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608A - 파워 발생 장치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파워 발생 장치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608A
KR20180030608A KR1020187003944A KR20187003944A KR20180030608A KR 20180030608 A KR20180030608 A KR 20180030608A KR 1020187003944 A KR1020187003944 A KR 1020187003944A KR 20187003944 A KR20187003944 A KR 20187003944A KR 20180030608 A KR20180030608 A KR 2018003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arm
drive member
drive
shutt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탐세 잇사 쒀드 알
Original Assignee
탐세 잇사 쒀드 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탐세 잇사 쒀드 알 filed Critical 탐세 잇사 쒀드 알
Publication of KR2018003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03G7/08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recovering energy from moving road or rail vehicles, e.g. collecting vehicle vibrations in the vehicle tyres or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1/00Other gearings with freewheeling members or other intermittently driv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1/00Other gearings with freewheeling members or other intermittently driving members
    • F16H31/003Step-by-step mechanisms for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 F16H37/12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1Damping of valve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02E10/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발생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파워 발생 장치(10)는 제1 단부(61)와 제2 단부(62)를 가지는 로커 암(60)을 포함하고, 제1 단부(61)와 제2 단부(62) 사이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며,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1 단부(61)의 왕복 운동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2 단부(62)의 왕복 운동을 재촉한다. 풀리 장치(70)가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를 드라이브 부재(80)에 결합시키고, 이 경우 로커 암의 그것의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2 단부(62)의 왕복 운동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드라이브 부재(80)의 왕복 회전을 재촉한다. 트랜스미션(90)이 드라이브 부재(80)와 출력 샤프트(51) 사이에서 상호 작용을 하고, 이 경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드라이브 부재(80)의 왕복 회전은 일 방향으로의 출력 샤프트(51)의 회전을 재촉한다.

Description

파워 발생 장치 및 방법들
본 발명은 움직이는 물체들로부터 파워를 발생시키기 위한 파워 발생 장치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들은 탈 것(vehicle)들과 같은 모션 패싱(motion passing) 물체들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하고 그러한 에너지를 이송하게 설계된 시스템들의 개발을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현재의 노력은 완전히 마음에 드는 결과들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예컨대, 알려진 그러한 시스템들은 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없고, 어려우며, 제작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고 실시 불가능한 것으로 평판이 좋지 않다. 이들 진행중이고 다른 결점들을 고려하면, 관련 분야에서의 지속된 개선을 위한 필요성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파워 생성 장치는 제1 단부(end)와 제2 단부를 가지는 로커 암(rocker arm)을 포함하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피봇되게 장착되며, 이 경우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1 단부의 왕복 운동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을 재촉한다. 풀리(pulley) 장치가 로커 암의 제2 단부를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하고, 이 경우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로커 암의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드라이브 부재의 상호 회전을 재촉한다.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은 드라이브 부재와 출력 샤프트 사이에서 상호 작용하고, 이 경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드라이브 부재의 상호 회전은 하나의 방향에서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재촉한다. 드라이브 부재는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아진 위치까지 움직일 때 드라이브 부재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return)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로커 암은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의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의 로커 암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풀리 장치는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입력에 연결된 외부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한다.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이다. 트랜스미션은 기어 조립체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파워 생성 장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는 로커 암을 포함하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피봇되게 장착되며,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의 제1 단부의 왕복 운동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의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을 재촉한다. 드라이브 기어가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된다. 이러한 드라이브 부재는 그것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드라이브 기어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맞물리고, 드라이브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드라이브 기어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풀리 장치는 로커 암의 제2 단부를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시키고, 그럴 경우 로커 암의 그것의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의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이 드라이브 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왕복 회전을 재촉한다. 드라이브 부재는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아진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드라이브 부재가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된다. 로커 암은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 로커 암이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된다. 풀리 장치는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드라이브 부재에 연결된 외부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한다.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파워 발생 장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는 로커 암을 포함하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며,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1 단부의 왕복 운동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의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을 재촉한다. 구동된 기어는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다. 드라이브 기어는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되고, 메싱(meshing) 맞물림에서 구동된 기어에 결합된다. 드라이브 부재는 그것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드라이브 기어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맞물리고, 드라이브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드라이브 기어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풀리 장치는 로커 암의 제2 단부를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시키고, 그럴 경우 로커 암의 그것의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의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이 드라이브 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왕복 회전을 재촉한다. 드라이브 부재는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아진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드라이브 부재가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된다. 로커 암은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 로커 암이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된다. 풀리 장치는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드라이브 부재에 연결된 외부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한다.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파워 발생 장치는 출력 샤프트(output shaft), 적어도 하나의 레일까지 왕복 가능하게 장착된 셔틀(shuttle), 및 파워 전달 조립체를 포함한다. 파워 전달 조립체 각각은 셔틀 작동된 로커 암, 풀리 장치, 및 트랜스미션을 포함한다.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1 단부의 왕복 운동이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을 재촉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의 피봇 작용을 위해 장착된다. 풀리 장치는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이 제2 단부를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하고, 그러한 경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드라이브 부재의 왕복 회전을 재촉한다. 트랜스미션은 드라이브 부재와 출력 샤프트 사이에서 상호 작용하고, 그럴 경우 드라이브 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왕복 회전이 출력 샤프트의 하나의 방향으로의 회전을 재촉한다. 셔틀의 왕복 운동은 제1 단부들에서의 로커 암들의 순차적인 피봇 작용을 재촉한다. 각각의 파워 전달 조립체의 드라이브 부재는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아진 위치까지 이동할 때, 드라이브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된다. 각각의 파워 전달 조립체의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은, 그것이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된다. 각각의 파워 전달 조립체의 풀리 장치는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드라이브 부재에 연결된 외부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파워 전달 조립체의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파워 발생 장치는 출력 샤프트, 적어도 하나의 레일에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셔틀, 및 파워 전달 조립체를 포함한다. 파워 전달 조립체 각각은 셔틀 작동된 로커 암, 구동된 기어, 출력 샤프트, 드라이브 기어, 및 풀리 장치를 포함한다.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피봇 작동을 위해 장착되며,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1 단부의 왕복 움직임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2 단부의 왕복 움직임을 재촉한다. 구동된 기어는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다. 드라이브 기어는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되고, 메싱 맞물림시 구동된 기어에 결합된다. 드라이브 부재는 그것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일 방향 회전을 야기하기 위해 드라이브 기어와 맞물리고, 드라이브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드라이브 기어와 맞물림이 풀리며, 드라이브 기어의 일 방향 회전은 구동된 기어의 회전을 재촉하고, 구동된 기어의 회전은 일 방향에서의 출력 샤프트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풀리 장치는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제2 단부를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하고, 그럴 경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낮은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제2 단부의 왕복 움직임은 드라이브 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왕복 회전을 재촉한다. 셔틀의 왕복 움직임은 제1 단부에서의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순차적인 피봇 작동을 재촉한다.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낮아진 위치로 움직일 때, 드라이브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파워 전달 조립체의 드라이브 부재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각각의 파워 전달 조립체의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은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제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의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된다. 각각의 파워 전달 조립체의 풀리 장치는,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드라이브 부재에 연결된 외부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파워 전달 조립체의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이다.
