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407A - Electrolytic tank and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lytic tank and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407A
KR20180027407A KR1020177030810A KR20177030810A KR20180027407A KR 20180027407 A KR20180027407 A KR 20180027407A KR 1020177030810 A KR1020177030810 A KR 1020177030810A KR 20177030810 A KR20177030810 A KR 20177030810A KR 20180027407 A KR20180027407 A KR 20180027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case piece
rib
reinforcing me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8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7678B1 (en
Inventor
다카히토 다치바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Publication of KR2018002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4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6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10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25B9/73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02E60/36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전해조(4)는, 제1 케이스편(50)과 제2 케이스편(60)이 고착되는 것에 의해 전해실을 형성한다. 전해실에서는, 격막(43)이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제1 케이스편(50)의 내면에는, 양극 급전체(41)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1 볼록형부(53)가 배치되고, 제2 케이스편(60)의 내면에는, 음극 급전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2 볼록형부가 배치된다. 제1 케이스편(50)의 외면에는, 제1 케이스편(50)을 보강하는 제1 보강 부재(110)가 장착되고, 제2 케이스편(60)의 외면에는, 제2 케이스편(60)을 보강하는 제2 보강 부재(120)가 장착된다.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에 의해 전해조(4)의 팽창이 억제되고, 격막(43)과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의 접촉 압력이 높아지며, 접촉 저항이 저감된다. The electrolytic cell (4)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forms an electrolytic chamber by fixing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In the electrolytic chamber, the diaphragm 43 is sandwich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feede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and supported.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53 contacting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iece 5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piece 60,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are disposed. A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for reinforcing the first case piece 5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iece 50. A second case piece 6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piece 60,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s mounted.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cell 4 is suppressed b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and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diaphragm 43 and the anode power supply 41 and the cathode power supply 42 is increased , The contact resistance is reduced.

Figure P1020177030810
Figure P1020177030810

Description

전해조 및 전해수 생성 장치Electrolytic tank and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그것을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cell for electrolyzing water to produce electrolytic water, and an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having the electrolytic cell.

종래부터, 격막으로 구획된 양극실과 음극실을 갖는 전해조를 구비하고, 전해조 내에 도입된 수도물 등의 원수를 전기 분해하여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n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has been known which includes an electrolytic cell having an anode chamber and a cathode chamber divided by a diaphragm and electrolyzes raw water such as tap water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tic cell to generate electrolytic water.

전해수 생성 장치의 음극실에서 생성되는 환원성의 전해 수소수는, 위장 증상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 상기 전기 분해에 의해 음극실에서 생성된 수소 가스를 녹여 넣은 전해 수소수는, 활성 산소의 제거에 적합하다고 하여 주목받고 있다. It is expected that the reducing electrolytic water generated in the cathode compartment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exerts an excellent effect for the improvement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Recently, the electrolytic water containing dissolved hydrogen gas produced in the cathode chamber by the electrolysis has attracted attention as being suitable for the removal of active oxygen.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563972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5639724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는, 전해조의 제1 케이스편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볼록형부가 양극 급전체와 접촉하고, 제2 케이스편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2 볼록형부가 음극 급전체와 접촉한다. 제1 볼록형부 및 제2 볼록형부 사이에, 양극 급전체, 격막 및 음극 급전체로 이루어진 적층체가 끼워져 지지된다.I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first convex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iece of the electrolytic bath is in contact with the anode power source,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piece is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a laminate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diaphragm, and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sandwiched and supported. 그런데, 전해 수소수의 용존 수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해조에서의 수소 가스의 발생량을 많게 하는 것과, 발생한 수소 가스를 효율적으로 전해수에 녹여 넣는 것이 필요하다. 수소 가스의 발생량은, 각 급전체에 공급되는 전해 전류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해조에서 대량의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전해 전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hydrogen gas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cell and efficiently dissolve the generated hydrogen gas in the electrolytic water. Since the generation amount of the hydrogen gas depends on the electrolytic current supplied to each clas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lectrolytic current in order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hydrogen gas in the electrolytic bath. 그리고, 전해 전류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각 급전체에 인가하는 전해 전압을 크게 하는 것, 혹은, 격막과 각 급전체 사이의 전기 저항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자의 기술은, 전해수 생성 장치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면서 수소 가스의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이 향상되어 특히 유용하다.In order to increase the electrolytic curren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electrolytic voltage applied to each class or to suppress the electrical resis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each class. The latter technique can increase the amount of hydrogen gas generation while suppress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and is particularly useful because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hydrogen gas is improved.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구조의 전해조에 있어서, 한정된 용량의 전해조를 이용하면서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격막과 각 급전체의 접촉 압력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양자간의 접촉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In the electrolytic cell of the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increase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hydrogen gas while using an electrolytic bath of a limited capacit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each of the power supplies by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Valid. 그러나, 전해조에 대한 통수가 시작되면, 전해실 내의 수압에 의해 제1 케이스편 및 제2 케이스편이 외측, 즉 격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한다. 이러한 제1 케이스편 및 제2 케이스편의 팽창은, 제1 볼록형부와 양극 급전체의 접촉 압력 및 제2 볼록형부와 음극 급전체의 접촉 압력의 저하를 초래하여, 격막과 각 급전체의 접촉 압력이 저하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격막과 각 급전체 사이의 접촉 저항이 증대됨에 따라 전해 전류가 저하되기 때문에,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을 충분히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However, when water supply to the electrolytic cell is started, the first case piece and the second case piece expand by the water pressure in the electrolysis chamber toward the outside, that i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iaphragm. The expansion of the first case piece and the second case piece causes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anode power supply and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second convex portion and the cathode power supply to be lowered and the contact pressure . Therefore, since the electrolytic current decreases as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each of the powders increases,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hydrogen gas may not be sufficiently increased.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해조의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전해 전류의 저하를 억제하여,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는 전해조 및 전해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ytic cell and an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the electrolytic cell from expanding by suppressing the electrolytic current from dropping and easily increasing the hydrogen gas generating efficiency It has a main purpose.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전기 분해되는 물이 공급되는 전해실이 형성되고, 상기 전해실 내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양극 급전체 및 음극 급전체와, 상기 양극 급전체와 상기 음극 급전체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전해실을 상기 양극 급전체측의 양극실과 상기 음극 급전체측의 음극실로 구분하는, 격막이 장착되는 전해조로서, 상기 양극 급전체측의 제1 케이스편과, 상기 음극 급전체측의 제2 케이스편이 고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해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편의 상기 전해실측을 향하는 내면에는, 상기 양극 급전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1 볼록형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케이스편의 상기 전해실측을 향하는 내면에는, 상기 음극 급전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2 볼록형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편의 외면에는, 상기 제1 케이스편을 보강하는 제1 보강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제2 케이스편의 외면에는, 상기 제2 케이스편을 보강하는 제2 보강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ytic cell in which an electrolytic chamber to which electrolytic water is supplied is formed and which is disposed in the electrolytic chamber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separating the electrolytic chamber into an anode chamber on the anode positive feed side and a cathode chamber on the negative electrode feed side, the electrolytic cell comprising: a first case piece on the positive electrod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The electrolytic chamber is formed by fixing the second case piece on the feeder sid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contacting the anode feeder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member facing the electrolysis chamber side,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contacting the cathode feeder ar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second case facing the electrolysis chamber side, Is equipped with a first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in the outer surface of convenience the second case, and wherein a second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second case piece mounting.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편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1 기초부와, 상기 제1 기초부로부터 기립하여 형성된 제1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상기 제2 케이스편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2 기초부와, 상기 제2 기초부로부터 기립하여 형성된 제2 기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base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member and a first rising portion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first base porti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preferably includes a second base portion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member and a second rising portion formed by ris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편에는, 상기 전해실의 외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편에는, 상기 전해실의 외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se part is provided with a first rib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case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rib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electrolytic chamber A second rib protruding from the first rib is formed.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의 선단부는 상기 제1 기초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리브의 선단부는 상기 제2 기초부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first rib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tip end portion of the second rib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ortion.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제1 기초부로부터 상기 전해조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제2 기초부로부터 상기 전해조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sing section is protruded from the first base section toward the inside direction of the electrolytic bath, and the second rising section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second base section toward the inside direction of the electrolytic bath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의 측면은 상기 제1 기립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리브의 측면은 상기 제2 기립부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ib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ising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rib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ising portion.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제1 기초부로부터 상기 전해조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제2 기초부로부터 상기 전해조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b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sing section is protruded from the first base section toward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electrolytic bath, and the second rising section i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second base section toward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electrolytic bath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전해실 내에서의 물의 흐름을 따르는 세로 방향에 수직인 가로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1 가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가로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2 가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b includes a first lateral rib extending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low of water in the electrolytic chamber, And a second transverse rib exten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 리브 및 상기 제2 가로 리브는 각각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편에는, 상기 외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융기하여, 인접하는 상기 제1 가로 리브 사이를 잇는 제1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편에는, 상기 외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융기하여, 인접하는 상기 제2 가로 리브 사이를 잇는 제2 융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first lateral ribs and the second lateral ribs are respectively formed, and the first case piece is protruded outward from the outer wall surface, And a second raised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case piece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outer wall surface and to connect between adjacent second lateral ribs.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케이스편의 상기 외벽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케이스편의 상기 외벽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b may include a first end edge rib extending along an end edge of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ase member, And a second end edge rib extending along an end edge of the outer wall surface.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 리브의 양단은 상기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와 이어지고, 상기 제2 가로 리브의 양단은 상기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와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first lateral ribs are connected to the first end edge ribs, and both ends of the second lateral rib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end edge ribs.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전해실 내에서의 물의 흐름을 따르는 세로 방향에 수직인 가로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1 가로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가로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2 가로 기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sing section includes a first horizontal rising section extending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low of water in the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rising section includes: And a second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2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olytic b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ising section includes a first end edge rising section extending along an end edg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a second end edge ris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first end edge rising portion.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 및 제2 보강 부재는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ly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re made of sheet metal.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상기 전해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이다.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electrolytic bath.

