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759A -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 Google Patents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4759A KR20180024759A KR1020160111575A KR20160111575A KR20180024759A KR 20180024759 A KR20180024759 A KR 20180024759A KR 1020160111575 A KR1020160111575 A KR 1020160111575A KR 20160111575 A KR20160111575 A KR 20160111575A KR 20180024759 A KR20180024759 A KR 201800247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base
- circuit board
- harvester
- sensor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02B6/32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comprising a transparent member, e.g. window, protective plate
-
- H02J7/0026—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팅이 가능하며, 쉽게 이동 설치 가능한 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상기 센서모듈은 이용하여 실생활 공간의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정보로 공기조화기 등과 통신을 수행하여 센서모듈이 설치된 공간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관리할 수 있는 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module which is capable of energy harvesting and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oved. In detail, the sensor module can measure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humidity, etc. of the real-life space and communicate with the air conditioner or the like using the measured information to manage the temperature and / or humidity of the space in which the sensor module is installed To a sensor module.
동작상태의 감지를 필요로 하는 기기가 실내 외를 가리지 않고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기가 정상/비정상 또는 지시된 대로의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감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 기기는 상기 기기와 인접하는 환경에 놓이는 센서모듈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There are a lot of devices that need to detect the operating state, not just outside the room.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monitor whether the device is performing normal / abnormal or operation as instructed. The device may be sensed by a sensor module in an environment adjacent to the device.
상기 기기는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출되는 에너지로는 열, 전기, 및 빛 등의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일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기기에서 방출되는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를 하베스팅하여 동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기기에서 직접 방출되는 에너지가 아닌 외부의 다른 물체로부터 수집하는 에너지, 예를 들어, 태양광 에너지, 외부 전등을 에너지 원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에너지 하베스팅 센서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The device can perform its operation while emitting energy. The emitted energy may be various types of energy such as heat, electricity, and light. The sensor module may be operated by harvesting various types of energy emitted from the device. Of course, the sensor module may use energy collected from other external objects, for example, solar energy, or external light, as an energy source, rather than energy directly emitted from the device. This can be referred to as an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은, 일상적으로 버려지거나 사용하지 않는 작은 에너지를 수확하여 사용 가능한 전기에너지로 변환해주는 기술을 말하며, 주요 에너지원으로 진동, 사람의 움직임, 빛, 열, 전자기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energy harvesting technique refers to a technique of harvesting small energy that is routinely discarded or not used and converting it into usable electric energy, and vibration, human motion, light, heat, and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used as a main energy source.
상기 기기의 예로 쇼케이스를 들 수 있다. 물론, 상기 기기가 쇼케이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n example of such a device is a showcase. Of course, the device is not limited to a showcase.
상기 쇼케이스는 마트나 상점에서 냉장이나 냉동이 필요한 제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쇼케이스는 전방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howcase is a facility that allows customers to display refrigerated or frozen products at stores and stores. The showcase can be configured as an open front.
전방이 개방된 형태의 쇼케이스는, 단열 환경에 있는 냉장고와 달리 진열 공간의 온도를 더욱 정밀하고 즉각적일 필요가 있다.Unlike a refrigerator in an adiabatic environment, a showcase with an open front needs to be more precise and instantaneous in the temperature of the display space.
또한, 쇼케이스는 여러 단의 진열대가 구비되는데, 진열대에 진열되는 식품은 각자 보존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온도가 식품의 종류별로 다르다. 그리고, 쇼케이스의 각 구역별로 항상 같은 종류의 식품이 진열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상황에 따라 식품의 전시 위치가 바뀔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owcase is equipped with shelves of several stage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food stored on the shelf can maintain the best preserved stat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food. An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foo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not the food of the same kind is always displayed for each section of the showcase.
종래의 쇼케이스는 관리자가 온도 및 습도 상태를 직접 확인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쇼케이스 유지 관리 방식은 진열 공간의 온도를 정밀하고 즉각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The conventional showcase has a problem that the manager has to directly check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Such a showcase maintenance approach is very difficult to precisely and immediately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display space.
현재의 가전 제품에는 가전 제품 본래의 기능 외의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통신 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Current household appliances are equipped with communication modules to provide various smart functions other than the original functions of household appliances. Various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outside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쇼케이스에 유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이를 관리자가 서버에서 한번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형 쇼케이스 관리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With this in mind, a network-type showcase management system has been spreading in which a wired network is configured in a showcase, a wireless network is configured, and an administrator can manage the network in a server at one tim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 중 유선 네트워크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별도의 공사가 필요하며, 쇼케이스를 추가 또는 삭제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때마다 배선 공사를 다시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무선 네트워크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 공사는 불가피하였다. 따라서,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센서모듈이 필요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wired network among these conventional systems, a separate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network construc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ing work must be repeated every time the showcase is added or deleted or the location is changed. In addition, even when a wireless network is applied, wiring work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network equipment has been inevitabl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ensor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apable of independently supplying power.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쇼케이스 네트워크 구조는 쇼케이스 전체를 하나의 온도 및 습도로 제어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비슷한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식품을 같은 쇼케이스 내에 진열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쇼케이스 내부의 각각의 공간마다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가 쉽고 소형화된 센서 모듈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howcase network structure has to control the entire showcase with a single temperature and humidity. This limits the ability to display foods in similar showcases that require similar temperatures. Therefore, a sensor modul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small in size is needed so that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be detected in each space in the showcase.
이와 유사한 환경으로서 실내공간, 공조환경, 및 냉장고 등 다양한 환경이 있을 수 있다. There are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n indoor space, an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and a refrigerator as similar environments.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센서 모듈을 제안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apable of independently supplying power.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 설치되어 제품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센서 모듈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that is installed in various spaces to enhance the versatility of a product.
본 발명은 구조적 형상을 통하여 에너지 생산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센서 모듈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capable of efficiently producing energy through a structural shape.
본 발명은 구비되는 부품에 최적화되도록, 활용성을 높인 구조적 형상을 통하여 소형화된 센서모듈을 제안한다. 동시에, 본 발명은 이동이 간편하며, 경량화된 센서모듈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that is miniaturized through a structural shape that is highly usable so as to be optimized for the components to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that is simple to move and lightweight.
본 발명은 내부 부품이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구조적 안정감을 이루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센서모듈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which improves the reliability of a product by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by firmly fixing internal parts.
본 발명은 벽에 설치하는 경우, 빛이 입사되기 위한 최적화된 형상을 가진 센서모듈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having an optimized shape for light incident on a wall.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가 유동 가능하며, 공기의 유동을 위한 부품 상호간의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센서모듈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flowing air inside and capable of achieving a coupling between parts for the flow of air.
본 발명은 소형화된 제품에서 안정적인 조립 및 설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센서 모듈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capable of guiding stable assembly and installation in a miniaturized product.