함께 취해질,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전술한 요약과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과 일치되게, 본 발명은 또한 연관된 장치와 방법 실시예를 예측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파워 발생기와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셔틀을 포함하는 파워 발생 장치의 등각 투상도.
도 2는 도 1의 파워 발생기의 확대된 단편적인 도면.
도 3은 파워 발생기의 파워 전달 조립체를 더 상세하게 보여주고, 정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도 2에 대응하는 확대된 단편적인 도면.
도 4는 파워 전달 조립체를 보여주고,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도 3의 것과 매우 비슷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셔틀의 확대된 등각 투상도.
도 6은 파워 발생기와 서로 작용하는 셔틀을 보여주는 도 1에 대응하는 확대된 단편적인 정면도(elevation view).
도 7은 파워 발생기와 서로 작용하는 셔틀을 보여주는 도 1에 대응하는 확대된 단편적인 등각 투상도.
도 8과 도 9는 파워 발생 장치의 동작의 순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하는 옆 정면도(side elevation view).
이제, 여러 도면들에 대해 같은 참조 문자가 대응하는 요소들을 가리키는 도면들로 돌아가서, 파워 발생 장치(20)를 예시하는 도 1을 먼저 참조하면, 이러한 파워 발생 장치(20)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으로 셔틀(25)이 왕복 운동할 때, 파워를 발생시키기 위해 셔틀(25)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파워 발생기(30)와 왕복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셔틀(25)을 포함한다. 파워 발생기(30)는 셔틀(25)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에 표시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작동하고 파워를 발생시킨다. 파워 발생기(30)에 의해 발생된 파워는 이 예에서는 메인 출력(main output)(32)에 인가된다. 이 실시예에서, 메인 출력(32)은 셔틀(25)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파워 발생기(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메인 출력 샤프트(34)이다.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회전은 장비를 구동하고,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과 같은 어떤 유익한 목적 또는 다른 선택된 유익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파워 발생기(30)는 2개의 서브 시스템(31A, 31B)을 포함한다. 서브 시스템(31A, 31B)은 구조적으로 동일하고 동일하게 기능한다. 서브 시스템(31A, 31B)은 서로 떨어져 있고,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있으며,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서브 시스템(31A, 31B)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셔틀(25)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파워를 발생시키기 위해 파워 발생 장치(20)의 작동시 동시에 동작한다.
서브 시스템(31A)은 셔틀(25)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작동하고 파워를 발생시킨다. 서브 시스템(31A)은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로 인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으로의 셔틀(25)이 왕복 운동에 반응하여 서브 시스템(31A)이 작동하는 것은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회전을 재촉한다. 서브 시스템(31A)과 동일하게, 서브 시스템(31B)은 셔틀(25)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작동하고 파워를 발생시킨다. 서브 시스템(31B)은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로 인해 셔틀(25)의 왕복 운동에 반응하여 서브 시스템(31B)이 작동하는 것은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회전을 재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 시스템(31A, 31B)은 파워 발생 장치(30)에서 작동하고 일제히 작용하여, 셔틀(25)의 왕복 운동에 반응하여 서브 시스템(31A, 31B)의 동시 작동이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회전을 재촉한다.
서브 시스템(31A)은 이격되어 있고 제1 열(41)에서 축이 정렬되어 있는 파워 전달 조립체(40)를 포함한다. 서브 시스템(31B)은 이격되어 있고 제2 열(42)에서 축이 정렬되어 있는 파워 전달 조립체(40)를 포함한다. 제1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제2 열(42)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와는 독립적으로 작용하고, 제2 열(42)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제1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와는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제1 열(41)과 제2 열(42)에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들은, 셔틀(25)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파워를 발생시키기 위해 쉬고 있는 위치와 작동되는 위치 사이에서 작동한다. 제1 열(41)과 제2 열(42)은 서로 마주보고 있고,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놓여 있으며, 같은 개수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총 70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가 존재하는데, 그 중 제1 열(41)에서는 35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가 있고, 제2 열(42)에 35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가 있다. 제1 열(41)과 제2 열(42)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는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으로의 셔틀(25)의 왕복 움직임은 제1 열(41)과 제2 열(42)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에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되게 작용하고, 이러한 파워 전달 조립체의 순차적이고 반복된 작용은 일 방향으로의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회전을 재촉한다.
제1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는 출력(50)에 동시에 결합되고, 제2 열(42)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는 출력(55)에 동시에 연결된다. 출력(50)은 서브 시스템(31A)의 부분이고, 출력(55)은 서브 시스템(31B)의 부분이다. 출력(50)은 출력 샤프트(51)이고, 출력(55)은 출력 샤프트(56)이다. 출력 샤프트(51, 56)는 각각 예시적 실시예에서 파워 발생기(30)의 어느 한쪽에서 정착물이나 보유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출력 샤프트(51, 56)는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이격되어 있으며,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대해 평행하다. 도 1의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에서의 셔틀(25)의 왕복 운동에 반응하여 쉬고 있는 위치와 작동하는 위치 사이에서의 제1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행위는 일 방향으로의 출력 샤프트(51)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출력 샤프트(51)가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결합되고, 그로 인해 출력 샤프트(51)의 회전이 일 방향으로의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도 1의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에서의 셔틀(25)의 왕복 운동에 반응하여 쉬고 있는 위치와 작동하는 위치 사이에서의 제2 열(42)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행위는 일 방향으로의 출력 샤프트(56)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하고, 이 경우 일 방향은 출력 샤프트(51)와 동일한 회전 방향이다. 출력 샤프트(56)는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결합되고, 이로 인해 출력 샤프트(56)의 회전은 출력 샤프트(51)의 회전으로부터 생기는 메인 출력 샤프트(34)와 동일한 회전 방향인 방향으로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출력 샤프트(51), 출력 샤프트(56), 및 메인 출력 샤프트(34)는 파워 발생 장치(20)가 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러한 방향은 이 예에서는 도 1과 도 2에서의 시계가 회전하는 방향이다. 출력 샤프트(51)의 시계가 회전하는 방향은 화살표(E)로 표시되어 있고, 출력 샤프트(56)의 시계가 회전하는 방향은 역시 화살표(E)로 표시되어 있으며,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시계가 회전하는 방향은 화살표(J)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 샤프트(51, 56)는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동시에 결합되고, 이로 인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에서의 셔틀(25)의 왕복 운동에 반응하여 동일한 방향에서 출력 샤프트(51, 56)의 동시 회전이, 서브 시스템(31A)의 출력 샤프트(51)와 서브 시스템(31B)의 출력 샤프트(56)의 것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의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서브 시스템(31A, 31B)은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제 서브 시스템(31A)의 계속해서 이어지는 논의가 모든 점에서 서브 시스템(31B)에 적용된다는 이해를 가지고, 서브 시스템(31A)의 더 상세한 사항이 더 자세하게 논의된다.