본 발명의 제1 발명의 전해조는, 제1 케이스편의 외면에는, 제1 케이스편을 보강하는 제1 보강 부재가 장착되고, 제2 케이스편의 외면에는, 제2 케이스편을 보강하는 제2 보강 부재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전해조의 팽창이 억제되기 때문에, 격막과 각 급전체의 접촉 압력이 충분히 확보되고, 격막과 각 급전체 사이의 접촉 저항이 저감된다. 이에 따라, 각 급전체에 인가하는 전해 전압을 과도하게 크게 하지 않고 충분한 전해 전류를 얻기 쉬워져,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을 용이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electrolytic cell of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first case member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member,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second case member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member. Respectively. As a result, since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cell is suppressed,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diaphragm and each of the power supplies is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each power supply is reduced. This makes it easy to obtain a sufficient electrolytic current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electrolytic voltage to be applied to each clas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raise the hydrogen gas generat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제2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 발명과 마찬가지로, 각 급전체에 인가하는 전해 전압을 과도하게 크게 하지 않고 충분한 전해 전류를 얻기 쉬워져,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을 용이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electrolytic-water producing apparatus of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obtain a sufficient electrolytic current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electrolytic voltage to be applied to each power supply as in the firs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raise.

도 1은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일실시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해조의 조립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케이스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2 케이스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보강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2 보강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전해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전해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전해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전해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전해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lyzer of Fig. 1 before assembly.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case member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ase member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of Fig. 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of Fig. 2;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lyzer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ctrolytic bath.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electrolytic bath.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electrolytic bath.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electrolytic bath.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전해수 생성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전해수 생성 장치(1)는, 가정의 음료용 및 요리용의 물의 생성이나 혈액 투석의 투석액의 생성에 이용할 수 있다. 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1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water for beverage and cooking at home and for the production of a dialysis liquid for hemodialysis.

전해수 생성 장치(1)는, 전기 분해되는 물이 공급되는 전해실(40)이 형성되는 전해조(4)와, 전해실(40)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와, 양극 급전체(41)와 음극 급전체(42) 사이에 배치되는 격막(43)을 구비한다. 전해조(4)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별도의 전해조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전해조(4)와 병렬로 별도의 전해조가 설치되어도 좋다. 별도로 설치되는 전해조에 관해서도, 전해조(4)와 동등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1 includes an electrolytic bath 4 in which an electrolytic chamber 40 to which electrolyzed water is supplied is formed, and a cathode current collector 41 and a cathode A feeder 42 and a diaphragm 43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feede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Another electrolytic bath may b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r the downstream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 [ Further, another electrolytic bath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electrolytic bath 4.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electrolytic bath 4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lytic bath separately provided.

격막(43)은, 전해실(40)을 양극 급전체(41)측의 양극실(40A)과, 음극 급전체(42)측의 음극실(40B)로 구분한다. 전해실(40)의 양극실(40A) 및 음극실(40B) 양쪽에 물이 공급되고,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에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전해실(40) 내에서 물의 전기 분해가 생긴다. The diaphragm 43 divides the electrolytic chamber 40 into an anode chamber 40A on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1 side and a cathode chamber 40B o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42 side. Water is supplied to both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cathode chamber 40B of the electrolysis chamber 40 and the DC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power supply 41 and the cathode power supply 42, ≪ / RTI > electrolysis of water occurs.

격막(43)은, 전기 분해로 생긴 이온을 통과시키고, 격막(43)을 통해 양극 급전체(41)와 음극 급전체(4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격막(43)에는, 예컨대 술폰산기를 갖는 불소계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고체 고분자 재료가 이용된다. The diaphragm 43 passes electrolytically generated ions, and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diaphragm 43. As the diaphragm 43, for example, a solid polymeric material made of a fluorine-based resin material having a sulfonic acid group is used.

고체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격막(43)을 갖는 전해조(4)에서는, 중성의 전해 수소수 및 전해 산소수가 생성된다. 전해실(40) 내에서 물이 전기 분해되는 것에 의해, 음극실(40B)에서는 수소 가스를 녹여 넣은 전해 수소수를 얻을 수 있고, 양극실(40A)에서는 산소 가스를 녹여 넣은 전해 산소수를 얻을 수 있다. In the electrolytic cell 4 having the diaphragm 43 using the solid polymeric material, neutral electrolytic water and electrolytic oxygen are generated. Electrolytic water containing hydrogen gas is obtained in the cathode chamber 40B by electrolysis of water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and electrolytic water of oxygen gas dissolved in the anode chamber 40A is obtained .

전해수 생성 장치(1)는, 전해조(4)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6)과, 전해조(4)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입수부(7)와, 전해조(4)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출수부(8)를 더 구비한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1 includes a control means 6 for controlling the electrolytic bath 4, a water intake portion 7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 (8).

제어 수단(6)은, 예컨대 각종 연산 처리, 정보 처리 등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CPU의 동작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등을 갖는다. The control means 6 has, for example,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for executing various kinds of arithmetic process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like, and a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operation of the CPU and a memory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양극 급전체(41)와 제어 수단(6) 사이의 전류 공급 라인에는, 전류 검출 수단(44)이 설치된다. 전류 검출 수단(44)은, 음극 급전체(42)와 제어 수단(6) 사이의 전류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도 좋다. 전류 검출 수단(44)은, 급전체(41, 42)에 공급하는 전해 전류(I)를 검출하고, 그 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 수단(6)으로 출력한다. In the current supply lin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 and the control means 6, a current detecting means 44 is provided. The current detecting means 44 may be provided in a current supply line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and the control means 6. [ The current detecting means 44 detects the electrolytic current I supplied to the feeders 41 and 42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means 6.

제어 수단(6)은, 전류 검출 수단(44)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양극 급전체(41)와 음극 급전체(42)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피드백 제어한다. 예컨대, 전해 전류가 과도하게 큰 경우, 제어 수단(6)은 상기 전압을 감소시키고, 전해 전류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 제어 수단(6)은 상기 전압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급전체(41, 42)에 공급하는 전해 전류(I)가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The control means 6 performs feedback control of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2 on the basis of the signal inputted from the current detecting means 44. [ For example, when the electrolytic current is excessively large, the control means 6 decreases the voltage, and when the electrolytic current is excessively small, the control means 6 increases the voltage. Thus, the electrolytic current I supplied to the feeders 41 and 42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입수부(7)는, 급수관(71)과, 유량 센서(72)와, 분기부(73)와, 유량 조정 밸브(74) 등을 갖는다. 급수관(71)은, 예컨대 정수 카트리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정수 카트리지에 의해 정화된 물이 공급되는 물을 전해실(40)로 유도한다. 유량 센서(72)는 급수관(71)에 설치된다. 유량 센서(72)는, 전해실(40)에 공급되는 물의 단위시간당 유량(이하, 단순히 「유량」이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F)을 정기적으로 검출하고, 그 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 수단(6)으로 출력한다. The water inlet portion 7 has a water supply pipe 71, a flow rate sensor 72, a branch portion 73, a flow rate regulating valve 74, and the like. The water supply pipe 71 is connected to, for example, a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not shown), and guides the water to be purified by the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to the electrolysis chamber 40. The flow rate sensor 72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71. The flow rate sensor 72 periodically detects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hamber 40 per unit time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 flow rate ") F and control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And outputs it to the means (6).

분기부(73)는, 급수관(71)을 급수관(71a, 71b)의 양쪽으로 분기한다. 유량 조정 밸브(74)는, 급수관(71a, 71b)을 양극실(40A) 또는 음극실(40B)에 접속한다. 양극실(40A) 및 음극실(40B)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제어 수단(6)의 관리 하에 유량 조정 밸브(74)에 의해 조정된다. 유량 조정 밸브(74)는, 물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양극실(40A) 및 음극실(40B)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양극실(40A)과 음극실(40B) 사이에서 압력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The branching section 73 branches the water supply pipe 71 to both sides of the water supply pipes 71a and 71b. The flow rate adjusting valve 74 connects the water supply pipes 71a and 71b to the anode chamber 40A or the cathode chamber 40B.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cathode chamber 40B is adjusted by the flow rate regulating valve 7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 [ The flow rate regulating valve 74 regulates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cathode chamber 40B in order to increase the water utilization efficiency. Thereby, a pressure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cathode chamber 40B.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량 센서(72)는 분기부(73)의 상류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양극실(40A)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과 음극실(40B)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의 총합, 즉, 전해실(4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F)을 검출한다. Since the flow sensor 72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branching section 73, the sum of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athode chamber 40B, The flow rate F of water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hamber 40 is detected.

출수부(8)는, 유로 전환 밸브(81)와, 토수관(82)과, 배수관(83) 등을 갖는다. 유로 전환 밸브(81)는, 양극실(40A), 음극실(40B)을 토수관(82) 또는 배수관(83)에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전해수 생성 장치(1)가 혈액 투석의 투석액의 생성에 이용되는 경우, 음극실(40B)에서 생성되는 전해 수소수가 토수관(82)을 통해, 여과 처리용의 역침투막 모듈 및 투석 원액을 희석하는 희석 장치 등에 공급된다. The water outlet portion 8 has a flow path switching valve 81, a water tube 82, a drain pipe 83, and the like.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81 selectively connects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cathode chamber 40B to the water discharge pipe 82 or the discharge pipe 83. [ Whe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1 is used for producing a dialysis liquid of hemodialysis, the number of electrolytic hydrogen produced in the cathode chamber 40B is diluted through the water tube 82 for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module for filtration treatment and the dialysis stock solution And the like.

