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152A -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152A
KR20180026152A KR1020160113158A KR20160113158A KR20180026152A KR 20180026152 A KR20180026152 A KR 20180026152A KR 1020160113158 A KR1020160113158 A KR 1020160113158A KR 20160113158 A KR20160113158 A KR 20160113158A KR 20180026152 A KR20180026152 A KR 20180026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ser
rental
item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152A/ko
Priority to PCT/KR2017/003313 priority patent/WO2018043860A1/ko
Publication of KR2018002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고,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고,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대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대여 이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여 아이템을 추천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ARATUS FOR RECOMMENDING RENT ITEM USING SIMILAR TENDEDNCY GROUP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여 아이템 추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와 유사한 성향을 갖는 사용자 그룹을 추출하고, 해당 그룹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아이템을 추천해 줄 수 있는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은 아이템의 판매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아이템 목록을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을 편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템 목록에서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결제를 유도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원하는 아이템을 구매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의류나 가방과 같은 아이템의 경우에는 유행에 민감하고, 가격이 고가인 경우가 많아서 구매하는 것보다 대여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나 선호 정보에 부합하는 의류를 디스플레이하여 대여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최적의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1-0083801호, 2001년 9월 3일 공개 (명칭: 유명 의류의 상호 교환 사용을 중개, 보관, 관리하는 온라인 예약 시스템(DRS)과 그 웹사이트의 구성 및 운영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대여 이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여 아이템을 추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서의 대여 이력과 더불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템을 추천함으로써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부;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는 유사 성향 그룹 추출부; 및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대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부를 포함한다.
이 때, 그룹 생성부는 그룹에 포함되는 멤버들이 상기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유사 성향 그룹 추출부는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은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상기 사용자와의 대화 횟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1 그룹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상기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2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그룹 생성부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대화 그룹들 중 기설정된 대화기간 동안 상기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상기 제1 그룹으로 생성하는 제1 그룹 생성부;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상기 체크인 장소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하는 제2 그룹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그룹 생성부는 상기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상기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유사 성향 그룹 추출부는 상기 대화 그룹들 중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멤버들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포함된 대화 그룹을 상기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대여 아이템 추천부는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가 대여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대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생성하는 단계는 그룹에 포함되는 멤버들이 상기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은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상기 사용자와의 대화 횟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1 그룹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상기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2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대화 그룹들 중 기설정된 대화기간 동안 상기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상기 제1 그룹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상기 체크인 장소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상기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그룹들 중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멤버들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포함된 대화 그룹을 상기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가 대여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대여 이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서의 대여 이력과 더불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템을 추천함으로써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룹 생성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 중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 중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시스템은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 단말(120-1~120-N),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 및 네트워크(140)를 포함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는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가 단말(120-1~120-N)들에게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제공 시 단말(120-1~120-N)들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대여 아이템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이 때, 도 1에서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와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를 독립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가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는 사용자의 단말(120-1~120-N)을 통해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한다.
이 때, 그룹에 포함되는 멤버들이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사용자와의 대화 횟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1 그룹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2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대화 그룹들 중 기설정된 대화기간 동안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제1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을 모두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는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한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대화 그룹들 중 제2 그룹에 포함된 멤버들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포함된 대화 그룹을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는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대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한다.
이 때,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가 대여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단말(120-1~ 120-N)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가 제공하는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거나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단말(120-1~ 120-N)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 가능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20-1~ 120-N)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단말(120-1~ 120-N)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1~ 120-N)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단말(120-1~ 120-N)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단말(120-1~ 120-N)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단말(120-1~ 120-N)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DB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20-1~ 120-N)의 정보는 단말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120-1~ 120-N)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120-1~ 120-N)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서버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단말(120-1~ 120-N)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20-1~ 120-N)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이력을 컨텐츠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는 단말(120-1~ 120-N)에게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써, 단말(120-1~ 120-N)의 사용자들에게 대여 아이템을 제공하고 대여료를 청구할 수 있다.
