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825A -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825A
KR20180026825A KR1020160113587A KR20160113587A KR20180026825A KR 20180026825 A KR20180026825 A KR 20180026825A KR 1020160113587 A KR1020160113587 A KR 1020160113587A KR 20160113587 A KR20160113587 A KR 20160113587A KR 20180026825 A KR20180026825 A KR 20180026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te
downward
shock
righ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영
Original Assignee
이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영 filed Critical 이일영
Priority to KR102016011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825A/ko
Publication of KR2018002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69Capping elements, i.e. elements which are located onto one or more ends of the contents, before the contents are inserted into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2Materials
    • B65D2581/053Paper in general, e.g. paperboard, carton, molded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장박스 내에 포장되는 제품의 각 모서리에 보강 및 완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종이앵글로 된 상하부지지구와, 종이완충튜브로 된 수직완충구의 조립과 분해를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포장박스 내에 위치하면서 필요충분한 보강과 완충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이앵글로 구성된 상하부지지구와 종이완충튜브로 구성된 수직완충구로 구성하되, 2개의 하부지지구는 종방향으로 설치하고, 2개의 상부지지구는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종횡방향으로 설치된 상하부지지구의 양측 단부에 절개홈을 구성하여 결합편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각 결합편이 직립설치된 수직완충구의 완충공간에 종횡으로 끼워져 조립되게 함으로서 별도의 결속수단없이 상하부지지구와 수직완충구가 조립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ASSEMBLING STRUCTURE OF INNER CUSHIONING MATERIALS OF EASY ASSEMBLE PACKGING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장박스 내에 포장되는 제품의 각 모서리에, 보강 및 완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종이앵글이나 종이완충튜브와 같은 완충재의 조립과 분해를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필요충분한 보강과 완충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은 적재창고에 보관하거나 국내외판매를 위하여 포장박스에 포장한 상태에서 운송수단을 통하여 운송하게 된다.
이때 포장박스 내에 포장되는 제품은 운송과정에서 외부충격이나 하중으로부터 포장제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박스와 제품 사이에 다양한 구성의 완충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포장박스를 이용한 제품의 포장에 관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374148호 '조립이 용이한 골판지 포장박스'(특허문헌 1)와, 특허 제10-1137441호 '골판지 포장박스'(특허문헌 2)와, 실용신안등록 제20-0469485호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특허문헌 3) 등이 제시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골판지 포장박스에 있어서, 사각의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의 사방에는 소정높이의 외곽벽이 형성되는 받침판과, 소정높이의 지지벽 각각의 끝단 내측에 직각으로 절곡되는 내측앵글이 접합되고, 외측에도 직각형태로 절곡되는 외측앵글이 접합되어 상기 내측앵글과 외측앵글 사이에 조립홈이 각각 형성되는 측면지지판과, 상기 측면지지판의 조립홈과 조립홈 사이에 삽입지지되는 전면판 및 후면판과, 사각의 상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면의 사방에는 소정높이의 외곽벽이 형성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포장물품이 놓이도록 된 사각형상의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와 각 코너에 직립설치되되, 상호직교하는 제1결합면과 제2결합면이 형성된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에 결합되어 측벽을 형성하도록 대향배치되는 한쌍의 제1측면골판지와, 이 제1측면골판지의 양단부에 대향배치되어 다른 측벽을 형성하는 한쌍의 제2측면골판지와, 상기 각 측면골판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면골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골판지는 그 양측이 상기 제1결합면에 각각 면접촉된 상태에서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제1측면골판지의 수평방향 길이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제2결합면 간의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면과 제1측면골판지의 양단부 사이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측면골판지는 그 양측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프레임의 제2결합면과 제1측면골판지 단부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골판지 포장박스가 제공되게 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사각형의 바닥판과 상부판의 사이 코너와 상기 코너의 사이에 간격유지대를 설치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팔레트와, 