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290B1 -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290B1
KR101358290B1 KR1020120129802A KR20120129802A KR101358290B1 KR 101358290 B1 KR101358290 B1 KR 101358290B1 KR 1020120129802 A KR1020120129802 A KR 1020120129802A KR 20120129802 A KR20120129802 A KR 20120129802A KR 101358290 B1 KR101358290 B1 KR 101358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thyroid
radiation
guard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에 대해 취약한 표적 장기인 갑상선을 방사선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어함과 아울러, 파노라마 촬영을 포함하는 제반 방사선 영상 촬영에 있어서 촬영 영상에 인공음영(artifact)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진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장치에서 출사되는 방사선로부터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로서, 좌우측 외이공을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세로선의 후방 영역에서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는 후방 보호부와 상기 후방 보호부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를 차폐하는 전방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보호부와 전방 보호부의 사이 구간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이 좋다. 상기 후방 보호부는 경부의 후방에서 경부를 향해 직접 조사되는 방사선, 즉 갑상선에 대한 직접적 방사선 조사를 차단하며, 상기 전방 보호부는 방사선의 산란이나 반사에 의한 2차적 조사로부터 방사선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보호부는 갑상선의 직전방을 차단하도록 경부의 전방영역에 구비된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Thyroid protector from radiation for radiography}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치료 등을 위한 방사선 촬영에 있어서 암의 발현 가능성이 큰 장기인 갑상선에 대한 방사선 차폐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진단 영상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갑상선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촬영장치(X-ray equipment)는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방사선 검출기로 감지하여 피사체의 내부를 영상화하여 볼 수 있는 장치로서, 병원에서 환자의 진단이나 실험실에서 시험 재료의 비파괴 검사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진단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사선 발생장치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데 비록 소량의 방사선에 피폭되더라도 유전자 또는 세포가 변형을 일으킬 수 있어서 각종 암이 유발될 수 있으며, 유전적 변이가 발생하면 한 세대에 국한되지 않고 다음 세대로 유전되므로, 과도한 방사선에 노출되거나 불필요하게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이에 따라,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는 경우 진단학적 정보가 필요한 해부학 구조의 장기를 보호하고 불필요한 영역이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호복이나 보호대를 환자에게 착용하게 한다.
한편, 치과에서 사용되는 치과 파노라마(Dental Panorama)를 비롯한 방사선 촬영장치의 사용 목적은, 다양한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악골(턱뼈)의 크기와 외형, 수직적 및 수평적 축을 따라 변화되는 골의 해부학적 변이의 인지와 더불어, 악골 내에 존재하는 병적인 요소 및 시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를 시술자(치과의사)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며, 상기 방사선 촬영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학적 정보는 환자에게 최적의 을 수행하고 시술 후 장기적인 성공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정보로서 치료계획의 수립 단계 및 그 후의 모든 과정에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에 따른 방사선 영상 촬영법은 대부분이 관심영역인 해부학적 구조에 방사선(X-ray)을 조사해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으로서, 치과적 치료를 위해 활용되는 방사선 영상의 예를 들자면, 치아를 포함한 치조골 및 안면골에 대한 영상을 평면적(2D)으로 전사하는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Panoramic x-ray image, 이하 '파노라마 영상'이라 약칭함), 그보다 정밀하게 입체적(3D)으로 촬영한 CT(Computerized tomography) 영상, 그리고 환자의 두부(頭部)를 전방에서 후방, 후방에서 전방, 좌측 또는 우측에서 촬영한 세팔로 영상(Cephalometric image, 두부계측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방식의 방사선 촬영법에 있어서, 목 부분에 위치하는 갑상선은 방사선에 의한 암의 발현 가능성이 매우 높은 표적 장기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 방어를 위해서는 목 부분을 방사선으로부터 차폐되도록 하여야 하나, 방사선 촬영법으로 획득되는 진단영상에 인공음영, 특히 메탈 아티팩트(Metal Artifact)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방사선으로부터 적절한 방호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치과 병의원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는 구외 방사선 검사법의 하나인 파노라마 방사선 검사는, 진단용 방사선 검사법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검사법의 하나로서 파노라마 방사선 장비의 보급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 비율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대국민 방사선 노출량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검사법이다.
따라서, 갑상선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나, 갑상선 보호를 위해 목 둘레에 방사선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경우, 상기 방사선 차폐부재가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 인공음영(artifact)을 형성함으로 인해 진단 영상에 악영향을 미침으로써 그 활용에 큰 제약으로 작용하는 실정이다.
치과 영역에서의 진료를 위한 방사선 촬영 중, 파노라마 영상 촬영시의 방사선 노출에 따른 문제 및 방사선 차폐에 따른 진단 영상의 인공음영 문제를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 시에는 방사선의 관구가 환자의 후방부위에서 부채살 또는 콘(Cone) 모양으로 방사선을 노출하며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영상을 취하는 단층촬영(tomography)과 슬릿모양의 시준기를 통과하며 시간 순차적으로 영상을 스캔하는 스캐노그라피(scanography)의 두 가지 촬영원리가 적용되어 영상을 형성한다.
