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425A -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425A
KR20180023425A KR1020160108837A KR20160108837A KR20180023425A KR 20180023425 A KR20180023425 A KR 20180023425A KR 1020160108837 A KR1020160108837 A KR 1020160108837A KR 20160108837 A KR20160108837 A KR 20160108837A KR 20180023425 A KR20180023425 A KR 20180023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ximity
control unit
stat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378B1 (ko
Inventor
장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16010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3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여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응답 여부 또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판단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센싱에 의해 PC의 보안을 유지하고 시스템의 사용 에너지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Smart Energe Saving and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디바이스의 감지 신호 또는 사용자 센싱을 통해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시스템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 또는 PC의 보안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경우, 지정된 사용자만 기기를 사용하고, 지정된 사용자가 아닌 제3자가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등 보안을 위한 개발이 요구된다.
즉, PC 등의 전자기기를 타인이 사용하는 것은 방지하되, 사용자가 사용시에는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별도의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PC를 잠그거나 웨이크업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잦은 스마트키의 구동은 사용 편리성을 현저하게 저하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PC 등 전자기기의 사용도가 증가되어 전자기기의 에너지 절감도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PC의 경우에는 그 신속한 업무 처리를 위해 업무의 종료 시 까지 PC, 모니터 및 주변기기 모두를 턴온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는 에너지 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PC의 OS에서는 일정 시간 PC의 사용이 없는 경우 PC 모니터를 턴오프하거나 절전모드 등으로 바꾸어 에너지를 절감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PC 등에 적용된 절전모드는 실시간으로 동작하지 않고, PC가 실제 사용되지 않아도 설정 시간 동안은 절전 모드로 전환되지 않아 그 에너지 절감 효율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선행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2-005708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센싱에 의해 PC 등 시스템을 매우 직관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하면서, 시스템의 사용 에너지도 현저하게 저감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여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응답 여부 또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판단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를 이격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는 경우를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여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모듈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를 센싱하여 상기 근접 여부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센싱값을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근접한 상태로 판단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모듈의 입력 또는 센싱에 의해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입력부 또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는 RF모듈, 카메라 및 IR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RF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반사된 반사파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파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설정 방향을 촬상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 크기의 증감여부 및 촬상된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R센서는 사용자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의 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파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피사체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의 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더라도 상기 크기가 증가하는 피사체에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시스템을 잠금상태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시스템의 턴오프, 턴온 또는 절전 기능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거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제2 디바이스를 근접 상태로 신속하게 판단하게 되어 제1 디바이스를 설정된 모드로 신속하게 변경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및 에너지 절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의 근접 상태를 보정하므로 시스템의 보안을 더욱 강화하고 및 에너지 절감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정모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실제 적용한 프로그램의 유저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감지 시스템(1000)은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PC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디바이스로서 휴대 단말기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화면부(130), 및 보정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통신부(120)는 제2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2 디바이스(200)가 근접한 경우에 화면 표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에 근접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20)와 연결되는데, 통신부(120)는 폴링 프로토콜(Polling Protocol)을 사용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응답을 요청하거나, 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측정한다. 