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419A -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419A
KR20180028419A KR1020180011159A KR20180011159A KR20180028419A KR 20180028419 A KR20180028419 A KR 20180028419A KR 1020180011159 A KR1020180011159 A KR 1020180011159A KR 20180011159 A KR20180011159 A KR 20180011159A KR 20180028419 A KR20180028419 A KR 2018002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protection
head
protection uni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뷰
Priority to KR102018001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8419A/ko
Publication of KR2018002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치료를 위한 방사선 촬영에 있어 암의 발현 가능성이 큰 장기인 갑상선에 대한 방사선 방호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고, 진단 영상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두부 내 뇌와 안구 부위에 대한 방사선 차폐도 가능한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는: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해서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한 전방 방호부;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해서 상기 갑상선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방 방호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후방 방호부; 상기 신체에 착용 가능하며,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가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와 후방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를 지지하는 서포트 웨어(Support Wear); 그리고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 중 적어도 하나와 피부의 밀착을 강화하기 위한 피부접촉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 방호부와 전방 방호부 사이의 측면 구간은 방사선에 노출된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Radiation Protection Equipment for Radiography}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파노라마 촬영이나 두개골 촬영 등의 방사선 영상촬영에서 암의 발현 가능성이 큰 장기인 갑상선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두부 내의 조직 예를 들면 뇌와 안구 부위에 대한 방사선 차폐를 구현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촬영장치(X-ray equipment)는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방사선 검출기로 감지하여 피사체의 내부를 영상화하여 볼 수 있는 장치로서, 병원에서 환자의 진단이나 공항 등에서의 수하물 검사나 건축/토목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 방사선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므로, 비록 소량의 방사선에 인체 조직이 노출되더라도 유전자 또는 세포가 변형을 일으킬 수 있어서 각종 암의 발생원인이 될 수 있고, 유전적 변이가 발생하면 한 세대에 국한되지 않고 다음 세대로 유전될 수 있으므로, 방사선 촬영시에 과도한 방사선에 노출되거나 불필요하게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진단 등의 목적을 위해 인체 조직에 대한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는 경우, 진단학적 정보가 요구되는 조직 이외의 불필요한 영역이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사선 방호복이나 보호대의 착용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는 피검자를 위한 별도의 보호장구가 없는 실정이다.
한편, 치과에서 사용되는 치과 파노라마(Dental Panorama)를 비롯한 방사선 촬영장치의 사용 목적은, 다양한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악골(턱뼈)의 크기와 외형, 수직적 및 수평적 축을 따라 변화되는 골의 해부학적 변이의 인지와 더불어, 악골 내에 존재하는 병적인 요소 및 시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를 시술자(치과의사)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며, 상기 방사선 촬영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학적 정보는 환자에게 최적의 시술을 수행하고 시술 후 장기적인 성공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정보로서 치료계획의 수립 단계 및 그 후의 전 과정에 걸쳐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방사선 영상 촬영법은 대부분이 관심영역의 해부학적 구조에 방사선(X-ray)을 조사해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으로서, 치과적 치료를 위해 활용되는 방사선 영상의 예를 들자면, 치아를 포함한 치조골 및 안면골에 대한 영상을 평면적(2D)으로 전사하는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Panoramic x-ray image, 이하 '파노라마 영상'이라 약칭함), 그보다 정밀하게 입체적(3D)으로 촬영한 CT(Computerized tomography) 영상, 그리고 환자의 두부(頭部)를 전방에서 후방, 후방에서 전방, 좌측 또는 우측에서 촬영한 세팔로 영상(Cephalometric image) 등이 있다.
특히, 구외 방사선 검사법의 하나인 파노라마 방사선 촬영법은 치과 병의원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는 방사선 영상 촬영법으로서, 파노라마 방사선 장비의 치과 보급율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 빈도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대국민 방사선 노출량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검사법이다.
상술한 방사선 영상 촬영법에서, 목 부분에 위치하는 갑상선은 방사선에 의한 암의 발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취약 장기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 방호가 필요하나, 방호장비의 사용은 방사선 영상 촬영법을 통해 진단영상에 인공음영, 특히 메탈 아티팩트(Metal Artifact)를 형성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방사선 영상 촬영시에 적절한 방호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사선으로부터 갑상선을 보호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갑상선 보호를 위해 목 둘레에 방사선 차폐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방사선 차폐부재가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 인공음영(artifact)을 형성하기 때문에 방호장비의 사용에 제약이 있다.
치과 영역에서의 진료를 위한 방사선 촬영 중, 파노라마 영상 촬영시의 방사선 노출에 따른 문제 및 방사선 차폐에 따른 진단 영상의 인공음영 문제를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 시에는 방사선의 관구가 환자의 후방부위에서 부채살 또는 콘(Cone) 모양으로 방사선을 노출하며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영상을 취하는 단층촬영(tomography)과 슬릿모양의 시준기를 통과하며 시간 순차적으로 영상을 스캔하는 스캐노그라피(scanography)의 두 가지 촬영원리가 적용되어 영상을 형성한다.