이 때,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사용자들의 단말(120-1~ 120-N)과 연결되어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와 통신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추천할 대여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 단말(120-1~120-N) 및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130)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110)는 통신부(210), 그룹 생성부(220), 유사 성향 그룹 추출부(230), 대여 아이템 추천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는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서 특정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하기 위해서는 특정 사용자 개인의 대여 이력을 분석하여 선호정보를 조사하고, 선호정보에 상응하는 대여 아이템을 선정하여 추천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사용자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거나,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사용한지 얼마되지 않아 대여 이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추천 방법을 이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거나 또는 아이템을 대여한 이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와 성향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들의 대여 이력을 통해 대여 아이템을 추천해 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와 대여 아이템 추천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사용자의 단말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부터 대여 아이템 추천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사용 이력 등을 수신하고,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에게 추천 아이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룹 생성부(22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한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웹 상에서 사용자의 지인들이나 또는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분야 및 활동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들 사이에 관계망을 구축해주는 온라인 서비스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마이크로 블로그, 커뮤니티, 블로그 메신저 등등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글이나 이미지, 위치 등을 기반으로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는 서비스나 사용자가 등록한 멤버들과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와 연관된 게시물이나 그룹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그룹에 포함되는 멤버들이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된 여러 사용자들 중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단말의 사용자와 성향이 유사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특정 단말의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해 주기 위함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할 때에는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이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에 상응하여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그룹의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에 속한 멤버들이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개의 그룹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사용자와의 대화 횟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1 그룹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2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 받은 횟수를 체크하여 복수개의 그룹들 중 제1 그룹을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위치 기반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게시한 게시물에 태그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로 이용하여 제2 그룹을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되는 근거리 통신 수단을 기반으로 체크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체크인된 장소를 기반으로 제2 그룹을 선정할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그룹과 제2 그룹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로 선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대화 그룹들 중 기설정된 대화기간 동안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제1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대화기간이 1주일이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모든 그룹들 중 현재부터 1주일전까지 사용자가 한 번이라도 대화를 수행한 대화 그룹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대화 그룹들 중에서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제1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대화 횟수는 대화 그룹이 서로 주고받은 메시지의 수를 기반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는, 대화 그룹에서 특정 시점에 시작된 대화가 끝난 횟수를 파악함으로써 실제로 대화의 발생 빈도를 체크하여 대화 횟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대화 그룹들 중 대화 그룹 A의 그룹 내 대화 이력을 분석하였을 때, 사용자와 대화 그룹 A의 멤버들이 2016년 1월 1일 오전 9시에 약 10분간 100개의 메시지를 주고 받은 뒤, 2016년 1월 1일 오후 6시에 다시 약 20분간 200개의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서로 주고받은 메시지 수를 기준으로 대화 횟수를 측정한다면, 2016년 1월 1일 대화 그룹 A의 대화 횟수는 300회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대화의 발생 빈도를 기준으로 대화 횟수를 측정한다면, 2016년 1월 1일 대화 그룹 A의 대화 횟수는 오전 9시에 발생한 대화 1번과 오후 6시에 발생한 대화 1번을 더해서 총 2번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대화 횟수를 측정하는 기준은 상기에 예시한 방법 말고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체크인 장소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체크인기간이 1개월이고 기설정된 기준 횟수가 5회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현재부터 1개월전까지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에 한번이라도 체크인한 사용자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사용자들 중에서 체크인 장소에 5회 이상 체크인한 사용자를 제2 그룹의 멤버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이 체크인 장소에 중복으로 체크인하는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체크인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B의 이동 동선 중에 체크인 장소 C가 위치함으로써 하루에도 여러 번 체크인이 수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엉뚱한 사용자가 제2 그룹으로 포함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대여 아이템이 추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체크인 시간 간격을 설정해두고, 설정된 체크인 시간 간격 이내에 중복 발생한 체크인은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체크인 시간 간격이 2시간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 B가 체크인 장소 C에 오후 1시에 체크인된 후 오후 3시까지 체크인 장소 C에 대해서 중복적으로 발생하는 체크인은 무시되어 기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시간 간격은 체크인 장소나 사용자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체크인 횟수를 측정하는 기준은 상기에 예시한 방법 말고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체크인기간이 1개월이고 사용자에 상응하는 체크인 장소가 A부터 J까지 총 10개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현재부터 1개월전까지 A부터 J에 적어도 한번씩은 모두 체크인한 사용자를 제2 그룹의 멤버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 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체크인 기간이 1개월이고, 기설정된 기준 횟수가 3회이며, 사용자에 상응하는 체크인 장소가 A부터 E까지 총 5개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현재부터 1개월전까지 A부터 E에 적어도 3번씩은 모두 체크인한 사용자를 제2 그룹의 멤버로 포함시켜 제2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이나 제2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즉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에 가입된 사용자들에 상응할 수 있다.
