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925A -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925A
KR20180023925A KR1020180019650A KR20180019650A KR20180023925A KR 20180023925 A KR20180023925 A KR 20180023925A KR 1020180019650 A KR1020180019650 A KR 1020180019650A KR 20180019650 A KR20180019650 A KR 20180019650A KR 20180023925 A KR20180023925 A KR 2018002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afety
safe area
sa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324B1 (ko
Inventor
지인배
장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1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3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 및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제2 단말에서의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상기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 지역 정보를 이용해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모 단말이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그를 통해 자녀의 현재 위치 기준으로 안전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장소로의 이동 경로를 자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Safety Zone Information, Apparutu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부모 단말에서 자녀의 현재 위치 조회 시 현재 자녀 위치에 대응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재 출시되는 모바일 기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웹 브라우징, 채팅, TV 시청, 네비게이션, 게임,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 제조 회사들은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또한,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모바일 뱅킹, 모바일 쿠폰, 교통 카드, 게임, 보안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탑재되고 있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고사양의 프로세서와 고해상도의 터치 스크린 화면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GPS 수신기 등의 측위 수단이 구비되어 각종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의 보급에 따라 자녀들의 모바일 기기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이동 시스템을 통한 자녀 안전 관리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휴대 단말기를 통한 위급 상황 알림 기능은 위급 상황에 처한 당사자가 자신이 처한 위급 상황을 스마트폰상에 구비된 소정 메뉴 또는 버튼을 선택하여 미리 지정된 지인 또는 기관에 직접 통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위급 상황이 발생된 경우-예를 들면, 범죄자에 의해 납치되거나, 재난 사고 등에 의해 거동이 불편하거나 의식이 없거나, 어린 자녀가 길을 잃는 등을 경우를 포함함-, 사고 당사자가 직접 구조나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연락을 취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어른에 비해 해당 응급 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위급 상황 알림 기능은 어린이에게는 그 효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해당 위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위급 상황 알림 기능은 자녀의 현재 위치 기준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장소를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위급 상황 발생 시 자녀에게 안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모 단말에서 자녀 단말의 위치 조회 시 자녀의 현재 위치 기준으로 신뢰성 있는 안전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모 단말에서 자녀 단말의 위치 조회 시 자녀의 현재 위치로부터 거리에 기반하여 안전 지역 리스트를 제공하고, 특정 안전 지역 선택 시 해당 안전 지역까지의 이동 경로를 지도에 매핑하여 자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 및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제2 단말에서의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상기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 지역 정보를 이용해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지역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반경 내 선택 가능한 안전 지역이 가까운 거리순으로 정렬된 안전 지역 리스트 및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선택 가능한 안전 지역이 지도상에 매핑되어 표시된 안전 지역 안내 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지역 리스트에 포함된 안전 지역 또는 상기 안전 지역 안내 지도에 표시된 안전 지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세 정보는 팝업 창을 이용하여 표시되되, 상기 팝업 창은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에 대응되는 주소 및 전화 번호 정보와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까지의 거리 및 이동 수단에 관한 정보와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으로의 전화 연결을 위한 제1 버튼과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으로 소정 보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 선택된 상기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길찾기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찾기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산출된 상기 안전 이동 경로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찾기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단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안전 이동 경로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안전 지역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갱신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지역은 관공서, 치안 센터, 아동안전지킴이 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은 자녀 단말이고 제2 단말은 부모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에서의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안전 지역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안전 지역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지역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반경 내 선택 가능한 안전 지역이 가까운 거리순으로 정렬된 안전 지역 리스트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선택 가능한 안전 지역이 지도상에 매핑되어 표시된 안전 지역 안내 