상기 상부판의 상측으로 같은 크기의 받침판을 설치하고 받침판의 사면테두리와 상측으로 돌출되는 바닥테두리를 형성한 바닥받침대와, 상기 바닥받침대의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를 형성하며 내부에 포장물품을 보관하는 골판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덮개판의 사면 테두리와 하측으로 돌출되는 뚜껑테두리를 형성한 뚜껑으로 이루어진 포장박스의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바닥 테두리의 안쪽에서 사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부골판지와, 상기 외부골판지의 사면 코너부분에 세워 설치하며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앵글과, 상기 앵글의 코너 안쪽에서 외부골판지와 공간을 두고 사면을 따라 형성되는 내부골판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의 포장구조는 골판지를 각 면의 크기를 갖도록 하고, 사면의 각 코너부분에서 골판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내외측앵글을 설치하는 것이어서, 비교적 강한 앵글을 사면 모두에 설치하는 것이 어렵고 지지벽과 전후면판 역시 매우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어서, 포장비용이 고가로 소모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각 측면골판지와 지주프레임을 체결구로 조립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외부충격에 취약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경우 외부골판지 각 코너에 앵글을 설치하고, 상기 앵글 내측에 두겹으로 구성된 내부골판지를 설치한 것으로서, 필요한 강도유지가 어려울 뿐 아니라 각 코너부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의해 포장제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의 단점인 코너부 완충을 위하여 ㄱ형으로 구성된 종이완충튜브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각 코너에 설치된 완충튜브의 지지수단이 없어 각 코너에 설치된 완충튜브를 테이프로 밴딩시켜 고정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74148호 '조립이 용이한 골판지 포장박스' 특허 젠10-1137441호 '골판지 포장박스' 실용신안등록 제20-0469485호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장박스 내에 포장되는 제품의 각 모서리에 보강 및 완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종이앵글로 된 상하부지지구와, 종이완충튜브로 된 수직완충구의 조립과 분해를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포장박스 내에 위치하면서 필요충분한 보강과 완충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이앵글로 구성된 상하부지지구와, 종이완충튜브로 구성된 수직완충구로 구성하되, 2개의 하부지지구는 종방향으로 설치하고, 2개의 상부지지구는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종횡방향으로 설치된 상하부지지구의 양측 단부에 절개홈을 구성하여 결합편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각 결합편이, 직립설치된 수직완충구의 완충공간에 종횡으로 끼워져 조립되게 함으로서 별도의 결속수단없이 상하부지지구와 수직완충구가 견고히 조립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이앵글로 구성된 상하부지지구와, 종이완충튜브로 구성된 수직완충구로 구성하되, 2개의 하부지지구는 종방향으로 설치하고, 2개의 상부지지구는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종횡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상하부지지구의 양측 단부에 절개홈을 구성하여 결합편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각 결합편이, 직립설치된 수직완충구의 완충공간에 종횡으로 끼워져 조립되게 하여 별도의 결속수단없이 상하부지지구와 수직완충구가 조립되게 함으로서, 포장박스 내에 포장되는 제품의 각 모서리에 보강 및 완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종이앵글로 된 상하부지지구와, 종이완충튜브로 된 수직완충구의 조립과 분해를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포장박스 내에 위치하면서 필요충분한 보강과 완충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내부완충재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 : 도 1의 상태에서 상하부지지구를 일부분해한 상태도
도 3 : 본 발명에서 제품하단과 각 모서리에 좌우측 하부지지구와 좌우측 수직완충구가 위치한 상태도
도 4 : 도 3의 상태에서 좌우측 수직완충구 상단에 전후 상부지지구가 조립된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내부완충재가 조립된 제품을 포장박스에 포장하기 전의 상태도
도 6 : 본 발명에서 포장박스에 내부완충재가 조립된 제품을 포장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에서 좌우측 하부지지구와 좌우측 수직완충구의 결합부 확대구성도
도 8 : 본 발명에서 전후 상부지지구와 좌우측 수직완충구의 결합부 확대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내부완충재(10)는 종이앵글로 구성되는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 및 종이완충튜브로 구성되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좌우측 상하부지지구(20)(20')를 구성하는 종이앵글과, 좌우측 수직완충구(40)를 구성하는 종이완충튜브는 여러겹의 종이를 접착제로 접합한 다음 가압성형한 것으로서, 충분한 버팀력과 완충력을 갖는다.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 및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에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는 동일한 구성이나 사용되는 위치의 차이로 명칭을 달리하였기에 별도로 설명한다.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는 수평판(21)과 상향수직판(22)으로 구성되며, 상향수직판(22) 양측 단부에는 절개홈(23)과 절삭부(25)를 형성하여 상향결합편(24)을 구성하고, 절삭부(25)에 의해 수평판(21) 양측 단부에는 돌출단부(26)가 형성된다.
