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872A - Interlock device of door of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Interlock device of door of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872A
KR20180026872A KR1020160113721A KR20160113721A KR20180026872A KR 20180026872 A KR20180026872 A KR 20180026872A KR 1020160113721 A KR1020160113721 A KR 1020160113721A KR 20160113721 A KR20160113721 A KR 20160113721A KR 20180026872 A KR20180026872 A KR 20180026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door
interlock lever
carriage
inter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0426B1 (en
Inventor
조승곤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6011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426B1/en
Publication of KR2018002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8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door interlock device of a circuit breaker which is miniaturized and has improved usage safety and operational reli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nterlock device is installed in a circuit breaker including a cradle provided with a door, and a carriage capable of being withdrawn from the cradle, tested therein, and moved to a service position and having a main body of a circuit breaker mounted thereon, and prevents the door of the cradle from being opened when the carriage is disposed at the service position. The door interlock device comprises: a holder provided on the door of the cradle; an interlock lever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radle, having one end to be pressed by the carriage to be rotated in an opening direction when the carriage is disposed at a withdrawal and test position, and having the same to be released by the carriage to be rotated in a locking direction when the carriage is out of the test position; and an ancho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engaged with the holder when the interlock lever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separated from the holder when the interlock lever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Description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INTERLOCK DEVICE OF DOOR OF CIRCUIT BREAK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interlock device,

본 발명은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장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and a circuit breaker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일반적으로 차단기에 설치되는 도어 인터록 장치는 차단기의 사용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단기본체가 인출 위치 및 테스트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차단기의 도어를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 차단기본체가 서비스 위치(계통 통전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도어를 잠그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general, a door interlock device installed in a circuit breaker is a device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circuit breaker. It is necessary to make the door of the circuit breaker open only when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at the withdrawing position and the test position, The system is energized), the door is locked so that the door can not be opened.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는 크래들에 구비되는 셔터에 연동하도록 구성되므로, 인터록 반응이 늦고 부품의 크기가 커서 차단기의 규모 축소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셔터는 크래들에 구비된 터미널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However, since the door interlock device of the break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shutter provided in the crad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nterlock reaction is delayed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 is large, so that the scale of the breaker is limited. Here, the shutter is a device for preventing a terminal provided in the crad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는 인터록 동작이 완료되기 위해서 차단기본체가 서비스 위치까지 어느정도 인입된 상태여야 하고 테스트 위치와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는 차단기의 도어가 바로 잠기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In order to complete the interlocking operation, the door interlock device of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must be in a state in which the breaker main body is brought into the service position to some extent and the door of the circuit breaker is not locked between the test position and the service position. There is a risk of.