도 1a는 정상적인 촬영범위로 촬영된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을 예시한 참고사진으로서, 상기 방사선 영상은 경추, 안구, 측두골, 상/하악골 및 설골을 포함하는 촬영범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b의 (가)는 화질 평가용 팬텀(phantom)(Dental Head Phantom 모델 76-606DX, CIRS Co., USA)에 방사선 차폐기구나 장치 기타의 방사선 보호대가 착용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팬텀을 촬영한 파노라마 영상으로서, 이 경우 정상적인 촬영범위로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는 있으나, 도 1b의 (가)에 나타난 영상은 도 1b의 (나)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갑상선이 방사선으로부터 차폐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것이므로 갑상선이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가)는 화질 평가용 팬텀(P)에 비교예의 방사선 차폐용 갑상선 보호대가 착용된 상태에서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이고, 도 2의 (나)는 도 2의 (가) 영상을 제공하는 비교예의 방사선 차폐용 갑상선 보호대가 착용된 화질 평가용 팬텀(P)의 정면 및 후면 영상으로서, 이들을 참조하면 인공음영이 파노라마 영상에 진단학적 가치를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존에는 목 둘레에 방사선 차폐용 보호대를 두르게 될 경우, 인공음영의 형성으로 인해 정확한 진단 영상을 얻지 못함에 따라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시에 아무런 보호대나 보호장구 없이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서, 이는 암의 발현 가능성이 큰 장기인 갑상선에 대한 암 발현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따라서, 방사선에 의한 암의 발현 가능성이 매우 큰 표적 장기인 갑상선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 차폐가 적절히 이루어지면서도 방사선 영상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갑상선 보호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제공개특허 WO 2007/149363호(2007년12월27일)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0112988호(2009년10월29일)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사선에 대해 취약한 표적 장기인 갑상선을 방사선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어함과 아울러, 파노라마 촬영을 포함한 제반 방사선 영상 촬영에 있어서 방사선 영상에 인공음영(artifact)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갑상선 보호대의 후방 차폐범위 조절, 더 나아가 전방측 형태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환자(소아, 성인 남, 여 등)의 신장 및 체형에 따른 개별적인 적용범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방사선에 대한 위해가 발생할 위험도가 높은 소아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 방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경부 전방과 후방에서 방사선 보호장치의 외형을 최적 설계하여 경부와 갑상선 부위 차폐막의 위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적절한 경도를 갖는 보조적인 외부 보호대(shield)를 설치할 수 있으며, 종격동(즉, 좌우 폐사이의 부분)과 폐야에 대한 추가적인 차폐를 이룰 수 있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사선의 선원(線源)의 회전이 경부(頸部)의 측방에서 경추(頸椎)를 지나 후방에서 이루어지는 방사선 촬영장치로부터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 보호대는, 갑상선에 대한 직접적인 방사선 조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과 더불어, 상기 방사선의 산란선에 의한 2차적 조사로부터 갑상선이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경부 전방부위를 차폐하되, 하악 전치부 치아와 치조골에 인공음영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 보호대는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 우측 각각 8cm 이내에서 차폐 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이하의 높이까지 차폐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갑상선 보호대는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우측 각각 8cm 이내에서 차폐 범위가 설정되되, 후방 차폐범위의 좌우측단이 외이공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3cm가 되는 지점을 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갑상선 보호대는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이내에서 차폐범위가 설정되되, 최대 4번 경추까지만 차폐되도록 차폐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 보호대는, 경부의 전방에서 갑상선이 상기 산란선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차폐하는 전방 보호부와; 상기 전방 보호부에서 연장형성되어 목둘레 혹은 어깨 둘레를 감싸게 되는 보호대 베이스와; 상기 보호대 베이스 후방에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후방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지금까지 갑상선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방어를 하지 못한 채 실시했던 파노라마 촬영 시 발생할 방사선 위해로부터 환자의 안전을 도모함으로써 치과 임상영역에서 필수적인 파노라마 방사선진단에 대한 환자들의 부담이나 염려를 줄여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갑상선 보호대의 경부 후방측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하므로, 환자(소아, 성인 남, 여 등)의 신장 및 체형에 따른 개별적인 적용범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소아에 사용가능하도록 조절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구내방사선, 구외방사선, 두부규격촬영, 전산화단층촬영 등 치과방사선 촬영 전반에 걸쳐 적용 가능하므로 그 유용성이 매우 높다.
즉, 파노라마 촬영뿐만 아니라 구외촬영과 두부규격촬영 시에도 관심영역 및 경추와 기도에 대한 영상화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 적극 활용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전산화단층영상(CB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촬영 시, 경부를 감싸는 영역이 180°이하이므로, 영상의 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절한 갑상선의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파노라마 촬영 및 치과용 전산화단층영상 촬영 이외에 악안면 및 경부 영역의 방사선 촬영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반적인 방사선 검사 시에 필수적인 방사선 방호용품이 되어 방사선의 위해로부터 환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하면서 정확한 진단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정상적으로 촬영된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을 예시한 참고사진
도 1b의 (가)는 화질 평가용 팬텀(phantom)을 촬영한 것으로서,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보호대가 착용 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이고, 도 1의 (나)는 화질 평가용 팬텀의 정면 및 후면 사진
도 2의 (가)는 화질 평가용 팬텀에 비교예의 방사선 차폐용 보호대가 착용된 상태에서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이고, 도 2의 (나)는 비교예의 방사선 차폐용 보호대가 착용된 화질 평가용 팬텀의 정면 및 후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를 나타낸 것으로서, 갑상선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모식도
도 4는 도 3의 배면 모식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의 전개도
도 5b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상방 및 측방에 대한 연장 한계 설정을 위해 팬텀에 갑상선 보호대를 착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사진
도 6a 내지 도 6e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그 상방 및 측방으로 갑상선 보호대의 연장 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참고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를 나타낸 것으로서, 갑상선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모식도
도 8은 도 7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모식도
도 9는 도 8의 갑상선 보호대의 전개도
도 10은 도 9의-선을 따른 것으로서, (가) 및 (나) 그림은 갑상선 후방 보호부의 상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의 좌우 측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모식도로서,
도 11은 좌우로 펼쳐지기 전의 상태도
도 12는 좌우로 펼쳐진 후의 상태도
도 13의 (가)는 도 11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나)는 도 12의 -선을 따른 것으로서, 갑상선 후방 보호부의 좌우 측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의 상하 방향 및 좌우 측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모식도로서,
도 14는 상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 및 좌우 방향으로 펼쳐지기 전의 상태도
도 15는 상부로 이동된 후 및 좌우 방향으로 펼쳐진 후의 상태도
도 16의 (가)는 도 14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나)는 도 15의 -선을 따른 것으로서, 갑상선 후방 보호부의 상하 방향 및 좌우 측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장치에서 출사되는 방사선로부터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로서, 좌우측 외이공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세로선의 후방 영역에서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는 후방 보호부와 상기 후방 보호부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를 차폐하는 전방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보호부와 전방 보호부의 사이 구간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이 인공음영을 최소화하는데 좋다. 상기 후방 보호부는 경부의 후방에서 경부를 향해 직접 조사되는 방사선, 즉 갑상선에 대한 직접적 방사선 조사를 차단하며, 상기 전방 보호부는 방사선의 산란이나 반사에 의한 2차적 조사로부터 갑상선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보호부는 갑상선의 직전방을 차단하도록 경부의 전방영역에 구비된다.