제어 수단(6)은,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에 인가하는 직류 전압의 극성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 수단(6)은, 유량 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전해실(4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F)을 적산하고, 소정의 적산치에 도달하면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에 인가하는 직류 전압의 극성을 전환한다. 이에 따라, 양극실(40A)과 음극실(40B)이 서로 교체된다. 직류 전압의 극성의 전환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6)은, 유량 조정 밸브(74) 및 유로 전환 밸브(81)를 동기식으로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음극실(40B)과 토수관(82)이 항상 접속되고, 음극실(40B)에서 생성되는 전해 수소수가 토수관(82)으로부터 토출된다. The control means 6 controls the polarity of the DC voltage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feede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For example, the control means 6 accumulates the flow rate F of water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hamber 40 based on the signal inputted from the flow rate sensor 72, and when the predetermined cumulative value is reached,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source 42 in accordance with the polarity of the DC voltage applied thereto. Thereby,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cathode chamber 40B are replaced with each other. In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DC voltage, the control means 6 operates the flow rate adjusting valve 74 and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81 synchronously. Accordingly, the cathode chamber 40B and the water tube 82 are always connected, and the electrolytic hydrogen generated in the cathode chamber 40B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tube 82.

도 2는, 전해조(4)의 조립전의 사시도이다. 전해조(4)는, 양극 급전체(41)측의 제1 케이스편(50)과, 음극 급전체(42)측의 제2 케이스편(60)과, 제1 케이스편(50)의 외면에 장착되는 제1 보강 부재(110)와, 제2 케이스편(60)의 외면에 장착되는 제2 보강 부재(120)를 갖는다.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케이스편(50)과 제2 케이스편(60)이 고착되는 것에 의해, 그 내부에 전해실(40)(도 1 참조)이 형성된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lytic bath 4 before assembly. The electrolytic bath 4 includes a first case piece 50 on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1 side, a second case piece 60 o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42 side,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piece 60.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mounted on the first case member 60,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which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re fixed to form an electrolytic chamber 40 (see Fig. 1) inside.

전해조(4)는, 전해실(40) 내에, 양극 급전체(41), 격막(43) 및 음극 급전체(42)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적층체(45)를 수용한다. The electrolytic bath 4 houses a laminated body 45 in which an anode feeder 41, a diaphragm 43 and a cathode feeder 42 are superimposed in an electrolysis chamber 40.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는 각각, 그 판두께 방향으로 물이 왕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에는, 예컨대 익스팬드 메탈 등의 메쉬형의 금속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메쉬형의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는, 격막(43)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면서, 격막(43)의 표면에 물을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어, 전해실(40) 내에서의 전기 분해를 촉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로서, 티타늄제의 익스팬드 메탈의 표면에 백금의 도금층이 형성된 것이 적용된다. 백금의 도금층은 티타늄의 산화를 방지한다. The anode class bulk body 41 and the cathode class class body 42 are configured such that water can flow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Mesh-type metal such as expanded metal can be applied to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1 and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2, for example. The mesh type positive electrode feede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can distribute the water evenly on the surface of the diaphragm 43 while sandwiching the diaphragm 43 therebetween, Lt; RTI ID = 0.0 > electrolysis < / RTI > In this embodiment, as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2, a platinum p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n expanded metal made of titanium. Platinum plated layer prevents oxidation of titanium.

양극 급전체(41)에는, 제1 케이스편(50)을 관통하여 전해조(4)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41a)가 설치된다. 단자(41a)에는, 예컨대 밀봉 부재(41b), 부시(41c), 너트(41d, 41e)를 통해 단자(41f)가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음극 급전체(42)에도, 제2 케이스편(60)을 관통하여 전해조(4)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42a)가 설치된다. 단자(42a)에는, 예컨대 밀봉 부재(42b), 부시(42c), 너트(42d, 42e)를 통해 단자(42f)가 장착된다. 단자(41f, 42f)는, 도 1에 도시되는 제어 수단(6)에 접속된다. 단자(41a, 42a 및 41f, 42f)를 통해,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에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A terminal 41a protruding from the electrolytic bath 4 through the first case piece 50 is provided in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1. [ A terminal 41f is attached to the terminal 41a through a sealing member 41b, a bush 41c and nuts 41d and 41e. Likewise,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2 is also provided with a terminal 42a that extends through the second case piece 60 and protrudes outside the electrolytic bath 4. [ The terminal 42a is mounted with the terminal 42f through the sealing member 42b, the bush 42c, and the nuts 42d and 42e, for example. The terminals 41f and 42f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6 shown in Fig. DC voltage is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feede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through the terminals 41a, 42a and 41f, 42f.

고체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격막(43)을 갖는 전해조(4)에서는, 중성의 전해수가 생성된다. 격막(43)의 양면에는, 백금으로 이루어진 도금층(43a)이 형성된다. 도금층(43a)과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는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In the electrolytic cell 4 having the diaphragm 43 using the solid polymeric material, neutral electrolytic water is produced. On both sides of the diaphragm 43, a plated layer 43a made of platinum is formed. The plating layer 43a is in contact with the anode feeder 41 and the cathode feeder 4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격막(43)은, 전해실(40) 내에서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따라서, 격막(43)의 형상은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에 의해 유지된다. 이와 같은 격막(43)의 유지 구조에 의하면, 양극실(40A)과 음극실(40B) 사이에 생기는 압력차에 기인하는 응력의 대부분은,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에 의해 부담되고, 격막(43)에 가해지는 응력은 감소한다. 이에 따라, 양극실(40A)과 음극실(40B) 사이에서 큰 압력차가 생기는 상태에서 전해수 생성 장치(1)가 동작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격막(43)에는 큰 응력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격막(43)의 손상을 억제하고, 물의 이용 효율을 용이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diaphragm 43 is sandwiched and supported between the anode feeder 41 and the cathode feeder 42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Therefore, the shape of the diaphragm 43 is held by the positive electrode feede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holding structure of the diaphragm 43, most of the stress caus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cathode chamber 40B is absorbed by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source 42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diaphragm 43 is reduced. Accordingly, even whe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1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a large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cathode chamber 40B, large stress is not generated in the diaphragm 43.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damage to the diaphragm 43 and easily increase the water utilization efficiency.

또한, 격막(43)이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기 때문에, 격막(43)의 도금층(43a)과 양극 급전체(41) 사이 및 도금층(43a)과 음극 급전체(42) 사이에서의 접촉 저항이 감소하고, 전압 강하가 억제된다. 이에 따라, 충분한 전해 전류(I)에 의해 전해실(40) 내에서의 전기 분해가 촉진되어, 높은 용존 수소 농도의 전해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The diaphragm 43 is sandwich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2 so that the gap between the plating layer 43a of the diaphragm 43 and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 and the plating layer 43a,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is reduced, and the voltage drop is suppressed. As a result, the electrolysis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is promoted by the sufficient electrolytic current (I), and electrolytic water of high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 can be genera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의 외주 가장자리의 외측에는, 제1 케이스편(50)과 제2 케이스편(60)의 맞춤면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밀봉 부재(46)가 설치된다. 격막(43)의 외주부는, 밀봉 부재(46)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2, a leakage from the mating surface of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itive electrode class feeder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class feeder 42 A sealing member 46 is provide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iaphragm 43 is sandwiched between the sealing members 46 and supported.

각 케이스편(50 및 60)은, 예컨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나 PPS(폴리페닐렌술파이드)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각 케이스편(50 및 60)은, 전해실(40) 내에서의 물의 흐름을 따르는 세로 방향(V)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해실(40)은 세로 방향(V)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세로로 긴 형상의 전해실(40)에 의해, 전해조(4) 내에서의 유로가 길어진다. 그 결과, 음극실(40B)에서 발생한 수소 가스를, 음극실(40B) 내의 물에 녹여 넣기 쉬워져, 용존 수소 농도를 높일 수 있다. Each of the case pieces 50 and 60 is formed of a resin such as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or PPS (polyphenylene sulfide). Each case piece 50 and 6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long the flow of water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Thus, the electrolytic chamber 4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V). The electrolytic cell (40) in the longitudinally elongated shape increases the flow path in the electrolytic bath (4). As a result, the hydrogen gas generated in the cathode chamber 40B can be easily dissolved in the water in the cathode chamber 40B, and the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 can be increased.

도 3의 (a)는, 전해실(40)측을 향하는 내면측에서 본 제1 케이스편(50)의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외면측에서 본 제1 케이스편(50)의 사시도이다. 한편, 도 4의 (a)는, 전해실(40)측을 향하는 내면측에서 본 제2 케이스편(60)의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외면측에서 본 제2 케이스편(60)의 사시도이다.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ase piece 50 seen from the inner surface side facing the electrolysis chamber 40 side. FIG. 3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ase piece 50 seen from the outer side, FIG. 4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ase piece 60 seen from the inner surface side facing the electrolytic chamber 40 side. FIG. 4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ase piece 60).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편(50) 및 제2 케이스편(60)의 내면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제1 케이스편(50)과 제2 케이스편(60)을 고착하기 위한 맞춤면(51, 61)이 형성된다. 맞춤면(51, 61)의 내측에는, 내벽이 맞춤면(51, 61)으로부터 제1 케이스편(50), 제2 케이스편(60)의 두께 방향으로 함몰됨으로써, 전해부(52, 62)가 설치된다. 전해부(52)는 양극실(40A)을 구성하고, 전해부(62)는 음극실(40B)을 구성한다. 3 and 4,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are fixed to the outer edges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The mating faces 51 and 61 are formed. The inner walls are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from the mating faces 51 and 61 to form electrolytic portions 52 and 62 on the inside of the mating faces 51 and 61, Respectively. The electrolytic section 52 constitutes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electrolytic section 62 constitutes the cathode chamber 40B.

