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811A - Apparatus for ejecting load and dump truck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jecting load and dump truck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811A
KR20180024811A KR1020160111701A KR20160111701A KR20180024811A KR 20180024811 A KR20180024811 A KR 20180024811A KR 1020160111701 A KR1020160111701 A KR 1020160111701A KR 20160111701 A KR20160111701 A KR 20160111701A KR 20180024811 A KR20180024811 A KR 2018002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loading
load
spa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5805B1 (en
Inventor
이명근
Original Assignee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805B1/en
Publication of KR2018002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8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charge and discharge with push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ejector capable of discharging a load without residue, allowing a cargo work to be performed even in a space with a low ceiling and preventing a vehicle from overtu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jector includes a push part, a power part, a connection part, and a housing part. The push part is provided in the load part in which a load is loaded, and a space of the load part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in which the load is not load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the load is loaded. The push part unloads the load by pushing the load while moving from a front side of the load part to a rear side thereof. The power part is positioned in the first space, has one end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load part, and provides power so that the push part reciproc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 part.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push part, is positioned in the first space,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part to transmit power from the power part to the push part. Further, the housing part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push part toward the second spac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power part passes through the push part and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pace,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Description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APPARATUS FOR EJECTING LOAD AND DUMP TRUCK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j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물의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고,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하역이 가능하며, 차량 전복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jector apparatus and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the ejector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jector apparatus capable of discharging a load without a remaining amount of a load and capable of unloading even in a l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일반적으로, 덤프 트럭은 적재함을 동력으로 60~70° 기울여서 토사, 골재 등의 적재물을 자동으로 내리는 운반용의 특수 화물차량을 말하며, 덤프카(Dump Car)라고도 한다. Generally, a dump truck refers to a special freight vehicle that is tilted by 60 to 70 ° with the load and automatically loads the load such as soil and aggregate,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dump car.

덤프 트럭은 다른 운반기계에 비해 기동성이 좋아 원거리 수송에 적합하고, 흙, 모래, 자갈 등을 운반하기에 적당하다. 적재능력은 2~50t 등의 여러 가지가 있다. 적재함의 경사는 보통 유압으로 작동시키지만, 기계나 수동인 것도 있다. Dump trucks are more maneuverable than other haulage machines and are suitable for long haul transport and are suitable for transporting dirt, sand, gravel and the like. There are various kinds of loading capacity such as 2 ~ 50t. The slope of the loading box is usually hydraulically operated, but may be mechanical or manual.

덤프 트럭은 당초 공사용 중기로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나, 자체하역기능의 장점으로 인해서, 공사용 이외에 화물 운반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다.The dump truck was originally built and used in the middle of construction, but due to the advantages of its own unloading function, it is also used for cargo transportation in addition to construction.

덤프 트럭은 적재함의 경사방향에 따라 사이드 덤프 트럭, 리어 덤프 트럭, 3방향 열림 덤프 트럭, 보텀 덤프 트럭의 4종류로 구분된다. 사이드 덤프 트럭은 적재함의 옆쪽이 섀시에 붙어 있어서 적재함을 옆으로 기울일 수 있는 구조이다. 리어 덤프 트럭은 적재함의 뒤쪽이 섀시에 붙어 있어 뒤쪽으로 적재함을 기울일 수 있는 구조의 트럭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3방향 열림 덤프트럭은 적재함을 좌우나 뒤쪽 어느 쪽으로도 기울일 수 있는 구조의 트럭이다. 그리고, 보텀 덤프 트럭은 적재함의 밑부분이 열려 짐을 아래로 부릴 수 있는 구조로서, 트레일러 덤프트럭에 많이 사용된다. The dump truck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lope of the loading box: a side dump truck, a rear dump truck, a three-way open dump truck, and a bottom dump truck. The side dump truck is a structure that the side of the loading box is attached to the chassis so that the loading box can be tilted sideways. Rear dump trucks are most commonly used as trucks with the rear of the loading deck attached to the chassis and tilting the loading deck to the rear. A three-way open dump truck is a truck that can be tilted either to the left or to the rear. And, the bottom dump trucks are often used for trailer dump trucks with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open and the load down.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35708호(1998.09.15. 공개)에는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가 개시된다. 위 선행문헌의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는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에 의하여 승강되는 적재함이 양측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작업장의 여건에 따라 화물의 하차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A dump device for a dump truck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035708 (published September 15, 1998). In the dump truck dump device of the above prior art, a loading / unloading device is lifted / lowered by a dump truck dump device in both directions, so as to facilitate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cargo according to the workplace conditions.

