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149A - 이동성 기준 신호 할당 - Google Patents

이동성 기준 신호 할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149A
KR20180030149A KR1020187004428A KR20187004428A KR20180030149A KR 20180030149 A KR20180030149 A KR 20180030149A KR 1020187004428 A KR1020187004428 A KR 1020187004428A KR 20187004428 A KR20187004428 A KR 20187004428A KR 20180030149 A KR20180030149 A KR 20180030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rs
symbols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073B1 (ko
Inventor
안드레스 레이알
안드레아스 세데르그렌
클래스 타이드스타브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8003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9Allocation based on distance or geographical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241, 242)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에서 빔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성 기준 신호(MRS)를 할당 및 송신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 사이의 채널의 시간 다이버시티,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241, 242)의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패턴의 세트 중에서 MRS 패턴을 선택하고, 선택된 MRS 패턴을 통신 디바이스(241, 242)로 시그널링하며, 선택된 MRS 패턴에 따라 상기 MRS를 송신한다.

Description

이동성 기준 신호 할당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는 이동성 기준 신호(mobility reference signal; MRS) 할당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성 기준 신호를 할당 및 송신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어진 통신 프로토콜, 이의 파라미터 및 통신 네트워크가 배치되는 물리적 환경에 대해 양호한 성능 및 용량을 획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는 모든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이다. 넓은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투명한 서비스를 달성하기 위해, 핸드오버는 서빙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서 나타내어진 하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서 나타내어진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진행중인 연결부(connection)를 전달하는 프로세스로서 정의될 수 있다. 핸드오버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임의의 손실없이 수행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가능한 작은 인터럽트로 수행되어야 한다.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적절한 타겟 셀을 찾고, 타겟 셀 내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로부터의 신뢰성있는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적절한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타겟 셀에 대한 후보(candidate)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서빙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서 저장되는 소위 이웃 리스트에 저장된다. 타겟 셀 내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로부터의 신뢰성있는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기 전에 타겟 셀의 연결 품질이 추정될 필요가 있다.
타겟 셀의 연결 품질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된 측정치에 의해 추정된다. 다운링크(DL), 즉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송신, 및/또는 업링크(UL), 즉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의 송신이 고려될 수 있다. 업링크 연결 품질은 대응하는 다운링크 연결 품질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업링크 측정에만 의존하는 것은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는 일반적으로 다운링크 측정에 기초한다.
기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모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네트워크 노드)는 이웃 셀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타겟 셀 품질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럿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한다. 이것은, 이러한 파일럿 신호가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상에서 송신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러한 파일럿 신호가 CPICH(Common Pilot Channel) 상에서 송신되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이러한 파일럿 신호가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로서 송신되는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이러한 파일럿 신호가 비콘으로서 송신되는 WiFi에서도 그러하다. 이것은 비교적 양호한 정확도로 이웃 셀의 품질을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측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이러한 측정을 네트워크에 보고한다. 서빙 셀 품질이 후보 타겟 셀 품질에 근접하는 것으로 탐지출되면, 더욱 상세한 측정 프로세스 또는 핸드오버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미래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5세대(5G) 시스템은 첨단 안테나 시스템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시스템으로, 신호는 좁은 송신 빔으로 송신되어, 어떤 방향에서의 신호 강도를 증가시키고/시키거나 다른 방향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킨다. 안테나 시스템이 커버리지 및 신호 품질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 현재 서빙 네트워크 노드 내의 다른 빔 또는 다른 후보 타겟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빔으로의 좁은 송신 빔 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서빙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빔 스위치 또는 빔 업데이트가 자신의 셀 내에서 필요한지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노드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현재 통신하는 송신 빔은 서빙 빔이라고 하고, 핸드오버하거나 스위칭할 송신 빔은 타겟 빔이라고 한다. 서빙 빔 및 타겟 빔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의 송신 빔일 수 있다.
이러한 미래의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모든 개별 송신 빔에서의 이동성 기준 신호(MRS)의 송신에 기존의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파일럿 신호의 연속 송신 원리를 적용하는 것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성 측정에 편리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개별 송신 빔에서의 MRS의 연속 송신은 네트워크에서 많은 간섭을 생성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에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용량을 소비할 수 있고, 많은 수의 좁은 송신 빔이 존재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더 높은 전력 소비를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좁은 송신 빔을 갖는 진보된 안테나에 의존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모든 송신 빔에서의 MRS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거나 때로는 불가능하다. 상이한 빔으로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자연적 대안은 더욱 긴 측정 주기, 더욱 느린 핸드오버 및 빔 업데이트를 초래한다.
