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732A -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732A
KR20180025732A KR1020160112805A KR20160112805A KR20180025732A KR 20180025732 A KR20180025732 A KR 20180025732A KR 1020160112805 A KR1020160112805 A KR 1020160112805A KR 20160112805 A KR20160112805 A KR 20160112805A KR 20180025732 A KR20180025732 A KR 20180025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ayer
light guide
light sour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641B1 (ko
Inventor
박기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6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를 둘러싸는 광가이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LIGHT DEVICE AND VEHICLE LAM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VA 투명 수지를 적용하는 조명 장치 및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광원을 활용한 조명유닛은 각 전자기기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광원을 활용하여 광효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조명유닛은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백라이트유닛이나, 실내환경에 사용하는 실내등, 또는 자동차 외부에 설치되는 전조등, 안개등, 후퇴등, 차폭등, 번호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이나,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조명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차량용 램프에 사용되는 조명 장치는 광의 직전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명 장치에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직진성을 유지하고, 광경로를 유도하여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광가이드층이 필요하다. 또한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균일한 분포를 갖기 위해 광학시트와 산란체를 사용하였다. 조명 광가이드층으로 주로 레진(resin)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EVA 투명 수지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실장되는 광원; 및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광가이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적층되어, 상기 광원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상기 광가이드층은 가교제 및 가교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상기 광가이드층은 UV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상기 광가이드층은 EVA(ethylene vinylacetate) 중 VA(vinylacetate) 함량이 20 내지 4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광가이드층을 통과하여 출사되는 광을 전면으로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광확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상기 광가이드 상에 배치되어 빛의 강도를 조절하고 광가이드층을 보호하는 광학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상기 광학시트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집중되는 것을 막는 광학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상기 반사층에는 입사되는 광을 산란 및 분산시키는 반사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상기 광가이드층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된 광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광가이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에 광가이드층을 이용하여 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직진성을 유지하고, 광의 활용도을 높이기 위한 광가이드층이 필요하다. 광 가이드층으로서 레진, 에폭시 또는 EVA(Ethlene vinyl acetate)투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이드층에 레진,에폭시 또는 EVA(Ethlene vinyl acetate)투명 수지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EVA(Ethlene vinyl acetate) 투명 수지는 타부재와의 밀착력이 우수하여 가공 쉽고, EVA 투명 수지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 함량이 2~9%로 열가소성 수지 영향으로 잘 깨지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다. EVA 투명수지는 가교후 내습성이 뛰어나 습기로부터 전기 부재를 잘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EVA 투명수지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우수(T % = 92%) 하여 광가이드 역할에 충실하고, 태양광의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하여 내부 기재를 광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제외한 광원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층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방열부재를 포함한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반사층이 생략된 광원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8 및 도 9는 차량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가이드층을 배치하여 휘도 및 조도를 향상시키고, 조명장치의 전체 두께를 혁신적으로 감소시키는 한편, 광의 균일도를 확보한다. 또한 타부재와의 밀착력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가공성을 높이고, 내구성, 내습성을 확보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요지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램프장치, 이를테면 차량용램프, 가정용 조명장치, 산업용 조명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경우, 헤드라이트, 차량실내조명, 도어스카프, 후방라이트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백라이트유닛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조명관련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제외한 광원부의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는 광원부(100)와 하우징(2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는 기판(10), 광원(20), 반사층(30), 광가이드층(40), 광학시트(50) 및 광학패턴(6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광원부(100)를 수용하는 구조로, 기판(10)의 하면까지 감쌀 수 있는 구조이다.
도 2에 도시된 예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도로서,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으며, 기판(10)에는 광원(20)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광원(20)은 LD(Laser diode), VCSEL(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상기 반사층(30)은 기판(10)위에 적층되며, 광원(20)은 반사층(30)을 관통한다. 반사층(30)은 광원(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광원이 배치된 영역이 미리 홀을 뚫어 광원(20)이 홀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반사층(30)은 반사 효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되어 광원(20)의 빛을 광학패턴(60)으로 반사시킨다.