상기 후방 보호부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 우측 각각 9cm, 보다 바람직하게는 8cm 이내의 방사선 차폐범위를 가지며,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이내에서 차폐범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기준으로 설명하면, 좌우측 한계가 상기 세로선에서 상기 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2cm이상, 특히 3cm이상이 되는 지점이고, 상기 후방 보호부의 상한은 4번 경추 이하가 되도록 상기 후방 보호부의 방사선 차폐범위가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는 보호대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대 베이스는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를 지지하고 인체에 착용되어서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를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와 전방부위에 각각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보호대 베이스는,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 사이 구간을 방사선에 노출시키고, 폐야 및 종격동까지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도록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부에 의한 방사선 차폐범위는 환자의 신체조건(경부의 사이즈)에 맞추어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 보호부는 의한 방사선 차폐폭과 차폐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 보호부의 방사선 차폐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보호부에 차폐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차폐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후방 보호부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기 후방 보호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세로장공과 상기 후방 보호부의 높이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 보호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후방 보호부의 상기 세로장공 내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후방 보호부가 상하로 움직할 때 상기 후방 보호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돌기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보호부의 방사선 차폐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보호부에 차폐폭 조절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보호부는 각각 좌우로 이동 가능한 좌측 보호부 및 우측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폐폭 조절장치는, 상기 좌측 보호부와 우측 보호부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장공과 상기 좌측 보호부와 우측 보호부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보호부와 우측 보호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후방 보호부는, 경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센터 차폐부와 상기 센터 차폐부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측 보호부 및 우측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좌측 보호부 및 우측 보호부에는 좌우 방향(가로 방향)으로 가로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로장공 상에는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에는 상기 좌측 보호부와 우측 보호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스톱퍼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차폐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좌우측 외이공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세로선의 후방 영역에서 경부의 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는 후방 보호부와 상기 후방 보호부를 지지하는 보호대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태, 즉 전방 보호부가 없는 구조에서도 상기 후방 보호부에 의한 방사선 차폐범위는 폭과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전술한 기술적 사상이 모두 적용될 수 있고 경부의 전방을 차폐하는 전방 보호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경부의 전방 좌우측(세로선의 전방영역으로서 경부의 좌우측)은 방사선에 노출되는 구조가 인공음영 최소화를 위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수단이 적용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상기 갑상선 보호대(1)를 구성하는 갑상선 전방 보호부(이하 '전방 보호부'라 약칭함)와 갑상선 후방 보호부(이하 '후방 보호부'라 약칭함)는 예컨대, 납(Pb)과 같은 방사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방사선 차단재)임을 전제로 하며,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를 지지하는 보호대 베이스 역시 방사선 차단재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이해가 용이하도록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외피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방사선 차단재는 천이나 가죽 등의 외피에 의해 피복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실시예1]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의 제1실시예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를 나타낸 것으로서, 갑상선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의 전개도이고, 도 5b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상방 및 측방에 대한 연장 한계 설정을 위해 팬텀(P)에 갑상선 보호대를 착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사진이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e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그 상방 및 측방으로의 갑상선 보호대의 연장 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참고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6(a 내지 e)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1)는, 파노라마 방사선 촬영장치로부터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부(頸部)의 후방부위를 차폐함과 더불어 경부의 전방부위를 차폐하며 경부의 전방 좌우측 영역은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갑상선에 대한 직접적인 방사선 조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과 더불어, 상기 방사선의 산란선에 의한 2차적 조사로부터 갑상선이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경부 전방부위를 차폐하되, 하악 전치부 치아와 치조골에 인공음영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갑상선 보호대(1)는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좌우측방향으로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우측 각각 최대 9cm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8cm 이내의 차폐 범위(W)를 가지며, 상방향으로는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최대 6cm 이내에서 차폐범위(H)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갑상선 보호대(1)는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 우측 각각 8cm 까지 차폐하고,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까지 차폐하도록 형성하면 되나, 환자의 신체조건(경부의 길이나 굵기 등)이 다를 수도 있음을 감안할 때 경부 후방부위의 차폐범위가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좌우측 차폐범위에 있어서는 좌, 우측 외이공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지나는 세로선을 기준으로 하여 차폐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세로선을 기준으로 후방(경부의 둘레방향)으로 2cm, 보다 바람직하게는 3cm가 되는 영역이 경부의 후방부위에 대한 좌/우측 최대 차폐한계가 되며, 이 범위 내에서 경부 후방부위의 좌, 우측 차폐범위가 설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경부 후방부위의 좌, 우측 차폐범위는 상기 세로선에서 후방으로 3cm가 되는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 결정된다.