그러나, 위 선행문헌의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는 적재함을 일측으로 상승시켜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이 하차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덤프장치는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는 하역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ump truck for the dump truck of the above prior art has the loader raised to one side so that the load loaded on the loader is lowe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mp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not be unloaded in a low ceiling space.

그리고, 이러한 덤프장치는 적재물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거나 젖은 경우 적재함에 잔량이 많이 남게 되는 문제점 있다.In addition, such a dump device has a problem that a lot of remaining amount is left in the loading box when the load contains a lot of moisture or is wet.

또한, 이러한 덤프장치를 가지는 덤프 트럭은 하역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지반이 고르지 못하거나 경사진 경우, 전복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a dump truck having such a dump device, there may be a risk that a rollover accident may occur when the ground of the cargo is uneven or inclined.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35708호(1998.09.15. 공개)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035708 (Published September 15, 199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재물의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고,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하역이 가능하며, 차량 전복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jector apparatus capable of discharging without any remaining amount of load, capable of unloading even in a low ceiling space, and preventing the overturning of a vehicle, and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the ejector apparatu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의 공간을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제1공간 및 적재물이 적재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물을 밀어내어 하역시키는 푸시 플레이트를 가지는 푸시부;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고정되며,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푸시부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푸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상기 푸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푸시부의 중앙 하부에 상기 제2공간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이젝터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load, the apparatus comprising: a loading unit for loading and unloading a loading space, the loading space including a first space in which the load is not load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the load is loaded, A push portion having a push plate for pushing and unloading the load while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ortion; A power section located in the first space, one end fixed to the front of the stacking section and providing power to cause the push section to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ing section;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center of the push portion and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and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power portion and transmits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portion to the push portion; And a housing part protruding into the second space at a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push portion and having the other end of the p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ide thereof such th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pow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push portion and is located in the second spac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하단부에 상기 적재부의 후방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와,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보강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물을 밀어내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양측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물을 밀어내는 제2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portion includes the push plate formed at the lower end with a first engaging portion bent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and a push plate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push plate and extend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A first blade which is provided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and pushes the load when the push plate moves backward from the front of the loading portion, And a second blade which is provided at the engaging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both side portions of the loading portion so that the push plate pushes the load when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일측면 중앙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되, 그 사이에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push plat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power portion is located therebetween, A pair of first supporting plates having a first coupling groove opened upward to insert a pair of coupling portion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coupling plate for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power section to the first support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으로 결합되는 고정축에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푸시부의 이동 시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부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푸시부를 지지하는 롤러를 가지는 지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both ends of the push portion, a second support plate provided at both lower ends of the push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nd a second support plat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 reinforcing plate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coupled to the fixed shaft coupled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rotat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tacking portion when the push portion is moved, And a suppor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for supporting the push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양측면부의 하단부에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안내홈을 가지고, 상기 롤러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cking unit has guide groove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 por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ing unit, and the rollers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and move along the guide groov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에는 일부분이 상기 안내홈의 길이 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안내홈으로 적재물의 유입을 막는 막음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push portion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and is located inside the guide groove, and when the push portion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vide blocking portions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load to the groov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의 테두리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공간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내측에 위치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는 제1커버부와, 상기 제1커버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부를 막는 제2커버부를 가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ortion may have one end coupled to a rim of a groove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ush plat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power portion is inserte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being extended to the second space, And a second cover par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ver part and blocking the first cover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portions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엔진이 탑재된 차량;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그리고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는 이젝터 장치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용 차량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having an engine mounted thereon. A loading unit coupled to the vehicle and loaded with the load; And an ejector apparatus provided in the loading s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후방에는 상기 적재부의 후방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밀어내는 적재물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 closing portion for opening / closing the rea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oading por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s pushed by the load pushing the push portion of the ejecting device while moving backward from the loading portion Can be ope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젝터 장치는 푸시부가 적재부의 적재물을 수평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기물의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며,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하역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nload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pushing the load of the push portion loading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jector apparatus can be discharged without remaining amount of waste and can be unloaded even in a low ceiling sp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부가 적재부의 제2공간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동력부의 길이가 최소가 된 상태일 때, 푸시부는 적재부의 전방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재부의 적재 공간이 더욱 크게 확보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us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of the stacking portion, when the length of the power portion is minimized, the push portion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front of the stacking portion, A larger loading space can be secu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플레이트에는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가 구비되어 푸시 츨레이트가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부의 양측면부 및 바닥면부의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plate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ade and the second blade so that when the push-pull rate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ortion, the load on both side and bottom portions of the loading portion can be effectively pushed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롤러는 적재부의 안내홈에 위치되어 푸시 플레이트가 적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시에, 푸시 플레이트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of the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push plate is position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loading portion so that the push plate is not shake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push plate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플레이트의 하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막음부는 안내홈의 길이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내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푸시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면서 안내홈으로 적재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plate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tion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and are located inside the guide gro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ad from being introduc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의 적재부의 단면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portion of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pusher of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ush portion of an eje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ading portion of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 운반용 차량은 엔진이 탑재되는 차량(100), 차량(100)에 결합되고 적재물(10)이 적재되는 적재부(200) 그리고 이젝터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1,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may include a vehicle 100 on which an engine is mounted, a loading section 200 coupled to the vehicle 100 and loaded with the load 10, and an ejector apparatus 300 .