제1 케이스편(50)의 내면에는 복수의 제1 볼록형부(53)가 배치된다. 각 제1 볼록형부(53)는, 전해부(52)를 세로 방향(V)으로 신장하고, 세로 방향(V)에 수직인 가로 방향(H)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한편, 제2 케이스편(60)의 내면에는 복수의 제2 볼록형부(63)가 배치된다. 각 제2 볼록형부(63)는, 전해부(62)를 세로 방향(V)으로 신장하고, 가로 방향(H)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볼록형부(53) 및 제2 볼록형부(63)는, 전해실(40) 내를 세로 방향(V)으로 흐르는 물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53 ar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iece 50. Each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53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of the electrolytic portion 52.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63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piece 60. Each of the second convex portions 6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nd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 The first convex portion 53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63 do not impede the movement of water flowing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

각 제1 볼록형부(53)는, 양극실(40A)에서 양극 급전체(41)와 접촉하여, 양극 급전체(41)를 제2 케이스편(60)측으로 압박한다. 한편, 각 제2 볼록형부(63)는, 음극실(40B)에서 음극 급전체(42)와 접촉하여, 음극 급전체(42)를 제1 케이스편(50)측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각 제1 볼록형부(53) 및 각 제2 볼록형부(63)에 의해, 적층체(45)는 그 양면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제1 볼록형부(53) 및 제2 볼록형부(63)의 형상 및 배치는 임의이다. 예컨대, 각 제1 볼록형부(53) 및 각 제2 볼록형부(63)는, 상기 특허문헌 1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체를 사이에 끼우고 전해실의 가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도 좋고, 상기 특허문헌 1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체를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제1 볼록형부(53) 및 제2 볼록형부(63)는, 상기 특허문헌 1의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이산적으로 설치되는 형태이어도 좋다. Each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53 contacts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1 in the anode chamber 40A and urges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1 toward the second case piece 60 side. On the other hand, each second convex portion 63 contacts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in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40B to urge the negative electrode feeder 42 toward the first case piece 50 side. Therefore, the laminated body 45 is sandwiched between both surfaces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3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63, and is supported.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3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63 are arbitrar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of Patent Document 1, the first convex portion 53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63 ar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lectrolytic chamber with the laminate sandwiched therebetween Or may b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tacked body sandwich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8 of Patent Document 1. The first convex portion 53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63 may be arranged discret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1.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케이스편(50 및 60)의 외면에는,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가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을 판금 가공함으로써,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가 구성된다.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는, 나사(95) 등을 통해 제1 케이스편(50) 및 제2 케이스편(60)에 고착된다. 제1 보강 부재(110)에는, 나사(95)에 대응하는 암나사(119)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스편(50)과 제2 케이스편(60)의 접합에 너트 등이 불필요해져, 전해조(4)의 부품수가 삭감됨과 함께, 전해조(4)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2,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ar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case pieces 50 and 60,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are formed by metal-working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are fixed to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through screws 95 or the like.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119 corresponding to the screw 95. [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nut or the like in joining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the electrolytic bath 4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electrolytic bath 4. [

제1 보강 부재(110)는 제1 케이스편(50)을 보강한다. 제2 보강 부재(120)는 제2 케이스편(60)을 보강한다.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에 의해, 제1 케이스편(50) 및 제2 케이스편(60)의 변형, 즉 전해조(4)의 팽창이 억제되기 때문에, 격막(43)과 각 급전체(41, 42)의 접촉 압력이 충분히 확보되고, 격막(43)과 각 급전체(41, 42) 사이의 접촉 저항이 저감된다. 이에 따라, 각 급전체(41, 42)에 인가하는 전해 전압을 과도하게 크게 하지 않고 충분한 전해 전류(I)를 얻기 쉬워져,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을 용이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reinforces the first case piece 50.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reinforces the second case piece 60. Since deformation of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that is,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s suppressed b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diaphragm 43 and each of the power supplies 41 and 42 is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diaphragm 43 and each of the power supplies 41 and 42 is reduced. This makes it easy to obtain a sufficient electrolytic current I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electrolytic voltage applied to each of the power supplies 41 and 42,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raise the hydrogen gas generating efficiency.

전해조(4)에는, L자형의 이음새(91, 92, 93, 94)가 설치된다. 이음새(91, 92)는, 제1 케이스편(50), 제2 케이스편(6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량 조정 밸브(74)와 접속된다. 이음새(93, 94)는, 제1 케이스편(50), 제2 케이스편(6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로 전환 밸브(81)와 접속된다. 전해수 생성 장치(1)에 대한 통수를 시작함으로써, 양극실(40A) 및 음극실(40B)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대국적인 물의 흐름이 생긴다. L-shaped seams 91, 92, 93, and 94 are provided in the electrolytic bath 4. [ The seams 91 and 92 ar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and are connected to the flow rate regulating valve 74. The joints 93 and 94 ar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and are connected to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81. By starting water supply to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1, a flow of wate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node chamber 40A and the cathode chamber 40B toward the upper portion is generated.

음극실(40B)에서 발생한 수소 가스는, 미소한 기포가 되어 음극실(40B)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소 가스의 이동 방향과 대국적으로 물이 흐르는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수소 분자를 물에 녹여 넣기 쉬워져, 용존 수소 농도가 높아진다. The hydrogen gas generated in the cathode chamber 40B becomes minute bubbles and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cathode chamber 40B.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irection of flow of hydrogen gas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flow of water in a large nation, the hydrogen molecules are easily dissolved in water and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hydrogen becomes high.

도 5의 (a)는, 제1 케이스편(50)측을 향하는 내면측에서 본 제1 보강 부재(110)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외면측에서 본 제1 보강 부재(110)의 사시도이다. 한편, 도 6의 (a)는, 제2 케이스편(60)측을 향하는 내면측에서 본 제2 보강 부재(120)의 사시도이며, 도 6의 (b)는, 외면측에서 본 제2 보강 부재(120)의 사시도이다.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seen from the inner surface side toward the first case piece 50, and FIG. 5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6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viewed from the inner surface side toward the second case piece 60 side, and FIG. 6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seen from the outer surface side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mber (120).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 부재(110)는, 제1 케이스편(50)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1 기초부(111)와, 제1 기초부(111)로부터 기립하여 형성되는 제1 기립부(112)를 포함한다. 제1 기립부(112)에 의해 제1 보강 부재(110)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해조(4)의 팽창이 한층 더 억제되고, 이로써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5 and 6,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111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iece 50, and a second base portion 111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11, And a first rising part 112 formed by the first rising part 112. The rigidity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increased by the first standing portion 112, so that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s further suppress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hydrogen gas.

마찬가지로, 제2 보강 부재(120)는, 제2 케이스편(60)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2 기초부(121)와, 제2 기초부(121)로부터 기립하여 형성되는 제2 기립부(122)를 포함한다. 제2 기립부(122)에 의해 제2 보강 부재(120)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해조(4)의 팽창이 한층 더 억제되고, 이로써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Likewise,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ncludes a second base portion 121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piece 60 and a second base portion 121 formed by stan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121 122). The rigidity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s increased by the second standing portion 122, so that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s further suppress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hydrogen gas generating efficiency.

제1 기립부(112)는, 세로 방향(V)에 수직인 가로 방향(H)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1 가로 기립부(113)와, 제1 보강 부재(110)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11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기립부(122)는, 세로 방향(V)에 수직인 가로 방향(H)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2 가로 기립부(123)와, 제2 보강 부재(120)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2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1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rising section 112 includes a first horizontal rising section 113 exten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H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nd a second transverse rising section 113 extending along the end edg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a first end edge rising portion 114. Likewise, the second rising section 122 includes a second transverse rising section 123 exten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H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nd a second transverse rising section 123 extending along the end edge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And a second end edge rising portion 124 extending therefrom.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can be easily formed by press-forming a metal plate.

예컨대, 제1 가로 기립부(113)는, 제1 기초부(111)를 부분적으로 잘라서 세우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초부(111)에는 관통 구멍(115)이 개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가로 기립부(113) 및 관통 구멍(115)이 세로 방향(V)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관통 구멍(115)의 세로 방향(V)의 양단에 한 쌍의 제1 가로 기립부(113)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가로 기립부(123)는, 제2 기초부(121)를 부분적으로 잘라서 세우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기초부(121)에는 관통 구멍(125)이 개구된다. 제2 가로 기립부(123) 및 관통 구멍(125)의 배열에 관해서는, 제1 가로 기립부(113) 및 관통 구멍(115)과 동일하다.For example, the first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13 i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and erecting the first base portion 111. As a result, the through hole 115 is opened in the first base 111.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transverse rising portions 113 and through holes 115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 pair of first horizontal rising portions 11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11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Likewise, the second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23 i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and standing the second base portion 121. Thus, the through hole 125 is opened in the second base 121. The arrangements of the second horizontal rising portions 123 and the through holes 125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horizontal rising portions 113 and the through holes 115.

제1 보강 부재(110)에는, 제1 가로 기립부(113)와, 제1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114)가 형성되는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제1 가로 기립부(113) 및 제1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114) 중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도 좋다. 제1 가로 기립부(113)에 의해, 제1 보강 부재(110)의 가로 방향(H), 즉 짧은 방향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전해조(4)의 팽창이 한층 더 억제된다. 제1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114)에 의해, 제1 보강 부재(110)의 단부 가장자리 근방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전해조(4)의 팽창이 한층 더 억제된다. 제2 가로 기립부(123) 및 제2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124)에 관해서도 동일하다.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preferably formed with the first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13 and the first trailing edge rising portion 114. The first transverse rising portion 113 and the first transverse rising edge 113,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s 114 may be formed. The first horizontal rising portion 113 increases the bending rigidit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that is, in the short direc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s further suppressed. The bending rigidity in the vicinity of the end edg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increased by the first end edge rising portion 114 and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s further suppressed. The same holds for the second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23 and the second end edge rising portion 124.

