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096A -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096A
KR20180027096A KR1020160114253A KR20160114253A KR20180027096A KR 20180027096 A KR20180027096 A KR 20180027096A KR 1020160114253 A KR1020160114253 A KR 1020160114253A KR 20160114253 A KR20160114253 A KR 20160114253A KR 20180027096 A KR20180027096 A KR 2018002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saline solution
saline
function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은
Original Assignee
최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은 filed Critical 최정은
Priority to KR102016011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7096A/ko
Publication of KR2018002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하면 공기 중에 포함된 감기바이러스 등이나 오염물이 포함된 황사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효율적으로 보호해주며 더불어 자동차나 환경오염장치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각 가정이나 업소의 주방에서 구이, 찜, 튀김 등 다양한 조리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등 각종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봄철이나 버스등 건조한 장소에서 가습기능을 가지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의 마스크본체(1)는 캡(100)과 필터링팩(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상기의 캡(100)에는 캡통기공(110)과 귀걸이고리(120)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와,
상기의 필터링팩(200)은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 및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 및 식염수투수관(216) 및 호흡필터팩(220)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의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 및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 및 식염수투수관(216)의 외측에 식염수팩결착밴드A(210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B(211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C(212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E(214c) 및 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B(215b‘) 및 식염수투수관결착밴드(216’)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의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의 하단부 일측에는 각각 식염수공급막관A(210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B(211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C(212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D(213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E(214b)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공급막관A(210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B(211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C(212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D(213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E(214b)는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는 식염수투수관(216)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투수관(216)은 호흡필터팩(220)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호흡필터팩(220)에는 호흡필터통기공(220a)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 호흡필터팩(220)에는 식염수분산패트(220b)를 구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 호흡필터팩(220)의 외측부에 호흡필터팩결착밴드(220c)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공기 중에 포함된 감기바이러스 등이나 오염물이 포함된 황사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효율적으로 보호해주며 더불어 자동차나 환경오염장치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각 가정이나 업소의 주방에서 구이, 찜, 튀김 등 다양한 조리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등 각종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봄철이나 버스등 건조한 장소에서 가습기능을 제공하여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Disposable Mask with filtering function for fine dust and yellow dust and with humidify fun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하면 공기 중에 포함된 감기바이러스 등이나 오염물이 포함된 황사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효율적으로 보호해주며 더불어 자동차나 환경오염장치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각 가정이나 업소의 주방에서 구이, 찜, 튀김 등 다양한 조리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등 각종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봄철이나 버스등 건조한 장소에서 가습기능을 가지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황사나 스모그등 국외 대기오염물질 유입이 증가하고 2013년 이후 경유자동차의 증가 등으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량이 급격히 상승하여 국민의 건강 보호를 위해 초미세먼지 집중관리 및 저감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대도시 도심지역 미세먼지와 대기오염의 주범인 자동차 배출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2017년부터 서울 인천 경기등 수도권에서 노후경유차 운행제한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미세먼지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미세먼지나 황사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환경오염과 대기오염으로 인해 미세먼지와 황사가 늘어나는 봄뿐만 아니라 겨울에도 미세먼지가 창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난감한 미세먼지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미세먼지를 막는 방법으로서 마스크를 가장 많이 떠올린다. 실제로 봄이 되면 마스크의 판매가 늘어난다.