이때, 폴링 포로토콜은 일 예로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 프로토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때, 통신부(120)는 자체적으로 측위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네크워크 영역(ar)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가 응답하거나, 제2 디바이스(200)의 측위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제1 디바이스(100)의 설정된 기능을 구동(반면, 이와 상보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은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200)가 응답하지 않거나 제2 디바이스(200)의 측위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정지할 수 있다(반면, 이와 상보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은 구동).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가 노트북 컴퓨터이고, 제2 디바이스(2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가 SDP 요청에 응답하거나, 제2 디바이스(200)의 측위 신호의 세기가 점차 증가하여 기준값 보다 커지면 제2 디바이스(200)가 근접 위치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디바이스(100)를 제2 상태(부재 모드(Lock 모드))에서 제1 상태(작업 모드)로 변경하고 화면부(130)에 표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디바이스(200)가 제2 디바이스(200)가 SDP 요청에 응답하지 않거나, 측위 신호의 세기가 점차 감소하여 기준값 보다 작아지면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가 이격 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디바이스(100)를 제1 상태(작업 모드)에서 다시 제2 상태(부재 모드)로 변경하여 화면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화면부(130)는 제어부(100)의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화면부(130)는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과 근접한 제1 상태,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와 이격된 제2 상태에서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상태에서의 인터페이스는 여러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표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에서의 인터페이스는 잠금 화면이나 절전 화면 또는 화면 오프 상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오프 상태로 설명하나 이로써 권리 범위를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
제2 디바이스(200)는 제 1 디바이스(100)와 물리적으로 독립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여,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의 거리가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MAC address)를 미리 입력하여 제1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디바이스(200)는 내부에 통신부, 제어부 및 화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는 제2 디바이스의 내부에 온보드로 장착될 수 있는데, 제1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20)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1 디바이스의 SDP에 응답하거나 통신부에 측위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술하였듯이, 이러한 신호를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200)의 근접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의 제어부(미도시)는 통신용 칩, 및 화면부에 연결되어 이들 구성을 제어한다. 제2 디바이스(200)의 화면부(미도시)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110)의 화면부(113)와 연동되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동되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사이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1000)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거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제2 디바이스를 근접 상태로 신속하게 판단하게 되어 제1 디바이스를 작업 모드로 유지하거나 신속하게 작업 모드로 변경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및 에너지 절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10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보정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환경 변화에 따라 제2 단말기가 SDP 요청에 즉각적으로 응답하지 않거나, 제2 단말기에서 수신된 측위 신호의 세기가 순간적으로 출렁거림에 따라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1000)은 보정모듈(140)이 제2 디바이스(200)의 근접 여부 판단의 오류를 수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보정모듈(140)에 대한 구성도인데, 보정모듈(140)은 입력부(141), RF모듈(142), 카메라(143) 및 IR센서(144)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입력부(141)는 사용자가 PC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이용한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근접해 있음을 제어부(110)가 판단하도록 하고, RF모듈(142), 카메라(143) 및 IR센서(144)는 사용자를 직접 센싱하여 사용자가 근접해 있음을 제어부(110)가 판단하도록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200)가 SDP 요청에 응답하지 않아 이격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보정모듈(140)은 사용자의 입력 내용 또는 사용자 센싱값을 제어부(110)에 전달하여 사용자 또는 제2 디바이스(200)를 근접한 상태로 보정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로(200)부터 수신된 측위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보정모듈(140)의 입력 또는 센싱에 의해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도록 한다.
이때, RF모듈(142)은 통신부(120)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RF모듈(142)은 사용자의 인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파의 크기를 측정하고 제어부(110)는 반사파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도록 보정하거나, 제어부의 최초 근접 판단을 컨펌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카메라(143)는 PC 모니터 등의 주변(전방, 후방 등)을 촬상하는데, 이때, 촬상된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의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제어부가 연산하도록 하고, 더욱 나아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이미지와 대비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피사체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더욱 판단하여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보정 또는 컨펌하게 된다.
