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334A -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334A
KR20180030334A KR1020160117937A KR20160117937A KR20180030334A KR 20180030334 A KR20180030334 A KR 20180030334A KR 1020160117937 A KR1020160117937 A KR 1020160117937A KR 20160117937 A KR20160117937 A KR 20160117937A KR 20180030334 A KR20180030334 A KR 2018003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information
manufacturing
messenger
gatew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799B1 (ko
Inventor
반기동
강용태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코에버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에버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코에버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6011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시스템은, 제조 현장에 설치되는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며,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조 현장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여, 통보할 상황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현장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며, 인지된 결과에 따라 생산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context awareness messenger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환경에서 현재 상황을 인지하여 생산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과 제조 기술의 효과적인 융합의 대표적인 결과물인 지능형 생산시스템 및 스마트공장 기술은 생산 인프라의 ICT 기반 혁신을 통해 기존의 제조 패러다임에 새로운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나, 아직 미국이나 독일 등과 같은 세계 최고의 기술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국내 제조업의 기반을 이루는 중소 제조기업의 경우,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적용에 있어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뒤처져 있는 상태이므로, 기술 경쟁력 확보, 나아가서는 제조 원가 절감을 통한 제조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태이다.
그런데, 지능형 생산시스템 혹은 스마트공장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플랫폼은, 제조 현장에 초기 도입 시 표준화하기 어려운 복잡한 상황으로 인하여 많은 업체들이 도입을 주저하였고, 이미 도입 운영 중인 업체들도 고도화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장의 다양한 디바이스들로 인하여 투자계획을 수립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능형 생산시스템 혹은 스마트공장의 경우, 각종 설비나 기기 등으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 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작업자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에 따라 생산이나 설비 운영을 최적화하는 것도 쉽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제조 환경에 적용 가능하도록 스마트 센서와 스마트 게이트웨이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제조 현황과 관 련된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에 따라 예지 진단 기능 등을 제공하여 최적의 생산 운영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센서와 스마트 게이트웨이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인지한 결과에 따라 생산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시스템은, 제조 현장에 설치되는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조 현장의 소정 생산 라인이나 설비 단위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며, 상기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여, 통보할 상황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상기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해 측정 및 분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산운영 최적화에 필요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은, 제조 현장에 설치되는 스마트 센서나 스마트 기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조 현장의 소정 생산 라인이나 설비 단위로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단계, 및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여, 통보할 상황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상기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센서와 스마트 게이트웨이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인지하며, 인지된 결과에 따라 생산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기나 설비 등에 예지 진단 기능이 적용될 수 있어, 자동화와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황인지 메신저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블럭 구성도,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스마드 센서 시스템(100),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Smart Gateway)(200a ~ 200n), 및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센서 시스템(150)은 스마트 센서나 스마트 기기 등으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제조 현장에 설치되어, 제조 현황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스마트 센서는 지능화된 센서로 측정 대상물의 물리, 화학적 정보를 감지하는 일반 센서기술에 나노기술 또는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접목하여 데이터 처리, 자동보정, 자가진단, 의사결정, 통신 등의 신호처리 기능을 내장한 센서를 의미한다. 그리고, 스마트 기기는 지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한다.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200a ~ 200n)는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15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며,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조 현장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 통보할 상황정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미리 설정된 담당자의 단말기로 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등으로 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상황인지 메신저 기능이 탑재된다. 일반적으로 상황인지 기술은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는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200a ~ 200n)와 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는, 통신망(350)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4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개의 단위공장이나 협력업체에 각각 배치된 여러 개의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위공장이나 협력업체 등을 모기업 업체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는 클라우드 시스템(40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200a ~ 200n)에 전달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다.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는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200a ~ 200n)를 통해 측정 및 분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nsfer) 기반 제조자원 관리 정보, 3D 기반 제조자원 가상화 정보, 4M1E(Man, Machine, Material, Method, Environment) 프로파일 기반 기준정보 매핑을 통해 기준정보 시스템과 센싱 데이터의 연계를 통해 엔지니어링 협업을 지원하는 정보 등과 같은 생산운영 최적화에 필요한 분석 정보를 제공한다.