도 1a는 정상적인 촬영범위로 촬영된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을 예시한 참고사진으로서, 상기 방사선 영상은 경추, 안구, 측두골, 상/하악골 및 설골을 포함하는 촬영범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b의 (가)는 화질 평가용 팬텀(phantom)(Dental Head Phantom 모델 76-606DX, CIRS Co., USA)에 방사선 차폐기구나 장치 기타의 방사선 보호대가 착용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팬텀을 촬영한 파노라마 영상으로서, 이 경우 정상적인 촬영범위로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는 있으나, 도 1b의 (가)에 나타난 영상은 도 1b의 (나)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갑상선이 방사선으로부터 차폐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것이므로 갑상선이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가)는 화질 평가용 팬텀(P)에 비교예의 방사선 차폐용 방호장비가 착용된 상태에서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이고, 도 2의 (나)는 도 2의 (가) 영상을 제공하는 비교예의 방사선 차폐용 방호장비가 착용된 화질 평가용 팬텀(P)의 정면 및 후면 영상으로서, 이들을 참조하면 인공음영이 파노라마 영상에 진단학적 가치를 심각하게 저하시키고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국제공개특허 WO 2007/149363호(2007년12월27일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58290호(2014년10월27일 등록)
본 발명은, 방사선에 대해 취약한 장기인 갑상선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고, 파노라마 촬영을 포함한 제반 방사선 영상 촬영에 있어 방사선 영상에 인공음영(artifact) 등의 장애 영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진단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갑상선에 대한 방사선 방호와 함께, 뇌와 안구 등과 같이 두부에 존재하는 조직에 대한 추가적인 방사선 방호를 수행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방사선 촬영장치에서 출사되는 방사선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는;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해서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한 전방 방호부;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해서 상기 갑상선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방 방호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후방 방호부; 상기 신체에 착용 가능하며,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가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와 후방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를 지지하는 서포트 웨어(Support Wear); 그리고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 중 적어도 하나와 피부의 밀착을 강화하기 위한 피부접촉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 방호부와 전방 방호부 사이의 측면 구간은 방사선에 노출된다.
상기 피부접촉 유도부는;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 사이의 탄력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방호부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밴드는,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밴드의 일단은 상기 전방 방호부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밴드의 타단은 상기 후방 방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방호부는, 상기 탄성 밴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는, 상기 후방 방호부의 전면과 상기 피부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방호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방호부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해서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한 전방 방호부;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해서 상기 갑상선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방 방호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후방 방호부; 상기 신체에 착용 가능하며,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가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와 후방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를 지지하는 서포트 웨어(Support Wear); 그리고 상기 후방 방호부의 전면과 상기 피부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방호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방호부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 방호부와 전방 방호부 사이의 측면 구간은 방사선에 노출되는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후방 지지대는; 상기 후방 방호부가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방호부를 지지한다.
상기 후방 지지대는; 상기 후방 방호부의 자세유지를 위하여, 상기 후방 방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방 방호부와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 판상(板狀)의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지지대는; 상기 후방 방호부를 전방으로 탄력 지지할 수도 있으며, 방사선 차폐가 가능한 재질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는; 두부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두부에 착용 가능한 두부 방호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두부 방호유닛은, 방사선 방호범위의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두부 방호유닛은; 상기 두부의 후방을 방호하도록 후두 차폐부를 가지며, 상기 두부에 착용 가능한 방사선 방호용 헤드 커버, 그리고 상기 헤드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두부 방호유닛의 방사선 방호범위를 조절하는 방사선 바이저(Vis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바이저는; 상기 두부 방호유닛의 하측 방호한계를 조절하도록, 상기 헤드 커버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후방 방호부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6cm 이내의 범위와 좌우측으로 각각 8cm 이내의 범위를 방사선 방호하도록, 상기 전방 차폐부의 후방에 대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방호부는; 좌측 방호한계가 좌측 외이공을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좌측 세로선에서 상기 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3cm 이상이 되는 지점이고, 우측 방호한계가 우측 외이공을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우측 세로선에서 상기 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3cm 이상이 되는 지점이며, 상기 후방 방호부의 상측 방호한계는 4번 경추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전방 차폐부의 후방에 대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에 있어 암의 발현 가능성이 큰 장기인 갑상선에 대한 방사선 차폐가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방호부분이 신체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방사선 영상에 과도한 인공음영이나 장애 영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갑상선의 효과적인 보호는 물론 방사선 촬영시 방사선에 피폭되는 주요 