등록특허공보 제10-1643589호에는 셔터와 연동하는 진공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643589 discloses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vacuum breaker interlocked with a shut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소형화되고 사용상 안전성 및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which is miniaturized and improved in safety in use and operational reliability.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도어가 구비된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서 인출, 테스트 및 서비스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차단기본체가 탑재되는 대차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설치되며, 상기 대차가 서비스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의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고, 상기 크래들의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대차가 인출 및 테스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일단이 상기 대차에 의해 가압되어 열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대차가 테스트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차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잠김방향으로 회전하는 인터록 레버; 및 상기 인터록 레버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인터록 레버가 잠김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홀더에 걸리고 상기 인터록 레버가 열림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홀더에서 탈거되는 앵커;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ircuit breaker including a cradle including a door, a cradle capable of withdrawing, testing, and moving to a service position inside the cradle, A holder provided on the door of the cradle to prevent the door of the cradle from opening when the bogie is disposed at the service position; Wherein when the carriage is disposed at the withdrawal and test position, one end of the carriage is pressed by the carriage to rotate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when the carriage is out of the test position, the pressurization by the carriage is released An interlock lever which rotates in a locking direction; And an ancho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and engaged with the holder when the interlock lever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being detached from the holder when the interlock lever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to prov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타단이 상기 대차에 구비되는 바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 lever may be pressed by a whee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gi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타단이 상기 대차에 구비되는 앞바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 lever may be pressed by a front whee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타단에 상기 대차의 바퀴에 접하는 휠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 lever may have a wheel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of the bogie at the other en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는 상기 인터록 레버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상기 인터록 레버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door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rotates the interlock lever in the locking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interlock lever is rem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는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대차가 상기 크래들에서 인출된 경우 상기 인터록 레버의 잠김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잠김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door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cking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radle and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 lever in the locking direction when the brakes are drawn out from the crad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김제한부는, 상기 크래들에서 상기 대차가 인출되면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에 상기 대차가 장착되면 제2 위치에 배치되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인터록 레버의 잠김방향 회전을 구속하고,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인터록 레버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래치부재; 및 상기 크래들에서 상기 대차가 인출되면 상기 래치부재를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restricting portion is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when the carriage is pulled out from the cradle and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when the carriage is mounted on the cradle, and when the carriage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A latch member for restricting rotation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releasing rotational restraint of the interlock lever when the lock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latch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carriage is drawn out from the crad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터록을 구현하는 부품의 크기가 감소되어 장치가 소형화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size of the part implementing the interlock is reduced and the device is miniaturiz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기본체의 인입동작을 개시하자마자 도어가 잠기므로, 사용상 안전성 및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is locked as soon as the breaker main body starts to be pulled in,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operation ar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가 차단기의 크래들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인터록 장치가 설치된 차단기의 크래들에서 대차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의 잠금해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크래들에서 대차가 인출된 경우의 도어 인터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잠김제한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cradle of a circuit break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s drawn out from a cradle of a circuit breaker installed with the door interlock device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nlocked state of a door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of the door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interlock device in a case where a car is taken out from the cradle.
Figures 6 (a) and 6 (b) are operational states of the lock limit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1 to 6, a door interloc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100)는 도어(20)가 구비된 크래들(10)과, 크래들(10)의 내부에서 인출 위치, 테스트 위치 및 서비스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차단기본체가 탑재되는 대차(30)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설치되며, 대차(30)가 서비스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크래들(10)에 구비된 도어(20)의 개방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A door interloc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10 having a door 20 and a cradle 10 capable of moving to a withdrawn position, And is a safety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 circuit breaker including a bogie 30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door 20 provided in the cradle 10 when the bogie 30 is disposed at a service position.

여기서, 인출 위치는 대차(30)가 크래들(10)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아니라 대차(30)가 크래들(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되 테스트 위치보다 더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테스트 단자가 분리된 상태를 의미한다.Here, the drawing position is not a state in which the carriage 3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radle 10, but a state in which the carriage 30 is mounted on the cradle 10 is pulled out further than the test position, Stat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100)는 홀더(110), 인터록 레버(120), 앵커(130), 탄성부재(140) 및 잠김제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6, a door interloc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110, an interlock lever 120, an anchor 130, an elastic member 140, (150).

상기 홀더(110)는 크래들(10)의 도어(20)의 내측 하단에 후술할 앵커(13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110)는 일측이 앵커(130)가 삽탈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The holder 110 may be provided at an inner lower side of the door 20 of the cradle 10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 height of an anchor 130 to be described later. One side of the holder 110 may be opened so that the anchor 13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홀더(110)는 도어(20)에 고정되어 앵커(130)가 걸리는 경우에 도어(20)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older 110 is fixed to the door 20 and can prevent the door 20 from being opened when the anchor 130 is caught.

