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553A -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553A
KR20180029553A KR1020160117737A KR20160117737A KR20180029553A KR 20180029553 A KR20180029553 A KR 20180029553A KR 1020160117737 A KR1020160117737 A KR 1020160117737A KR 20160117737 A KR20160117737 A KR 20160117737A KR 20180029553 A KR20180029553 A KR 20180029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ilet
function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613B1 (ko
Inventor
엄정범
Original Assignee
엄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범 filed Critical 엄정범
Priority to KR102016011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6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9Accessories 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e.g. music boxes, clocks, heating devices or shel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에 의해 탈취, 방향제, 무드 기능등의 복합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에 대한 발명으로, 본 발명의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는 중앙 연통홀을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중앙에 구비되는 복합 기능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기능관은 두루마리 휴지의 중앙홀을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기능관은, 상기 중앙 연통홀과 연통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을 덮을 수 있는 방향제 덮개 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탈취 카트리지 유닛 및 블로워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Toilet roll case having Multi function}
본 발명은 복합기능을 가지는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현재 화장실에서는 탈취, 방향, 조명 등을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각각의 목적을 가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실의 다기능에 따라, 부족한 화장실의 공간활용도를 저해하는 요인들로 작용하게 되었다. 또한, 액상의 방향제, 탈취제 등을 적용하면서, 곰팡이 등의 세균 번식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이에 화장실의 공간활용도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다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복합 장치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화장지 케이스에 상기 복합기능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기구 구성에 의해 탈취, 방향, 무드 기능 등의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는, 중앙 연통홀을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중앙에 구비되는 복합 기능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기능관은 두루마리 휴지의 중앙홀을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기능관은, 상기 중앙 연통홀과 연통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을 덮을 수 있는 방향제 덮개 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탈취 카트리지 유닛 및 블로워팬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로, 상기 방향제 덮개 유닛의 전면부에는 반고체형태로 응고된 방향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형태로, 상기 커버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 기능관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LED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 상기 탈취 카트리지 유닛은 소결된 세라믹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 상기 커버부 전면부에는 화장실의 공기상태 및 빛의 명암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정보에 의해, 상기 블로워팬 유닛 및/또는 LED 조명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 없이, 휴지 케이스 하나로 탈취, 방향, 무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휴지 케이스 하나로 복합기능을 달성함으로써, 화장실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가 오픈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복합 기능관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가 닫힌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특징으로 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는, 중앙 연통홀을 가지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 중앙에 구비되는 복합 기능관(300); 및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지케이스를 구성하는 몸체부(100), 커버부(200)는 통상의 사각형, 원형 등의 모든 형상이 가능하다. 다만, 복합 기능관(300)의 역할을 위해 몸체부(100)는 외부와 연통되는 중앙 연통홀이 형성 될 수 있다. 중앙 연통홀은 흡입되는 공기의 필터를 위해 거름망과 같은 필터를 입구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00)의 중앙에도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홀은 복합 기능관(300)의 기능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복합 기능관(300)은 몸체부의 중앙에 배치됨으로써, 두루마리 휴지의 중앙홀에 결합되어 두루마리 휴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기능관(300)은 상기 중앙 연통홀과 연통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유닛(310); 상기 하우징(310)을 덮을 수 있는 방향제 덮개 유닛(320);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안착되는 탈취 카트리지 유닛(400); 및 상기 탈취 카트리지 유닛(400) 상부에 배치되는 블로어팬 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 기능관(300)의 외부 형상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과 이에 결합하는 방향제 덮개 유닛(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몸체부(100)의 중앙연통홀과 연통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310) 하단은 몸체부에서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착탈 돌기(3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복합 기능관(300)은 휴지 케이스 몸체부(100)에서 착탈이 가능하므로, 필터식으로 복합 기능관(300) 전체를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부품만을 교체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방향제 덮개 유닛(320)은 상기 하우징(310)과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방향제 덮개 유닛(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에 다수의 원형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에는 반고체형태로 응고된 방향물질을 포함하여 방향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본 방향 기능은 후술한 블로워팬(blower fan) 유닛(500)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기능관(300) 내부에는 탈취 카트리지 유닛(400), 블로워팬 유닛(500), 조명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취 카트리지 유닛(400)은 탈취 기능을 가지는 소결된 세라믹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합필터를 함께 포함하여 외부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 탈취 카트리지 유닛(400) 전면부에는 다수의 원형홀이 형성되어 공기순환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블로워팬 유닛(500)은 공기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닛으로, 발생된 공기압은 상기 방향제 덮개 유닛(320) 및 탈취 카트리지 유닛(400)에 작용하여 방향성 및 탈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블로워팬 유닛(500)은 회전날개의 작용에 의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탈취 기능을 가지는 세라믹 볼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헤파필터 사용시 발생하였던, 곰팡이 등의 세균번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유해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가스의 분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블로원팬 유닛(500)은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제 덮개 유닛(320)과 탈취 카트리지 유닛(400)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적은 에너지로 방향제 및 탈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탈취 카트리지 유닛(400)을 통과한 공기를 방향제 덮개 유닛으로 전달함으로써 탈취된 공기를 정화하여 향기로운 공기를 순환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명부(600)는 복합 기능관 내부의 맨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조명부(600)는 복수의 LED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LED 유닛은 커버부가 반투명 또는 투명으로 구성할 경우에 어두운 화장실에서 화장지 케이스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화장지 케이스의 다양한 디자인을 형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블로어팬 유닛(500) 구동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화장실의 공기 오염 정도를 알릴 수 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부(200) 전면부에 화장실의 공기상태 및 빛의 명암 상태를 자동 센싱할 수 있는 센싱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800)에 의해 센싱된 정보에 의해, 상기 블로워팬 유닛(500) 및/또는 LED 조명부(6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복합 기능관(3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로어팬 유닛(500), 센서부(800) 및 제어부(70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서 구동될 수도 있지만, 건전지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것이, 단전시 작동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LED 조명부(600)를 통해 단전된 화장실에서 화장지 케이스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100 : 몸체부
200 : 커버부
300 : 복합 기능관
310 : 하우징 유닛
320 : 방향제 덮개 유닛
400 : 탈취 카트리지 유닛
500 : 블로워팬 유닛
600 : 조명부
700 : 제어부
800 : 센싱부

