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739A -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739A
KR20180022739A KR1020180020324A KR20180020324A KR20180022739A KR 20180022739 A KR20180022739 A KR 20180022739A KR 1020180020324 A KR1020180020324 A KR 1020180020324A KR 20180020324 A KR20180020324 A KR 20180020324A KR 20180022739 A KR20180022739 A KR 20180022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etector
ray
whe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739A/ko
Publication of KR2018002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Application or adaptation of safety means
    • A61B6/102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e.g. anti-collision devices
    • A61B6/105Braking or 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02J7/005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Abstract

본체 배터리의 방전 시, 엑스선 디텍터의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휠의 회전 차단을 해제하는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는, 본체 배터리를 가지고, 외부에 엑스선 디텍터가 수용되는 디텍터 수용부 및 하부에 휠이 개시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 의해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고, 상기 디텍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 구동부; 상기 본체 배터리가 상기 휠 구동부에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상기 휠의 회전을 차단하는 브레이크;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구동을 위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디텍터 배터리; 및 상기 휠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X-R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이동 가능하도록 휠이 마련되는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영상 장치는 환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의료용 영상 장치는 엑스선 장치, 초음파 진단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자기공명영상장치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엑스선 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영상화 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진단 장치이다.
일반적인 엑스선 장치는 엑스선 소스와 엑스선 디텍터가 일정 공간에 고정되어 있어, 엑스선 촬영을 위해서는 환자가 엑스선 장치가 고정된 곳으로 이동하고, 장치에 맞게 몸을 위치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일반적인 엑스선 장치로 촬영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엑스선 촬영을 할 수 있는 이동형 엑스선 장치(Mobile X-Ray Apparatus)가 개발되었다.
이동형 엑스선 장치는 이동 가능한 본체에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고, 휴대용 엑스선 디텍터(Portable X-ray Detecting Unit)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한 환자를 직접 찾아가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배터리의 방전 시, 엑스선 디텍터의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휠의 회전 차단을 해제하는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는, 본체 배터리를 가지고, 외부에 엑스선 디텍터가 수용되는 디텍터 수용부 및 하부에 휠이 개시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 의해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고, 상기 디텍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 구동부; 상기 본체 배터리가 상기 휠 구동부에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상기 휠의 회전을 차단하는 브레이크;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구동을 위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디텍터 배터리; 및 상기 휠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휠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배터리가 전원 공급 가능 상태이면,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디텍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전원 공급 회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배터리가 상기 휠 구동부에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휠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을 입력 받는 서브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디텍터 배터리와 접속 가능한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배터리가 전원 공급 가능 상태이면,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로의 충전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에 상기 디텍터 배터리가 접속되지 않으면, 상기 충전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는, 상기 디텍터 수용부에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수용될 때, 상기 수용된 엑스선 디텍터의 상기 디텍터 배터리와 접속 가능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의해 검출된 엑스선에 기초하여 엑스선 영상을 생성하는 워크 스테이션;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워크 스테이션은,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본체 배터리가 마련되는 본체; 및 엑스선 디텍터의 구동을 위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디텍터 배터리; 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배터리가 상기 휠 구동부에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상기 엑스선 장치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휠의 회전을 차단하고; 및 상기 휠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상기 휠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배터리가 전원 공급 가능 상태이면,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디텍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텍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텍터 배터리와 접속 가능한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로의 충전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경로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접속 단자에 상기 디텍터 배터리가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접속 단자에 상기 디텍터 배터리가 접속되지 않으면, 상기 충전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텍터 배터리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접속 단자 중 식별 단자의 전압을 기초로 상기 디텍터 배터리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텍터 배터리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미리 정해진 회로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디텍터 배터리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또 다른 일시예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매체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 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를 구동하고; 엑스선 장치의 본체에 포함되는 본체 배터리가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 구동부에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상기 엑스선 장치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휠의 회전을 차단하고; 상기 휠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엑스선 디텍터 내의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상기 휠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본체에 마련되는 본체 배터리의 방전 시에도, 엑스선 디텍터의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휠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엑스선 장치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본체에 마련되는 본체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는, 엑스선 디텍터의 보조 배터리가 본체에 접속 시에만 충전 경로를 통해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므로, 보조 배터리 충전 전원에 의한 브레이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2a 및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제어 흐름 및 전원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본체 배터리가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일 때의 전원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제 1 전원 공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제 2 전원 공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의 