게다가,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동성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판정을 한다. 측정의 품질과 정확성은 주로 MRS 할당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충분한 수의 MRS 자원 요소(RE)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충분한 측정 신호 대 잡음비를 달성하기 위해 측정마다 이용 가능해야 한다. 다른 예로서, RE의 짧은 스팬(span)을 갖는 MRS 배치는 측정이 순간적인 페이딩(fading)에 의해 과도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성 측정을 위한 미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할당 및 송신 측정 기준 신호를 위한 개선된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목적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이동성 측정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할당 및 송신 측정 기준 신호를 위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개선된 방법 및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목적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빔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성 기준 신호(MRS)를 할당 및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먼저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네트워크 노드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시간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 후,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패턴의 세트 중에서 MRS 패턴을 선택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선택된 MRS 패턴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고, 선택된 MRS 패턴에 따라 MRS를 송신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목적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성 기준 신호(MRS)를 할당 및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달성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네트워크 노드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시간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패턴의 세트 중에서 MRS 패턴을 선택하여, 선택된 MRS 패턴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고, 선택된 MRS 패턴에 따라 MRS를 송신한다.
선택된 MRS 패턴에 따라 MRS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빔 신호 품질 리포트는 대부분의 시나리오 및 조건에서 평균 빔 품질을 반영한다. 결과적으로, 빔 스위치 판정이 견고해지고, 시간 경과에 따른 스위치 수가 최소화된다. 이것은 모든 상황에서 모든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MRS 할당을 과도하게 조정하지 않고 달성된다. 기존 시스템과 달리, 이러한 이점은 전용된, 즉 무선 통신 디바이스-특정 DL 이동성 기준 신호 구성, 활성화 및 송신에 의해 가능해진다.
다른 양태에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때, 네트워크 노드가 위에서 요약된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위에서 요약된 양태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가 제공되며,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이러한 다른 양태는 위에서 요약된 방법 양태와 동일한 효과 및 이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DL-MRS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MRS 패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 모듈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전개하는 일부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고, 미래의 현대 통신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 그룹에 제안된 핸드오버 또는 빔 스위칭 절차 및 DL-MRS 구조가 먼저 설명될 것이며, 몇몇 관련된 문제는 확인되고 논의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능력을 장착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가입자 유닛, 이동 전화,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내부 또는 외부 모바일 광대역 모뎀을 장착한 스마트 폰, 랩톱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 태블릿 PC, 휴대용 전자 무선 통신 디바이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MRS"는 필드당 1개의 MRS 심볼을 지칭하고; "MRS 패턴"은 하나의 빔 및 하나의 이동성 세션에 대한 MRS 심볼의 세트를 지칭하고; "DL-MRS"는 하나의 빔에 대해 하나의 이동성 서브프레임에서 시간 동기화 신호(time synchronization signal; TSS) 또는 MRS를 지칭하며; "DL-MRS 구조"는 모든 후보 빔에 대해 하나의 이동성 서브프레임에서 TSS/MRS를 지칭한다.
빔 스위칭 절차: 배경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개별 송신 빔에서의 MRS의 연속 송신은 비효율적이다. 대다수의 빔만이 합리적인 후보 타겟 빔으로 활동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올웨이즈 온(always-on) 이동성 기준 신호를 피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서빙 빔 업데이트의 필요성이 발생할 때 적절한 후보 타겟 빔 세트를 대신 턴 온(turn 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리포트를 고려하여 현재의 다운링크 서빙 빔이 저하되기 시작할 때를 탐지하여, 품질이 예를 들어 LUT(look-up-table)에서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임계치 이하로 떨어질 때 다운링크 기반 이동성 측정 세션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이동성 측정 세션은 후보 타겟 빔의 세트에 대한 다운링크(DL-MRS)에서의 이동성 기준 신호의 송신의 활성화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측정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것이다. 그 후,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후보 타겟 빔에 대한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것이다. 부가적인 시그널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검색할 빔의 서브세트 및 어떤 기준 심볼 또는 빔 서명 시퀀스가 사용되는지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알릴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이동성 측정 리포트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는 바람직한 타겟 빔에 대해 알리고, 빔 스위치가 수행된다. 바람직한 네트워크 배치에서, 빔 스위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치(UE)에 대해 투명한 방식으로 수행되며, 또한 UE 비인식 모드(unaware mode)로서 지칭된다. 새로운 서빙 빔 아이덴티티, 방향, 발신 노드 등은 UE에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모든 활성 모드 제어 및 데이터 트래픽은 설정된 UE 아이덴티티(identity), 예를 들어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세팅을 계속 사용한다. UE가 서브프레임(subframe; SF)에 걸쳐 채널 및 간섭 일관성 가정(interference consistency assumption)을 하지 않는 한, 송신 DL 빔 파라미터는 SF 단위로 변경될 수 있다.
빔 이동성 기준 신호 구조: 각각의 빔의 DL-MRS는 자체 포함되고, 다음의 기능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신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서빙 노드와 밀접하게 동기화되지 않는 다른 노드로부터 송신되는 경우에도 빔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Figure pct00002
동시에 활성화된 다른 빔이 있는 경우 빔 서명 탐지 및 식별;
Figure pct00003
수신된 빔 파워 또는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을 평가하는, 바람직하게는 빠른 페이딩 관련된 순간 품질이 아닌 평균 품질을 반영하는 빔 신호 품질 측정.