장기인 두부 내의 뇌와 안구 부위에 대해서도 적절한 방호가 이루어지므로, 방사선 촬영시 방사선으로부터 안전성이 한층 더 높게 확보될 수 있고, 방사선 촬영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담감이 경감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는, 구내방사선, 구외방사선, 두부규격촬영, 전산화단층촬영 등 치과방사선 촬영 전반에 걸쳐 적용 가능하므로 그 유용성이 매우 높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는, 파노라마 촬영뿐만 아니라 구외촬영과 두부규격촬영 시에도 관심영역 및 경추와 기도에 대한 영상화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사선 영상활영에 적극 활용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전산화단층영상(CB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촬영 시, 경부에서 방사선 차폐되는 영역이 180도 이하이므로, 영상의 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절한 갑상선의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파노라마 촬영 및 치과용 전산화단층영상 촬영 이외에 악안면 및 경부 영역의 방사선 촬영에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두부 내의 뇌와 안구 부위에 대한 방사선 방호가 가능하고, 그늘막처럼 방사선 차폐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개인별 체형의 다양성이나 방사선 촬영목적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방사선 방호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반적인 방사선 검사 시에 필수적인 방사선 방호용품이 되어 방사선의 위해로부터 환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하면서 정확한 진단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a는 정상적으로 촬영된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을 예시한 참고사진;
도 1b의 (가)는 화질 평가용 팬텀(phantom)을 촬영한 것으로서,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보호대가 착용 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이고, 도 1의 (나)는 화질 평가용 팬텀의 정면 및 배면 사진;
도 2의 (가)는 화질 평가용 팬텀에 비교예의 방사선 차폐용 보호대가 착용된 상태에서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이고, 도 2의 (나)는 비교예의 방사선 차폐용 보호대가 착용된 화질 평가용 팬텀의 정면 및 배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갑상선 보호를 위한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모식도;
도 4는 도 3의 배면 모식도;
도 5는 도 3의 측면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 7은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상방 및 측방에 대한 연장한계 설정을 위해 팬텀에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호장비를 착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사진;
도 8은 후방 방호부의 위치 변화에 따른 방사선 영상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후방 방호부와 후방 지지대를 나태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e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후방 방호부의 방사선 방호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참고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 모식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배면 모식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측면 모식도; 그리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방사선 바이저가 위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에서 방사선을 차단(차폐)하는 구성 예를 들면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 등의 구성요소는, 납(Pb) 등과 같이 방사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방사선 차단재)을 가진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를 지지하는 서포트 웨어 역시 방사선 차단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 등의 구성요소는 천이나 가죽이나 합성수지 등에 의해 피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실시 예 1]
우선, 본 발명의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일 실시 예에 대해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를 나타낸 것으로서, 갑상선 보호를 위한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모식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전개도이다.
또한, 도 7은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상방 및 측방에 대한 연장 한계 설정을 위해 팬텀에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호장비를 착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방사선 방호장비의 갑상선 보호를 위한 피부와의 긴밀접촉 작용을 기존의 방사선 방호장비와 비교하여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며, 도 9와 도 10은 후방 방호부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11a 내지 도 11e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방사선 방호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참고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1, 이하 '방호장비'라 약칭함)는 경부의 후방부위와 전방부위에서 방사선을 차폐하고 경부의 측면구간은 방사선에 노출되는 구조(방사선이 통과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하되, 갑상선을 보호하는 방사선 방호부가 피부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함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경부의 후방으로 입사되는 방사선으로부터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단하는 방사선 방호재가 피부에 밀착 접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방사선의 산란선에 의한 2차적 조사로부터 갑상선이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경부 전방부위를 차단하는 방사선 방호재도 피부에 밀착 접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방사선 영상에 인공음영(artifact)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진단 영상의 품질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호장비(1)는,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는 전방 방호부(110)와, 상기 전방 방호부를 지지하는 서포트 웨어(Support Wear; 120)와, 경부(頸部)의 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도록 상기 서포트 웨어(120)에 구비되는 후방 방호부(130)와,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 중 적어도 하나와 피부의 밀착을 강화하기 위한 피부접촉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 방호부(130)는 상기 전방 방호부(110)의 반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 사이의 측면 구간은 방사선이 통과하도록 방사선에 노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후방 방호부(130)는 좌측 외이공과 우측 외이공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세로선(L) 즉 좌측 세로선과 우측 세로선의 후방 영역에서 방사선을 차단하도록 상기 서포트 웨어(120)에 구비된다.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 사이의 측면 구간은, 빈 영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차단될 수도 있다.