유사 성향 그룹 추출부(230)는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한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은 각각 사용자와 적어도 하나의 관련성을 갖는 멤버들이 포함된 그룹이므로,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들에 대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대여 아이템 추천을 위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제1 그룹과 제2 그룹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들을 기반으로 유사 성향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 성향 그룹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사용자와 대화도 자주하고, 사용자가 최근 방문한 매장이나 장소를 동일하게 방문하는 멤버들이 포함된 그룹으로써 사용자와 유사한 성향일 것으로 예측되는 아이템 대여 서비스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대화 그룹들 중 제2 그룹에 포함된 멤버들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포함된 대화 그룹을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비율이 80%이고, 제2 그룹에 포함된 멤버들의 수가 5명이라고 가정한다면, 제1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추출된 복수개의 대화 그룹들 중에서 제2 그룹에 해당하는 멤버를 4명 이상 포함하는 대화 그룹을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대여 아이템 추천부(240)는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대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한다.
예를 들어, 유사 성향 그룹에 A, B, C 3명의 멤버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A, B, C 각각에 대한 아이템 대여 이력을 획득하고, 대여 이력에 포함된 대여 아이템들을 기반으로 선호정보를 생성하여 선호정보에 따른 대여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가 대여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대여 아이템의 사이즈 별 재고를 확인한 뒤, 재고가 남아있는 경우 해당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도 있다. 즉, 추천될 대여 아이템이 사용자에게 즉시 대여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즉시 대여가 가능한 상태일 경우에만 추천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추천된 대여 아이템들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250)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대여 아이템 추천을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5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대여 이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서 대여 이력과 더불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템을 추천함으로써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룹 생성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그룹 생성부(220)는 제1 그룹 생성부(310) 및 제2 그룹 생성부(320)를 포함한다.
제1 그룹 생성부(31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대화 그룹들 중 기설정된 대화기간 동안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제1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대화기간이 1주일이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모든 그룹들 중 현재부터 1주일전까지 사용자가 한 번이라도 대화를 수행한 대화 그룹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대화 그룹들 중에서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제1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대화 횟수는 대화 그룹이 서로 주고받은 메시지의 수를 기반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는, 대화 그룹에서 특정 시점에 시작된 대화가 끝난 횟수를 파악함으로써 실제로 대화의 발생 빈도를 체크하여 대화 횟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대화 그룹들 중 대화 그룹 A의 그룹 내 대화 이력을 분석하였을 때, 사용자와 대화 그룹 A의 멤버들이 2016년 1월 1일 오전 9시에 약 10분간 100개의 메시지를 주고 받은 뒤, 2016년 1월 1일 오후 6시에 다시 약 20분간 200개의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서로 주고받은 메시지 수를 기준으로 대화 횟수를 측정한다면, 2016년 1월 1일 대화 그룹 A의 대화 횟수는 300회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대화의 발생 빈도를 기준으로 대화 횟수를 측정한다면, 2016년 1월 1일 대화 그룹 A의 대화 횟수는 오전 9시에 발생한 대화 1번과 오후 6시에 발생한 대화 1번을 더해서 총 2번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대화 횟수를 측정하는 기준은 상기에 예시한 방법 말고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2 그룹 생성부(32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체크인 장소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체크인기간이 1개월이고 기설정된 기준 횟수가 5회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현재부터 1개월전까지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에 한번이라도 체크인한 사용자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사용자들 중에서 체크인 장소에 5회 이상 체크인한 사용자를 제2 그룹의 멤버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이 체크인 장소에 중복으로 체크인하는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체크인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B의 이동 동선 중에 체크인 장소 C가 위치함으로써 하루에도 여러 번 체크인이 수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엉뚱한 사용자가 제2 그룹으로 포함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대여 아이템이 추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체크인 시간 간격을 설정해두고, 설정된 체크인 시간 간격 이내에 중복 발생한 체크인은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체크인 시간 간격이 2시간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 B가 체크인 장소 C에 오후 1시에 체크인된 후 오후 3시까지 체크인 장소 C에 대해서 중복적으로 발생하는 체크인은 무시되어 기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시간 간격은 체크인 장소나 사용자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체크인 횟수를 측정하는 기준은 상기에 예시한 방법 말고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체크인기간이 