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402A - Foldable Pipe - Google Patents

Foldable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402A
KR20180030402A KR1020180027475A KR20180027475A KR20180030402A KR 20180030402 A KR20180030402 A KR 20180030402A KR 1020180027475 A KR1020180027475 A KR 1020180027475A KR 20180027475 A KR20180027475 A KR 20180027475A KR 20180030402 A KR20180030402 A KR 20180030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utton
bracket
base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6637B1 (en
Inventor
쟈레이
Original Assignee
천진실버스타금속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진실버스타금속유한회사 filed Critical 천진실버스타금속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3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dable pip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expandable pipes (1, 2) and a locking device (3). The locking device (3) includes a button (4), a bracket (5), and a base (7). The base (7) protrud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rough a mounting groove (20a) formed on an expanded pipe (20) of one end of the second expandable pipe (2); the bracket (5) is closely fitted and fixated in a protruding part of the base (7); and the button (4) covers the entire top of the bracket (5) and, at the same time, vertically moves on the top of the bracket (5), and is coupled to the bracket (5) through a button lock (4b) formed on the button. Accordingly, a user locks and unlocks the first expandable pipe in and from the second expandable pipe by only one action to hold or release the locking device, and holds the expandable pipe with a palm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of the expandable pip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nhancing easiness and convenience in use. Moreover, a function of a twisting prevention device is realized by suitably combining and using an existing structure of a locking protrusion, thus realizing a twisted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without increasing a processing method, thereby being able to effectively enhance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efficiency.

Description

신축대{Foldable Pipe}Foldable Pipe

본 발명은 일종의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종의 신축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ype of connecting r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ype of elastic rod.

현재, 신축대의 종류는 여러 가지이고, 또한, 신축대의 신장, 축소 잠금장치의 구조도 각기 다르며, 기 잠금장치는 다종다양한 형식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부분 사용 시, 잠금장치 조작이 불편하다.At present, there are various types of new and used shafts, and the structure of the extension and retraction locks of the new and different shafts is also different, and various types of the key lock devices are provided.

도 1 및 도 2는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신축대 사시도이다. Figures 1 and 2 are stretch versus perspective views currently in common use.

도 1은 청소기 상에 사용되는 슬리브식 신축대이다. 이러한 신축대는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의 손바닥이 제2 신축대(2) 상의 슬리브를 잡아 쥠과 동시에, 손바닥 일부분은 제2 신축대(2)의 외표면을 잡아 쥐어 지탱하고, 다음 슬리브를 잡아 쥔 손바닥이 제2 신축대(2)의 외표면을 잡아 쥔 손바닥부분을 지지점으로 앞으로 슬리브를 밀거나 혹은 뒤로 슬리브를 잡아당기면서 잠금장치(3)의 잠금 해제 즉,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부에서의 이동가능한 상태를 실현한다. 이때, 다른 한 손은 제1 신축대(1)를 잡아 쥐고 외부로 잡아당기거나, 내부로 삽입하는 동작으로 신축대의 신축을 실현하는데, 이러한 신축대의 잠금장치(3)는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일종의 잡아 쥠과 당기는 두 가지 힘을 동시에 부가하도록 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는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사용자의 손바닥에 피로감을 가져다주고, 따라서, 사용 상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가져다준다.1 is a sleeve type stretchable shoe used on a vacuum cleaner. Such a stretchable shaft allows the user to grasp the sleeve on the second stretchable support 2 while the palm of one hand grips the sleev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retchable support 2 while holding a portion of the palm of the second stretchable shaft 2 holding the next sleeve When the palm rests on the palm hol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retchable shaft 2 by pushing the sleeve forward or by pulling the sleeve backward, the locking device 3 is unlocked, that is, Thereby realizing a movable state inside the second telescopic table 2. At this time, the other hand grasps the first stretchable shaft (1) and pulls it outward or inserts it into the inside, thereby realiz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tretchable shaft. The locking device (3)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both force and pulling force are added at the same time, which, when viewed from the ergonomic point of view, causes fatigue in the palm of the user and, therefore, is uncomfortable to the user.

도 2는 다른 일종의 버튼식 신축대이고, 이러한 신축대는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 잠금장치를 잡아 쥠과 동시에, 엄지손가락으로 버튼을 밀거나 당겨서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즉,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를 실현하여야 한다. 이때, 다른 한 손은 제1 신축대(1)를 잡아 쥐고 외부로 잡아당기거나, 내부로 삽입하는 동작으로 신축대의 신축을 실현하는데, 이러한 신축대의 잠금장치(3)는 사용자에 있어서, 슬리브식 신축대처럼 사용자의 한손으로 하여금 동시에 잡아 쥐는 힘과 미는 힘 두 가지 힘이 동시에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인체공학의 측면에서 고려하면,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가져다주고 따라서, 사용 상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가져다준다.Fig. 2 shows another type of button and telescopic band. Such a telescopic band allows the user to hold the lock device with one hand while simultaneously pushing or pulling the button with the thumb to unlock the lock device, that is, Should be able to move within the second telescopic table (2). At this time, the other hand grasps the first telescopic table (1), and pulls it out or inserts it into the inside, thereby realiz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elescopic table. The locking device (3) Similarly, as in the case of a telescopic hand, the force and the pushing force that are simultaneously held by the user's hand must be applied simultaneously. Thus, in consideration of the ergonomics, the user may feel fatigued, .

또한, 청소기 상에 사용되는 신축대는 일종의 기류를 유통하는 도관이고, 따라서, 신축 과정 중에 제1 신축대(1)와 제2 신축대(2) 간의 기밀성을 보장하여야 하며, 청소기의 고진공 흡입력이 도관 이외의 기타 부분에서 누설되어, 전체 흡진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retchable shafts (1) and (2)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and the high vacuum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Leakage from other parts should be avoided so as not to deteriorate the total exhaust efficiency.

그러나, 이따금 종래의 신축대는 사용자가 신축대를 길게 빼거나 짧게 축소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잠금장치를 잡아 쥠과 동시에 또한 의외의 잠금해제력 즉, 슬리브에 대해 밀거나 당기는 힘 또는 밀기 버튼에 대한 엄지손가락의 밀거나 당기는 힘, 다시 말해 이와 같이 잡아 쥐는 힘과 밀거나 당기는 힘과 같은 서로 다른 힘의 혼합력에 다른 한 손의 제1 신축대(1)를 잡아당기거나 혹은 삽입하는 반작용력을 가하면 제1 신축대(1)와 제2 신축대(2) 간에 비틀림력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사용자가 제2 신축대를 잡고 사용하는 과정 중에도 사용자의 신축대에 투입되는 힘의 작용에 의하여 제2 신축대(2)와 제1 신축대(1) 사이에도 비틀림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틀림력을 억제하지 않으면, 잠금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되고, 또한, 청소기 상에 사용되는 신축관일 경우, 쉽게 제1 신축대(1)와 제2 신축대(2) 간의 기밀성, 즉 기류의 밀폐성을 훼손하게 되고, 청소기 진공모터의 진공형성 능력은 기밀성이 좋지 않은 원인으로 헛되이 낭비되고, 최종적으로는 청소기 흡진효율의 하강을 초래하게 된다.However, occasionally, when the user retracts or retracts the new or retracted shaft in a short time, the conventional stretchable and contractile force, as well as the unlocking force, that is, the pushing or pulling force against the sleeve, The pulling or pulling force of the thumb against the push button, that is, the pulling force or the pushing force of the other hand, A twisting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retchable shafts 1 and 2. When a user holds the second stretchable shafts and uses the force to apply force to the user's stretching shafts A twisting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stretchable shaft 2 and the first stretchable shaft 1, and if the twisting force is not suppresse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first stretchable band 1 and the second stretchable band 2, that is, the airtightness of the airflow, can be easily undermined and the vacuum forming ability of the vacuum cleaner vacuum motor Is wasted as a cause of poor airtightness, and finally, the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is lowered.