상기 피부접촉 유도부는, 상기 전방 방호부(110)를 경부의 전방에 접촉시키거나, 상기 후방 방호부(130)를 경부의 후방에 접촉시키는 구조가 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피부접촉 유도부는,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를 탄력적으로 연결해서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를 모두 경부에 접촉시키는 탄성 밴드(300; Elastic Band)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 밴드(300)에 의해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 사이가 탄력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자가 상기 방호장비를 착용하면, 상기 전방 방호부(110)가 목 앞부분의 전면 피부에 밀착되고, 상기 후방 방호부(130)는 목 뒷부분의 피부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 중 하나는, 벨크로나 후크나 단추 등의 결합장치에 의해, 상기 피부접촉 유도부 즉 상기 탄성 밴드(3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 사이의 측면 구간이 상기 탄성 밴드(300)에 의해 차단된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의 탄성 밴드(300)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재질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 사이의 측면 구간은 방사선에 노출되는 구간이므로,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를 연결하는 탄성 밴드(300)가 방사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밴드(300)의 일단은 상기 전방 방호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밴드(300)의 타단은 상기 후방 방호부(130)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경부의 좌우측에 각각 탄성 밴드(300)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루프(Loop) 형상을 갖는 탄성 밴드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가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방호장비(1)는, 상기 피부접촉 유도부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밴드(300)와 더불어, 상기 후방 방호부(130)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지지대(500)는,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전면과 상기 피부(목의 뒷부분)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상기 서포트 웨어(120)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방호부(130)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는 상기 피부접촉 유도부와 상기 후방 지지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상기 피부접촉 유도부와 상기 후방 지지대(500)를 모두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후방 지지대(500)는 상기 후방 방호부(130)가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웨어(1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방 지지대(500)는 상기 서포트 웨어(12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전방 기울어짐(이하, '전방 경사'라 약칭하기로 한다)를 유도 또는 유지해서 후방 방호부(130)가 피부에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인체공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방 지지대(500)는 방사선 차폐가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방호부(130)와 후방 지지대(500)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후방 프레임이라 할 때, 상기 후방 프레임의 전면은 경부와 등의 만곡에 맞추어 곡률진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후방 지지대(500)는 판상(板狀)의 구조체로서, 상기 후방 방호부(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후방 지지대(500)는 등의 상측 부분에 마운트(Mount)되어 상기 후방 방호부(130)와 일정 각도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후방 방호부(130)는 상기 후방 지지대(500)의 상부에 내장될 수도 있고, 상기 후방 지지대(500)의 상부에 외장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후방 지지대(50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부접촉 유도부(300) 및/또는 후방 지지대(500)에 의해 상기 후방 방호부(130)가 목 뒤에 밀착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방사선 방호범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후방 방호부(130)가 뒤로 젖혀져서 방사선원에 근접(예를 들면 도 8의 기존위치로 표시된 위치)해서 차폐범위가 불안정적으로 확대(b --> b')됨으로 인한 인공음영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후방 지지대(500)의 일 실시 예는, 상기 후방 방호부(130)를 전방으로 탄력 지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방 지지대(500)가 베이스 서포터(500a)와 상부 서포터(500b)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서포터(500b)에 상기 후방 방호부(130)를 형성하는 방사선 차폐재가 내장 또는 외장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서포터(500b)는 상기 베이스 서포터(500a)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서포터(500b)가 상기 베이스 서포터(50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탄성부재(510)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면, 상기 상부 서포터(500b)의 피부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션 스프링(510)이 상기 상부 서포터(500b)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520)에 구비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511)이 상기 베이스 스포터(500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512)이 상기 상부 서포터(500b)에 의해 지지되면, 상기 상부 서포터(500b)가 초기 위치로의 복원력을 받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 서포터(500b)와 베이스 서포터(500a)가 이루는 초기 각도가 경부와 등의 연결 만곡 즉 표면 만곡보다 크게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 서포터(500b)가 등과 경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표면 만곡보다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기 베이스 서포터(500a)에 연결되어 있을 때, 피검자가 상기 방호장비(1)를 착용하면, 경부에 의해 상기 상부 서포터(500b)가 후방으로 가압되고 그 반작용에 의해 상기 상부 서포터(500b)가 전방으로 탄력 지지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피부 밀착성이 강화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서포터(500b)와 상기 베이스 서포터(500a)가 판 스프링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 서포터(500b) 자체가 방사선 차폐 기능을 하므로, 상기 상부 서포터(500b)를 상기 후방 방호부(130)라 칭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서포터(500b)와 상기 베이스 서포터(500a)는 골격의 유지가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상부 서포터(500b) 전체가 방사선 차폐성 재질로 제조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서포터 자체가 후방 방호부(130)로 기능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 서포터(500b)의 전면에 상기 후방 방호부(130)가 고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며,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서포터에 상기 후방 방호부가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 지지대(5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서포터(500a)와 상부 서포터(500b)는, 금속 혹은 플라스틱 등과 같이 형태 안정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전방 경사를 유도하도록 등과 목의 표면 만곡에 맞춰서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피부 밀착성 강화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탄성 밴드(600)와 같은 피부접촉 유도부와 후방 지지대(500)가 함께 설치된 구조가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밴드(300) 및 후방 지지대(500) 중 어느 하나만 상기 방호장비(1)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방호장비(1)의 후방 방호부(130)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우는 각각 최대 9cm 이내, 보다 상세하게는 8cm 이내의 차폐 범위(W)를 가지며, 상방향으로는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최대 6cm 이내에서 차폐범위(H)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후방 방호부(130)가,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 우측 각각 8cm까지 차폐하고,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까지 차폐하나, 환자의 신체조건(경부의 길이나 굵기 등)이 다를 수도 있음을 감안할 때 경부 후방부위의 차폐범위 즉 후방 방호부(130)의 방사선 방호범위가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좌우측 차폐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좌, 우측 외이공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지나는 세로선(L)을 기준으로 하여 차폐범위(방사선 방호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세로선을 기준으로 후방(경부의 둘레방향)으로 2cm, 보다 바람직하게는 3cm가 되는 영역이 경부의 후방부위에 대한 좌/우측 최대 차폐한계가 되며, 이 범위 내에서 경부 후방부위의 좌, 우측 차폐범위가 설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경부 후방부위의 좌, 우측 차폐범위는 상기 세로선에서 후방으로 3cm가 되는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 결정된다.
