주에서, 상기 휘발성 유기물질은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물질로서,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며,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는 다양한 외부 스트레스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독자적인 방어기구를 가지고 있다. 박테리아의 생리적 기능을 교란시키는 불리한 환경을 환경 스트레스라고 하는데, 건조, 저온, 염분 스트레스 등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abiotic stress)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화합물을 생산한다.
박테리아의 휘발성 유기물질은 주로 바실러스(Bacillus) 계통의 박테리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서,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며, 염, 추위, 가뭄 등 여러 환경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주는 박테리아 유래의 물질이다.
또한, 박테리아의 휘발성 유기물질은 식물의 항산화능을 증진시키며, 근권의 산성화를 촉진하여 철과 같은 금속 이온의 흡수를 촉진시켜주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는 식물환경복원법의 적합한 식물의 요건인 바이오매스가 커야 한다는 점을 보완해 줄 수 있고, 중금속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면서도, 금속 이온의 가용화를 촉진시켜 수동적인 흡수율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물질로서 초축적자와 유전자 조작 식물의 문제점을 보완 혹은 무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식물환경복원(phytoremediation)" 이라 함은 식물을 통해 오염물을 흡수하거나 고정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토양 박테리아가 분해할 수 없는 중금속, 농약, 질산염, 탄화수소, 원유 등 혼합물을 흡수하여 토양을 정화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에서, 상기 배양액은 상기 균주 유래의 휘발성 유기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에서, 상기 식물환경복원은 중금속 존재 하에서도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고, 상기 중금속의 흡수율이 증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에서, 상기 중금속은 주기율표 상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비중 4 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를 일컫는 것으로서, 비소, 안티몬, 납, 수은, 카드뮴, 크롬, 주석, 아연, 바륨, 비스무트, 니켈, 코발트, 및/또는 망간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은 상기 균주를 배양할 수 있는 배양 배지, 예컨대 뉴트리언트 브로쓰(nutrient broth) 배지 및/또는 상기 휘발성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식물이 생육중인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환경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환경복원 방법에서, 상기 배양액은 상기 균주 유래의 휘발성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환경복원 방법에서, 상기 중금속은 주기율표 상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비중 4 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를 일컫는 것으로서, 비소, 안티몬, 납, 수은, 카드뮴, 크롬, 주석, 아연, 바륨, 비스무트, 니켈, 코발트, 및/또는 망간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환경복원 방법에 의하면, 상기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의 휘발성 유기물질이 식물환경복원법 (Phytoremediation)의 효율 증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애기장대의 납 함유 배지에서 BM의 VOC 유무에 따른 생장과 납의 흡수율을 측정한 실험에서, 애기장대의 생장 증가, 클로로필 함량 증가와 납의 흡수율 증가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식물환경복원 방법의 기본적인 원리 중 하나가 식물에 의한 오염물질 흡수인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식물환경복원법과 식물의 생장 상태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중요한 조건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환경복원 방법에서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의 휘발성 유기물질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질산납이 함유된 배지에서도 생장의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중 환경부에서 고시한 1지역(목장, 과수원, 공원, 주거 용지 등)의 토양오염 우려기준 (200mg/kg) 약 1.5배에 달하는 1mM (331.23mg/L)의 납 농도에서도 애기장대의 생장이 정상 생장 상태 이상으로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이는 식물환경복원법의 초축적자 (hyperaccumulator) 등의 식물 이용시, 중금속 등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느린 생장상태와 크기를 개선시킬 수 있다.
클로로필의 함량과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이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이는 광합성과 관련하여 식물의 생존에 필수적이나, 납 등의 중금속에 의하여 생성이 억제되는 클로로필의 함량과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식물이 안정적으로 생존할 확률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납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미량원소 분석기기(ICP)로 분석한 결과, 총 납 흡수율의 경우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식물환경복원법의 취지에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식물환경복원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균주의 휘발성 유기물질로 인하여 질산납이 함유된 배지에서도 식물의 생장과 클로로필의 함량 및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이 촉진되고, 이와 동시에 축적된 납의 함량이 증가하므로, 본 발명의 상기 균주의 휘발성 유기물질이 식물환경복원법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본 발명의 세균을 분리하기 위해 휴믹산(Humic acid)으로부터 MS (Murashige and Skoog) 배지를 사용하여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미생물 균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MALDI-TOF analysis를 수행하였다.