1개월이고 사용자에 상응하는 체크인 장소가 A부터 J까지 총 10개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현재부터 1개월전까지 A부터 J에 적어도 한번씩은 모두 체크인한 사용자를 제2 그룹의 멤버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 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체크인 기간이 1개월이고, 기설정된 기준 횟수가 3회이며, 사용자에 상응하는 체크인 장소가 A부터 E까지 총 5개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현재부터 1개월전까지 A부터 E에 적어도 3번씩은 모두 체크인한 사용자를 제2 그룹의 멤버로 포함시켜 제2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이나 제2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즉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에 가입된 사용자들에 상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대여 서비스는 사용자 등록(Registration), 맞춤형 아이템 제공(Personal Offering), 배송(Delivery) 및 반납(Return) 또는 구매(Keep)의 과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등록 과정은 멤버십(Membership) 가입 과정과 프로파일링(Profiling) 과정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버십 과정은 의미대로 사용자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하는 과정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링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패션 선호도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유한 아이템을 서버에 등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스타일의 아이템을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링 과정에서는 사용자와 1:1로 프로파일링 미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 패션 쇼핑 occasion 및 스타일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맞춤형 아이템 제공(Personal Offering) 과정은 맞춤형 set 전달과정, 가상 피팅(Virtual Fitting) 과정 및 Pick & Confirm 과정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set 전달과정은 사용자의 선호정보를 분석한 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나 메일 등으로 Personal Styling Set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Personal Styling Set은 상의, 하의, 신발, 가방, 추가 아이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상응하는 유상 성향 그룹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Personal Styling Set은 사용자의 체형을 기반으로한 가상 피팅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피팅을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set을 확인하고, 원하는 상품만 confirm할 수 있다.
이 때, 배송(Delivery) 과정은 Pick & Confirm 과정에서 선택된 상품을 선물 박스나 드라이클리닝 타입으로 포장하여 사용자의 집으로 배송할 수 있다.
이 후, 반납(Return) 과정은 사용자가 대여한 아이템을 원하는 기간 또는 지정된 기간만큼 이용한 후, 아이템 대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아이템에 대한 반납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회수 요청이 접수되어 아이템이 반납될 수 있다. 이 때, 반납 버튼 입력에 대한 아이템을 회수 완료한 뒤, 다음 상품의 배송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구매(Keep) 과정은 사용자가 대여한 아이템을 구매하고 싶은 경우에 아이템 대여 서버를 기반으로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는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서 특정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하기 위해서는 특정 사용자 개인의 대여 이력을 분석하여 선호정보를 조사하고, 선호정보에 상응하는 대여 아이템을 선정하여 추천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사용자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거나,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사용한지 얼마되지 않아 대여 이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추천 방법을 이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거나 또는 아이템을 대여한 이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와 성향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들의 대여 이력을 통해 대여 아이템을 추천해 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한다(S510).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웹 상에서 사용자의 지인들이나 또는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분야 및 활동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들 사이에 관계망을 구축해주는 온라인 서비스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마이크로 블로그, 커뮤니티, 블로그 메신저 등등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글이나 이미지, 위치 등을 기반으로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는 서비스나 사용자가 등록한 멤버들과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와 연관된 게시물이나 그룹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그룹에 포함되는 멤버들이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된 여러 사용자들 중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단말의 사용자와 성향이 유사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특정 단말의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해 주기 위함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할 때에는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이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에 상응하여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그룹의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에 속한 멤버들이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개의 그룹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사용자와의 대화 횟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1 그룹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2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 