본 발명은 용이한 설치 및 관리를 위해 조립방법이 간단하고 쉬운 센서모듈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nsor module that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for easy installation and management.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은,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형상이고, 벽에 고정되는 부착면과 발광원을 바라보는 입사면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부에서 하방을 연장되는 기판리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고, 전기제어를 수행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입사면에 대응하여 놓이고 상기 센서부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베스터가 포함된다. 이를 따르면, 빛이 입사되기 위한 최적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columnar shape with an interior being hollow and having an attachment surface fixed to a wall and an incident surface facing the light emission source; A substrate rib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side of the case; a circuit board placed inside the case and performing electrical control; A sensor unit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for measuring a state of a gas flowing inside the case; And a harvester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surface and supplying energy to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have an optimized shape for light to be incident.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입사면과 상기 부착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포함되고, 상기 입사면, 부착면 및 연결면은,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구조적 형상을 통하여 에너지 생산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may include a connecting surface for connecting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incident surface,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have a triangular section. According to this, energy production can be efficiently achieved through the structural shape.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버튼;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놓이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면에 부품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베이스; 및 상기 지지베이스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는 설치베이스가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일 단부가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면에 장착되며, 타 단부는 상기 기판리브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내부 부품이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구조적 안정감을 이루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따. A butt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A base disposed under the case; A support base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providing a mounting space for a componen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mounting base formed upwardly along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ase, wherein one end of the circuit boar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ase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substrate rib and fixed . According to this, since the internal parts are firmly fixed, the structural reliabilit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놓이는 베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버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고, 온습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을 고정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측부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는 기판리브; 상기 케이스의 일 면에 설치되는 윈도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고, 온습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고, 상기 윈도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베스터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회로기판에 의존적인 본 센서모듈의 크기를 최소화, 즉,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or module comprising: a cas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 base disposed under the case; A button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A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circuit board including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and an antenna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 substrate rib fix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fix the circuit board; A windo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A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circuit board including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and an antenna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harvester placed inside the case and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ndow to supply energy to the circuit boar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sensor module depending on the circuit board can be minimized, that is, the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can be achieved.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은, 내부가 비어 있고 세 면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고,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간격을 가지는 버튼;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놓이고,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간격을 가지는 베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놓이며, 온습도 센서가 구비되는 회로기판; 상기 케이스의 일 면에 설치되는 윈도우; 상기 회로기판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베스터; 및 상기 윈도우가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측에 가이드 벽을 형성하며, 상기 하베스터가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베스터 가이드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센서모듈의 설치가 수월해지며, 부품의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or module comprising: a case having an empty interior and three sides; A butt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and having a gap with the case; A base disposed below the case and having a gap with the case; A circuit board plac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 windo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A harvester for supplying energy to the circuit board; And a harvester guide which forms a guide wall inside the case in which the window is installed, and guides the harvester to be slidably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window.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sliding module is inserted and coupled, the installation of the sensor module is facilitated, and rigid coupling of the components can be achieved.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 조립방법은, 베이스에 온습도센서 및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베스터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하베스터가 기둥형상의 케이스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ssembling a sensor module, the method comprising: coupling a circuit board having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a base and a harvester for supplying energy to the circuit board; And slid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harvester into the columnar case.
또한, 버튼이 결합되는 단계는,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공간이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센서모듈 조립방법이 간단하여 설치가 단순하고, 해체도 용이하므로 센서모듈의 A/S 및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step of combining the butto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case and the case is at least partially opened. According to this, since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sensor module is simple, the installation is simple and the disassembling is easy, so the A / S and manageability of the sensor modul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후크홈이 결합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센서모?? 내부로 공기의 유동을 이룰 수 있어서 공기 유동을 통한 온도 및 습도의 감지가 용이해질 수 있다.Also, a hook formed on the base and a hook groove formed on the case are combined. According to this, Air can be flowed into the inside,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be easily sensed through the air flow.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모듈이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정밀하고 즉각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sensor module is installed can be precisely and instantly adjusted.
또한, 센서 모듈의 설치가 쉬우며, 통신을 통해 다수 개의 센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공간의 온도 조절뿐만 아니라, 전체 공간 안에 개별적으로 온도 조절이 필요한 공간에서도 맞춤형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install the sensor module and the multiple sensor modules can be integrally managed through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hole space as well as the temperature in a customized manner even in the space requiring individual temperature control within the entire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또한, 온도 조절을 위한 사용자의 개입이 줄어들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s intervention for temperature control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제품간의 연동으로, 자동적인 온도 관리가 가능해지므로 관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utomatic temperatur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by interlocking between product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by improving manageability and reliability.
또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하여 독립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종래의 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한 배선 공사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건비 및 부품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independent power using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and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wiring work for receiving conventional energy, so it is possible to reduce labor costs and parts cost.
또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하여, 개별적인 온도 조절이 필요한 공간에 독립적으로 센서모듈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쇼케이스 등의 각종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와 연동되는 실내 공간 각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센서모듈의 활용 범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nsor module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in a space requiring individual temperature control by using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it can be installed in each indoor space interlocked with not only variou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showcase but also an air condition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ange is increased.
또한, 주위에 버려지는 에너지를 활용하는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이며, 자연적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보안성, 지속 가능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utilizes harvesting technology that utilizes the energy that is dumped around, it can acquire electric energy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al energy sources, thereby improving energy supply stability, security, and sustainability. There is a possible effect.
또한, 제품간 무선으로 연동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구성요소가 단순해지고, 제품을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mponents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wirelessly, the components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 can be simply configured,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product. That is, it has an excellent design effect.
또한, 내부 구성 장치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므로 설치 방향에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탁상형, 벽걸이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 센서 모듈의 사용을 다양화할 수 있다. 즉,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constituent device can be stably fixed, the installation direction is not limited. In addition,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abletop type and a wall-type type, so that the use of the sensor module can be diversified. That is, the structural stability is improved.
또한, 쇼케이스의 진열대의 천장부에 설치되거나 바닥에 놓여지는 등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용이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센서 모듈의 케이스에 자석을 설치하거나 흡착판을 설치하여, 센서모듈을 원하는 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a ceiling portion of a shelf of a showcase or placed on the floor,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oved. If necessary, a magnet may be installed in a case of a sensor module, Can be fixed to a desired surface, so that the versatility is improved.
또한, 삼각형태의 벽걸이형 센서모듈의 경우, 설치위치에서 빛을 최적으로 입사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포집 능력이 향상되며 제품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riangular wall-mount type sensor module, since light can be incident at an optimum position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energy collection capability is improved and the product capability is maximized.
