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149A - 부품 세척대 - Google Patents

부품 세척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149A
KR20180031149A KR1020160119127A KR20160119127A KR20180031149A KR 20180031149 A KR20180031149 A KR 20180031149A KR 1020160119127 A KR1020160119127 A KR 1020160119127A KR 20160119127 A KR20160119127 A KR 20160119127A KR 20180031149 A KR20180031149 A KR 20180031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mpressed air
suction
foreign substances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도
Original Assignee
김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도 filed Critical 김성도
Priority to KR102016011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149A/ko
Publication of KR20180031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가공 공정에서 기계가공 후 부품에 남아있는 칩, 기름 등의 이물질을 압축공기 스프레이 건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주위로 비산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고 불량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주위와 차단된 공간에서 포집하는 부품 세척대에 관한 것으로, 세척공간, 흡입장치 그리고 분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세척공간은 흡입구(10), 세척실(12), 그릴(11) 및 호퍼(13)로 구성되며, 이물질의 비산을 차단하기 위해 주위가 차단된 공간으로 구성되며, 흡입장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에어 이젝터(20)와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연결구(21)로 구성되며, 전기가 아닌 압축공기를 사용함으로서 작동과 동시에 충분한 흡입력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며, 분리장치는 이중의 원통 사이에 스크류 날개(31)가 설치된 스크류 원심분리장치(30)와 분리된 이물질을 모아 두는 분진통(50)과 배출을 위한 배출관(33)과 일정 공간을 가진 배출챔버(41)와 필터(42), 배출구(40)로 구성되는 부품 세척대(100)에 관한 것이다.
다시 간단하게 요약하면, 본 발명은 부품가공 공정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차단된 작업공간이 설치되고, 흡입의 수단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에어 이젝터가 설치되며,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 스크류 원심분리장치가 설치되어 흡입과 포집효율을 크게 높이는 데 특징이 있는 부품 세척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품 세척대{Parts cleaning table}
본 발명은 부품가공 공정에서 부품에 남아있는 칩, 기름 등의 이물질을 스프레이 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압축공기를 이용한 흡입장치로 포집하는 부품 세척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 세척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 가공 공정은 원자재를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요구하는 제품으로 가공한 후에 이를 작업자가 확인하면서 제품에 남아있는 칩, 기름 등을 스프레이 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한 후에 다음 공정으로 보내고 있다. 가공기계는 차단된 가공공간을 가지며, 배출장치 또는 집진장치로 오염물질을 포집하고 있지만, 가공 후 제품에 남아있는 이물질의 제거는 가공기계 외부에서 이루어지고 압축공기의 분사로 오염물질이 주위로 비산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고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며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작업자 주위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집진장치를 설치하여 이물질을 포집하기도 한다.
부품가공 공정에서의 기계가공은 차단된 공간에서 긴 시간에 걸쳐 자동으로 이루어지지만, 가공 후의 제품을 세척하는 과정은 시간이 짧고, 스프레이 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에 여러 방향으로 넓게 비산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송풍기나 집진장치를 설치하여 계속 작동시키는 것은 매우 비경제적이며, 또한 비산범위가 넓기 때문에 많은 동력이 요구된다. 그렇다고 세척할 때에만 일시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기로 구동하는 송풍기나 집진장치의 특성상 일정시간이 지나야만 충분한 흡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종래의 이런 방법은 현장에서 기피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단된 공간으로 압축공기 분사로 발생하는 칩, 기름등의 이물질의 주위 비산을 방지하고, 흡입 수단으로 전기가 아닌 압축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작과 동시에 충분한 흡입력을 얻을 수 있고, 기계적인 방법인 원심분리방식으로 흡입한 이물질을 분리, 포집하기 때문에 포집효율이 매우 높고, 생산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물 주위를 비산하는 이물질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공간을 설치하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작동과 동시에 강한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흡입한 이물질은 스크류 원심분리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흡입력과 집진효율을 크게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품가공 공정에서 부품에 남아있는 칩, 기름 등의 이물질을 스프레이 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하는데 있어서, 비산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주위가 차단된 세척실(12)을 설치하고, 흡입수단으로 전기가 아닌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에어 이젝터(20)를 설치하고, 흡입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류 원심분리장치(30)를 설치하여 흡입과 포집효율을 크게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공간인 세척실(12)은 스프레이 