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648A -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648A
KR20180029648A KR1020160117992A KR20160117992A KR20180029648A KR 20180029648 A KR20180029648 A KR 20180029648A KR 1020160117992 A KR1020160117992 A KR 1020160117992A KR 20160117992 A KR20160117992 A KR 20160117992A KR 20180029648 A KR20180029648 A KR 2018002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pain
intensity
us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6011B1 (ko
Inventor
이용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0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통증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며, 통증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피부 표면과의 사이에 음압을 조성하는 흡착 하우징, 상기 흡착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흡착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 제어 신호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피부 표면에 지압을 제공하는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AIN TREAT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본원은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증이란 특수한 신경에 대한 자극으로 인해 생기는 불쾌한 감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부위가 다소 국한되어 나타나며, 두통, 흉통, 복통, 요통, 근육통, 신경통 등을 포함한다.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온열 및 냉치료, 적외선 치료, 전기 치료, 자기장 치료, 도수 치료와 같이 전문 치료사에 의한 물리 치료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적외선, 전기 및 자기장 치료의 경우에는 적외선, 전기 및 자기장 등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장비가 이용된다.
최근 적외선, 전기 및 자기장 등을 발생시키는 장비들은 사용자가 가정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사이즈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증 치료기는 본체와 자극 모듈이 무선 일체형이 아닌 멀티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어 휴대 및 신체의 적용에 불편함을 초래하며, 또한, 복합 자극원이 아닌 단순 자극원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치료 효과에 한계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89481호(공개일: 2002.11.29)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합 자극원이 구비되되 신체 적용에 불편함이 없고 휴대가 용이한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화, 소형화, 경량화 등이 가능하고 부항 효과, 자기장 치료 효과 및 지압 효과를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피부 표면과의 사이에 음압을 조성하는 흡착 하우징, 상기 흡착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흡착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 제어 신호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피부 표면에 지압을 제공하는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하우징은, 상기 피부 표면과 상기 흡착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를 유출입시키는 공기 유출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피부 표면과 상기 흡착 하우징 사이에 조성된 상기 음압의 세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 유출입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상기 피부 표면에 제공되는 지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공기 유출입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결정하되, 상기 자기장의 유형은,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압의 세기에 대응하는 상기 공간부의 압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에서 제2 유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2개의 코일 가이드, 상기 2개의 코일 가이드의 각각과 직교하도록 상기 2개의 코일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에 감긴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피부 표면에 지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2개의 코일 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코일 가이드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펄스 전자기장(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시스템은,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피부 표면과의 사이에 음압을 조성하는 흡착 하우징, 상기 흡착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흡착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 제어 신호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피부 표면에 지압을 제공하는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하우징은, 상기 피부 표면과 상기 흡착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를 유출입시키는 공기 유출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는, 상기 공기 유출입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로서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 중 제1 통증 치료 장치가 제2 통증 치료 장치와는 다른 음압의 세기를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공기 유출입부를 선택적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증 치료 장치가 상기 제2 통증 치료 장치와는 다른 유형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되, 상기 다른 유형의 자기장은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를 이용한 통증 치료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통증 치료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기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자기장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방법은, 상기 피부 표면과 상기 흡착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를 유출입시킴으로써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상기 피부 표면에 제공되는 지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공기 유출입부의 제어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자기장 발생부를 통한 자기장 자극 및 지압 자극과 흡착 하우징에 의한 부항 치료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통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합 자극원이 구비되되 신체 적용에 불편함이 없고 휴대가 용이하며, 무선화, 소형화, 경량화 등이 가능한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에서 흡착 하우징에 의하여 음압의 세기가 조절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에서 자기장 발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자기장 자극, 지압 자극 및 부항 자극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에서 흡착 하우징에 의하여 음압의 세기가 조절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에서 자기장 발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피부 표면(1)에 흡착 가능한 통증 치료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2)을 포함할 수 있다.