블록도이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측 접속 단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에 의한 워크 스테이션으로의 전원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이고, 도 2a 및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제어 흐름 및 전원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에서 일반 화살표는 제어 흐름을 나타내며, 굵은 화살표는 전원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a, 및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100)는 본체(110); 본체(110)가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휠(165); 및 본체(110)에 수용 가능한 엑스선 디텍터(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엑스선 디텍터(200)에서 검출한 엑스선에 기초하여 엑스선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190); 이동을 위해, 휠(165)에 외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60); 엑스선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80); 엑스선 장치(100)의 각 구성에 공급될 전원을 제공하는 본체 배터리(BM); 본체 배터리(BM)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본체(110) 내부의 각 구성에 전달하는 전원 공급 회로(300); 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a과 같이, 본체(110)의 외관에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140); 사용자에 대한 입출력을 수행하는 메인 입출력부(150); 및 엑스선 디텍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디텍터 수용부(111); 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입출력부(150)는 본체(110)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입출력부(150)는 사용자에 대한 입출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메인 입력부(151); 및 메인 출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출력부(152)는 엑스선 영상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출력부(152)가 출력하는 엑스선 영상은 엑스선 디텍터(200)가 감지한 엑스선에 기초하여 생성된 엑스선 영상, 및 외부의 저장매체 또는 서버에 미리 저장된 엑스선 영상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메인 출력부(152)는 출력중인 엑스선 영상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어 화면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출력부(152)는 출력중인 엑스선 영상의 확대, 및 축소 명령, 복수의 엑스선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명령, 엑스선 영상의 특정 위치 또는 영역의 마킹 명령, 엑스선 영상의 수정 명령 등의 입력을 위한 제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출력부(152)는 엑스선 영상과 함께, 또는 엑스선 영상과는 독립적으로 엑스선 장치(100)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출력부(152)는 엑스선 장치의 전원 정보, 엑스선 소스(140)의 위치 정보, 휠(165)의 회전 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출력부(152)는 공지된 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입력부(151)는 엑스선 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특히, 메인 입력부(151)는 메인 출력부(152)를 통해 출력되는 엑스선 영상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입력부(151)는 메인 출력부(152)에서 출력중인 엑스선 영상의 확대, 및 축소 명령, 복수의 엑스선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명령, 엑스선 영상의 특정 위치 또는 영역의 마킹 명령, 엑스선 영상의 수정 명령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인 입력부(151)는 엑스선 장치(100)의 구동 전반에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입력부(151)는 엑스선 장치(100)의 전원 제어 명령, 엑스선 소스(140)의 이동 명령, 휠(165)의 회전 명령, 및 휠(165)의 회전 차단 명령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입력부(151)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조그 셔틀(Jog Shuttle), 터치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입력부(151)가 터치 패드로 구현되고, 메인 출력부(152)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메인 입력부(151)는 메인 출력부(152)와 함께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엑스선 소스(140)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엑스선 소스(140)는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튜브와, 발생된 엑스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위치로 엑스선을 조사하기 위해, 엑스선 소스(140)는 본체(110)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0)는 지면에 수직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고, 엑스선 소스(140)는 암(130)을 통해 지지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D1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20)에는 암(130)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D2 방향의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암(130)의 일 단은 지지대(120)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대(120)에 결합되고, 암(130)의 타 단은 엑스선 소스(140)와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암(130)과 결합된 엑스선 소스(140)는 지지대(120)의 레일이 형성되는 지면의 수직 방향, 즉 D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소스(140)는 지지부의 D1방향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20)는 2단으로 형성되어, 암(130)이 결합된 상단이 본체(110)에 고정된 하단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암(130)은 복수의 D3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암(130)은 지지대(120)의 수직 방향, 즉 D4의 직선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암(130)의 길이의 연장 또는 단축, 암(130)의 회전에 따라, 암(130)의 타 단에 연결된 엑스선 소스(140)는 D3 및 D4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소스(140) 자체도 D5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100)는 엑스선 소스(140)를 D1 내지 D5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모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본체(110)의 외부에 마련되는 디텍터 수용부(111)는 엑스선 디텍터(2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a는 디텍터 수용부(111)에 엑스선 디텍터(200)가 수용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1b는 디텍터 수용부(111)에 엑스선 디텍터(200)가 수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디텍터 수용부(111)에 엑스선 디텍터(2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110)의 이동 시 엑스선 디텍터(200)를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엑스선 디텍터(20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200)는 엑스선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엑스선 디텍터(200)는 공지된 엑스선 검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200)는 본체(110)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한 디텍터 배터리(BS)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엑스선 디텍터(20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본체(110) 내부의 영상 처리부(190)로 전달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90)는 검출된 엑스선에 기초하여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대상체의 엑스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엑스선 영상은 상술한 메인 출력부(152)에 의해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90)에 의해 생성되는 엑스선 영상은 대상체의 해부학적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메인 출력부(152)에 의해 출력되는 엑스선 영상으로부터 대상체 내부의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본체(110)의 하부에는 휠(165)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a 및 1b에서는 본체(110)의 하부 중 지지대(120)에 인접한 쪽에 마련되는 두 개의 전방 휠(161)과, 본체(110)의 하부 중 지지대(120)로부터 먼 쪽에 마련되는 두 개의 후방 휠(162)이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마련되는 휠(165)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본체(110)의 외부에는 본체(110)의 이동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손잡이(112)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12)를 파지함으로써, 본체(110)의 이동 방향을 변경/유지 할 수 있으며,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구동부(160)는 휠(16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 구동부(163); 및 회전하는 휠(165)의 회전을 차단하는 브레이크(164); 를 포함할 수 있다.