REST 기반 제조자원 관리 정보에는, 생산통합 운영용 RESTful 환경구축 방법 및 시스템 아키텍쳐 설계를 위한 정보, 제조 현장 디바이스의 리소스와 서비스간 Relation 체계화 정보, 제조 현장의 제어 및 관리항목별 메타데이터 개발 정보, Device 등록/검색/정보제공을 위한 IIoT Description 체계를 위한 정보, 제조환경 취득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제한된 리소스 환경에서의 프로토콜 및 적용 프레임 개발 정보, Plug & Play 방식 자원관리 기술 및 서비스 탐색 프로토콜을 탑재한 IIoT 브로커 개발을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3D 기반 제조자원 가상화 정보에는, 다품종 생산업체의 현상과 애로사항 분석을 위한 정보, 상황인지 메신저 기반 구조 설계을 위한 정보, 설비, 생산, 품질 통합 모니터링 구조 개발을 위한 정보, 제품정보 정합성 확보를 위한 구조 개발 정보, 협업형 생산 통합 운영 기능 정의 및 설계, 개발을 위한 정보, Man/Machine/Material/Method 및 Energy 기반 상황인지 연계 기술 개발 정보, SaaS(Software as a Service)형태의 협업적 생산 통합 운용 시스템 기능 개발 정보 등이 포함된다.
4M1E 프로파일 기반 기준 정보에는, 협업 구조에서 관리를 위한 제품-프로세스-에너지 소비 패턴 명세서 정보, CIM(Common Information Model) 기반으로 시스템간 호환성 및 데이터 유일성 확보를 위한 정보, 구축 비용 최소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운용방안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외에도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는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200a ~ 200n)를 통하여 수집 및 분석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협력업체나 단위공장별로 에너지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 최적화를 위한 의사 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정보의 예로는, 시설 기준 최적의 ESS(Energy Storage System) 도입을 위한 정보, 사무실 및 현장 조명의 LED 도입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이 있다. 또한,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는 선진 사례 수집 및 분석, 에너지 사용 개요(Energy Profile) 정보의 설계, 에너지관리 성과 분석, 유지보수 필요 정보의 설계. 모니터링 관련 주요 기능의 설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조 현장의 원격 감시 및 각종 장치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유지보수 기술자는 물론 제어 기술자와 공장 관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들이 쉽게 진단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조 현황과 관련된 정보의 분석을 통해, 사전 진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효율적인 장비에 대한 분석 및 기존 장비에 대한 개선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생산 운영의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조 현장의 상황을 인지하여, 이상이 감지되거나 기타 전송해야할 정보가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담당자에게 메시지나 이메일 등을 전달함으로써, 생산 운영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상황인지 메신저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는 이동통신부(210), 무선 통신부(220), GPS부(230), 메모리(240), 디스플레이부(250), 인터페이스부(260), 센서 연결부(270), 상황인지 모듈(280), 전원 공급부(29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부(210)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사용자 단말기,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나 기타 무선 통신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GPS부(230)는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메모리(240)는 제어부(2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스마트 에너지 게이트웨이(200)에서 처리되거나 분석된 정보나 화면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260)는 스마트 에너지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활을 수행한다. 센서 연결부(270)는 각종 센서나 측정 장치들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상황인지 모듈(280)은 상황인지 메신저 기능을 제공한다. 즉, 상황인지 모듈(280)은 제조 현장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 통보할 정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미리 설정된 담당자의 단말기로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등으로 상황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인지 메신저는 이기종 장치의 상호 운용성 확보, 이기종 운영체제상의 동일 서비스 제공, 및 데이터 기반 설비 예지 진단을 지원하며, 직관적 상황인지를 통한 협업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95)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역률 유지를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UPS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LIB(Lithium Ion Battery) 및 BMS(Battery Monitoring System)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스마트 에너지 게이트웨이(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는 스마트 센서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여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에 전달한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는 제조 현장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담당자의 단말기로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는 상황인지 메신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는 현장의 실무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이동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형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현장의 엔지니어가 변경 및 추가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는 스마트 센서 시스템(150)으로부터 제조 현장 데이터(160)와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410)으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410) 등을 이용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MES(410)는 제조 현장에 직접 설치되거나, 혹은 클라우드 시스템(400)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통합 모니터링 제어장치와 스마트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가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로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면(S500),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하여 요청받은 데이터를 전송한다(S505).