받은 횟수를 체크하여 복수개의 그룹들 중 제1 그룹을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위치 기반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게시한 게시물에 태그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로 이용하여 제2 그룹을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되는 근거리 통신 수단을 기반으로 체크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체크인된 장소를 기반으로 제2 그룹을 선정할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그룹과 제2 그룹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로 선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대화 그룹들 중 기설정된 대화기간 동안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제1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대화기간이 1주일이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모든 그룹들 중 현재부터 1주일전까지 사용자가 한 번이라도 대화를 수행한 대화 그룹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대화 그룹들 중에서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제1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대화 횟수는 대화 그룹이 서로 주고받은 메시지의 수를 기반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는, 대화 그룹에서 특정 시점에 시작된 대화가 끝난 횟수를 파악함으로써 실제로 대화의 발생 빈도를 체크하여 대화 횟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대화 그룹들 중 대화 그룹 A의 그룹 내 대화 이력을 분석하였을 때, 사용자와 대화 그룹 A의 멤버들이 2016년 1월 1일 오전 9시에 약 10분간 100개의 메시지를 주고 받은 뒤, 2016년 1월 1일 오후 6시에 다시 약 20분간 200개의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서로 주고받은 메시지 수를 기준으로 대화 횟수를 측정한다면, 2016년 1월 1일 대화 그룹 A의 대화 횟수는 300회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대화의 발생 빈도를 기준으로 대화 횟수를 측정한다면, 2016년 1월 1일 대화 그룹 A의 대화 횟수는 오전 9시에 발생한 대화 1번과 오후 6시에 발생한 대화 1번을 더해서 총 2번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대화 횟수를 측정하는 기준은 상기에 예시한 방법 말고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체크인 장소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체크인기간이 1개월이고 기설정된 기준 횟수가 5회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현재부터 1개월전까지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에 한번이라도 체크인한 사용자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사용자들 중에서 체크인 장소에 5회 이상 체크인한 사용자를 제2 그룹의 멤버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이 체크인 장소에 중복으로 체크인하는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체크인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B의 이동 동선 중에 체크인 장소 C가 위치함으로써 하루에도 여러 번 체크인이 수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엉뚱한 사용자가 제2 그룹으로 포함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대여 아이템이 추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체크인 시간 간격을 설정해두고, 설정된 체크인 시간 간격 이내에 중복 발생한 체크인은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체크인 시간 간격이 2시간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 B가 체크인 장소 C에 오후 1시에 체크인된 후 오후 3시까지 체크인 장소 C에 대해서 중복적으로 발생하는 체크인은 무시되어 기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시간 간격은 체크인 장소나 사용자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체크인 횟수를 측정하는 기준은 상기에 예시한 방법 말고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체크인기간이 1개월이고 사용자에 상응하는 체크인 장소가 A부터 J까지 총 10개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현재부터 1개월전까지 A부터 J에 적어도 한번씩은 모두 체크인한 사용자를 제2 그룹의 멤버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 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체크인 기간이 1개월이고, 기설정된 기준 횟수가 3회이며, 사용자에 상응하는 체크인 장소가 A부터 E까지 총 5개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현재부터 1개월전까지 A부터 E에 적어도 3번씩은 모두 체크인한 사용자를 제2 그룹의 멤버로 포함시켜 제2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이나 제2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즉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에 가입된 사용자들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은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한다(S520).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은 각각 사용자와 적어도 하나의 관련성을 갖는 멤버들이 포함된 그룹이므로,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들에 대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대여 아이템 추천을 위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제1 그룹과 제2 그룹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들을 기반으로 유사 성향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 성향 그룹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사용자와 대화도 자주하고, 사용자가 최근 방문한 매장이나 장소를 동일하게 방문하는 멤버들이 포함된 그룹으로써 사용자와 유사한 성향일 것으로 예측되는 아이템 대여 서비스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대화 그룹들 중 제2 그룹에 포함된 멤버들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포함된 대화 그룹을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비율이 80%이고, 제2 그룹에 포함된 멤버들의 수가 5명이라고 가정한다면, 제1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추출된 복수개의 대화 그룹들 중에서 제2 그룹에 해당하는 멤버를 4명 이상 포함하는 대화 그룹을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은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대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한다(S530).