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안전 지역을 포함하는 소정 안전 이동 경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안전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지역은 관공서, 치안 센터, 아동안전지킴이 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은 자녀 단말이고 상기 제2 단말은 부모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 및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요청하여 획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상기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수단과 상기 안전 지역 정보를 이용해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는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안전 지역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을 추출하는 안전 지역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안전 지역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까운 거리 순으로 정렬하여 안전 지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안전 지역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추출된 안전 지역을 지도상에 매핑하여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생성하는 안전 지역 안내 지도 생성부와 상기 안전 지역 리스트 및 상기 안전 지역 안내 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은 외부 요청에 따라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과 소정 제어 절차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 리스트 및 안전 지역 안내 지도가 포함된 안전 지역 정보를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지역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안전 지역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까운 거리 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안전 지역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추출된 안전 지역을 지도상에 매핑하여 상기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생성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모 단말에서 자녀 단말의 위치 조회 시 자녀의 현재 위치 기준으로 신뢰성 있는 안전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모 단말에서 자녀 단말의 위치 조회 시 자녀의 현재 위치로부터 거리에 기반하여 안전 지역 리스트를 제공하고, 특정 안전 지역 선택 시 해당 안전 지역까지의 이동 경로를 지도에 매핑하여 자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동 지킴이 집 사업을 보다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 및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장점 및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장점 및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 밴드 형태, 손목 시계 형태, 반지 형태, 안경 형태 등 인체에 착용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체 정보 수집을 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맥파 정보, 체온 정보, 동공 변화 정보, 눈물 감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는 현재 심리 상태 즉 감정 지수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도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손목 시계 형태의 웨어어블 디바이스는 맥파(PPG(PhotoPlethysmoGraph))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맥파 센서를 통해 맥파 다양성 정보, 심박수 정보, 혈류 지수 정보, 교감활성 정보, 부교감활성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시계 형태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형, 삼각형 형태, 사각 형태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말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기능은 후술할 도면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지털 정보 기기에 탑재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앱"이라 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을 앱(App)과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는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출력부(150), 외부 인터페이스부(160), 전원 공급부(170), 제어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단말(100)의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모두가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닐 수 있으며, 단말(100)의 형태 및 목적에 따라 그 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단말(100)이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100)과 단말(100)에 연동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함- 사이 또는 단말(100)과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 AP(Access Point)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및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소정 사용자 메뉴 설정 또는 연동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소정 제어 절차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어 신호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100)은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페어링될 수 있으며, 페어링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면, 다양한 서비스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폰북 다운로드 등을 포함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이동 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 소정 서버로부터 안전 지역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예를 들면, 부모-는 자신의 단말(100)에 탑재된 소정 앱상의 소정 메뉴 선택을 통해 자녀 단말에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자녀 단말이 현재 위치 정보를 부모 단말에 제공하면, 부모 단말은 미리 지정된 서버에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안전 장소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된 안전 장소 정보는 관공서 정보, 아동안전지킴이집 정보-예를 들면, 아동안전지킴이집은 미리 지정된 편의점, 약국, 문방구 등을 포함함-, 경찰서/파출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장소 정보는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까운 순으로 정렬된 안전 장소 리스트뿐만 아니라 현재 자녀 단말의 위치 및 안전 장소 정보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장소 리스트에는 안전 장소 별 안전 등급 또는 보호 