상기 제1 가로 기립부(113) 대신에, 세로 방향(V)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1 세로 기립부가 제1 보강 부재(110)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보강 부재(110)의 세로 방향(V), 즉 긴 방향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전해조(4)의 팽창이 억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가로 기립부(123) 대신에, 세로 방향(V)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2 세로 기립부가 제2 보강 부재(120)에 형성되어도 좋다. Instead of the first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13, a first longitudinal ris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may be formed o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that is, the bending rigid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creased, and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can be suppressed. Similarly, instead of the second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23, a second vertical ris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may be formed 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편(50)에는 제1 리브(54)가 형성된다. 제1 리브(54)는, 전해실(40)의 제1 케이스편(50)의 외벽면(50a)으로부터 전해조(4)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리브(54)에 의해, 제1 케이스편(50)의 강성이 높아지고, 전해조(4)의 팽창이 한층 더 억제되고, 이로써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As shown in FIG. 3, a first rib 54 is formed in the first case piece 50. The first ribs 54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surface 50a of the first case piece 50 of the electrolytic chamber 40 toward the out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 [ The rigidity of the first case piece 50 is increased by the first ribs 54 and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s further suppressed, whereby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hydrogen gas is further improved.

제1 리브(54)는, 가로 방향(H)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1 가로 리브(55)와, 제1 케이스편(50)의 외벽면(50a)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를 포함한다. The first rib 54 has a first transverse rib 55 exten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H and a second transverse rib 55 extending along the end edge of the outer wall surface 50a of the first case piece 50. [ And a rib 56.

제1 케이스편(50)에는, 제1 가로 리브(55)와,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가 형성되는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제1 가로 리브(55) 및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 중 어느 한쪽이 형성되어도 좋다. 제1 가로 리브(55)에 의해, 제1 케이스편(50)의 가로 방향(H), 즉 짧은 방향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전해조(4)의 팽창이 한층 더 억제된다.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에 의해, 제1 케이스편(50)의 단부 가장자리 근방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전해조(4)의 팽창이 한층 더 억제된다. The first transverse rib 55 and the first end edge rib 56 are formed in the first case piece 50. The first transverse rib 55 and the first end edge rib 56, May be formed. The bending rigidit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 of the first case piece 50, that is, the short direction, is increased by the first transverse rib 55, and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s further suppressed. The bending rigidity in the vicinity of the end edge of the first case piece 50 is increased by the first end edge rib 56 and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s further suppressed.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가로 리브(55)는 세로 방향(V)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인접하는 제1 가로 리브(55) 사이에는, 제1 케이스편(50)의 외벽면(50a)으로부터 융기되는 제1 융기부(57)가 형성된다. 제1 융기부(57)는, 인접하는 제1 가로 리브(55) 사이를 잇고, 제1 케이스편(50)의 강성을 한층 더 높인다. 제1 융기부(57)는,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에 이어져도 좋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lateral ribs 55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 first raised portion 57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surface 50a of the first case piece 50 is formed between adjacent first lateral ribs 55. [ The first raised portion 57 joins the adjacent first lateral ribs 55 and further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first case piece 50. The first raised portion 57 may extend to the first end edge rib 56.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부재(46)를 수용하기 위해 제1 케이스편(50)의 내면측에 형성되는 홈부에 대응하는 개소에 제1 융기부(57)가 형성된다. 즉, 제1 융기부(57)는, 제1 가로 리브(55)의 가로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제1 융기부(57)는, 제1 가로 리브(55)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케이스편(50)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idge portion 57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irst case piece 50 to accommodate the sealing member 46. That is, the first ridge portions 57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lateral ribs 55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rst raised portion 57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transverse rib 55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is case, the rigidity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irst case member 50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제1 가로 리브(55)의 가로 방향의 양단은,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에 이어진다. 이에 따라, 제1 가로 리브(55)와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에 의해 연속하는 폐쇄된 단면이 구성되어, 제1 케이스편(50)의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Both ends of the first transverse rib 55 in the transverse direction extend to the first end edge rib 56. As a result, the first transverse ribs 55 and the first end edge ribs 56 constitute a continuous closed cross section, so that the rigidity of the first case piece 50 is further increased.

상기 제1 가로 리브(55) 대신에, 또는 제1 가로 리브(55)에 덧붙여, 세로 방향(V)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1 세로 리브가 제1 케이스편(50)의 외벽면(50a)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케이스편(50)의 세로 방향(V), 즉 긴 방향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전해조(4)의 팽창이 억제될 수 있다. A first longitudinal rib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is formed on the outer wall surface 50a of the first case piece 50 in place of the first lateral rib 55 or in addition to the first lateral rib 55. [ .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of the first case piece 50, that is, the bending rigid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creased, and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can be suppress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편(60)에는 제2 리브(64)가 형성된다. 제2 리브(64)는, 전해실(40)의 제2 케이스편(60)의 외벽면(60a)으로부터 전해조(4)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리브(64)에 의해, 제2 케이스편(60)의 강성이 높아지고, 전해조(4)의 팽창이 한층 더 억제되고, 이로써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As shown in FIG. 4, a second rib 64 is formed in the second case piece 60. The second ribs 64 project from the outer wall surface 60a of the second case piece 60 of the electrolytic chamber 40 toward the out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 [ The rigidity of the second case piece 60 is increased by the second rib 64 and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s further suppressed and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hydrogen gas is further improved.

제2 리브(64)는, 가로 방향(H)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2 가로 리브(65)와, 제2 케이스편(60)의 외벽면(60a)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66)를 포함한다. The second rib 64 has a second transverse rib 65 exten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H and a second transverse edge 65 extending along the end edge of the outer wall surface 60a of the second case piece 60. [ And a rib 66.

제2 케이스편(60)에는, 제2 가로 리브(65)와,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66)가 형성되는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제2 가로 리브(65) 및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66) 중 어느 한쪽이 형성되어도 좋다. 제2 가로 리브(65) 및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66)의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제1 가로 리브(55) 및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와 동등하다. The second transverse rib 65 and the second end edge rib 66 are formed in the second case piece 60. The second transverse rib 65 and the second end edge rib 66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second case piece 60, May be formed. The action of the second transverse rib 65 and the second end edge rib 66 is equivalent to the first transverse rib 55 and the first end edge rib 56.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2 가로 리브(65)는 세로 방향(V)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인접하는 제2 가로 리브(65) 사이에는, 제2 케이스편(60)의 외벽면(60a)으로부터 융기되는 제2 융기부(67)가 형성된다. 제2 융기부(67)는, 인접하는 제2 가로 리브(65) 사이를 잇고, 제2 케이스편(60)의 강성을 한층 더 높인다. 제2 융기부(67)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제1 융기부(57)와 동등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econd lateral ribs 65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 second raised portion 67 rising from the outer wall surface 60a of the second case piece 60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second lateral ribs 65. [ The second raised portion 67 joins between the adjacent second lateral ribs 65 and further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second case piece 60.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effect of the second raised portion 67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raised portion 57.

제2 가로 리브(65)의 가로 방향의 양단은,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66)에 이어진다. 이에 따라, 제2 가로 리브(65)와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66)에 의해 연속하는 폐쇄된 단면이 구성되어, 제2 케이스편(60)의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Both lateral ends of the second lateral rib 65 extend to the second end edge rib 66. As a result, the second transverse ribs 65 and the second end edge ribs 66 constitute a continuous closed cross section, so that the rigidity of the second case piece 60 is further increased.

상기 제2 가로 리브(65) 대신에, 또는 제2 가로 리브(65)에 덧붙여, 세로 방향(V)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2 세로 리브가 제2 케이스편(60)의 외벽면(60a)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2 케이스편(60)의 세로 방향(V), 즉 긴 방향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전해조(4)의 팽창이 억제될 수 있다. A second longitudinal ri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is formed on the outer wall surface 60a of the second case piece 60 in place of the second lateral rib 65 or in addition to the second lateral rib 65. [ .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of the second case piece 60, that is, the bending rigidity in the long direction is increased, and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can be suppressed.

도 7은, 세로 방향(V)으로 절단된 전해조(4)의 단면도이다. 제1 보강 부재(110)가 제1 케이스편(50)에 장착되면, 제1 리브(54)의 선단부(54a)는 제1 기초부(111)에 내접한다. 이에 따라, 제1 보강 부재(110)와 제1 케이스편(50)이 견고하게 접합됨과 함께, 제1 리브(54)와 제1 기초부(111)에 의해 연속하는 폐쇄된 단면이 구성되어, 제1 리브(54) 및 제1 보강 부재(110)에 의한 보강 효과가 한층 더 높아진다. 제2 보강 부재(120)가 제2 케이스편(60)에 장착되면, 제2 리브(64)의 선단부(64a)는 제2 기초부(121)에 내접한다. 제2 리브(64)의 선단부(64a)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관해서도, 제1 리브(54)의 선단부(54a)와 동일하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lytic bath 4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The distal end portion 54a of the first rib 54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ase portion 111 whe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attached to the first case piece 50. [ Thereb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first case piece 50 are rigidly joined together, and the closed cross section is formed by the first ribs 54 and the first base portions 111, The reinforcing effect by the first ribs 54 and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110 is further enhanced. The distal end portion 64a of the second rib 64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ortion 121 whe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s mounted on the second case piece 60. [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64a of the second rib 64 are also the same as those of the distal end portion 54a of the first rib 54. [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보강 부재(110)의 제1 기립부(112)는, 제1 기초부(111)로부터 전해조(4)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제1 보강 부재(110)가 제1 케이스편(50)에 장착되었을 때, 제1 기립부(112) 중 제1 가로 기립부(113)는, 인접하는 제1 가로 리브(55)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제1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114)는,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전해조(4)의 두께를 억제하면서, 전해조(4)의 팽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first rising portion 112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11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 In this embodiment, Whe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mounted on the first case piece 50, the first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13 of the first standing portion 112 is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transverse ribs 55 do. On the other hand, the first end edge rising portion 114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end edge rib 56.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while sup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electrolytic bath 4.