또한, 센서모듈의 조립방법이 단순하고 쉽기 때문에 설치과정이 단순해지며,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도 해체가 쉬워 센서모듈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ssembling method of the sensor module is simple and easy, the installation process is simplified, and even when the repair is required, the disassembly is easy and the sensor module can be easily managed. That i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외관을 상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외관을 하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베이스에 장착되는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베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이 설치된 쇼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low; FIG.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structure mounted on the base of the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se of the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of the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case of the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assembling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howcase in which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외관을 상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외관을 하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FIG.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odule accord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1)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에 결합하는 윈도우(30), 상기 케이스(20)에 결합되어 외관의 하부을 형성하는 베이스(10), 상기 케이스(20)에 결합되어 외관의 상부를 형성하는 버튼(40)을 포함할 수 있다.1, a
상기 케이스(20)는 센서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원기둥, 사각기둥, 삼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모듈(1)이 쇼케이스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 형인 경우, 상기 케이스(20)는 빛의 입사면적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밑면이 삼각형인 각기둥, 즉, 삼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삼각기둥이 이루는 각각의 꼭짓점을 라운드진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센서모듈(1)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센서모듈의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20)는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The
또한, 상기 케이스(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벽에 고정되는 케이스(20)의 일 외면을 부착면이라 이름하며, 태양, 형광등 등의 발광원을 바라보는 케이스(20)의 다른 일 외면을 입사면이라 이름한다. 즉,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부착면과 발광면, 그리고 상기 부착면과 상기 발광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케이스(20)는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케이스(20)의 일 외면에 자석을 설치하거나, 흡착판을 설치하여 쇼케이스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면에 자석, 흡착판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모듈(1)의 설치방향은 상기 케이스(20)의 길이방향이 벽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착면에 양면테이프 등이 설치되어 쇼케이스의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쇼케이스의 천정에 설치된 발광장치로부터 45도 등의 입사 각도로 빛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30)로 입사하는 빛이 하베스트에 도달하는 면적을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30)에 밀착되어 센서모듈(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베스터(58)의 에너지 생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상기 발광면은 발광원, 발광장치를 바라보는 케이스의 외면이므로, 윈도우(30)가 설치되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양면테이프 등이 설치되는 부착면은 윈도우(30)가 장착되는 케이스(20)의 외면이 아니여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 부착면과 발광면은 구분될 수 있다. Since the light emitting surface is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상기 부착면과 발광면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삼각 기둥 형상의 케이스(20)가 일 외면은 벽에 부착되고 다른 일 외면은 빛이 입사되도록 설치될 때, 구조적 안정감 및 빛의 용이하고 최적화된 입사를 위해, 벽에 부착되는 상기 부착면과 빛이 입사하는 상기 발광면은 예각을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attachment surface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may be formed at an acute angle. Specifically, when the
상기 케이스(20)는, 공기의 유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버튼(40)이 결합되어 배치되는 케이스의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하는 면(이하,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 및 베이스(10)가 결합되어 배치되는 케이스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하는 면(이하, 케이스의 개방된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20)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방 또는 상측 방향은 케이스(20)의 중심에서 버튼(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하방 또는 하측방향은 케이스(20)의 중심에서 베이스(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1, the upward direction or the upward direction can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toward the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윈도우(30)를 설치하기 위한 윈도우 장착 공간(2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윈도우 장착 공간(22)은 상기 케이스(20)의 일 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윈도우 장착 공간(22)은 상기 케이스(20)의 일 면에 사각형상의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장착 공간(22)은 윈도우(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20)의 일 면 중 일부를 잘라내어 개방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케이스(20)는 적어도 세 벽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회로기판이 인접하게 놓이게 되어 대응되는 벽을 제 1 벽이라 이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술할 이차전지가 인접하게 놓이게 되어 대응되는 벽을 제 2 벽이라 이름할 수 있고, 후술할 하베스터가 인접하게 놓이게 되어 대응되는 벽을 제 3 벽이라 이름할 수 있다.Further, the
상기 윈도우(30)는 상기 윈도우 장착 공간(22)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모듈(1)에 빛이 입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30)는 투명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공간에 조사되는 빛을 용이하게 센서모듈(1)이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빛은 상기 센서모듈(1)이 설치되는 공간에 존재하는 자연광, 발광장치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상기 센서모듈(1)이 설치된 공간을 이용공간이라 이름한다. 상기 이용공간에 존재하는 빛은 상기 윈도우(30)에 입사되며, 후술할 하베스터(58)에 도달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30)는 상기 하베스터(58)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space where the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케이스(20)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서, 상기 케이스(20)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케이스(20)의 하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베이스 상부에 형성되는 후크(18)를 통해 상기 케이스(20)의 내측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의 이격 배치 방향은 상기 케이스(20)의 중심방향 및 길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base 10 may be coupled to the
상기 이용공간의 공기는 상기 케이스(20)와 베이스(10)가 형성하는 사이공간으로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공간은 상기 후크(18)와 상기 케이스 내측이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개방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와 베이스(10)가 형성하는 사이공간은 하유동공간(4)이라 이름한다. The air in the utilization space can flow into or out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상기 베이스(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케이스(20)의 하단부 둘레가 형성하는 모양, 즉, 케이스(20)의 개방된 하측 가상의 면 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베이스의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20)와 베이스(10)는 일체감을 형성하여 센서모듈(1)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ase 10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끝이 잘린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끝이 잘린 삼각뿔 형상을 가지는 경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모서리를 포함하는 측면은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내측방향으로 휘어지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베이스(10)의 상면 및 하면의 삼각형상은 꼭짓점이 일정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버튼(40)은 상기 케이스(20)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케이스(20)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버튼(40)은 상기 케이스(20)의 상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버튼(40)의 하부테두리에 형성되는 연결고리(42)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측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40)의 이격 배치 방향은 상기 케이스(20)의 중심방향 및 길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40)을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면의 면적보다 작도록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40)와 결합함으로써 공기의 유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4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button (40) can be coupled to the case (20) so that air can flow.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space between the
상기 이용공간의 공기는 상기 케이스(20)와 버튼(40)이 형성하는 사이공간으로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공간은 상기 연결고리(42)와 상기 케이스 내측이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개방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와 버튼(40)이 형성하는 사이공간은 상유동공간(3)이라 이름한다.The air in the use space can flow into or out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즉, 상기 이용공간의 기체는, 상기 상유동공간(3) 유입하여 상기 하유동공간(4)으로 유출하거나 상기 하유동공간(4)으로 유입하여 상기 상유동공간(3)으로 유출함으로써, 센서모듈 내부의 공간을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모듈(1)은 상기 설치된 공간의 기체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1 및 도 2의 화살표 참조)That is, the gas in the utilization space flows into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는 윈도우 장착 공간(22)이 형성되는 전면케이스(21), 상기 전면케이스(21)와 결합하는 제 1 보조케이스(23) 및 제 2 보조케이스(24)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상기 전면케이스(21)는 상기 케이스(20)의 어느 일 면에 개방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조케이스(23) 및 제 2 보조케이스(24)는, 상기 전면케이스(21)의 양쪽으로 연장되어 한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면케이스(21)의 일 측단부는 상기 제 1 보조케이스(23)와 결합되며, 타 측단부는 상기 제 2 보조케이스(24)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케이스(23) 및 제 2 보조케이스(24)는 상기 전면케이스(21)와 결합하지 않은 측 단부에 결합하여 삼각 기둥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케이스(20)가 형성하는 삼각기둥의 각 꼭짓점은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면케이스(21), 제 1 보조케이스(23) 및 제 2 보조케이스(24)가 상호 결합되는 측 단부에는 곡면을 가지는 보조 케이스가 추가 결합되어 라운드진 형상의 삼각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Each corner of the triangular column formed by the