등급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전 장소 리스트에 포함된 안전 장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안전 장소의 상세 주소 정보 및 연락처 정보가 단말(100)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안전 장소 리스트에 포함된 안전 장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소정 경로 제공 버튼을 선택하면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선택된 안전 장소까지의 안전한 이동 경로가 지도상에 매핑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소정 메뉴 선택에 따라, 단말(100)은 선택된 안정 장소까지의 안전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자녀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정 메뉴 선택 또는 화면에 표시된 연락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안전 장소로의 전화 통화를 시도하거나 소정 자녀 보호 협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자녀 보호 협조 요청 메시지에는 협조 요청 문자열뿐만 아니라 자녀의 사진, 성별, 키, 나이, 의복 착용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GPS 수신 모듈은 측위 위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 단말은 GPS 수신 모듈을 통해 확인된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자녀의 현재 위치 정보가 매핑된 지도상에 추가 표시하여 자녀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자녀는 부모가 주변에 있음을 인지하여 위급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녀 단말은 부모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안전 지역 정보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자녀는 지도상에 표시된 특정 안전 지역을 선택하여 직접 통화를 시도함으로써,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된 지도 정보에는 부모의 현재 위치 정보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녀는 지도상에 표시된 부모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선택하여 부모와의 직접 통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100)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부(120)에 의해 수집되는 센싱 정보는 단말(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 단말(100)의 위치 정보, 사용자 접촉 유무 정보, 단말(100)의 방위 및 고도 정보, 단말(100)의 회전 및 움직임 정보, 단말(100)의 속도/가속도/감속 정보, 단말(100) 외부의 온도/습도/광도 정보, 주변 기기 연결 감지 정보-예를 들면, 이어폰 연결 및 제거-, 주변 소리 정보, 외부 통신 기기와의 연결 정보 등과 같이 단말(100)의 내/외부의 현재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1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12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세부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상태 보고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단말-예를 들면, 부모 단말- 또는 소정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상태 정보는 혈압 상태 정보, 맥박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와 움직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혈압 및(또는) 맥박수가 미리 정의된 정상 기준치를 벗어나거나 소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단말(100)은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가 미리 지정된 지도상의 경계를 벗어난 경우, 자녀 단말은 상태 보고 메시지를 부모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모는 자신의 단말에 탑재된 소정 앱을 통해 자녀의 활동 가능 범위를 주거하는 아파트 단지로 제한하거나 부모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출력부(15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자녀 단말은 부모 단말로부터 주변 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자녀 단말의 카메라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부모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범죄자에 영상 촬영이 노출되지 않도록, 후레쉬 기능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4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미리 지정된 서버 또는 자녀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관공서, 아동안전지킴이집 등에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단말(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일 예로, 자녀 단말은 부모 단말로부터 주변 음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자녀 단말의 동작 모드에 상관없이 마이크를 구동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외부 음향 신호-즉, 자녀 단말 주변의 소리-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부모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자녀 단말은 주변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된 주변 음성을 미리 지정된 서버 또는 자녀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관공서, 아동안전지킴이집 등에 전송할 수도 있다.
마이크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정보, 수신된 문자 메시지, 소정 긴급 상황 알림 문자열, 일정 정보, 알람 설정 정보, 정지영상, 동영상, 센서의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 각종 응용 프로그램 등을 포함함)이 임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안전 지역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서버 주소 정보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단말(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4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은 서로 다른 타입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100)이 손목 시계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본체의 일측에 제1 저장 모듈이 탑재되고, 본체와 연결된 손목 밴드의 일측의 제2 저장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저장 모듈의 타입은 램이고, 제2 저장 모듈의 타입은 카드 타입의 메모리일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 음향 출력 모듈 및 알람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100) 바디 중 디스플레이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100)의 내부 영역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싱 모듈이 배치될 수도 있다. 근접 센싱 모듈은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근접 센싱 모듈은 접촉식 센싱 모듈에 비해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싱 모듈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싱 모듈로 분류될 수도 있다.