도 3과 같이 통상적인 슬리브식 신축대이든 밀기 버튼식 신축대이든 제1 신축대(1)에서 잠금면(10)과 맞닿음되는 상대면 상에 원래의 잠금면을 형성하는 기초 상태에서, 또 하나의 비틀림 방지홈(30)을 더 형성하는데, 이러한 비틀림 방지홈(30)은 잠금장치 중에 설치된 돌기와 결합되어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내에서의 비틀림 회전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로 설치된 비틀림회전 방지장치는 전반 신축대의 구조로 인하여 복잡해지고, 따라서 제1 신축대(1)의 가공공법 중에 방지홈을 가공하는 하나의 공법이 더 추가되어, 작업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가공성이 저하되고, 생산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청소기 중에 사용되는 신축대가 신축파이프인 상황에서는, 심지어 별도로 설치된 비틀림 방지장치측 즉, 방지홈(30)과 돌기의 결합부위에서 누설의 발생을 초래한다.As shown in Fig. 3, in a basic state in which the original locking surface is formed on the mating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surface 10 in the first stretchable member 1, such as a conventional sleeve type stretching shoe or push button type stretching shoe, This torsion preventing groove 30 is combined with the protrusion provided in the locking device to prevent the first extension shaft 1 from torsional rotation in the second extension shaft 2 Respectively. However, the twist rotation prevention device thus installed is complicat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full extension and contraction band. Therefore, one method of processing the prevention groove in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first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band 1 is further added, The workability is lower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lowered.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extensible roll used in the vacuum cleaner is a stretch pipe, leakage occurs even at the separately installed anti-twist device side, that is, the joining area of the prevention groove 30 and the protrusion.

또한, 잠금장치(3)에 별도로 제1 신축대 비틀림 방지홈(30)과 대응되는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잠금장치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잠금장치의 체적이 커짐과 동시에, 긴밀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쾌적감이 떨어지게 되고,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조를 개선함에 있어서 또한 신축대 잠금장치의 동작이 둔해져 쉽게 실패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Further, by provid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ongate and torsion preventing grooves 30 separately in the locking device 3, the space of the locking device is occupied, so that the volume of the locking device is increased, The comfort of the user is deteriorated, and problems arise in improving the structure to reduce the volume, and also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telescopic locking device becomes dull and can be easily fail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상된 것이며, 사용자가 사용 중에 느끼는 불쾌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신축대를 제공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new or extensible seat for eliminating the uncomfortable feeling that the user feels during use.

또한 본 발명은 더욱 간단한 구조로 비틀림 회전방지를 실현하고자 하는 일종의 신축대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ype of stretchable shaft which is designed to realize a twist rotation prevention with a simpler structure.

본 발명은 동작이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한 일종의 신축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nd of stretch shoe which is more stable in operation and smooth.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신축대, 제2 신축대 및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제1 신축대는 제2 신축대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신축대의 일단에 잠금장치가 장착되는 일종의 신축대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버튼, 브라켓 및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상기 제2 신축대 일단의 확관 상에 형성된 장착홈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돌출된 부분과 긴밀하게 끼움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브라켓 상단 전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 상단에서 전체로 상하이동하며, 상기 버튼상의 버튼걸이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일종의 신축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elastic member, a second elastic member, and a locking device,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Wherein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 button, a bracket and a base, and the base is protruded outward from an inside to the outside through a mounting groove formed on an enlarged tube of the end of the second stretchable shaft, The button is tightly fitted and fix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ase, the button covers the entire upper end of the bracket, moves up and down entirely from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and is engaged with the bracket through the button hook on the button It provides a kind of stretch.

또한, 상기 제1 신축대 본체 표면의 임의의 일단 원주는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수평인 잠금면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면 중간은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되어 복수개의 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돌기는 4 개 측면과 하나의 수평 윗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기 잠금면 상에는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잠금돌기와 인접하여 안내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대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y one end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retchable shaft main body surface forms a horizontal locking surface along the central axial line direction, and the middle of the locking surface protrudes up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entral axial direction,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o be surrounded by four side surfaces and a single horizontal upper surface, and a guide surface is formed on the locking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al line, adjacent to the locking protrus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바닥의 잡아 쥠을 통하여 신축대에 대한 잠금장치의 잠금해제를 실현함으로써, 사용자 사용 중의 쾌적감과 편리성을 제고하였고, 또한, 본 발명의 신축대는 종래기술 중에 이미 존재하는 잠금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잠금면을 원주 반경방향으로 약간 확장하여 안내면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잠금돌기 자체의 기존 구조를 적절히 결합 이용하여 종래기술 상에서 잠금면 이외에 잠금면과 맞닿는 상대측에 별도로 비틀림 회전방지홈을 설치함으로써 실현되는 비틀림회전 방지기능을 실현하여, 가공공법을 증가하지 않고도, 비틀림회전 방지기능을 실현하였고, 따라서, 효과적으로 생산 가공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부품간의 적절한 연접 조립관계에 의하여, 신축대 동작과정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고, 동작과정 중에 발생되는 추가 소음을 절감하였으며, 따라서, 사용자 사용과정 중의 쾌적감을 일층 제고하였으며, 또한, 조립강도를 보장함과 동시에, 구조를 최대한 간단화하고, 원가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e un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stretching shafts through the grip of the palm, thereby enhancing the comfort and convenience during the use of the user. Further, The locking surface provid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is slightly exte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ce to form the guide surface. Next,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locking protrusion itself, The torsional rotation preventing function realized by providing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is realized and the torsional rotation preventing function is realized without increasing the machining method. Therefore, the production processing efficiency can be effectively improv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proper connection and assembly 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process is smoothly and stably performed, and the additional nois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is reduced. Therefo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ssure the assembly strength, simplify the structure as much as possible, and reduce the cost as much as possible.