휠 구동부(163)는 구동 모터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휠(165) 전체와 연결되거나, 일부 휠(165)에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구동부(163)는 후방 휠(162)에만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고, 후방 휠(162)의 회전에 따라 전방 휠(161)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브레이크(164)는 회전하는 휠(165)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휠(165)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레이크(164)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브레이크(164)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휠 구동부(163)의 구동축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휠(165)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전원이 인가되면, 브레이크(164)는 휠 구동부(163)의 구동축으로부터 이격 될 수 있고, 그 결과 휠(165)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체(11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고자 할 때, 제어부(180)는 엑스선 촬영 제어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메인 출력부(152)를 제어하고, 엑스선 촬영 명령을 입력 받도록 메인 입력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도록 엑스선 소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엑스선 장치(10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때, 제어부(180)는 엑스선 장치(100)의 이동 제어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메인 출력부(152)를 제어하고, 엑스선 장치(100)의 이동 제어 명령을 입력 받도록 메인 입력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부(180)는 휠 구동부(163) 및/또는 브레이크(164)를 제어함으로써 엑스선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 배터리(BM)는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100)는 휠(165)에 의해 위치 이동이 자유로우므로, 상용전원 이외에 독립적인 본체 배터리(BM)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300)는 본체 배터리(BM)와 연결되어, 본체 배터리(BM)에서 제공하는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회로(300)는 본체 배터리(BM)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메인 입출력부(150), 제어부(180), 엑스선 소스(140) 및 이송부(160)로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200)는 본체(110)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한 디텍터 배터리(BS)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엑스선 디텍터(200)의 디텍터 배터리(BS)를 충전하도록, 전원 공급 회로(300)는 본체 배터리(BM)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디텍터 배터리(BS)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b는 본체 배터리(BM)에 의해 디텍터 배터리(BS)가 충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지 않을 때 본체 배터리(BM)를 이용하여 디텍터 배터리(BS)를 충전함으로써, 엑스선 디텍터(200)의 방전에 의한 오작동 또는 미작동을 사전에 방지하고, 엑스선 디텍터(200)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체 배터리(BM)가 완전 방전되거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의해 본체 배터리(BM)에 위험이 감지되어 전원의 출력이 차단된 경우, 즉 본체 배터리(BM)가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인 경우, 브레이크(164)는 휠(165)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휠 구동부(163)에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엑스선 장치(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브레이크(164)는 엑스선 장치(100)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휠(165)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엑스선 장치(100)를 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엑스선 장치(100)의 이동을 재개하기 위해 본체 배터리(BM)를 충전하거나,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체 배터리(BM)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본체 배터리(BM)가 본체(110) 내부에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교체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100)는, 휠(165)의 회전이 차단되면, 디텍터 배터리(BS)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휠(165)의 차단을 해제하도록 브레이크(16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본체 배터리가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일 때의 전원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체 배터리(BM)의 방전 또는 전원 출력의 차단 시, 제어부(180)는 디텍터 배터리(BS)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브레이크(164)에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회로(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을 공급받은 브레이크(164)는 휠(165)의 회전 차단을 해제할 수 있고, 휠(165)의 회전 차단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엑스선 장치(10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휠(165)을 회전하여 엑스선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휠(165)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디텍터 배터리(BS)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휠(165)의 회전 차단을 해제하도록 브레이크(16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100)는 휠(165)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을 입력 받는 서브 