본 발명에서 화물 운반용 차량은 덤프 트럭과 같이 적재부를 가지는 트럭일 수 있다. 그리고, 적재물(10)은 고철 등의 산업 폐기물, 폐목재, 생활 쓰레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석탄, 모래, 거름 등과 같이 폐기물이 아닌 것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may be a truck having a loading section such as a dump truck. The load 10 may include industrial wastes such as scrap iron, waste wood, and household was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waste such as coal, sand, manure, and the like.

이젝터 장치(300)는 적재부(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적재부(200)에 적재되는 적재물(10)을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도 1을 참조하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어내어 하역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적재물이 하역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적재부(200)의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젝터 장치(300)는 푸시부(400)가 적재물(10)을 수평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기물의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며,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하역이 가능할 수 있다.The ejector apparatus 300 may be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200 and the loading unit 200 may be mounted on the loading unit 200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unit 200 And can be unloaded. Hereinafter,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 is moved so as to be unloaded will be described as the rear of the loading unit 200. [ Since the ejecting device 300 pushes the load 10 horizontally by the pusher 400, the unloa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waste, and the unloa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in a low ceiling space.

적재부(200)의 후방에는 개폐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210)는 적재부(200)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1개폐부(211)와, 적재부(20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2개폐부(212)를 가질 수 있다. 제1개폐부(211) 및 제2개폐부(212)는 모두 적재부(20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개폐부(211) 및 제2개폐부(212)는 푸시부(400)에 의해 밀려나는 적재물(10)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제1개폐부(211)는 적재물(10)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향 회전하여 적재부(200)의 후방을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폐부(212)는 적재부(200)의 하측에 구비되는 동력제공부(213)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적재부(200)의 후방을 폐쇄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도 9 참조).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1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oading part 20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10 may have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11 provided at a rear upper part of the loading part 200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212 provided at a rear lower part of the loading part 200. Bot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11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212 may be hinged to the loading part 200 to be rotatabl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11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212 may be rotated so as to be pressed and opened by the load 10 pushed by the push part 400. [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11 can be rotat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s the pressing force by the load 10 is removed, and the rear of the loading part 200 can be close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212 can be rotated so as to close the rear of the loading part 200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providing part 213 provided below the loading part 200 (see FIG. 9) .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예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의 적재부의 단면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sher of the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elevational view illustrating a push portion of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ading portion of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perational example of a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an ej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젝터 장치(300)는 푸시부(400), 동력부(500), 연결부(600) 그리고 하우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9, the ejector apparatus 300 may include a push portion 400, a power portion 500, a connection portion 600, and a housing portion 700.

먼저, 푸시부(400)는 푸시 플레이트(410), 보강부재(420), 제1블레이드(415) 및 제2블레이드(425)를 가질 수 있다.First, the push portion 400 may have a push plate 410, a reinforcing member 420, a first blade 415, and a second blade 425.

