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317A - 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 Google Patents

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317A
KR20150010317A KR20130085151A KR20130085151A KR20150010317A KR 20150010317 A KR20150010317 A KR 20150010317A KR 20130085151 A KR20130085151 A KR 20130085151A KR 20130085151 A KR20130085151 A KR 20130085151A KR 20150010317 A KR20150010317 A KR 20150010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tomatic defibrillator
temperature
power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5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9871B1 (en
Inventor
이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메디아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메디아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메디아나
Priority to KR102013008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871B1/en
Publication of KR2015001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3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8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door automated defibrillator storage box. The outdoor automated defibrillator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fer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 heating unit, and a ventilating unit which are installed in an accommodating unit accommodating an automated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 the accommodating unit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to generate heat so that the temperature in the accommodating unit is increased, or the ventilating unit is operated to feed air into the accommodating unit so that the temperature in the accommodating unit is decreased. The temperature in the accommodating unit is always maintained in a temperature range in which an automated defibrillator can be operated, so that an automated defibrillator which has not been able to be installed outdoors can be installed outdoors. In particular, the outdoor automated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un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nomously generates electricity using sunlight to accumulate and use the generated electricity so that the same can be installed even in mountains and fields where commercial electricity is difficult to connect.

Description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unlight}

본 발명은 자동제세동기(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외에 설치되는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efibrillator (AED) storag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installed outdoors.

자동제세동기는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 처치 기기로서, 규칙적인 심장 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해 흉벽을 통해 전기 충격을 심장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최근 사용되는 일반적인 자동제세동기는 환자의 심장 상태를 체크하여 자동으로 전기충격을 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음성으로 사용 방법을 안내해주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이 정상 혈류량을 20% 정도 회복시키는 것에 비해,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하면 100% 가까이 정상 혈류량 회복이 가능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을 최대 70%까지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그 설치가 확산되는 추세이다.An automatic defibrillator is a first aid device used when the heart stops functioning or stops breathing. It is a device that transmits an electric shock to the heart through the chest wall to restore regular heartbeat. The most common automatic defibrillator that is used recently is to check the cardiac condition of the patient so that it can automatically give an electric shock. It is also easy to use because it has the function of guiding the usage method by voice and the CPR is the normal blood flow Compared with restoration of 20%, the use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can restore normal blood flow to close to 100%, and the survival rate of cardiac arrest patients can be increased up to 70%.

이러한 효율성으로 인하여, 자동제세동기는 의료인에 의한 응급처치가 비교적 용이한 실내뿐만 아니라, 의료인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산이나 들과 같은 실외에도 그 설치가 꼭 필요한 실정이다.Because of this efficiency, the automatic defibrillator must be installed not only in a room where first aid is relatively easy by a medical person but also in an outside such as a mountain where a medical person can not access easily.