DL-MRS 설계의 일례는 도 1에 도시된다. 상위 도면은 각각 6개의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을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신호(time synchronization signal; TSS) 필드 및 MRS 필드를 포함하는 DL-MRS 영역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물리적 자원 블록이 주파수가 12개의 부반송파와 시간적으로 7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 주파수가 6 PRB의 DL-MRS 영역은 7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중간 도면은 하나의 SF에 DL-MRS 영역이 어떻게 위치되는지를 보여주며, 여기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영역 및 CCH(Control Channel) 영역이 도시된다. 하위 도면은 다수의 SF를 포함하는 10ms 프레임을 보여주며, 여기서 DL-MRS 영역을 포함하는 SF가 표시된다. TSS 필드는 LTE 시스템에서의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연상시키는 시간 도메인에서 거친(coarse)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한다. MRS 필드는 참조 서명 시퀀스와 상관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빔 식별 및 측정에 사용되는 빔 특정 서명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LTE 시스템에서의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연상시킨다. 동일한 타입의 인접한 필드는 상이한 빔으로부터의 신호를 시간 다중화하는 데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상이한 빔의 DL-MRS는 MRS 시퀀스의 근-직교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코드 다중화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각각의 필드는 송신된 대역에서 6개의 중심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을 차지한다. UE 이동성 리포트는 빔에 대한 하나 이상의 DL-MRS 동안 측정된 MRS 품질을 반영하도록 구성된다. DL-MRS는 이러한 예에서 5ms의 주기성으로 이용 가능하지만, DL-MRS는 UE가 있을 때만 활성화된다.
시간에 따른 빔 스위치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UE는 빠른 페이딩에 걸쳐 평균 빔 신호 품질을 반영하는 MRS 측정 결과를 보고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 대한 평균 성능이 양호한 기준에 따라 DL-MRS 구조 및 DL-MRS SF 레이트를 구성한다. 그러나, 전파 시나리오에 따라, 선택된 DL-MRS 구성은 순간적인 페이딩을 평균화하는데 다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 보고된 UE 측정은 시간-주파수 평면의 어떤 부분에서 경험 있는 순간적인 페이딩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부딪친(encountered) 시나리오에서 일관된 빔 품질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는 DL-MRS 설계가 제공된다. UE에 대한 후보 빔에서의 DL-MRS는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 동안 평균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에 충분한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MRS의 구성 방법이 이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200)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통신 네트워크(200)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송수신 기지국, 노드 B 및/또는 eNB(evolved node B)와 같은 무선 기지국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매크로 네트워크 노드(211, 212) 및 마이크로 또는 피코 네트워크 노드(213)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221, 222, 223)에서 송신 빔(251, 252, 253, 254, 255, 256)을 송신함으로써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221, 222, 223)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코어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어 네트워크는 광역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서비스 및 데이터에 차례로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중 하나에 의해 서비스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는 광역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및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는 이동국, 이동 전화, 핸드셋, 무선 로컬 루프 폰, UE, 스마트 폰, 랩톱 컴퓨터 및/또는 태블릿 컴퓨터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는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버리지 영역(221, 222, 223)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빔으로부터 다른 송신 빔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의 핸드오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핸드오버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임의의 손실 없이 수행되어야 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가능한 한 작은 인터럽트로 수행되어야 한다. 서빙 빔 및 타겟 빔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의 송신 빔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핸드오버는 소스 빔으로부터 타겟 빔으로의 핸드오버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에서 빔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MRS를 할당하고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실시예는 도 3을 참조로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취할 수 있는 다음의 동작을 포함한다.
동작(301)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 동안 평균화된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데 충분한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 조건에 대한 지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네트워크 노드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시간 다이버시티, 통신 디바이스의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한다.
채널의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예를 들어 채널 분산으로 인한 채널의 코히어런스(coherence) 대역폭으로 지칭될 수 있고, Cf로서 나타내어진다. 코히어런스 대역폭은 채널 응답이 비교적 평탄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는 대역폭이다. 코히어런스 대역폭은 지연 확산(delay spread)의 역(inverse)과 관련이 있다. 지연 확산이 짧을수록, 코히어런스 대역폭은 커진다. 지연 확산은 통신 채널의 다중 경로 풍부함(multipath richness)을 측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연 확산은 최초의 중요한 다중 경로 성분의 도달 시간, 통상적으로 LOS(line-of-sight) 성분과 최신 다중 경로 성분의 도달 시간 간의 차로서 해석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채널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코히어런스 시간은 채널 임펄스 응답이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는 시간 지속 기간(duration)이다. 이러한 채널 변화는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로 인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훨씬 더 중요하다. 따라서, 채널의 시간 다이버시티는 예를 들어 도플러 확산 또는 차량 속도로 인한 채널 코히어런스 시간으로 지칭될 수 있고, Ct로서 나타내어진다.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UL 측정으로부터 채널 분산 메트릭 또는 코히어런스 대역폭 Cf 및 도플러 메트릭 또는 채널 코히어런스 시간 Ct의 추정치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DL에서 이를 추정하여 UL에서의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다수의 안테나 요소 및 안테나 요소 상관 관계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A로서 나타내어지는 이의 안테나 다이버시티 특성, 예를 들어 수신기 안테나의 수, 및/또는 안테나 어레이 구조, 안테나 상관 등을 능력 시그널링의 일부로서 보고할 수 있다. 일부 수신기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는 상관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능력 및 상관 정보, 현재 채널 정보 등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Ai로서 나타내어지는 독립 안테나의 유효 수를 추정할 수 있다.