도 1은 통상적인 슬리브식 신축대의 사시도.
도 2는 통상적인 밀고 당기기 버튼식 신축대의 사시도.
도 3은 통상적인 신축대의 제1 신축대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지식 신축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지식 신축대 잠금장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지식 신축대 각 구성부품의 연접관계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신축대 잠금 상태에서의 각 구성부품의 연접관계를 도시한 축방향 부분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신축대 잠금해제 상태에서의 각 구성부품의 연접관계를 도시한 축방향 부분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신축대의 제1 신축대 사시도.
도 9는 잠금장치 중의 베이스와 제1 신축대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은 지지체와 제1 신축대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A부 절단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leeve type stretchable sho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ush and pull button type telescopic platform;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first telescopic band of a conventional telescopic b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illette telescopic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ynerg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elongation member and the component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A is an axial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ynchronicity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in the telescopic lock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B is an axial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 tional relationship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stretchable unlock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of a first stretching shaft of the inventive extensible table.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base and the first stretchable member in the locking device. Fig.
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are engaged.
1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식 신축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식 신축대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지식 신축대 각 구성부품의 연접관계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대 잠금 상태에서의 각 구성부품의 연접관계를 도시한 축방향 부분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대 잠금해제 상태에서의 각 구성부품 연접관계를 도시한 축방향 부분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대의 제1 신축대 사시도. 도 9는 잠금장치 중의 베이스와 제1 신축대 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은 지지체의 제1 신축대 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A부 절단면 사시도.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illette telescopic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elastic ban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ynergistic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of the elongation of the wave brea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n axial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 tion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in a telescopic lock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n axial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each component associating relationship in a stretchable unlock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of a first telescopic pole of a telescopic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incorporating the base and the first stretchable shaft in the locking device. Fig. 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mixed with the first stretchable shaft. 1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축대는 제1 신축대(1),제2 신축대(2) 및 잠금장치(3)을 포함하고, 그중에서 제1 신축대(1)는 제2 신축대(2)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잠금장치(3)는 제2 신축대(2)의 일단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telescopic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lescopic band 1, a second telescopic band 2, and a locking device 3, And the lock device 3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stretchable shaft 2.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파지식 신축대 잠금장치 분해사시도와 각 구성부품의 연접관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신축대의 제2 신축대(2) 일단에는 확관(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확관(20) 상에는 장착홈(20a)이 개설되어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7)의 일부분(아래에 돌출부로 약칭함)이 장착홈(20a)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5)과 결합되어 고정되고, 그외,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체(9)의 걸이(9b)는 이 장착홈(20a)의 일단에 결합됨으로써, 지지체(9) 전후의 이동과 좌우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러한 간단한 결합구조를 통하여 지지체(9)가 제2 신축대(2)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 회전하지 못하게 제한함으로써, 지지체(9)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신축대(1)의 제2 신축대(2)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 회전하지 못하게 제한하는 것도 보장할 수 있다.FIGS.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fastening device for locking and retracting the fas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of each component in a synchronic relationship. As shown in the drawing, an expansion pipe 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ated shaf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groove 20a is formed on the expanded pipe 20, (Hereinafter abbreviated as a projectin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7 is projec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to the mounting groove 20a and fixedly engaged with the bracket 5 to be described below, Is fix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groove 20a,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ody 9 and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ody 9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restricting the support 9 from being pivotally moved relatively to the second stretchable shaft 2 through such a simple engagemen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first stretchable shaft 1 It is also possible to securely restric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telescopic table 2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대의 잠금장치(3)는 버튼(4), 브라켓(5) 및 베이스(7)를 포함하고, 그중 버튼(4)은 버튼걸이(4b)를 통하여 브라켓(5)의 윗면에 장착되고, 동시에 전반 윗면을 덮으며, 버튼(4)은 브라켓(5)의 안정적인 안내 작용 하에 위로부터 아래로의 수직운동을 하며; 버튼(4)은 누름판(4a)과 누름판(4a)의 모서리로부터 하향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체를 포함하고, 그중, 누름판(4a)의 외부 윤곽형상은 한 쌍의 상호 대칭선이 교차되어 형성된 밀폐선이 되고, 신축대 중심 축선방향 상의 상호 대칭선의 길이는 신축대 원주 반경방향 상의 상호 대칭선의 길이보다 훨씬 크고,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4)을 조작하여, 버튼이 위로부터 아래로 수직운동을 하게 하는 과정 중, 사용자는 충분하게 손바닥을 이용하여 버튼(4)에 대하여 조작을 진행하게 되고, 동시에, 손바닥의 파지 동작 외에 다른 기타 동작이 필요 없게 되므로, 충분히 사용 편리성을 느끼게 되고, 사용자의 사용 쾌적감을 제고할수 있다.The locking devic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4, a bracket 5 and a base 7 among which a button 4 is fixed to the bracket 5 via a button hook 4b. The button 4 is vertically mov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under the stable guiding action of the bracket 5; The button 4 includes an extension formed by vertically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corners of the pressure plate 4a and the pressure plate 4a. The outer contour shape of the pressure plate 4a is formed by a pair of mutually symmetric lines And the length of the mutually symmetric line on the stretching shafts in the center axial direction is much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mutually symmetrical lines in the stretching shafts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4 to make the button vertically move from top to bottom The user can use the palm of his / her hand to perform the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button 4, and at the same time, it is unnecessary to perform any other operation other than the palm gripping operation, Comfort can be improved.

또한, 상술한 연장체의 양측이 하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전후측이 연장체보다 길고, 양측 연장체 상에는 버튼걸이(4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걸이(4b)는 연장체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안내부와 안내부 말단에 형성된 걸이부로 구성되고, 안내부는 버튼(4)이 위로부터 아래로 수직 상하 이동과정 중, 버튼(4)으로 하여금 편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버튼(4)의 동작 안정성을 보장한다.The button hanger 4b is formed on both side extensions. The button hanger 4b has a guide portion formed of a part of the extension body, And the guide portion prevents the button 4 from being eccentric during the vertical up-and-down movement of the button 4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us ensuring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button 4 .

또한, 상기 버튼걸이(4b)는 상기 양측 연장체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고, 버튼걸이(4b) 양쪽에는 버튼걸이(4b)에 탄성변형력을 부여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각기 절개홈 간격으로 형성된 버튼걸이(4b) 양쪽의 연장체도 안내리브(4d)를 구성하고, 상기 안내리브(4d)는 브라켓(5) 상에 형성된 관통공 중에 삽입되어 버튼(4)의 상하운동을 지지하고 안내한다.The button hook 4b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oth side extensions. Both sides of the button hook 4b are formed with a cutout groove for imparting an elastic deformation force to the button hook 4b. The extension of both of the formed button hanger 4b constitutes the guide rib 4d and the guide rib 4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bracket 5 to support and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4 .

한편, 상기 버튼(4) 전후측에 형성된 연장체가 구성된 안내리브(4d)는 버튼(4)의 강도를 강화함과 동시에, 또한 걸이부의 안내부와 서로 결합되어, 버튼(4)의 동작이 더욱더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ribs 4d constituted by the extension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utton 4 strengthen the strength of the button 4 and are engaged with the guide portion of the hook por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button 4 becomes more stable And smoothly.

본 발명에 따른 신축대 잠금장치의 버튼 누름판(4a)의 한 쌍의 상호 대칭인 선은 각기 신축대 중심 축선방향으로의 직선과 신축대 원주 반경방향으로의 원호선이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직선과 원호선 또는 모두 직선 또는 모두 원호선인 경우도 가능하다.A pair of mutually symmetrical lines of the button press plate 4a of the telescopic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elongation axis to the center axis and a straight lin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ongating shaf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traight line and a circular line, or both straight lines or both circular lines.

또한, 상기 버튼(4)과 상기 브라켓(5)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바, 탄성부재는 버튼(4)을 지탱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버튼(4)을 해방할 때, 버튼(4)이 시작위치로 회복되도록 하고, 버튼(4)은 시작점과 압축점 사이에서 위로부터 아래로 수직 상하이동한다.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button 4 and the bracket 5 so that the elastic member supports the button 4. When the user releases the button 4, The button 4 is moved vertically up and down from the top to the bottom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compression point.

한편, 누름판(4a) 저부에는 복수개의 구동기둥(4c)이 수직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구동기둥(4c)의 말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은 원호형 경사면이다. 따라서, 잠금슬라이더(6) 상에 설치된 원호형 구동경사면(6a)과 서로 결합되어, 잠금슬라이더(6)의 수평 방향 상에서의 좌우이동을 구동한다.On the other hand, at the bottom of the pressure plate 4a, a plurality of driving columns 4c extend vertically downwar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driving column 4c, and an inclined surface is an arc-shaped inclined surface. Therefore, the locking slider 6 is engaged with the arcuate driving sloping surface 6a provided on the lock slider 6 to drive the lock slider 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원호형 경사면 경사각도는 30도 내지 45도이다.The arcuate inclined surface inclination angle is from 30 degrees to 45 degrees.