이는, 상기 경부 후방부위의 차폐하는 구성 즉 후술하는 후방 방호부(130)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상기 세로선(L)을 기준으로 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3cm, 특히 2cm가 되는 지점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파노라마 영상에 인공음영의 발생정도가 심화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이다. 예컨대, 만약 상기 세로선에서 후방으로 2cm가 되는 영역을 넘어서 전방으로 차폐범위가 침범하게 되면 파노라마방사선 촬영시 인공음영이 과도하게 생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 우측 각각 8cm 이내에서 차폐하되, 외이공을 지나는 상기 세로선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3cm까지는 차폐하지 않도록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좌우측 차폐범위가 설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상방향 차폐범위에 있어서는 4번 경추를 기준으로 하여 차폐범위(차폐높이)를 설정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 방호부(130)가 최대 4번 경추까지만 차폐되도록 경부 후방부위의 상방향 차폐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는 4번 경추 위쪽까지 차폐될 경우에는 파노라마 영상에 인공음영이 과도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범위 내에서 차폐가 되도록 하되, 4번 경추를 넘어서 그 위쪽 영역까지 차폐되지는 않도록(최대 4번 경추 이하의 높이까지만 차폐되도록)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상방향 차폐범위가 설정되는 것이 좋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1)에서 상기 후방 방호부(130)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우측 각각 8cm 이내에서 차폐하도록 상기 서포터 웨어(120)의 후방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좌, 우측 차폐범위를 외이공을 기준으로 표현하면, 우측 외이공을 지나는 세로선에서 상기 후방보호부의 우측단까지의 거리가 3cm 이상이고, 좌측 외이공을 지나는 세로선에서 상기 후방 방호부의 좌측단까지의 거리가 3cm 이상이 되도록 상기 후방 방호부의 폭이 결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높이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이내로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후방 방호부의 높이는 4번 경추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서포트 웨어(120)는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를 연결하며 인체에 착용되어서 상기 전방 방호부(110)와 후방 방호부(130)를 지지하는데, 피검자의 어깨를 커버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방호부(110)는 형태 및 크기가 신체 조건에 따라 원하는 규격으로 구성되되, 예를 들면, 상기 전방 방호부(110)는 폭이 7cm 이하이며, 최대 높이는 10cm 이하 보다 상세하게는 7cm 이하이고, 갑상선의 직전방 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서, 갑상선의 폭과 높이가 상기 전방 방호부(110)의 최소 폭과 높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웨어(120)는, 폐야 및 종격동까지 차폐하도록 경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방사선 방호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서포트 웨어(120)의 착용 및 고정을 위해 상기 서포트 웨어(120)의 전면에는 벨크로(121)나 스냅단추(똑딱이 단추) 등의 착탈용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방호장비(1)는, 파노라마 영상 촬영시 갑상선을 효과적으로 방사선으로부터 방호하면서 전방 방호부(110) 및 후방 방호부(130)를 피부에 긴밀하게 밀착시킴에 따라 파노라마 영상에 악영향을 미치는 인공음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방호장비(1)는, 파노라마 촬영뿐만 아니라 치과용 전산화단층영상 촬영, 그외 악안면 및 경부 영역의 방사선 촬영 등에 폭넓게 사용되어, 방사선의 위해로부터 환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하면서 정확한 진단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형태의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1)의 갑상선에 대한 차폐 범위의 도출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파노라마방사선 촬영 시 방사선이 직접적으로 피부에 조사되는 환자의 후방부위에서 피부에 근접하여 존재하므로 촉지하기 용이한 7번 경추(cervical vertebra)의 극돌기(spinous process)에서 상방으로 갑상선 및 두부 보호대의 연장 한계를 정하기 위해 상기 극돌기로부터의 거리가 6cm, 7cm, 8cm, 9cm에 갑상선보호대의 상방 경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갑상선보호대, 특히 후방 방호부(130)의 측방으로의 연장한계(좌측 한계 및 우측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외이도(external auditory meatus)의 중앙, 즉 외이공을 지나는 세로선(L; Vertical Line)에서 후방으로 각 1cm, 2cm, 3cm, 4cm (극돌기에서부터 거리는 각각 9cm, 8cm, 7cm, 6cm)의 연장범위를 정하여 파노라마영상에 나타나는 인공음영의 발생양상을 살펴보았다.