이는, 상기 경부 후방부위의 차폐하는 구성 즉 후술하는 후방 보호부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상기 세로선을 기준으로 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3cm, 특히 2cm가 되는 지점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파노라마 영상에 인공음영의 발생정도가 심화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이다. 예컨대, 만약 상기 세로선에서 후방으로 2cm가 되는 영역을 넘어서 전방으로 차폐범위가 침범하게 되면 파노라마방사선 촬영시 인공음영이 과도하게 생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 우측 각각 8cm 이내에서 차폐하되, 외이공을 지나는 상기 세로선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3cm까지는 차폐하지 않도록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좌우측 차폐범위가 설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상방향 차폐범위에 있어서는 4번 경추를 기준으로 하여 차폐범위(차폐높이)를 설정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 보호부가 최대 4번 경추까지만 차폐되도록 경부 후방부위의 상방향 차폐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는 4번 경추 위쪽까지 차폐될 경우에는 파노라마 영상에 인공음영이 과도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범위 내에서 차폐가 되도록 하되, 4번 경추를 넘어서 그 위쪽 영역까지 차폐되지는 않도록(최대 4번 경추 이하의 높이까지만 차폐되도록)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상방향 차폐범위가 설정되는 것이 좋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갑상선 보호대(1)에서 상기 후방 보호부는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우측 각각 8cm 이내에서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보호부의 좌, 우측 차폐범위를 외이공을 기준으로 표현하면, 우측 외이공을 지나는 세로선에서 상기 후방보호부의 우측단까지의 거리가 3cm 이상이고, 좌측 외이공을 지나는 세로선에서 상기 후방보호부의 좌측단까지의 거리가 3cm 이상이 되도록 상기 후방보호부의 폭이 결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보호부의 높이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이내로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후방보호부의 높이는 4번 경추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갑상선 보호대(1)는, 경부의 전방에서 방사선을 차폐하며 또한 갑상선이 상기 산란선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차폐하는 전방 보호부(110)와, 좌우측 세로선의 후방영역에서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후방 보호부(130)와, 상기 전방 보호부(110)와 후방 보호부(130)를 지지하는 보호대 베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는 상기 전방 보호부(110)와 후방 보호부(130)를 연결하며 인체에 착용되어서 상기 전방 보호부(110)와 후방 보호부(130)를 지지하는데, 피검자의 어깨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갑상선 전방 보호부(110)는 형태 및 크기가 신체 조건에 따라 원하는 규격으로 구성되되,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에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방 보호부(110)는 폭이 7cm 이하이고, 최대 높이는 10cm 이하 특히 7cm이하로 되고, 적어도 갑상선의 직전방 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서, 갑상선의 폭과 높이가 상기 전방 보호부의 최소 폭과 높이가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는, 폐야 및 종격동까지 차폐하도록 경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보호대 베이스(120) 전면의 좌우측이 겹치는 부위에도 벨크로(121)나 스냅단추(똑딱이 단추) 등의 갑상선 보호대 탈착용부재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 사이는 방사선에 노출되는데, 이는 그 사이의 연조직이 노출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방사선에 노출되는 구간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 사이는 방사선이 쉽게 투과하는 옷감으로 커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노라마 영상 촬영시 갑상선을 효과적으로 방사선으로부터 방호하면서 파노라마 영상에 악영향을 미치는 인공음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노라마 촬영뿐만 아니라 치과용 전산화단층영상 촬영, 그외 악안면 및 경부 영역의 방사선 촬영 등에 폭넓게 사용되어, 방사선의 위해로부터 환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하면서 정확한 진단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형태의 갑상선 보호대(1)의 차폐 범위의 도출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파노라마방사선 촬영 시 방사선이 직접적으로 피부에 조사되는 환자의 후방부위에서 피부에 근접하여 존재하므로 촉지하기 용이한 7번 경추(cervical vertebra)의 극돌기(spinous process)에서 상방으로 갑상선보호대의 연장 한계를 정하기 위해 상기 극돌기로부터의 거리가 6cm, 7cm, 8cm, 9cm에 갑상선보호대의 상방 경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갑상선보호대, 특히 후방 보호부의 측방으로의 연장한계(좌측 한계 및 우측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외이도(external auditory meatus)의 중앙, 즉 외이공을 지나는 세로선(L; Vertical Line)에서 후방으로 각 1cm, 2cm, 3cm, 4cm (극돌기에서부터 거리는 각각 9cm, 8cm, 7cm, 6cm)의 연장범위를 정하여 파노라마영상에 나타나는 인공음영의 발생양상을 살펴보았다.
즉,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하여 갑상선 보호대(1)의 상방 및 측방으로의 연장 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를 팬텀(P, Dental Head Phantom 모델 76-606DX, CIRS Co., USA)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고찰하여,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한 상방 한계(상한)및 측방의 연장 한계(좌, 우측 한계)를 설정하였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험예를 통해 갑상선 보호대(1)의 상방 및 측방으로의 연장 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를 먼저 살펴보고, 이어 갑상선 보호대 형태와 갑상선 부위 피부표면의 방사선 조사량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1. 갑상선 보호대의 상방 및 측방으로의 연장 범위와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
[실험예1]
도 6a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팬텀(P)의 상방으로의 연장 범위를 9cm로 하고 측방으로의 연장 범위를 팬텀(P)의 우측은 외이공(세로선(L), 이하 같음) 후방 1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9cm), 좌측은 외이공보다 전방으로 1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11cm)으로 설정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음영발생 정도는 도 6a와 같이 나타났다.
파노라마 영상에서 좌측에 갑상선 보호대의 차폐에 의한 실상이 관찰되었으며, 그에 의한 허상이 영상의 우측에서 관찰되어 진단영상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2]
도 6b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팬텀(P)의 상방 연장 한계를 8cm로 하고, 측방 연장 한계를 팬텀(P)의 좌,우측에서 외이공 후방 2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8cm)로 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파노라마 영상의 음영발생 정도는 도 6b와 같이 나타났다.
[실험예3]
도 6c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팬텀(P)의 상방 연장 한계를 7cm로 하고, 측방 연장 한계를 팬텀(P)의 좌,우측에서 외이공 후방 3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7cm)로 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파노라마 영상의 음영발생 정도는 도 6c와 같이 나타났다.
[실험예4]
도 6d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팬텀(P)의 상방 연장 한계를 6cm로 하고, 측방 연장 한계를 팬텀(P)의 좌,우측에서 외이공 후방 2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8cm)로 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파노라마 영상의 음영발생 정도는 도 6d와 같이 나타났다.