대기중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질 때마다 불티나게 팔리는 물건이 바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이지만 착용해도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 대기가 뿌옇게 오염될 때마다 거리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행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이 마스크는 과연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꽃가루나 먼지 등은 차단되지만 미세먼지는 필터를 통해 그대로 흡입된다.
그리고 각 가정이나 업소의 주방에서 구이, 찜, 튀김 등 다양한 조리가 이루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등 각종 유해물질이 발생한다.
또한 염려스러운 것은 흔히 사용하는 감기 마스크나 수술방에서 사용하는 마스크는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오염물질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피부에 압착되지 않는 마스크의 경우 공간 사이로 먼지와 오염물질이 세어 들어오게 되고 착용자는 자연스럽게 오염물질을 들이 마시게 되므로 마스크를 쓰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요즘 공기가 너무 탁해서...코감기가 심해져서 쓰고 나왔어요." 하지만 대부분은 황사 전용이 아닌 일반 마스크이다. 일반 마스크는 통상적으로 먼지의 30%만 걸러진다.
전문가들은 실내 활동 시 미세먼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습도유지가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이렇듯 올바른 마스크와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마스크를 착용해야만 효과적으로 미세먼지와 황사로부터 호흡기의 안전과 건강을 지킬 수 있지만 황사나 미세먼지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마스크의 경우 고가이면서도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술하면 공기중에 포함된 감기바이러스 등이나 오염물이 포함된 황사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효율적으로 보호해주며 더불어 자동차나 환경오염장치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각 가정이나 업소의 주방에서 구이, 찜, 튀김 등 다양한 조리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등 각종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봄철이나 버스등 건조한 장소에서 가습기능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중에 포함된 감기바이러스등이나 오염물이 포함된 황사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효율적으로 보호해주며 더불어 자동차나 환경오염장치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각 가정이나 업소의 주방에서 구이, 찜, 튀김 등 다양한 조리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등 각종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봄철이나 버스등 건조한 장소에서 가습기능을 제공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의 마스크본체(1)는 캡(100)과 필터링팩(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상기의 캡(100)에는 캡통기공(110)과 귀걸이고리(120)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와,
상기의 필터링팩(200)은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 및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 및 식염수투수관(216) 및 호흡필터팩(220)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의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 및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 및 식염수투수관(216)의 외측에 식염수팩결착밴드A(210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B(211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C(212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E(214c) 및 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B(215b‘) 및 식염수투수관결착밴드(216’)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의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의 하단부 일측에는 각각 식염수공급막관A(210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B(211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C(212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D(213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E(214b)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공급막관A(210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B(211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C(212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D(213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E(214b)는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는 식염수투수관(216)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투수관(216)은 호흡필터팩(220)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호흡필터팩(220)에는 호흡필터통기공(220a)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 호흡필터팩(220)에는 식염수분산패트(220b)를 구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 호흡필터팩(220)의 외측부에 호흡필터팩결착밴드(220c)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감기바이러스 등이나 오염물이 포함된 황사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효율적으로 보호해주며 더불어 자동차나 환경오염장치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각 가정이나 업소의 주방에서 구이, 찜, 튀김 등 다양한 조리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등 각종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봄철이나 버스등 건조한 장소에서 가습기능을 제공하여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캡 내측에 필터링팩을 결착한 상태의 마스크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캡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3은 캡과 필터링팩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필터링팩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5는 필터링팩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필터링팩의 구조를 나타낸 참조도
도 7은 캡 내측에 필터링팩을 결착한 상태의 마스크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캡 내측에 필터링팩을 결착한 상태의 마스크본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 및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는 캡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및, 도 3은 캡과 필터링팩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필터링팩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마스크본체(1)는 캡(100)과 필터링팩(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상기의 캡(100)에는 캡통기공(110)과 귀걸이고리(120)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와,