상기 전면케이스(21)는 윈도우 장착 공간(22)이 형성되어 윈도우(3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윈도우(30)는 상기 전면케이스에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30) 내부에 후술할 하베스터가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21)는 앞서 이름한 제 3 벽과 대응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도우 장착 공간(22)의 형성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The
상기 제 1 보조케이스(23)는 후술할 회로기판과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케이스(20)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이름한 제 1 벽과 대응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2 보조케이스(24)는 후술할 이차전지와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케이스(20)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이름한 제 2 벽과 대응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케이스(20)는 개방된 상면의 일부를 차폐하는 스커트(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스커트(25)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단부로부터 케이스 내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0)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케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연장 길이는 케이스(20)의 상면 전부가 차폐되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커트(25)에 버튼(40)이 결합하더라도 공기의 유동 경로인 상유동공간(3)이 유지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스커트(25)는, 보다 원활한 공기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케이스(20)의 상면의 둘레로부터 케이스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휘어지는 벤딩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25)는 사용자가 버튼(40)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버튼(30)이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면은 상기 벤딩면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스커트(35)는, 상기 버튼(40)을 케이스(20)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센서모듈(1)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모듈(1)의 일체감을 통하여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버튼(40)은, 가압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스커트(25)의 벤딩면과 안착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일정 길이 이상을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40)의 하방 최대 이동거리는 상기 스커트(25)에 버튼(40)이 도달하여 맞닿게 되는 길이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커트(25)는 가압되는 버튼(40)을 지지하기 때문에 가압력에 의한 기기의 파손 위험을 막아주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When the
상기 스커트(25)는 상기 버튼(40)과 결합을 이루기 위한 수용홈(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6)은 상기 케이스(20)에 제공되어 후술할 연결고리(42)가 적어도 상기 케이스(20)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수용홈(26)이 형성되는 위치, 개수 및 형상은 제한이 없다. 다만, 센서모듈(1)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스커트(25)와 버튼(40)의 결합으로 인하여 유동 경로가 차폐됨으로써 유동이 정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커트(25)와 버튼(40)의 결합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수용홈(26)은 공기의 유동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일례로, 상기 수용홈(26)은 상기 스커트(25)의 내측 면에 함몰되어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커트(25)의 안착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홈(26)의 크기는 공기 유동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센서모듈(1)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유동공간(3)으로 유동 경로를 유지할 수 있어 공기의 순환을 이룰 수 있다. The position, number, and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26 are not limited. Howeve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상기 수용홈(26)은 제 1 수용홈(26a), 제 2 수용홈(26b), 제 3 수용홈(26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groove 26 may include a
상기 제 1 수용홈(26a)은 전면케이스(21)가 위치한 방향에 해당하는 안착면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용홈(26b)은 제 2 보조케이스(24)가 위치한 방향의 안착면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수용홈(26c)은 제 1 보조케이스(23)가 위치한 방향의 안착면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수용홈(26a,26b,26c)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이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용홈(26a,26b,26c)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할 수 있다. The
한편, 사용자의 버튼(40) 조작 과정 시, 사용자의 가압으로 상기 스커트(25)에 도달한 버튼(40)은 스프링 등의 탄성장치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아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 때, 탄성력에 의해 버튼(40)이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26)과 후술할 버튼(40)의 연결고리(42)가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상기 스커트(25)는 회로기판(50)을 고정시키는 기판리브(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리브(27)는 상기 케이스(20)내측으로 스커트(25)의 하면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리브(27)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리브(27)는 상기 안착면의 하면에 설치할 수 있다.The
상기 기판리브(27)는 상기 제 1 벽과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기판리브(27)의 형상이나 크기 등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리브(27)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단부를 내측으로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25)의 하면을 함몰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The
상기 기판리브(27)를 케이스(20)의 상단부에 함몰시켜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기판리브(27)에 장착되는 회로기판(50)의 크기가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었다는 가정하에, 상기 센서모듈(1)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50)이 기판리브(27)가 함몰 형성된 만큼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센서모듈(1)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이차전지 및 윈도우(30)의 크기에 제한을 받는 하베스터보다 크게 형성될 수 밖에 없는 회로기판(5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모듈(1)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상기 회로기판(50) 자체를 최소화하여 제작하거나, 상기 회로기판(50)의 제작이 소형화에 대한 한계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20)에 가장 컴팩트하게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리브(27)가 케이스(2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하여 회로기판(50)을 잡아줌으로써 상기 센서모듈(1)의 컴팩트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기판리브(27는 스커트(25)의 하면에서 상기 제 1 벽과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리브(27)는 내부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리브(27)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단부 내측에서. 제 1 보조케이스(23)와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기판리브(27)의 홈은 회로기판(50)의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리브(27)의 홈으로 회로기판의 상단부가 장착되며, 상기 회로기판(50)의 하단부는 베이스(10)에 장착됨으로써, 회로기판의 상,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groove of the
또한, 상기 기판리브(27)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판리브(27)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리브(27)는 П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기판리브(27)의 내부로 함몰 형성된 홈은 회로기판(50)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리브(27)는 베이스(10)에 장착된 상태의 회로기판(50)을 슬라이딩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의 양 측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가이드 벽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기판리브(27)에 형성되는 홈은, 회로기판(50)이 가장 가까운 위치의 케이스(20)의 일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리브(27)의 홈은 제 1 보조케이스(23)와 회로기판(50)이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grooves formed in the
상기 기판리브(27)는 회로기판(50)이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는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리브(27)는 상기 회로기판(50)의 하단부가 장착되는 베이스(10)의 설치 위치에서부터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리브(27)는 제 1 보조케이스(23)에서 연장 형성된 스커트(25)의 하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리브(27)는 상기 제 1 보조케이스(23)와 가장 가깝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보조케이스와 결합하는 보조 후크는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는 회로기판(50)의 설치 위치에 가장 가깝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는 회로기판(50)의 설치 위치와 가장 가깝게 형성되는 보조 후크는 제 1 보조후크(18b)일 수 있다.The
상기 센서모듈(1)은 소형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을 상부, 하부 양 방향에서 잡아주도록 고정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고 센서모듈(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50)의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센서모듈(1)의 동작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또한, 상기 기판리브(27)는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리브(27)는 제 1 기판리브(27a)와 제 2 기판리브(2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기판리브(27b)는 제 1 기판리브(27a)로부터 평행 이동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리브(27a)와 상기 제 2 기판리브(27b)는 회로기판(50)의 상단부의 양측 끝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상기 버튼(40)은 상기 스커트(25)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고리(43)와, 버튼(40)의 상면을 구성하는 가압면(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연결고리(43)는 상기 버튼(40)의 테두리부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40)의 하단부 또는 상기 버튼(40)의 하부 테두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고리(43)는 상기 스커트(25)의 수용홈(26)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43)와 수용홈(26)은 상기 버튼(4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The linking ring 43 may be provided at the rim of the
상기 연결고리(43)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고리(43)는 상기 버튼(40)의 하단부에서부터 상기 수용홈(26)과 결합되는 끝 단부까지, 곡률을 이루도록 하방으로 휘어져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휘어진 형상을 갖는 연결고리(43)의 최 하단부가 상기 수용홈(26)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일면에 안착되고, 상기 연결고리(43)의 끝 단부는 상기 수용홈(26)의 내부로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버튼(40)의 제한된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linking ring 43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linking ring 43 may be bent downward to form a curvature from the lower end of the