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부품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때 주위로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전면 흡입구(10)를 제외한 부분을 차단한 공간으로 구성하고, 아래에는 부품을 놓을 수 있는 그릴(11)을 설치하며, 그릴(11) 아래에는 칩, 기름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경사진 호퍼(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장치인 에어 이젝터(20)는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수단으로 세척물에 따라 크기와 수량을 달리하여 설치되며, 동작을 위해 압축공기 연결구(21)와 호스로 구성되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로 동작하기 때문에 작동과 동시에 충분한 흡입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 제거장치인 스크류 원심분리장치(30)는 이중의 원통으로 구성되고, 내부 배출관(33) 외벽을 따라 스크류 날개(31)가 설치되어, 이를 통과하면서 자연적으로 원심력이 발생하고, 칩, 기름 등의 이물질은 외부 관의 내벽을 따라 아래로 흘러 분진통(5)에 쌓이게 되며, 나머지 공기는 배출관(33)을 통해 배출되며, 최종 단계에 필터(42)를 설치하여 정화된 후 배출구(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단된 공간을 설치하여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고, 전기가 아닌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흡입이 동작과 동시에 일어나게 하고, 흡입된 이물질은 원심분리로 제거함으로서 흡입과 포집효율을 크게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작동과 동시에 강한 흡입력을 얻을 수 있는 에어 이젝터와, 기계적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크류 원심분리장치를 설치하여 부품에 남아있는 칩, 기름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인 부품 세척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본 발명인 부품 세척대의 단면도.
[도 3] 본 발명인 부품 세척대의 흐름상태도.
본 발명은 부품가공 공정에서 기계가공 후 부품에 남아있는 칩, 기름 등의 이물질을 압축공기 스프레이 건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주위로 비산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고 불량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부품 세척대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제품을 넣는 흡입구(10)와 주위가 차단된 세척실(12)이 설치되고, 전면 하부에 제품을 놓을 수 있는 그릴(11)이 설치되고, 그릴 아래에는 칩, 기름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경사진 호퍼(13)가 설치되며, 호퍼(13) 아래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송하기 위한 수단인 에어 이젝터(20)가 설치되며, 이 에어 이젝터(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연결구(21)가 구성되며, 다음으로는 이송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류 원심분리장치(30)가 설치되며, 원심분리장치 아래에는 분리된 이물질을 모아두는 분진통(50)이 설치되며, 이물질을 분리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33)이 구성되고, 배출공기는 배출챔버(41)를 통과하고, 분진의 종류 또는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한 필터(42)가 구성되며, 최종 배출되는 배출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세척대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부품 세척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부품 세척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부품 세척대의 흐름상태도이다.
도 1의 사시도를 설명하면, 부품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압축공기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면 높은 압력으로 인해 주위로 넓게 비산하게 된다. 이를 차단하기 위해서 흡입구(10)를 제외한 주위를 차단한 작업공간인 세척실(12)이 구성되고, 전면에는 내부를 점검하고 분진통의 처리를 위한 손잡이가 부착된 도어(60)가 구성되며, 측면에는 에어 이젝터(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연결구(21)로 구성된다.
도 2의 단면도를 설명하면, 본 발명인 부품 세척대(100)의 구성요소와 배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위로부터 세척공간, 흡입장치 그리고 분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세척공간은 흡입구(10), 세척실(12), 그릴(11) 및 호퍼(13)로 구성되며, 이물질의 비산을 차단하기 위해 주위가 차단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흡입장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에어 이젝터(20)와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연결구(21)로 구성되며, 분리장치는 이중의 원통 사이에 스크류 날개(31)가 설치된 스크류 원심분리장치(30)와 분리된 이물질을 모아두는 분진통(50)과 배출을 위한 배출관(33)과 일정 공간을 가진 배출챔버(41)와 필터(42), 배출구(40)로 구성된다.
도 3의 흐름상태도를 설명하면, 기계가공 후 부품에 남아있는 칩, 기름 등의 이물질(80)을 스프레이 건으로 압축공기(70)를 분사하면 주위가 차단된 세척실(12) 내부로 들어가고, 하부에 설치된 에어 이젝터(20)로 아래로 흡입된다. 에어 이젝터(20)는 압축공기(70) 연결구를 통해 들어온 압축공기(70)의 작용으로 아래로 흡입된다. 다음단계로 스크류 날개(31)가 설치된 원심분리장치(30)를 통과하면서 원심회전하면서 이물질은 스크류 회전공기(81)와 함께 원통의 외벽을 따라 아래로 흘러 분진통(50)에 쌓이게 된다. 나머지 공기는 필터(42)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설치되는 에어 이젝터(20)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로 작동하며, 작동과 동시에 정상적인 흡입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설치되는 스크류 원심분리장치(30)는 구조가 간단하고, 지속적인 균일한 원심력을 얻을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10 흡입구 11 그릴 12 세척실 13 호퍼
20 에어 이젝터 21 압축공기 연결구
30 스크류 원심분리장치 31 스크류 날개 32 스크류 외벽 33 배출관
40 배출구 41 배출 챔버 42 필터
50 분진통
60 도어
70 압축공기
80 흡입 이물질 81 스크류 회전공기 82 배출공기
90 수거 분진
100 부품 세척대