입력부(17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배터리(BM)의 비정상 동작에 따른 휠(165)의 회전 차단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를 해제할 수 있는 본체(110)의 외부 위치에 서브 입력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1a 및 1b에서는 서브 입력부(170)가 손잡이(112)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서브 입력부(170)가 마련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본체 배터리(BM)의 전원 공급 불가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휠(165)의 회전 차단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 배터리(BM)의 전원 공급 불가 상태에서의, 전원 공급 회로(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제 1 전원 공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제 2 전원 공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6에서 일반 화살표는 제어 흐름을 나타내며, 굵은 화살표는 전원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에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300)는 본체 배터리(BM)로부터 브레이크(164)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제 1 컨버터(310); 본체 배터리(BM)로부터 디텍터 배터리(BS)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제 2 컨버터(350); 디텍터 배터리(BS)로부터 브레이크(164)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제 3 컨버터(360); 본체 배터리(BM) 및 디텍터 배터리(BS)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스위치(320); 및 전원을 브레이크(164)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제 2 스위치(33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스위치(320)는 릴레이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고, 제 2 스위치(330)는 ON/OFF 제어가 가능하도록 FET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 배터리(BM)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즉 본체 배터리(BM)가 전원 공급 가능 상태이면, 제어부(180)는 제 1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 1 스위치(320) 및 제 2 스위치(3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 배터리(BM)-제 1 컨버터(310)-제 1 스위치(320)-제2 스위치-브레이크(164)로 연결되는 제 1 전원 공급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전원 공급 경로를 따라 브레이크(164)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체 배터리(BM)에서 제공하는 전원이 브레이크(164)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원보다 크므로, 제 1 컨버터(310)는 본체 배터리(BM)에서 제공하는 전원의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배터리(BM)에서 360V의 전원을 제공하는 경우, 제 1 컨버터(310)는 360V를 24V로 변환할 수 있다.
본체 배터리(BM)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제 1 스위치(320)는 제 1 컨버터(310)와 제 2 스위치(330)를 연결하고, 제 2 스위치(330)는 ON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1 컨버터(310)를 통해 변환된 전원은 제 1 스위치(320)와 제 2 스위치(330)를 거쳐 브레이크(164)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체 배터리(BM)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전원 공급 회로(300)는 디텍터 배터리(BS)의 충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 배터리(BM)-제 2 컨버터(350)-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디텍터 배터리(BS)로 연결되는 충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 배터리(BM)에서 제공하는 전원이 디텍터 배터리(BS)의 충전에 사용되는 전원보다 크므로, 제 2 컨버터(350)는 본체 배터리(BM)에서 제공하는 전원의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배터리(BM)에서 360V의 전원을 제공하는 경우, 제 2 컨버터(350)는 360V를 19V로 변환할 수 있다.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는 디텍터 배터리(BS)를 전원 공급 회로(300)에 접속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컨버터(350)에 의해 변환된 전원은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를 거쳐 디텍터 배터리(BS)에 전달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디텍터 배터리(BS)가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제 3 컨버터(36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충전 경로가 제 3 컨버터(360)와 연결되므로, 충전 전원이 브레이크(164)로 전달되어 브레이크(164)의 오동작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제 3 컨버터(360)는 본체 배터리(BM)의 출력이 존재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차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 배터리(BM)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즉 본체 배터리(BM)가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제어부(180) 및 서브 입력부(170)는 제 2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 1 스위치(320) 및 제 2 스위치(3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디텍터 배터리(BS)-제 3 컨버터(360)-제 1 스위치(320)-제2 스위치-브레이크(164)로 연결되는 제 2 전원 공급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제 2 전원 공급 경로를 따라 브레이크(164)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디텍터 배터리(BS)에서 제공하는 전원이 브레이크(164)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원보다 작으므로, 제 3 컨버터(360)는 디텍터 배터리(BS)에서 제공하는 전원의 전압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터 배터리(BS)에서 12V의 전원을 제공하는 경우, 제 3 컨버터(360)는 12V를 24V로 변환할 수 있다.