상기 브라켓(5) 상단은 개방식 구조이고, 상기 버튼(4)을 장착할 수 있으며, 브라켓(5)은 각기 내부로 경사진 전후 경사면과 좌우 수직면 4 개면이 둘러싸여져 구성되고, 그중 좌우 수직면은 버튼(4) 양측의 수직 연장체의 외부윤곽과 서로 일치한다. 즉, 버튼(4) 양측 수직 연장체가 원호형상이면, 대응되는 브라켓의 좌우 수직면도 원호형상이다.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5 has an open structure and the button 4 can be mounted. The bracket 5 has four inclined front and rear inclined surfaces inclined to the inside thereof, and four vertical surfaces thereof are surrounded. (4) coincides with the outer contour of the vertical extensions on both sides. In other words, if the vertical extensions on both sides of the button 4 are arcuate,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rfaces of the corresponding bracket are also arc-shaped.

상기 브라켓(5)은 윗단으로부터 하향 일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대 상에는 버튼 구동기둥(4c)이 통과하는 구동공(5a)이 설치되고, 본 발명의 기재 내용 중에서는 지지대 중심을 기준으로 각기 전후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4 개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동작의 안정성과 원활성을 달성한다는 전제하에서는 당연히 대칭 설치를 선택해야 하고, 가공 및 조립 등 각 방면으로 고려할 때, 위와 같이 전후좌우로 대칭되게 4 개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bracket (5) is provided with a support bas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drive hole 5a through which the button drive column 4c passes is provided on the support base. The support base 5a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b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four,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ymmetrical installation should be sele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operation stability and the original activity are achieved, and when considering the machining and assembly, the four symmetrical .

그외, 지지대와 좌우 수직면 간에는 공극(5b)이 형성되고, 상기 공극(5b)의 일부분은 버튼걸이(4b)의 좌우 양측의 안내리브(4d)가 삽입되는 관통홈을 구성하고, 공극(5b)의 다른 일부분은 버튼걸이(4b)가 삽입되는 걸이공을 구성하고, 지지대의 상기 걸이공을 맞대는 부분에는 버튼걸이(4b)를 걸어주는 걸이돌기(5e)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gap 5b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base and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rfaces, and a part of the gap 5b constitutes a through groove into which the guide ribs 4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tton hook 4b are inserted, And a protrusion 5e for hooking the button hook 4b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which faces the hook hole.

또한, 지지대 상에는 또 버튼 탄성부재 장착부(5c)가 형성되어 있어, 버튼(4) 의 탄성부재가 버튼(4)의 구동기둥(4c)의 동작에 대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보장하고, 따라서, 버튼(4)의 안정적이고 조용한 구동동작을 실현한다.The button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5c is formed on the support so as to ensure that the elastic member of the button 4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drive pillar 4c of the button 4, 4) can be stably and quietly driven.

한편, 브라켓(5)의 전후 경사면 내측에는 결합걸이(5d)가 설치되어 있고, 브라켓(5)은 결합걸이(5d)를 통하여, 아래에 서술될 베이스(7)의 전후 양측면에 설치된 걸이홈(7b)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걸이(5d)와 걸이홈(7b)은 전후 대칭이며, 좌우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대칭되게 2 내지 3 쌍으로 설치됨이 최적이고,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장착의 강도를 보장함과 동시에, 장착의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bracket 5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inclined surfaces of the bracket 5, and the bracket 5 is fixed to the bracket 5 through hooking grooves 5d provid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ase 7, 7b. The coupling hook 5d and the hooking groove 7b are symmetrical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re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symmetrically provided in two to three pairs so as to optimize the mounting strength, Can be ensured.

이렇게, 상기 브라켓(5)과 베이스(7)가 결합하여, 그 내부에 버튼 구동기둥(4c)이 상하 이동하는 구동공간을 형성한다.In this way, the bracket 5 and the base 7 are engaged to form a driving space in which the button driving column 4c moves up and down.

한편, 베이스(7) 상에는 제동돌기(7a)가 설치되어 있고, 제동돌기(7a)는 베이스(7)의 저면에서 일단이 제1 신축대(1)와 결합하여,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에서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에서의 비틀림 회전방지의 기능을 실현한다. 아래,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7)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일부분은 제2 신축대(2) 일단의 확관(20) 상에 형성된 장착홈(20a)에서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 신축대(2) 상에 설치된다. 이때, 베이스(7)의 하단 전후 대칭되게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날개(7g)는 제2 신축대(2) 확관(20)의 내측벽에 긴밀히 들어맞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 상에 형성된 걸이홈(7b)과 브라켓(5) 상에 형성된 결합걸이(5d)와의 고정을 통하여, 전체 잠금장치(3)가 긴밀히 들어맞게 되고, 또한, 제2 신축대(2) 상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그중, 상기 걸이홈(7b)은 상기 돌출부 상에서 전후로 대칭되게 길게 한 쌍으로 형성됨이 최적이다.On the other hand, a braking projection 7a is provided on the base 7, and one end of the braking projection 7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7 is engaged with the first stretchable shaft 1, And the first elongate shaft 1 realizes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twisting rotation in the second elongate shaft 2, while guiding the movement in the second elonga- tion shaft 2.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The base 7 is partly projected from the inside in the mounting groove 20a formed on the enlarged tube 20 at the end of the second stretchable shaft 2 and is installed on the second stretchable shaft 2 . At this time, a pair of support vanes 7g formed symmetrically long before and after the lower end of the base 7 are closely fit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20. The entire locking device 3 is tightly fitted through the locking grooves 7b formed on the projections and the engaging hooks 5d formed on the brackets 5 so as to fit tightly and the second extending shafts 2 As shown in Fig.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hooking grooves (7b)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 the protrusions.

한편, 상기 돌출부의 윗면은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하나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오목홈의 중간위치에는 상하 관통된 작동홈(7f)이 설치되어 있고, 작동홈(7f)의 전후 양단에는 각기 V자형의 지지홈(7e)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래 설명될 제동블록(8) 양단의 V자형의 지지축(8c)을 지지한다. 따라서, 제동블록(8)에 대하여 지지작용을 함과 동시에, 정확하게 제동블록의 상하이동 행정을 확정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V자형의 구조는 기타 형상에 비하여, 경사면에 작용력을 가할 때, 원래 상태의 유지를 강화하는 작용 즉, 잠금상태의 유지를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오목홈 중간에는 길이방향으로 일단으로부터 작동홈(7f)까지 슬라이딩돌기(7d)가 설치되어 있어, 잠금슬라이더(6)의 슬라이딩홈(6f)과 결합하여, 잠금슬라이더(6)를 안내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is concaved downwardly to form a concave groove, and an operating groove 7f penetrating through the concave groove is provid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Since the V-shaped support groove 7e is provided, the V-shaped support shaft 8c at both ends of the braking block 8 to be described below is supported. Therefore, the braking block 8 acts to support the braking block 8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vertical movement stroke of the braking block. In addition, the V-shaped structure acts to strengthen the maintenance of the original state, that is,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when an a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as compared with other shapes. A sliding projection 7d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concave groove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perating groove 7f to engage with the sliding groove 6f of the locking slider 6 to guide the locking slider 6. [

한편, 상기 오목홈의 전후 홈벽의 밑단에는 오목홈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에 놓이도록 전후로 대칭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홈(7c)이 설치되어 있고, 잠금슬라이더(6)의 밑단 전후 측벽에는 각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안내돌기(6e)가 상기 안내홈(7c) 내에서 안내되고, 그에 따라 잠금슬라이더(6)의 슬라이딩홈(6f)과 베이스(7)의 오목홈상의 슬라이딩돌기(7d)의 결합을 기초로 하여, 안내돌기(6e)와 베이스(7)의 오목홈 내의 안내홈(7c)과 결합한다. 따라서, 잠금슬라이더(6)가 상기 구동공간 내에서 더욱더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t the bottom of the front and rear groove walls of the concave groove, guide grooves 7c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symmetric front and rear so as to be i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face of the concave groove. The guide protrusion 6e formed to protrude outward is guided in the guide groove 7c so that the sliding protrusion 6d of the sliding protrusion 6d of the locking slider 6 and the sliding protrusion 7d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base 7 Engages with the guide groove 7c in the concave groove of the base 7 and the guide projection 6e. Thus, the lock slider 6 moves more smoothly and stably in the drive space.