상기 가압면(41)은 다양한 형상 및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면(41)은 투명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버튼(40)은 LED 등의 발광소자(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7)는 버튼(40)의 인접위치에 놓이며, 센서모듈(1)의 동작상태에 따라 발광하여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버튼(40)의 내부에 상기 발광소자(47) 및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버튼(40)을 누르는 경우 상기 가압면(41)의 색이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면(41)은 투명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40)을 눌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가압면(41)의 색을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버튼(40)을 가압하여 회로기판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만 발광소자(47)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40)의 색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센서모듈(1)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제품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상기 버튼(40)은 스위치(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5)는 상기 버튼(40)의 동작에 연동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50)과도 연동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40)은 상기 케이스(20)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변형 또는 이동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45)를 누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위치(45)는 딥스위치(dip switch)일 수 있다. The button (4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45). The
상기 버튼(40)은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버튼(40)의 가압 후 기존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가압면(41)을 눌러서 압력을 가하는 경우, 버튼(40)은 스위치(45)를 통하여 회로기판(5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만든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시 한번 가압면(41)을 눌러 압력을 가하는 경우, 버튼(40)은 스위치(45)를 통하여 회로기판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만든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The
상기 센서모듈(1)은 사용자가 버튼(40)을 눌러주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회로기판(50)의 전원 연결 및 무선 통신 연결까지 이룰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e
상기 베이스(10)는 베이스의 하부를 구성하는 지지베이스(11)와 베이스의 상부를 구성하는 설치베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10 may include a
상기 지지베이스(1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베이스(11)는 끝이 잘린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하여, 측면 및 꼭짓점이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베이스(11)의 하면은 상면보다 넓이가 넓은 면으로 지지베이스(11)의 바닥면과 동등하게 이해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지지베이스(11)의 상면은 회로기판, 하베스터, 이차전지와 같은 부품의 장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베이스(11)가 끝이 잘린 삼각뿔 형상을 가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상기 지지베이스(11)의 바닥면은 지지면(13)과 상승면(14)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지지면(13)은, 센서모듈(1)을 직립 설치하는 경우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상기 지지베이스(11)의 하단부를 따라 외부의 면과 맞닿도록 편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13)은 직립된 센서모듈(1)을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모듈(1)은 실내 공간의 책상 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를 구성하는 지지베이스(11)와 책상이 맞닿도록 설치되어 센서모듈(1)을 직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베이스(11)의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면(13)과 책상이 맞닿아 센서모듈(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10)가 직립된 센서 모듈(1)을 지지하는 경우, 상기 센서모듈(1)을 탁상형 센서모듈(1)이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모듈(1)이 쇼케이스 등의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벽걸이형 센서모듈(1)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벽걸이형 센서모듈(1)은 베이스(10)와 버튼(40)이 수평한 방향을 이루도록, 즉, 센서모듈(1)의 길이방향이 벽면에 수평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The
상기 상승면(14)은 상기 지지베이스(11)의 바닥면이 외부의 면과 맞닿지 않도록 상방으로 함몰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면이란, 탁상형 센서모듈(1)을 설치하는 경우 지지면(13)과 맞닿는 어느 물체 또는 공간의 일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승면(14)은 외부의 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The raised
또한, 상기 상승면(14)은 외부 장치와 센서모듈(1)이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장치연결구(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장치연결구(15)은 USB가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장치연결구명(15)의 형상은 USB장치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회로기판의 USB포트와 USB장치가 상기 장치연결구(15)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The elevating
또한, 상기 상승면(14)은 사용자가 회로기판의 리셋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리셋구(16)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리셋구(16)에 도구를 삽입하여 회로의 리셋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모듈(1)은 초기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ising
후술할 회로기판은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USB포트 및 리셋 버튼이 상기 장치연결구(15)과 리셋구(16)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다. A circuit board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ounted on the base 10 such that a USB port and a reset button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correspond to the
상기 상승면(14)은 탁상형 센서모듈(1)의 경우에도 외부의 면과 맞닿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장치연결구(15) 및 리셋구(16)의 파손위험이나 오염위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rising
상기 설치베이스(12)는 상기 지지베이스(1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설치베이스(12)는 상기 지지베이스(11)의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방향은 베이스(10)의 높이 방향 또는 베이스(10)로부터 버튼(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mounting
상기 설치베이스(12)는 상기 지지베이스(11)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Since the mounting
상기 설치베이스(12)의 내부 공간을 설치공간(17)이라 이름한다. 상세히, 상기 지지베이스(11)의 상면은 상기 설치공간(17)의 바닥을 이루며, 상기 설치베이스(12)는 상기 설치공간(17)의 외벽을 이룰 수 있다. The internal space of the
상기 설치베이스(12)는 상기 케이스(20)의 내측과 결합할 수 있는 후크(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18)는 상기 설치베이스(12)의 일 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치베이스(12)가 상하가 뚫린 삼각기둥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후크(18)는 각각의 외면에 ㄱ자형으로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설치베이스(12)의 외면의 상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The mounting
상기 후크(18)는 상기 케이스(20)의 내측과 걸림 동작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0)에 상기 설치베이스(12)가 삽입되며, 삽입 과정에서 상기 설치베이스(1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후크(18)는 상기 케이스(20)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18)의 상부는 캐이스(20)의 가압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후크(18)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상태로 되돌아 오기 위해 케이스의 내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케이스(2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후크(18)가 도달하게 되고 상기 후크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후크의 걸림 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18)의 걸림 동작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20)와 베이스(10)는 결합할 수 있다.The hook 18 can be engaged with the inside of the
상기 후크(18)는 걸림 동작을 위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크(18)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hook 18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for the latch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hook 18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또한, 상기 설치베이스(12)의 일 면에는 돌출된 후크(18)의 양 측단부와 맞닿는 위치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홈은 후크(18)의 양 측단부와 맞닿는 설치베이스(12)의 두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지점에서, 상기 홈은 설치베이스(12)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홈을 통하여 상기 후크(18)는 케이스(20)의 가압에 의해 용이하게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걸림 동작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상기 후크(18)는 메인후크(18a), 제 1 보조후크(18b), 제 2 보조후크(18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18)는 설치베이스(12)의 형상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The hook 18 may include a
상기 메인후크(18a)는 상기 윈도우 장착 공간(22)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20)의 일 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후크(18a)는 전면케이스(21)와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후크(18a)는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내측 면에 함몰 형성된 홈과 상기 후크의 걸림 동작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The
상기 메인후크(18a)는 하베스터를 장착할 수 있는 하베스터 수용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베스트 수용부(19)는 메인후크(18a)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베스트 수용부(19)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상기 제 1 보조후크(18b)는 상기 케이스(20)의 일 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보조후크(18b)는 상기 제 1 보조케이스(23)의 내측 면에 함몰 형성된 홈과 상기 후크의 걸림 동작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보조후크(18b)는 상기 설치공간(17)에 설치되는 회로기판(50)과 상대적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후크로 이해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2 보조후크(18c)는 상기 케이스(20)의 일 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보조후크(18c)는 상기 제 2 보조케이스(24)의 내측 면에 함몰 형성된 홈과 상기 후크의 걸림 동작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보조후크 및 상기 제 2 보조케이스는 상기 설치공간(17)에 장착되는 이차전지(57)와 상대적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후크 및 케이스로 이해할 수 있다.The second
또한, 상기 후크(18)는 상기 설치베이스(1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18)의 걸림동작 시 후크가 용이하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설치베이스(12)로부터의 구속력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hook 18 may b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ountin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베이스에 장착되는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베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art of a structure of a sensor module mounted on a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base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모듈(1)은 상기 베이스(10)에 각각 장착되는 회로기판(50), 이차전지(57), 하베스터(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 and 5, the
