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532A - 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 - Google Patents

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532A
KR20180023532A KR1020160109056A KR20160109056A KR20180023532A KR 20180023532 A KR20180023532 A KR 20180023532A KR 1020160109056 A KR1020160109056 A KR 1020160109056A KR 20160109056 A KR20160109056 A KR 20160109056A KR 20180023532 A KR20180023532 A KR 20180023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wearer
inner cuff
knee
thi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0560B1 (en
Inventor
선동윤
Original Assignee
선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동윤 filed Critical 선동윤
Priority to KR1020160109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560B1/en
Publication of KR2018002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5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da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brace having a dual cuff, comprising: an inner cuff coupled to a thigh area or a shin area of a user; and an outer cuff connected to the inner cuff and dispos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to form a space part by being separated on the inner cuff when the user bends kne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joint part from deviating from an original wearing position.

Description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0001] 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 WITH DUAL CAFFE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다 펴는 과정에서 조인트부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무릎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orthosis having a double cuff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ee orthosis configured to prevent a position of a joint portion from deviating from its original position in a process of bending and stretching a knee.

일반적으로 무릎 보조기는 무릎관절 수술 내지 정형외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의 무릎 및 주변부위에 착용되어 무릎관절의 움직임을 제어 및 안정화시키고, 관절의 굴곡 상태를 제한하거나 교정하도록 하여 무릎 부상의 재발을 방지하도록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the knee orthosis is worn on the knee and the vicinity of the elderly, the elderly, and the patient who has undergone the knee surgery or orthopedic treatment, thereby controlling and stabilizing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restricting or correcting the flexion of the joint, To prevent recurrence of the disease.

종래의 무릎 보조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넓적다리와 정강이 부분을 각각 감싸는 반원호형 부재(10, 20)와 상기 반원호형 부재(10, 20)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브라케트(12, 22)와 상기 한 쌍의 브라케트(12, 22)를 서로 연결하되 착용자의 무릎관절 부위의 양측에 밀착되는 회동부재(14)를 크게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the conventional knee orthosis has a semi-arcuate arcuate member 10, 20 which respectively surrounds a thigh and a shank of the wearer, and a pair of brackets 20, And a tilting member (14) which connects the pair of brackets (12, 22) and the pair of brackets (12, 2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knee joint part of the wearer.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릎 보조기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다 펴는 과정에서 반원호형 부재(10, 20)가 착용자의 넓적다리 또는 정강이 부분을 압박하여 착용자를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knee orthos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semicircular arcuate members 10 and 20 push the thigh or shank of the wearer in the process of bending and stretching the knee, causing discomfort to the wearer.

또한, 반원호형 부재(10, 20)가 착용자의 다리를 압박할 시에 회동부재(14)가 미리 설정된 위치, 즉, 착용자의 무릎 관절 부위에서 벗어나게 되어 착용자가 수시로 회동부재(14)의 위치를 정위치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when the semicircular arcuate members 10 and 20 press the wearer's legs, the pivotal member 14 is displaced from a preset position, that is, the knee joint portion of the wearer, so that the wear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pivotal member 14 from time to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had to be adjusted to the correct position.

이에 따라, 근래에는 회동부재(14)에 상기 한 쌍의 브라케트(12, 22)의 접철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내장하거나 또는 반원호형 부재(10, 20)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하여 착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폈을 때 다리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tilting angle of the pair of brackets 12, 22 can be adjusted in the tilting member 14, or the semi-arcuate members 10, 20 can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method of minimiz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leg when the knee is bent or opened is suggested.

하지만, 회동부재(14)에 한 쌍의 브라케트(12, 22)에 접철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내장하는 방식은 무릎 보조기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여전히 착용자가 회동부재(14)를 수시로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knee orthosis is increased because the tiltable member 14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brackets 12 and 22 are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angle of folding. 14).

그리고, 반원호형 부재(10, 20)를 플렉시블 재질로 제작한다고 하여도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박력이 크게 줄지 못하여 여전히 회동부재(14)가 착용자의 무릎 관절에서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다.Even if the semicircular arcuate members 10 and 20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legs of the wearer can not be substantially reduced, and the pivoting member 14 is still deviated from the knee joint of the wearer.