균 동정을 위한 샘플 준비는 Formic acid extraction method를 실시하였으며, 경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Gyeongsang Nation University Center for Research Facilities)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동정된 균주를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이라 명명하고, 이를 2016년 8월 25일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여, KCTC 13087BP의 기탁번호를 부여받았다.
< 실시예 2>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 KCTC 13087BP 균주 유래의 휘발성 유기물질을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효과
1. 시료 및 방법
(1). 식물 재료 및 생장 방법
애기장대는 야생형 Col-0 ecotype를 사용하였다. 무균 배양을 위하여 0.004% Triton X100 용액이 함유된 30% 락스 용액에서 4분간 담궈 표면 소독을 실시하였고, 멸균한 증류수(DIW)를 이용하여 5회 세척하여 사용하였다.
사용한 배지는 0.8% 아가가 함유된 Murashige and Skoog (MS)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1일 춘화 처리 후 22~23℃, 12시간 주지 식물 챔버(12 hour cycle plant chamber)에서 4일간 배양 후, I-plated의 질산납 (0, 0.5, 1.0, 2.0 mM Pb(NO3)2) 함유 배지로 옮겨 심어 3주간 배양하였다.
(2). 미생물 및 생장 방법
미생물의 종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동정한 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을 사용하였다.
미생물의 배양은 증식을 위한 일반 배양은 DifcoTM Nutrient Broth를 이용하여 액체배양(32℃, 쉐이킹 인큐베이션)을 하였으며, 실험에 사용 시에는 식물체를 질산납 함유 배지에 옮겨 심기 하루 전부터 I-plated의 0.8% 아가가 함유된 MS 배지에서 5㎕씩 3회 드롭핑하여 22~23℃, 12시간 명/12시간 암 주기에서 배양하였다.
(3). 식물체의 무게 측정
생체중(fresh weight)은 애기장대 시료를 배지로부터 분리하여 뿌리 부분을 멸균된 DIW로 단시간 세척 후, 뿌리의 수분을 제거하고 3개체 단위로 무게를 측정하였고, 건체중(dry weight)은 70℃ 드라이 오븐에서 오버나잇 건조 후, 3 개체 단위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4). 클로로필의 함량 측정
클로로필(chlorophyll)의 함량은 3개의 개체 단위로 메탄올 (30 mg 식물 생체중/ml 메탄올)을 가하고, 소니케이션하여 추출한 후, UV/Vis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후, Lichtenthaler (1)의 공식에 대입하여 클로로필 a, 클로로필 b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5). 식물체 내의 납 함량 측정
애기장대 내 납의 함량은 3개의 개체 단위로 식물체 분해액 (HClO4 (60%) : H2O : H2SO4 = 9 : 5 : 1)을 가한 후, 320℃ 이상에서 가열하여 애기장대 시료를 완전 분해시킨 후, IC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 통계 처리
실험 결과의 통계 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3을 사용하였다. 사후 검정은 Turkey test (p<0.05)를 실시하였다.
2.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BM)의 휘발성 유기물질(VOC)를 이용하여 식물환경복원법(phytoremediation)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 , Col-0)를 질산납(Pb(NO3)2) 함유 배지에서 BM의 VOC 유무에 따른 생장과 클로로필의 함량, 납의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1). 식물 생장 증가 효과
중금속 오염 지역에서의 식물환경복원법에 있어서 식물이 오염물질을 흡수하면서 생존을 하여야 하므로, 식물의 중금속 내성과 생장은 중요한 사항이다.