간단히 살펴보면, 통증 치료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의 유출입양 제어를 통한 음압의 세기 조절, 자기장의 유형 제어 및 지압 자극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증 치료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2) 간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해 통증 치료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통증 치료 장치(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증 치료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2) 간에 수행되는 무선 통신의 일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통한 무선 통신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통증 치료 시스템(100)이 통증 치료 장치(110)를 1개만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장치와 나머지 다른 일부의 장치가 서로 다른 자기장의 유형을 갖도록 제어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음압의 세기를 갖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지압 세기를 갖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도 6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로부터 통증 치료 장치(110)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달리 말해, 통증 치료 장치(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통증 치료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증 치료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 단말(2)은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 각각을 서로 상이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즉, 자기장의 유형, 음압의 세기 및 지압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상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스마트 TV(Smart television),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통증 치료 장치(11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통증 치료 장치(110)는 흡착 하우징(10), 컨트롤러(20) 및 자기장 발생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 하우징(10)은 사용자의 피부 표면(1)에 흡착되어 피부 표면(1)과의 사이에 공간부(s)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형성된 공간부(s)에 음압을 조성할 수 있다.
흡착 하우징(10)은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질일 수 있으며, 소정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흡착 하우징(10)은 피부 표면(1)과 흡착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에 공기를 유출입시키는 공기 유출입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증 치료 장치(110)의 후술할 컨트롤러(2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제어함으로써 공간부(s)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간부(s)에 조성된 음압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일예로,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110)에서 흡착 하우징(10)이 피부 표면(10)에 부착된 기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공간부(s)에 형성된 공기가 공기 유출입부(1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공간부(s)에 조성된 음압의 세기가 커진 경우를 나타낸다.
공간부(s)에 조성된 음압은 공간부(s) 내의 압력 값이 작아질수록 음압의 세기가 커질 수 있으며, 압력 값이 커질수록 음압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일예로 도 3(a)의 경우에는 공간부(s) 내의 압력 값이 0mmHg 이고, 도 3(b)의 경우에는 공간부(s) 내의 압력 값이 -30mmHg일 수 있다. 이때, 도 3(b)의 경우는 도 3(a)의 경우보다 공간부(s) 내의 얍력 값이 낮으므로, 도 3(b)의 경우는 도 3(a)의 경우 보다 피부 표면(1)에 가해지는 음압의 세기(강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11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통한 공기의 유출입양을 제어함으로써 부항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증 치료 장치(110)를 사용자의 환부(s1)에 부착시킨 후 공간부(s) 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경우, 흡착 하우징(10)은 축소되고 공간부(s) 내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공간부(s) 내에 음압의 세기는 커질 수 있으며, 음압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 피부 표면(1)이 흡착 하우징(10)의 공간부(s) 내로 소정 흡입됨으로써 원활하지 못했던 혈류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근육이 이완될 수 있다.
공기 유출입부(11)의 제어에 기초한 음압의 세기 조절은 자기장 발생부(30)를 통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과 자기장 발생부(30)를 통해 제공되는 지압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후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컨트롤러(20)는 흡착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통증 치료 장치(1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자기장 발생부(3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 제어 외에 공기 유출입부(11)의 제어 및 자기장 발생부(30)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압 세기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자기장 발생부(30)의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a)는 자기장 발생부(30)의 전체 결합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자기장 발생부(3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자기장 발생부(30)는 흡착 하우징(10)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자기장 제어 신호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피부 표면(1)에 지압을 제공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30)는 일예로, 펄스 전자기장(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30)는 2개의 코일 가이드(31, 32), 자성체(33) 및 코일(34)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코일 가이드(31, 32)는 일예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자성체(33)는 2 개의 코일 가이드(31, 32)의 각각과 직교하도록 2개의 코일 가이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성체(33)는 2개의 코일 가이드(31, 32)의 중앙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자성체(33)는 자화력이 강한 강자성체일 수 있으며, 일예로 페라이트(ferrite) 등일 수 있다. 