동작(302)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패턴의 세트 중에서 MRS 패턴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MRS 구성 측정치는 하나 이상의 시간, 주파수 다이버시티 성분이 낮을 경우에 이용 가능한 다이버시티를 증가시키기 위해 취해질 수 있다:
Figure pct00004
더욱 큰 주파수 스팬(span)에 걸쳐, 또는 기본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풍부한 경우에 주파수에서 더욱 조밀하게 MRS PRB 또는 자원 요소(RE)를 할당한다.
Figure pct00005
하나의 세션 동안 다수의 이동성 SF 주기에 걸친 측정을 허용하거나, 기본 시간적 다이버시티가 풍부한 경우에 시간적으로 이동성 SF 그리드를 조밀하게 한다.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적절한 MRS 패턴은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독립적으로 페이딩된 미리 정해진 수의 측정치를 제공하는 몇몇 가능한 패턴 중에서 선택된다. 선택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 할당 제약에 따라 측정 세션 당 기준 심볼의 총 수를 최소화하도록 행해진다.
MRS 패턴의 구성을 위한 선택 기준 및 프로세스의 예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MRS 패턴의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수직축은 부반송파 단위의 주파수 차원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수직축은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며; 수평축은 심볼, 예를 들어 OFDM 심볼의 단위의 시간 차원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RS 패턴은 주파수 차원에서 부반송파의 수 Nf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Nf=4이고, 이는 부반송파 단위에서 간격 Df로 규칙적으로 이격되며, 예를 들어 Df=3이며, MRS 패턴은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 동안 예를 들어 OFDM 심볼의 단위에서 간격 Dt를 갖는 시간 차원의 심볼의 수 Nt, 즉 Nt=4, Dt=5를 포함한다.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은 여러 개의 SF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서,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은 1.5 SF를 커버한다. 하나의 SF는 14개의 OFDM 심볼 또는 2개의 자원 블록(RB)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RB는 LTE 시스템에서와 같이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주파수 할당은 12개의 부반송파 단위의 간격 Df를 갖는 Nf개의 PRB일 수 있다.
여기에서, 부반송파의 주파수 및 심볼의 시간 단위는 단지 예이며, 당업자는 다른 단위, 예를 들어, PRB의 주파수 및 서브프레임의 시간이 또한 가능하다.
Ct는 OFDM 심벌의 수에서의 채널 코히어런스 시간이고, Cf는 부반송파의 수에서의 채널 코히어런스 대역폭이라고 한다. 그 다음, 이러한 예에서, Ct=4.2 및 Cf=2.5이다.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총 안테나의 수는 A이고, 독립 안테나의 수는 Ai이다.
제안된 적응형 DL-MRS 구성 프로세스의 주요 목적은 통신 디바이스가 이의 이동성 측정치가 독립적으로 페이딩된 충분한 측정 심볼의 수, 즉 MRS 필드 내의 RE의 수에 기반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독립적인 측정 심볼의 최소 수락 가능한 수를 Mmin으로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Mmin은 Mmin=10으로서 지정된 미리 결정된 독립적인 측정 심볼의 수일 수 있다.
충분한 측정 SINR을 보장하기 위해, 측정된 심볼의 총 수는 통상적으로 더 커야하며, 이는 Lmin에 의한 한계치, 예를 들어 Lmin이 50으로서 설정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 후, 측정 심볼의 총 수 L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안테나의 수 A, 주파수 차원에서의 부반송파의 수 Nf 및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의 수 Nt에 의해 정의되며, 예를 들어 L=A*Nt*Nf이다. 따라서, 측정 심볼의 총 수 L은 Lmin과 같거나 커야 하며, 즉, L>=Lmin이다.