따라서, 본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25404호의 '무릎정형보조기'가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hereto, there is a 'knee orthosis assistant'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9-025404.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다 펴는 과정에서 무릎 보조기의 조인트가 원래의 착용위치, 즉, 착용자의 무릎 관절 부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무릎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ee orthosis configured to prevent a joint of a knee orthosis from deviating from an original wearing position, i.e., a knee joint area of a wearer, in a process of bending and stretching the knee.

본 발명은,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에 결속되는 내측 커프; 및 상기 내측 커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내측 커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내측 커프와 연결되는 외측 커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cuff which is bound to a thigh region or a shin region of a wearer; And an outer cuff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and connected to the inner cuff movably with respect to the inner cuff.

또한, 상기 내측 커프 및 상기 외측 커프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ner cuff and the outer cuff ar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thigh portion or the shank portion of the wearer.

또한, 상기 외측 커프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상기 내측 커프로부터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한다.Further, the outer cuff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ff to form a space when the wearer bends the knee.

또한, 상기 외측 커프는, 상기 내측 커프의 길이방향 양단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Further, the outer cuff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inner cuff.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측 커프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폈을 때 상기 장공의 형성방향을 따라 직선왕복 운동이 가능하다.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member inserted into a slot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cuf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oving member is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lot when the wearer flexes or opens the knee .

또한, 상기 이동 부재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상기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에 결속된 상기 내측 커프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외측 커프가 상기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에서 멀어지게 한다.The moving member is moved along the slot in a direction away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inner cuff bound to the wearer's thigh or shin portion when the wearer knees the knee, Away from the thigh or shin area.

또한, 상기 외측 커프가 상기 내측 커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외측 커프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복원수단을 더 포함한다.And elastic restoring means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uter cuff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cuff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uff.

또한, 상기 외측 커프가 상기 내측 커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외측 커프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복원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원수단은 상기 내측 커프와 상기 외측 커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The elastic cuff may further include elastic restoring means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uter cuff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cuff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uff, wherein the elastic restor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uff and the outer cuff And elastically presses the mov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에 결속되는 제1 커프부; 상기 착용자의 정강이 부위에 결속되는 제2 커프부; 상기 제1 커프부와 상기 제2 커프부를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프부와 상기 제2 커프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내측 커프와, 상기 내측 커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내측 커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내측 커프와 연결되는 외측 커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uff comprising: a first cuff portion bound to a thigh portion of a wearer; A second cuff portion bound to the shank portion of the wearer; A fram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uff portion and the second cuff portion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uff portion and the second cuff portion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and at least one of the inner cuff and the inner cuff, And an outer cuff movably connected to the inner cuff.