그러나, 기존의 자동제세동기들은 대부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된 철제 보관함에 보관되어 사용되고 있고, 실외에 설치된 자동제세동기를 찾아보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자동제세동기의 특성상 기온이 0도 이하로 내려가거나, 55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작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제세동기를 실외에 설치하기 위해서, 자동제세동기를 일정한 온도 범위에서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automatic defibrillators are stored in an iron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room, as shown in FIG. 1,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n automatic defibrillator installed outside the room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defibrillator is zero Or if it goes up to 55 degrees or more, it is impossible to operate. Therefore, in order to install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utdoors, a storage box capable of stor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를 이용하기 어려운 실외에서도 자동제세동기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제세동기를 일정한 온도 범위에서 보관할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unlight which can store an automatic defibrillator 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so that the func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can be maintained even outdoors where electricity is difficult to use .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부; 상기 자동제세동기를 수용하는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전부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서, 상기 발열부로 상기 축전부에 저장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olar light, comprising: a power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sunlight; A power storage unit for storing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tain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 heat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nd generating heat by receiving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to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a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통기공에 설치된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서 상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case using sunlight further comprises a blower installed in a vent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The operation of the blower can be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의 상기 수용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한 쌍의 통기공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통기공에는 상기 송풍기가 구동됨에 따라서 변화되는 내부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개폐되는 통기공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un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air vent cover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air vents. The air vent cover may be provided in the pair of air vent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의 상기 발전부는, 상기 보관함의 상부에 형성된 태양전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축전부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generator of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system using solar 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ar battery panel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box; And a charging circuit unit for charging the power storage unit using a current generated in the solar pane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의 상기 발열부는 열선 또는 발열 전구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of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un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as a heat ray or a heat emitting bulb.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은 상기 자동제세동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자가 상태 점검 결과(상태 정보) 및 사용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Further,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un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the controller may communicate wit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via the short- To check the self-diagnosis result (state information) and the use stat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은, 원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상기 상태 정보 및 사용 상태를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Further,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un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mot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usage stat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hrough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To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의,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거치되는 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반출 여부를 감지하는 반출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출 감지 센서로부터 반출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반출사실을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 통지할 수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system using solar ligh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for hold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n the receptacle, The control unit may notify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of the removal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hrough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emoval detection signal from the removal detection senso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은, 야간에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위치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 내부에 설치된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un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so as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t night from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의, 상기 수용부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되어 수용부와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case for outdoor use using sunligh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housing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outside Can be block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은, 자동제세동기가 수용되는 수용부 내부에 온도 센서, 발열부 및 환기부를 설치하고,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수용부 내부의 온도에 따라서, 발열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발열시킴으로써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환기부를 구동시켜 외부의 공기를 수용부 내부로 유입시켜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하락시킴으로써,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항상 자동제세동기가 동작 가능한 온도범위로 유지하여, 기존에 실외에 설치가 불가능하였던 자동제세동기의 실외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a heating unit, and a ventilating unit in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an automatic defibrillator is accommodated, Accordingly, by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to generate he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raised, or the ventilating portion is driven to let the outside air flow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low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lways maintains the temperature range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operable, thereby enabl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o be installed outdoors, which could not be installed outdoors.

특히, 본 발명의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여 이용함으로써, 상용 전기를 연결하기 어려운 산과 들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olar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electric power by itself using solar light and accumulate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obstetrical areas where commercial electricity is difficult to connec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서 실내에 설치된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의 구현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installed in a ro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system using solar 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implementations of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olar 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200)의 구현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200 using solar 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views An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200, and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200)(이하,"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이라 약칭함)은 발전부(230), 축전부(250), 제어부(240), 근거리 통신부(260), 원거리 통신부(270), 환기부(222), 반출감지센서(224), 온도센서(221), 발열부(223), 거치부(227) 및 조명부(226)를 포함한다.2 to 3B,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using solar 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nerator 230, The power storage unit 250, the control unit 240,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it 260,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unit 270, the ventilation unit 222, the outflow detection sensor 224, the temperature sensor 221, the heat generation unit 223, An illumination unit 227, and an illumination unit 226.

또한, 발전부(230)는 태양전지판(231)과 태양전지판(231)에서 출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축전부(250)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wer generation unit 230 includes a charging circuit unit 233 that charges the power storage unit 250 using the current output from the solar panel 231 and the solar panel 23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2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이나 들에 설치된 전신주(400) 또는 나무 등과 같은 기존에 설치된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판(231)은 보관함 하우징(2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to a previously installed structure such as a telephone pole 400 or a tree installed in a mountain or the lik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solar panel 231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ase 210.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2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을 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지주(500)를 설치하고, 그 지주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판(231)은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하우징(2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의 상부에 별도의 구성으로 태양전지판(23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B,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upport 500 for fixing the storage box to the ground, have. In this case, the solar panel 231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ase 210 as shown in FIG. 3A, but as shown in FIG. 3B, (231) is preferably provided.

한편, 태양전지판(231)은 보관함 하우징(2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충전회로부(233), 축전부(250), 제어부(240), 근거리 통신부(260), 및 원거리 통신부(270)는 보관함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환기부(222), 반출 감지 센서(224), 온도센서(221), 발열부(223), 거치부(227) 및 조명부(226)는 자동제세동기(10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보관함 하우징(210)에 형성된 수용부(220) 내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solar panel 23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and the charging circuit 233, the power storage unit 250, the control unit 240,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it 260, and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unit 27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10. The ventilating unit 222, the carry-out sensor 224, the temperature sensor 221, the heat generating unit 223, the mounting unit 227 and the illuminating unit 226 are arranged to stor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therein.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formed in the housing 210.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보관함 하우징(210)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수용부(220)와 보관함 하우징(210)의 외면 사이에 단열재를 포함하여 외부와 열 교환을 차단하고, 전면에는 자동제세동기(100)를 꺼낼 수 있도록 문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전면에 형성된 문은 외부에서 내부에 거치된 자동제세동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와의 열 차단을 위해서, 하우징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단열재를 포함하고 외부에 자동제세동기가 도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case housing 210 is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and includes a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receiving part 2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ase 210 to block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 door is formed so that the door can be taken ou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doo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may be formed of glass, or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ousing And the automatic defibrillator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보관함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수용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220) 내부에는 자동제세동기(1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자동제세동기(100)는 거치부에 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거치부(227)는 수용부(220) 중 문에 대응되는 면에 자동제세동기(100)를 걸어서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나, 수용부(220)의 바닥면에 자동제세동기(10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 receiving portion 220 is formed in the housing 210 and a receiving portion 22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220, It is mounted in the department. 3, the mounting portion 227 is formed to be capable of mount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on the face corresponding to the door of the receiving portion 220 by hang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can be placed thereon.