도 3과 도 4에서, 서브 시스템(31A)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는 로커 암(60), 풀리 장치(70), 드라이브 부재(80), 및 드라이브 부재(80)와 출력 샤프트(51)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스미션(90)을 포함한다. 로커 암(60)은 가늘고 길며, 강철, 알루미늄, 또는 다른 내구성 있는 재료 또는 내구성 있는 재료들의 결합물로 만들어진다. 로커 암(60)은 제1 또는 근위(proximal) 단부(61), 제2 또는 원위(distal) 단부(62)를 가지고,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쉬고 있는 위치에서 도 3에서의 제1 또는 쉬고 있는 위치와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작동중인 위치에서 도 4에서의 제2 또는 작동중인 위치 사이이 피봇 움직임을 위한 피봇(63)에서 제1 단부(61)와 제2 단부(62)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봇(63)은 가늘고 긴 샤프트(64)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커 암(60)은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쉬고 있는 위치를 정의하는 도 3에서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와,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작동중인 위치를 정의하는 도 4에서의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 시소(seesaw)처럼, 피봇(63)에서 피봇한다. 제1 단부(61)가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쉬고 있는 위치에서 도 3에서의 그것이 쉬고 있는 위치와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작동중인 위치에서 도 4에서의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의 로커 암(60)의 피봇 움직임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C)의 방향에서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 반대로 왕복 운동할 때, 제2 단부(62)가 양방향 화살표 라인(B)의 방향에서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한다. 셔틀(25)이 도 1에서의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에서 왕복 운동할 때, 제1 단부(61)는 셔틀(25)에 의해 위아래로 움직이는 페달(61A)을 지니고 있다. 페달(61A)은 제1 단부(61)의 부분이다. 피봇(63)으로부터 제2 단부(62)까지의 로커 암(60)의 길이는 제1 단부(61)로부터 피봇(63)까지의 로커 암(60)의 길이보다 길다. 가늘고 긴 샤프트(64)가 적소에서 고정되고, 예시된 실시예에서 파워 발생기(30)의 어느 한쪽에서 고정물 또는 보유 구조물에 고착된다. 도 2와 도 7에서, 서브 시스템(31A)의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피봇(63)들은 가늘고 긴 샤프트(64)에 동시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풀리 장치(70)는 드라이브 부재(80)에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를 결합시키고, 그럴 경우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와 도 4에서의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의 로커 암(60)의 피봇 움직임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B)의 방향에서의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의 왕복 운동은, 도 3에서의 제1 또는 쉬고 있는 위치와 도 4에서의 제2 또는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D)에 의해 표시된 반대 회전 방향으로의 드라이브 부재(80)의 왕복 회전을 재촉한다. 이 예에서, 화살표(G)는 도 3에서의 낮아진 위치로부터 로커 암(60)이 도 3에서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까지 드라이브 스트로크(stroke)를 따라서 피봇할 때 일어나는, 도 4에서의 높아진 위치까지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도 3에서의 제1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제2 위치까지 드라이브 부재(80)의 반시계 회전방향을 가리킨다. 화살표(H)는 도 4에서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로커 암(60)이 도 4에서의 그것의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까지 리셋 스트로크를 따라서 피봇할 때 일어나는, 도 3에서의 낮아진 위치까지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도 4에서의 제2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제1 위치까지 드라이브 부재(80)의 시계 회전방향을 가리킨다. 도 3에서의 제1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제2 위치까지의 드라이브 부재(80)의 반시계 회전방향은 드라이브 부재(810)의 드라이브 스트로크이고, 제2 단부(62)의 낮아진 위치와 제1 단부(61)의 높아진 위치에 대응하는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로부터 제2 단부(62)의 높아진 위치와 제1 단부(61)의 낮아진 위치에 대응하는, 도 4에서의 작동중인 위치까지의 로커 암(60)의 피봇 움직임은 로커 암(60)의 드라이브 스트로크이다. 도 4에서의 제2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제1 위치까지의 드라이브 부재(80)의 시계 회전방향은 드라이브 부재(80)의 리셋 스트로크이고, 제2 단부(62)의 높아진 위치와 제1 단부(61)의 낮아진 위치에 대응하는, 도 4에서의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제2 단부(62)의 낮아진 위치와 제1 단부(61)의 높아진 위치에 대응하는,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까지의 로커 암(60)의 피봇 움직임은 로커 암(60)의 리셋 스트로크이다.
트랜스미션(90)은 드라이브 부재(80)와 출력 샤프트(51) 사이에서 상호 작용하고, 이 경우 도 3에서의 제1 또는 쉬고 있는 위치와 도 4에서의 제2 또는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D)에서의 드라이브 부재(800의 왕복 회전,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작동중인 위치까지의 로커 암(60)의 피봇 움직임에 반응하여 드라이브 부재(80)의 드라이브 스트로크와, 로커 암(60)의 드라이브 스트로크는 화살표(E)의 방향과 도 3과 도 4에서의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출력 샤프트(51)의 회전을 재촉한다. 도 2와 도 7에서, 제1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트랜스미션(90)은 출력 샤프트(51)와 각각의 드라이브 부재(80)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상호 작용하고, 이 경우 도 3에서의 제1 또는 쉬고 있는 위치와 도 4에서의 제2 또는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의 도 3과 도 4에서의 양방향 화살표 라인(D)의 방향으로의 드라이브 부재(80) 각각의 왕복 회전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의 출력 샤프트(51)의 회전을 재촉한다.