만일,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는 재요청 명령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는 현재 상황을 인지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510). 이에 대해 통합 모니터링 장치(300)는 수신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S515).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는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300) 외에도 미리 지정된 단말기나 장치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명령어 패킷 및 응답 패킷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스마트 게이트웨이(200)에 데이터 요청하거나 재요청하는 경우 명령어 패킷의 형식을 나타낸 것이다. CMD 필드가 0x01인 경우 데이터 요청을 나타내고, 0x03인 경우 데이터 재요청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청 명령어에 대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는, 도 5의 (b)와 같은 응답 패킷을 전송한다. 응답 패킷의 CMD 필드 값은 0x02인 경우를 응답 패킷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응답 패킷에는 요청된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저장장치, 입력장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내용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입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고차원적인 언어나, 객체지향적인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셈블리나 기계어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용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사용에만 국한되지는 않으며, 다른 어떤 컴퓨팅 또는 처리 환경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한 개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회로, 즉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논리회로(AND, OR NAND gates) 또는 프로세싱 장치(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 콘트롤러)로 구현가능하다.
본 발명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00a ~ 200n : 스마트 게이트웨이
300 : 통합 니터링 제어 장치
400 : 클라우드 시스템

Claims (10)

  1. 제조 현장에 설치되는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조 현장의 소정 생산 라인이나 설비 단위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며, 상기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여, 통보할 상황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상기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상황인지 메신지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해 측정 및 분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산운영 최적화에 필요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제조 현장의 상황을 인지하는데 사용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운영 최적화에 필요한 분석 정보는, REST 기반 제조자원 관리 정보, 3D 기반 제조자원 가상화 정보, 및 4M1E 프로파일 기반 기준정보 매핑을 통해 기준정보 시스템과 센싱 데이터의 연계를 통해 엔지니어링 협업을 지원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시스템.
  6. 제조 현장에 설치되는 스마트 센서나 스마트 기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조 현장의 소정 생산 라인이나 설비 단위로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단계; 및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여, 통보할 상황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상기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인지 메신지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통합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해 측정 및 분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산운영 최적화에 필요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모니터링 제어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제조 현장의 상황을 인지하는데 사용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운영 최적화에 필요한 분석 정보는, REST 기반 제조자원 관리 정보, 3D 기반 제조자원 가상화 정보, 및 4M1E 프로파일 기반 기준정보 매핑을 통해 기준정보 시스템과 센싱 데이터의 연계를 통해 엔지니어링 협업을 지원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는 휴대가 가능한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KR1020160117937A 2016-09-13 2016-09-13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2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37A KR101926799B1 (ko) 2016-09-13 2016-09-13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37A KR101926799B1 (ko) 2016-09-13 2016-09-13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334A true KR20180030334A (ko) 2018-03-22
KR101926799B1 KR101926799B1 (ko) 2018-12-10

Family

ID=6190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937A KR101926799B1 (ko) 2016-09-13 2016-09-13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332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터줌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수집 센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332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터줌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수집 센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799B1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g et al. Internet of everything: A large-scale autonomic IoT gateway
KR102262321B1 (ko) 산업용 IoT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1813067B1 (ko) IoT 감시 기능을 갖는 게이트웨이 및 스카다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KR102073085B1 (ko)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arnouskos et al. Integration of SOA-ready networked embedded devices in enterprise systems via a cross-layered web service infrastructure
CN102449567A (zh) 作为用于装备健康状况监视服务的基础的云计算
EP3613198A1 (en) Internet of things pub-sub data publisher
KR102248727B1 (ko) 멀티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전력 IoT 게이트웨이
Milenkovic Internet of Things: Concepts and System Design
KR101337619B1 (ko) 통합 관제 시스템 및 통합 관제 방법
Kastner et al. Building Automation Systems Integration into the Internet of Things The IoT6 approach, its realization and validation
WO2021119140A1 (en) Centralized knowledge repository and data mining system
CN105137770A (zh) 一种基于Web的水产养殖远程监控系统及其控制方法
Gonçalves et al. A step forward on intelligent factories: A smart sensor-oriented approach
Hästbacka et al. Device status information service architecture for condition monitoring using OPC UA
CN110995859A (zh) 一种基于泛在物联网的变电站智能支撑平台系统
TW201525710A (zh) 適用於電信應用之雲端化服務彈性組裝系統及方法
Wang et al. An interoperable and flat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architecture for low latency data collection in manufacturing systems
CN113766026B (zh) 一种应用于能源工业网的数据处理方法及系统
KR101956703B1 (ko)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6799B1 (ko) 상황인지 메신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Liu et al. Plug-and-play sensor platform for legacy industrial machine monitoring
KR102411824B1 (ko) 인공지능 기반의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hah et al. IoT gateway for smart devices
CN114374889A (zh) 一种水质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