상향수직판(22)에 구성된 상향결합편(24)의 길이(L1)는 종이완충튜브로 구성되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 내면에 구성된 완충공간(41)의 내경길이(M)와 동일하게 구성하며, 수평판(31) 양측에 구성된 돌출단부(26)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측단부(46)와 나란히 위치되게 한다.
전후 상부지지구(30)(30')는 수평판(31)과 하향수직판(32)으로 구성되며, 하향수직판(32) 양측 단부에는 절개홈(33)과 절삭부(35)를 형성하여 하향결합편(34)을 구성하고, 절삭부(35)에 의해 수평판(31) 양측 단부에는 돌출단부(36)가 형성된다.
하향수직판(32)에 구성된 하향결합편(34)의 길이(L2)는 종이완충튜브로 구성되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 내면에 구성된 완충공간(41)의 내경길이(M2)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수평판(31) 양측에 구성된 돌출단부(36)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측단부(46)와 나란히 위치되게 한다.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를 연결지지하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는 "ㄱ"형으로 절곡구성된 종이완충튜브로 절곡관체(42)로 구성하되, 상기 절곡관체(42) 내부에 완충공간(41)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공간(41)의 내경길이(M)는 상하부지지구 양측 단부에 구성된 상하향결합편(24)(34)의 길이(L1)(L2)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길이는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에 맞춰 절단사용하게 된다.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로 구성되는 내부완충재(10)은 조립은 다음과 같이 된다.
바닥에 좌측하부지지구(20)와 우측하부지지구(20')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의 상향수직판(22) 양측 단부에 구성된 절개홈(23)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를 구성하는 절곡관체(42)의 일측단부가 끼워지게 하면, 상향수직판(22) 양측 단부에 구성된 상향결합편(24)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 내부에 끼워진다.
이때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의 상향수직판(22) 양측 단부에 구성된 상향결합편(24)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향결합편(24)의 길이(L1)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 내면에 구성된 완충공간(41)의 내경길이(M)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 유격없이 빡빡하게 끼워져 결합됨과 동시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하단부(43)가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의 수평판(21) 상에 밀착된다.
또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의 수평판(21) 단부에 구성된 돌출단부(26)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측단부(46)와 나란히 위치하게 되므로, 종방향(A)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가 견고히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종방향(A)으로 설치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 양측 단부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가 견고히 조립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 양측 단부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조립이 완료되면,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 상단에 전후 상부지지구(30)(30')를 횡방향(B)으로 연결설치하게 된다.
전후 상부지지구(30)(3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 단부에 조립된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를 연결조립하게 된다.
즉 전후 상부지지구(30)(30')의 하향수직판(32) 양측 단부에 구성된 절개홈(33)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절곡관체(42) 일측 단부가 끼워지게 하면 하향수직판(32) 양측 단부에 구성된 하향결합편(34)이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 내부에 끼워진다.
이때 전후 상부지지구(30)(30')의 하향수직판(32) 양측 단부에 구성된 하향결합편(24)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하향결합편(24)의 길이(L2)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 내면에 구성된 완충공간(41)의 내경길이(M)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 유격없이 빡빡하게 끼워져 결합됨과 동시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상단부(44)가 전후 상부지지구(30)(30')의 수평판(31)과 밀착된다.