즉,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하여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1)의 상방 및 측방으로의 연장 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를 팬텀(P, Dental Head Phantom 모델 76-606DX, CIRS Co., USA)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고찰하여,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상방 한계(상한)및 측방의 연장 한계(좌, 우측 한계)를 설정하였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험예를 통해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1)의 상방 및 측방으로의 연장 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를 먼저 살펴보고, 이어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방호장비의 형태와 갑상선 부위 피부표면의 방사선 조사량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1.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방호장비의 상방 및 측방으로의 연장 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
[실험예1]
도 11a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팬텀(P)의 상방으로의 연장 범위를 9cm로 하고 측방으로의 연장 범위를 팬텀(P)의 우측은 외이공(세로선(L), 이하 같음) 후방 1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9cm), 좌측은 외이공보다 전방으로 1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11cm)으로 설정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음영발생 정도는 도 9a와 같이 나타났다.
파노라마 영상에서 좌측에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방호장비의 차폐에 의한 실상이 관찰되었으며, 그에 의한 허상이 영상의 우측에서 관찰되어 진단영상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2]
도 11b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팬텀(P)의 상방 연장 한계를 8cm로 하고, 측방 연장 한계를 팬텀(P)의 좌,우측에서 외이공 후방 2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8cm)로 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파노라마 영상의 음영발생 정도는 도 11b와 같이 나타났다.
[실험예3]
도 11c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팬텀(P)의 상방 연장 한계를 7cm로 하고, 측방 연장 한계를 팬텀(P)의 좌,우측에서 외이공 후방 3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7cm)로 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파노라마 영상의 음영발생 정도는 도 11c와 같이 나타났다.
[실험예4]
도 11d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팬텀(P)의 상방 연장 한계를 6cm로 하고, 측방 연장 한계를 팬텀(P)의 좌,우측에서 외이공 후방 2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8cm)로 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파노라마 영상의 음영발생 정도는 도 11d와 같이 나타났다.
[실험예5]
도 11e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팬텀(P)의 상방 연장 한계를 6cm로 하고, 측방 연장 한계를 팬텀(P)의 좌,우측에서 외이공 후방 3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7cm)로 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파노라마 영상의 음영발생 정도는 도 11e와 같이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살펴본 갑상선보호대의 형태에 따른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 나타나는 인공음영의 발생 양상은 다음과 같다.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6cm를 높인 경우, 하악 전치부 치근단 부위에서 떨어진 하악의 하연에서 인공음영이 형성되었으나 하악 전치부 치아와 치조골의 영상에는 인공음영이 미치지 않았으며, 7cm 높인 경우에는 하악 전치부 치아와 치근단부위에 인공음영이 형성되었다.
또한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1cm(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9cm)로 갑상선보호대의 측방 연장 한계를 설정한 경우 실상과 함께 허상에 의한 인공음영이 나타났으며, 상기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2cm, 특히 3cm(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8cm, 7cm)까지 갑상선보호대를 측방경계를 설정한 경우에는 실상에 의한 인공음영은 나타나지 않았다.