코히어런스 시간 및 대역폭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주어진 시간-주파수 스팬에서의 MRS 패턴은 주파수 차원에서의 최대 Nf*Df/Cf 독립 심볼 및 시간 차원에서의 최대 Nt*Dt/Ct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M으로 나타내어지는 독립적 측정 심볼의 총 수는 다음과 같다:
M=Ai*ceil(Nt*[min(1 ,Dt/Ct)])*ceil(Nf*[min(1,Df/Cf)])
여기서, 함수 min(1, Dt/Ct) 및 min(1, Df/Cf)은 심볼이 "독립적(independent)"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다. Dt 및 Df는 바람직하게는 심볼이 독립적이도록 선택되면, 예를 들어 Dt>Ct 및 Df>Cf, min(1, Dt/Ct)=1, min(1, Df/Cf)=1이다. 대안으로, 이는 Lmin이 충족되도록 Ct 및 Cf보다 작을 수도 있다. 함수 ceil(x)는 x보다 작지 않은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한다.
따라서, 총 측정 심볼의 수 L 중에서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독립적 안테나의 수 Ai, 부반송파의 수 Nf, 주파수 차원에서의 간격 Df와 채널 코히어런스 대역폭 Cf의 비율, 즉 Df/Cf, 심볼의 수 Nt, 및 시간 차원에서의 간격 Dt와 채널 코히어런스 시간 Ct의 비율, 즉 Dt/Ct에 의해 정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먼저 주파수 차원에서 상이한 간격 Df를 갖는 상이한 부반송파의 수 Nf 및 시간 차원에서 상이한 간격 Dt를 갖는 상이한 심볼의 수 Nt를 포함하는 상이한 후보 패턴의 세트에 대한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을 평가한다.
그 다음, 네트워크 노드는 최대 주파수 스팬 한계치 Fmax, 최대 이동성 측정 세션 길이 한계치 Tmax 및 최소 측정 심볼의 수 Lmin에 기초하여 주파수 및 시간 차원에서의 최소 자원 요소의 수, 즉 Nf*Nt를 갖는 MRS 패턴을 선택한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된 적어도 충분한 측정 심볼의 총 수 L=A*Nf*Nt>=Lmin이 되도록 상이한 파라미터의 세트 Nf, Df, Nt, Dt를 평가한다. 이는 이러한 각각의 세트 Nf, Df, Nt, Dt에 대한 독립적 유효 측정 심볼의 수 M을 평가하고, 다음의 조건 및 제약이 충족되는 동안 Nf*Nt가 최소화되는 세트를 선택한다:
M>=Mmin
Nf*Df<= Fmax,
Nt*Dt<= Tmax,
여기서, Fmax는 최대 주파수 스팬 한계치이다. 최대 주파수 스팬 한계치는 DL-MRS 시그널링의 허용된 주파수 범위 또는 반송파의 총 대역폭과 관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서, Fmax는 12개의 부반송파일 수 있다.
Tmax는 최대 이동성 세션 길이 한계치이다. Tmax는 통신 디바이스가 현재의 서빙 빔에 대해 동기화(synch)를 손실하기 전의 예상된 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 한계치는 높은 도플러 확산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감소되거나 예를 들어 코너 주변으로 이동할 때 빔 커버리지 손실로 인해 급격한 빔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네트워크의 영역에서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및 시간 차원에서의 자원 요소의 수 Nf*Nt는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 동안 최소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은 여러 개의 SF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SF가 사용되면, MRS 심볼은 동일한 Dt를 갖도록 이격되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선택 프로세스는 미리 정의된 MRS 패턴의 수집을 평가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더욱 유연한 파라미터 설정으로, 다차원 수치 최적화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RS 패턴의 최적화는 가능한 입력 파라미터의 제한된 세트에 대해 미리 계산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MRS 패턴의 선택은 입력 파라미터를 인덱스에 매핑하고, 테이블 룩업(table lookup)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MRS 패턴은 단지 일례이며, 도 4에 따른 더욱 유연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더 간단한 MRS 할당 원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MRS 패턴은 어떤 초당 서브프레임의 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동성 측정 세션 당 SF의 수는 낮은 채널 분산 및/또는 낮은 도플러를 보상하기 위해 증가된다. 이것은 단일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후보 파라미터 세트의 수집으로 상술한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빠른 페이딩은 무한히 또는 매우 느릴 수 있으며, 이동성 측정 리포트에서 평균화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LOS(line-of-sight) 및 라이시안 지배 채널(Rician-dominated channel)의 경우일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안테나 어레이로부터의 DOA(direction-of-arrival) 탐지 또는 채널 추정 분석에 의해 탐지될 수 있다. 분석이 지배적인 단일 파면(wave front)을 탐지하면, 최소 MRS 세트가 이동성 측정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동작(303)
네트워크 노드가 MRS 패턴을 구성하거나 선택한 후, 네트워크 노드는 선택된 MRS 패턴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한다. 그 다음, 통신 디바이스는 MRS를 수신할 주파수 및 시간을 알 수 있다.
동작(304)
네트워크 노드가 선택된 MRS 패턴을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한 후, 네트워크 노드는 선택된 MRS 패턴에 따라 MRS를 송신한다.