; 상기의 캡통기공(110)은 호흡필터팩(220)에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거나 호흡필터팩(220)으로부터 나오는 공기의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의 필터링팩(200)은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 및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 및 식염수투수관(216) 및 호흡필터팩(220)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의 필터링팩(200)에는 1개 이상의 식염수팩A(210a)~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고, 식염수팩A(210a)~에는 생리식염수 또는 살균된 물로 채워지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것과 ; 상기 식염수팩A(210a)~을 생리식염수 또는 살균된 물로 채우는 것은 황사나 미세먼지에 포함된 각종 바이러스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효과 또는 더불어 가습효과를 주기 위한 것이 특징이고, 상기의 필터링팩(200)에 1개 이상의 식염수팩A(210a)~을 구성한 것은 마스크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식염수팩A(210a)~을 터트려 사용할수 있게 하므로 서 사용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의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 및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 및 식염수투수관(216)의 외측에 식염수팩결착밴드A(210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B(211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C(212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E(214c) 및 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A(215a‘ : 미도시) 또는 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B(215b‘ : 미도시) 및 식염수투수관결착밴드(216’ ; 미도시)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팩A(210a)~의 외측에 식염수팩결착밴드A(210c)~를 형성한 것은 식염수팩A(210a)~을 캡(100)의 내측에 원활하게 결착시키기 위해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의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의 하단부 일측에는 각각 식염수공급막관A(210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B(211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C(212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D(213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E(214b)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 식염수팩A(210a)~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식염수공급막관A(210b)~에는 미세한 차단막(미도시)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며, 상기식염수공급막관A(210b)~에 형성된 차단막(미도시)을 눌러 터트리게 되면 식염수팩A(210a)~에 채워져 있는 생리식염수 또는 살균된 물이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과 식염수투수관(216)을 통해 서서히 호흡필터팩(220)으로 공급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식염수팩A(210a)~으로부터 공급된 생리식염수 또는 살균된 물은 호흡필터팩(220)의 내부에 구성된 식염수분산패트(220b)를 적시게 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식염수분산패트(220b)에 공급된 생리식염수 또는 살균된 물은 호흡시 미세먼지 황사등에 포함된 바이러스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더불어 필요에 따라 가습효과까지도 가지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식염수공급막관A(210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B(211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C(212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D(213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E(214b)는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는 식염수투수관(216)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투수관(216)은 호흡필터팩(220)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호흡필터팩(220)에는 호흡필터통기공(220a)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 호흡필터팩(220)의 내외측에 형성한 호흡필터통기공(220a)은 호흡시 마스크본체(1)내.외부로의 원활한 공기의 출입을 위해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호흡필터팩(220)에는 식염수분산패트(220b)를 구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호흡필터팩(220)에 내장된 식염수분산패트(220b)는 식염수팩A(210a)~으로부터 공급된 생리식염수 또는 살균된 물을 분산시켜 호흡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미세먼지와 황사 또는 바이러스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호흡필터팩(220)의 외측부에 호흡필터팩결착밴드(220c)를 형성한 것에 특징인 단계와,
; 상기 호흡필터팩(220)의 외측부에 호흡필터팩결착밴드(220c)를 형성한 것은 호흡필터팩(220)을 캡(100)의 내측에 원활하게 결착시키기 위해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의 캡(100)을 내측과 외측으로 분리한 상태로 구성한 상태에서 필터링팩(200)을 캡(100)을 내측과 외측사이에 위치시킨 후 캡(100) 내측과 외측을 압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할 경우 식염수팩결착밴드A(210c)~ 및 호흡필터팩결착밴드(220c)는 불필요한 구성인 것이 특징이다.
도 5는 필터링팩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필터링팩의 구조를 나타낸 참조도로서, 도 2 및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캡 내측에 필터링팩을 결착한 상태의 마스크본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1.마스크본체
100.캡 110.캡통기공 120.귀걸이고리
200.필터링팩
210a.식염수팩A 210b.식염수공급막관A 210c.식염수팩결착밴드A
211a.식염수팩B 211b.식염수공급막관B 211c.식염수팩결착밴드B
212a.식염수팩C 212b.식염수공급막관C 212c.식염수팩결착밴드C
213a.식염수팩D 213b.식염수공급막관D 213c.식염수팩결착밴드D
214a.식염수팩E 214b.식염수공급막관E 214c.식염수팩결착밴드E
215a.식염수공급관A 215a‘.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A(215a‘ : 미도시)
215b.식염수공급관B 215b‘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B(215b‘ : 미도시)
216.식염수투수관 216’식염수투수관결착밴드(216’ ; 미도시)
220.호흡필터팩 220a.호흡필터통기공 220b.식염수분산패트
220c.호흡필터팩결착밴드