반출 감지 센서(224)는 거치부(227)의 내부 또는 거치부(227)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문을 개방하고 자동제세동기(100)를 거치부(227)로부터 이탈시키면, 자동제세동기(100)의 반출을 감지하여 제어부(240)로 자동제세동기(100)의 반출사실을 통지한다. 반출 감지 센서(224)는 스위치로 구현되어 거치부(227)에 자동제세동기(100)가 거치되어 있는 동안에는 자동제세동기(100)와 접촉하여 스위치 온되고, 자동제세동기(100)가 반출되면 스위치 오프됨으로써 자동제세동기(100)의 반출 여부를 제어부(240)로 통지할 수 있다.When the user opens the door and releases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from the mounting portion 227, the automatic defibrillation sensor 224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r the mounting portion 227 of the mounting portion 227, The control unit 240 senses the release of the synchronizer 100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240 of the removal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The carry-out detection sensor 224 is implemented as a switch and is switched on by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whil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being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27. Whe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controller 240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carried out by being switched off.

발전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231)과 충전회로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양전지판(231)은 하우징(210) 상부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솔라셀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태양전지판(231) 자체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power generation section 230 includes the solar panel 231 and the charging circuit section 233 as described above. The solar panel 231 can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210, and the solar cells are regularly arranged inside the solar panel 231. The solar panel 231 itself has a well-known structur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충전회로부(233)는 태양전지판(231)과 연결되어, 태양전지판(231)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축전부(250)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충전전류로 변환하여 축전부(250)로 출력함으로써, 축전부(250)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The charging circuit 233 is connected to the solar panel 231 to convert the current output from the solar panel 231 into a charging current suitable for charging the power storage unit 250 and output to the power storage unit 250 , And stores electric energy in the power storage unit (250).

축전부(250)는 2차 전지로 구현되어 충전회로부(233)로부터 입력되는 충전전류에 의해서 충전되고,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2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로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storage unit 250 is implemented by a secondary battery and is charged by the charging current inputted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233 and supplies power to the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200.

이렇게, 본 발명의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20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스스로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상용 전기가 연결되지 않는 산이나 들에도 설치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mountains or the like where commercial electricity is not connected by producing electricity by itself using sunlight.

근거리 통신부(260)는 자동제세동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수행 내용을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근거리 통신부(260)는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등과 같은 종래에 공지된 근거리 통신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10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또는 중앙 관리 서버(300)의 요청을 제어부(240)로 수신하여, 자가 점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가 점검 기능을 수행하여 현재 남아있는 배터리 레벨 및 고장 유무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26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부(240)로 전송한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60 communicates wit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and outputs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to the controller 240.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60 may be implemented as a conven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such as a Bluetooth module, a ZigBee module, or the lik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self-check function by receiving the request of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or by the control unit 240, The battery level, and the presence / absence of a failure, to the controller 240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260.