한편, 상기 작동홈(7f)의 다른 일단에는 잠금슬라이더(6) 구동 탄성부재 장착홈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driving elastic member mounting groove for the locking slider 6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groove 7f.

또한, 잠금슬라이더(6)는 상기와 같은 브라켓(5)과 베이스(7)가 결합되어 형성된 구동공간 내에 설치되어, 베이스(7) 상에 설치된 오목홈 상에서 좌우 수평이동하고, 잠금슬라이더(6) 상에는 구동경사면(6a)이 설치되고, 구동경사면(6a)은 원호형 경사면이며, 경사각도는 30도 내지 45도이고, 구동경사면(6a)은 버튼(4)의 구동기둥(4c)과 결합함으로써, 구동기둥(4c)으로부터 잠금슬라이더(6) 수평이동의 동력을 얻으며, 베이스(7) 탄성부재 장착홈에 장착된 탄성부재의 일단은 탄성부재 장착기둥(6d) 상에 고정됨으로써, 구동경사면(6a)과 구동기둥(4c)의 배합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슬라이더(6)에 복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또 잠금슬라이더(6)로 하여금, 그 밑단에 설치된 정지상태의 잠금면(6b)으로 제동블록(8)의 제동면(8a)에 대한 누름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력을 제공한다. 또한, 잠금슬라이더(6)의 밑단에 인접된 정지상태 잠금면(6b)은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해방홈(6g)을 형성하고, 해방홈(6g)을 구성하는 두 경사면이 교차하여 하나의 엎어진 V자 형상을 형성하고, 정지상태 잠금면(6b)과 인접하는 V자형 경사면의 한 면은 추동면(6c)을 구성하고, 따라서, 잠금슬라이더(6)가 원래 위치로 회복될 때, 즉, 잠금위치로 회복될 때, 제동블록(8)의 추동면(8b)을 밀어서 아래로 이동시키고, 상기와 같이 잠금슬라이더(6)의 정지상태 잠금면(6b)과 추동면(6c)은 제동블록(8)의 제동면(8a)과 추동면(8b)과 결합하여, 제동블록(8)의 만곡 경사면(8d)이 잠금경사면(10c)에 의해 잠금면(10) 상에 형성되는 잠금홈(10e)에 끼워져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내에서의 잠금을 실현한다.The lock slider 6 is provided in the drive space formed by engaging the bracket 5 and the base 7. The lock slider 6 horizontally moves left and right on the concave groove provided on the base 7, And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6a is engaged with the driving column 4c of the button 4 so that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6a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column 4c of the button 4,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mounted on the elastic member mounting groove of the base 7 is fixed on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illar 6d to obtain the driving slope 6 6a and the driving column 4c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slider 6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locking the locking slider 6 to the locking surface 6b in the stopped state, The braking block 8 is kept pressed against the braking surface 8a Provide retention. The stopper locking surface 6b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lock slider 6 is concavely recessed to form a release groove 6g so that two inclined surfaces constituting the release groove 6g intersect to form one And one side of the V-shaped inclined surface adjacent to the stationary-state locking surface 6b constitutes a falling surface 6c, and therefore, when the locking slider 6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stopping surface 6b of the lock slider 6 and the stopping surface 6c of the lock slider 6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braking surface 8b of the braking block 8, The locking groove 8d of the braking block 8 is engaged with the braking surface 8a and the braking surface 8b of the block 8 so that the locking groove 8c is formed on the locking surface 10 by the locking tilting surface 10c. (10e) so that the first stretchable band (1) can be locked in the second stretchable band (2).

상기와 같이, 구동경사면(6a)은 버튼(4)의 구동기둥(4c)과 결합함으로써, 잠금슬라이더(6)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정지상태 잠금면(6b)은 잠금상태에서, 제동블록(8)의 제동면(8a)과 결합되어, 제동블록(8)의 상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고, 추동면(6c)은 잠금 과정 중, 제동블록(8)의 추동면(8b)과 결합하여, 제동블록(8)에 대한 하방향 가압을 실현하고, 탄성부재 장착기둥(6d) 상에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잠금슬라이더(6)에 동력을 제공하여, 잠금슬라이더(6)로 하여금, 외부에서 힘이 투입되어 형성된 잠금해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잠금상태로 회복되도록 하며, 안내돌기(6e)는 베이스(7)의 안내홈(7c)과 결합되어, 잠금슬라이더(6)로 하여금, 더욱 평온하게 수평방향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고, 슬라이딩홈(6f)이 베이스(7)의 슬라이딩돌기(7d)와 배합하여, 잠금슬라이더(6)가 브라켓(5)과 베이스(7)가 구성된 공간내에서 더욱 안정된 이동을 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소음 절감성능을 제고한다. 상기 해방 홈(6g)은 잠금해제 상태에서, 제동블록(8)을 그 내부에 있도록 허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slant surface 6a is engaged with the driving pillar 4c of the button 4 so that the locking slider 6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ocking surface 6b in the stopped state is in the locked state, Is coupled with the braking surface (8a) of the block (8) to limit upward movement of the braking block (8), and the falling surface (6c) is engaged with the braking surface (8b) of the braking block And the locking slider 6 is engaged with the locking slider 6 to realize downward urging of the braking block 8 and an elastic member is mounted on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illar 6d to provide power to the locking slider 6, And the guide protrusion 6e is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7c of the base 7 so that the lock slider 6 can be moved further to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sliding groove 6f is combined with the sliding projection 7d of the base 7, The rider 6 ensures a more stable movement in the space in which the bracket 5 and the base 7 are constructed, thereby enhancing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The release groove 6g allows the braking block 8 to be in its unlocked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구성부품 간의 적절한 연접 조립관계를 통하여, 신축대 동작과정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동작과정 중 발생된 추가 소음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느끼는 쾌적감과 편리성을 더욱 높이게 되고, 또한 조립강도를 보장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해지고, 원가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stably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stretching shafts and to reduce the additional noise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The feeling of comfort and convenience during use can be further enhanced, the assembly strength can be ensur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cost can be minimized.