푸시 플레이트(410)는 적재부(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적재부(200)의 길이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플레이트(410)는 적재부(200)의 공간을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공간(S1)은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공간일 수 있으며, 제2공간(S2)은 적재물이 적재되는 공간일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푸시 플레이트(410)는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가 눕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푸시 플레이트(410)가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이동 시, 푸시 플레이트(410)는 적재물(10)을 더욱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밀어낼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410)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두 장 이상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푸시 플레이트(410)는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푸시 플레이트(410)의 하단부에는 적재부(200)의 후방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결합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push plate 4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loading unit 200 and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ading unit 200 as a whole. The push plate 410 can divide the space of the loading unit 200 into a first space S1 and a second space S2. Here, the first space S1 may be a space in which the load is not loaded, and the second space S2 may be a space in which the load is loaded (see FIG. 6). In addition, the push plate 410 may be inclin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 plate 410 is laid on the front of the loading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rear direction. As a result, when the push plate 410 is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loading section 200, the push plate 410 can push the load 10 more effectively and push it out. The push plate 410 may be formed of one plate, or may be formed by coupling two or more plates. Further, the push plate 410 may be formed flat or at least partially bent. In addition, a first engaging portion 411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ush plate 410 to be bent in a rearward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200.

그리고, 푸시 플레이트(410)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412)이 결합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412)은 푸시 플레이트(410)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보강프레임(412)은 푸시 플레이트(410)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푸시 플레이트(41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push plate 410 may be coupled to one or more reinforcement frames 412. The reinforcing frame 412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to the push plate 410, but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an inclined direction. The reinforcing frame 412 can be welded to the push plate 410 and can provide resisting force so that deformation of the push plate 410 can be prevented.

보강부재(42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420)는 푸시 플레이트(41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42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구조 보강을 위한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420)는 적재부(200)의 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제2결합부(421)를 가질 수 있다. The reinforcing member 42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ush plate 410 and the reinforcing member 420 may be joined to the push plate 410 by welding. The reinforcing member 420 can provide a resilient force for reinforcing the structure of the push plate 410. The reinforcing member 420 may have a second engaging portion 421 extending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200.

도 8을 참조하면,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는 양측면부(2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수평 프레임(230)의 제1면(231)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와 수평 프레임(230)의 제1면(231)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1)과의 사이에는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8, both side portions 220 of the loading unit 2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ide 231 of the horizontal frame 23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s 220. That is, a space S3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portions 220 of the loading unit 200 and the imaginary extension line L1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231 of the horizontal frame 230.

푸시 플레이트(410)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적재부(200)의 길이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보았을 때, 푸시 플레이트(410)의 양단부는 연장선(L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420)의 제2결합부(421)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공간(S3) 내에 위치될 수 있다(도 5 참조).The push plate 410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acking unit 200 when seen from the top, but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push plate 410 may be positioned on the extension line L1 hav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421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ush plate 410 and may be positioned in the space S3 (see FIG. 5).

제1블레이드(415)는 제1결합부(411)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415)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413)에 의해 제1결합부(411)에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결합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블레이드(415)는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푸시 플레이트(410)가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제1블레이드(415)는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에 적재물이 남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제1블레이드(415)는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와의 밀착성이 좋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블레이드(415)는 고무, 우레탄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lade 415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1. The first blade 415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1 by a fastening member 413 such as a bo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blade 415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240 of the loading unit 200 so that when the push plate 410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unit 200, The blade 415 can be effectively pushed out so that no load is left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240 of the loading portion 200. [ The first blade 415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that the first blade 415 has good adhesion to the bottom surface portion 240 of the loading unit 200. For example, the first blade 415 may be formed of rubber, urethane or the like.

제2블레이드(425)는 제2결합부(421)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425)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426)에 의해 제2결합부(421)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결합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블레이드(425)는 적재부(200)에 형성되는 공간(S3)에 위치되고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푸시 플레이트(410)가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제2블레이드(425)는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에 뭍은 적재물(10)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제2블레이드(425)는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와의 밀착성이 좋도록 제1블레이드(415)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blade 425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1. The second blade 42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1 by a fastening member 426 such as a bo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blade 425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S3 formed in the loading unit 200 and may b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220 of the loading unit 200, The second blades 425 can effectively push the load 10 on both side portions 220 of the loading portion 200 when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ortion 200. The second blade 425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blade 415 so that the second blade 425 has good adhesion with the side surface portions 220 of the loading portion 200.