상기 인터록 레버(120)는 크래들(10)의 내부에 열림방향과 잠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이 대차(30)의 몸체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타단이 홀더(110) 측까지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림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잠김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을 의미한다. The interlock lever 120 is provided inside the cradle 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the locking direction and has one end abutting against the body of the carriage 30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holder 110 . ≪ / RTI > Here, the opening direction refers to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locking direction refers to a 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이러한 인터록 레버(120)는 대차(30)가 인출 위치 및 테스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일단이 대차(30)에 의해 가압되어 열림방향으로 회전하고 대차(30)가 테스트 위치에서 인입 방향으로 벗어나는 경우 대차(3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잠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When the bogie 30 is disposed at the withdrawal position and the test position, when one end of the bogie 30 is pressed by the bogie 30 to rotate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the bogie 30 moves away from the test position in the infeed direction, The pressing by the pressing member 30 is released and can be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120)는 타단이 대차(30)에 구비되는 바퀴(32, 33)의 외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열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120 may be press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s 32 and 33 provided on the bogie 30 and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120)는 타단에 대차(30)의 바퀴(32, 33)에 접하는 휠부재(1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휠부재(125)는 대차(3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바퀴(32, 33)의 외측면이 인터록 레버(120)의 타단을 원활하게 외측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바퀴(32)의 외측면과 인터록 레버(120)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 lever 120 may have a wheel member 125 contacting the wheels 32 and 33 of the truck 30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wheel member 125 is mounted on the wheel 32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32 and 33 can smoothly push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120 outwardly when the bogie 30 moves in a linear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terlock lever 120.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120)는 타단이 대차(30)에 구비되는 앞바퀴(32)와 뒷바퀴(33) 중에서 앞바퀴(32)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차(30)의 앞바퀴(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30)가 인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앞쪽에 설치된 바퀴를 의미한다.The interlock lever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120 is pressed by the front wheel 32 among the front wheel 32 and the rear wheel 33 provided on the carriage 30. [ Here, the front wheel 32 of the bogie 30 refers to a wheel installed at the foremo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gie 30 is drawn out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인터록 레버(120)가 대차(30)의 앞바퀴(32)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는, 인터록 레버(120)가 대차(30)의 뒷바퀴(33)에 연동하는 구조보다 인터록 레버(12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록 레버(120)의 길이가 짧은 경우는 부품의 크기가 작아서 크래들(10) 내부에서 도어 인터록 장치(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으므로, 차단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lock lever 120 is pressed by the front wheel 32 of the bogie 30 is more advantageous than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lock lever 120 is interlocked with the rear wheel 33 of the bogie 30, 120 may have a relatively short length. When the length of the interlock lever 120 is short, the size of the component is small,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door interlock device 100 in the cradle 10 can be reduced, so that the size of the circuit breaker can be reduc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120)는 회전축(122)이 타단에 치우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록 레버(120)의 회전축(122)이 인터록 레버(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타단에 치우쳐서 형성되는 구조는 인터록 레버(120)의 회전시 타단의 이동거리보다 일단의 이동거리가 길게 되므로, 홀더(110)와 앵커(130)의 체결 깊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 lever 1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otation axis 122 is biased toward the other en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axis 122 of the interlock lever 120 is biased to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lock lever 120, the movement distance of one end is longer tha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other end when the interlock lever 120 is rotated The fastening depth between the holder 110 and the anchor 130 can be kept long.

여기서, 홀더(110)와 앵커(130)의 체결 깊이가 깊을수록 홀더(110)와 앵커(130) 간의 체결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잠금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Here, as the fastening depth between the holder 110 and the anchor 130 becomes deeper,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holder 110 and the anchor 130 increases, so that a more stable locking structure can be realized.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차(30)의 위치에 연동하되 앵커(130)와 홀더(110)가 안정적으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회전축(122)의 위치나 인터록 레버(120)의 형상은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122 and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122 and the position of the interlock lever 120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ogie 30 and the state in which the anchor 130 and the holder 110 are stably fastened. Can be freely implemented.

상기 앵커(130)는 인터록 레버(120)의 타단에 구비되며, 인터록 레버(120)가 잠김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홀더(110)에 걸리고 인터록 레버(120)가 열림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홀더(110)에서 탈거될 수 있다. 이러한 앵커(130)와 홀더(110)는 인터록 레버(120)가 도어(20)의 열림을 구속하는 동작을 매개할 수 있다.
The anchor 13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120. When the interlock lever 120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engaged with the holder 110 and the interlock lever 120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 ≪ / RTI > The anchor 130 and the holder 110 may mediate the operation of restri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20 by the interlock lever 120.