원거리 통신부(270)는 제어부(240)의 제어하에 3G 통신망, 4G LTE 통신망 등을 통해서 원거리의 중앙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응급 상황 발생 여부, 자동제세동기(100)의 상태 정보(배터리 레벨 및 고장 유무 등을 포함함)를 중앙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270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3G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4G LTE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40 to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ncluding the battery level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ilure)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

온도센서(221)는 자동제세동기(100)가 수용된 수용부(220)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제세동기(100)가 수용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제세동기(100)는 0도 이하의 온도 및 55도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되면 장비의 특성상 응급상황에서 작동이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온도센서(221)로 자동제세동기(100)의 보관 온도를 측정하여, 보관함(20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자동제세동기(100)가 보관된 수용부(220) 내부에 온도센서(221)를 설치하여, 수용부(220) 내부 온도가 사전에 정의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송풍기로 구현된 환기부(222)를 가동시키거나 내부의 발열부(223)를 작동시켜 수용부(220)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The temperature sensor 221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housed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housed and output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24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stored at a temperature of 0 degrees or less and a temperature of 55 degrees or more, the device can not be oper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200 is kept constan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emperature sensor 221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20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stored,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ng part 220 is outside the predefined temperature range, The ventilating unit 222 is operated or the internal heat generating unit 223 is operated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ng unit 220 constant.

환기부(222)는 수용부(220)에 형성된 통기공(222-1)에 설치되는 송풍기(팬)(222-2)로 구현되어, 수용부(2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수용부(220)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수용부(220) 내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통기공(222-1)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통기공(222-1) 중 적어도 하나에 송풍기(222-2)가 설치되어 있다. The ventilating portion 222 is implemented as a fan 222-2 provided in the vent hole 222-1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220 so as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to the outside, And functions to control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ng part 220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To this end, a pair of ventilation holes 222-1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At least one of the pair of ventilation holes 222-1 is provided with a blower 222-2, Respectively.

또한, 한 쌍의 통기공(222-1)에는 평상시에는 통기공을 막아 외부로부터의 빗물 유입 등을 차단하고 있으나, 송풍기(222-2)가 구동됨에 따라서 수용부(220) 내부에 공기 흐름의 변화가 발생하면, 이에 의해서 개폐되어 외부의 공기가 수용부(2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공 커버(미도시 됨)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한 쌍의 통기공은 각각 수용부(220)의 일 측면과 하면에 설치되었으나, 통기공(222-1)의 설치 위치는 설계 조건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pair of ventilation holes 222-1 normally block the ventilation holes to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from the outside, as the ventilator 222-2 is driven, A vent hole cov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open / close the vent hole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ventilation holes ar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bottom 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respectively, bu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ntilation hole 222-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발열부(223)는 수용부(220)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서 축전부(25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발열함으로써 수용부(2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발열부(223)는 수용부(220) 표면에 설치된 열선 또는 발열 전구 등과 같이, 수용부(2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구현 방식에 제한이 없다.The heat generating unit 223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220 and generates heat by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torage unit 2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40 to rai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ceiving unit 220. The heating unit 22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its implementation method as long as it can rai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220, such as a heat wire or a heat emitting bulb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220.

조명부(226)는 야간에 사용자들이 실외에 설치된 자동제세동기(100)를 인식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실외 보관함(200)에 조명을 인가한다. 조명부(226)는 제어부(240)에 의해서 일정한 시간(예컨대, 저녁 7시부터 아침 5시)에 점등되거나, 조도센서(225)와 연동되어 주변 조도가 일정한 조도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240)의 제어하에서 점등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226 applies illumination to the outdoor storage box 20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and us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nstalled outside the room at night. The illuminating unit 226 is turned on at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t 5:00 in the evening from 7:00 pm) by the control unit 240 or interlocked with the illuminance sensor 225 to reduce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ng unit 226 And can be turned on under control.

조도 센서(225)는 조도에 따라서 조명부(226)를 점등시키는 경우에 추가되는 구성으로서, 주변 조도를 측정하여 제어부(240)로 출력한다.The illuminance sensor 225 is a configuration added when the illuminating unit 226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illuminance, and measures the ambient illuminance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240.

제어부(240)는 온도센서(221)로부터 입력된 온도값에 따라서, 환기부(222)를 구동시켜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 온도를 낮추거나, 발열부(223)로 전력을 공급하여 수용부(2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용부(220) 내부의 온도를 0도 내지 45도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부(240)는 여름철에 온도센서(221)로부터 입력된 수용부(220) 내부온도가 40도를 넘어가는 경우에 환기부(222)를 구동시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수용부(220)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써 수용부(220) 내부의 온도가 45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controller 240 drives the ventilating unit 222 to flow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to lower the internal temperature or to supply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unit 223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21 Thereby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portion 220. For examp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sir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from 0 to 45 degrees, the controller 240 controls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20 exceeds 40 degrees, the ventilating part 222 is driven to flow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20, Is prevented from rising to more than 45 degrees.