애기장대를 4일간 배양 후, 납 배지 (0, 0.5, 1.0, 2.0 mM)로 옮겨 심어 21간 배양하였고, Bacillus megaterium은 애기장대를 옮겨 심기 하루 전 배양을 실시하여 식물 생장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BM 처리에 따른 중금속 배지에서의 애기장대의 생장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BM 유무에 따른 애기장대의 생장 크기를 비교한 것이고, (B)는 생체중 측정 결과, (C) 건체중 측정 결과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질산납이 함유 되지 않은 배지에서의 생장은 BM의 VOC가 존재함으로서 바이오매스가 대조구(control)에 비하여 약 3.2~3.4 가량 증가하였다.
또한, 질산납이 함유된 배지에서의 생장은 바이노매스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8 ~ 3.5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질산납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반적으로 높은 증가폭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2). 클로로필의 함량 증가
식물이 생장하는데 있어 광합성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는 클로로필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고농도의 납의 경우 클로로필(chlorophyll), 플라스토퀴논(plastoquinone),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등의 합성을 저해하고, 전자 전달계를 교란시키며, 캘빈 회로(Calvin cycle)의 효소의 활성을 낮춤으로서, 식물의 광합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M의 VOC 존재 하에서 애기장대의 클로로필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BM의 처리에 따른 중금속 배지에서의 애기장대의 클로로필의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클로로필 a 함량 측정 결과로서, 클로로필 a (μg/ml of plant extract) = 15.65A 666-7.34A 653으로 구하였고, (B)는 클로로필 b 함량 측정 결과로서, 클로로필 b (μg/ml of plant extract) = 27.05A 653-11.21A 666으로 구하였으며, (C)는 총 클로로필의 함량 측정 결과이고, (D)는 카로티노이드의 함량 측정 결과로서, 카로니토이드 함량(μg/ml of plant extract) = 1000A 470-2.86 클로로필 a-129.2 클로로필 b로 구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질산납이 없는 배지에서는 클로로필 a, 클로로필 b, 총 클로로필(total chlorophyll),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이 각각 약 2.56, 1.81, 2.31, 2.60 배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질산납이 함유된 배지에서는 클로로필은 약 1.17~2.67배, 카로티노이드는 약 1.15~3.14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질산납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반적으로 높은 증가폭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3). 납 흡수량 증가
식물환경복원법을 실시함에 있어 식물의 중금속 흡수율은 식물의 중금속 내성과 생장과 함께 중요한 사항이다.
생체중을 측정한 애기장대 시료를 식물체 분해액 (HClO4 (60%) : H2O : H2SO4 = 9 : 5 : 1)으로 분해 후, 미량원소 분석기기(ICP)를 이용하여 납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BM 처리에 따른 중금속 배지에서의 애기장대의 납 흡수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단위 질량당 납 함량, (B)는 총 납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질산납이 함유 되지 않은 배지에서의 생장은 BM의 VOC가 존재함으로서 납 흡수율이 Control에 비하여 약 1~1.3배 정도의 낮은 증가폭을 나타내었으나, 총 흡수의 납의 양 경우 약 2.86 ~ 4.58배 정도로 높은 증가폭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균주는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며,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휘발성 물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며,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금속을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087BP 20160825

Claims (10)

  1.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GNU-01(Bacillus megaterium GNU-01) KCTC 13087BP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유기물질은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물질로서,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며,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상기 균주 유래의 휘발성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환경복원은 중금속 존재 하에서도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고, 상기 중금속의 흡수율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은 비소, 안티몬, 납, 수은, 카드뮴, 크롬, 주석, 아연, 바륨, 비스무트, 니켈, 코발트 및 망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식물이 생육중인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환경복원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상기 균주 유래의 휘발성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환경복원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환경복원은 중금속 존재 하에서도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고, 상기 중금속의 흡수율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은 비소, 안티몬, 납, 수은, 카드뮴, 크롬, 주석, 아연, 바륨, 비스무트, 니켈, 코발 및 망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환경복원 방법.