상술한 동작이 하나의 빔 상에서 송신된 하나의 MRS 시퀀스에 대해 수행되지만, 절차는 모든 빔 상에 적용될 수 있고, MRS는 모든 후보 빔 상에 할당되고 송신될 수 있으며, 즉, 더욱 많은 RE가 하나의 빔에 대한 MRS 패턴에 의해 주어진 것보다 MRS 송신을 위해 예약될 수 있다. DL-MRS 구조는 고정될 수 있거나 DL-MRS 구조는 MRS 패턴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파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버시티는 통신 디바이스 및 통신 디바이스 이동 부근의 산란에 의해 결정되므로, 모든 서빙 및 후보 빔에 대해 유사하다. 따라서, 서빙 빔으로부터 추정된 다이버시티 파라미터는 후보 빔에 대해서도 DL-MRS를 할당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별 시나리오,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에 대해 변할 수 있는 매우 높은 도플러에서, 네트워크는 최악의 가정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할당을 구성할 수 있다.
제안된 구성 및 절차는 적응형이며, 또한 제로에 가까운(near-zero) 채널 분산과 같은 특수한 경우, 예를 들어 무시할 수 있는 주파수 페이딩, 또는 반-정적(semi-static) 동작, 예를 들어 무시할 수 있는 시간적 페이딩, 다이버시티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이용 가능한 차원에 대한 효과적인 리조팅(resorting)을 처리할 수 있다.
선택된 MRS 패턴에 따라 MRS를 송신함으로써,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빔 신호 품질 리포트는 대부분의 시나리오 및 조건에서 평균 빔 품질을 반영한다. 결과적으로, 빔 스위치 판정이 견고해지고, 시간 경과에 따른 스위치 수가 최소화된다. 이것은 모든 상황에서 모든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MRS 할당을 과도하게 조정하지 않고 달성된다. 기존 시스템과 달리, 이러한 이점은 전용된, 즉 통신 디바이스-특정 DL 이동성 기준 신호 구성, 활성화 및 송신에 의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MRS는 서빙 및/또는 가능한 타겟 빔을 포함하는 후보 빔 세트에서 선택되고 활성화될 수 있으며, 통신 디바이스(241, 242)는 MRS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 그 후, 측정 결과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 보고될 수 있고, 적절한 빔 스위칭 또는 셀 핸드오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에서 통신 디바이스(241, 242)가 빔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MRS를 할당하고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의 방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도 5에 도시된 다음의 회로 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예를 들어 수신 모듈(510), 송신 모듈(520), 결정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예를 들어 구성된 수신 모듈(510)에 의해, 주파수 다이버시티,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 사이의 채널의 시간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의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예를 들어 구성된 결정 모듈(530)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패턴의 세트 중 MRS 패턴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다.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예를 들어 구성된 송신 모듈(520)에 의해, 선택된 MRS 패턴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로 시그널링하고, 선택된 MRS 패턴에 따라 MRS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다이버시티, 시간 다이버시티 및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는 채널의 채널 분산 또는 코히어런스 대역폭, 채널의 도플러 확산 또는 채널 코히어런스 시간, 안테나 요소의 수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의 안테나 요소 상관 관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파라미터 Nf, Nt, Ct, Cf, L, Lmin, M, Mmin, Fmax, Tmax의 정의는 방법 동작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예를 들어 구성된 결정 모듈(530)에 의해, 주파수 차원에서 상이한 간격 Df를 갖는 상이한 부반송파의 수 Nf 및 시간 차원에서 상이한 간격 Dt를 갖는 상이한 심볼의 수 Nt를 포함하는 상이한 후보 패턴의 세트에 대한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을 평가하고, 최대 주파수 스팬 한계치 Fmax, 최대 이동성 측정 세션 길이 한계치 Tmax 및 최소 측정 심볼의 수 Lmin에 기초하여 주파수 및 시간 차원에서의 최소 자원 요소의 수를 갖는 MRS 패턴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다.
당업자는 상술한 수신 모듈(510), 송신 모듈(520), 결정 모듈(530)이 하나의 모듈,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의 조합, 도 4에 도시되고,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및/또는 각각의 모듈의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로 구성된 프로세서(54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의 조합 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는 단일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포함될 수 있거나, 여러 프로세서 및 다양한 아날로그/디지털 하드웨어는 개별적으로 패키징되거나 SoC(system-on-a-chip)로 조립되는지에 관계없이 여러 개별 구성 요소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메모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50)는 정보, 예를 들어 빔 서명 및 식별, 타겟 빔이 리스트, 측정치 및 데이터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도록 배치된다.