단말(100)에 구비되는 음향 출력 모듈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은 단말(100)의 일측에 구비된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모듈은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단말(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또한, 알람 모듈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 소자 또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알람 모듈은 긴급 통화 모드에서 제어부(180)에 의해 착신 통화가 요청되고 있음을 알리는 진동 벨 및 발광 소자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60)는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단말(10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단말(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소정의 포트를 통하여 단말(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무선 인터넷 연결, 근거리 통신 연결 등을 포함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각종 응용 프로그램, 위젯의 설치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사용자의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구동하여 주변 영상을 자동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부모 단말, 미리 지정된 댁내 TV, 미리 지정된 관공서, 아동안전지킴이 집 등에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단말(100)의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단말(100)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은 부모 단말(210), 자녀 단말(220),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230), 유/무선통신망(240), 관공서 단말(250), 아동안전지킴이 단말(260), GPS 위성(270), 측위 서버(2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모 단말(210)은 유/무선통신망(240)을 통해 자녀 단말(220)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자녀 단말(220)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구비된 GSP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유/무선통신망(240)을 통해 부모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
자녀 단말(220)은 GPS 위성(270) 신호 수신이 불가능하거나 GPS 수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측위 서버(280)에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부모 단말(210)은 자녀 단말(220)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소정 안전 지역 정보 요청 메시지를 유/무선통신망(240)을 통해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230)에 전송할 수 있다.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230)는 자녀 단말(220)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안전 지역(들) 또는(및) 안전 장소(들)을 해당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안전 지역 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참조하여 추출한 후, 해당 안전 지역들을 자녀 단말(220)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까운 거리 순으로 정렬하여 안전 지역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지역 또는 안전 장소는 경찰서, 소방서, 파출소, 동사무소 등을 포함하는 관공서, 놀이터, 학교 운동장 등을 포함하는 아동 보호 지역 및 미리 지정된 아동 안전 지킴이 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230)는 추출된 안전 지역들 및 자녀 단말(220)의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매핑하여 소정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230)는 상기 안전 지역 리스트 및 상기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유/무선통신망(240)을 통해 부모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
부모 단말(210)은 수신된 안전 지역 정보를 소정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된 화면에는 자녀 단말(220)의 현재 위치 및 안전 장소가 매핑된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된 안전 장소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부모 단말(210)은 선택된 안전 장소에 대응되는 상세 주소 정보 및 연락처 정보가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장소 리스트에 포함된 안전 장소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후, 소정 경로 제공 버튼이 선택하면, 부모 단말(210)은 자녀 단말(220)의 현재 위치에서 선택된 안전 장소까지의 안전한 이동 경로가 지도상에 매핑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소정 메뉴 선택에 따라, 부모 단말(210)은 선택된 안전 장소까지의 안전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자녀 단말(2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택된 안전 장소까지의 안전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230)에 의해 산출되어, 부모 단말(210)에 전송되거나, 부모 단말(210) 내부 탑재된 알고리즘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 단말(210)은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자녀 단말(2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 요청 메시지를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2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230)는 부모 단말(210)의 현재 위치, 자녀 단말(220)의 현재 위치, 안전 지역(장소)가 매핑된 지도 정보를 부모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 부모 단말(210)은 해당 지도 정보를 자녀 단말(220)에 전송하고, 자녀 단말(220)은 수신된 지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자녀 단말(220)은 지도상의 안전 지역(장소)가 선택되면, 선택된 안전 지역(장소)에 대응되는 단말로의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자녀 단말(220)은 지도상의 안전 지역(장소)가 선택되면, 선택된 안전 지역(장소)에 대응되는 단말로 소정 도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안전 지역에 대응되는 단말은 관공서 단말(250) 및 아동안전지킴이 단말(26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300)는 통신부(310), 안전 지역 추출부(320), 안전 지역 리스트 생성부(330), 안전 이동 경로 산출부(340), 안전 지역 안내 지도 생성부(350), 안전 지역 정보 데이터베이스(360), 지도 데이터베이스(370) 및 제어부(3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단말과의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상술한 도 1 내지 2의 부모 단말 및 자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지역 추출부(320)는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지역(장소)을 안전 지역 정보 데이터베이스(360)를 참조하여 추출할 수 있다.
안전 지역 리스트 생성부(320)는 안전 지역 추출부(320)에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 지역(장소)를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의 해당 안전 지역까지의 거리에 기반하여 정렬된 안전 지역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리스트 생성부(320)는 안전 지역(장소)별 미리 할당된 보호 등급에 기반하여 정렬된 안전 지역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보호 등급은 치안센터(파출소, 경찰서)>관공서(시청, 구청, 주민센터)>아동안전지킴이집 순으로 높은 보호 등급이 할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안전 이동 경로 산출부(340)는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해당 안전 지역(장소)까지의 안전한 이동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안전 지역 안내 지도 생성부(350)는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안전 지역, 부모 단말의 현재 위치, 안전한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지도 데이터베이스(370)를 참조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80)는 부모 단말로부터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안전 지역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안전 지역 리스트 및 안전 지역 안내 지도가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안전 지역 리스트 및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부모 단말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소정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앱이 실행되면, 부모 단말(410)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자녀 단말(420)에 전송할 수 있다(S401).