마찬가지로, 제2 보강 부재(120)의 제2 기립부(122)는, 제2 기초부(121)로부터 전해조(4)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립부(112)와 마찬가지로, 전해조(4)의 두께를 억제하면서, 전해조(4)의 팽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Likewise, the second rising portion 122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protrudes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121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 [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while sup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electrolytic bath 4, as in the case of the first rising unit 112 described above.

제1 리브(54) 중 제1 가로 리브(55)의 측면은, 제1 가로 기립부(113)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의 측면은, 제1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114)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전해조(4)의 팽창시에, 제1 리브(54)의 측면과 제1 기립부(112)가 일체적으로 변형하여 큰 응력을 발생시켜, 전해조(4)의 팽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가로 리브(65)의 측면 및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66)의 측면에 관해서도, 상기 제1 가로 리브(55)의 측면 및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56)의 측면과 동일하다.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lateral rib 55 of the first rib 54 may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lateral rising portion 113.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nd edge rib 56 may also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first end edge rising portion 114. As a result, when the electrolytic bath 4 is inflate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ib 54 and the first rising portion 112 are integrally deformed to generate a large stress, thereby suppressing the expans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It becomes possible.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lateral ribs 65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end edge ribs 66 are the same as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lateral ribs 55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nd edge ribs 56.

도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편(50)에는, 단자(41a)를 제1 케이스편(50)의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해 관통 구멍(58)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58)의 세로 방향(V)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제3 리브(59)가 형성된다. 제3 리브(59)는, 제1 가로 리브(55)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3 and 7, a through hole 58 is formed in the first case piece 50 so as to project the terminal 41a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piece 50. As shown in Fig.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5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 pair of third ribs 59 are formed. The third ribs 59 ar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lateral ribs 55.

제3 리브(59)의 높이, 즉, 제1 케이스편(50)의 외벽면(50a)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제1 리브(54)의 높이보다 크다. 이 때문에, 제3 리브(59)의 선단부(59a)는, 제1 보강 부재(110)의 관통 구멍(115a)으로부터 제1 보강 부재(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단자(41a), 너트(41e) 및 단자(42f) 등과 제1 보강 부재(110)의 접촉이 회피되어, 양자 사이에서의 단락이 방지된다. The height of the third rib 59, that is,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outer wall surface 50a of the first case piece 50 i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rib 54. [ The distal end portion 59a of the third rib 59 protrudes from the through hole 115a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 This prevents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41a, the nut 41e, the terminal 42f, and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between them.

도 4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편(60)에는 관통 구멍(68) 및 한 쌍의 제4 리브(69)가 형성된다. 관통 구멍(68) 및 제4 리브(69)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관통 구멍(58) 및 제3 리브(59)와 동등하다. 4 and 7, a through hole 68 and a pair of fourth ribs 69 are formed in the second case piece 60. As shown in Fi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through hole 68 and the fourth rib 69 are equivalent to those of the through hole 58 and the third rib 59.

이상, 본 실시형태의 전해수 생성 장치(1)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양태로 변경하여 실시된다. 즉, 전해수 생성 장치(1)는, 적어도 전기 분해되는 물이 공급되는 전해실(40)이 형성되는 전해조(4)와, 전해실(40)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와, 양극 급전체(41)와 음극 급전체(42) 사이에 배치되고, 전해실(40)을 양극 급전체(41) 측의 양극실(40A)과, 음극 급전체(42) 측의 음극실(40B)로 구분하는 격막(43)을 구비하고, 격막(43)이, 양극 급전체(41) 및 음극 급전체(42)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며, 전해조(4)는, 양극 급전체(41) 측의 제1 케이스편(50)과, 음극 급전체(42) 측의 제2 케이스편(60)이 고착되는 것에 의해 전해실(40)을 형성하고, 제1 케이스편(50)의 전해실(40) 측을 향하는 내면에는, 양극 급전체(41)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1 볼록형부(53)가 배치되며, 제2 케이스편(60)의 전해실(40) 측을 향하는 내면에는, 음극 급전체(42)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2 볼록형부(63)가 배치되고, 제1 케이스편(50)의 외면에는, 제1 케이스편(50)을 보강하는 제1 보강 부재(110)가 장착되고, 제2 케이스편(60)의 외면에는, 제2 케이스편(60)을 보강하는 제2 보강 부재(120)가 장착되면 된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That is,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1 includes an electrolytic bath 4 in which an electrolytic chamber 40 to which at least water to be electrolyzed is formed, and a cathode current collector 41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And an anode chamber 40A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 and an anode chamber 40A disposed on the side of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1. The anode chamber 40A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power supply 41 and the cathode power supply 42, The diaphragm 43 is divided into a cathode chamber 40B on the side of the whole 42 and a diaphragm 43 is supported between the anode power supply 41 and the cathode power supply 42, The first case piece 50 on th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class 41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on the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class 42 are fixed to form the electrolysis chamber 40,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53 contacting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1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piece 50 facing the electrolysis chamber 40 and the electrolytic chamber of the second case piece 60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anode 40, A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for reinforcing the first case piece 50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iece 50 and a second case piece 50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for reinforcing the second case piece 6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member 60.

도 8, 9, 10 및 11은, 전해조(4)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9, 10 및 11에 도시되는 변형예 중,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관해서는, 전술한 전해조(4)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되는 전해조(4A)에서는, 제1 케이스편(50A) 및 제2 케이스편(60A)이, 제1 보강 부재(110A) 및 제2 보강 부재(120A)와 조합되어 적용된다. 제1 케이스편(50A) 및 제2 케이스편(60A)에서는, 제1 리브(54) 및 제2 리브(64)가 없어졌다. 제1 보강 부재(110A) 및 제2 보강 부재(120A)에서는, 제1 기립부(112), 관통 구멍(115) 및 제2 기립부(122), 관통 구멍(125)이 없어졌다. 제1 케이스편(50A) 및 제2 케이스편(60A) 대신에, 제1 케이스편(50) 및 제2 케이스편(60)이, 제1 보강 부재(110A) 및 제2 보강 부재(120A)와 조합되어 적용되어도 좋다(도시 생략). Figs. 8, 9, 10 and 11 show modified examples of the electrolytic bath 4. Fig. Among the modifications shown in Figs. 8, 9, 10, and 11,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lytic bath 4 described above can be employed for a portion not described below. In the electrolytic bath 4A shown in Fig. 8A, the first case piece 50A and the second case piece 60A are combined with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A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A . In the first case piece 50A and the second case piece 60A, the first ribs 54 and the second ribs 64 are eliminated. The first rising portion 112, the through hole 115, the second rising portion 122 and the through hole 125 are eliminated i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A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A.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may be replaced b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A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A instead of the first case piece 50A and the second case piece 60A, (Not shown).

도 8의 (b)에 도시되는 전해조(4B)에서는, 제1 리브(54) 및 제2 리브(64)가 없어진 제1 케이스편(50A) 및 제2 케이스편(60A)이,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와 조합되어 적용된다. 제1 보강 부재(110)는, 제1 가로 기립부(113)의 선단부가 제1 케이스편(50A)에 외접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제2 보강 부재(120)는, 제2 가로 기립부(123)의 선단부가 제2 케이스편(60A)에 외접하도록 장착된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B shown in Fig. 8B, the first case piece 50A and the second case piece 60A, in which the first ribs 54 and the second ribs 64 are not present, Is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mounted such that the tip end of the first horizontal rising portion (113) is circumscribed to the first case piece (50A).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s mounted such th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23 is circumscribed to the second case piece 60A.

도 8의 (c)에 도시되는 전해조(4C)에서는, 제1 리브(54) 및 제2 리브(64)가 없어진 제1 케이스편(50A) 및 제2 케이스편(60A)이,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와 조합되어 적용된다. 전해조(4C)에서는, 전해조(4B)와 비교하면,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의 장착 방향이 상이하다. 즉, 제1 보강 부재(110)는, 제1 기초부(111)가 제1 케이스편(50A)에 외접하도록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1 보강 부재(110)의 제1 가로 기립부(116)는, 제1 기초부(111)로부터 전해조(4C)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한편, 제2 보강 부재(120)는, 제2 기초부(121)가 제2 케이스편(60A)에 외접하도록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2 보강 부재(120)의 제2 가로 기립부(126)는, 제2 기초부(121)로부터 전해조(4C)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C shown in Fig. 8C, the first case piece 50A and the second case piece 60A, in which the first ribs 54 and the second ribs 64 are not present, Is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n the electrolytic cell 4C,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lectrolytic bath 4B. That is,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mounted so that the first base portion 111 is circumscribed to the first case piece 50A. The first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16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1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C.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s mounted so that the second base portion 121 circumscribes the second case piece 60A. The second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26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protrudes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12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C.

도 9의 (a)에 도시되는 전해조(4D)에서는, 도 7 등에 도시되는 전해조(4)와 비교하면,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의 장착 방향이 상이하다. 즉 제1 보강 부재(110)는, 제1 가로 기립부(116)가 제1 기초부(111)로부터 전해조(4D)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보강 부재(120)는, 제2 가로 기립부(126)가 제2 기초부(121)로부터 전해조(4D)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전술한 구성의 전해조(4D)에 의하면, 전해조(4)와 동등한 제1 리브(54), 제2 리브(64) 및 제1 가로 기립부(116), 제2 가로 기립부(126)를 이용하면서, 전해조 전체에서의 단면 2차 모멘트를 높일 수 있다. 9A,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lectrolytic bath 4 shown in FIG. 7 and the like. That is,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is mounte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first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16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1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D. Likewise,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is mounte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second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26 protrudes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12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D. According to the electrolytic bath 4D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rib 54, the second rib 64, the first horizontal rising portion 116, and the second horizontal rising portion 126, which are equivalent to the electrolytic bath 4, The secondary moment of inertia in the entire electrolytic cell can be increased.