통신 디바이스(241, 242)가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서 빔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MRS를 할당하고 송신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541)과 함께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의 프로세서(54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 적재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반송하는 데이터 캐리어(542)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캐리어는 CD-ROM 디스크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메모리 스틱과 같은 다른 데이터 캐리어로 실행 가능하다. 더욱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서버 상에 순수한 프로그램 코드로서 제공되고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단어 "포함한다(comprise)"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비제한적, 즉 "적어도 구성되는(consist at least of)"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취해지지 않아야 한다.

Claims (22)

  1.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에서 빔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성 기준 신호(MRS)를 할당 및 송신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상기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 사이의 채널의 시간 다이버시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241, 242)의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301);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패턴의 세트 중에서 MRS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302);
    상기 선택된 MRS 패턴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로 시그널링하는 단계(303); 및
    상기 선택된 MRS 패턴에 따라 상기 MRS를 송신하는 단계(304)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다이버시티, 시간 다이버시티 및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널의 채널 분산 또는 코히어런스 대역폭, 상기 채널의 도플러 확산 또는 채널 코히어런스 시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의 안테나 요소의 수 및 안테나 요소 상관 관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MRS 패턴은 어떤 초당 서브프레임의 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MRS 패턴은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 동안 시간 차원에서의 간격 Dt를 갖는 심볼의 수 Nt와 주파수 차원에서의 간격 Df를 갖는 부반송파의 수 Nf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심볼의 총 수 L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에서의 안테나의 수 A, 주파수 차원에서의 부반송파의 수 Nf 및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의 수 Nt에 의해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심볼의 총 수 L 중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241, 242)에서의 독립적 안테나의 수 Ai, 부반송파의 수 Nf, 주파수 차원에서의 간격 Df와 채널 코히어런스 대역폭 Cf의 비율, 심볼의 수 Nt, 시간 차원에서의 간격 Dt와 채널 코히어런스 시간 Ct의 비율에 의해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패턴의 세트 중에서 MRS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302)는,
    주파수 차원에서 상이한 간격 Df를 갖는 상이한 부반송파의 수 Nf 및 시간 차원에서 상이한 간격 Dt를 갖는 상이한 심볼의 수 Nt를 포함하는 상이한 후보 패턴의 세트에 대한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을 평가하는 단계;
    최대 주파수 스팬 한계치 Fmax, 최대 이동성 측정 세션 길이 한계치 Tmax 및 최소 측정 심볼의 수 Lmin에 기초하여 주파수 및 시간 차원에서의 최소 자원 요소의 수를 갖는 MRS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은 미리 결정된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min보다 큰,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및 시간 차원에서의 자원 요소의 수는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 동안 최소화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하나의 측정 세션은 몇 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 수행되는 방법.
  11.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에서 빔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성 기준 신호(MRS)를 할당 및 송신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 있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상기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 사이의 채널의 시간 다이버시티, 상기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241, 242)의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패턴의 세트 중에서 MRS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MRS 패턴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로 시그널링하며;
    상기 선택된 MRS 패턴에 따라 상기 MRS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다이버시티, 시간 다이버시티 및 안테나 공간 다이버시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널의 채널 분산 또는 코히어런스 대역폭, 상기 채널의 도플러 확산 또는 채널 코히어런스 시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241, 242)의 안테나 요소의 수 및 안테나 요소 상관 관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13.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MRS 패턴은 어떤 초당 서브프레임의 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14.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MRS 패턴은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 동안 시간 차원에서의 간격 Dt를 갖는 심볼의 수 Nt와 주파수 차원에서의 간격 Df를 갖는 부반송파의 수 Nf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심볼의 총 수 L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에서의 안테나의 수 A, 주파수 차원에서의 부반송파의 수 Nf 및 시간 차원에서의 심볼의 수 Nt에 의해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심볼의 총 수 L 중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241, 242)에서의 독립적 안테나의 수 Ai, 부반송파의 수 Nf, 주파수 차원에서의 간격 Df와 채널 코히어런스 대역폭 Cf의 비율, 심볼의 수 Nt, 시간 차원에서의 간격 Dt와 채널 코히어런스 시간 Ct의 비율에 의해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파수 차원에서 상이한 간격 Df를 갖는 상이한 부반송파의 수 Nf 및 시간 차원에서 상이한 간격 Dt를 갖는 상이한 심볼의 수 Nt를 포함하는 상이한 후보 패턴의 세트에 대한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을 평가하며;
    최대 주파수 스팬 한계치 Fmax, 최대 이동성 측정 세션 길이 한계치 Tmax 및 최소 측정 심볼의 수 Lmin에 기초하여 주파수 및 시간 차원에서의 최소 자원 요소의 수를 갖는 MRS 패턴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은 미리 결정된 독립적 측정 심볼의 수 Mmin보다 큰,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및 시간 차원에서의 자원 요소의 수는 하나의 이동성 측정 세션 동안 최소화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20. 제 19 항에 있어서,
    하나의 측정 세션은 몇 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
  21. 컴퓨터 프로그램(541)으로서,
    네트워크 노드(211, 212, 213)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40)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541).