반사층(30)의 재료로는 빛의 반사 특성이 우수한 백색 레지스트(white resis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백색 안료를 분산 함유하는 합성수지나 광 반사특성이 우수한 금속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백색 안료로는 산화티탄(TixOy), 산화알루미늄(AlxOy), 산화아연(ZnxOy), 탄산염, 황산바륨, 탄산칼슘(탄산염에탄산칼슘이 포함됨)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 원료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아크릴(Acryl),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올레핀(PO, polyolefine),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CA, cellulose acetate), 내후성(proofagainst climate) 염화비닐 (vinyl chlorid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반사층(30)은 은(Ag),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stil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30)의 표면에는 반사패턴(32)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패턴(32)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 산란 및 분산시킴으로써 광원(20)에서 출사된 빛의 광가이드층(40)에서 광학패턴(60)으로 광경로를 유도하여 광전달효율 및 광균일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반사패턴(22)은 반사층(30)과 동일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으나,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사패턴(22)은 TiO2, CaCo3, BaSO4, Al2O3, Silicon, PS(polystyrene)와 같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사층(30)이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반사패턴(32)은 구조는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의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트 패턴 형상, 프리즘 형상, 렌티큘러 형상, 렌즈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사패턴(32)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사인파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40)은 기판상에 배치되어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퍼지지 않고 직전성을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40)은 레진, 에폭시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투명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층(40)에 사용되는 레진은 고내열성, 고굴절률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가이드층(40)에 사용되는 레진은 광을 확산할 수 있는 재질의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굴절률은 1.4 내지 1.8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레진은 올리고머(oligomer)를 포함하는 고내열성 자외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에폭시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ther Acrylate),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Polybutadiene Acrylate), 실리콘 아크릴레이트(Silicon Acrylat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레진은 추가적으로 모노머(monomer) 및 광개시제(photo initiat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개시제로는IBOA(isobornyl Acrylate), 2-HEM(2-Hydroxyethyl Methacrylate) 2-HBA(2-Hydroxybutyl Acrylate) 를 포함하는 혼합물, 또는 1-hydroxycyclohexyl, phenyl-ketone,phynylvis(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진은 고내열성을 갖는 열경화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진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수지, 아크릴 폴리올(Acryl Polyol) 수지, 탄화수소계 또는/및 에스테르계의 용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경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열경화 수지에는 도막강도 향상을 위해 열경화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광가이드층(40)을 레진으로 형성하는 경우, 내열성이 강화되어 고온의 열이 방출되는 조명장치에 사용되더라도 열로 인한 휘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신뢰도 높은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레진층은 내부에 확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 물질은 레진과 혼합 또는 레진에 확산된 형태일 수 있으며, 광의 반사 및 확산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광가이드층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Acetate, EVA로 후술)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가이드층(40)은 미가교된 열가소성 수지 함량이 2~15%인 EVA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40)을 EVA로 사용할 때, EVA중 VA(vinylacetate,VA로 후술) 함량이 20~4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VA함량이 28~34% 수준일 때 가교된 EVA의 광가이드 성능이 가장 뛰어나다. 이때 가교된 EVA의 접합 성능(밀착 성능)은 60N/cm이상이다. VA함량이 50% 이상일 경우에는 경화 정도가 낮고 액상 형태로 상용이 어렵다. VA 함량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가교 반응이 느려 큐어링(curing) 정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경화된 EVA 공중합체가 열에 의한 내구성이 저하되고 투과율 또한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층(40)은 EVA에 가교제와 같은 첨가제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 가교촉진제, 및 UV 안정제가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로는 과산화디큐밀(DCP DicumylPeroxide),또는 큐멘 과산화수소(CHP,Cumenehydroperoxide)가 첨가될 수 있고, 가교촉진제로는 TAC(Triallylcyanurate), PB(Poly butadiene)가 첨가될 수 있다. UV안정제로는 2-HYDROXYBENZOPHENONES, 2-HYDROXY PHENYL BENZOTRIAZOLES, HINDERED AMINES, ORGANIC NICKEL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Salicylates, Cinnamate Derivatives, Resorcinol-monobenzonates, Oxanilides, P-hydroxylbenzonate 등이 첨가될 수 있다.