아래, 도 7a, 도 7b를 참조하여 신축대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7A and 7B, the process of locking and unlocking the elastic member will be described.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대 잠금 상태에서의 각 구성부품 연접관계의 축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잡아 쥐는 상태를 해방하면, 우선, 버튼(4)은 버튼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시작위치, 즉, 버튼(4)의 누름면이 브라켓(5)의 좌우 수직편의 윗 단과 서로 수평하게 일치하는 위치로 회복되고, 이때, 버튼(4)의 밑면에 설치된 구동기둥(4c)도 동일하게 시작위치로 회복되며, 이렇게, 버튼(4)의 구동기둥(4c) 말단에 형성된 경사면도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그 다음, 잠금슬라이더(6)는 그 탄성부재의 회복탄성력의 작용 하에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잠금슬라이더(6) 밑면에 설치된 역V자 형상의 해방홈(6g)의 추동면(6c)은 제동블록(8)의 추동면(8b)을 밀게 되고, 탄성부재의 작용 하에 동력을 얻어, 제동블록(8)을 아래로 누르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동블록(8)의 제동면(8a)이 잠금슬라이더(6)의 정지상태 잠금면(6b)의 아래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동블록(8)이 잠금홈(10e)에 끼워지면서, 제1 신축대(1)의 제2 신축대(2) 안으로의 잠금이 실현된다.7A is an axial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each component interconnecting relationship in a telescopic lock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tton 4 is releas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restricting force of the button elastic member is applied, the pressing surface of the button 4 is pressed against the bracket 5, The driving pillar 4c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utton 4 is also restored to the starting position and the driving pillar 4c of the button 4 is thus restored to the position where it coincides with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pieces of the button 4, The locking slider 6 is moved in the leftward direction in the figure under the action of the resilient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t this time, the locking slider 6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moving surface 6c of the release groove 6g of the V shape pushes the moving surface 8b of the brake block 8 and obtains the power under the action of the elastic member to press the brake block 8 downward , And the braking surface 8a of the braking block 8 is finally fixed to the lock slider 6 The locking portion 8a of the braking block 8 is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10e so that the locking of the first stretchable band 1 into the second stretchable band 2 is realized do.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대의 잠금해제 상태에서의 각 구성부품 연접관계의 축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잠금장치(3)의 버튼(4)를 잡아 쥐면, 이때, 버튼(4)의 밑면에 설치된 구동기둥(4c)은 잠금슬라이더(6) 상에 형성된 구동경사면(6a)과 결합하여, 잠금슬라이더(6)로 하여금,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이와 같이, 원래 제동블록(8)의 제동면(8a)에 의하여 폐쇄된 잠금슬라이더(6)의 정지상태 잠금면(6b)도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제동블록(8)의 제동면(8a)이 잠금슬라이더(6)의 역V자 형상 해방홈(6g)의 V자형 개구와 맞닿게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신축대(1)의 일단을 잡고 제2 신축대(2) 중에서 당기거나 삽입할 때, 제1 신축대(1)의 잠금면(10) 상에 설치된 잠금돌기(10a)의 잠금경사면(10c)은 제동블록(8)의 만곡 경사면을 밀어주게 되어, 제동블록(8)으로 하여금 상부로 운동하게 하고, 이때 제동블록(8)은 베이스(7)의 작동홈(7f)과 양단 지지홈(7e)의 안내 작용 하에서, 수직 상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따라서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에서의 잠금해제를 실현하도록 한다.Fig. 7B is an axial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each component interconnecting relationship in the unlocked state of the telescopic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When the user grasps the button 4 of the locking device 3 with the palm of the hand, the driving pillar 4c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utton 4 engages with the driving slope (not shown) formed on the locking slider 6 6a of the braking block 8 to allow the locking slider 6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 and thus to be moved by the braking surface 8a of the braking block 8 originally, The braking surface 8a of the braking block 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verted V-shaped release groove 6g of the lock slider 6 by causing the stationary locking surface 6b of the closed lock slider 6 to move to the right, When the user holds one end of the first stretch rod 1 and pulls or inserts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retch rod 1 in the second stretch rod 2, The lock slope 10c of the lock projection 10a provided on the braking block 10 pushes the curved slope of the braking block 8, The braking block 8 is moved vertically upward under the guiding action of the operating groove 7f of the base 7 and the both end support grooves 7e so that the first stretchable band 1 2 unlocking in the telescopic table 2 is realized.

아래, 도 8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축대의 비틀림 회전방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신축대의 비틀림 회전방지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우선, 도 8에 결합하여, 본 발명의 제1 신축대(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신축대(1)의 관체 표면의 임의의 일단 원주면상에는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수평인 잠금면(10)이 형성되어 있고, 잠금면(10) 중간에는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잠금돌기(10a)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잠금돌기(10a)는 4 개 측면과 하나의 수평 윗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그중 2 개의 잠금돌기(10a) 간의 각각의 측면은 각각 잠금경사면(10c)을 구성하고, 또한, 2 개의 잠금돌기 사이는 잠금홈을 구성하며, 잠금돌기(10a)의 다른 2 개 측면은 각각 제동경사면(10b)을 구성한다. 잠금면(10) 상에서 잠금돌기(10a)와 인접하여,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또한 안내면(10d)이 형성되어 있고, 그중 제동경사면(10b)과 안내면(10d)은 잠금장치(3)와 결합하여,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부 원주방향 상의 비틀림 회전방지 작용을 함과 동시에, 제1 신축대(1)를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8 to 11,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twist rotation preventing structure of a telescopic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xplain the torsional rotation preve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rst, the structure of the first telescopic tab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end of the tube surface of the first stretchable shaft 1, there is formed a locking surface 10 which is horizontal along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al line. At the middle of the locking surface 10,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0a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s and the locking protrusions 10a are formed so as to be surrounded by four side surfaces and one horizontal top surface, and each side surface between the two locking protrusions 10a, And the two lock projections form a lock groove, and the other two sides of the lock projection 10a constitute a braking slope face 10b, respectively. A guide surface 10d is formed on the lock surface 10 adjacent to the lock projection 10a along the central axial direction and the braking bevel surface 10b and the guide surface 10d are engaged with the lock device 3 , The first telescopic table (1) acts to prevent the torsional rotation of the second telescopic table (2)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o guide the first telescopic table (1).

또한, 상기 매개 측면은 밑단으로부터 윗 단으로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잠금돌기(10a)의 매개 측면이 잠금면(10) 및 잠금돌기(10a) 윗면과의 교차선부분은 모두 만곡지게 가공처리되어, 제동돌기(7a) 및 제동블록(8)과의 결합 시 더욱더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The medial side of the medial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10a is inclined inwardly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medial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10a interse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surface 1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0a, So that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more smoothly and stably when engaged with the braking projection 7a and the braking block 8.

상기 안내면(10d)과 잠금돌기(10a)의 제동경사면(10b) 구조와 잠금장치의 결합으로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에서의 잠금 및 잠금해제의 작용을 일으킴과 동시에, 또한 종래기술 중 별도로 설치된 비틀림 회전방지홈의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전체 제1 신축대의 일체성을 보장하고, 따라서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에서 동작할 때의 기밀성을 제고하고, 또한, 사용자 사용과정 중, 제1 신축대(1)의 신장된 상태에서, 별도로 잠금돌기의 잠금면 이외에 비틀림 회전방지홈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된 사용간섭을 감소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편리성을 일층 제고하였고, 또한, 외관상으로 보았을 때, 제1 신축대는 하나의 평평한 정결면이고,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과정 중에서도 시각적으로 완전한 미감을 가져다주게 되어, 일층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제고한다.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surface with the structure of the guide surface 10d and the braking inclined surface 10b of the locking projection 10a causes the first stretchable band 1 to perform locking and unlocking actions in the second stretchable band 2 And by the action of the torsional rotation preventing grooves separately provided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unity of the entire first stretching shafts, so that the first stretching shafts 1 operate in the second stretching shafts 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 interference formed by providing the torsional rotation preventing groove separately from the locking surface of the lock projection in the elongated state of the first telescopic table 1 during the user use process, The first stretchable shaft is a flat flattened surface and thus gives a visual aesthetic feeling in the course of the user's use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first floor user Increase sex.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7)의 저면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제동돌기(7a)는 각각 제동저면(7a')과 이 제동저면(7a')과 대략 직각으로 설치된 제동내측면(7a'')이 형성되어 있고, 그중 상기 한 쌍의 제동돌기(7a)의 제동내측면(7a'')은 상호 맞대어 설치된다.In addition, a pair brake projection (7a) of the bottom end formed on the base 7 as shown in Figure 5 within the respective braking bottom surface (7a ') and the braking bottom surface (7a') and the brake is installed in an approximately right angle side (7a '') and are formed, of which the inner surface brake (7a of the brake projection (7a) of the pair '') are mounted mutually butted.