또한 전후 상부지지구(30)(30')의 수평판(31) 단부에 구성된 돌출단부(36)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측단부(46)와 나란히 위치하게 되므로, 횡방향(B)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전후 상부지지구(30)(30')가 견고히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횡방향(B)으로 설치된 전후 상부지지구(30)(30') 양측 단부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가 견고히 조립되므로, 두개의 좌측수직완충구(40)는 좌측하부지지구(20)가, 두개의 우측수직완충구(40')는 우측하부지지구(20')가 견고히 연결조립하게 되며, 이격된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는 전후상부지지구(30)(30')로 서로 연결하여 조립하게 되므로, 4개의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를 좌우측 하부지지구(20)(3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가 종횡방향(A)(B)으로 서로 연결하여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10) 조립이 완료되게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50)은 제품, (51)은 포장박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부완충재(10)를 이용한 제품(50)의 포장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50)의 바닥 양측에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를 위치시키면, 제품(50)의 각 모서리에 상향수직판(22) 양측 단부에 구성된 상향결합편(24)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상향결합편(24)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하단부(43)에 구성된 완충공간(41)이 끼워지게 하면, 제품(50)의 각 모서리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가 직립설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상단부(44)에 구성된 완충공간(43)에, 전후상부지지구(30)(30')의 하향수직판 양측 단부에 구성된 하향결합편(34)이 끼워지게 하면, 제품의 수평모서리에는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가 종횡방향(A)(B)으로 지탱하고, 제품의 각 수직코너에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가 위치하면서 각 코너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지탱하게 되므로 내부완충재(10) 내에 위치하는 제품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에 구성된 상향결합편(24)의 길이(L1)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 내경길이(M)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향결합편(24)이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에 빡빡하게 끼워지고, 동시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절곡관체(42) 단부가 절개홈(23)에 끼워지게 되므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 양측 단부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가 견고히 조립된다.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 양측 단부에 구성된 돌출단부(26)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측단부(46)와 나란하게 위치되므로 포장시 종방향(A)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가 지탱하게 된다.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 상단에 결합되는 전후 상부지지구(30)(30') 역시 하향결합편(34)의 길이(L2)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 내경길이(M)와 동일하기 때문에, 하향결합편(34)이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에 빡빡하게 끼워지고, 동시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절곡관체(42) 단부가 절개홈(33)에 끼워지게 되므로, 전후 상부지지구(30)(30')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후 상부지지구(30)(30') 양측 단부에 구성된 돌출단부(36)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측단부(46)와 나란하게 위치되므로 포장시 횡방향(B)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전후상부지지구(30)(30')가 지탱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 양측 단부에 구성된 절개홈(23)(33)과 상하향결합편(24)(34)을 이용하여 4개의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어 포장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분해 역시 조립의 역순으로 간편히 분해된다.
제품(50) 외면에 내부완충재(10)의 조립이 완료되면 내부완충재(10)와 함께 제품(50)을 포장박스(51) 내에 끼워 넣으면 포장박스(51) 각 모서리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가 위치하여 코너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버팀하게 되고, 종횡방향(A)(B)으로 가해지는 외력은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가 버팀하게 된다.
또한 제품(50) 외면에 내부완충재(1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품(50)을 포장박스(51)에 담지 않고, 제품(50)과 내부완충재(10) 외면에 열수축성 포장비닐(도시안됨)을 씌운 다음 열처리하여 포장비닐이 제품(50) 외면에 포장되게 할 수도 있다.
