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141A -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141A
KR20180023141A KR1020160107715A KR20160107715A KR20180023141A KR 20180023141 A KR20180023141 A KR 20180023141A KR 1020160107715 A KR1020160107715 A KR 1020160107715A KR 20160107715 A KR20160107715 A KR 20160107715A KR 20180023141 A KR20180023141 A KR 20180023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spector
blast furnace
furnace body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김덕호
김홍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0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141A/ko
Publication of KR2018002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07C9/0010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노체를 점검하는 점검자의 보호를 위해 원격으로 감시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은 점검자의 고로 노체 출입을 감시하는 출입 감시기, 점검자의 고로 노체 진입 시간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점검자의 고로 노체 체류를 감시하는 중앙 운전실, 점검자가 기준 시간 이상 체류하면 상기 중앙 운전실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REMOTE MONITORING SYSTEM FOR INSPECTOR TO BLAST FURNANCE}
본 발명은 고로 노체를 점검하는 점검자의 보호를 위해 원격으로 감시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로 노체 스테이브(Stave) 파손에 따른 철피 크랙(Crack) 및 맹처리 밸브 파손발생으로 고로 정상조업(평균기준 풍량:5800N㎥/min, 풍압:4000g/㎠) 점검을 강화하여 조기 발견을 하여 조치가 빠르게 될 수 있도록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고로 노체는 노내 노황 변동에 따라 고로 부생 가스(Blast furnace gas; BFG) 분출 및 노내 화염이 다방면으로 나올수 있는 위험한 곳이며, 또한 스테이브 분리급수를 위해서 밸브를 잠근 채로 장기간 방치하다 보면 밸브가 파손되어 열팽창에 의한 고압의 압력에 의해서 순간 밸브가 터져서 노체 점검자에 위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감시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32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245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로 노체를 점검하는 점검자의 보호를 위해 원격으로 감시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은 점검자의 고로 노체 출입을 감시하는 출입 감시기, 점검자의 고로 노체 진입 시간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점검자의 고로 노체 체류를 감시하는 중앙 운전실, 점검자가 기준 시간 이상 체류하면 상기 중앙 운전실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조치 시간이 단축되어 2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현장 노체의 가스 누설의 현황 파악 및 감시가 용이하며, 점검시간이 단축되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가스 감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100)은 출입 감시기(110), 중앙 운전실(120) 및 경보기(130)를 포함할 수 있고, 가스 감지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입 감시기(110)는 고로 노체(A) 내로 점검자의 출입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중앙 운전실(120)에서는 고로 노체(A) 내로 점검자가 들어가면, 고로 노체 내에 점검자가 체류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점검자의 장기 체류를 집중 감시할 수 있다.
경보기(130)는 고로 노체(A) 내의 점검자 출입 여부, 고로 노체(A) 내로 점검자 진입시 체류 시간에 따른 경보를 표시할 수 있다.
가스 감지기(140)는 고로 노체(A)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고로 노체(A)로부터 누설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감지기(140)는 고로 노체(A)의 방향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100)의 출입 감시기(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자가 고로 노체(A) 내로 들어가면 노체 점검중이라는 불빛이 턴 온되고, 점검자가 고로 노체(A)에서 나오면 노체 점검중이라는 불빛은 턴 오프될 수 있다.
출입 감시기(110)의 점검자 출입 감시는 점검자가 고로 노체 내부의 출입시 출입 감시기(110)의 버튼을 눌러 점검자의 출입을 알리거나, 적외선 또는 무선 신호 등으로 점검자의 출입을 자동으로 검지할 수도 있다.
중앙 운전실(120)은 출입 감시기(110)에 의해 점검자가 고로 노체 내부로 들어갔음을 인지하면, 시간을 카운트하여 점검자의 체류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중앙 운전실(120)은 경보기(130)를 통해 점검자의 고로 노체 내부의 체류 여부, 및 장기 체류를 경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운전실(120)은 점검자가 고로 노체(A)의 내부에 진입하여 점검중인 경우 경보기(130)의 황색등을 점등시키고, 이후, 점검자의 체류 시간이 일정 시간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황색등과 적색등을 동시에 점등시켜 점검자의 장기 체류를 경보하며, 점검자가 점검을 완료하여 고로 노체(A)에서 나왔을 경우 녹색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가스 감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100)의 가스 감지기(140)는 가스 감지부(141), 경고 표시부(142), 방향별 가스 표시부(143) 및 가스 흡입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감지부(141)는 고로 부생 가스(Blast furnace gas; BFG)를 감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CO)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가스 흡입구(144)는 고로 노체(A)로부터의 가스를 흡입하여 가스 감지부(141)에 전달할 수 있다.
경고 표시부(142)는 가스 농도에 따른 경고를 표시할 수 있는 경고 안내 스피커(142a), 가스 농도에 따른 등을 점등할 수 있는 경고등(142b) 및 녹색, 황색 및 적색 등의 경고를 표시할 수 있는 경고 신호기(142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감지기(140)는 고로 노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방향별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해당 가스 감지기(140)의 방향별 가스 표시부(143)는 해당 가스 감지기(140)가 담당하는 방향별의 가스 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로 노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두개의 가스 감지기(140)가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가스 감지기는 고로 노체를 중심으로 0°~180°의 방향으로 누설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가스 감지기는 고로 노체를 중심으로 180°~360°의 방향으로 누설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로 노체는 노내 노황 변동에 따라 고로 부생 가스(Blast furnace gas; BFG) 분출 및 노내 화염이 다방면으로 나올수 있는 위험한 곳이며, 또한 스테이브 분리급수를 위해서 밸브를 잠근 채로 장기간 방치하다 보면 밸브가 파손되어 열팽창에 의한 고압의 압력에 의해서 순간 밸브가 터져서 노체 점검자에 위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로 노체 스테이브(Stave) 파손이 심하여 노체 철피의 크랙(crack)이 자주 발생되고 그로 인해서 고로 부생 가스가 누설되어 노체 부분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새로 신설된 냉각반의 용접부 분리급수 작업 후 나오는 소량의 고로 부생 가스가 노체 대부분 산재되어 있다. 이러한 고로 부생 가스의 누설은 고로 노체 점검자나 작업자들에게 잠재적 위험성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식 일산화탄소(CO) 가스검지기는 작업통로상에 설치 되어 있어서, 고로 내부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특별한 대책이 없으며, 노체 철피의 크랙이 진행된 부분에 고열의 가스 분출발생의 우려가 높아 점검자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노체 스테이브 분리급수 후 맹처리된 밸브의 파손 위험이 높아 에어봄베(Air Bombe)을 착용했더라도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점검자는 조업중 수시로 노체로 들어가 스테이브 분리 급수작업이 자주 실시하게된다. 이렇게 냉각능력이 상실된 스테이브는 노체 열을 직접 노체 철피에 전달 되므로서 철피 크랙이 이루어져 수시로 점검을 통해 크랙 상태를 점검하고 철피에 집중 살수하여 고로를 보호해 주어야한다.
또한, 철피 보호를 위해 설치된 냉각반을 점검하거나 철피상태를 점검하는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져 노체에 들어가는 작업을 어쩔수 없이 하여야만 하는 일상 작업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고로노체 크랙부 및 용접부 등에서 발생되는 고로 부생 가스에 의해 작업자가 가스중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중독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휴대용 가스 검지를 휴대하지만 가스농도가 1000ppm 이상 지시를 하여 위험정도를 확인하기 어렵고 에어 봄베를 사용시에도 작업시간이 얼마나 되었는지 경고 알람이 없어서 잠재적 위험요인이 많다.
또한 고로 노체 측에 크랙이 급속히 진행될 때, 중앙 운전실에서 출입관련 경과 시간을 알지 못하면 2차적인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점검자가 에어 봄베를 현장에서 착용 및 보관이 가능하여 비상조치 시간 단축으로 2차 안전 사고의 방지가 가능하고, 현장 노체의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현황의 파악 및 감시가 용이하며, 노체 출입시간 경과 알람으로 상호 연락체계를 구축하여노체 점검자 집중 점검시간 단축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110: 출입 감시기
120: 중앙 운전실
130: 경보기
140: 가스 감지기
141: 가스 감지부
142: 경고 표시부
143: 방향별 가스 표시부
144: 가스 흡입구