또한, 자성체(33)는 일단에 피부 표면(1)에 지압이 가능하도록 뾰족한 형태의 지압부(33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압부(33a)는 2개의 코일 가이드(31, 32) 중 어느 하나의 코일 가이드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30)에 포함된 지압부(33a)가 흡착 하우징(10)의 내측면에 구비되되 피부 표면(1)을 향한 방향으로 구비됨으로써,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11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통한 공기의 유출입량 제어 시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미세 혈류의 흐름을 개선함과 동시에 지압부(33a)를 통해 제공되는 지압에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코일(34)은 자성체(33)에 감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30)에 포함된 2개의 코일 가이드(31, 32) 및 자성체(33)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일예로, 2개의 코일 가이드(31, 32)는 직경이 10mm, 15mm, 20mm, 25mm 등일 수 있으며, 자성체(33)의 직경은 2mm, 3mm, 4mm, 5mm 등일 수 있다. 또한 2개의 코일 가이드(31, 32) 사이의 간격, 즉 자성체(33)의 길이는 일예로 7mm 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구체적은 수치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2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30)의 코일에 교번 전류(또는 전압), 또는 펄스형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후 자기장 발생부(30)는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코일 주위에 시변 자계(또는 시변 미약 자기장, 유도자계)를 발생시키고, 자성체를 자화시킴으로써 발생된 자속으로 피부 표면(1)을 자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장 발생부(30)를 통해 발생되는 자기장은 피부 표면(1), 특히 사용자의 피부 세포, 조직, 근육, 연골, 신경 등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체 내 이온화가 촉진될 수 있고, 신진대사 및 세포활성화가 촉진되어 염증이나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조골세포의 활성화로 인해 연골이 재생되고, 골밀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집중적으로 신경을 자극함에 따라 신경통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시변 자계의 세기는 전류의 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의 자극 빈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주파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2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자기장 발생부(3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 설정 값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자기장의 유형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자기장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자기장 제어 신호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자기장의 유형 설정 값으로는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패턴 및 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자기장 자극 모드로는 일예로, N 펄스 자극 모드, S 펄스 자극 모드, N 펄스와 S펄스의 교번 자극 모드, N 펄스 연속 자극 모드 및 S 펄스 연속 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와 같은 자기장의 유형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30)를 통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통증 치료 장치(1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 명령 정보에는 자기장 발생부(3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예를 들어,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패턴 및 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을 제어하는 정보, 공간부(s) 내에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공기 유출입부(11)의 on/off를 제어하는 정보 및 자기장 발생부(30)를 통해 제공되는 지압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명령 정보는 컨트롤러(20)에 구비된 후술할 표시부(23)를 통한 터치 입력 또는 버튼 입력 등에 기초하여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 정보를 컨트롤러(20)에 구비된 후술할 통신부(22)가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모니터링부(21), 통신부(22), 표시부(23) 및 배터리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1)는 피부 표면(1)과 흡착 하우징(10) 사이에 조성된 음압의 세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부(21)는 공간부(s) 내의 압력 값을 측정함으로써 음압의 세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압력 설정 값)를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압력 설정 값과 모니터링부(21)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압력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압력 설정 값이 현재의 압력 값보다 낮은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압력 설정 값이 -30mmHg이고, 현재의 압력 값이 -10mmHg 인 경우), 컨트롤러(2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on으로 제어하여 공간부(s)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흡착 하우징(10)은 공간부(s) 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1)는 공간부(s) 내의 압력 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공간부(s)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현재의 압력 값이 사용자가 입력한 압력 설정 값에 도달한 경우, 컨트롤러(2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off로 제어하여 공기 유출입부(11)를 통한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비교 결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압력 설정 값이 현재의 압력 값보다 높은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압력 설정 값이 -50mmHg이고, 현재의 압력 값이 -30mmHg 인 경우), 컨트롤러(2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on으로 제어하여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s) 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모니터링부(21)는 공간부(s) 내의 압력 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s) 내로 유입됨에 따라 현재의 압력 값이 사용자가 입력한 압력 설정 값에 도달한 경우, 컨트롤러(2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off로 제어하여 공기 유출입부(11)를 통한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컨트롤러(20)는 모니터링부(21)를 통해 공간부(s) 내에 압력 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압력 설정 값)에 기초하여 공기 유출입부(20)의 on/off 제어하여 공간부(s) 내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음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는 자기장 발생부(30)를 통해 피부 표면(1)에 제공되는 지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공기 유출입부(11)를 제어함으로써 음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지압의 세기가 '약'인 경우에는 압력 값이 -5mmHg인 음압의 세기를 나타내고, 지압의 세기가 '중'인 경우에는 압력 값이 -30mmHg인 음압의 세기를 나타낸다고 가정하자. 