자녀 단말(420)은 구비된 측위 수단-예를 들면, GPS 수신 모듈을 포함함-을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S402),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위치 정보 응답 메시지를 부모 단말(410)에 전송할 수 있다(S403).
부모 단말(410)은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안전 지역 정보 요청 메시지를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430)에 전송할 수 있다(S404).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430)는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을 추출하여 안전 지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5). 여기서, 안전 지역 정보는 안전 지역 리스트 및 안전 지역 안내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430)는 생성된 안전 지역 정보가 포함된 안전 지역 정보 응답 메시지를 부모 단말(410)에 전송할 수 있다(S406).
부모 단말(410)은 수신된 안전 지역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상에서 사용자 선택된 안전 지역에 대한 길찾기 버튼이 선택되면(S407), 선택된 안전 지역에 대한 안전 이동 경로를 요청하는 소정 안전 이동 경로 요청 메시지를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430)에 전송할 수 있다(S408).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430)는 자녀 단말(420)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선택된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S409), 산출된 안전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안전 이동 경로 응답 메시지를 부모 단말(410)에 전송할 수 있다(S410).
부모 단말(410)은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안전 이동 경로가 표시된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자녀 단말(420)에 전송할 수 있다(S411). 여기서, 안전 지역 안내 지도에는 부모 단말(410)의 현재 위치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된 부모 단말(410)에 선택되면, 부모 단말(410)로의 통화 채널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지역 안내 지도에는 상기 407 단계에서 선택된 안전 지역이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안전 지역이 선택되면, 자녀 단말(410)은 선택된 안전 지역에 대응되는 연락처로의 전화 통화를 연결하거나, 소정 보호 요청 메시지를 해당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4의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부모는 자녀의 현재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거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정보가 표시된 단말 화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모 단말의 화면(500)에는 자녀의 현재 위치(501), 자녀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반경 내에 위치한 선택 가능한 안전 지역(장소)들(502)이 지도상에 매핑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500)에는 사용자 선택된 안전 지역으로의 안전한 이동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길찾기 버튼(503) 및 자녀 단말의 이동에 따른 안전 지역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버튼(504)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500)의 하단 일측에는 보다 상세하게 안전 지역을 확인하기 위한 주변 정보 확인 버튼(505)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 단말에서의 안전 지역 리스트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 화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주변 정보 확인 버튼(505)이 선택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녀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안전 지역 리스트(600)가 현재 자녀 위치로부터 가까운 거리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전 지역 리스트(600)에 포함된 안전 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역 상세 정보 팝업 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안전 지역 상세 정보 팝업 창(700)은 상기 도 5의 지도상에 표시된 안전 지역이 선택되거나, 상기 도 6의 안전 지역 리스트(600)에 포함된 안전 지역이 선택된 경우, 단말 화면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 지역 상세 정보 팝업 창(700)은 안전 지역 타입 식별 이미지(701), 안전 지역 이름(702), 안전 지역 주소 및 연락처 정보(703), 추천 이동 수단 정보(704),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해당 안전 지역까지의 거리 정보(705)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안전 지역 상세 정보 팝업 창(700)은 해당 안전 지역에 대응되는 연락처로의 전화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 걸기 버튼(710), 해당 안전 지역에 대응되는 연락처로의 소정 보호 요청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보호 요청 메시지 보내기 버튼(720)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녀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 선택된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가 표시된 단말 화면이다. 일 예로, 선택된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는 자녀 단말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 갱신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안전 이동 경로가 표시된 단말 화면의 일측에는 갱신 버튼(810)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갱신 버튼(810)이 선택되면, 자녀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갱신된 안전 이동 경로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자녀가 해당 안전 지역으로의 안전 이동 경로를 소정 기준치 이상 벗어나는 경우, 소정 알람 신호가 부모 단말에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이동 경로가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자녀 단말에 안전 이동 경로가 표시된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송부하기 위한 전송 버튼(820)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10: 부모 단말
220: 자녀 단말
230: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
320: 안전 지역 추출부
330: 안전 지역 리스트 생성부
340: 안전 이동 경로 산출부
350: 안전 지역 안내 지도 생성부

Claims (14)

  1. 제1 단말 및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제2 단말에서의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상기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지역 정보를 이용해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지역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반경 내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한 안전 지역이 지도상에 매핑되어 표시된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지역 안내 지도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한 안전 지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는 팝업 창을 이용하여 표시되되, 상기 팝업 창은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에 대응되는 주소 및 전화 번호 정보;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까지의 거리 및 이동 수단에 관한 정보;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으로의 전화 연결을 위한 제1 버튼; 및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으로 소정 