2.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호장비의 형태에 따른 갑상선 부위 피부표면의 방사선 조사량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호장비의 형태에 따른 갑상선 부위에서 피부표면의 방사선 조사량을 조사한 예비적 실험을 시행하였다.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방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갑상선 표면 노출선량은 87.4mR으로 조사되었으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6cm 위치까지 방호함과 아울러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3cm 위치까지 방호한 경우 갑상선 표면 노출선량은 80.7mR 조사되었고, 상방으로 7cm 위치까지 방호함과 아울러 외이공에서 2cm 후방 위치까지 방호한 경우 갑상선 표면 노출선량은 73.9mR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보호장비 형태에 따른 갑상선의 표면 노출량
방사선 방호범위
7번 경추돌기로부터 상방 연장 높이
6cm 7cm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 3cm 80.7mR 73.9mR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 2cm 76.4mR 73.3mR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보호장비의 형태에 따른 갑상선 표면 노출선량의 저감 효과는 아래 표 2에서와 같이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6cm 위치까지 방호함과 더불어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3cm 위치까지 방호한 경우에는 7.7%로 확인되었고, 수직상방으로 7cm 위치까지 방호함과 아울러 외이공에서 2cm 후방 위치까지 방호한 경우에는 갑상선 노출량에 따른 저감효과는 16.1%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방사선 방호범위
7번 경추돌기로부터 상방 연장 높이
6cm 7cm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 3cm 7.7% 15.4%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 2cm 12.6% 16.1%
저감 효과는, 저감효과=(A-B)/A*100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는데, 상기 식에서 A는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방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의 노출량이고, B는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방호장비의 형태에 따른 노출량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파노라마 촬영시 사용 가능한 갑상선 보호를 위한 방사선 방호장비는, 환자의 경부의 후방 부위에 방사선 차폐를 위해 설치되는 후방 방호부(130)의 연장한계는 제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방으로는 6cm, 측방으로는 8cm까지 방호하는 형태를 갖는 경우에 파노라마 영상에 악영향을 미치는 인공음영의 발생이 최소이고 갑상선에 대한 방사선 보호 효과가 최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체 전방에서는 갑상선이 존재하고 있는 피부의 외측인 갑상선연골(thyroid cartilage 하방)에 대해 차폐막 역할을 하는 전방 방호부(110)가 위치하도록 하여, 파노라마 촬영시 발생하는 2차적 산란선(간접 방사선) 및 직접 방사선으로부터 갑상선을 방호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방호장비는, 파노라마 촬영시에 경부의 후방에서 제7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방으로는 6cm, 측방으로는 8cm 까지 방사선을 차폐하고, 목 전방에서는 갑상선이 존재하고 있는 피부의 외측인 갑상선연골(thyroid cartilage 하방)에 대해 방사선을 차폐하며, 방사선 방호부 보다 구체적으로 전방 방호부와 후방 방호부의 피부 밀착성이 향상된 구조로서, 갑상선 보호와 인공음영의 최소화에 더욱 효과적이다.
[실시 예 2]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의 다른 실시 예(제2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는, 갑상선 방호유닛과 두부 방호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갑상선 방호유닛은 전술한 실시 예(제1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방호장비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방호장비(1) 즉 갑상선 방호유닛에 더하여 상기 두부 방호유닛(70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두부 방호유닛(700)은 두부에 존재하는 조직 보다 구체적으로는 뇌와 안구 등의 조직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두부 즉 머리에 착용 가능하며, 상기 갑상선 방호유닛(1)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신체 착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갑상선이 보호되도록 하는 한편, 방사선 촬영시에 영상판독의 대상이 되지 않으면서 방사선 조사범위에 포함되는 부분 예를 들면 뇌와 안구 부위에 대한 방사선 방호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두부 방호유닛(700)은 머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태로서, 두부의 후방을 방사선 방호하는 후두 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후두 차폐부는 두정엽의 적어도 일부를 방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후두엽 및/또는 측두엽을 방호하는 크기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방호유닛(700)은 방사선 방호범위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서, 상술한 후두 차폐부를 가지며 머리에 착용 가능한 구조 예를 들면 모자 구조의 헤드 커버(710)와, 상기 헤드 커버(71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두부 방호유닛(700)의 방사선 방호범위를 조절하는 방사선 바이저(720; Vis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헤드 커버(710)는 전두엽의 상측과 좌우측을 방사선에 노출시키고, 헤드 밴드(900)에 의해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헤드 커버(710)는 전두엽의 외곽을 방사선 차폐하도록, 영상에 장애를 주지않는 범위내에서 두피의 전후방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도 있다,
상기 방사선 바이저(720)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방사선 바이저(720)는 상기 헤드 커버(71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두부 방호유닛(700)의 하측 방호한계를 조절한다. 