[실험예5]
도 6e를 참조하면, 7번 경추의 극돌기 위치를 기준으로 팬텀(P)의 상방 연장 한계를 6cm로 하고, 측방 연장 한계를 팬텀(P)의 좌,우측에서 외이공 후방 3cm(즉, 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7cm)로 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한 결과, 파노라마 영상의 음영발생 정도는 도 6e와 같이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살펴본 갑상선보호대의 형태에 따른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 나타나는 인공음영의 발생 양상은 다음과 같다.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6cm를 높인 경우, 하악 전치부 치근단 부위에서 떨어진 하악의 하연에서 인공음영이 형성되었으나 하악 전치부 치아와 치조골의 영상에는 인공음영이 미치지 않았으며, 7cm 높인 경우에는 하악 전치부 치아와 치근단부위에 인공음영이 형성되었다.
또한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1cm(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9cm)로 갑상선보호대의 측방 연장 한계를 설정한 경우 실상과 함께 허상에 의한 인공음영이 나타났으며, 상기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2cm, 특히 3cm(7번 경추의 극돌기에서 8cm, 7cm)까지 갑상선보호대를 측방경계를 설정한 경우에는 실상에 의한 인공음영은 나타나지 않았다.
2. 갑상선 보호대 형태에 따른 갑상선 부위 피부표면의 방사선 조사량
갑상선 보호대의 형태에 따른 갑상선 부위에서 피부표면의 방사선 조사량을 조사한 예비적 실험을 시행하였다.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갑상선 보호대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갑상선 표면 노출선량은 87.4mR으로 조사되었으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6cm 위치까지 방호함과 아울러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3cm 위치까지 방호한 경우 갑상선 표면 노출선량은 80.7mR 조사되었고, 상방으로 7cm 위치까지 방호함과 아울러 외이공에서 2cm 후방 위치까지 방호한 경우 갑상선 표면 노출선량은 73.9mR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갑상선 보호대 형태에 따른 갑상선의 표면 노출량
7번 경추돌기로부터 상방 연장 높이
6cm 7cm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 3cm 80.7mR 73.9mR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 2cm 76.4mR 73.3mR
갑상선 보호대의 형태에 따른 갑상선 표면 노출선량의 저감 효과는 아래 표 2에서와 같이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6cm 위치까지 방호함과 더불어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3cm 위치까지 방호한 경우에는 7.7%로 확인되었고, 수직상방으로 7cm 위치까지 방호함과 아울러 외이공에서 2cm 후방 위치까지 방호한 경우에는 갑상선 노출량에 따른 저감효과는 16.1%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7번 경추돌기로부터 상방 연장 높이
6cm 7cm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 3cm 7.7% 15.4%
외이공를 기준으로 후방 2cm 12.6% 16.1%
저감 효과는, 저감효과=(A-B)/A*100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는데, 상기 식에서 A는 갑상선 보호대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의 노출량이고, B는 갑상선 보호대의 형태에 따른 노출량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파노라마 촬영 시 사용 가능한 갑상선보호대는, 환자의 경부의 후방 부위에 방사선 차폐를 위해 설치되는 후방 보호부(130)의 연장한계는 제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방으로는 6cm, 측방으로는 8cm 까지 방호하는 형태를 갖는 경우에 파노라마 영상에 악영향을 미치는 인공음영의 발생이 최소이고 갑상선에 대한 방사선 보호효과가 최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체 전방에서는 갑상선이 존재하고 있는 피부의 외측인 갑상선연골(thyroid cartilage 하방)에 대해 차폐막 역할을 하는 전방 보호부(110)가 위치하도록 하여, 파노라마 촬영시 발생하는 2차적 산란선(간접 방사선) 및 직접 방사선으로부터 갑상선을 방호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전방 보호부(110) 및 후방 보호부(130)를 연결 및 지지하면서 파노라마 영상 촬영시에 어깨 부위에 착용되는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는, 폐야 및 종격동까지 방사선으로부터 차폐될 수 있도록 경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즉, 보호대 베이스(120)는 전방 가슴부위 하방으로 연장하여 폐야 일부 및 종격동의 구조물에 대한 추가적인 방호가 시행될 수 있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양한 체형을 감안하면,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 보호대(1)의 후방 보호부(130)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 우측 각각 8cm 이내에서 차폐하되, 외이공을 지나는 세로선을 기준으로 후방 보호부의 양단에서 좌, 우측 외이공의 세로선까지의 거리가 2cm 보다 바람직하게는 3cm 이상이 되도록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좌우측 차폐범위가 설정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후방 보호부(130)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이내에서 차폐하되, 상한이 4번 경추 이하가 되도록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상방향 차폐범위가 설정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노라마 촬영 환자의 경부 후방부위에 제7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방으로는 6cm, 측방으로는 8cm 까지 방사선을 차폐하고, 목 전방에서는 갑상선이 존재하고 있는 피부의 외측인 갑상선연골(thyroid cartilage 하방)에 대해 방사선을 차폐하며, 목 및 어깨 부위와 더불어 폐야 및 종격동까지 방사선으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갑상선 보호대(1)가 제공된다.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를 나타낸 것으로서, 갑상선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모식도이고, 도 8은 도 7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모식도이다.