IR센서(144)는 사용자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양을 측정하는데, 제어부(110)은 적외선의 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보정 판단하거나 먼저 판단한 상태를 컨펌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더욱 높은 등급의 보안을 위해, 제어부(110)가 최초 근접상태로 판단하고, 보정모듈(140)의 입력부(141), RF모듈(142), 및 IR센서(144)를 통해 근접 상태로 컨펌한 경우라도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그 크기가 증가하는 피사체에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권한 없는 사용자로 판단하여 제1 디바이스를 잠금상태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하여 더욱 높은 보안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은 제2 디바이스의 근접 상태의 보정에 따라 더욱 정확하게 제1 디바이스를 작업 모드 등으로 유지하거나 신속하게 작업 모드 등으로 변경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보안을 더욱 강화하고 및 에너지 절감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수동 제어로 시스템 또는 화면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거나 제1 디바이스(100)를 절전모드 등으로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0)에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별도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에서는 제2 디바이스에 가속도 센서 또는 충격 센서가 더욱 포함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이들 센서를 이용하여 설정된 센서 신호를 유발시키는 경우에 이 내용을 서버로 즉각 전송하여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강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제2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을 흔드는 경우에, 제2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이를 특정 상황으로 판단하여, 제2 디바이스의 통신부가 서버로 그 내용을 전송하고, 서버는 PC 등인 제1 디바이스를 락 또는 오프하거나, 제1 디바이스와 별도의 보안 장치(출입문 등)를 락 또는 오픈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작용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 근접한 상태라 별도의 시스템 락 또는 출입문 락이 이루어지는 않는 경우에도 제2 디바이스 자체를 이용하여 시스템 또는 출입문 등의 락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여 서버와 연결된 시스템 또는 보안 대상물의 보안 수준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방법의 순서도이다. 중복된 설명은 지양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방법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통신하는 단계(S1), 제2 디바이스의 응답을 확인하거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2), 제2 디바이스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 및 보정모듈이 근접여부를 보정하거나 컨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모듈은 최초 판단된 근접여부에 대하여 반대의 판단을 하도록 하거나, 최초 판단된 근접여부를 컨펌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실제 적용한 프로그램의 유저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통해 PC의 총 보안시간을 산출하고,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에너지 절약 의식을 더욱 고취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프로그램에서 제1 디바이스는 PC를 사용하였고, 제2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였는데, 스마트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인 PC와 연동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감지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200; 스마트 감지 시스템 110; 제 1 디바이스
111; 제어부 112; 측위 신호 발생부
113; 화면부 120; 제 2 디바이스
121, 221; 통신용 칩 122; 센서부
123; 제어부 124; 화면부
230; 서버

Claims (11)

  1.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여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응답 여부 또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를 이격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는 경우를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여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모듈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를 센싱하여 상기 근접 여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센싱값을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근접한 상태로 판단하도록 보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모듈의 입력 또는 센싱에 의해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입력부 또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는 RF모듈, 카메라 및 IR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반사된 반사파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파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설정 방향을 촬상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 크기의 증감여부 및 촬상된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R센서는 사용자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의 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피사체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의 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더라도 상기 크기가 증가하는 피사체에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시스템을 잠금상태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시스템의 턴오프, 턴온 또는 절전 기능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KR1020160108837A 2016-08-26 2016-08-26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KR10190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37A KR101905378B1 (ko) 2016-08-26 2016-08-26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37A KR101905378B1 (ko) 2016-08-26 2016-08-26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425A true KR20180023425A (ko) 2018-03-07
KR101905378B1 KR101905378B1 (ko) 2018-11-12

Family

ID=6168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837A KR101905378B1 (ko) 2016-08-26 2016-08-26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3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378B1 (ko) 201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550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US88667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KR20140027875A (ko)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초 저전력 장치 및 방법
EP2953003A1 (en) Touch screen terminal and working method thereof
US20130111379A1 (en) Compu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00072B1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2149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orientation compensation in pointing devices
KR20140085952A (ko) 휴대단말기의 보안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US20130091369A1 (en) Power-saving input device and power-saving method for such input device
US11630892B2 (en) Fingerprint unlocking method and terminal
CN108604404A (zh) 红外遥控方法、终端及装置
US20130345833A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905378B1 (ko)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KR20150131792A (ko)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20032776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20426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2286429A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电子设备
US73370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electronic products
TWI822437B (zh) 電子裝置及其操控方法
EP16750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elelctronic products
KR101657684B1 (ko)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감지 시스템
KR20040031328A (ko) 무선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운영 방법
KR20050018126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