도 9는 잠금장치 중에서, 베이스(7)와 제1 신축대(1)의 결합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돌기(7a)의 제동저면(7a')과 제동내측면(7a'')은 각각 제1 신축대(1) 잠금면(10)의 안내면(10d)과 제동경사면(10b)과 밀접히 접촉함으로써, 제동돌기(7a)의 제동저면(7a')이 제1 신축대(1) 잠금면(10)의 안내면(10d)과 밀접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돌기(10a)의 제동경사면(10b)이 제동돌기(7a)의 제동내측면(7a'')을 막아주고, 따라서, 제동내측면(7a'')이 잠금돌기(10a)를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제1 신축대(1)의 좌우 비틀림회전에 대한 제한작용을 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돌기(7a)는 또 제1 신축대(1) 잠금면(10)의 안내면(10d)과 결합하여,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에서의 안정적 이동을 안내하는 작용을 일으킨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gaged state of the base 7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1, among the locking devices. As shown, the brake projection (7a) braking the bottom surface (7a ') and braking the inner surface (7a'') are each of the first elastic units (1), the guide surface (10d) and the braking inclined surface (10b of the locking surface 10 of the The braking bottom surface 7a ' of the braking protrusion 7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10d of the locking surface 10 of the first stretchable band 1 so that the braking inclined surface 7a ' (10b) this 'giving prevent, therefore, braking the inner surface (7a braking the inner surface (7a "), the brake projection (7a) by being prevented from') is is beyond the locking projections (10a), the first stretch for The braking projection 7a also engages with the guide surface 10d of the locking surface 10 of the first stretchable shafts 1 so as to achieve a restricting action on the left and right twist rotations of the first stretchable shafts 1, (1) guides the stable movement in the second stretching base (2).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9)는 하나의 원통형상의 구조이고, 지지체(9) 일단은 제2 신축대(2) 확관(20)으로부터 삽입되고, 다른 일단은 기 원주면 상에 형성된 걸이(9b)를 통하여 제2 신축대(2)의 확관(20) 상에 형성된 장착홈(20a) 상에 걸려 위치하고, 따라서, 지지의 작용을 일으킨다. 지지체(9)의 길이는 확관(20)의 길이와 상호 대응됨으로써, 지지체(9)의 지지강도의 작용을 보장한다.6, the supporting body 9 has one cylindrical structure, one end of the supporting body 9 is inserted from the second expanding band 2 expanding pipe 20, And is engaged with the mounting groove 20a formed on the enlarged tube 20 of the second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band 2 through the hook 9b formed in the second elastic member 2, The length of the support 9 coincides with the length of the expanding tube 20, thereby ensuring the function of the support strength of the support 9. [

또한, 지지체(9) 원주면의 일단에는 확관(20)의 장착홈(20a)과 대응되게 개구홈(9c)이 절개 형성되고, 이 개구홈(9c)은 제2 신축대(2) 확관(20) 상의 장착홈(20a)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끼워맞춤 잠금장치(3) 베이스(7)의 지지날개(7g)를 수용함으로써, 보조적으로 잠금장치(3)를 지지하는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An opening groove 9c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9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groove 20a of the enlarged tube 20 and the opening groove 9c is formed by expanding 20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mounting groove 20a on the base 7 so as to support the locking device 3 by accommodating the supporting wings 7g of the fitting lock device 3 base 7 .

지지체(9)의 내원주면 상에, 확관(20)의 장착홈(20a)의 위치에 대응되게, 제2 신축대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제동돌기(9a)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제동저면(9a')과 기 제동저면(9a')과 대략 직각으로 설치된 제동내측면(9a'')이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braking projections 9a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extensible shafts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mounting grooves 20a of the bellows 2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9, Braking inner surfaces 9a '' provided at substantially right angles to the braking bottom surface 9a ' and the air braking bottom surface 9a ' , respectively.

또한, 지지체(9)의 한 쌍의 제동돌기(9a)와 베이스(7)의 한쌍의 제동돌기(7a)는 신축대의 중심 축선방향으로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한다.The pair of braking projections 9a of the support 9 and the pair of braking projections 7a of the base 7 are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in the center axis direction of the stretching shafts.

또한, 지지체(9)의 내원주면 상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9d)가 설치되어 있어, 지지체(9)의 강도를 증강함과 동시에, 제1 신축대(1)가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할 때, 제1 신축대(1)의 안정적 이동을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9d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main surface of the support body 9 so a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upport body 9. When the first stretchable band 1 slides within the support body 9, 1 telescopic table 1 in a stable manner.

도 10은 지지체와 제1 신축대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부의 절단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돌기(9a)의 제동저면(9a')과 제동내측면(9a'')은 각기 제1 신축대(1) 잠금면(10)의 안내면(10d)과 제동경사면(10b)과 밀접히 접촉함으로써, 제동돌기(9a)의 제동저면(9a')이 제1 신축대(1) 잠금면(10)의 안내면(10b)과 밀접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돌기(10a)의 제동경사면(10b)이 제동돌기(9a)의 제동내측면(9a'')을 막아주고, 따라서, 제동내측면(9a'')이 잠금돌기(10a)를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제1 신축대(1)의 좌우 비틀림회전에 대한 제한작용을 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돌기(9a)는 또 제1 신축대(1) 잠금면(10)의 안내면(10d)과 결합하여, 제1 신축대(1)가 제2 신축대(2) 내에서의 안정적 이동을 안내하는 작용을 일으킨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and a first elongate shaft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As shown, the brake projection (9a) braking the bottom surface (9a ') and braking the inner surface (9a'') are each first elastic board (1), the guide surface (10d) and the braking inclined surface (10b of the locking surface 10 of the The braking bottom surface 9a ' of the braking projection 9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10b of the locking surface 10 of the first stretchable boss 1 so that the braking inclined surface 9a ' The braking inner surface 10b blocks the braking inner surface 9a '' of the braking protrusion 9a and thus prevents the braking inner surface 9a '' from passing over the locking protrusion 10a, The braking projection 9a also engages with the guide surface 10d of the locking surface 10 of the first stretchable shafts 1 so as to achieve a restricting action on the left and right twist rotations of the first stretchable shafts 1, (1) guides the stable movement in the second stretching base (2).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신축대는 종래기술 중에 이미 존재하는 제1 신축대 잠금돌기 잠금면을 원주 직경방향 상에서 약간 확장하여 안내면을 구성한 다음, 적절하게 잠금돌기를 결합 이용하여 종래기술 중에 이미 존재하는 즉, 잠금돌기 잠금면의 기초상에서, 그 상대측에 별도로 비틀림 회전방지홈을 설치하여 실현하는 비틀림 회전방지기구의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관로의 기밀성 및 기류 유통유량을 제고함과 동시에, 가공공법의 증가가 필요없이 비틀림 회전방지기능을 실현할수 있고, 따라서, 효과적으로 생산가공효율을 증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etchable shaf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guide surface is formed by slightly extending the first elongate rod locking projection locking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rior art, and then, In other words, by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he twist rotation preventing mechanism that is realized by separately providing the twist rotation preventing groove on the base of the lock projection locking surface, the airtightness of the channel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 are improve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anti-twist function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thereby effectively increasing the production processing efficiency.