보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 선택된 상기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길찾기 버튼을 더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길찾기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산출된 상기 안전 이동 경로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획득하여 표시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길찾기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단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안전 이동 경로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표시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안전 지역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갱신 버튼을 더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지역은 관공서, 치안 센터, 아동안전지킴이 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자녀 단말이고 상기 제2 단말은 부모 단말인,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0. 제2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에서의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안전 지역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안전 지역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지역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반경 내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한 안전 지역이 지도상에 매핑되어 표시된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안전 지역을 포함하는 소정 안전 이동 경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안전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지역은 관공서, 치안 센터, 아동안전지킴이 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자녀 단말이고 상기 제2 단말은 부모 단말인,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3.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안전 지역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을 추출하는 안전 지역 추출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추출된 안전 지역을 지도상에 매핑하여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생성하는 안전 지역 안내 지도 생성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안전 이동 경로 산출부; 및
    상기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포함하는 안전 지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이동 경로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안전 이동 경로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
  14. 외부 요청에 따라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
    소정 제어 절차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안전 지역 안내 지도가 포함된 안전 지역 정보를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제2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지역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추출된 안전 지역을 지도상에 매핑하여 상기 안전 지역 안내 지도를 생성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안전 지역까지의 안전 이동 경로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안전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80019650A 2018-02-20 2018-02-20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853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50A KR101853324B1 (ko) 2018-02-20 2018-02-20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50A KR101853324B1 (ko) 2018-02-20 2018-02-20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363A Division KR101832327B1 (ko) 2015-09-17 2015-09-17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925A true KR20180023925A (ko) 2018-03-07
KR101853324B1 KR101853324B1 (ko) 2018-04-30

Family

ID=6168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650A KR101853324B1 (ko) 2018-02-20 2018-02-20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4798A1 (en) * 2021-07-22 2023-01-26 Jaime Patton Sex trafficking prevention mobile appl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663B1 (ko) * 2019-02-21 2020-12-16 주식회사 고양이뿔 성폭력 예방을 위한 커뮤니티 매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4798A1 (en) * 2021-07-22 2023-01-26 Jaime Patton Sex trafficking prevention mobile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324B1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1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RU276997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ведомления
US110957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internet of things device
US9641664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sensor data
KR101677642B1 (ko) 스마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모니터링 방법
CN106471860B (zh) 移动终端和用于控制其的方法
KR102156902B1 (ko)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742808B2 (en) Mobi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making a telephone convers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05737804A (zh) 识别电子装置位置的方法、电子装置、和服务器操作方法
JP2015076714A (ja) 携帯端末装置、報知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97736B2 (en) Mobile terminal
KR101853324B1 (ko)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832327B1 (ko)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Ţepelea et al. Smartphone application to assist visually impaired people
KR10158226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정보 표시 제어 방법
US11095473B2 (en) Doorbell prompt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40176329A1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KR20160127200A (ko) 웨어러블 카메라 기반의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5138534A (ja) 電子機器
KR101613130B1 (ko) 다중 스마트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6998B1 (ko) 모바일 기기간 위치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594429B1 (ko) 긴급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23365B1 (ko) 잠금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163340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53754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