이때, 컨트롤러(20)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지압의 세기를 '약'에서 '중'으로 제어하는 제어 명령 정보(예를 들어, 지압 세기 설정 요구 값으로서, 지압 세기를 '약'에서 '중'으로 강하게 제어하는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한 경우, 컨트롤러(20)는 지압의 세기와 음압의 세기(또는 압력 값) 간에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유출입부(11)를 on으로 제어하여 공간부(s)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공간부(s) 내의 압력 값이 사용자가 요구한 지압 세기에 대응하는 압력 값에 도달한 경우, 컨트롤러(2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off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압의 세기는 '약'에서 '중'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0)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지압의 세기를 '중'에서 '약'으로 제어하는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한 경우, 컨트롤러(2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on으로 제어하여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s) 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공간부(s) 내의 압력 값이 사용자가 요구한 지압 세기에 대응하는 압력 값에 도달한 경우, 컨트롤러(20)는 공기 유출입부(11)를 off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압의 세기는 '중'에서 '약'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컨트롤러(20)는 지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공기 유출입부(11)의 on/off 제어를 통해 공간부(s) 내의 압력 값을 조절함에 따라 음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는 음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자기장 발생부(3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자기장의 유형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패턴 및 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음압의 세기에 대응하는 공간부(s)의 압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3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에서 제2 유형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유형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30)가 동작하도록 자기장 발생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는 음압의 세기에 대응하는 공간부(s)의 압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자기장 유형의 변경없이 제1 유형의 자기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반면, 음압의 세기에 대응하는 공간부(s)의 압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유형의 자기장을 제2 유형의 자기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공간부(s)의 압력 값이 -5mmHg이고, 기설정된 기준이 -20mmHg임에 따라 음압의 세기에 대응하는 공간부(s)의 압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이를 현재 음압의 세기가 낮아 자기장 발생부930)를 통한 지압의 세기가 약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고 주파수가 낮은 제1 유형의 자기장을 통증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고 주파수가 높은 제2 유형의 자기장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30)가 변경된 제2 유형으로 동작하도록 자기장 발생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는 자기장 발생부(30)를 통해 피부 표면(1)에 제공되는 지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공기 유출입부(11)의 제어를 통해 음압의 세기를 조절함과 더불어 지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자기장 발생부(3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지압의 세기가 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고 주파수가 낮은 제1 유형의 자기장을 통증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고 주파수가 높은 제2 유형의 자기장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제2 유형의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자기장 발생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컨트롤러(20)는 지압의 세기, 음압의 세기 및 자기장의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기장 발생부(30)의 동작 제어, 자기장 발생부(3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 제어, 공기 유출입부(11)의 on/off 동작 제어 및 공간부(s) 내의 압력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2)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2)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2)는 사용자 입력으로서 통증 치료 장치(110)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수신 가능한 정보로는, 자기장 발생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패턴 및 자극 모드 설정 값 등),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간부(s)의 압력 설정 값 정보, 지압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지압의 세기 설정 값(예를 들어, 약, 중, 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23)는 통신부(23)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시부(23)는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LDF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110)는 통증 치료 장치(110)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표시부(23)를 통해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배터리부(24)는 통증 치료 장치(1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110)는 자기장 발생부(3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이 사용자의 조직을 투과함에 따라 심부 조직까지 자극을 전달할 수 있으며, 비침습적이며 생체 깊숙한 부위까지 자극이 가능하여 각종 근육통, 신경통 등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무선화, 소형화 및 경량화로 인해 통증 치료 장치(110)를 이용한 통증 치료 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국소부위를 집중적으로 자극할 수 잇다.