Claims (1)

  1. 부품가공 공정에서 부품에 남아있는 칩, 기름 등의 이물질을 압축공기 스프레이 건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하여, 흡입수단으로 전기가 아닌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에어 이젝터를 설치함으로서 작동과 동시에 흡입이 가능하고, 흡입한 이물질을 스크류 원심분리로 분리,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세척대.
KR1020160119127A 2016-09-19 2016-09-19 부품 세척대 KR20180031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27A KR20180031149A (ko) 2016-09-19 2016-09-19 부품 세척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27A KR20180031149A (ko) 2016-09-19 2016-09-19 부품 세척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149A true KR20180031149A (ko) 2018-03-28

Family

ID=6190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127A KR20180031149A (ko) 2016-09-19 2016-09-19 부품 세척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1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8786A (zh) * 2021-05-13 2021-08-03 南京领拓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高质量全自动中药饮片生产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8786A (zh) * 2021-05-13 2021-08-03 南京领拓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高质量全自动中药饮片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2599B2 (en) Dust collection method, dust collection device, and laser processing machine
KR20110020504A (ko) 에어 이젝터를 이용한 휴대용 건습식 싸이클론 집진기
CN106422544A (zh) 一种木材加工吸尘装置
KR20180031149A (ko) 부품 세척대
JP4087377B2 (ja) ミスト及び粉塵の小型捕集装置
CN109176738A (zh) 一种建材切割设备
CN210633758U (zh) 一种泡沫切割机除尘设备
KR101254924B1 (ko) 필터교환이 용이한 집진기
CN213995286U (zh) 一种除尘机组
KR100485929B1 (ko) 회전 스크린 및 싸이크론 세정탑을 이용한 분진 및 악취제거장치
KR200472781Y1 (ko) 그라인더 작업대
CN114923725A (zh) 一种用于岩土勘查的岩土取样装置
CN109228013B (zh) 一种电缆外部绝缘层原料制作混料机除尘机
CN102794287B (zh) 多工位节能低噪除尘系统
CN219231833U (zh) 一种面包和面车间用湿式除尘设备
CN213371735U (zh) 一种吸尘器内部灰尘清除设备
CN213319106U (zh) 一种钢板加工用铣床的切割头升降结构
CN219784262U (zh) 一种废气快速处理装置
CN216098361U (zh) 一种打磨机用灰尘收集装置
CN219702638U (zh) 一种便于清理的分级装置
KR102210187B1 (ko) 산업용 집진 장치의 흡입 배출 구조
CN210390519U (zh) 激光打标机的抽排气装置
KR200326888Y1 (ko) 포집 여과장치
CN219563464U (zh) 一种用于木材切割的除尘装置
CN218304721U (zh) 一种新型主机及应用其的吸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