상기 탄성부재(140)는 인터록 레버(12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인터록 레버(120)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탄성부재(140)는 대차(30)가 크래드에서 완전히 인출되거나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여 대차(30)의 바퀴(32)가 휠부재(125)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에 인터록 레버(120)를 잠김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140 may rotate the interlock lever 120 in the locking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interlock lever 120 is removed. In other words, the resilient member 140 does not move the interlock lever 120 when the bogie 30 is completely withdrawn from the clad or moved to the service position and the wheel 32 of the bogie 30 does not press the wheel member 125. [ In the locked direction.

일 예로, 탄성부재(1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레버(120)의 회전축(122)에 결합된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140 may be a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interlock lever 120 as shown in FIGS. 3 to 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잠김제한부(150)는 크래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대차(30)가 크래들(10)에서 완전히 인출된 경우 인터록 레버(120)의 잠김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잠김제한부(150)는 대차(30)가 크래들(10)에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도어 인터록 장치(100)가 도어(20)를 잠그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ocking restricting portion 150 is provided inside the cradle 10 and can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 lever 120 in the locking direction when the cradle 30 is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cradle 10. [ The lock limiter 150 may maintain the door interlock devic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not locked in a state in which the carriage 30 is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cradle 10. [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잠김제한부(150)는 래치부재(152) 및 복귀스프링(154)을 포함할 수 있다. To implement this operation, in one embodiment, the lock limit 150 may include a latch member 152 and a return spring 154.

상기 래치부재(152)는 크래들(10)에서 대차(30)가 완전히 인출되면 제1 위치에 배치되고 크래들(10)에서 대차(30)가 장착되면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위치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재(152)가 상승된 위치이고, 제2 위치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재(152)가 하강된 위치이다.The latch member 152 may b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when the carriage 30 is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cradle 10 and at a second position when the carriage 30 is mounted on the cradle 10.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osition is the position where the latch member 152 is in the raised position, as shown in Figure 6 (b), and the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ure 6 (a) Is lowered.

이러한 래치부재(152)는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인터록 레버(120)의 잠김방향 회전을 구속하고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인터록 레버(120)의 회전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When the latch member 152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latch member 152 restricts rotation of the interlock lever 120 in the locked direction and releases the rotational restraint of the interlock lever 120 when the latch member 152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래치부재(152)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승강 가능한 블록형태로 구성되고, 인터록 레버(120)의 잠김방향 측에 돌출된 구속부(152a)와, 대차(30)가 위치하는 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152b)을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latch member 152 is configured in a block shape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has a restricting portion 152a protruded toward the locking direction side of the interlock lever 120, And a downward sloping slope 152b on the side where the slider 30 is located.

여기서, 구속부(152a)는 래치부재(152)가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레버(120)의 잠김방향 회전 궤적에 간섭되도록 위치하여 인터록 레버(12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고, 래치부재(152)가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레버(120)의 잠김방향 회전 궤적에서 벗어날 수 있다. 6 (b), when the latch member 152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restraining portion 152a is positioned so as to interfere with the locking direction rotation locus of the interlock lever 120, 120, and when the latch member 152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it can deviate from the locking direction rotational locus of the interlock lever 120 as shown in Fig. 6 (a).

또한, 상기 경사면(152b)은 대차(30)의 측부에 구비된 가이드(34)에 의해 눌려서 래치부재(152)가 제2 위치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대차(30)에 구비되는 가이드(34)는 대차(30)의 측부에 래치부재(152)의 경사면(152b)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물로서, 대차(30)가 크래들(10)에 장착되는 경우 래치부재(152)의 경사면(152b)을 가압하여 래치부재(152)를 제2 위치로 하강 시킬 수 있다. The inclined surface 152b may be pushed by a guide 34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rriage 30 to cause the latch member 152 to descend to the second position. The guide 34 provided on the carriage 30 is a structure that protrudes toward the inclined surface 152b of the latch member 152 on the side of the carriage 30 so that the carriage 30 is mounted on the cradle 10 The latch member 152 can be lowered to the second position by pressing the inclined surface 152b of the latch member 152. [