원 모양이고, 강철, 알루미늄, 또는 다른 내구성 있는 재료 또는 내구성 있는 재료들의 결합물로 형성된 디스크 모양의 몸체를 가지는 드라이브 부재(80)는, 중심(central) 베어링(82)을 갖는 가늘고 긴 샤프트(8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와 도 7에서, 열(41)이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드라이브 부재(80)는 가늘고 긴 샤프트(81)에 회전 가능하게 동시에 장착된다. 가늘고 긴 샤프트(81)는 적소에 고정되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워 발생기(30)의 어느 한쪽에서 고정물 또는 보유 구조물에 고착된다. 풀리 장치(70)는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를 드라이브 부재(80)에 결합하고, 이 경우 드라이브 부재(80)는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와 도 4에서의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의 로커 암(60)의 피봇 움직임시, 제1 단부(61)의 높아진 위치에 대응하는 도 3에서의 낮아진 위치와 도 4에서의 제1 단부(61)의 낮아진 위치에 대응하는 도 4에서의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가 왕복 운동할 때, 드라이브 부재(80)는 도 3에서의 제1 위치와 도 4에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D)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왕복 운동한다.
풀리 장치(70)는 드라이브 요소(75)를 지지하는 풀리(71)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요소(75)는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블이고,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벨트 등일 수 있다. 드라이브 요소(75)는 용접 또는 하나 이상의 리벳(rivet), 클램프 등에 의해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에 연결된 내부 또는 상부 단부(76)를 가지고, 드라이브 부재(80)의 외부 직경(86)과 베어링(82)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드라이브 부재(8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핀(84)에 용접, 하나 이상의 리벳, 또는 다른 파스너(fastener) 타입에 의해 연결된 외부 또는 하부 단부(77)를 가진다. 풀리(71)는 대응하는 가늘고 긴 샤프트(7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늘고 긴 샤프트(72)는 적소에 고정되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파워 발생기(30)의 어느 한쪽에 고정물 또는 보유 구성물에 고착된다. 도 2와 도 7에서,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풀리(71)는 가늘고 긴 샤프트(72)까지 동시에 회전된다.
풀리(71)는 내부 단부(76)와 외부 단부(77) 사이에서 드라이브 요소(75)를 끌고 간다. 이 예에서는 4개의 풀리(71)가 존재하고, 이들은 도 3과 도 4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까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 풀리(71A), 상부 풀리(71B), 하부 풀리(71C), 및 상부 풀리(71D)를 포함한다. 하부 풀리(71A)는 가늘고 긴 샤프트(72A)에 의해 운반되고, 상부 풀리(71B)는 가늘고 긴 샤프트(72B)에 의해 운반되며, 하부 풀리(71C)는 가늘고 긴 샤프트(72C)에 의해 운반되고, 상부 풀리(71D)는 가늘고 긴 샤프트(72D)에 의해 운반된다. 상부 풀리(71B, 71D)는 나란히 위치하고, 나란히 위치하는 하부 풀리(71A, 71C)에 대해 평행하다. 풀리(71)의 회전축은 각각의 샤프트(72)와 일치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도 1과 도 2에서의 드라이브 부재(80), 출력 샤프트(51), 및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회전축에 평행하다. 드라이브 요소(75)는 로커 암(62)의 제2 단부(6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풀리(71)에 의해 순차적으로 끌고 가지며, 상부 풀리(71D)로부터 드라이브 부재(80)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드라이브 요소(75)는 위 그리고 아래 패턴으로,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로부터 하부 풀리(71A)까지 아래쪽으로, 하부 풀리(71A)로부터 상부 풀리(71B)까지 위쪽으로, 상부 풀리(71B)로부터 하부 풀리(71C)까지 아래쪽으로, 하부 풀리(71C)로부터 상부 풀리(71D)까지 위쪽으로, 그리고 나서 상부 풀리(71D)로부터 드라이브 부재(80)까지 아래쪽으로 풀리(71)에 의해 끌고 가진다. 이러한 풀리 장치(70)는 페달(61A)에서 로커 암(60)의 제1 단부(61)에 인가된 힘에 대해 기계적인 장점을 주고, 그로 인해 드라이브 부재(80)를 도 3에서의 그것의 제1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그것의 제2 위치까지 회전시키기 위해 드라이브 요소(75)의 외부 단부(77)에 인가된 힘은 로커 암(60)을 도 3에서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까지 피봇하기 위해 로커 암(60)의 제1 단부(61)의 페달(61A)에 인가되기 위해 요구된 힘보다 작고, 도 3에서의 제1 위치와 도 4에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드라이브 요소(75)의 외부 단부(77)에 의해 이동된 회전 거리는,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작동중인 위치까지의 로커 암(60)의 움직임에서, 도 3에서의 높아진 위치와 도 4에서의 낮아진 위치 사이의 로커 암(60)의 제1 단부(61)의 페달(61A)에 의해 이동된 거리보다 크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트랜스미션(90)은 드라이브 부재(80)와 출력 샤프트(51) 사이에서 상호 작용하고, 그럴 경우 도 3에서의 그것의 제1 위치와 도 4에서의 그것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D)의 방향에서의 드라이브 부재(80)의 왕복 회전은 화살표(E)의 방향에서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재촉한다. 트랜스미션(90)은 드라이브 기어(91)와 구동된 기어(92)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기어(91)는 드라이브 부재(80)에 결합된다. 드라이브 기어(91)는 강철, 알루미늄, 또는 다른 내구성 있는 재료 또는 내구성 있는 재료들의 결합물로 형성된 링 기어(ring gear)이다. 드라이브 기어(91)는 드라이브 부재(80)의 외부 직경(8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라이브 부재(80)는 그것이 도 3에서의 제1 위치 또는 쉬고 있는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제2 위치 또는 작동중인 위치까지, 화살표(F)와 동일한 방향인 화살표(G)의 방향으로 그것의 드라이브 스트로크를 따라서 회전할 때, 반시계 회전 방향인, 화살표(F)의 방향으로의 일 방향 회전을 야기하기 위해 드라이브 기어(91)와 맞물리고, 드라이브 부재(80)가 도 4에서의 제2 또는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제1 또는 쉬고 있는 위치까지 화살표(H)의 반대 방향으로 그것의 리셋 스트로크를 따라 회전할 때에는 드라이브 기어(91)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화살표(F)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화살표(F)의 방향으로의 드라이브 기어(91)의 자유로운 회전은, 화살표(F)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드라이브 기어(91)의 대응하는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도록, 드라이브 기어(91)로부터 드라이브 부재(80)를 분리시킨다. 드라이브 기어(91)와 드라이브 부재(80)의 결합은 기존의 클러치-기어 조립체이고, 그것의 더 상세한 것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논의되지 않는다. 구동된 기어(92)는 출력 샤프트(51)에 결합된다. 구동된 기어(80)는 피니언이고, 강철, 알루미늄, 또는 다른 내구성 있는 재료 또는 내구성 있는 재료들의 결합물로 형성된다. 도 2와 도 7에서,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구동된 기어(92)는 동시에 출력 샤프트(52)에 결합된다.