경화된 EVA 중합체의 밀도는 0.96g/cm3, 광투과성(T%)은 92%이상 , 수분흡수율은 0.02%이하, 점착강도(유리)는 60N/cm 이상, 가교율80% 이상, 수축률(120℃×2min)은 MD 2% 이하, TE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40)의 두께는 0.45~1.8mm일 수 있다.
상기 광원(20)은 LD(Laser diode), VCSEL(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OLED(Orgaing Light Emitting Diode), LED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기판(10)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20)은 광가이드층(40)에 매립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가이드층(40)은 열경화성 레진, 에폭시, EVA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댐(32)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40)상에는 빛의 강도를 조절하고, 광가이드층(40)을 보호하는 광학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시트는 광가이드층(40)상에 배치되는 제1 광학시트(52) 및 제1광학시트 상에 배치되는 제2 광학시트(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52) 및 제2 광학 시트(54)는 광투과율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일례로 PET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학시트 상에는 광가이드층(40)과 제1 광학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광가이드층(40) 상에 제1광학시트를 부착시키는 제1 접착층(51)과 제1 광학 시트(52)와 제2 광학 시트(5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광학 시트(52)와 제2 광학 시트(54)를 부착시키는 제2접착층(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30)은 제1 광학 시트(52)의 상면 또는 제2 광학 시트(54)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광학패턴(60)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패턴(60)은 접착층(56)에 의하여 제1 광학 시트(52)의 상면 또는 제2 광학 시트(54)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제2 광학시트(54) 상에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광학 시트(도면 미도시)가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 패턴(60)은 광원(20)에서 출사하는 광의 집중을 막기 위한 차광 패턴일 수 있다. 광학 패턴(60)은 광원(20)에 정렬(align)되며, 접착층(56)에 의하여 제1 광학 시트(52) 및 제2 광학 시트(54)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제1 광학 시트(52)와 제2 광학 시트(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표면에 직접 인쇄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외부 케이스로 기판(10), 반사층(30), 광가이드층(40), 및 광학시트(50)를 둘러싸 내부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일면에는 광확산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에 개구 영역을 형성한 후 광확산부(210)를 밀폐하는 구조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광확산부(210)는 이격부가 없는 구조(비에어갭구조, non-air-gap-structure)일 수 있다.
즉, 상기 광확산부(210)는 광가이드층(40)과 이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밀착하여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면발광을 구현하는 일반적인 조명장치에서 도광판 등의 부재 상부에 확산부재를 형성하는 경우, 면발광 구현을 위한 이격부를 일반적으로 10mm 정도를 필수적으로 요청되게 되는 점, 이로인해 광효율이 감소하고 기구 설계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점을 일소하여 효율적인 광확산 및 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부(210)는 광가이드층(40)를 통과하여 출사되는 광을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확산부(210)는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ylmetha-acrylate), 환상 올레핀코폴리머(COC, cyclic olefine copolymer),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레진(resin)과 같은 고투과성 플라스틱 등 확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광원(10)에서 출사된 광은 반사층(30)을 통해 광가이드층(40)을 지나 광확산부(210)를 통해 전방으로 출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되며, 기판(10)의 하면에는 방열부재(12)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12)는 광원(2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데, 방열 부재는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는 이격하는 복수의 방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의 하면에는 조명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14)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들은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광원(2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방향은 인쇄회로기판(10)으로부터 광가이드층(40)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방열 부재(12)는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 예컨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일 수 있다. 또는 방열 부재(12)는 MCPCB(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방열 부재(12)는 아크릴계의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실시예에서, 광가이드층(40)의 표면을 굴곡지게 형성한 것이다. 나머지 구성은 도 2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실시예에서와 같이 광가이드층(40)을 굴곡지게 형성하면 광가이드(30)를 통과하여 출사하는 광의 경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조명장치를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가이드(30)의 굴곡진 면으로 인해 광이 굴절률이 변화되어 제1 광학시트, 광학 패턴이 없이도 균일한 광이 출사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반사층(30)을 생략한 것이다.