도 9은 도 8의 갑상선 보호대의 전개도이고, 도 10은 도 9의-선을 따른 것으로서, (가) 및 (나) 그림은 후방 보호부의 상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1)는, 기본적으로 실시예1의 갑상선 보호대(1)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되, 후방 보호부(130)를 경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방에 대한 차폐 범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갑상선 보호대는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상방향 차폐범위 조절 수단, 즉 차폐높이 조절장치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상방향 차폐범위 조절 수단은, 후방 보호부(130), 특히 상기 후방 보호부(130)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세로장공(130a)과 상기 세로장공(130a) 상에 위치하며, 상기 후방 보호부(130)가 원하는 차폐범위를 갖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의 체결공(120b)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갑상선 후방 보호부(130)의 세로장공(130a) 주변부를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로 가압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200)는, 세로장공(130a) 주변부에 밀착될 수 있는 스톱퍼 헤드부(200a)와 상기 헤드부 중앙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의 체결공(120b)에 체결되는 나사산부(200b)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헤드부(200a)는 그 상면에 드라이버 사용을 위한 홈(미도시)이 형성되거나, 외주면에 세레이션(serration)을 형성하는 등 거칠게 표면 처리하여 조이고 풀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의 세로장공(130a) 내측 영역에는 상기 갑상선 후방 보호부(130)가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세로장공(130a)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갑상선 후방 보호부(13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돌기(120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의 갑상선 보호대(1)는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좌우 측방으로는 각각 8cm까지 차폐하며, 상방으로는 차폐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환자의 신체조건 및 경부의 장경에 따라 경부 후방의 적정 차폐 범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1)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경부 후방에 대한 상방으로의 차폐 범위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경부 후방에 대한 상방으로의 차폐범위 조절시, 스톱퍼(200)를 풀어 후방 보호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속을 해제한 상태에서(도 12의 (가) 그림 참조), 후방 보호부(130)를 올리거나 내려서 위치를 조절한 다음, 상기 스톱퍼(200)를 다시 조여서 상기 후방 보호부(130)의 위치를 고정되도록 하여(도 12의 (나) 그림 참조), 경부 후방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차폐 범위의 조절을 완료한다.
이때, 스톱퍼(200)는 조임에 따라 스톱퍼 헤드부(200a)가 후방 보호부(130)의 세로장공(130a) 주변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방 보호부(130)를 보호대 베이스(120)에 밀착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후방 보호부(130)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보호부(130)의 세로장공(130a) 내측에는 상기 후방 보호부(130)가 상하로 움직일 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할 때 상기 후방 보호부(13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돌기(120a)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120a)는 보호대 베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에는 상기 후방 보호부(130)의 세로장공(130a)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안내돌기(120a)가 구비되어, 상기 후방 보호부(130)가 상하로 슬라이딩할 때 정확하고 원활한 직선 운동을 돕게 된다.
[실시예3]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의 좌우 측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모식도로서, 도 11은 좌우로 펼쳐지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12는 좌우로 펼쳐진 후의 상태도이다.
도 13의 (가)는 도 11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나)는 도 12의 -선을 따른 것으로서, 갑상선 후방 보호부의 좌우 측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1)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되, 후방 보호부(130)를 좌우로 분리하고 경부의 좌우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시킴에 따라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좌우 측방에 대한 차폐 범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갑상선 보호대는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좌우 측방향 차폐 범위 조절 수단, 다시 말해서 차폐폭 조절장치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보호부(130)의 좌우 방향(경부 후방의 좌우측 둘레방향) 차폐 범위 조절을 위하여, 상기 후방 보호부(130)는 상기 경부 후방에 좌우로 별도로 분리되게 구성되며 각각의 면상에 경부 좌우 방향을 따라 가로장공(131b, 132b)이 형성되는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의 각 가로장공(131b, 132b) 상에는 스토퍼(201)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01)는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를 각각 원하는 차폐범위를 갖도록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의 각 체결공(120b)에 각각 체결됨에 따라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의 가로장공(131b,132b) 주변부를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여 각각 그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201)는 각 가로장공(131b,132b) 주변부에 밀착될 수 있는 스톱퍼 헤드부와, 상기 스톱퍼 헤드부의 중앙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스톱퍼(201)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1의 스톱퍼(도 10 참조)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에는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130c)가 구비되어, 상기 좌측 보호부(131)와 우측 보호부(132)가 좌우측으로 가장 멀리 벌어진 때에도 상기 좌측 보호부(131)와 우측 보호부(132) 사이에 틈이 없도록 한다.
즉, 상기 중첩부(130c)는 극돌기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최대 8cm까지 차폐되도록 차폐 범위가 설정될 때까지 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좌측 보호부(131)와 우측 보호부(132)가 좌우측으로 가장 멀리 벌어진 때에 최소폭을 이룬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중첩부(130c)는 우측 보호부(132)에 구비되는 도피홈(132a)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1)는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상방으로는 6cm까지 차폐하며, 상기 극돌기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는 8cm까지 차폐하되, 상기 극돌기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는 차폐 범위를 조절하나, 차폐범위는 상술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피검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차폐범위는 외이공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즉,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경부 후방 좌우 측방의 적정 차폐 범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1)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경부 후방에 대한 좌우 측방으로의 차폐 범위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경부 후방에 대한 좌우 측방으로의 차폐범위 조절시, 스톱퍼(201)를 풀어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가 좌우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다음, 상기 각 스톱퍼(201)를 다시 조여서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의 위치를 고정되도록 하여, 경부 후방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차폐 범위의 조절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각 스톱퍼(201)는 조임에 따라 스톱퍼 헤드부가 좌측 보호부(131) 또는 우측 보호부(132)의 가로장공(131b,132b) 주변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를 보호대 베이스(120)에 밀착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좌측 및 우측 보호부(132)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의 각 가로장공(131b,132b) 내측에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가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의 좌우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돌기(미도시; 도 8 내지 도 10의 안내돌기(120a) 참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120a)는 보호대 베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에 상기 좌측 보호부(131) 및 우측 보호부(132)의 각 가로장공(131b, 132b) 내측에 위치하는 안내돌기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보호부(132)가 좌우로 슬라이딩할 때 정확하고 원활한 직선 운동을 돕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는 경부 후방 상방으로의 차폐범위는 고정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며, 경부 후방에 대한 좌측 및 우측 측방으로의 차폐범위 조절 작용을 제외한 나머지 기본적인 방사선 차폐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4]
도 14 및 도 15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보호대의 상하 방향 및 좌우 측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모식도로서, 도 14는 상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 및 좌우 방향으로 펼쳐지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15는 상부로 이동된 후 및 좌우 방향으로 펼쳐진 후의 상태도이다.