이하에서는 통증 치료 장치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장치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각각은 앞서 설명한 통증 치료 장치(1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시스템(100)은 다채널로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각각은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각각의 채널이 진공호스 등으로 묶음화될 수 있고, 각각의 채널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on/off 제어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각각의 음압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진공 펌프, 진공 탱크 등의 수단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는 등, 배 부위의 주요 혈자리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외에 사용자가 원하는 환부 부위 어느 곳이든 부착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2)은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제어 명령 정보를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각각은 각각에 구비된 공기 유출입부를 통해 공간부 내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음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중 제1 통증 치료 장치가 제2 통증 치료 장치와는 다른 음압의 세기를 가지도록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각각에 대응하는 공기 유출입부를 선택적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중 제1 통증 치료 장치가 제2 통증 치료와는 다른 유형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다른 유형의 자기장이라 함은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패턴 및 자극 유형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 통증 치료 장치는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중 일부를 의미하고, 제2 통증 치료 장치는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중 나머지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는 2개의 그룹으로서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와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는 3개의 그룹으로서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4), 제2 통증 치료 장치(112, 115) 및 제3 통증 치료 장치(113, 116)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통증 치료 장치의 그룹 구분은 본원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가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114, 115, 116) 중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된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와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는 서로 다른 음압의 세기를 가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의 음압의 세기는 '강'으로 제어되고,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의 음압의 세기는 '약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와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의 음압의 세기를 달리 제어하기 위해,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와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 각각에 구비된 공기 유출입부의 on 제어 시간은 달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의 음압의 세기가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의 음압의 세기보다 크므로,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의 공기 유출입부의 on 제어 시간은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의 공기 유출입부의 on 제어 시간보다 길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 각각의 공간부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배출)되는 양이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 보다 많아져 음압의 세기가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에 비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와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는 서로 다른 유형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증 치료 장치(111, 112, 113)의 자기장의 유형은 제1 유형으로 제어되고, 제2 통증 치료 장치(114, 115, 116)의 자기장의 유형은 제2 유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통증 치료 방법은 앞서 설명된 통증 치료 장치(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통증 치료 장치(1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7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710에서는, 통증 치료 장치(110)가 사용자로부터 통증 치료 장치(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명령 정보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고, 또는 표시부(2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720에서는, 컨트롤러(20)가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기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730에서는,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30)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740에서는, 단계S730에 의하여 자기장 발생부(30)를 통해 자기장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기장 발생부(30)에 구비된 자극부(33a)를 통해 지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치료 방법은, 컨트롤러(20)가 사용자의 피부 표면(1)과 흡착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에 공기를 유출입시킴으로써 음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20)는 자기장 발생부(30)를 통해 피부 표면(1)에 제공되는 지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공기 유출입부(11)의 on/off를 제어함으로써 음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4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증 치료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통증 치료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통증 치료 시스템
110: 통증 치료 장치
10: 흡착 하우징
20: 컨트롤러
30: 자기장 발생부

Claims (17)

  1.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피부 표면과의 사이에 음압을 조성하는 흡착 하우징;
    상기 흡착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흡착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 제어 신호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피부 표면에 지압을 제공하는 자기장 발생부,
    를 포함하는 통증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하우징은,
    상기 피부 표면과 상기 흡착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를 유출입시키는 공기 유출입부,
    를 포함하는 것인, 통증 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피부 표면과 상기 흡착 하우징 사이에 조성된 상기 음압의 세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 유출입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인, 통증 치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상기 피부 표면에 제공되는 지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공기 유출입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인, 통증 치료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결정하되,
    상기 자기장의 유형은,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통증 치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압의 세기에 대응하는 상기 공간부의 압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에서 제2 유형으로 변경하는 것인, 통증 치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2개의 코일 가이드;
    상기 2개의 코일 가이드의 각각과 직교하도록 상기 2개의 코일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에 감긴 코일,
    을 포함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피부 표면에 지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2개의 코일 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코일 가이드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압부를 포함하는 것인, 통증 치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
    를 포함하는 것인, 통증 치료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펄스 전자기장(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을 발생시키는 것인, 통증 치료 장치.