마찬가지로, 제어부(240)는 겨울철에 온도센서(221)로부터 입력되는 수용부(220) 내부의 온도가 5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발열부(223)가 축전부(250)의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되도록 제어하여 수용부(2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수용부(220)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Similarly,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part 220 inpu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21 falls below 5 degrees in the winter, the control part 240 receives the electric power of the power storage part 250 by the heating part 223 The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to 0 degree or less by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

또한, 제어부(240)는 산이나 들과 같은 실외에 설치된 실외 자동제세동기 보관함(200)을 야간에도 사람들이 쉽기 인지할 수 있도록 조명부(226)를 점등시키고 점멸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40)는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예컨대, 저녁 7시부터 아침 5시까지)으로 조명부(226)를 점등시킬 수 있고, 조도 센서(225)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값을 이용하여 조도 센서(225)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값이 사전에 정의된 조도 범위 내인 경우에는 조명부(226)로 축전부(250)의 전력을 공급하여 조명부(226)를 점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40 may turn on and blink the illumination unit 226 so that people can easily recognize the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200 installed outside the room, such as a mountain or the like, at nigh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40 can illuminate the illumination unit 226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from 7:00 pm to 5:00 am in the morning) using an internal timer, and the illumination value input from the illumination sensor 225 The lighting unit 226 may be turned on by supplying the power of the power storage unit 250 to the lighting unit 226 when the illuminance value in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225 is withi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range.

이 때, 제어부(240)는 축전부(250)에 충전된 잔여 전력 레벨을 조사하여, 잔여 전력 레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술한 조명부(226)를 점등할 수 있고, 축전부(250)의 축전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조명부(226) 및 조도 센서(225)는 생략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40 may check the residual power level charged in the power storage unit 250, and may selectively turn on the illumination unit 226 according to the remaining power level, The illuminating unit 226 and the illuminance sensor 225 may be omitted.

한편, 제어부(24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근거리 통신부(260)를 통해서 자동제세동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제세동기(100)의 자가 상태 점검 결과(배터리 레벨 및 고장 유무 등)인 상태 정보 및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점검 결과 및 사용 상태를 원거리 통신부(270)를 통해서 중앙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자가 상태 점검은 자동제세동기(100)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스스로 수행하여 제어부(24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제어부(240)가 일정한 시간 주기 또는 원거리 통신부(270)를 통해서 중앙 관리 서버(300)로부터 요청을 받아 자가 상태 점검을 수행하도록 자동제세동기(100)로 지시하고, 자동제세동기(100)가 이에 따라서 자가 상태 점검을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240 communicates wit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60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o determine whether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in a state And transmits the received status check result and the usage status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270. The status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usag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In this case, the self-diagnosis may be performed by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tself 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4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270, And instructs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to perform the self-condition check, and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may perform the self-condition check accordingly.

또한, 제어부(240)는 반출 감지 센서(224)로부터 사용자가 자동제세동기(100)를 반출하였음을 입력받으면, 원거리 통신부(270)를 통해서 중앙 관리 서버(300)로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receives the notification that the user has taken out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from the take-out sensor 224 and indicates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via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270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can be transmitt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반출 감지 센서(224)를 거치부(227)에 연동되도록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반출 감지 센서(224)를 거치부(227) 이외에 하우징(210)에 설치된 문(212)에 연동시켜, 사용자가 문(212)을 개방하면 자동제세동기(100)의 반출로 인식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원거리 통신부(270)를 통해서 중앙 관리 서버(300)로 응급 상황 발생을 통지할 수도 있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sensor 224 is install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mount 227. Howev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sensor 224 may be mounted on the mount 227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212 by interlocking with the door 212 installed in the housing 210,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0 is taken out and recognize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he server 300 may be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자동제세동기 200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210 보관함 하우징 220 수용부
221 온도센서 222 환기부
222-1 통기공 222-2 송풍기
223 발열부 224 반출 감지 센서
225 조도 센서 226 조명부
230 발전부 231 태양전지판
232 충전회로부 240 제어부
250 축전부 260 근거리 통신부
270 원거리 통신부 300 중앙 관리 서버
100 Automatic Defibrillator 200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Box
210 Storage case 220 housing part
221 Temperature sensor 222 Ventilation part
222-1 Ventilation hole 222-2 Blower
223 Heating part 224 Exit sensor
225 illuminance sensor 226 illuminator
230 power generation section 231 solar panel
232 charging circuit unit 240 control unit
250 Power storage unit 260 Local communication department
270 Remote Communication Unit 300 Central Management Server