그리고, 동력부(500)는 제1공간(S1)에 위치될 수 있다. 동력부(500)는 힌지부(510), 포트부(520), 실린더부(530) 및 결합부(540)를 가질 수 있다. 힌지부(510)는 동력부(50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결합공(5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포트부(520)로는 작동오일의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부(530)는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부(530)는 8단 실린더일 수 있으나, 이러한 실린더의 단수는 적재부(200)의 길이, 적재용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결합부(540)는 실린더부(530)를 구성하는 실린더 중 가장 외측의 실린더(5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실린더(531)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The power unit 5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pace S1. The power unit 500 may have a hinge unit 510, a port unit 520, a cylinder unit 530, and a coupling unit 540. The hinge part 51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power unit 500 and the first coupling hole 511 may be formed through the hinge part 510. The operating oil can be flowed into and out of the port portion 520. In addition, the cylinder portion 530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In this embodiment, the cylinder portion 530 may be an eight-stage cylinder, but the number of the cylinders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loading portion 200, the loading capacity, and the like. The engaging portion 54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most cylinder 531 among the cylinders constituting the cylinder portion 530 an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531 in a horizontal direction.

적재부(200)의 내부 전방에는 설치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설치부(250)는 설치 플레이트(251)와 보조 플레이트(253)를 가질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51)는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제2결합공(25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플레이트(253)는 설치 플레이트(251)에 결합되어 설치 플레이트(251)를 지지할 수 있다. The mounting part 250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loading part 200. The mounting portion 250 may have a mounting plate 251 and an auxiliary plate 253. The mounting plates 251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240 of the loading uni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holes 25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auxiliary plate 253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51 to support the mounting plate 251.

동력부(500)의 힌지부(510)는 설치 플레이트(25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결합공(511) 및 제2결합공(252)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255)에 의해 설치부(25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력부(500)의 일단부는 적재부(200)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동력부(500)는 적재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510 of the power unit 50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mounting plate 251 and can be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510 by a coupling member 255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511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252 And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250 so as to be rotatable. Accordingly, one end of the power unit 500 can be fixed in front of the loading unit 200, and the power unit 500 can be provid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200.

연결부(600)는 제1지지플레이트(610) 및 결합플레이트(620)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61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일측면(417) 중앙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푸시 플레이트(410)의 일측면(417)은 제1공간(S1)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61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지지플레이트(610)는 서로 이격되어 푸시 플레이트(41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4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610)는 푸시 플레이트(41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600 may have a first support plate 610 and a coupling plate 620. The first support plate 610 may be vertically disposed at a lower center of one side 417 of the push plate 410. Here, one side surface 417 of the push plate 410 may be a surface facing the first space S1. The first support plates 610 may be formed as a pair and the first support plates 61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roove 43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ush plate 410, . The first support plate 610 may be joined to the push plate 410 by welding.

제1지지플레이트(610)에는 제1결합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611)은 동력부(500)의 결합부(540)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610)에는 제1결합홈(611)의 외측에 복수의 제1체결홀(6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A first coupling groove 611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late 610. The first engaging groove 611 may be opened upward to insert the engaging portion 540 of the power unit 5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612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late 610 through the first coupling groove 611.

결합플레이트(620)에는 동력부(500)의 결합부(540)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6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홀(612)에 대응되도록 제2체결홀(6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홀(612) 및 제2체결홀(622)로 결합되는 체결부재(625)에 의해 결합플레이트(620)는 제1지지플레이트(610)에 결합될 수 있다. 동력부(500)의 결합부(540)가 제1지지플레이트(610)와 결합됨에 따라, 동력부(500)의 타단부는 푸시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600)는 제1공간(S1)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600)는 동력부(500)에서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다시 말하면, 동력부(500)의 실린더부(530)의 다수의 실린더가 늘여졌다 줄여졌다 함에 따라, 푸시부(400)가 적재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부(500)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푸시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A second coupling groove 621 through which the coupling portion 540 of the power unit 50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620 and a second coupling hole 6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hole 612. [ Can b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late 62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610 by the coupling member 625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612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622. [ As the engaging portion 540 of the power unit 500 is engaged with the first support plate 610, the other end of the power unit 500 can be engaged with the push portion 400. The connection portion 6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pace S1. The connecting portion 600 is formed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unit 500, that is, by the plurality of cylinders of the cylinder unit 530 of the power unit 500 being elongated and contracted,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unit 500 may be transmitted to the push unit 400 so that the power unit 500 is recipr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200. [

그리고, 푸시부(400)의 양단부에는 지지부(65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650)는 제2지지플레이트(651), 보강 플레이트(652) 및 롤러(653)를 가질 수 있다. Support portions 65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ush portion 400. The support portion 650 may have a second support plate 651, a reinforcement plate 652, and a roller 653.