즉, 상기 헤드 커버(710)의 하측 방호한계와 상기 후방 방호부(130)의 상측 방호한계 사이의 영역을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예처럼, 상기 방사선 바이저(720)는 상기 두부 방호유닛(700)의 후방 차폐범위를 조절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방사선 바이저(720)는, 상기 헤드 커버(710)와 상기 후방 방호부(130) 사이의 방사선 노출영역에 대한 방사선 방호범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방사선 바이저(720)는 상기 헤드 커버(710)의 후방에서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두부 방호유닛(700)의 후방 차폐범위를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방사선 바이저(720)는 도 14 및 도 15처럼 두부 후방에 대한 방사선 방호범위(후방 차폐범위)를 증감시킬 수 있으며, 방사선 촬영시 두부 후방 영역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방사선 바이저(720)는 상기 헤드 커버(71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헤드 커버(710)의 방사선 방호에 더하여 추가적인 방사선 방호를 구현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헤드 커버(71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밴드(900)는 탄성을 갖는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사선 바이저(720)는 두부의 후방에서 입사되는 방사선으로부터 후두엽과 측두엽 및 안구를 방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 지지대(500)는, 상기 후방 지지대(500)의 위치 유지를 보강하는 어깨 안착부(500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어깨 안착부(500c)는 양쪽 어깨에 얹히도록 베이스 서포터(500a)에서 어깨를 지나 가슴쪽으로 하향 연장되는 만곡형으로서, 상기 후방 방호부(130)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선 촬영시에 갑상선의 효과적인 보호는 물론 두부 내의 뇌와 안구 부위에 대해서도 적절한 방호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방사선 촬영시 방사선 위해로부터 환자의 안전을 한층 더 높게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방호유닛(700)은, 두부 후방에서의 방사선 차폐범위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환자의 두부 사이즈 및 방사선 촬영 조건을 고려하여 결과 영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두부 내의 조직을 방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노라마 방사선진단시 방사선원이 중심방사선이 X선 튜브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각도 예를 들면 약 5도 이상이 경사를 이루면서 방사선을 상방으로 방사한다고 할 때, 본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방호유닛(700)는 상기 헤드 커버 즉 후두 차폐부에 의한 뇌 보호와 상기 방사선 바이저(720)에 의한 안구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P:팬텀 1: 방호장비
110: 전방 방호부 120: 서포트 웨어
130: 후방 방호부 300: 밴드
500: 후방 지지대 500a: 베이스 서포터
500b: 상부 서포터 700: 두부 방호유닛
710: 헤드 커버 720: 방사선 바이저
900: 헤드밴드

Claims (3)

  1. 방사선 촬영장치에서 출사되는 방사선로부터 두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두부에 착용 가능한 두부 방호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로서:
    상기 두부 방호유닛은;
    상기 두부의 후방을 방호하도록 후두 차폐부를 가지며, 상기 두부에 착용 가능한 방사선 방호용 헤드 커버, 그리고
    상기 헤드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두부 방호유닛의 방사선 방호범위를 조절하는 방사선 바이저(Viso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사선 바이저는, 상기 헤드 커버의 후방에서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두부 방호유닛의 후방 차폐범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바이저는; 상기 두부 방호유닛의 후방 차폐범위를 조절하도록, 상기 헤드 커버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바이저는; 상기 헤드 커버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거나, 상기 헤드 커버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KR1020180011159A 2018-01-30 2018-01-30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KR20180028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159A KR20180028419A (ko) 2018-01-30 2018-01-30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159A KR20180028419A (ko) 2018-01-30 2018-01-30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14A Division KR101853275B1 (ko) 2016-04-06 2016-04-06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419A true KR20180028419A (ko) 2018-03-16

Family

ID=6191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159A KR20180028419A (ko) 2018-01-30 2018-01-30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84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3875A (zh) * 2016-04-06 2018-01-19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放射线拍摄的防护装备
CN109199431A (zh) * 2018-09-26 2019-01-15 四川大学华西医院 用于病患在x光摄影中头、颈部的防辐射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3875A (zh) * 2016-04-06 2018-01-19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放射线拍摄的防护装备
CN107613875B (zh) * 2016-04-06 2021-08-06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放射线拍摄的防护装备
CN109199431A (zh) * 2018-09-26 2019-01-15 四川大学华西医院 用于病患在x光摄影中头、颈部的防辐射装置
CN109199431B (zh) * 2018-09-26 2024-05-28 四川大学华西医院 用于病患在x光摄影中头、颈部的防辐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858B1 (ko) 방사선 촬영용 방사선 방호장비
JP7171244B2 (ja) X線保護を有する拡張現実ゴーグル
Shaffer et al.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of the temporal bone.
US20080272318A1 (en) Radiation attenuating head cover
KR101358290B1 (ko)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KR20130028072A (ko) 치과 x-선 장치용 환자 지지대
US11576630B1 (en) Radiation shielding eye mask
KR101853275B1 (ko)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US6320938B1 (en) Method of X-ray protection during diagnostic CT imaging
KR20180028419A (ko)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KR20160112288A (ko) 방사선 차폐장치
US20240130697A1 (en) Radiation Shielding Eye Mask and Method of Use
US11844638B1 (en) Radiation shielding eye mask and method of use
JP6970209B2 (ja) X線撮像装置及び患者支持体
JP7261744B2 (ja) X線撮像装置及び患者支持構成
CN114173669A (zh) 辐射防护装置
CN211355548U (zh) X线颈椎侧位摄影辅助装置
BERGER et al. The feasibility of the PA projection for tomography of the petrous bone: Significant reduction in radiation dose to the lens of the eye
US11096637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patient support safety mechanism
Zheng et al. Application of customisable 3D-printed bite blocks combined with nano head, neck and shoulder mask to head and neck neoplasm radiotherapy
Unett et al. Skull
Sackett et al. Tomogram degradation due to eye shielding and coll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