참고로, 대차(30)의 가이드(34)는 대차(30)가 크래들(10)에 장착된 경우 대차(30)를 정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guide 34 of the carriage 30 can perform a function of positioning the carriage 30 when the carriage 30 is mounted on the cradle 10. [

한편, 상기 복귀스프링(154)은 크래들(10)에서 대차(30)가 완전히 인출되면 래치부재(152)를 제1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복귀스프링(154)은 일단이 크래들(10)에 지지되고 타단이 래치부재(152)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the return spring 154 can return the latch member 152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carriage 30 is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cradle 10. For example, the return spring 154 may be composed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cradle 10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latch member 15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oor interloc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에는 도어 인터록 장치(100)의 잠금해제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In Fig. 3, the unlocked state of the door interlock device 100 is show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30)가 인출 위치 또는 테스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대차(30)의 바퀴(32)가 휠부재(125)를 대차(30)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서 인터록 레버(120)를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앵커(130)가 홀더(110)에서 탈거되어 도어(20)는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3, the wheel 32 of the truck 30 pushes the wheel member 125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truck 30 when the truck 30 is disposed at the pull-out position or the test position, The lever 120 can be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anchor 130 is removed from the holder 110, and the door 20 can be opened.

도 4에는 도어 인터록 장치(100)의 잠금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Fig. 4 shows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interlock device 100.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30)가 테스트 위치에서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면, 대차(30)의 바퀴(32)가 휠부재(125)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된다. 이때, 탄성부재(140)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인터록 레버(120)가 잠김방향으로 회전되어 앵커(130)가 홀더(110)에 체결됨으로써 도어(20)는 잠긴 상태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bogie 30 moves from the test position to the service position, the force of the wheel 32 of the bogie 30 to press the wheel member 125 is removed. At this time,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the interlock lever 120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the anchor 130 is fastened to the holder 110, so that the door 20 can be lock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장치(100)는 휠부재(125)에서 대차(30)의 앞바퀴(32)만 분리되면 도어(20)의 잠금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대차(30)가 테스트 위치를 벗어나자마자 즉, 차단기본체가 인입동작을 시작하고 인입이 완료되기 전 인입되는 도중에도 도어(20)을 잠글 수 있어, 인입동작 도중에 도어(20)가 개방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door interloc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20 when only the front wheel 32 of the vehicle 30 is separated from the wheel member 125, The door 20 can be locked while the breaker main body starts the pull-in operation and the pull-in operation is completed before the pull-in operation is completed, so that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door 20 is opened during the pull- .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10: 크래들 20: 도어
30: 대차 32: 앞바퀴
33: 뒷바퀴 34: 가이드
100: 인터록 장치
110: 홀더 120: 인터록 레버
122: 회전축 125: 휠부재
130: 앵커 140: 탄성부재
150: 잠김제한부 152: 래치부재
152a: 구속부 152b: 경사면
154: 복귀스프링
10: Cradle 20: Door
30: Truck 32: Front wheel
33: Rear wheel 34: Guide
100: interlock device
110: holder 120: interlock lever
122: rotating shaft 125: wheel member
130: anchor 140: elastic member
150: locking restricting portion 152: latch member
152a: restricting portion 152b: inclined surface
154: return spring

Claims (7)