또한, 상기 외측 커프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상기 조인트부가 착용자의 무릎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 커프로부터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outer cuff is spaced from the inner cuff so that the joint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knee joint when the wearer knees bent.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커프를 구비한 무릎 보조기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다 펴는 과정에서 조인트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상기 조인트부가 원래의 착용위치(착용자의 무릎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knee orthosis having the double c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load applied to the joint part in the process of bending and stretching the knee so that the joint part can be positioned at the original wearing posi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knee joint ) From being deviated fro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커프를 구비한 무릎 보조기는, 착용자에게 조인트부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수고를 덜게 하여 착용자가 무릎 보호기에 의한 무릎관절의 치료 및 보호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he knee orthosis having a double c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labor of re-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joint portion to the wearer so that the wearer can concentrate on the treatment and protection of the knee joint by the knee prot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릎 보조기가 굽혀졌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커프와 내측 커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외측 커프와 내측 커프의 결합 부위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커프와 내측 커프에 탄성복원수단이 마련된 보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복원수단이 연결부의 이동 부재와 연결되어 외측 커프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종래의 무릎 보조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orthosis having a double cuf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knee orthosis having a double cuf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knee orthosis shown in FIG. 2 when bent.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outer cuff and an inner c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ide view of the joint between the outer cuff and the inner cuff shown in Fig. 4; Fig.
FIG. 6 is a side view of moisturizing with elastic restoring means provided on an outer cuff and an inner cuff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ide view of the elastic restoring means shown in Fig. 6,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ing member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elastically press the outer cuf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knee orthosi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knee orthosis having a double cuf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릎 보조기가 굽혀졌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커프와 내측 커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외측 커프와 내측 커프의 결합 부위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커프와 내측 커프에 탄성복원수단이 마련된 보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복원수단이 연결부의 이동 부재와 연결되어 외측 커프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2 is a side view of a knee orthosis having a double cuf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an outer cuff and an inner c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outer cuff shown in FIG. FIG. 6 is a side view of moisturizing with an elastic restoring means provided on an outer cuff and an inner c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 And the elastic restor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moving member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elastically press the outer cuff. Fig.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커프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100)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에 결속되는 제1 커프부(110)와, 착용자의 정강이 부위에 결속되는 제2 커프부(110')와 상기 제1 커프부(110)와 상기 제2 커프부(110')를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부(120) 및 상기 프레임부(120) 상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인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a knee orthosis 100 having a double cuf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uff 110 bound to a thigh of a wearer, A frame 120 connecting the first cuff 110 and the second cuff 110 'to each other and a second cuff 110' And may include a joint portion 130 provided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100)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와 정강이 부위에 각각 착용되는 상기 제1 커프부(110) 및 상기 제2 커프부(110;)가 이중 커프 구조로 형성되어 착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폈을 때 상기 조인트부(130)가 미리 설정된 위치, 즉, 착용자의 무릎관절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knee orthosis 100 having a double cuf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uff 110 and a second cuff 110 which are respectively worn on a thigh and a shank of a weare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t portion 130 is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a knee joint position of the wearer when the wearer flexes or opens the knee.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커프부(110) 및 제2 커프부(110')의 세부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된다. 참고로, 상기 제1 커프부(110)와 상기 제2 커프부(110')는 착용자의 다리 부위에 착용되는 위치만 상이할 뿐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Therefor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first cuff portion 110 and the second cuff portion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For reference, the first cuff portion 110 and the second cuff portion 11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that they are worn on the leg portion of the wearer.

상기 제1 커프부(110)와 상기 제2 커프부(110')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와 각각 결속되는 내측 커프(111) 및 상기 내측 커프(111)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커프(1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상기 내측 커프(111)상에서 이격되어 공간부(S)를 형성하는 외측 커프(112);를 포함한다.The first cuff portion 110 and the second cuff portion 110 'are connected to the inner cuff 111 and the inner cuff 111 which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thigh or shank portion of the wearer, And an outer cuff 112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111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ff 111 to form a space S when the wearer has bent the knee.

상기 내측 커프(111) 및 상기 외측 커프(112)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커프(111) 및 상기 외측 커프(112)는 착용자의 허벅지 또는 정강이를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호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inner cuff 111 and the outer cuff 11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wearer's thigh or shank. That is, the inner cuffs 111 and the outer cuffs 112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cross-section of a cuff so that the wearer's thighs or shanks can be easily wrapped.

즉, 상기 제1 커프부(110)의 내측 커프(111) 및 외측 커프(112)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를 감싸고, 상기 제2 커프부(110')의 내측 커프(111) 및 외측 커프(112)는 착용자의 정강이 부위를 감쌀 수 있다.That is, the inner cuff 111 and the outer cuff 112 of the first cuff 110 surround the wearer's thigh and the inner cuff 111 and the outer cuff 112 of the second cuff 110 ' ) May wrap the wearer's shin portion.

또한, 상기 내측 커프(111) 및 상기 외측 커프(112)는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고무재질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inner cuffs 111 and the outer cuffs 112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and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or a p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그리고, 상기 외측 커프(112)는, 상기 내측 커프의 길이방향 끝단 부위와 연결되는 연결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13)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된 내측 커프의 길이방향 끝단, 즉 내측 커프(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프레임부(120)가 연결되어 있다.The outer cuff 112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113 connected to a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inner cuff.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13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inner cuff 111,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111, and the frame 1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상기 연결부(113)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커프(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장공(111a)에 삽입되는 이동 부재(114)를 포함한다.4 to 6, the connecting portion 113 includes a moving member 114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11a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cuff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이동 부재(114)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폈을 때, 상기 내측 커프(111)에 형성된 장공(111a)의 형성방향을 따라서 직선왕복운동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공(111a)은 상기 내측 커프(11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폈을 때 상기 이동 부재(114)는 상기 내측 커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 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114 can be linearly reciprocated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lot 111a formed in the inner cuff 111 when the wearer flexes or opens the knee. Here, the long hole 111a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111. Accordingly, when the wearer flexes or opens the knee, the moving member 114 can be linearly recipr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111. [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무릎을 폈을 때, 상기 내측 커프(111)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와 정강이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자의 다리에 감겨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커프(112) 또한 상기 내측 커프(111)의 외측에서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와 정강이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wearer opens his or her knees, the inner cuff 111 can be wound on the legs of the wearer in a state of being closely contacted with the wearer's thighs and shin parts. The outer cuff 112 may als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gh region and the shank region of the wearer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cuff 111.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보행 중이거나 의자에 앉기 위하여 무릎을 굽혔을 때, 상기 이동부재(114)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와 결속된 상기 내측 커프(11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장공(111a)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내측 커프(111)와 상기 외측 커프(112) 사이에 공간부(S)를 형성할 수 있다. 3, when the wearer is walking or bends his or her knees to sit on a chair, the moving member 114 moves the length of the inner cuff 111 bound to the wearer's thigh or shin portion, A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uff 111 and the outer cuff 112 by being moved along the long hole 111a in a direction away from both ends of the inner cuff 111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s. 4 and 5) can do.