드라이브 기어(91)는 메싱 맞물림에서 구동된 기어(92)에 결합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드라이브 부재(80)는 로커 암(60)이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작동중인 위치까지 그것의 드라이브 스트로크를 따라서 움직일 때에는, 드라이브 부재(80)가 도 3에서의 제1 위치 또는 쉬고 있는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제2 위치 또는 작동중인 위치까지, 화살표(F)와 동일한 방향인 화살표(G)의 방향으로 그것의 드라이브 스트로크를 따라서 회전할 때, 화살표(F)의 방향으로의 일 방향 회전을 야기하기 위해 드라이브 기어(91)와 맞물리고, 로커 암(60)이 도 4에서의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까지 그것의 리셋 스트로크를 따라서 움직일 때에는 드라이브 부재(80)가 도 4에서의 제2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제1 위치까지 리셋 스트로크를 따라 회전할 때, 드라이브 기어(91)와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도 3에서의 제1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제2 위치까지 화살표(G)의 방향으로 드라이브 부재(8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 화살표(F)의 방향으로의 드라이브 기어(91)의 일 방향 회전은, 화살표(I)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구동된 기어(72)의 회전을 재촉하고, 화살표(I)의 방향으로의 구동된 기어(92)의 회전은 화살표(E)에 의해 표시된 동일한 시계 방향으로의 출력 샤프트(51)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드라이브 부재가 그것의 리셋 스트로크를 따라서 도 4의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까지 회전할 때 화살표(F)의 방향으로의 드라이브 기어(91)의 자유로운 회전은, 드라이브 부재(80)를 출력 샤프트(51)로부터 분리하고, 화살표(E)로 표시된 반대 방향에서의 출력 샤프트(51) 및 드라이브 기어(92)와, 도 1과 도 2에서의 화살표(J)의 동일한 방향에서의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한다.
드라이브 부재(80)는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가 도 4에서의 로커(60)의 작동중인 위치에서의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로커 암(60)의 쉬고 있는 위치에서의 그것의 낮아진 위치까지 움직일 때, 도 4에서의 제2 또는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제1 또는 쉬고 있는 위치로 드라이브 부재(80)가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드라이브 부재(80)에 결합된 스프링(81)으로 스프링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바깥쪽으로 바이어스되는 압축 스프링인 스프링(87)은 항상 드라이브 부재(80)를 도 3에서의 그것의 제1 또는 쉬고 있는 위치쪽으로 재촉한다. 스프링(87)은 항상 밖을 향하여 팽팽하게 되어 있고, 도 3에서의 드라이브 부재(80)의 제1 또는 쉬고 있는 위치에서 연장되며, 도 4에서의 드라이브 부재(80)의 제2 또는 작동중인 위치에서 압축된다. 드라이브 부재(80)는 로커 암(60)의 피봇 작용을 통해 도 3에서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로부터 스프링(87)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도 4에서의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까지 풀리 조립체(70)로부터의 드라이브 부재(80)에 대한 힘의 인가에 반응하여, 화살표(G)의 방향으로 도 3에서의 제1 위치로부터 도 4에서의 제2 위치까지 움직인다. 스프링(87)은 항상 드라이브 부재(80)에 작용하여 그것을 재촉하고, 도 4에서의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까지의 로커 암(60)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화살표(H)의 방향으로 도 4에서의 제2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제1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게 드라이브 부재(80)를 리셋한다.
로커 암(60)은 그것이 도 4에서의 작동중인 위치, 제1 단부(61)의 낮아진 위치, 및 도 4에서의 제2 단부(62)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 제1 단부(61)에서의 높아진 위치, 및 제2 단부(62)에서의 낮아진 위치로의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예에서는 스프링(100)과 피스톤-실린더 조립체(105)를 가지고 스프링 설치된다. 스프링(100)은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와 피봇(63) 사이에서 로커 암(60)과 가늘고 긴 샤프트(101) 사이에 결합되고, 피스톤-실린더 조립체(105)는 로커 암(60)의 제2 단부(62)와 스프링(100) 사이에서 로커 암(60)과 가늘고 긴 샤프트(106) 사이에 결합된다. 가늘고 긴 샤프트(101)는 적소에 고정되고,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파워 발생기(30)의 어느 한쪽에서 고정물 또는 보유 구조물에 고착된다. 가늘고 긴 샤프트(106)는 비슷하게 적소에 고정되고,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파워 발생기(30)의 어느 한쪽에서 고정물 또는 보유 구조물에 고착된다. 도 2와 도 7에서,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스프링(100)은 가늘고 긴 샤프트(101)에 동시에 장착된다. 도 2와 도 7에서,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105)는 가늘고 긴 샤프트(106)에 동시에 장착된다.
이 예에서는 안쪽으로 바이어스되는 압축 스프링인 스프링(100)은 항상 로커 암(60)에 작용하여, 로커 암(60)을 도 4에서의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멀리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까지 항상 재촉한다. 스프링(100)은 도 3에서의 로커 암(60)의 쉬고 있는 위치에서 수축되고, 도 4에서 로커 암(60)의 작동중인 위치에서 늘어나며, 항상 로커 암(60)을 도 3에서의 쉬고 있는 위치 쪽으로 잡아 당긴다. 비록 스프링(100)에 의해 공급된 바이어스가 잡아 당기는 힘일지라도, 스프링(100)은 로커 암(61)에 맞서 미는 힘을 통해 그것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재배치될 수 있다.