본체 배터리(BM)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제 1 스위치(320)는 제 3 컨버터(360)와 제 2 스위치(33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입력부(170)가 휠(165)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을 입력 받으면, 제 2 스위치(330)는 ON 상태로 전환되므로, 제 3 컨버터(360)를 통해 변환된 전원은 제 1 스위치(320)와 제 2 스위치(330)를 거쳐 브레이크(164)로 전달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전원 공급 회로(300)가 릴레이 스위치로 구현되는 제 1 스위치(320)와, FET로 구현되는 제 2 스위치(33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를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는 본체 배터리(BM)로부터 브레이크(164)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제 1 컨버터(310); 본체 배터리(BM)로부터 디텍터 배터리(BS)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제 2 컨버터(350); 디텍터 배터리(BS)로부터 브레이크(164)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제 3 컨버터(360); 제 3 컨버터에서 변환된 전원을 브레이크로 전달하는 제 3 스위치(380); 제 1 컨버터에서 변환된 전원을 브레이크로 전달하는 제 4 스위치(39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는 제 3 스위치 및 제 4 스위치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4의 전원 공급 회로와 상이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스위치와 제 4 스위치는 ON/OFF 제어가 가능하도록 FET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3 스위치는 서브 입력부(170)의 입력에 따라 ON/OFF제어되는 반면, 제 4 스위치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ON/OFF 제어될 수 있다.
본체 배터리(BM)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즉 본체 배터리(BM)가 전원 공급 가능 상태이면, 제어부(180)는 제 1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 4 스위치(390) 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 배터리(BM)-제 1 컨버터(310)-제 4 스위치(320)-브레이크(164)로 연결되는 제 1 전원 공급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본체 배터리(BM)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즉 본체 배터리(BM)가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서브 입력부(170)는 제 2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 3 스위치(380) 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디텍터 배터리(BS)-제 3 컨버터(360)-제 3 스위치(380) -브레이크(164)로 연결되는 제 2 전원 공급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경로가 형성되는 경우,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제 3 컨버터(360)-제 1 스위치(320)-제 2 스위치(330) 또는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제 3 컨버터(360)-제 3 스위치(380) 가 연결되어 있다면, 제 2 컨버터(350)에서 변환되는 충전 전원이 브레이크(164)로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충전 전원에 의해 브레이크(164)의 오작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에 디텍터 배터리(BS)가 접속했는지 여부에 따라 제 2 컨버터(35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에 디텍터 배터리(BS)가 접속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전원 공급 회로(300)는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의 블록도이다. 도 8의 경우, 설명의 편의 상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를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는 내부에 전압 분배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는 전압 분배 회로 중 미리 정해진 노드의 전압을 확인하는 마이컴(373)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미리 정해진 노드의 전압이 임계값 이상이라면,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는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에 디텍터 배터리(BS)가 접속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는 제 1 저항(371) R1 및 제 2 저항(372) R2로 구성되는 전압 분배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저항(371) R1은 디텍터 배터리(BS)가 접속되었다면 연결될 수 있는 노드와 연결되고, 마이컴(373)은 제 1 저항(371) R1과 제 2 저항(372) R2의 분기 노드 A의 전압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R1과 R2가 10㏀이고, 임계값이 4.5V인 경우,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는 9~12.6V의 전압을 출력하는 디텍터 배터리(BS)의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는 디텍터 배터리(BS)의 접속 단자(PS)와 접속되는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의 접속 단자(PM) 중 식별 단자(PMI)와 연결될 수 있다.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는 식별 단자(PMI)의 전압을 확인함으로써 디텍터 배터리(BS)의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는 제 1-1 접속 단자 내지 제 10-1 접속 단자로 구성되는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 측 접속 단자(PM)를 가질 수 있다. 이 중, 제 4-1 접속 단자 내지 제 9-1 접속 단자는 디텍터 배터리 측 접속 단자(PS)인 제 4-2 접속 단자 내지 제 9-2 접속 단자와 접속되며, 제 9-1 접속 단자는 식별 단자(PMI)로서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디텍터 배터리 측 접속 단지(PS) 중 제 4-2 접속 단자 내지 제 6-2 접속 단자에는 전압 V1이 인가되고, 제 7-2 접속 단자 내지 제 9-2 접속 단자는 접지된다. 또한,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 측 접속 단자(PM) 중 제 4-1 접속 단자 내지 제 6-1 접속 단자는 단락되고, 제 7-1 접속 단자 및 제 8-1 접속 단자도 단락된다.