상기 회로기판(50)은 상기 설치공간(17)에 장착되며,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 설치 공간의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50)은 상기 제 1 벽에 대응하여 케이스(20) 내부 공간에 놓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로기판(50)은 상기 제 1 보조후크(18b)가 형성된 설치베이스(12)의 내면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지지베이스(11)의 상면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조후크(18b)가 형성된 설치베이스(12)의 내면을 기판장착면이라 이름할 수 있다.The
상기 설치베이스(12)는 고정리브(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110)는 상기 설치베이스(12)의 일 내면이 갖는 양측 모서리에서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리브(110)는, 상기 기판장착면을 따라 회로기판(50)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장착면과 상기 설치베이스(12)의 라운드진 내면이 맞닿는 양 모서리에서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격자형으로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mounting
상기 고정리브(110)는, 회로기판(50)의 양 측면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베이스(12)의 두 내면이 맞닿는 라운드진 모서리에서, 상기 기판장착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베이스(12)의 두 내면이 맞닿는 라운드진 모서리는, 상기 기판장착면과 메인후크(18a)가 형성된 설치베이스(12)의 내면이 이루는 모서리와, 상기 기판장착면과 제 2 보조후크(18c)가 형성된 설치베이스(12)의 내면이 이루는 모서리를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회로기판(50)의 양 측면은 상기 기판장착면과 고정리브(110)가 형성하는 ㄷ 자 형태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50)의 안정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xing
상기 고정리브(110)은 제 1 고정리브(111)와 제 2 고정리브(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ed
상기 제 1 고정리브(111)는 상기 제 2 보조후크(18c)가 형성되는 설치베이스(12)의 내면과 상기 제 1 보조후크(18b)가 형성되는 설치베이스(12)의 내면이 이루는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고정리브(111)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고정리브(111)와 상기 제 1 보조후크(18b)가 형성된 설치베이스(12)의 내면은 ㄷ 자 형의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제 1 설치홈(116)이라 이름한다. The first fixing
상기 제 2 고정리브(112)는 상기 메인후크(18a)가 형성되는 설치베이스(12)의 내면과 상기 제 1 보조후크(18b)가 형성되는 설치베이스(12)의 내면이 이루는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고정리브(112)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고정리브(112)와 상기 메인후크(18a)가 형성된 설치베이스(12)의 내면은 ㄷ 자 형의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제 2 설치홈(117)이라 이름한다.The
상기 제 1 설치홈(116) 및 상기 제 2 설치홈(117)을 포함하여 설치홈(115)이라 이름한다. 상기 회로기판(50)은 상기 설치홈(115)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장착할 수 있다.The
상기 회로기판(50)은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51), 감지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무선통신부(53), USB장치와 연결을 이루는 USB포트(59)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회로기판(50)은 회로를 구성하는 칩 등의 부품이 장착되는 C면(component side)과 상기 C면의 정반대 면으로 상기 부품의 납땜이 이루어지는 S면(solder side)으로 양 면을 구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센서부(51)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의 상태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다.The
상기 센서부(51)는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습도센서는 칩(chip)으로 이루어지며 회로기판의 C면(54)에 설치할 수 있다. The
상기 무선통신부(53)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부(53a)와 통신칩(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53a)는 상기 회로기판(50)에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부(53a)는 회로기판의 패턴으로 상기 C면(54)에 인쇄되어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통신칩(53b)은 회로기판(50)의 부품 장착면인 C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53)는 zigbee,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50)은 케이스(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절단부(52)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절단부(52)는 상기 회로기판(50)의 상부에 기판리브(27)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한 일정 면적을 잘라내어 공기의 통로를 넓혀줄 수 있다. 따라서, 상유동공간(3)과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공기의 순환이 용이해지므로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는 것이 수월해질 수 있다.The
상기 USB연결 포트(59)는 상기 베이스(10)의 장치연결구(15)에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50)은 상기 USB연결포트(59)가 장치연결구(15)이 형성된 위치에 맞춰지도록 베이스(10)에 장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USB연결포트(59)는 회로기판(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10)에 회로기판(50)의 하단부가 장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연결구(15)을 통해 USB장치가 외부에서 삽입되고, 삽입된 USB장치는 USB연결포트에 연결할 수 있다. The
상기 이차전지(57)는 상기 제 2 벽에 대응되도록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57)는 베이스(10)에 장착되어 설치공간(17)에 놓일 수 있다. The
상기 이차전지(57)는 하베스터(58)에 연결되어 수집된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차전지(57)는 상기 회로기판(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57)는 리튬 이온전지, NaS전지, 레록스 흐름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차전지(57)는 자가방전이 일어나는 정도가 작아 휴대용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리튬 이온전지인 것이 바람직할 것 이다. The
상기 이차전지(57)는 회로 기판(50)의 비상용 전력공급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설치 공간에 빛이 존재한다면 하베스터를 통해 끊임없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장치의 오프상태 등의 요인으로 빛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온습도센서를 통한 감지가 필요한 때가 있는데 이 경우, 이차전지(57)를 통하여 회로기판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또한, 이차전지(57)가 방전되는 경우, 회로기판(50)의 USB포트(59)를 통해서 전류를 역방향으로 흐르게하여 이차전지(57)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When the
한편, 이차전지(57)는 충전을 위해 충전회로(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는 하베스터에서 받은 전력의 전압을 변화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이차전지(57)는 고정벽(100)에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The
즉,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지지베이스(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벽(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벽(100)은 상기 설치공간(17)에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고정벽(10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차전지(57)를 감싸도록 ㄱ 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베이스(11)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57)는 그 크기적 제한으로 하베스터 및 회로기판과 달리 베이스(10)와 스커트(25)에 의해 양 방향에서 고정 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센서모듈(1)이 회전되어 설치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10)에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고정되어 장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ㄱ 자 형으로 고정벽(100)이 형성을 통하여, 상기 이차전지(57)는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xing
상기 고정벽(100)은 제 2 보조후크(18c)가 형성되는 상기 설치베이스(12)의 내면에 대하여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차전지(57)는 상기 제 2 보조후크(18c)가 형성되는 설치베이스(12)의 내면과 상기 고정벽(100)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The fixing
또한, 상기 고정벽(100)은 제 1 고정벽(101)과 제 2 고정벽(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벽(101)은 상기 이차전지(57)의 길이방향을 고정 지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벽(102)은 상기 이차전지(57)의 너비방향을 고정 지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벽(101) 및 제 2 고정벽(102)은 연결되어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분리되어 상기 이차전지(57)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fixing
또한, 상기 이차전지(57)는 상기 이차전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이차전지 고정부재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고정벽(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차전지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벽(100)과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에 이차전지를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차전지 고정부재는 고정 브래킷으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벽(100)과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하베스터(58)는 솔라셀(solar cell)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라셀(solar cell)은 쇼케이스의 조명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여 이차전지(57)를 충전한다. 쇼케이스가 매우 밝은 조명을 유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태양전지를 통한 에너지 수집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1)의 솔라셀은 센서모듈(1)이 페어링 되었는지 여부 및 센서모듈(1)의 작동 여부와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수집하여 이차전지(57)를 충전할 수 있다.The
상기 하베스터(58)는 다양한 형상, 크기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윈도우(30)의 내측으로 장착되는 특성상, 윈도우(3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비용 및 효율면에서 가장 바람직할 것 이다. The
상기 하베스터(58)는 상기 베이스(10)의 하베스터 수용부(19)에 장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베스터 수용부(19)는 메인후크(18a)의 상면에 하베스트(58)를 장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설치베이스(12)의 외면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메인후크(18a) 상면의 어느 일 지점을 상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후크(18a) 상면의 어느 일 지점을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거리는 수용되는 하베스터의 폭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베스터 수용부(19)는 메인후크(18a)의 상면에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베스터 수용부(19)가 하베스터(58)를 장착하기 위해 형성한 홈이 이루는 공간을 하베스터 수용공간(19a)이라 이름한다. 상기 하베스터 수용공간(19a)에 하베스터의 하단면이 장착되고 지지됨으로써, 상기 베이스(10)에 하베스터(58)가 장착될 수 있다. The space formed by the grooves formed by the