안쪽으로 바이어스되는 공기식 또는 유압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인 피스톤-실린더 조립체(150)는 항상 로커 암(60)에 작용하여 항상 로커 암(60)을 도 4에서의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멀리 도 3에서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쪽으로 재촉한다. 피스톤-실린더 조립체(150)는 도 3에서 로커 암(60)의 쉬고 있는 위치에서 수축되고, 도 4에서 로커 암(60)의 작동중인 위치에서 늘어나며, 항상 로커 암(60)을 도 3에서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쪽으로 잡아 당긴다. 도 4에서의 로커 암(60)의 쉬고 있는 위치에서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150)가 바닥에 닿아서, 로커 암(60)이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멀리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를 지나가는 움직임을 제한한다. 비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150)에 의해 공급된 바이어스가 잡아 당기는 힘일지라도, 피스톤-실린더 조립체(150)는 로커 암(61)에 맞서 미는 힘을 통해 그것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재배치될 수 있고, 로커 암(61)의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를 넘어서는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그것의 늘어난 위치에서 바닥에 닿게 또한 재배치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출력 샤프트(51, 56)는 풀리 장치(70)를 가지고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로 인해 화살표(E)로 표시된 출력 샤프트(51, 56)의 시계방향 회전은 화살표(J)로 표시된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시계방향 회전을 재촉한다. 이 예에서는, 서브 시스템(31A)의 풀리 장치가 출력 샤프트(51)에 장착된 드라이브 풀리(111)와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장착된 구동된 풀리(112)에 의해 끌고 가지는 연속적인 드라이브 벨트(110)를 포함하고, 서브 시스템(31B)의 풀리 장치는 출력 샤프트(56)에 장착된 드라이브 풀리(121)와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장착된 구동된 풀리(122)에 의해 끌고 가지는 연속적인 드라이브 벨트(120)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열(41, 42)은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있고,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또한 같은 개수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를 포함하는데, 이들에는 서브 시스템(31A)의 열(41)에서의 35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와, 서브 시스템(31B)의 열(42)에서의 35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가 포함된다. 열(41)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A)은 이격되어 있고, 열(42)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A)과 축이 같게 정렬되어 있다. 열(41, 42)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A)은 셔틀(25)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로 인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에서의 셔틀(25)의 왕복 운동이 도 3에서처럼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와 도 4에서처럼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 각각의 로커 암(60)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되게 피봇함으로써 페달(61A)에서 열(41, 42)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작용하고, 이는 화살표(E)의 방향으로 출력 샤프트(51, 56) 각각의 회전을 재촉하고, 이는 또한 화살표(J)의 방향으로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제1 열(41)과 제2 열(42)에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는 반복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작용하고 양방향 화살표(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셔틀(25)이 왕복 운동할 때 파워를 발생시킨다. 도 1과 도 5에서는, 모터 구동된 셔틀(25)과, 10개의 바퀴가 달려 있고, 한쪽에는 5개의 동등하게 이격된 바퀴(27A)를 가지고 그 반대편에는 5개의 동등하게 이격된 바퀴(27B)를 가지는 차량 몸체(26)를 포함하는 올-휠(all-wheel) 드라이브 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차량 몸체(26)의 한쪽에서의 바퀴(27A)는 차량 몸체(26)의 반대쪽에서의 각각의 바퀴(27B)와 축이 같게 정렬되어 있다. 셔틀(25)은 레일(28)에 왕복 운동되게 장착된다. 레일(28)은 이격되어 있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도 1에서의 출력 샤프트(51, 56)와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대해 평행하다. 레일(28)은 서브 시스템(31A, 31B) 위에서 중심적으로 적소에 고정되고,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파워 발생기(30)의 어느 한쪽에서 고정물 또는 보유 구조물에 고착된다. 레일(28)은 차량 몸체(26)의 어느 한쪽에서 칼라(collar)(29)를 통해 늘어난다. 셔틀(25)의 작용시, 바퀴(27)는 기존의 탑재된 드라이브트레인(drivetrain)을 가지고 바퀴(27)들에 결합된 탑재된 전기식 또는 내연기관에 의한 것과 같이, 상호적으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모터 구동된다.
레일(28)은 서브 시스템(31A, 31B) 위에서, 그리고 서브 시스템(31A, 31B)에 평행하게 적소에 고정되고, 서브 시스템(31A, 31B) 위에서, 그리고 서브 시스템(31A, 31B)에 평행하게 중심적으로 아래 바퀴(27)로 셔틀(25)을 지지하며, 바퀴(27A)는 서브 시스템(31A)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A)을 따라 얹혀서 굴러가고, 동일하게 바퀴(27B)는 서브 시스템(31B)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B)을 따라 얹혀서 굴러간다. 예시와 참조의 문제로, 도 6은 파워 전달 조립체(40)에 관련하여 위치 선정 셔틀(25)을 보여주고, 바퀴(27A)가 어떻게 서브 시스템(31A)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A) 위에 얹혀서 위치하는지, 그리고 바퀴(27B)가 어떻게 서브 시스템(31B)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A)에 얹혀서 위치하는지를 예시하는 도 1에 대응하는 확대된 단편적인 정면도이다. 추가 예시 및 참조의 문제로, 도 7은 3개의 바퀴(27A)가 어떻게 서브 시스템(31A)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A)들을 따라서 그 위에 얹혀서 굴러가는지를 예시하는 도 1에 대응하는 확대된 단편적인 등각 투상도이다. 서브 시스템(31A)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A)과 관련되는 바퀴(27A)들의 배치는 서브 시스템(31B)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B)과 관련되는 바퀴(27A)들의 배치와 동일하다. 셔틀(25)의 작용시, 바퀴(27)들은 서브 시스템(31A, 31B)의 페달(61A)에 맞닿아 상호적으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동시에 모터 구동되고, 이는 도 1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으로 서브 시스템(31A, 31B)의 페달(61A) 위에서의 셔틀(25)의 왕복 운동을 만들어낸다.