즉, 상기 내측 커프(111)와 밀착되어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와 결속되어있던 상기 외측 커프(112)가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와 비접촉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cuff 11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uff 111 and is engaged with the wearer's thigh or shank, may be in noncontact with the wearer's thigh or shank.

위와 같이,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상기 내측 커프(111)와 상기 외측 커프(112)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와 정강이 부위에 가해지던 압박력이 줄어들게 되어 착용자가 무릎을 수월하게 굽혔다 폈다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조인트부(130)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게 되어 상기 조인트부(130)가 원래의 착용위치(착용자의 무릎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uff 111 and the outer cuff 112 when the wearer knees the kne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thigh and the shank of the wearer is reduced, The load applied to the joint portion 130 is reduced in the course of the above process, and the joint portion 130 is 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knee joint) to the original position It will not escape.

반대로, 착용자가 굽혀진 무릎을 폈을 때, 상기 이동부재(114)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와 밀착되어 결속된 상기 내측 커프(111)의 길이방향 양단 방향(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을 향해 상기 장공(111a)을 따라 이동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커프(112)가 상기 내측 커프(111)와 접촉되게 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wearer opens the bent knee, the moving member 114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inner cuff 111 tightly joined to the wearer's thigh or shin reg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along the long hole 111a so that the outer cuff 11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uff 111 as shown in FIGS.

즉, 상기 내측 커프(111)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와 비접촉되어 있던 외측 커프(112)는 상기 내측 커프(111)와 함께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와 밀착되어 결속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cuff 112 spaced from the inner cuff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not in contact with the wearer's thigh or shank part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thigh or shank part of the wearer together with the inner cuff 111 .

이때, 상기 내측 커프(11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커프(112)가 상기 내측 커프(1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외측 커프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복원수단(115)이 더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cuff 111 is provided with elasticity (elastic force) that provides restoring force to the outer cuff 11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cuff 112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uff 111, The restoration means 115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탄성복원수단(115)은 예컨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복원수단(115)이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현되었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내측 커프(1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측 커프(112) 또는 연결부(113)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틀린 스프링의 코일부는 상기 장공(1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부재(114)를 수용할 수도 있다.The elastic restoring means 115 may be realized, for example, by a torsion spring. 6,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fixedly connected to the inner cuff 11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uter cuff 112 (see FIG. 6) Or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13. [ At this time, the coil portion of the twisted spring may receive the moving member 114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111a.

또한, 탄성복원수단(11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커프(111)와 상기 외측 커프(11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부재(114)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The elastic restoring means 11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uff 111 and the outer cuff 112 to elastically press the moving member 114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내측 커프(111)에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고정부재(116)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 커프(111)에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코일부를 지지하는 제2고정부재(117)가 마련되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이 상기 내측 커프(111)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cuff 11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member 116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n addition, the inner cuff 111 is provided with a second fixing member 117 for supporting the coil part of the torsion spring, so that the torsion spring can be fixedly disposed on the inner cuff 111.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현된 탄성복원수단(115)이 상기 외측 커프(112)의 이동 부재(114)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외측 커프(112)의 연결부(113)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측 커프(112)를 탄성적으로 당길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restoring means 115 embodied as a torsion spring is connected to the moving member 114 of the outer cuff 112,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13 of the outer cuff 112 to elastically pull the outer cuff 112.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복원수단(115)은 무릎을 굽혔던 착용자가 무릎을 펴는 과정에서 상기 외측 커프(112)를 상기 내측 커프(111)상으로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여 착용자가 용이하게 무릎을 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restoring means 115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lastically presses the outer cuff 112 so that the wearer stretches the knee so that the outer cuff 112 closely contacts the inner cuff 111, It helps to expand.