도 9의 (b)에 도시되는 전해조(4E)에서는, 관통 구멍(115)의 세로 방향(V)의 일단에 제1 가로 기립부(113)가 형성되는 제1 보강 부재(110E) 및 관통 구멍(125)의 세로 방향(V)의 일단에 제2 가로 기립부(123)가 형성되는 제2 보강 부재(120E)가 적용된다. 제1 보강 부재(110E)는 제1 케이스편(50)에 외접하도록 장착된다. 제1 보강 부재(110E)는, 제1 가로 기립부(113)가 제1 기초부(111)로부터 전해조(4E)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방향으로 장착된다. 한편, 제2 보강 부재(120E)는 제2 케이스편(60)에 외접하도록 장착된다. 제2 보강 부재(120E)는, 제2 가로 기립부(123)가 제2 기초부(121)로부터 전해조(4E)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E shown in Fig. 9B,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E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rising portion 11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rough hole 11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and the through- A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E having a second transverse standing part 123 formed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of the first transverse part 125 is applied.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E is mounted so as to be circumscribed to the first case piece 50. [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E is mounte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first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13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11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E is mounted so as to be circumscribed to the second case piece 60.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E is mounte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second horizontal rising portion 123 protrudes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121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E.

도 9의 (c)에 도시되는 전해조(4F)에서는, 제1 리브(54) 및 제2 리브(64)가 없어진 제1 케이스편(50A) 및 제2 케이스편(60A)이, 제1 보강 부재(110E) 및 제2 보강 부재(120E)와 조합되어 적용된다. 제1 보강 부재(110E)는, 제1 기초부(111)가 제1 케이스편(50A)에 외접하도록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1 보강 부재(110E)의 제1 가로 기립부(116)는, 제1 기초부(111)로부터 전해조(4F)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한편, 제2 보강 부재(120E)는, 제2 기초부(121)가 제2 케이스편(60A)에 외접하도록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2 보강 부재(120E)의 제2 가로 기립부(126)는, 제2 기초부(121)로부터 전해조(4F)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F shown in Fig. 9C, the first case piece 50A and the second case piece 60A, in which the first ribs 54 and the second ribs 64 are not present, Is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member 110E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E.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E is mounted such that the first base portion 111 is circumscribed to the first case piece 50A. The first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16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E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1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F.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E is mounted so that the second base portion 121 circumscribes the second case piece 60A. The second transversely extending portion 126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E protrudes from the second base 12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F.

도 10의 (a)에 도시되는 전해조(4G)에서는, 도 9의 (b)에 도시되는 전해조(4E)와 비교하면, 제1 보강 부재(110E) 및 제2 보강 부재(120E)의 장착 방향이 상이하다. 즉, 제1 보강 부재(110E)는, 제1 가로 기립부(116)가 제1 기초부(111)로부터 전해조(4G)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보강 부재(120E)는, 제2 가로 기립부(126)가 제2 기초부(121)로부터 전해조(4G)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G shown in Fig. 10A, as compared with the electrolytic bath 4E shown in Fig. 9B,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E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E This is different. That is,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E is mounte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first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16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1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G. Likewise,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E is mounte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second transverse standing portion 126 protrudes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12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4G.

도 10의 (b)에 도시되는 전해조(4H)에서는, 제1 케이스편(50) 및 제2 케이스편(60)에 제1 보강 부재(110H) 및 제2 보강 부재(120H)가 조합되어 적용된다. 제1 보강 부재(110H)는, 관통 구멍(115)의 세로 방향(V)의 일단에 제1 가로 기립부(113)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1 가로 기립부(116)가 형성된다. 제1 가로 기립부(113)는, 제1 기초부(111)로부터 전해조(4H)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제1 가로 기립부(116)는, 제1 기초부(111)로부터 전해조(4H)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제2 보강 부재(120H)는, 관통 구멍(125)의 세로 방향(V)의 일단에 제2 가로 기립부(123)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 가로 기립부(126)가 형성된다. 제2 가로 기립부(123)는, 제2 기초부(121)로부터 전해조(4H)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제2 가로 기립부(126)는, 제2 기초부(121)로부터 전해조(4H)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H shown in Fig. 10B,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H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H are combined and applied to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d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H has a first horizontal rising portion 113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of the through hole 115 and a first horizontal rising portion 116 at the other end. The first horizontal rising section 113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section 111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electrolytic tank 4H and the first horizontal rising section 116 extends from the first base section 111 to the electrolytic bath 4H). Likewise,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H has the second horizontal rising portion 123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of the through hole 125 and the second horizontal rising portion 126 at the other end . The second horizontal rising section 123 protrudes from the second base section 121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lytic tank 4H and the second horizontal rising section 126 protrudes from the second base section 121 to the electrolytic bath 4H).

상기 전해조(4 내지 4H)에서는, 제1 케이스편(5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보강 부재(110 내지 110H)가 장착되고, 제2 케이스편(6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보강 부재(120 내지 120E)가 장착된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 to 4H,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110 to 110H integrally formed are attached to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s 110 to 110H. The reinforcing members 120 to 120E are mounted.

도 10의 (c)에 도시되는 전해조(4I)에서는, 제1 케이스편(50)에 복수편으로 분할된 제1 보강 부재(110I)가 장착되고, 제2 케이스편(60)에 복수편으로 분할된 제2 보강 부재(120I)가 장착된다. 각 제1 보강 부재(110I) 및 제2 보강 부재(120I)는, 제1 케이스편(50) 및 제2 케이스편(60)의 외면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강성이 부족한 개소에 한정적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보강 부재(110I)의 제1 기초부(111) 및 제1 기립부(112)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고, 용이하게 전해조(4I)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보강 부재(120I)에 관해서도 동일하다.In the electrolytic cell 4I shown in Fig. 10C, a first reinforcing member 110I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is attached to the first case piece 50, and a plurality of And the divided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I is mounted.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I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I is not limited to being disposed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first base portion 111 and the first rising portion 112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I is increased, and the rigidity of the electrolytic bath 4I can be easily increased. The same is applied to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I.

전해조(4A 내지 4H)의 특징과 전해조(4I)의 특징이 조합되어도 좋다. 즉, 전해조(4A 내지 4H)에 적용되는 제1 보강 부재(110, 110A, 110E, 110H) 및 제2 보강 부재(120, 120A, 120E, 120H)가 복수편으로 분할되어도 좋다.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ic baths 4A to 4H and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ic bath 4I may be combined. That is,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110, 110A, 110E, and 110H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s 120, 120A, 120E, and 120H applied to the electrolytic baths 4A to 4H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도 11의 (a)에 도시되는 전해조(4J)에서는, 제1 케이스편(50) 및 제2 케이스편(60)에 제1 보강 부재(110J) 및 제2 보강 부재(120J)가 조합되어 적용된다. 제1 보강 부재(110) 및 제2 보강 부재(120)와 비교하면, 제1 보강 부재(110J) 및 제2 보강 부재(120J)에서는, 제1 기립부(112) 및 제2 기립부(122)가 없어졌다. 제1 보강 부재(110J)는, 제1 기초부(111)에 제1 리브(54)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15)을 갖는다. 제2 보강 부재(120J)는, 제2 기초부(121)에 제2 리브(64)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25)을 갖는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J shown in Fig. 11A,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J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J are combined and applied to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do. Compared t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J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J have the first rising portion 112 and the second rising portion 122 ) Has disappeared.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J has a through hole 115 for inserting the first rib 54 through the first base 111. [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J has a through hole 125 for inserting the second rib 64 through the second base 121. [

도 11의 (b)에 도시되는 전해조(4K)에서는, 제1 케이스편(50) 및 제2 케이스편(60)에 제1 보강 부재(110K) 및 제2 보강 부재(120K)가 조합되어 적용된다. 제1 보강 부재(110K)는, 관통 구멍(115)의 세로 방향(V)의 일단에 제1 기립부(112)를 갖는다. 제2 보강 부재(120K)는, 관통 구멍(125)의 세로 방향(V)의 일단에 제2 기립부(122)를 갖는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K shown in Fig. 11B,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K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K are combined and applied to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d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K has the first rising portion 112 at one end of the through hole 11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K has the second rising portion 122 at one end of the through hole 1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

도 11의 (c)에 도시되는 전해조(4L)에서는, 제1 케이스편(50) 및 제2 케이스편(60)에 제1 보강 부재(110L) 및 제2 보강 부재(120L)가 조합되어 적용된다. 제1 보강 부재(110K)는, 관통 구멍(115)의 세로 방향(V)의 양단에 제1 기립부(112)를 갖는다. 제2 보강 부재(120K)는, 관통 구멍(125)의 세로 방향(V)의 양단에 제2 기립부(122)를 갖는다. In the electrolytic bath 4L shown in Fig. 11C,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L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L are combined and applied to the first case piece 50 and the second case piece 60 d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0K has the first rising portions 112 at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11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K has the second rising portions 122 at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1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

1 : 전해수 생성 장치 4 : 전해조
40 : 전해실 40A : 양극실
40B : 음극실 41 : 양극 급전체
42 : 음극 급전체 43 : 격막
50 : 제1 케이스편 53 : 제1 볼록형부
54 : 제1 리브 60 : 제2 케이스편
63 : 제2 볼록형부 64 : 제2 리브
110 : 제1 보강 부재 111 : 제1 기초부
112 : 제1 기립부 120 : 제2 보강 부재
121 : 제2 기초부 122 : 제2 기립부
1: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4: electrolytic cell
40: electrolytic chamber 40A: anode chamber
40B: cathode chamber 41: positive electrode full body
42: negative electrode class 43: diaphragm
50: first case piece 53: first convex portion
54: first rib 60: second case piece
63: second convex portion 64: second rib
110: first reinforcing member 111: first base portion
112: first standing portion 120: second reinforcing member
121: second base portion 122: second base portion