셔틀(25)이 도 1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제1 열(41)과 제2 열(42)에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는 동시에 바퀴(27)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작용하고, 이는 출력 샤프트(51, 556)의 동시 회전을 재촉하며, 이는 위에서 상세하게 논의된 것처럼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도 8과 도 9는 도 8에서의 한쪽에 그리고 도 9에서는 그 반대쪽에 서로 상응하게 나타나는 것처럼 셔틀(25)을 예시하는, 파워 발생 장치(30)의 작동 순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하는 옆 정면도이다. 셔틀(25)이 도 1, 도 8, 및 도 9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에는, 각각의 바퀴(27A)가 출력 샤프트(51)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하기 위해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와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 7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 각각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위아래로 서브 시스템(31)의 35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 중 7개의 대응하는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7개의 페달(61A)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작동시킨다. 동일하게 셔틀(25)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에는, 각각의 바퀴(27B)가 출력 샤프트(56)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하기 위해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와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 7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 각각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위아래로 서브 시스템(32)의 35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 중 7개의 대응하는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7개의 페달(61B)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그렇게 셔틀(25)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에는, 바퀴(27)들이 출력 샤프트(51, 56)의 대응하는 동시 회전을 재촉하기 위해 그것의 쉬고 있는 위치와 그것의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 70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 각각을 반복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위아래로 서브 시스템(31, 32)의 70개의 파워 전달 조립체(40)의 페달(61A)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작동시킨다. 파워 발생 장치(30)의 작동시, 도 1과 도 2에서 출력 샤프트(51, 56) 각각에 관련하여 화살표(E)로 표시된 동일한 시계방향으로 출력 샤프트(51, 56) 각각의 동시 회전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화살표(J)로 표시된 동일한 시계방향으로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회전은 장비를 구동하는 것,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과 같은 임의의 유익한 목적들, 또는 다른 선택된 유익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파워 발생 장치(20)의 작동시, 바퀴(27)는 서브 시스템(31A, 31B)의 로커 암(60)의 제1 단부(61)의 대응하는 페달(61A)과 반복적으로 부딪혀서 셔틀(25)이 도 1에서 양방향 화살표 라인(A)으로 표시된 양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그것들이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고, 이는 그것들의 드라이브 스트로크와 리셋 스트로크를 따라서, 그것들의 쉬고 있는 위치와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그리고 그것들의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다시 그것들의 쉬고 있는 위치로 로커 암(60)을 피봇 가능하게 반복적으로 작동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것처럼, 로커 암(60)은 출력 샤프트(51)에 각각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로 인해 그것들의 쉬고 있는 위치와 작동중인 위치 사이에서의 로커 암(60)의 반복된 작용은 이 예에서는 시계 회전방향인 화살표(E) 방향으로 출력 샤프트(51, 56) 각각으로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이에 따라 출력 샤프트(51, 56)는 메인 출력 샤프트(3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로 인해 파워 발생 장치(20)의 작동시 화살표(E)의 방향으로의 출력 샤프트(51, 56) 각각의 회전은 이 예에서는 시계 회전방향인, 화살표(J)로 표시된 동일한 방향으로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바퀴(27A)가 서브 시스템(31A, 31B)의 로커 암(60)의 제1 단부(61)의 대응하는 페달(61A)과 반복적으로 부딪혀서 셔틀(25)이 양방향 화살표 라인(A)으로 표시된 양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그것들이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고, 이는 그것들의 드라이브 스트로크와 리셋 스트로크를 따라서, 그것들의 쉬고 있는 위치와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그리고 그것들의 작동중인 위치로부터 다시 그것들의 쉬고 있는 위치로 로커 암(60)을 피봇 가능하게 작동시키며, 파워 전달 조립체(40)는 반복적으로 작동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여전히 서로에 대해 일제히 작용하여, 화살표(E)의 방향으로 출력 샤프트(51, 56) 각각의 동시 회전을 재촉하고, 이는 또한 화살표(J)의 방향으로 메인 출력 샤프트(34)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한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성질과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변경예와 수정예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예시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골라진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는 당업자라면 바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한 수정예와 변화예가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그것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고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을 충분히 명확하고 간결한 용어들로 설명하였다.

Claims (26)

  1. 파워 발생 장치로서,
    상기 파워 발생 장치는 로커 암, 풀리 장치, 및 트랜스미션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 암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며,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1 단부의 왕복 운동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을 재촉하고,
    상기 풀리 장치는 상기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를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하고,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왕복 회전을 재촉하며,
    상기 트랜스미션은 상기 드라이브 부재와 출력 샤프트 사이에서 상호 작용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왕복 회전은 일 방향으로의 상기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재촉하는, 파워 발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아진 위치까지 움직일 때,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상기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상기 제 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의 상기 로커 암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로커 암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장치는 상기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입력에 연결된 출력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하는, 파워 발생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인, 파워 발생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워 발생 장치.
  7. 파워 발생 장치로서,
    상기 파워 발생 장치는 로커 암, 드라이브 기어, 및 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 암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며,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1 단부의 왕복 운동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을 재촉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는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드라이브 부재는 그것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드라이버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며,
    상기 풀리 장치는 상기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하고,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왕복 회전을 재촉하는, 파워 발생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아진 위치까지 움직일 때,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상기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상기 제 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의 상기 로커 암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로커 암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장치는 상기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 연결된 출력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하는, 파워 발생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인, 파워 발생 장치.
  12. 파워 발생 장치로서,
    상기 파워 발생 장치는 로커 암,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 구동된 기어, 드라이브 부재와, 메싱 맞물림(meshing engagement) 상태로 상기 구동된 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드라이브 기어, 및 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 암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며,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1 단부의 왕복 운동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을 재촉하고,
    상기 드라이브 부재는 그것이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드라이버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며,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은 구동된 기어의 회전을 재촉하고, 상기 구동된 기어의 회전은 한 방향으로의 상기 출력 샤프트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하며,
    상기 풀리 장치는 상기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하고,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왕복 회전을 재촉하는, 파워 발생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아진 위치까지 움직일 때,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상기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상기 제 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의 상기 로커 암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로커 암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장치는 상기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 연결된 출력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하는, 파워 발생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인, 파워 발생 장치.
  17. 파워 발생 장치로서,
    상기 파워 발생 장치는 출력 샤프트, 적어도 하나의 레일에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셔틀, 파워 전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전달 조립체는 각각 셔틀 작동된 로커 암, 풀리 장치, 및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며,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의 피봇 작동을 위해 장착되며,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1 단부의 왕복 운동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을 재촉하고,
    상기 풀리 장치는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를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하고,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왕복 회전을 재촉하며,
    상기 트랜스미션은 상기 드라이브 부재와 상기 출력 샤프트 사이에서 상호 작용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왕복 회전은 한 방향으로의 상기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재촉하고, 상기 셔틀의 왕복 운동은 상기 제1 단부에서의 상기 로커 암의 순차적인 피봇 작동을 재촉하는, 파워 발생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아진 위치까지 움직일 때,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상기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상기 제 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의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장치는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 연결된 출력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하는, 파워 발생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인, 파워 발생 장치.
  22. 파워 발생 장치로서,
    상기 파워 발생 장치는 출력 샤프트, 적어도 하나의 레일에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셔틀, 파워 전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전달 조립체는 각각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피봇 작동을 위해 장착되는 셔틀 작동된 로커 암,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 구동된 기어, 드라이버 부재에 결합되고 메싱 맞물림 상태로 상기 구동된 기어에 결합된 드라이브 기어, 및 풀리 장치를 포함하고,
    높아진 위치와 낮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1 단부의 왕복 운동은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을 재촉하고,
    상기 드라이브 부재는 그것이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드라이버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며,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은 구동된 기어의 회전을 재촉하고, 상기 구동된 기어의 회전은 한 방향으로의 상기 출력 샤프트의 대응하는 회전을 재촉하며,
    상기 풀리 장치는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 결합하고, 낮아진 위치와 높아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상기 제2 단부의 왕복 운동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왕복 회전을 재촉하며,
    상기 셔틀의 왕복 운동은 제1 단부에서의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순차적인 피봇 작동을 재촉하는, 파워 발생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제2 단부가 그것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아진 위치까지 움직일 때, 상기 드라이브 부재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낮아진 위치와 상기 제2 단부의 높아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단부의 높아진 위치와 상기 제 2 단부의 낮아진 위치로의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파워 발생 장치.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장치는 상기 셔틀 작동된 로커 암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내부 단부와, 상기 드라이브 부재에 연결된 출력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요소를 지지하는 풀리들을 포함하는, 파워 발생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요소는 케이블인, 파워 발생 장치.