한편, 내측 커프(11)와 외측 커프(12)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기 제1 커프부(110)와 상기 제2 커프부(110') 사이에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종아리 부위를 감싸는 다수개의 지지밴드(1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밴드(150)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20)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120)에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cuff 110 and the second cuff 110 include a first cuff 110 and a second cuff 110. The first cuff 110 and the second cuff 110 include a medial cuff 11 and an outer cuff 12, (150) may be provided. The support band 150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frames 120.

상기 지지밴드(150) 또한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종아리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호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재질 또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고무재질이나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support band 150 may also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of the arc that can cover the wearer's thigh or calf region, and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or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or a p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

그리고, 상기 내측 커프(110)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지지밴드(15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결속벨트(160)가 결합될 수 있다.The binding belt 160 may be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inner cuff 110 and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upporting band 150.

상기 결속벨트(160)는, 상기 내측 커프(110)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지지밴드(15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170)를 통하여 상기 내측 커프(110) 또는 상기 지지밴드(15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커프(110)와 상기 지지 밴드(150)가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무릎 관절 이하의 다리 부위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The binding belt 160 is connected to the inner cuff 110 or the support band 150 through openings 170 form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inner cuff 110 an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upport band 150, So that the inner cuff 110 and the support band 150 are firmly attached to the thighs of the wearer or the legs below the knee joint.

상기 결속벨트(160)는 암수 체결구(미도시) 또는 벨크로 파스너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내측 커프(110) 또는 상기 지지밴드(150)를 착용자의 다리 부위에 견고히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해당분야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된다.The binding belt 160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cuff 110 or the supporting band 150 is firm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leg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a male or female fastener (not shown) or a Velcro fastener Such a configuration is well know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내측 커프(110)와 상기 지지밴드(150)의 길이방향 내면에는 완충패드(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패드는 착용자의 다리 부위와 마주하는 상기 내측 커프(110) 또는 상기 지지밴드(150)의 면상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다리 부위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는 착용자가 상기 내측 커프(110)와 상기 지지밴드(150)로부터 발생되는 압박감이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buffer pad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uff 110 and the support band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cushioning pad is provided on the inner cuff 110 or the supporting band 150 facing the leg portion of the wearer to mitigate the impact on the leg portion of the wearer. In addition, the cushioning pads prevent the wearer from being burdened with pressure feeling generated from the inner cuff 110 and the support band 150.

상기 완충패드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고무재질이나, 그 외 플렉시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벨크로 파스너 또는 그외 공지의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내측 커프(110) 또는 상기 지지밴드(150)의 내면과 체결될 수 있다.The cushion pad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or other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uff 110 or the support band 150 through a Velcro fastener or other known fastening means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이중 커프를 구비한 무릎 보조기
110 : 제1 커프부 110' : 제2 커프부
111 : 내측 커프 111a : 장공
112 : 외측 커프 113 : 연결부
114 : 이동 부재 120 : 프레임부
130 : 조인트부 150 : 지지밴드
160 : 결속벨트 170 : 개구부
100: knee orthosis with double cuff
110: first cuff portion 110 ': second cuff portion
111: inner cuff 111a: elongated hole
112: outer cuff 113:
114 moving member 120 frame member
130: joint part 150: support band
160: binding belt 170: opening