도 16의 (가)는 도 14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나)는 도 15의 -선을 따른 것으로서, 갑상선 후방 보호부의 상하 방향 및 좌우 측방향 차폐범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1)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갑상선 후방 보호부(130)가, 상기 경부의 상,하부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영역에 대한 차폐 범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경부의 목 둘레 좌우 방향을 따라 각각 따라 이동되면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우 측방에 대한 차폐 범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보호부의 차폐높이와 차폐폭이 조절가능한 구조가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는,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상방향 차폐 범위 조절 수단(차폐높이 조절장치)을 가짐과 더불어,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좌우 측방향 차폐 범위 조절 수단(차폐폭 조절장치)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보호부(130)의 경부 후방부위에 대한 좌우 방향 차폐 범위 조절을 위하여, 상기 후방 보호부(130)는 경부 후방의 7번 경추 극돌기를 기준으로 좌우측 일정 영역을 차폐하되 좌우 측방향으로의 이동없이 경부 중심부를 차폐하게 되는 센터 차폐부(133)와, 상기 센터 차폐부(133)의 좌우 측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경부 후방의 좌우 측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원하는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측 차폐범위 조절날개(134, 이하 좌측 보호부라 칭함) 및 우측 차폐범위 조절날개(135, 이하 우측 보호부라 칭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7번 경추 극돌기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센터 차폐부(133)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에는 경부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로장공(134b, 135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에는 상기 각 가로장공(134b, 135b) 상에 위치하는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133a, 133b)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133a, 133b)에는 상기 가로장공(134b, 135b) 주변부에 밀착가능한 제1스톱퍼(21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스톱퍼(210)는 상기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133a, 133b)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가로장공(133b) 주변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를 센터 차폐부(133) 뒷면에 가압 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스톱퍼(210)는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133a, 133b)에 각각 체결됨에 따라 상기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를 센터 차폐부(133)에 가압 밀착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의 차폐 범위 셋팅이 완료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센터 차폐부(133)의 하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세로장공(133c)이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센터 차폐부의 세로장공(133c)에는 센터 차폐부(133)의 상하 방향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 대칼라(120)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센터 차폐부(133)를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스톱퍼(220; 도 13 및 도 14 참조)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에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가 구비되어, 상기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가 좌우측으로 가장 멀리 벌어진 때에도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 사이에 방사선이 투과할 틈이 없도록 한다.
즉, 상기 중첩부는 극돌기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최대 8cm까지 차폐되도록 차폐 범위가 설정될 때까지 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가 좌우측으로 가장 멀리 벌어진 때에 최소 폭을 이룬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중첩부는 우측 보호부(135)에 구비되는 도피홈(135a)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상기 센터 차폐부의 세로장공(133c) 상에도 제1실시예에 개시한 구조의 안내돌기(120a; 도 8 내지 도 10 참조)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갑상선 보호대(1)는 경부의 후방부위를 차폐함에 있어서,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좌우 측방으로는 각각 8cm까지 차폐하며, 상기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방으로는 6cm까지 차폐하되, 상방 및 좌우 측방으로 차폐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환자의 신체조건 및 경부의 장경에 따라 경부 후방의 적정 차폐 범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본 실시예의 갑상선 보호대(1)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경부 후방에 대한 상방 및 좌우 측방으로의 차폐 범위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경부 후방에 대한 상방으로의 차폐범위 조절시, 제2스톱퍼(220)를 풀어 센터 차폐부(13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센터 차폐부(133)를 올리거나 내려서 위치를 조절한 다음, 상기 제2스톱퍼(220)를 다시 조여서 상기 센터 차폐부(133)의 위치를 고정되도록 하여 경부 후방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차폐 범위의 조절을 완료한다.
그 다음, 경부 후방에 대한 좌우 측방으로의 차폐범위를 조절하게 되는데, 먼저 센터 차폐부(133)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연결된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의 구속을 제1스톱퍼(210)를 풀어서 해제시킨 다음, 상기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제1스톱퍼(210)를 조여 상기 좌측 보호부(134) 및 우측 보호부(135)의 위치를 고정되도록 하여, 경부 후방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차폐 범위의 조절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한 차폐범위의 조절 과정은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경부 후방 좌우 방향의 차폐범위를 먼저 조절한 다음에 상하 방향의 차폐범위를 조절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노라마 촬영 환자의 경부 후방부위에 제7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방으로는 6cm, 측방으로는 8cm까지 방사선을 차폐하고, 인체 전방에서는 갑상선이 존재하고 있는 피부의 외측인 갑상선연골(thyroid cartilage 하방)에 대해 방사선을 차폐하되, 피촬영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차폐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목 및 어깨 부위와 더불어 폐야 및 종격동까지 방사선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갑상선 보호대(1)가 제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에 대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 전방 보호부(110)는 보호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그 형태 및 크기가 신체 조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다양하게 별도로 제작됨과 아울러 상기 보호대 베이스(120)에 벨크로 등의 탈착용부재(미도시)에 의해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갑상선 전방 보호부(110)가 여러 가지 사이즈로 제작됨과 아울러 별도로 탈부착 가능하게 제작되는 경우, 피검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갑상선 전방 보호부를 다른 규격의 것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 가로장공 및 세로장공에 대해 안내돌기(120a)가 구비되는 경우와,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133a,133b)가 구비되는 경우, 별도의 안내수단이 없는 경우를 모두 예시한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통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갑상선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 방어를 하지 못한 채 실시했던 파노라마 촬영 시 발생할 방사선 위해로부터 환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아울러 정확한 진단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치과 임상영역에서의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본 발명은 구내방사선, 구외방사선, 두부규격촬영, 전산화단층촬영 등 치과방사선 촬영 전반에 사용가능한 갑상선보호대로서, 치과방사선장비 제작회사, 방사선 방호복을 제작하는 회사 등에서 바로 사업화 가능하며 수요가 지속적으로 창출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이다.