만약, 디텍터 배터리(BS)가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에 접속되었다면, 접지된 제 9-2 접속 단자가 제 9-1 접속 단자(PMI)와 접속 되므로, 제 9-1 접속 단자(PMI)도 접지 전위를 나타낼 수 있다.
반면, 디텍터 배터리(BS)가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에 접속되지 않았다면, 제 7-1 접속 단자 및 제 8-1 접속 단자와 개방 상태의 제 9-1 접속 단자(PMI)는 개방 전위를 나타낼 수 있다.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는 식별 단자(PMI)의 전위가 접지 전위인 경우, 디텍터 배터리(BS)가 접속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식별 단자(PMI)의 전위가 개방 전위 인지인 경우, 디텍터 배터리(BS)가 접속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가 디텍터 배터리(BS)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면, 결정 결과는 제어부(180)로 전달되고, 제어부(180)는 그에 따라 제 2 컨버터(3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디텍터 배터리 인식부(370)가 직접 결정 결과를 제 2 컨버터(350)로 전달함으로써, 제 2 컨버터(350) 스스로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디텍터 배터리(BS)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본체(110)와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11a, 11b를 참조하여 본체(110)에 대한 디텍터 배터리(BS)의 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a 및 11b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 배터리 측 접속 단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텍터 배터리(BS)는 엑스선 디텍터(200)로부터 분리되어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체(110)에는 디텍터 배터리(BS)가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와 접속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디텍터 배터리 결합부(113)를 마련할 수 있다. 디텍터 배터리 결합부(113)는 디텍터 배터리(BS)와 결합되어, 디텍터 배터리(BS)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디텍터 배터리 측 접속 단자(PS)와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 측 접속 단자(PM)가 접속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0에서는 손잡이(112) 하단부에 디텍터 배터리 결합부(113)가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디텍터 배터리 결합부(113)가 마련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디텍터 배터리(BS)가 엑스선 디텍터(200)에 결합된 상태로 본체(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엑스선 디텍터(200)의 유선 연결 단자(210)에 디텍터 배터리(BS)의 접속 단자가 함께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엑스선 디텍터(200)가 본체(110)와 유선으로 연결 시, 디텍터 배터리(BS)가 본체(110)에 접속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1b를 참조하면, 엑스선 디텍터(200)의 유선 연결 단자(210)와는 별개로, 엑스선 디텍터(200)에 결합된 디텍터 배터리(BS)의 접속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110)의 디텍터 수용부(111) 내부에는 엑스선 디텍터(200)가 수용될 때 디텍터 배터리(BS)의 노출된 접속 단자와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디텍터 배터리(BS)는 브레이크(164) 뿐만 아니라 본체(110)의 일부 또는 전부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특히, 디텍터 배터리(BS)는 메인 입출력부(150), 제어부(180), 및 영상 처리부(19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엑스선 영상을 제공하거나 엑스선 장치의 제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본체 배터리가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일 때의 전원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체 배터리(BM)의 전원 또는 외부의 상용 전원의 공급이 불가한 경우, 본체(110)의 이동 이외에 엑스선 장치(100) 구동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배터리(BM)의 방전 이후, 사용자가 엑스선 장치를 통해 대상체의 엑스선 영상을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엑스선 디텍터(200)의 디텍터 배터리(BS)를 본체(110)에 접속시킴으로써, 임시 전원을 메인 입출력부(150), 제어부(180), 및 영상 처리부(190)에 공급할 수 있다. 만약, 디텍터 배터리(BS)가 38.76WH의 출력을 가지는 경우, 50W의 소비 전력을 가지는 본체(110)는 약 0.8시간동안 구동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엑스선 장치(100)는 본체 배터리(BM)가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900) 여기서, 전원 공급 불가 상태란 본체 배터리(BM)의 방전과 본체 배터리(BM)의 위험이 감지되어 출력이 차단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배터리(BM)의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면, 엑스선 장치(100)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체 배터리(BM)의 전원 공급이 불가하다면, 엑스선 장치(100)는 브레이크(164)에 의해 휠(165)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910) 더 이상 엑스선 장치(100)의 이동을 위해 전원 공급이 불가능 하므로, 엑스선 장치(100)의 파손을 막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엑스선 장치(100)는 휠(165)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휠(165)의 회전이 차단되면, 엑스선 장치(100)는 휠(165)의 회전 차단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920) 이 때, 휠(165)의 회전 차단 명령은 서브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만약, 회전 차단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엑스선 장치(100)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회전 차단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엑스선 장치(100)는 디텍터 배터리(BS)로부터 브레이크(164)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930) 그 결과, 엑스선 장치(100)는 브레이크(164)에 의해 휠(165)의 회전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940)
휠(165)의 회전 차단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엑스선 장치(100)에 외력을 가하여 휠(165)을 회전시킴으로써, 엑스선 장치(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100: 엑스선 장치 110: 본체
140: 엑스선 소스 164: 브레이크
170: 서브 입력부 200: 엑스선 디텍터
300: 전원 공급 회로 BM: 본체 배터리
BS: 디텍터 배터리

Claims (20)

  1. 본체 배터리를 가지고, 외부에 엑스선 디텍터가 수용되는 디텍터 수용부 및 하부에 휠이 개시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 의해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고, 상기 디텍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 구동부;
    상기 본체 배터리가 상기 휠 구동부에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상기 휠의 회전을 차단하는 브레이크;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구동을 위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디텍터 배터리; 및