또한, 상기 하베스터(58)는 상기 제 3 벽에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놓일 수 있다. 즉, 상기 하베스터(58), 이차전지(57) 및 회로기판(50)은 각각 상기 제 3 벽, 제 2벽 및 제 1 벽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다른 측면에서 말하자면, 상기 하베스터(58)는 상기 입사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이차전지(57) 또는 상기 회로기판(50)은 상기 부착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에 놓일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하베스터(58), 이차전지(57) 및 회로기판(50)은 삼각기둥 형상의 설치베이스(12)가 둘레를 따라 갖는 각각의 일 면에 대응되도록 평행하게 베이스(10)에 장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베스터(58)는 하베스터수용부(19)가 형성된 설치베이스의 외면과 대응되어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이차전지(57)는 제 2 보조후크(18c)가 형성된 설치베이스의 내면에 대응되어 평행하게 설치공간(17)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50)은 제 1 보조후크(18b)가 형성된 설치베이스의 내면에 대응되어 평행하게 설치공간(17)에 설치할 수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bottom view showing a case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구조와 하베스터, 회로기판의 장착 위치를 설명한다.6 and 7, the inner structure of the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후크(18)와 결합을 이루도록 메인후크홈(121), 제 1 보조후크홈(122), 제 2 보조후크홈(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메인후크홈(121)은 전면케이스(21)의 하단부에 함몰되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후크(18a)는 상기 메인후크홈(121)에 상기 후크의 걸림동작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보조후크홈(122)은 제 1 보조케이스(23)의 하단부에 함몰되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보조후크(18b)는 상기 제 1 보조후크홈(122)에 상기 후크의 걸림동작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 2 보조후크홈(123)은 제 2 보조케이스(24)의 하단부에 함몰되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보조후크(18c)는 상기 제 2 보조후크홈(123)에 상기 후크의 걸림동작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메인후크홈(121), 제 1 보조후크홈(122) 및 제 2 보조후크홈(123)을 포함하여 후크홈이라 이름한다.The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하베스터(58)를 슬라이딩 삽입시켜 고정할 수 있는 하베스터 가이드(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베스터 가이드(125)는 상기 하베스터(58)가 윈도우(30)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내측에 가이드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내측 면이 상기 제 1 보조케이스(23) 및 상기 제 2 보조케이스(24)와 이루는 모서리에서 격자형으로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베스터 가이드(125)는,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내측 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케이스(2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베스터 가이드(125)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내측 면과 이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내측 면은 상기 하베스터 가이드(125)에 대응하여 ㄱ 자형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베스터(58)는 상기 하베스터 가이드(125)와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대응되는 홈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상기 윈도우(30)와 밀착되어 설치할 수 있다. A guide wall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상기 하베스터 가이드(125)는 제 1 하베스터 가이드(126)와 제 2 하베스터 가이드(12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하베스터 가이드(126)는 상기 전면케이스(21)와 상기 제 1 보조케이스(23)가 이루는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제 2 하베스터 가이드(127)는 상기 전면케이스(21)와 상기 제 2 보조케이스(24)가 이루는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하베스터 가이드(126)와 제 2 하베스터 가이드(127)에 의해 형성된 홈은 평행한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하베스터 가이드(126)와 상기 제 2 하베스터 가이드(127)는 상기 하베스터(58)의 양 측단부를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하베스터(58)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0)의 하베스터 수용부(19)에 장착된 하베스터(58)는 상기 제 1 하베스터 가이드(126)와 제 2 하베스터 가이드(127)에 의하여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다.The grooves formed by the
상기 하베스터(58)는, 일례로, 솔라셀(solar cell)의 경우 취성이 강해서 외부의 압력에 쉽게 파괴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하베스터(58)는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하베스터 가이드(125)는 하베스터를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게 하여, 베이스(10)에 장착된 하베스터(58)를 파손 위험 없이 안정적으로 케이스(20)에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solar cell, for example, th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센서모듈(1)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ssembling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ssembling the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베이스(10)와 케이스(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센서모듈(1)의 조립을 시작한다. (S1)Referring to FIG. 8, the user starts assembling the
먼저, 사용자는 베이스(10)에 회로기판(50), 하베스터(58), 이차전지(57)를 장착하는 베이스 조립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2) First, the user can perform a base assembly step of mounting the
상기 베이스 조립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회로기판(50)을 상기 베이스(10)의 설치공간(17)에 형성된 설치홈(115)에 삽입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SB포트(59)와 장치연결구(15)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셋구(16)은 회로기판의 리셋 버튼과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장착할 수 있다. In the base assembly step, the user may insert the
그리고, 상기 이차전지(57)를 고정벽(100)에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하베스터(58)는 하베스터 수용부(19)에 의해 형성되는 하베스터 수용공간(19a)에 가운데 부분을 장착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10)에 회로기판(50), 하베스터(58), 이차전지(57)를 고정시켜 장착할 수 있다.The
이후, 사용자는 케이스(20)에 윈도우(30) 및 버튼(40)을 결합하는 케이스 조립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3)Then, the user can perform the case assembly step of coupling the
상기 케이스 조립단계에서, 사용자는 전면케이스(21)에 형성된 윈도우 장착 공간(22)에 윈도우(3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25)에 형성된 수용홈(26)에 버튼(40)에 형성된 연결고리(43)를 결합하면서 상기 케이스(20)와 버튼(40)을 결합할 수 있다. In the case assembly step, the user can install the
상기 베이스 조립단계와 케이스 조립단계의 순서는 제한이 없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 조립단계를 먼저 설명하였으나, 케이스 조립단계가 먼저 수행되어도 된다. 즉, 상기 베이스 조립단계와 케이스 조립단계는 병력적인 조립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The order of the base assembly step and the case assembly step is not limited. Although the base assembly step has been described above for ease of explanation, the case assembly step may be performed first. That is, the base assembling step and the case assembling step can be understood as a gravity assembling step.
이후,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10)와 케이스(20)를 결합하는 베이스와 케이스 결합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4)Thereafter, the user may perform a base-case coupling step of coupling the
상기 베이스와 케이스 결합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된 하베스터(58)를 하베스터 가이드(125)에 삽입하여 슬라이딩 장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로기판(50)은 상단부가 기판리브(27)에 의해 고정 장착할 수 있다. The user may insert the
상기 회로기판(50)이 상기 기판리브(27)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하베스터(58)도 상기 하베스터 가이드(126)의 최 상단에 도달할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되는 메인후크(18a), 제 1 보조후크(18b), 제 2 보조후크(18c)는 상기 케이스(20)에 형성된 메인후크홈(121), 제 1 보조후크홈(122), 제 2 보조후크홈(123)에 상기 후크의 걸림동작을 이루며 결합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후크의 걸림동작으로 상기 베이스(10)와 케이스(20)가 결합하면서 센서모듈(1)의 조립은 종료될 수 있다. (S5)The assembly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이 설치된 쇼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모듈(1)이 설치된 쇼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9 is a view showing a showcase in which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 embodiment of a showcase in which the
도 9를 참조하면, 쇼케이스는 내부의 구획된 공간(201,202,2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쇼케이스의 구획된 공간(201,202,203)과 쇼케이스의 본체 상부에는 각각 발광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는 형광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발광장치는 센서모듈(1)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원으로 이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howcase may be composed of internal divided
상기 센서모듈(1)은 상기 쇼케이스의 구획된 공간 내부 및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판낼의 단부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모듈(1)은 벽걸이형 센서모듈(1)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상기 센서모듈(1)에 입사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 can be installed inside the divided space of the showcase and at the end of the plate forming the divided space,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상기 센서모듈(1)의 설치위치는 상기 발광장치(200)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효율적으로 조사받을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상기 벽걸이형 센서모듈(1)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센서모듈의 케이스 일 면은 자석제 또는 흡착제가 설치되어,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제 또는 흡착제가 설치된 케이스의 일면, 즉, 부착면은 벽에 장착되며, 상기 윈도우(30)가 형성된 전면케이스의 입사면은 빛이 입사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센서모듈(1)은 벽면에 설치된 케이스의 일면과 윈도우가 형성된 케이스의 타면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효율적인 빛의 포집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착면과 입사면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빛을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The wall-mounted
상기 발광장치에서 발생하는 빛이 일정 각도를 이루는 윈도우(30)에 조사되면, 상기 하베스터(58)에 빛이 접촉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베스터의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예시되는 쇼케이스에 설치되는 센서모듈(1)은 삼각기둥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에너지 생산을 최적화 할 수 있다.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rradiated on the
또한, 상기 센서모듈(1)에는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부(51)가 구비되어 있어서, 센서모듈(1)이 쇼케이스(110) 내에서 위치한 구역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서버장치 등에 무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상기 센서모듈(1)이 제공한 온도와 습도 정보를 전송받은 외부 서버는 센서모듈(1)의 ID를 통해 센서모듈이 설치된 쇼케이스 구역을 확인하고, 해당 구역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쇼케이스 구역으로 토출되는 냉기의 양과 유속을 제어한다.The external server receiv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모듈(1)이 설치된 구역과 해당 구역의 온도와 습도 정보에 기초로 하여, 이를 근거로 각 구역(111,112,113)에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함으로써, 센서가 위치하는 구역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zone wher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 베이스 20 : 케이스
30 : 윈도우 40 : 버튼10: Base 20: Case
30: Window 40: Button
Claims (24)
상기 케이스의 상측부에서 하방을 연장되는 기판리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고, 전기제어를 수행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입사면에 대응하여 놓이고 상기 센서부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베스터가 포함되는 센서모듈.
A case having a columnar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having an attaching surface fixed to the wall and an incident surface fac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A substrate rib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side of the case;
A circuit board placed inside the case and performing electrical control;
A sensor unit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for measuring a state of a gas flowing inside the case; And
And a harvester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surface and supplying energy to the sensor unit.