Claims (7)

  1. 점검자의 고로 노체 출입을 감시하는 출입 감시기
    점검자의 고로 노체 진입 시간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점검자의 고로 노체 체류를 감시하는 중앙 운전실; 및
    점검자가 기준 시간 이상 체류하면 상기 중앙 운전실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
    를 포함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는 점검자의 점검 완료, 점검 중 및 노체내 장기 체류를 표시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노체로부터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감지기는 상기 고로 노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다른 방향별로 복수개 배치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감지기는 감지된 가스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점검자에 경고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감지기 각각은
    상기 노체로부터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
    감지된 가스의 레벨에 따라 경고를 표시하는 경고 표시부;
    해당 방향별 가스를 표시하는 방향별 가스 표시부; 및
    상기 노체로부터의 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가스 감지부에 전달하는 가스 흡인구
    를 포함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감지기는 상기 노체로부터의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0160107715A 2016-08-24 2016-08-24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KR20180023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715A KR20180023141A (ko) 2016-08-24 2016-08-24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715A KR20180023141A (ko) 2016-08-24 2016-08-24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141A true KR20180023141A (ko) 2018-03-07

Family

ID=6168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715A KR20180023141A (ko) 2016-08-24 2016-08-24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31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416B1 (ko) 휴대형 가스 경보장치
KR101104519B1 (ko) 비접촉식 통합 화재 감지 시스템
CN105067190B (zh) 一种煤粉传输管道泄露预警探测方法
Yuan et al. Early fire detection for underground diesel fuel storage areas
KR20120116313A (ko) 산업용 로봇의 고장 징후 감지장치 및 고장징후 측정방법
CN109519689A (zh) 一种具有智能报警功能的机器人安全防护围栏
KR101078003B1 (ko) 이동식 가스 경보 유니트
KR101675646B1 (ko) 가열로의 버너장치
CN114837746A (zh) 一种用于气体敏感检测的探测系统
KR20180023141A (ko) 고로 노체 점검자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264591B1 (ko) 화재 감지 장치 및 시스템
CN115877810A (zh) 一种化工车间安全运行监控方法以及系统
CN106086269A (zh) 全自动高炉红外摄像仪
KR102329774B1 (ko) 무선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시스템
CN104075419A (zh) 可燃制冷剂空调器防火系统及其应用方法、空调器
CN104089349A (zh) 电缆井及其控制方法
CN105715900A (zh) 防爆地下管道排气阀组件
KR101056803B1 (ko) 실내공간에서의 용접 및 화재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7470A (ko) 가스 위험 감지 스마트 볼
US20140116992A1 (en) Welding Enclosure
JP4448536B2 (ja) ガラス溶融窯のガラス生地漏れ検出方法及び装置
KR101332672B1 (ko) 수배전반의 아크-플래시 보호 시스템
KR20180092350A (ko) 용해로에 구비되는 송풍지관의 실시간 적열 및 균열관리방법
CN107764938A (zh) 一种用于排气管处的气体检测系统
CN108144561A (zh) 一种测试焦炭反应性的安全反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