Claims (15)

전기 분해되는 물이 공급되는 전해실이 형성되고,
상기 전해실 내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양극 급전체 및 음극 급전체와,
상기 양극 급전체와 상기 음극 급전체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전해실을 상기 양극 급전체측의 양극실과 상기 음극 급전체측의 음극실로 구분하는, 격막이 장착되는 전해조로서,
상기 양극 급전체측의 제1 케이스편과, 상기 음극 급전체측의 제2 케이스편이 고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해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편의 상기 전해실측을 향하는 내면에는, 상기 양극 급전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1 볼록형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케이스편의 상기 전해실측을 향하는 내면에는, 상기 음극 급전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2 볼록형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편의 외면에는, 상기 제1 케이스편을 보강하는 제1 보강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2 케이스편의 외면에는, 상기 제2 케이스편을 보강하는 제2 보강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조.
An electrolytic chamber to which electrolytic water is supplied is formed,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electrolytic chamber,
An electrolytic cell which is support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which separates the electrolytic cell into an anode chamber on the positive electrode side of the anode and a cathode chamber on the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The electrolytic chamber is formed by fixing the first case piece on the positive electrode side and the second case piece on the negative electrode side,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contacting the anode powder ar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facing the electrolysis chamber 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contacting the cathode feeder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toward the electrolysis chamber side,
A first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first case piece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member,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second case piece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편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1 기초부와, 상기 제1 기초부로부터 기립하여 형성되는 제1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상기 제2 케이스편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2 기초부와, 상기 제2 기초부로부터 기립하여 형성되는 제2 기립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해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member and a first rising portion formed by ris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Wherei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second base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piece and a second rising portion formed by stan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편에는, 상기 전해실의 외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편에는, 상기 전해실의 외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리브가 형성되는 것인, 전해조.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rib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electrolytic chamber is formed in the first case piece,
And a second rib projecting outwardly from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electrolytic chamber is formed in the second case pie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의 선단부는 상기 제1 기초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리브의 선단부는 상기 제2 기초부와 접촉하는 것인, 전해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rib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tip of the second rib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제1 기초부로부터 상기 전해조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제2 기초부로부터 상기 전해조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것인, 전해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first ris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first base por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And the second rising section is protruded from the second base s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의 측면은 상기 제1 기립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리브의 측면은 상기 제2 기립부와 접촉하는 것인, 전해조.
6. The method of claim 5,
A side surface of the first rib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ising port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rib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ising portion.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제1 기초부로부터 상기 전해조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제2 기초부로부터 상기 전해조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것인, 전해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first ris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first base portion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And the second rising section is protruded from the second base section toward an outer side of the electrolytic bath.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전해실 내에서의 물의 흐름을 따르는 세로 방향에 수직인 가로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1 가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가로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2 가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인, 전해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Wherein the first rib includes a first transverse rib extending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low of water in the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rib includes a second transverse rib exten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 리브 및 상기 제2 가로 리브는 각각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편에는, 상기 외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융기하여, 인접하는 상기 제1 가로 리브 사이를 잇는 제1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편에는, 상기 외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융기하여, 인접하는 상기 제2 가로 리브 사이를 잇는 제2 융기부가 형성되는 것인, 전해조.
9. 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first lateral ribs and a plurality of second lateral ribs,
Wherein the first case piece is provided with a first ridge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wall surface and connecting between adjacent first lateral ribs,
And the second case piece is formed with a second ridge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wall surface and connecting between the adjacent second lateral ribs.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케이스편의 상기 외벽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케이스편의 상기 외벽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를 포함하는 것인, 전해조.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first rib includes a first end edge rib extending along an end edge of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ase piece,
Wherein the second rib includes a second end edge rib extending along an end edge of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case pie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 리브의 양단은 상기 제1 단부 가장자리 리브와 이어지고,
상기 제2 가로 리브의 양단은 상기 제2 단부 가장자리 리브와 이어지는 것인, 전해조.
11. The method of claim 10,
Both ends of the first transverse rib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end edge rib,
And both ends of the second transverse rib are connected to the second end edge rib.
제 2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전해실 내에서의 물의 흐름을 따르는 세로 방향에 수직인 가로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1 가로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가로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제2 가로 기립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해조.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1,
Wherein the first rising section includes a first horizontal rising section extending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low of water in the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ris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lateral ris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ateral direction.
제 2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되는 제2 단부 가장자리 기립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해조.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2,
Wherein the first ris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nd edge rising portion extending along an end edg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the second ris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end edge rising portion extending along an end edge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 및 제2 보강 부재는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전해조.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re made of sheet metal.
전해수 생성 장치로서,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전해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As an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An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comprising the electrolytic bat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KR1020177030810A 2015-07-07 2016-07-04 Electrolyzer and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KR1025676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6173 2015-07-07
JP2015136173A JP6182182B2 (en) 2015-07-07 2015-07-07 Electrolysis tank and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PCT/JP2016/069788 WO2017006911A1 (en) 2015-07-07 2016-07-04 Electrolytic cell and electrolyzed-water gener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407A true KR20180027407A (en) 2018-03-14
KR102567678B1 KR102567678B1 (en) 2023-08-16

Family

ID=5768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810A KR102567678B1 (en) 2015-07-07 2016-07-04 Electrolyzer and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82182B2 (en)
KR (1) KR102567678B1 (en)
CN (1) CN107531517B (en)
WO (1) WO201700691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5072B2 (en) 2018-05-25 2023-10-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and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0992B2 (en) * 2017-01-18 2021-05-12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6434998B2 (en) * 2017-01-30 2018-12-05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tic cell
JP7022088B2 (en) * 2019-03-07 2022-02-17 株式会社日本トリム Hydrogenation equipment and hydrogenation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724U (en) 1979-08-31 1981-04-14
JPS572885B1 (en) * 1971-06-26 1982-01-19
JPH10511479A (en) * 1995-04-20 1998-11-04 プレフォームド ライン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Optical fiber connector case
JP2000504619A (en) * 1996-02-09 2000-04-18 グレッグ ウォーター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Module device for liquid deionization
JP2001162279A (en) * 1999-12-07 2001-06-19 Amano Corp Electrolytic cell for electrolytic water mak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447U (en) * 1994-09-22 1995-04-04 石切精機株式会社 Continuous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CN2334767Y (en) * 1998-07-06 1999-08-25 张吉太 Steel-plastics electrolytic bath
JP5639724B1 (en) * 2014-03-17 2014-12-1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6016346A (en) * 2014-07-07 2016-02-01 株式会社東芝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JP5702885B1 (en) * 2014-10-20 2015-04-15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885B1 (en) * 1971-06-26 1982-01-19
JPS5639724U (en) 1979-08-31 1981-04-14
JPH10511479A (en) * 1995-04-20 1998-11-04 プレフォームド ライン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Optical fiber connector case
JP2000504619A (en) * 1996-02-09 2000-04-18 グレッグ ウォーター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Module device for liquid deionization
JP2001162279A (en) * 1999-12-07 2001-06-19 Amano Corp Electrolytic cell for electrolytic water making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그러나, 전해조에 대한 통수가 시작되면, 전해실 내의 수압에 의해 제1 케이스편 및 제2 케이스편이 외측, 즉 격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한다. 이러한 제1 케이스편 및 제2 케이스편의 팽창은, 제1 볼록형부와 양극 급전체의 접촉 압력 및 제2 볼록형부와 음극 급전체의 접촉 압력의 저하를 초래하여, 격막과 각 급전체의 접촉 압력이 저하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격막과 각 급전체 사이의 접촉 저항이 증대됨에 따라 전해 전류가 저하되기 때문에,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을 충분히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런데, 전해 수소수의 용존 수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해조에서의 수소 가스의 발생량을 많게 하는 것과, 발생한 수소 가스를 효율적으로 전해수에 녹여 넣는 것이 필요하다. 수소 가스의 발생량은, 각 급전체에 공급되는 전해 전류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해조에서 대량의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전해 전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해 전류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각 급전체에 인가하는 전해 전압을 크게 하는 것, 혹은, 격막과 각 급전체 사이의 전기 저항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자의 기술은, 전해수 생성 장치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면서 수소 가스의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이 향상되어 특히 유용하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구조의 전해조에 있어서, 한정된 용량의 전해조를 이용하면서 수소 가스의 발생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격막과 각 급전체의 접촉 압력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양자간의 접촉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는, 전해조의 제1 케이스편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볼록형부가 양극 급전체와 접촉하고, 제2 케이스편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2 볼록형부가 음극 급전체와 접촉한다. 제1 볼록형부 및 제2 볼록형부 사이에, 양극 급전체, 격막 및 음극 급전체로 이루어진 적층체가 끼워져 지지된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5072B2 (en) 2018-05-25 2023-10-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and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82182B2 (en) 2017-08-16
CN107531517A (en) 2018-01-02
CN107531517B (en) 2021-04-30
WO2017006911A1 (en) 2017-01-12
JP2017018852A (en) 2017-01-26
KR102567678B1 (en)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9724B1 (e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108281B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KR20180027407A (en) Electrolytic tank and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JP5702885B1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TWI639562B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KR2017010628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WO2017010372A1 (en) Electrolytic cell and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CN107531519B (en) Electrolytic cell and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JP6132234B2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WO2017006912A1 (en) Electrolytic cell and electrolyzed-water generation device
JP6435413B2 (en) Pipe type electrolytic cell
JP6190427B2 (en) Electrolysis tank and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6276790B2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dialysate preparation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method
JPH11253956A (en) Electrolytic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