(10)--내부완충재 (20)--좌측하부지지구
(20')--우측하부지지구 (21)--수평판
(22)--상향수직판 (23)--절개홈
(24)--상향결합편 (25)--절삭부
(26)--돌출단부 (30)--전상부지지구
(30')--후상부지지구 (31)--수평판
(32)--하향수직판 (33)--절개홈
(34)--하향결합편 (35)--절삭부
(36)--돌출단부 (40)--좌측수직완충구
(40')--우측수직완충구 (41)--완충공간
(42)--절곡관체 (43)--하단부
(44)--상단부

Claims (3)

  1. 종이앵글로 구성되는 상하부지지구와, 종이완충튜브로 구성되는 수직완충구를 이용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평판(21)과 상향수직판(22)으로 구성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를 구성하되, 상향수직판(22) 양측 단부에 절개홈(23)과 상향결합편(24)을 구성하고, 상기 좌측 하부지지구(20) 양측 단부에 좌측 수직완충구(40)를 조립하고, 우측 하부지지구(20')의 양측 단부에 우측 수직완충구(40')를 조립하되,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절곡관체(42) 하단부(43)를 절개홈(23)에 끼워, 상향수직판(22) 양측에 구성된 상향결합편(24)이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 내에 결합되게 함으로서, 종방향(A)으로 설치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 양측 단부에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가 직립설치되게 하고,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 상단부(44)에 수평판(31)과 하향수직판(32)으로 구성된 전후 상부지지구(30)(30')를 횡방향(B)으로 연결하되, 전후 상부지지구(30)(30')의 하향수직판(32) 양측 단부에 절개홈(33)과 하향결합편(34)을 구성하고, 하향수직판(32) 양측 단부에 구성된 하향결합편(34)을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상단부(43)에 구성된 완충공간(41)에 끼워,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절곡관체(42) 일측이 하향수직판(32)의 절개홈(33)에 끼워 결합되게 함으로서,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 상하단부(43)(44)에,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상부지지구(30)(30')가 종횡방향(A)(B)으로 조립구성되게 함을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의 상향수직판(22)과 하향수직판(32)의 양측 단부에 절삭부(25)(35)를 구성하여, 좌우측 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의 수평판(21)(31) 양측 단부에 돌출단부(26)(36)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수평판(21)(31)의 돌출단부(26)(36)가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측단부(46)와 나란하게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좌우측 하부지지구(20)(20')와, 전후 상부지지구(30)(30')의 상향수직판(22) 및 하향수직판(32) 양측 단부에 구성된 상향결합편(22)과 하향결합편(32)의 길이(L1)(L2)는 좌우측 수직완충구(40)(40')의 완충공간(41) 내경길이(M)와 동일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KR1020160113587A 2016-09-05 2016-09-05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KR20180026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87A KR20180026825A (ko) 2016-09-05 2016-09-05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87A KR20180026825A (ko) 2016-09-05 2016-09-05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825A true KR20180026825A (ko) 2018-03-14

Family

ID=6166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587A KR20180026825A (ko) 2016-09-05 2016-09-05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8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9937A (zh) * 2020-06-16 2020-09-04 吴袖福 一种带有内部支撑结构的防潮式包装纸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9937A (zh) * 2020-06-16 2020-09-04 吴袖福 一种带有内部支撑结构的防潮式包装纸箱
CN111619937B (zh) * 2020-06-16 2021-11-09 深圳嘉达利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带有内部支撑结构的防潮式包装纸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183B2 (en) Structural cardboard runner, pallet, shipping article
CN103754502B (zh) 一种卷材包装装置
US20190059583A1 (en) Molded pulp pallet frame
US20110108448A1 (en) Suspension Packaging System
JP5600495B2 (ja) 包装部材
EP2341006A1 (en) Pallet for containing and transporting objects
KR20180026825A (ko) 조립이 간편한 포장박스의 내부완충재 조립구조
CN102795379B (zh) 尺寸规格可以扩展并可以拆卸的模块化包装箱
KR20180070855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CN106628500A (zh) 一种纸质包装托盘
JP5312106B2 (ja) パネル梱包体
KR101838282B1 (ko) 평판형 제품 포장용 완충지지구 및 완충지지구를 이용한 포장구조
CN103434703A (zh) 高强度以纸代木瓦楞包装箱
CN109720686B (zh) 陶瓷茶具包装盒及其制作方法
JP2009023667A (ja) コーナー用緩衝体
JP2013154929A (ja) 梱包体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梱包方法
KR20160000073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TWI738531B (zh) 紙質包裝材結構
US20230192383A1 (en) Package cushioning for an article to be packaged
KR20100082467A (ko) 강도 보강된 골판지 포장박스
KR20100006561A (ko) 운송 베이스를 선적 팔레트에 고정하는 수단
JPH07257573A (ja) パレットボックス
KR20150066302A (ko) 물품포장용 파레트
JP2015085959A (ja) 包装装置
KR200478977Y1 (ko) 적층식 포장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