제2지지플레이트(651)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지지플레이트(651)에는 복수의 제1관통공(65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플레이트(651)는 푸시 플레이트(4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late 651 may be provided on both lower ends of the push plate 410 and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654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late 651. The second support plate 651 may be joined to the push plate 410 by welding.

보강 플레이트(652)는 제2지지플레이트(651)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강 플레이트(652)에는 제1관통공(654)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655)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652)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지지플레이트(651)에 높은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652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51 and the reinforcing plate 652 may have a second through hole 655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654. The reinforcing plate 652 may be formed to be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reby provide a high reinforcement force to the second support plate 651. [

제1관통공(654) 및 제2관통공(655)으로는 고정축(656)이 결합될 수 있으며, 롤러(653)는 고정축(656)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롤러(653)는 푸시부(400)가 이동 시,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 상에서 회전하면서 푸시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A fixing shaft 656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65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655 and a roller 653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shaft 656 so as to be rotatable. The roller 653 can support the push portion 400 while rotating the push portion 400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240 of the loading portion 200 when the push portion 400 is moved.

구체적으로,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의 하단부에는 적재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245)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롤러(653)는 안내홈(245)에 삽입되어 안내홈(24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푸시부(400)가 적재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시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의 푸시부(400)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guide grooves 245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ing unit 200 at the lower ends of the side portions 220 of the stacking unit 200 (see FIG. 8). The roller 653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45 and move along the guide groove 245. As a result, when the push portion 40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200, the swing of the push portion 4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그리고, 푸시부(400)에는 막음부(4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막음부(44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하부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막음부(440)는 적재부(200)의 안내홈(245)의 길이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내홈(245)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막음부(440)는 푸시부(4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푸시부(400)가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에, 안내홈(245)으로 적재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The push portion 40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ortion 440. The blocking portion 44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plate 410 and may be coupled through welding. The blocking portion 44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tion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245 of the loading portion 200 and may be located inside the guide groove 245. The blocking portion 440 can move together with the push portion 400 and prevent the loa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guide groove 245 when the push portion 400 is moved backward from the front of the loading portion 200 have.

하우징부(700)는 제1커버부(710) 및 제2커버부(720)를 가질 수 있다. 제1커버부(71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430)의 테두리에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410)에 형성되는 홈부(430)를 통해서는 동력부(500)의 실린더부(530)가 삽입될 수 있다. 제1커버부(71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타측면(418)(적재부(200)의 제2공간(S2)에 대향되는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부(710)와 푸시 플레이트(410)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부(710)는 적재부(200)의 제2공간(S2)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에 삽입공간(730)을 가질 수 있다. 제1커버부(710)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간(730)에는 동력부(500)의 타단부, 즉, 실린더부(53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part 700 may have a first cover part 710 and a second cover part 720. The first cover portion 710 may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groove 43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ush plate 410 at one end. The cylinder portion 530 of the power unit 50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groove 430 formed in the push plate 410. [ The first cover portion 71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surface 418 of the push plate 410 (a surface opposed to the second space S2 of the loading portion 200). The first cover portion 710 and the push plate 410 may be joined by welding. The first cover part 710 may extend into the second space S2 of the loading part 200 and may have an insertion space 730 inside. The other end of the power unit 500, that is, a part of the cylinder unit 530, may be positioned in the insertion space 730 formed by the first cover unit 710.

제2커버부(720)는 제1커버부(71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1커버부(710)를 막을 수 있다. 제2커버부(720) 및 제1커버부(710)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부(700)가 적재부(200)의 제2공간(S2)으로 구비될 수 있다. 때문에, 푸시부(40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동력부(500)의 타단부가 제2공간(S2)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부(500)의 길이가 최소가 된 상태일 때, 즉, 실린더부(530)가 모두 줄여진 상태일 때, 푸시부(400)는 적재부(200)의 전방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재부(200)의 적재 공간이 더욱 크게 확보될 수 있다(도 9의 (a) 참조).The second cover portion 72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ver portion 710 to block the first cover portion 710. The second cover portion 720 and the first cover portion 710 may be joined by weld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art 70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S2 of the loading part 200. [ Therefore, the other end of the power unit 500 inserted through the push portion 400 can be positioned in the second space S2. Thus, when the length of the power unit 500 is minimized, that is, when the cylinder unit 530 is fully retracted, the push portion 400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front of the stacking unit 200 Whereby the loading space of the loading unit 200 can be secured to a greater extent (see FIG. 9 (a)).