도8 및 도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 및 도9을 참조하면, 차량(900)에서 후미등(800)은 제 1 램프 유닛(812), 제 2 램프 유닛(814), 제 3 램프 유닛(816), 및 하우징(8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램프 유닛(812)은 방향 지시등 역할을 위한 광원일 수 있으며, 제 2 램프 유닛(814)은 차폭등의 역할을 위한 광원일 수 있고, 제3램프 유닛(816)은 제동등 역할을 위한 광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810)은 제 1 내지 제 3 램프 유닛(812, 814, 816)들을 수납하며,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810)은 차량 몸체의 디자인에 따라 굴곡을 가질 수 있고, 제 1 내지 제 3 램프 유닛(812, 814,816)은 하우징(810)의 형상에 따라, 곡면을 갖는 수 있는 면 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램프 유닛이 차량의 테일등, 제동등이나, 턴 시그널 램프에 적용될 경우, 차량의 턴 시그널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기판
20 : 반사층
30 : 광가이드층
40 : 광원
50 : 하우징
60 : 광확산부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실장되는 광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광가이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적층되어, 상기 광원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층은 가교제 및 가교 촉진제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층은 UV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층은 EVA(ethylene vinylacetate) 중 VA(vinylacetate) 함량이 20 내지 40% 인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상에 배치되어 빛의 강도를 조절하고 광가이드층을 보호하는 광학시트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집중되는 것을 막는 광학 패턴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광가이드층을 통과하여 출사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광확산층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에는 입사되는 광을 산란 및 분산시키는 반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층은 굴곡지게 형성되는 조명 장치.
  11. 차량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된 광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광가이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KR1020160112805A 2016-09-01 2016-09-01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599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05A KR102599641B1 (ko) 2016-09-01 2016-09-01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05A KR102599641B1 (ko) 2016-09-01 2016-09-01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32A true KR20180025732A (ko) 2018-03-09
KR102599641B1 KR102599641B1 (ko) 2023-11-06

Family

ID=6172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805A KR102599641B1 (ko) 2016-09-01 2016-09-01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6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4546A (ja) * 2005-06-10 2006-12-21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2013206577A (ja) * 2012-03-27 2013-10-07 Toppan Printing Co Ltd 導光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表示装置
KR20140078373A (ko) * 2012-12-17 2014-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50067836A (ko) * 2013-12-10 2015-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4546A (ja) * 2005-06-10 2006-12-21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2013206577A (ja) * 2012-03-27 2013-10-07 Toppan Printing Co Ltd 導光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表示装置
KR20140078373A (ko) * 2012-12-17 2014-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50067836A (ko) * 2013-12-10 2015-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641B1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05437B (zh) 发光器件
KR101446918B1 (ko) 조명 장치
US10436404B2 (en)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including same
EP2902694B1 (en) Illuminating device and vehicle lamp comprising same
US10300836B2 (en) Lighting apparatus and vehicular lamp comprising the same
KR101934427B1 (ko) 조명 장치
KR101379920B1 (ko) 조명 장치
KR101368852B1 (ko) 조명 장치
KR20180025732A (ko)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292690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213069B1 (ko) 조명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KR20140122531A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50007762A (ko) 차량조명장치
KR101368838B1 (ko) 조명 장치
US11079074B2 (en) Lighting device and vehicular lamp comprising same
KR101368843B1 (ko) 조명 장치
KR101368833B1 (ko) 조명 장치
KR101446912B1 (ko) 조명 장치
KR20200112221A (ko) 조명 장치
KR102034081B1 (ko) 조명 장치
KR20160008141A (ko) 조명 장치
KR20140073338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