P:팬텀 1: 갑상선 보호대
110: 갑상선 전방 보호부 120: 보호대 베이스
130: 갑상선 후방 보호부 120a: 안내돌기
120b: 체결공 121: 벨크로
131: 좌측 보호부
132: 우측 보호부 132a, 135a: 도피홈
130a: 세로장공 133: 센터 차페부
134: 좌측 보호부 135: 우측 보호부
133c: 세로장공 134b,135b: 가로장공
133a,133b :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 131b, 132b: 가로장공
130c: 중첩부 200, 201: 스톱퍼
200a: 스톱퍼 헤드부 200b: 나사산부
210: 제1스톱퍼 220: 제2스톱퍼

Claims (16)

  1. 방사선 촬영장치에서 출사되는 방사선로부터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로서;
    좌우측 외이공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세로선의 후방 영역에서 경부의 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는 후방 보호부; 그리고 상기 후방 보호부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경부의 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는 전방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 보호부와 전방 보호부의 사이 구간은 방사선에 노출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부는,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좌, 우측 각각 8cm 이내에서 방사선 차폐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7번 경추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6cm 이내에서 차폐범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부의 방사선 차폐범위는;
    좌우측 한계가 상기 세로선에서 상기 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3cm이상이 되는 지점이고,
    상기 후방 보호부의 상한은 4번 경추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 보호대는,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를 지지하며, 인체에 착용되어서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를 상기 경부의 후방부위와 전방부위에 각각 위치시키는 보호대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 베이스는,
    상기 전방 보호부와 후방 보호부 사이 구간을 방사선에 노출시키고, 폐야 및 종격동을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부에 의한 방사선 차폐범위는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부의 방사선 차폐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보호부에 차폐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후방 보호부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기 후방 보호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세로장공과;
    상기 후방 보호부의 높이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 보호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후방 보호부의 상기 세로장공 내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후방 보호부가 상하로 움직할 때 상기 후방 보호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돌기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부의 방사선 차폐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보호부에 차폐폭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부는, 각각 좌우로 이동 가능한 좌측 보호부 및 우측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폐폭 조절장치는, 상기 좌측 보호부와 우측 보호부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장공과 상기 좌측 보호부와 우측 보호부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보호부와 우측 보호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부는;
    경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센터 차폐부와, 상기 센터 차폐부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측 보호부 및 우측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보호부 및 우측 보호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로장공 상에는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안내돌부 겸 체결돌부에는 상기 좌측 보호부와 우측 보호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스톱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차폐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15. 방사선 촬영장치에서 출사되는 방사선로부터 갑상선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로서;
    좌우측 외이공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세로선의 후방 영역에서 경부의 후방부위를 상기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는 후방 보호부; 그리고
    상기 후방 보호부를 지지하는 보호대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부에 의한 방사선 차폐범위는 폭과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KR1020120129802A 2012-11-15 2012-11-15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KR10135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802A KR101358290B1 (ko) 2012-11-15 2012-11-15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802A KR101358290B1 (ko) 2012-11-15 2012-11-15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290B1 true KR101358290B1 (ko) 2014-02-04

Family

ID=5026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802A KR101358290B1 (ko) 2012-11-15 2012-11-15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2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88A (ko)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바텍 방사선 차폐장치
WO2017176061A1 (ko) * 2016-04-06 2017-10-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WO2018152331A1 (en) * 2017-02-15 2018-08-23 Bernstein Derek T Neck support with radiation protection
WO2018225900A1 (ko) * 2017-06-07 2018-12-1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 차폐 장치
US10932732B2 (en) 2017-06-07 2021-03-02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Radiation shield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066B2 (ja) * 1987-08-03 1994-09-28 ワールドワイド イノベイションズ アンド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放射線遮蔽装置
US5523581A (en) 1994-09-23 1996-06-04 Wit, Inc. Slipcover for radiation shiel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066B2 (ja) * 1987-08-03 1994-09-28 ワールドワイド イノベイションズ アンド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放射線遮蔽装置
US5523581A (en) 1994-09-23 1996-06-04 Wit, Inc. Slipcover for radiation shield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
논문2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88A (ko)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바텍 방사선 차폐장치
WO2017176061A1 (ko) * 2016-04-06 2017-10-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KR20170114662A (ko) 2016-04-06 2017-10-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CN107613875A (zh) * 2016-04-06 2018-01-19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放射线拍摄的防护装备
KR101853275B1 (ko) * 2016-04-06 2018-06-20 주식회사 디알뷰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CN107613875B (zh) * 2016-04-06 2021-08-06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放射线拍摄的防护装备
WO2018152331A1 (en) * 2017-02-15 2018-08-23 Bernstein Derek T Neck support with radiation protection
WO2018225900A1 (ko) * 2017-06-07 2018-12-1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 차폐 장치
US10932732B2 (en) 2017-06-07 2021-03-02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Radiation shiel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858B1 (ko) 방사선 촬영용 방사선 방호장비
JP7382042B2 (ja) 3次元歯科用イメージングのための固定式口腔内トモシンセシス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1358290B1 (ko) 방사선 촬영용 갑상선 보호대
US10441227B2 (en) Cephalostat
US9161729B2 (en) Apparatus for X-ray photography
KR101853275B1 (ko)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KR20180028419A (ko) 방사선 촬영용 방호장비
KR20160112288A (ko) 방사선 차폐장치
JP6970209B2 (ja) X線撮像装置及び患者支持体
KR102508670B1 (ko) X-레이 촬상 장치 및 환자 지지 배열
Rozylo-Kalinowska et al. Cephalometric Radiograph in Dentistry/Oral Health
Sattar et al. Evaluation of KV Reduction on image quality in OPG X-Ray
US11096637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patient support safety mechanism
CN114173669A (zh) 辐射防护装置
Hugo et al. A simple and reproducible technique for the use of computed tomography in orthodontics
Hrangkhawl et al. Determination of Scattered Radiation to the Thyroid Gland in Dental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KR20120091894A (ko) 구강 내 엑스선 파노라마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BR102019017114A2 (pt) posicionador de cabeça com adaptador para oliva de cefalostato e estabilizador cervical para radiografia e tomografia
Carver Orthopantomography and cephalometry
Potrakhov Intraoral Panoramic Roentgenography
UA113794U (xx) Спосіб візуалізації привушної слинної зало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