Claims (10)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으로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부;
상기 자동제세동기를 수용하는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전부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서, 상기 발열부로 상기 축전부에 저장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As an outdoor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system using sunlight,
A power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solar light;
A power storage unit for storing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tain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 heat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nd generating heat by receiving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to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a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통기공에 설치된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서 상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lower installed in a vent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ower according to a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한 쌍의 통기공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통기공에는 상기 송풍기가 구동됨에 따라서 변화되는 내부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개폐되는 통기공 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air of air vents so that external air can flow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blower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air vents,
Wherein the pair of ventilation holes are provided with a vent hole cover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a flow of internal air which is changed as the blower is driv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보관함의 상부에 형성된 태양전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축전부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solar panel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And
And a charging circuit unit for charging the power storage unit using a current generated from the solar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열선 또는 발열 전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generating unit is embodied as a heat ray or an exothermic light bul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자가 상태 점검 결과(상태 정보) 및 사용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mmunicates wit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to check a result of the self-diagnosis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state information) and the use stat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제 6 항에 있어서,
원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상기 상태 정보 및 사용 상태를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telecommunication s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usage status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거치되는 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반출 여부를 감지하는 반출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출 감지 센서로부터 반출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반출사실을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radle for receiv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Wherein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 carry-ou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carried out,
Wherein the control unit informs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of the removal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hrough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when receiving the removal detection signal from the removal detection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야간에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위치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 내부에 설치된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can be recognized from outside at n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되어 수용부와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housing to prevent heat exchange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outside.
KR1020130085151A 2013-07-19 2013-07-19 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KR1015198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51A KR101519871B1 (en) 2013-07-19 2013-07-19 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51A KR101519871B1 (en) 2013-07-19 2013-07-19 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17A true KR20150010317A (en) 2015-01-28
KR101519871B1 KR101519871B1 (en) 2015-05-13

Family

ID=5248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151A KR101519871B1 (en) 2013-07-19 2013-07-19 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87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759A (en)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KR102152282B1 (en) * 2020-03-16 2020-09-04 (주)아이즈텍 Defibrill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st Aid
KR20220155039A (en) * 2021-05-14 2022-11-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Aed and its outdoor storage box system powered by rechargeable solar energ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5661A (en) * 2010-06-24 2012-01-12 Katsuhiro Iida Outdoor type aed storage box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759A (en)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Energy harvesting sensor module
KR102152282B1 (en) * 2020-03-16 2020-09-04 (주)아이즈텍 Defibrill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st Aid
KR20220155039A (en) * 2021-05-14 2022-11-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Aed and its outdoor storage box system powered by rechargeable solar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871B1 (en)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3916B (en) The processor hazard detection system of bifurcated
US7897277B2 (en) Reversible battery cartridge
US20080265782A1 (en) Lighting System Control Device Charging System and Method
ES2673112T3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20050012633A1 (en) Emergency lighting fixture in switch cover
CN108292857A (en) The self-adaptive electric power management of self-holding energy collecting system
KR101291415B1 (en) A cabinet of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managment system
WO2006030432A1 (en) An illumination unit employing a led or a fluorescent lamp for normal and emergency operation
ES2555883B1 (en) Indicator of faults in a circuit for use in an energy monitoring network and associated procedure
KR101519871B1 (en) Outdo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CN204044597U (en) A kind of smart meeting room master control system circuit
CN112583939B (en) Remote maintenance method and remote maintenance device for defibrillator
CN105204689B (en) A kind of external memb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being embedded in touch screen in refrigerator doors
CN209196698U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KR20170062269A (en) Apparatus for sensing enviromental condition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mental condition
CN207945604U (en) A kind of flat embedded type fire control emergency light
JP2018170949A (en) Power supply system
CN211790889U (en) Dosimeter storage charging cabinet
JP2016201347A (en) Night illumination lamp
CN211375752U (en) Intelligent alarm system of community
CN108497607A (en) A kind of smart home access control system and smart home shoes
CN208654587U (en) A kind of control system of light sensor and smart home
CN206833178U (en) A kind of Intelligent housing panel
CN104270871B (en) LED wisdom centrally connected power source management system
CN220323940U (en) Face recognition access contro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