Claims (5)

  1. 중앙 연통홀을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중앙에 구비되는 복합 기능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기능관은 두루마리 휴지의 중앙홀을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기능관은,
    상기 중앙 연통홀과 연통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을 덮을 수 있는 방향제 덮개 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탈취 카트리지 유닛 및 블로워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덮개 유닛의 전면부에는 반고체형태로 응고된 방향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 기능관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LED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취 카트리지 유닛은 소결된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전면부에는 화장실의 공기상태 및 빛의 명암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정보에 의해, 상기 블로워팬 유닛 및/또는 LED 조명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KR1020160117737A 2016-09-13 2016-09-13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KR10185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737A KR101850613B1 (ko) 2016-09-13 2016-09-13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737A KR101850613B1 (ko) 2016-09-13 2016-09-13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53A true KR20180029553A (ko) 2018-03-21
KR101850613B1 KR101850613B1 (ko) 2018-04-19

Family

ID=6190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737A KR101850613B1 (ko) 2016-09-13 2016-09-13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71B1 (ko) * 2018-08-02 2020-12-09 김동현 휴지심 형상 방향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613B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842B1 (ko) 향기 분사 장치
DE602004020989D1 (de) Flammenlose kerze mit lufteinlasskammer und luftauslasskammer
USD537517S1 (en)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blower housing
BRPI0416423A (pt) ar condicionado que melhora a percepção do usuário
US20090122516A1 (en) Aroma lamp
ATE360786T1 (de) Innenraumeinheit einer klimaanlage
BRPI0415719A (pt) unidade interna de ar condicionado
JP2016114283A (ja) イオン発生機
KR101850613B1 (ko) 복합기능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
KR20200043137A (ko) 아로마 디퓨저가 구비되는 가습기
KR20230034227A (ko) 펫 드라이룸
ATE511864T1 (de) Klimaanlage
TWM545217U (zh) 雙層空氣淨化燈
CN212842389U (zh) 杀菌净味装置和冰箱
CN209915825U (zh) 一种毛巾烘干机及具有该毛巾烘干机的智能毛巾架
CA96911S (en) Cartridge for an air freshener
JP4274878B2 (ja) 加湿器
KR20210121964A (ko) 스마트 다기능 방향제 확산시스템
CN215723921U (zh) 吊顶灯净化机结构
JP5147127B2 (ja) 送風式薬剤放散装置
KR102400004B1 (ko) 다기능 행거봉
CN215714115U (zh) 衣物处理设备
CN108146868A (zh) 带杀菌消毒和干燥功能的助听器收纳盒
ATE493155T1 (de) Vorrichtung zum desodorieren von räumen
JP2007143784A (ja) 消臭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