제1커버부(710)의 상부 내측에는 보강부(7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711)는 하우징부(7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711)는 제1커버부(710)를 보강하여 하우징부(7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제1커버부(7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reinforcing portion 711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portion 710. A plurality of reinforcing portions 711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700. [ The reinforcing portion 711 can prevent the first cover portion 710 from being deformed by the load of the load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700 by reinforcing the first cover portion 71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량 200: 적재부
245: 안내홈 250: 설치부
300: 이젝터 장치 400: 푸시부
410: 푸시 플레이트 415: 제1블레이드
420: 보강부재 425: 제2블레이드
430: 홈부 440: 막음부
500: 동력부 540: 결합부
600: 연결부 610: 제1지지플레이트
620: 결합플레이트 650: 지지부
651: 제2지지플레이트 653: 롤러
700: 하우징부 710: 제1커버부
711: 보강부 720: 제2커버부
730: 삽입공간 S1: 제1공간
S2: 제2공간 S3: 공간
100: vehicle 200:
245: guide groove 250: installation part
300: Ejector device 400: Push part
410: push plate 415: first blade
420: reinforcing member 425: second blade
430: groove portion 440: blocking portion
500: power section 540:
600: connection portion 610: first support plate
620: coupling plate 650:
651: second supporting plate 653: roller
700: housing part 710: first cover part
711: reinforcement part 720: second cover part
730: insertion space S1: first space
S2: second space S3: space

Claims (10)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의 공간을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제1공간 및 적재물이 적재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물을 밀어내어 하역시키는 푸시 플레이트를 가지는 푸시부;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고정되며,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푸시부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푸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상기 푸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푸시부의 중앙 하부에 상기 제2공간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이젝터 장치.
A space in the loading part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in which the load is not load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the load is loaded, and the load is mov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art, A push portion having a push plate;
A power section located in the first space, one end fixed to the front of the stacking section and providing power to cause the push section to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ing section;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center of the push portion and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and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power portion and transmits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portion to the push portion; And
And a housing part protruding into the second space below the center of the push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pow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push portion and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pace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p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por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하단부에 상기 적재부의 후방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와,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보강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물을 밀어내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양측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물을 밀어내는 제2블레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The push plate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bent at a lower end thereof in a backward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push plate and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extending in a rear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A first blade provided 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closely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to push the load when the push plate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ortion,
And a second blade provided o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closely contacted with both side portions of the loading portion to push the load when the push plate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일측면 중앙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되, 그 사이에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The push plate is vertically provided at a lower center of one side of the push plat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power unit so that a pair of engaging portion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unit A pair of first support plates formed with first engagement grooves opened upward,
And an engaging plat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ing plate and adapted to engage the other end of the power unit with the first suppor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으로 결합되는 고정축에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푸시부의 이동 시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부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푸시부를 지지하는 롤러를 가지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both ends of the push portion,
A second support plate provided on both lower ends of the push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 reinforcing plat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upport portion having a roller coupled to the fixed shaft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having a roller for supporting the push portion while rotating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tack portion when the push portion is moved,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양측면부의 하단부에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안내홈을 가지고,
상기 롤러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cking portion has guide grooves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s of both side por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ing portion,
And the roller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에는 일부분이 상기 안내홈의 길이 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안내홈으로 적재물의 유입을 막는 막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portion of the push portion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groove and is located inside the guide groove, and the push portion prevents the load from flowing into the guide groove when the push portion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ortion Wherein the ejector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ej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의 테두리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공간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내측에 위치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는 제1커버부와,
상기 제1커버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부를 막는 제2커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part
The push plate having one end coupled to a rim of a groove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push plate so as to insert the other end of the power unit and having an insertion space extending to the second space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unit being located inside, A cover portion,
And a second cover par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ver part to block the first cover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reinforcing portions are furth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엔진이 탑재된 차량;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그리고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고,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르는 이젝터 장치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용 차량.
A vehicle equipped with an engine;
A loading unit coupled to the vehicle and loaded with the load; And
A cargo carrying vehicle provided in the loading section, comprising an ejecto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후방에는 상기 적재부의 후방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밀어내는 적재물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opening / closing the rear of the loading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oading uni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art is pushed by a load pushing the pushing part of the ejecting device while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part.
KR1020160111701A 2016-08-31 2016-08-31 Apparatus for ejecting load and dump truck having the same KR1019158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01A KR101915805B1 (en) 2016-08-31 2016-08-31 Apparatus for ejecting load and dump truck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01A KR101915805B1 (en) 2016-08-31 2016-08-31 Apparatus for ejecting load and dump truck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11A true KR20180024811A (en) 2018-03-08
KR101915805B1 KR101915805B1 (en) 2018-11-06