  22. 제 21 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542)로서,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인, 캐리어(542).
KR1020187004428A 2015-08-17 2015-08-17 이동성 기준 신호 할당 KR102027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5/068838 WO2017028894A1 (en) 2015-08-17 2015-08-17 Mobility reference signal allo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149A true KR20180030149A (ko) 2018-03-21
KR102027073B1 KR102027073B1 (ko) 2019-11-04

Family

ID=5383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428A KR102027073B1 (ko) 2015-08-17 2015-08-17 이동성 기준 신호 할당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374680B2 (ko)
EP (1) EP3338477B1 (ko)
JP (1) JP6516914B2 (ko)
KR (1) KR102027073B1 (ko)
CN (1) CN107925895B (ko)
WO (1) WO2017028894A1 (ko)
ZA (1) ZA2018000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2728B2 (ja) * 2016-09-28 2020-05-13 Kddi株式会社 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662587B1 (en) 2017-08-01 2023-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base station and a user equipment for selecting a set of beams to be monitored by said ue
CN109768818B (zh) * 2019-02-25 2020-07-28 西安交通大学 一种基于多普勒抑制的大规模天线信号空间分集发射方法
CN116456432A (zh) * 2021-12-31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发送的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3361A1 (en) * 2012-08-10 2014-02-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219237A1 (en) * 2011-06-07 2014-08-0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Time-Frequency Reference Signal Pattern Configuration in a Carrier Extension or Carrier Segment
US20150180632A1 (en) * 2012-07-25 2015-06-25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7887B2 (en) 2009-02-27 2012-01-31 Motorola Solutions, Inc. Narrowband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narrowband wideband channels in unused wideband channels
CN102334375B (zh) * 2009-04-28 2014-01-1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采用多层虚拟天线结构的移动通信方法、基站和系统
CN102143096B (zh) * 2010-07-16 2013-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物理资源块、及信道估计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KR101828836B1 (ko) * 2011-08-23 201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기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빔 스캐닝을 통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JP6068675B2 (ja) 2012-12-04 2017-01-2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コヒーレンス時間変化による参照信号のパターン変更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4088195A1 (en) * 2012-12-04 2014-06-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hanging pattern of reference signals according to movement speed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WO2014126519A1 (en) * 2013-02-12 2014-08-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lect dm-rs pattern based on channel characteristics
US9521637B2 (en) * 2013-02-14 2016-12-13 Blackberry Limited Small cel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initial synchronization
WO2015080645A1 (en)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comprising the computer programs, for receiving and sending a report, respectively
WO2015080648A1 (en) *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for receiving and sending a report compri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EP3075087A1 (en) 2013-11-27 2016-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detecting, respectively,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9237A1 (en) * 2011-06-07 2014-08-0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Time-Frequency Reference Signal Pattern Configuration in a Carrier Extension or Carrier Segment
US20150180632A1 (en) * 2012-07-25 2015-06-25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4023361A1 (en) * 2012-08-10 2014-02-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155993A1 (en) * 2012-08-10 2015-06-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44854B2 (en) 2020-05-05
EP3338477B1 (en) 2019-07-03
US10666409B2 (en) 2020-05-26
CN107925895B (zh) 2021-04-06
ZA201800064B (en) 2019-05-29
KR102027073B1 (ko) 2019-11-04
US20170054486A1 (en) 2017-02-23
US10374680B2 (en) 2019-08-06
JP2018525896A (ja) 2018-09-06
CN107925895A (zh) 2018-04-17
US20190158169A1 (en) 2019-05-23
JP6516914B2 (ja) 2019-05-22
EP3338477A1 (en) 2018-06-27
US20190181938A1 (en) 2019-06-13
WO2017028894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0377B2 (en) Communication system
CN107852201B (zh) 用于采用波束成形的drs的测量规程
CN109151922B (zh) 测量方法、测量配置方法和相关设备
KR102195157B1 (ko) 주파수 도약 기반 측위 측정
US10212646B2 (en) Method for cell discovery
KR101768352B1 (ko) 리소스 분할 없이 간섭 완화를 트리거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0971361B (zh) 一种控制信道波束指示方法及设备
JPWO2020066103A1 (ja) 基地局、端末装置、測位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7452561B2 (ja) ユーザケイパビリティに基づいたセル選択
US9973980B2 (en)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 handover decisions and related measurements
US10666409B2 (en) Mobility reference signal allocation
KR20100036906A (ko) 협력 무선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준신호의 전송방법 및 무선자원의 할당방법
RU2747052C1 (ru) Управление измерениями сигнала в беспровод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с формированием луча
JP2018538735A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シグナリングを管理するためのワイヤレスデバイス、無線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それら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
US99678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i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cell discovery
TW201931891A (zh) 接收訊號強度指示測量之方法及其使用者設備
JP571559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12423377B (zh) 用于管理小区参考符号的功率的网络节点和方法
EP33951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