도어가 구비된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서 인출, 테스트 및 서비스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차단기본체가 탑재되는 대차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설치되며, 상기 대차가 서비스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의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대차가 인출 및 테스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일단이 상기 대차에 의해 가압되어 열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대차가 테스트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차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잠김방향으로 회전하는 인터록 레버; 및
상기 인터록 레버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인터록 레버가 잠김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홀더에 걸리고 상기 인터록 레버가 열림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홀더에서 탈거되는 앵커;
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A cradle provided with a door and a breaker installed in the cradle, the breaker including a carriage on which a breaker body is mounted, the cradle being movable to a test position and a service position,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A holder provided on a door of the cradle;
Wherein when the carriage is disposed at the withdrawal and test position, one end of the carriage is pressed by the carriage to rotate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when the carriage is out of the test position, the pressurization by the carriage is released An interlock lever which rotates in a locking direction; And
An ancho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and engaged with the holder when the interlock lever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being detached from the holder when the interlock lever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a door interlock device for the br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타단이 상기 대차에 구비되는 바퀴에 의해 가압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is pressed by a wheel provided on the bogi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타단이 상기 대차에 구비되는 앞바퀴에 의해 가압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is pressed by a front wheel provided on the bogi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타단에 상기 대차의 바퀴에 접하는 휠부재를 구비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interlock lever has a wheel member contacting the wheel of the bogie at the other end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레버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상기 인터록 레버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member for rotating the interlock lever in a locking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interlock lever is re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대차가 상기 크래들에서 인출된 경우 상기 인터록 레버의 잠김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잠김제한부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cking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radle and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 lever in the locking direction when the bogie is pulled out from the cradle.
제6에 있어서,
상기 잠김제한부는,
상기 크래들에서 상기 대차가 인출되면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에 상기 대차가 장착되면 제2 위치에 배치되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인터록 레버의 잠김방향 회전을 구속하고,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인터록 레버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래치부재; 및
상기 크래들에서 상기 대차가 인출되면 상기 래치부재를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In the sixth aspect,
The lock-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brakes are pulled out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brakes are mounted on the cradle when the brakes are pulled out and restricting rotation of the interlock lever in the locking direction when the brakes are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 latch member for releasing rotational restraint of the interlock lever when disposed in the interlock lever; And
And 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latch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carriage is drawn out from the cradle.
KR1020160113721A 2016-09-05 2016-09-05 Interlock device of door of circuit breaker KR102150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21A KR102150426B1 (en) 2016-09-05 2016-09-05 Interlock device of door of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21A KR102150426B1 (en) 2016-09-05 2016-09-05 Interlock device of door of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872A true KR20180026872A (en) 2018-03-14
KR102150426B1 KR102150426B1 (en) 2020-09-01

Family

ID=6166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721A KR102150426B1 (en) 2016-09-05 2016-09-05 Interlock device of door of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4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842A (en) * 2002-02-18 2003-08-25 엘지산전 주식회사 interlock device of breaker and door in switch board
KR20080047549A (en) * 2008-03-10 2008-05-29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Circuit breaker
KR20110081687A (en) * 2010-01-08 2011-07-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ubicle with interlock unit for door
KR20160051090A (en) * 2014-10-31 2016-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Door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842A (en) * 2002-02-18 2003-08-25 엘지산전 주식회사 interlock device of breaker and door in switch board
KR20080047549A (en) * 2008-03-10 2008-05-29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Circuit breaker
KR20110081687A (en) * 2010-01-08 2011-07-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ubicle with interlock unit for door
KR20160051090A (en) * 2014-10-31 2016-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Door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426B1 (en)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8256B2 (en) Buckle device
CN107985142B (en) ISOFIX connector and child safety seat
JP2587877Y2 (en) Buckle device for seat belt
JP5385571B2 (en) Steering lock device
JP5688257B2 (en) Buckle device
US8894107B2 (en) Lock apparatus
EP2343426B1 (en) Latch device
US8353549B2 (en) Push butto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US8925416B2 (en) Steering lock device
KR100620621B1 (en) Buckle for seat belt of a vihicle
US8109544B2 (en) Unlocking device
CN107150724B (en) Pop-up structure of back door
JP5471921B2 (en) Stopper structure for vehicle door handle
KR20180026872A (en) Interlock device of door of circuit breaker
KR100645141B1 (en) Locking device of tray in car
WO2017082235A1 (en) Seat lock device
JP6258125B2 (en) Steering lock device
JP4553786B2 (en) Lid opening / closing device
EP3028593A1 (en) Buckle and seatbelt device with same
JP4593847B2 (en) Seat belt device
JP2001063516A5 (en) Buckle and seat bel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2006192041A (en) Slide rail
CN110446633B (en) Steering lock device
WO2023180326A1 (en) Side impact protecting block and child safety seat with the same
KR200366954Y1 (en) Buckle for seat belt of a vi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