KR1020160119144A 2016-09-19 2016-09-19 휴믹산에서 분리된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 KR20180031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44A KR20180031159A (ko) 2016-09-19 2016-09-19 휴믹산에서 분리된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44A KR20180031159A (ko) 2016-09-19 2016-09-19 휴믹산에서 분리된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159A true KR20180031159A (ko) 2018-03-28

Family

ID=6190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144A KR20180031159A (ko) 2016-09-19 2016-09-19 휴믹산에서 분리된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1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5076A (zh) * 2020-03-31 2020-06-05 山东碧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神芽孢杆菌、其菌剂及在重金属修复领域的应用
CN111423996A (zh) * 2020-03-31 2020-07-17 山东碧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菌剂、其制备方法及在土壤修复领域的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5076A (zh) * 2020-03-31 2020-06-05 山东碧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神芽孢杆菌、其菌剂及在重金属修复领域的应用
CN111423996A (zh) * 2020-03-31 2020-07-17 山东碧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菌剂、其制备方法及在土壤修复领域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jkumar et al. Climate change driven plant–metal–microbe interactions
Ali et al. Streptomyces pactum assisted phytoremediation in Zn/Pb smelter contaminated soil of Feng County and its impact on enzymatic activities
Lorenc-Plucińska et al. Capabilities of alders (Alnus incana and A. glutinosa) to grow in metal-contaminated soil
Vaziri et al. Phytoremediation, a method for treatment of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s
Afzal et al. Endophytic Burkholderia sp. strain Ps JN improves plant growth and phytoremediation of soil irrigated with textile effluent
Langer et al. Ectomycorrhizal impact on Zn accumulation of Populus tremula L. grown in metalliferous soil with increasing levels of Zn concentration
Zhu et al. The endophytic bacterium Serratia sp. PW7 degrades pyrene in wheat
Zhang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oluene-metabolizing bacteria from rhizospheres of two indoor plants
Iram et al. Analysis of mines and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 samples for fungal diversity and tolerance to heavy metals
Zarinkamar et al. Effect of diesel fuel contaminated soil on the germination and the growth of Festuca arundinacea
Singh et al. Bacterial assisted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s and organic pollutants by Cannabis sativa as accumulator plants growing on distillery sludge for ecorestoration of polluted site
Li et al. Combined bioremediation for lead in mine tailings by Solanum nigrum L. and indigenous fungi
KR20180031159A (ko) 휴믹산에서 분리된 휘발성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환경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 방법
Leblebici et al. Comparative study of Cd, Pb, and Ni removal potential by Salvinia natans (L.) All. and Lemna minor L.: Interactions with Growth Parameters
Al-Hagar et al. Biosorption and adsorption of some heavy metals by Fusarium sp. F6c isolate as affected by gamma irradiation and agricultural wastes.
Shen et al. Study on diversity, nitrogen-fixing capacity, and heavy metal tolerance of culturable Pongamia pinnata rhizobia in the vanadium-titanium magnetite tailings
Majhi et al. Bio-reduction of hexavalent chromium by an indigenous green alga and its impact on the germination of rice seed in chromium enriched environment
Goswami et al. Expression of copper toxicity in the rice-field cyanobacterium anabaena oryzae ind4
Li et al. Mitigation strategies for heavy metal toxicity and its negative effects on soil and plants
Kumar et al. Bioremediation trends on mitigation of As (III), Cr (VI) and organic dyes from aqueous medium using plant and microbial biomass: An overview
Majewska et al. Cadmium-resistant Chryseobacterium sp. DEMBc1 strain: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to assist phytoremediation and promote plant growth
Pandey et al. Seasonal effect on the diversity of soil fungi and screening for arsenic tolerance and their remediation
Li et al. Detoxification effect of single inoculation and co-inoculation of Oudemansiella radicata and Serratia marcescens on Pb and fluoranthene co-contaminated soil
Nguyen et al. Application of plant endophytic microorganisms (Endophytes) in the treat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s
Munir et al.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A good source for phytoremediation of metal-contaminated s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