Claims (1)

  1. 상기의 마스크본체(1)는 캡(100)과 필터링팩(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상기의 캡(100)에는 캡통기공(110)과 귀걸이고리(120)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와,

    상기의 필터링팩(200)은 1개 이상의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 와 1개 이상의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 및 식염수투수관(216) 및 호흡필터팩(220)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의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 및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 및 식염수투수관(216)의 외측에 식염수팩결착밴드A(210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B(211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C(212c) 또는 식염수팩결착밴드E(214c) 및 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결착밴드B(215b‘) 및 식염수투수관결착밴드(216’)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의 식염수팩A(210a) 또는 식염수팩B(211a) 또는 식염수팩C(212a) 또는 식염수팩D(213a) 또는 식염수팩E(214a)의 하단부 일측에는 각각 식염수공급막관A(210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B(211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C(212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D(213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E(214b)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공급막관A(210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B(211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C(212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D(213b) 또는 식염수공급막관E(214b)는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공급관A(215a) 또는 식염수공급관B(215b)는 식염수투수관(216)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식염수투수관(216)은 호흡필터팩(220)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 것이 특징인 단계 ;

    상기 호흡필터팩(220)에는 호흡필터통기공(220a)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 호흡필터팩(220)에는 식염수분산패트(220b)를 구성한 것이 특징인 단계,

    상기 호흡필터팩(220)의 외측부에 호흡필터팩결착밴드(220c)를 형성한 것에 특징인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
KR1020160114253A 2016-09-06 2016-09-06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 KR20180027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53A KR20180027096A (ko) 2016-09-06 2016-09-06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53A KR20180027096A (ko) 2016-09-06 2016-09-06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096A true KR20180027096A (ko) 2018-03-14

Family

ID=6166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253A KR20180027096A (ko) 2016-09-06 2016-09-06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709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74A (ko) 2018-05-02 2019-11-12 정국현 웨어러블 넥밴드 마스크
KR20200004125A (ko)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프리쉐 착용형의 미세 먼지 차단장치
KR20200010778A (ko) 2018-07-23 2020-01-31 박경애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1178B1 (ko) * 2019-05-14 2020-03-02 김동근 다기능 마스크
KR20210024941A (ko) 2019-08-26 2021-03-08 황영리 공기정화식물 케어가 가능한 데스크테리어용 미세먼지제거장치
KR20210024940A (ko) 2019-08-26 2021-03-08 황영리 분무를 활용한 데스크테리어용 미세먼지제거장치
KR20220082205A (ko) 2020-12-10 2022-06-17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성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74A (ko) 2018-05-02 2019-11-12 정국현 웨어러블 넥밴드 마스크
KR20200004125A (ko)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프리쉐 착용형의 미세 먼지 차단장치
KR20200010778A (ko) 2018-07-23 2020-01-31 박경애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1178B1 (ko) * 2019-05-14 2020-03-02 김동근 다기능 마스크
KR20210024941A (ko) 2019-08-26 2021-03-08 황영리 공기정화식물 케어가 가능한 데스크테리어용 미세먼지제거장치
KR20210024940A (ko) 2019-08-26 2021-03-08 황영리 분무를 활용한 데스크테리어용 미세먼지제거장치
KR20220082205A (ko) 2020-12-10 2022-06-17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성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7096A (ko) 미세먼지 및 황사 필터링기능과 가습기능 및 멸균기능을 겸비한 1회용 마스크
CN101330946A (zh) 呼吸空气过滤装置
KR20190032897A (ko)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KR20170040386A (ko) 가습 안면 마스크
CN101970056A (zh) 呼吸空气过滤装置
KR101132000B1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WO2017200191A1 (ko) 액체식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공기 청정 마스크
CN106581880A (zh) 一种化学实验用的防毒面罩
US8066005B2 (en) Complex respirator
DE102018005650A1 (de) Feinstaubmaske mit Ventilator
US200902335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ntilation of a surgical table
WO2008128392A1 (fr) Masque composite
TWM558092U (zh) 具有抗菌、抗VOCs、霾害去除及除臭的抗菌抗VOCs口罩
CN208065587U (zh) 一种灵活的半面型化学实验防毒面罩
CN209594788U (zh) Pm2.5防护口罩
KR20090005015U (ko) 살균 기능을 갖는 마스크
CN204709952U (zh) 用于解决pm2.5问题的杀菌灭病毒净化型过滤芯片
CN2610952Y (zh) 多用途防护口罩
CN204048146U (zh) 一种吸气和呼气分离的口罩
CN208708787U (zh) 一种传染病预防装置
CN107899146A (zh) 一种灵活的半面型化学实验防毒面罩
CN208160089U (zh) 一种手术室护理用口罩
CN113519960A (zh) 一体式动力送风防护头盔
CN2590402Y (zh) Sars防护仪
CN102639193B (zh) 具有过滤器的呼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