    상기 휠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엑스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배터리가 전원 공급 가능 상태이면,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디텍터 배터리를 충전하는 엑스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전원 공급 회로; 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배터리가 상기 휠 구동부에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엑스선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을 입력 받는 서브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하는 엑스선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디텍터 배터리와 접속 가능한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배터리가 전원 공급 가능 상태이면,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로의 충전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하는 엑스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에 상기 디텍터 배터리가 접속되지 않으면, 상기 충전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하는 엑스선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는,
    상기 디텍터 수용부에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수용될 때, 상기 수용된 엑스선 디텍터의 상기 디텍터 배터리와 접속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는 엑스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의해 검출된 엑스선에 기초하여 엑스선 영상을 생성하는 워크 스테이션;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워크 스테이션은,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엑스선 장치.
  11.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본체 배터리가 마련되는 본체; 및 엑스선 디텍터의 구동을 위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디텍터 배터리; 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배터리가 상기 휠 구동부에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상기 엑스선 장치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휠의 회전을 차단하고; 및
    상기 휠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상기 휠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배터리가 전원 공급 가능 상태이면,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디텍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본체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텍터 배터리와 접속 가능한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디텍터 배터리 접속부로의 충전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 단자에 상기 디텍터 배터리가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접속 단자에 상기 디텍터 배터리가 접속되지 않으면, 상기 충전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 배터리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접속 단자 중 식별 단자의 전압을 기초로 상기 디텍터 배터리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 배터리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미리 정해진 회로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디텍터 배터리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
  19.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 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를 구동하고;
    엑스선 장치의 본체에 포함되는 본체 배터리가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 구동부에 전원 공급 불가 상태이면, 상기 엑스선 장치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휠의 회전을 차단하고;
    상기 휠의 회전이 차단되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엑스선 디텍터 내의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상기 휠의 회전 차단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텍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매체.
KR1020180020324A 2018-02-21 2018-02-21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2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324A KR20180022739A (ko) 2018-02-21 2018-02-21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324A KR20180022739A (ko) 2018-02-21 2018-02-21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143A Division KR101833339B1 (ko) 2016-03-17 2016-03-17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739A true KR20180022739A (ko) 2018-03-06

Family

ID=6172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324A KR20180022739A (ko) 2018-02-21 2018-02-21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7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339B1 (ko)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7205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deactivation within a medical imaging system
EP3369379B1 (en) 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364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a wireless device with a system through a charge cradle
US20100329426A1 (en) Mobile x-ray apparatus
US10440805B2 (en) Radiation irradiation device
US10478146B2 (en) Radiation irradiation device
KR20180022739A (ko)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226222B2 (en) X-ray diagnostic apparatus and foot switch used for the same
US20180116614A1 (en) Mobile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6573026B2 (ja) X線装置
JP6780701B2 (ja) 移動型x線撮影装置
KR102313484B1 (ko) 모바일 엑스선 장치
KR101977834B1 (ko)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079938A (ja) 移動式x線撮影装置
US20220280131A1 (en) Mobile radiography apparatus having multiple power supplies
KR102340201B1 (ko) 모바일 엑스선 장치
WO2021199543A1 (ja) 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の作動方法、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WO2019187046A1 (ja) 移動型放射線撮影装置
JP2000325333A (ja) X線ct装置
KR20230001883A (ko) 자동정렬이 가능한 스탠다드 엑스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