  10. 통증 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피부 표면과의 사이에 음압을 조성하는 흡착 하우징, 상기 흡착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흡착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 제어 신호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피부 표면에 지압을 제공하는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통증 치료 시스템.
  11. 제10에 있어서,
    상기 흡착 하우징은,
    상기 피부 표면과 상기 흡착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를 유출입시키는 공기 유출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는,
    상기 공기 유출입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인, 통증 치료 시스템.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로서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 중 제1 통증 치료 장치가 제2 통증 치료 장치와는 다른 음압의 세기를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공기 유출입부를 선택적으로 달리 제어하는 것인, 통증 치료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증 치료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증 치료 장치가 상기 제2 통증 치료 장치와는 다른 유형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되,
    상기 다른 유형의 자기장은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인, 통증 치료 시스템.
  14.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피부 표면과의 사이에 음압을 조성하는 흡착 하우징, 상기 흡착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흡착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 제어 신호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피부 표면에 지압을 제공하는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증 치료 장치를 이용한 통증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통증 치료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기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기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자기장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압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증 치료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표면과 상기 흡착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를 유출입시킴으로써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증 치료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상기 피부 표면에 제공되는 지압의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공기 유출입부의 제어를 통해 조절하는 것인, 통증 치료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117992A 2016-09-13 2016-09-13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84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92A KR101846011B1 (ko) 2016-09-13 2016-09-13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92A KR101846011B1 (ko) 2016-09-13 2016-09-13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648A true KR20180029648A (ko) 2018-03-21
KR101846011B1 KR101846011B1 (ko) 2018-04-05

Family

ID=6190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992A KR101846011B1 (ko) 2016-09-13 2016-09-13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6938A1 (ko) * 2021-07-12 2023-01-19 박중현 다기능 부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598B1 (ko) 2022-09-26 2023-04-14 주식회사 엠엔 자기장 방식의 통증완화기기 및 그 통증완화기기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222B1 (ko) 2015-01-29 2016-04-01 주식회사 디알메디칼 자기장 치료를 위한 자기장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718129B1 (ko) 2016-04-07 2017-03-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손목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6938A1 (ko) * 2021-07-12 2023-01-19 박중현 다기능 부항기
KR20230010300A (ko) * 2021-07-12 2023-01-19 박중현 다기능 부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011B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572Y1 (ko)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자기장 생성 장치
ES2926904T3 (es)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estético de estructuras biológicas mediante radiofrecuencia y energía magnética
US10625077B2 (en) Portable body slimmer to stimulate core muscle with Russian current
KR20220103777A (ko) 근육 자극 위한 고주파수 및 저주파수 듀티 사이클의 교번
KR101412729B1 (ko) 전기 자극, 광 및 자기장을 이용한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6011B1 (ko)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7463659B2 (ja) 電気刺激装置
CN111840800A (zh) 利用磁场的便携式刺激治疗装置
KR20180089683A (ko) 목 부위 자극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9731220A (zh) 超便携理疗仪
JP2015053943A (ja) 電気治療器
KR102097129B1 (ko) 피부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주파 미세전류 치료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5496753B (zh) 基于音频控制的大脑共振的数据处理系统、按摩仪及方法
KR101901215B1 (ko)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KR101123086B1 (ko) 전자파 방사기능을 갖는 안면 팩
JP2023501843A (ja) 振動生成器
KR101341388B1 (ko) 멀티채널 뜸장치
KR101417386B1 (ko)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자기 치료 장치
CN212854314U (zh) 一种便携式的音乐理疗装置
CN209662444U (zh) 超便携理疗仪及美容仪、经颅微电流刺激仪和按摩仪
EP2566579B1 (en) Medical device for magnetotherapy
KR101089515B1 (ko) 전신군살 제거 및 피부 리프팅이 가능한 기능성 마사지기
EP3883639B1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applying frequency and peak voltage having inverse relationship
KR101224438B1 (ko) 전신군살 제거기구
WO20192261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психических расстройств и релакс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