예를 들어, 유사 성향 그룹에 A, B, C 3명의 멤버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A, B, C 각각에 대한 아이템 대여 이력을 획득하고, 대여 이력에 포함된 대여 아이템들을 기반으로 선호정보를 생성하여 선호정보에 따른 대여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가 대여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대여 아이템의 사이즈 별 재고를 확인한 뒤, 재고가 남아있는 경우 해당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도 있다. 즉, 추천될 대여 아이템이 사용자에게 즉시 대여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즉시 대여가 가능한 상태일 경우에만 추천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추천된 대여 아이템들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은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와 대여 아이템 추천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단말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부터 대여 아이템 추천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사용 이력 등을 수신하고,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에게 추천 아이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을 통해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대여 이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서 대여 이력과 더불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템을 추천함으로써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 중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 중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은 먼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사용자와의 대화 횟수를 기준으로 제1 그룹을 선정할 수 있다(S610).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대화 그룹들 중 기설정된 대화기간 동안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제1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대화기간이 1주일이라고 가정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모든 그룹들 중 현재부터 1주일전까지 사용자가 한 번이라도 대화를 수행한 대화 그룹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대화 그룹들 중에서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제1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대화 횟수는 대화 그룹이 서로 주고받은 메시지의 수를 기반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는, 대화 그룹에서 특정 시점에 시작된 대화가 끝난 횟수를 파악함으로써 실제로 대화의 발생 빈도를 체크하여 대화 횟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때, 대화 횟수를 측정하는 기준은 상기에 예시한 방법 말고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를 기준으로 제2 그룹을 선정할 수 있다(S620).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체크인 장소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이 체크인 장소에 중복으로 체크인하는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체크인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B의 이동 동선 중에 체크인 장소 C가 위치함으로써 하루에도 여러 번 체크인이 수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엉뚱한 사용자가 제2 그룹으로 포함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대여 아이템이 추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체크인 시간 간격을 설정해두고, 설정된 체크인 시간 간격 이내에 중복 발생한 체크인은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체크인 시간 간격이 2시간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 B가 체크인 장소 C에 오후 1시에 체크인된 후 오후 3시까지 체크인 장소 C에 대해서 중복적으로 발생하는 체크인은 무시되어 기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시간 간격은 체크인 장소나 사용자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체크인 횟수를 측정하는 기준은 상기에 예시한 방법 말고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 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이나 제2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은 아이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즉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에 가입된 사용자들에 상응할 수 있다.
이 후, 제1 그룹과 제2 그룹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시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S630).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은 각각 사용자와 적어도 하나의 관련성을 갖는 멤버들이 포함된 그룹이므로,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들에 대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대여 아이템 추천을 위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그룹들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제1 그룹과 제2 그룹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들을 기반으로 유사 성향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 성향 그룹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사용자와 대화도 자주하고, 사용자가 최근 방문한 매장이나 장소를 동일하게 방문하는 멤버들이 포함된 그룹으로써 사용자와 유사한 성향일 것으로 예측되는 아이템 대여 서비스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 중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 중 유사 성향 그룹을 추천하는 과정은 먼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대화 그룹들을 추출할 수 있다(S710).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대화 그룹들 중 기설정된 대화기간 동안 대화가 발생한 대화 그룹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 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를 기준으로 제2 그룹을 선정할 수 있다(S720).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체크인 장소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이 체크인 장소에 중복으로 체크인하는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체크인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B의 이동 동선 중에 체크인 장소 C가 위치함으로써 하루에도 여러 번 체크인이 수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엉뚱한 사용자가 제2 그룹으로 포함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대여 아이템이 추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체크인 시간 간격을 설정해두고, 설정된 체크인 시간 간격 이내에 중복 발생한 체크인은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체크인 시간 간격이 2시간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 B가 체크인 장소 C에 오후 1시에 체크인된 후 오후 3시까지 체크인 장소 C에 대해서 중복적으로 발생하는 체크인은 무시되어 기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시간 간격은 체크인 장소나 사용자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체크인 횟수를 측정하는 기준은 상기에 예시한 방법 말고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 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후, 복수개의 대화 그룹들 중 그룹의 멤버들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대화 그룹을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비율이 80%이고, 제2 그룹에 포함된 멤버들의 수가 5명이라고 가정한다면, 제1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추출된 복수개의 대화 그룹들 중에서 제2 그룹에 해당하는 멤버를 4명 이상 포함하는 대화 그룹을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고,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고,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대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 나아가,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한 초기 사용자들에게도 각각 적합한 대여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어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수익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10: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120-1~ 120-N: 단말
130: 아이템 대여 서비스 서버 140: 네트워크
210: 통신부 220: 그룹 생성부
230: 유사 성향 그룹 추출부 240: 대여 아이템 추천부
250: 저장부 310: 제1 그룹 생성부
320: 제2 그룹 생성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부;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는 유사 성향 그룹 추출부; 및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대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룹 생성부는
    그룹에 포함되는 멤버들이 상기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사 성향 그룹 추출부는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에 모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은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상기 사용자와의 대화 횟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1 그룹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이력 중 상기 사용자의 체크인 장소를 기준으로 선정된 제2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룹 생성부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대화 그룹들 중 기설정된 대화기간 동안 상기 대화 횟수가 가장 많은 대화 그룹을 상기 제1 그룹으로 생성하는 제1 그룹 생성부;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상기 체크인 장소에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중복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하는 제2 그룹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 생성부는
    상기 체크인 장소가 복수개일 경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 중 상기 기설정된 체크인기간 동안 복수개의 체크인 장소들에 모두 체크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멤버로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사 성향 그룹 추출부는
    상기 대화 그룹들 중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멤버들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포함된 대화 그룹을 상기 유사 성향 그룹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여 아이템 추천부는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가 대여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9.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멤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유사 성향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 성향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대한 아이템 대여 서비스의 대여 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대여 아이템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그룹에 포함되는 멤버들이 상기 아이템 대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 아이템 추천 방법.