Family

ID=6172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701A KR101915805B1 (en) 2016-08-31 2016-08-31 Apparatus for ejecting load and dump truck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80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514B1 (en) * 2020-12-10 2021-06-02 오동현 Conveyor trucks
KR102297274B1 (en) * 2021-01-19 2021-09-01 오동현 Cargo transport vehicle having eject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132B1 (en) * 2021-07-02 2021-10-19 임풍석 Bulkhead structure of vehicle loading box
KR102502346B1 (en) * 2022-07-25 2023-02-23 주식회사 스피드플로어 Bulkhead structure of vehicle loading box
KR20240052435A (en) 2022-10-14 2024-04-23 아이씨피 주식회사 Load discharging apparatus of ejector type cargo truck and ejector type cargo truck including the load discharg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152A (en) * 2003-10-07 2005-04-28 Seki Shoten:Kk Carrier vehicle for lightweight chip
CN202225771U (en) * 2010-11-16 2012-05-23 湖北海龙专用汽车有限公司 Horizontal-push type rear unloading device of self-unloading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5993A1 (en) * 2003-02-25 2005-05-19 Hagenbuch Leroy Rear eject body for haulage units
US9643526B2 (en) * 2014-12-09 2017-05-09 Somerset Welding & Steel, Inc. Horizontal ejector truck bod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152A (en) * 2003-10-07 2005-04-28 Seki Shoten:Kk Carrier vehicle for lightweight chip
CN202225771U (en) * 2010-11-16 2012-05-23 湖北海龙专用汽车有限公司 Horizontal-push type rear unloading device of self-unloading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514B1 (en) * 2020-12-10 2021-06-02 오동현 Conveyor trucks
KR102297274B1 (en) * 2021-01-19 2021-09-01 오동현 Cargo transport vehicle having eje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805B1 (en)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805B1 (en) Apparatus for ejecting load and dump truck having the same
KR101803787B1 (en) Loading device and discharging method of the dump truck loading box
AU2007316284B2 (en) Variable-geometry vessel for transport vehicle
US20090297305A1 (en) Material handling device
KR102314132B1 (en) Bulkhead structure of vehicle loading box
CN101304898A (en) A load transport bin
US20150117994A1 (en) Front-end Carrier for a Prime Mover
US8857080B1 (en) Transfer bucket and ejector assembly for a front end loader vehicle
CN208498347U (en) A kind of articulated truck container rear baffle and articulated truck
CN106696805B (en) Anti-smashing anti-deformation dumper container tail plate and dumper with same
CN211918727U (en) Trolley for pushing and turning over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KR102044089B1 (en) Dump body module for general truck mounting
KR101045466B1 (en) Cargo box of dump apparatus with attachable and detachable
KR102195801B1 (en) Mounted agricultural product dump carrier
CN211195966U (en) Vehicle-mounted object transmission device and semi-trailer comprising same
JP2015116920A (en) Dump device loadable on truck
JP5898760B1 (en) Open top container
US20060174433A1 (en) Trash bucket
CN214396529U (en) Dump truck carriage and dump truck
JP4100605B2 (en) Unloading device and truck
KR100424976B1 (en) Freight movement assembly of Truck cargo box
KR200316118Y1 (en) Loading Box Structure of Trailer
AU2005220210B2 (en) Tipper Body and Chassis Construction
JP4100603B2 (en) Unloading device and truck
CN212473225U (en) Multi-drive type novel unloading device for dump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