상기 부착면과 입사면은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incident surface form an acute angle.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입사면과 상기 부착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포함되고,
상기 입사면, 부착면 및 연결면은,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includes a connecting surface for connecting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mounting surface,
Wherein the incident surface, the attachment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are connected so that their cross sections are triangular.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기판리브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it board is fixed by the substrate rib.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버튼;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놓이는 베이스가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utton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And
And a base disposed under the case.
상기 베이스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베이스; 및
상기 지지베이스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는 설치베이스가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A support base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providing a mounting space for the circuit boar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d an installation base exten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상기 설치베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함몰 형성되며, 후크와 결합하는 후크홈이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hook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base; And
And a hook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engaging with the hook.
상기 설치베이스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베이스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상기 회로기판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고정리브가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fixing rib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base to form a groove in the mounting base and to guide the circuit board into the groove.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차전지가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econdary battery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and supplying power to the circuit board.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놓이는 베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버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고, 온습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을 고정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측부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는 기판리브;
상기 케이스의 일 면에 설치되는 윈도우;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고, 상기 윈도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베스터가 포함되는 센서모듈.
A cas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 base disposed under the case;
A button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A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circuit board including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and an antenna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 substrate rib fix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fix the circuit board;
A windo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nd a harvester placed inside the case and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ndow to supply energy to the circuit board.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공간이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후크와 결합을 이루는 후크홈이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11. The method of claim 10,
A hook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And
And a hook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engaged with the hook so that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case is at least partially opened.
상기 베이스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지지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하는 설치베이스;
상기 윈도우와 대응되도록, 상기 설치베이스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메인후크; 및
상기 윈도우가 설치되는 케이스의 일 내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메인후크와 결합을 이루는 메인후크홈이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11. The method of claim 10,
A support base which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on which the circuit board is mounted;
An installation base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extending alo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se;
A main hook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base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ndow; And
And a main hook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in which the window is installed, the main hook groove engaging with the main hook.
상기 메인후크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베스터를 장착하는 홈을 형성하는 하베스터 수용부가 더 포함되는 센서 모듈.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harvester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hook to form a groove for mounting the harvester.
상기 하베스터로부터 공급받은 에너지를 충전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제공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를 고정하며,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벽이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13. The method of claim 12,
A secondary battery for charging the energy supplied from the harvester and supplying power to the circuit board; And
Further comprising a fixing wall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to fix the secondary battery.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장치연결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리셋을 가이드하는 리셋구가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11. The method of claim 10,
A device connector formed on the base for guiding the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thereto; And
And a reset hole formed in the base for guiding a reset of the circuit board.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고,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간격을 가지는 버튼;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놓이고,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간격을 가지는 베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놓이며, 온습도 센서가 구비되는 회로기판;
상기 케이스의 일 면에 설치되는 윈도우;
상기 회로기판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베스터; 및
상기 윈도우가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측에 가이드 벽을 형성하며, 상기 하베스터가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베스터 가이드가 포함되는 센서모듈.
A case having an empty interior and three sides;
A butt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and having a gap with the case;
A base disposed below the case and having a gap with the case;
A circuit board plac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 windo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A harvester for supplying energy to the circuit board; And
Wherein a guide wall is formed inside the case in which the window is installed, and a harvester guide for guiding the harvester to be slidably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window.
상기 윈도우가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측 면에는, 상기 하베스터 가이드에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모듈.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on which the window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harvester guide.
상기 케이스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커트가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skirt formed to extend from an upper end of the case toward a center of the cas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is opened.
상기 스커트에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기판리브가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substrate rib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kirt and fixing one end of the circuit board.
상기 버튼은 상기 스커트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button engages the skirt.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하베스터가 기둥형상의 케이스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센서모듈 조립방법.
Connecting a circuit board hav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a base and a harvester for supplying energy to the circuit board; And
And slid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harvester into a columnar case.
상기 베이스에,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제공하는 이차전지가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기둥형상의 케이스에 윈도우 및 버튼이 결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조립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Coupling a secondary battery to the base to provide power to the circuit board; And
And the window and the button are coupled to the columnar case.
상기 버튼이 결합되는 단계는,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공간이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모듈 조립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button is coupled with the case so that a space between the case and the case is at least partially opened.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후크홈이 결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센서모듈 조립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Further comprising coupling a hook formed on the base and a hook groove formed on the c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1575A KR102591706B1 (en) | 2016-08-31 | 2016-08-31 |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1575A KR102591706B1 (en) | 2016-08-31 | 2016-08-31 |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4759A true KR20180024759A (en) | 2018-03-08 |
KR102591706B1 KR102591706B1 (en) | 2023-10-20 |
Family
ID=6172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1575A KR102591706B1 (en) | 2016-08-31 | 2016-08-31 |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1706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77352A (en) * | 1999-05-20 | 2000-12-26 | 야스카와 히데아키 | A liquid container having a liquid consumption detecting device therein |
KR101292822B1 (en) * | 2012-11-09 | 2013-08-07 | 이제균 | Apparatus for led light using solar cell |
KR20150010317A (en) * | 2013-07-19 | 2015-01-28 | 주식회사메디아나 | 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
KR20150121544A (en) * | 2014-04-21 | 2015-10-29 | 씨엠바이오메드 주식회사 | A move prefabricated disinfection booth for a ultraviolet |
JP2015211075A (en) * | 2014-04-24 | 2015-11-24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Inclination sensor storage case and vehicle lamp fitting system |
-
2016
- 2016-08-31 KR KR1020160111575A patent/KR1025917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77352A (en) * | 1999-05-20 | 2000-12-26 | 야스카와 히데아키 | A liquid container having a liquid consumption detecting device therein |
KR101292822B1 (en) * | 2012-11-09 | 2013-08-07 | 이제균 | Apparatus for led light using solar cell |
KR20150010317A (en) * | 2013-07-19 | 2015-01-28 | 주식회사메디아나 | 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
KR20150121544A (en) * | 2014-04-21 | 2015-10-29 | 씨엠바이오메드 주식회사 | A move prefabricated disinfection booth for a ultraviolet |
JP2015211075A (en) * | 2014-04-24 | 2015-11-24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Inclination sensor storage case and vehicle lamp fitt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1706B1 (en) | 2023-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16742B2 (en) | Multifunction pass-through wall power plug with communication relay and related method | |
US9083547B2 (en) |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9157611B2 (en) | Light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lighting arraratus | |
CN109155209A (en) | Self-regulation frame for being mounted in wall-mounted electric equipment | |
US20060176689A1 (en) | Versatile lighting device | |
CN113874691B (en) | Temperature probe center | |
US20210348832A1 (en) | Refrigerator | |
US20100027247A1 (en) | Portable outdoor fixture for leisure area | |
KR101976596B1 (en) | BURIED TYPE IoT LIGHTING SWITCH DEVICE | |
EP3557205B1 (en) | Mounting system for a wireless temperature sensor | |
KR20180024758A (en) |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 |
KR20180024759A (en) |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 |
US11779132B2 (en) | Illuminated shelf assemblies | |
US20230122053A1 (en) | Shelving power supply systems and methods | |
JP5214256B2 (en) | Spatial structure | |
JP6811395B2 (en) | lighting equipment | |
US11408622B2 (en) | Control with enhanced sensing capabilities | |
US10544912B2 (en) | Cassette for holding a planar light source with a thermally isolated driver board | |
CN216752297U (en) | Electrical equipment | |
US12044464B2 (en) | Illuminated shelf assemblies | |
CN221202918U (en) | Night visual internet of things control panel | |
KR101892980B1 (en) | Lighting system for earthquake esca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