KR1020160113158A 2016-09-02 2016-09-02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80026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58A KR20180026152A (ko) 2016-09-02 2016-09-02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CT/KR2017/003313 WO2018043860A1 (ko) 2016-09-02 2017-03-28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58A KR20180026152A (ko) 2016-09-02 2016-09-02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152A true KR20180026152A (ko) 2018-03-12

Family

ID=6130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58A KR20180026152A (ko) 2016-09-02 2016-09-02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26152A (ko)
WO (1) WO2018043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19B1 (ko) * 2021-09-24 2022-01-03 주식회사 루다드림 디지털마케팅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70007A (zh) * 2021-10-29 2023-05-05 花瓣云科技有限公司 推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38B1 (ko) * 2000-06-13 2007-03-21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형 의상 대여 및 판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0467A (ko) * 2009-04-03 2010-10-13 김창준 맞춤형 의류대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30035064A (ko) * 2011-09-29 201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성향 기반의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G10201610045QA (en) * 2012-06-01 2017-01-27 Locomizer Ltd Interest profile of a user of a mobile application
KR20140140309A (ko) * 2013-05-29 2014-12-09 (주) 다이퀘스트 사용자 간의 유사도 계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이템 추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19B1 (ko) * 2021-09-24 2022-01-03 주식회사 루다드림 디지털마케팅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3860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0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ecommerce transactions in messaging via search, discussion and agent prediction
Rivera et al. Mobile application for the timeshare industry: The influence of technology experience, usefulness, and attitude on behavioral intentions
Xu et al. Effects of ICT service innovation and complementary strategies on brand equity and customer loyalty in a consumer technology market
JP6692287B2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
CN103460235B (zh) 基于社交网络系统中联系人的活动提供社交协约
US201100550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mantic based advertising on social networking platforms
US20140324593A1 (en) Mobile Messaging and Data Tracking Platform
TW201005666A (en) Event communication platform for mobile device users
US10366416B2 (en) Beacon based campaign management
CN107832409A (zh) 访问基于位置的内容
KR20170098736A (ko) 온라인 채팅방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56869A (ko) 정보통신망과 키오스크를 이용한 뷰티샵 관리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AU2012291476A1 (en)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same
KR20180026155A (ko)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한 대여 아이템 선호도 자동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80026152A (ko) 유사 성향 그룹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Garrigos-Simon et al. Pervasive information gathering and data mining for efficient business administration
Dean et al. The effectiveness of survey recruitment methods in Second Life
KR20220075609A (ko) 사용자 모임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169493B1 (ko) 사용자 맞춤형 한류 컨텐츠 큐레이션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U2014226195A1 (en) Interactive engagement system for spectators attending an event at a venue
KR101570464B1 (ko) 광고 전달을 수반한 휴대용 충전기 대여 방법
KR20010078833A (ko) 인터넷 상에서의 커뮤니티 중심의 전자상거래 방법
KR20180026153A (ko) 사용자의 스케줄을 이용한 대여 아이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20160260119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connection route of terminal requesting connection
Oreku Mobile technology interaction to e–Commerce in promising of u–Comme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