Claims (10)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에 결속되는 내측 커프; 및
상기 내측 커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내측 커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내측 커프와 연결되는 외측 커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An inner cuff bound to the thigh or shin portion of the wearer; And
And an outer cuff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and connected to the inner cuff movably with respect to the inner cuf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프 및 상기 외측 커프는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cuff and the outer cuff are formed so as to surround a thigh portion or a shank portion of the wear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프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상기 내측 커프로부터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cuff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ff to form a space when the wearer flexes the kne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프는, 상기 내측 커프의 길이방향 양단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uter cuff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inner cuf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측 커프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폈을 때 상기 장공의 형성방향을 따라 직선왕복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member inserted into a slot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Wherein the moving member is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lot when the wearer flexes or opens the kne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상기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에 결속된 상기 내측 커프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외측 커프가 상기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 또는 정강이 부위에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ving member is moved along the slot in a direction away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bound to the thigh or shin portion of the wearer when the wearer is bent on the knee, Or away from the shin reg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프가 상기 내측 커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외측 커프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elastic restoring means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uter cuff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cuff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uf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프가 상기 내측 커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외측 커프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복원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원수단은 상기 내측 커프와 상기 외측 커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elastic restoring means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uter cuff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cuff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uff,
Wherein the elastic restor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uff and the outer cuff to elastically press the moving member.
착용자의 허벅지 부위에 결속되는 제1 커프부;
상기 착용자의 정강이 부위에 결속되는 제2 커프부;
상기 제1 커프부와 상기 제2 커프부를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프부와 상기 제2 커프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내측 커프와, 상기 내측 커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내측 커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내측 커프와 연결되는 외측 커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A first cuff portion bound to the wearer's thigh;
A second cuff portion bound to the shank portion of the wearer;
A fram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uff portion and the second cuff portion to each other; And
And a joint portion rotatably provided on the frame por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uff portion and the second cuff portion includes an inner cuff and an outer cuff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uff and connected to the inner cuff movably with respect to the inner cuff A knee orthosis having a double cuff structur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프는 착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상기 조인트부가 착용자의 무릎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 커프로부터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uter cuff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ff so that the joint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knee joint when the wearer is bent on the knee to form a space portion.

KR1020160109056A 2016-08-26 2016-08-26 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 KR101900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056A KR101900560B1 (en) 2016-08-26 2016-08-26 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056A KR101900560B1 (en) 2016-08-26 2016-08-26 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532A true KR20180023532A (en) 2018-03-07
KR101900560B1 KR101900560B1 (en) 2018-09-20

Family

ID=6168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056A KR101900560B1 (en) 2016-08-26 2016-08-26 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5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820A (en) * 2019-06-17 2020-12-28 노태진 Walking assistance device
CN113797006A (en) * 2021-08-13 2021-12-17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Isolation device for knee injury rehabilit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6539B2 (en) 2004-03-10 2015-01-06 Dean E. Cropper Knee orthosis and orthotic method
KR100780416B1 (en) 2007-06-11 2007-11-28 조상덕 Easy-to-wear knee brace
JP5608388B2 (en) 2010-02-24 2014-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Leg orthosis
KR101257679B1 (en) 2011-06-01 2013-04-29 서민지 Degenerative the knee joint suppor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820A (en) * 2019-06-17 2020-12-28 노태진 Walking assistance device
CN113797006A (en) * 2021-08-13 2021-12-17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Isolation device for knee injury rehabili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560B1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5304B2 (en) Lumbar orthosis
US8162864B2 (en) Hip orthosis, method for preventing the disclocation of a hip and use of a hip orthosis
US20090182254A1 (en) Orthopedic brace of knee joint
JP4839232B2 (en) Supporter
KR101900560B1 (en) 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
KR101874689B1 (en) Elastic band for orthopraxis and reinforcement of upper extremity or lower limb and tools for attaching the same
KR102540561B1 (en) Stabilization rod for orthopedic aids
JP6172717B2 (en) Knee joint orthosis
JP6534321B2 (en) Knee support
WO2016152736A1 (en) Worn article for covering knee section
KR101649335B1 (en) An ankle joint orthosis
JP6475725B2 (en) Knee joint orthosis
JP7233681B2 (en) knee brace
KR20230049300A (en) Leg correction knee brace
JP2005279153A (en) Walking corrector
JP3076502U (en) Knee support
TWI783766B (en) foot drop corrector
RU2782415C2 (en) Orthosis for maintenance of joint at rest
US20240173192A1 (en) Motion assistance apparatus
KR102458814B1 (en) Posture correction device for pelvic and spine correction
JP7237347B2 (en) bending support
KR19990018498U (en) Posture Correction Belt
KR200448125Y1 (en) Belt with flexibility
JP7229606B1 (en) knee supporter
JP7398087B2 (en) Walking assistanc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