1 : 제1 신축대 10 : 잠금면
10a : 잠금돌기 10b : 제동경사면
10c : 잠금경사면 10d : 안내면
2 : 제2 신축대 20 : 확관
20a : 장착홈 3 : 잠금장치
4 : 버튼 4a : 누름판
4b : 버튼걸이 4c : 구동기둥
4d : 안내리브 5 : 브라켓
5a : 구동홀 5b : 공극
5c : 탄성부재 장착부 5d : 결합걸이
5e : 걸이돌기 6 : 잠금슬라이더
6a : 구동경사면 6b : 정지상태 잠금면
6d : 탄성부재 장착기둥 6e : 안내돌기
6f : 슬라이딩홈 6g : 해방홈
7 : 베이스 7b : 걸이홈
7c : 안내홈 7d : 슬라이딩 궤적
7e : 지지홈 7f : 작동홈
7g : 지지날개 8 : 제동블록
8a : 제동면 6c, 8b : 추동면
8c : 지지축 9 : 지지체
7a, 9a : 제동돌기 7a', 9a' : 제동저면
7a", 9a" : 제동내측면 9b : 걸이
9c : 개구홈 9d : 보강리브
1: first extension shaft 10: locking face
10a: locking projection 10b: braking inclined surface
10c: locking slope surface 10d: guide surface
2: second stretch band 20: widening
20a: mounting groove 3: locking device
4: Button 4a: Pressure plate
4b: Button Hook 4c: Drive Pillar
4d: guide rib 5: bracket
5a: driving hole 5b: air gap
5c: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5d: Coupling hook
5e: Hook projection 6: Lock slider
6a: Driving slope 6b: Stopped state Locking face
6d: elastic member mounting column 6e: guide projection
6f: Sliding groove 6g: Liberation groove
7: Base 7b: Hook home
7c: guide groove 7d: sliding locus
7e: Support groove 7f: Operation groove
7g: supporting wing 8: braking block
8a: Braking surface 6c, 8b:
8c: support shaft 9: support
7a, 9a: Brake protrusions 7a ', 9a' : Braking bottom
7a ", 9a " : Braking inner side 9b: Hook
9c: opening groove 9d: reinforcing rib

Claims (2)

제1 신축대(1), 제2 신축대(2) 및 잠금장치(3)를 포함하고, 제1 신축대(1)는 제2 신축대(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신축대(2)의 일단에 잠금장치(3)가 장착되는 일종의 신축대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3)는 버튼(4), 브라켓(5) 및 베이스(7)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7)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상기 제2 신축대(2) 일단의 확관(20) 상에 형성된 장착홈(20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브라켓(5)은 상기 베이스(7)의 돌출된 부분과 긴밀하게 끼움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버튼(4)은 상기 브라켓(5) 상단 전부를 덮음과 동시에, 브라켓(5) 상단에서 전체로 상하이동하며, 상기 버튼 상의 버튼걸이(4b)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5)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대.
A first telescoping band (1), a second telescoping band (2) and a locking device (3), the first telescoping band (1) being slidably connected in the second telescoping band (2) In the case of a type of elongated shaft in which the locking device 3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base 2,
The locking device 3 includes a button 4, a bracket 5 and a base 7, and the base 7 extend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n the opening 20 of the second stretchable shaft 2 The bracket 5 is tightly fitted and fix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ase 7 and the button 4 is fixed to the bracket 5 by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0a formed in the bracket 5, And the bracket (5) is engaged with the bracket (5) through the button hook (4b) on the button, while moving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대(1) 본체 표면의 임의의 일단 원주는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수평인 잠금면(10)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면(10) 중간은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되어 복수개의 잠금돌기(1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돌기(10a)는 4 개 측면과 하나의 수평 윗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기 잠금면(10) 상에는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잠금돌기(10a)와 인접하여 안내면(10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rbitrary end circumference of the surface of the first stretchable band (1) forms a locking surface (10) which is parallel to the central axial direction, and the middle of the locking surface (1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0a is formed so as to be surrounded by four side surfaces and one horizontal upper surface, and the locking protrusion 10a is formed on the locking surface 10, And a guide surface (10d) is formed adjacent to the guide surface (10a).
KR1020180027475A 2015-01-15 2018-03-08 Foldable Pipe KR1019466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025531.6 2015-01-15
CN201520025531.6U CN204410732U (en) 2015-01-15 2015-01-15 Expansion lin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03A Division KR101839189B1 (en) 2015-01-15 2015-12-01 Foldable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402A true KR20180030402A (en) 2018-03-22
KR101946637B1 KR101946637B1 (en) 2019-02-11

Family

ID=534611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03A KR101839189B1 (en) 2015-01-15 2015-12-01 Foldable Pipe
KR1020180027475A KR101946637B1 (en) 2015-01-15 2018-03-08 Foldable Pip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03A KR101839189B1 (en) 2015-01-15 2015-12-01 Foldable Pip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839189B1 (en)
CN (1) CN204410732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832B1 (en) 2015-07-15 2018-01-22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CN105926946A (en) * 2016-06-23 2016-09-07 郑州三迪建筑科技有限公司 Hydraulic lifting and lowering wall building robot
KR102033935B1 (en) * 2018-02-20 2019-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leaner
CN108324181A (en) * 2018-03-21 2018-07-27 宁波锦隆电器有限公司 A kind of dust catcher stretching structure
CN110126952B (en) * 2019-06-14 2024-04-16 浙江阿尔郎科技有限公司 Connection structure, scooter and bicycle
CN112325134A (en) * 2020-10-26 2021-02-05 国网四川省电力公司成都供电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remote controller backpack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61520B4 (en) 2006-12-21 2011-10-27 Fischer Rohrtechnik Gmbh Telescopic pipe connection for vacuum cleaner suction pipes or tripods
CN201039965Y (en) * 2007-02-12 2008-03-26 邬永龙 Telescopic dust pipe
CN201150512Y (en) 2008-01-15 2008-11-19 沈锦焕 Expansion tube for dus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189B1 (en) 2018-04-26
KR20160088222A (en) 2016-07-25
CN204410732U (en) 2015-06-24
KR101946637B1 (en)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637B1 (en) Foldable Pipe
KR102054769B1 (en) Vacuum Cleaner Foldable Pipe
JP6204192B2 (en) Snap-fixed door handle and lock knob assembly
JP5775638B2 (en) Headrest moving device
US11027169B2 (en) Electric treadmill
KR20190103333A (en) Tripod button fixture and tripod
US9630528B2 (en) Operating lever, seat device and operating section structure
CN103206109A (en) Concealed handle
AU2009307206B2 (en) Weight control apparatus for a weight training machine
CN202457357U (en) Headrest angle regulator
CN2803114Y (en) Auto opener of drawer slideway
CN204950809U (en) Telescopic pipe
CN203213707U (en) Hidden type handle
CN205885374U (en) Flexible pipe locking mechanical system of dust catcher reaches electrically conductive flexible pipe of dust catcher that is suitable for it
JP5479824B2 (en) Overbed table fixing mechanism
KR100381220B1 (en) A length control device for a telescopic extension pipe of vacuum cleaner
KR102383761B1 (en) cleaning device
KR20170022510A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chair
JP5656518B2 (en) Dishwasher
CN220024611U (en) Support device and folding bed
KR101772164B1 (en) Connecting apparatus of Telescopic pipe for cleaner
KR20130049665A (en) Side rail for bed
KR101366905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seat
JP7173835B2 (en) fixture support structure
CN212816103U (en) Telescopic pipe and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