KR1020187003944A 2015-07-08 2016-06-25 파워 발생 장치 및 방법들 KR20180030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94,464 2015-07-08
US14/794,464 US9784250B2 (en) 2015-07-08 2015-07-08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s
PCT/IB2016/001011 WO2017006180A1 (en) 2015-07-08 2016-06-25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608A true KR20180030608A (ko) 2018-03-23

Family

ID=5768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944A KR20180030608A (ko) 2015-07-08 2016-06-25 파워 발생 장치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784250B2 (ko)
EP (1) EP3320231A4 (ko)
KR (1) KR20180030608A (ko)
CN (1) CN107923503A (ko)
BR (1) BR112017028560A2 (ko)
MX (1) MX2017017020A (ko)
RU (1) RU2018104794A (ko)
WO (1) WO2017006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4250B2 (en) * 2015-07-08 2017-10-10 Issa Saad Al Tamsheh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s
CN110422191A (zh) * 2019-08-14 2019-11-08 王加进 一种振动能量转换装置及运用该转换装置的转向架
CN113464621B (zh) * 2021-06-30 2023-07-07 麦拉苏 一种基于滑轮组的动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9361A (en) 1964-11-06 1966-07-05 Cantu Antonio Cesar Ocean wave energy generator
US4418542A (en) * 1981-02-04 1983-12-06 Ferrell Robert D Vehicular thoroughfares for power generation
US4452045A (en) * 1981-04-23 1984-06-05 Trisolar Corp. Smoothing electrical energy output with mechanical accumulator
US6376925B1 (en) * 1998-10-05 2002-04-23 Thomas P. Galich Force stand for electrical energy producing platform
US6767161B1 (en) 2001-12-05 2004-07-27 Calvo Rafael A Highway electric power generator
CA2446783C (en) 2003-10-27 2006-02-21 Alain Painchaud Bridge converting movement into electrical energy
US20070013244A1 (en) * 2005-07-12 2007-01-18 Kinkaid Christopher P Friction drive electrical power converter apparatus and process
US20070278800A1 (en) * 2006-06-02 2007-12-06 Galich Thomas P Linear generator
US7371030B2 (en) 2006-09-13 2008-05-13 Hickman Burleigh D Flexible road surfaces
MX2009003077A (es) 2006-09-20 2009-04-16 Innovative Patents Ltd Convertidor de electricidad por circulacion vehicular incorporado dentro de un tope vial.
US7530761B2 (en) 2007-03-16 2009-05-12 Terry Douglas Kenney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utilizing vehicle traffic on roadways
GB2457342B (en) * 2008-02-15 2013-02-13 Power Ramp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for converting kinetic energy
US7687931B2 (en) 2008-03-13 2010-03-30 Gasendo Leonardo M Wave energy megawatts harvester
BRPI0806126A2 (pt) 2008-11-03 2010-09-21 Carlos Gomes Barca processo de produção de energia elétrica por aproveitamento do movimento de veìculos
US7714456B1 (en) 2008-12-02 2010-05-11 Daya Arvind A Road vehicle actuated energy device
WO2010088306A1 (en) 2009-01-27 2010-08-05 Kinetic Energy Corporation Transient absorber for power generation system
US8258034B2 (en) * 2009-08-26 2012-09-04 Micron Technology, Inc. Charge-trap based memory
CN102374143A (zh) * 2010-08-05 2012-03-14 吕英华 路电
US8334603B2 (en) * 2010-08-18 2012-12-18 Daya Arvind A Railway actuated energy generating device
WO2012030315A1 (en) * 2010-09-01 2012-03-08 Daya Arvind A Railway actuated energy generating device
CN201947113U (zh) * 2010-11-15 2011-08-24 梁凤杰 列车运行振动发电装置
US20140145451A1 (en) * 2012-04-29 2014-05-29 Bruce W. Burnaugh Counterweight powered gravity electrical generation
CN202612528U (zh) * 2012-05-14 2012-12-19 浙江工业大学 直线往复运动转化为旋转运动的传动装置
WO2014056087A1 (en) * 2012-10-12 2014-04-17 Tektrap Systems Inc. Energy harvesting device for portable shipping containers
AR098117A1 (es) * 2014-10-20 2016-05-04 Díaz Hugo Roberto Mecanismo recolector de energía cinética para generar energía eléctrica mediante tránsito vehicular por medio de un eje principal unido al volante
US9784250B2 (en) * 2015-07-08 2017-10-10 Issa Saad Al Tamsheh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0231A1 (en) 2018-05-16
US10184458B2 (en) 2019-01-22
RU2018104794A (ru) 2019-08-08
US9784250B2 (en) 2017-10-10
WO2017006180A1 (en) 2017-01-12
MX2017017020A (es) 2018-08-15
BR112017028560A2 (pt) 2019-09-24
EP3320231A4 (en) 2019-08-14
US20170009752A1 (en) 2017-01-12
CN107923503A (zh) 2018-04-17
US20170328355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0608A (ko) 파워 발생 장치 및 방법들
US8220814B1 (en) Bicycle propelled by stepping motion
US20140206507A1 (en) Adjustable exercise machine
TW201136719A (en) A float-press type impact unit of electric nail gun
US20150375030A1 (en) Elliptical trainer
JPWO2014156470A1 (ja) 打込機
US3492881A (en) Prime mover
US9803948B2 (en) Trigger emulation mechanism of electric gun
US3045740A (en) Wire bending machine
KR101237012B1 (ko) 자전거용 가변형 크랭크암
JP6661553B2 (ja) サイクリング補助装置
US776174A (en) Reciprocating mechanical movement.
KR200438368Y1 (ko) 자전거 또는 기타 기계에 사용되는 인력구동장치
US2475398A (en) Mechanical hammer
US447331A (en) Tricycle
CN203574490U (zh) 四杆机构动力机
CN203819450U (zh) 新型人力车脚踏动力装置
JP4870852B1 (ja) 変形菱形構造体を用いた駆動力伝達装置
US227515A (en) french
JP2023130114A (ja) フリーハブ内臓ペダル桿
US217858A (en) Improvement in devices for converting motion
CN203332703U (zh) 脚踏式主销手柄
US416272A (en) Nailing-machine for boots or shoes
US914926A (en) Mechanical motor.
JP3205521U (ja) 異常停止解除装置、及びグラビティコンベ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