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357A -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 - Google Patents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357A
KR20180022357A KR1020160107691A KR20160107691A KR20180022357A KR 20180022357 A KR20180022357 A KR 20180022357A KR 1020160107691 A KR1020160107691 A KR 1020160107691A KR 20160107691 A KR20160107691 A KR 20160107691A KR 20180022357 A KR20180022357 A KR 20180022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odel
paper
wall
model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훈
Original Assignee
허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훈 filed Critical 허훈
Priority to KR102016010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357A/ko
Publication of KR2018002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including folding or pleating, e.g. Chinese lan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에 관한 것으로, 전개도에서 복수의 부속을 뜯어내어 접힘선을 중심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어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부를 부착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입체 형상의 종이모형을 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 종이모형을 벽면에 걸어 인테리어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유아나 어린이가 직접 인테리어 장식용으로 전개도에서 부속을 떼어 붙이는 작업을 통해 제작한 후 장식용으로 벽에 고정하므로 종이모형을 제작한 이후에도 종이모형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유지시켜 줄 수 있다.

Description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 {Manufactur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paper model for wall decoration and the made paper model}
본 발명은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벽면에 걸어 인테리어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나 어린이 교육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입체감을 갖는 종이 모형을 제작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종이모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를 사용하여 동물이나 각종 모형을 제작하는 종이모형은 평면의 종이를 활용하여 소정의 순서에 따라 절첩하고 접착하여 평면모형이나 입체모형을 제작하는 것으로 여러가지 형태의 모형들을 제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종이 모형은 성장기 어린이나 유아의 두뇌계발에 유익하며, 노인성 치매의 예방에 도움을 주고 있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종이 모형의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85464호, 등록특허 제10-1254458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285464호에는 캐릭터의 모양을 관절별로 나누어 전개도를 조립하고 나무축을 연결하여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 모형 완구가 제안된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 제10-1254458호에는 종이로 동물 모형의 완구를 만드는 종이모형완구에 있어서, 평평한 받침종이;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좌우 양측에 접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외측단이 상기 받침종이의 상면에 수직으로 접착되는 다리부,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제1 지지접지선으로 접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로 까닥거리는 머리지지부가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된 몸통종이; 상기 머리지지부에 접착되어 전면에 동물의 얼굴이 형성된 머리종이;를 포함하는 종이모형완구가 제안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종이모형완구들은 1회용 종이 모형을 만들어 본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관심이 사라져 집안이나 실내 테이블이나 선반 등에 보관해 놓고 있다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폐기처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종이모형완구들은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실내 인테리어는 물론 유아나 어린이 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입체적인 형상으로 종이모형을 제작하여 벽면에 걸어 인테리어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나 어린이 교육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인 형상으로 종이모형을 제작하여 벽면에 거는 경우 입체감을 더욱 살리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종이모형에 대한 유아나 어린이의 관심을 증대할 수 있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전개도에서 상기 종이모형 제작을 위해 각이 진 형태로 접을 수 있는 접힘선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부속을 뜯어내는 제1단계; 상기 부속들을 접힘선을 중심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고 접합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입체 형상의 종이모형을 제작하는 제2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종이모형의 상부 후면에는 벽에 붙이거나 벽에 고정된 걸림구에 걸 수 있는 양면테이프가 일체로 부착되거나 또는 걸침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상기 종이모형에 그림을 그리거나 또는 부속물을 부착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상기 종이모형의 공간부에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원부의 전원이 투입되면 점등되는 LED가 구비되는 LED기판을 설치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는 콘센트 등에 접속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를 통해 공급되는 가정용 전원을 LED 점등을 위한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로 구성되거나, 또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LED기판의 LED 점등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종이모형에는 투광용 구멍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광용 구멍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한지 또는 필름으로 마감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의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 종이모형을 벽면에 걸어 인테리어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종이모형은 유아나 어린이가 직접 인테리어 장식용으로 전개도에서 부속을 떼어 붙이는 작업을 통해 제작한 후 장식용으로 벽에 고정하므로 종이모형을 제작한 이후에도 종이모형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종이모형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또는 가정 내 벽에 걸거나 부착하여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예를 들면 멸종 위기종 동물이나 또는 멸종된 공룡이나 특정 부위로 제작된 입체 종이모형은 유아나 어린이 교육용으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일 예로 코끼리 두상 제작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일 예로 코끼리 두상 제작을 위한 부속들의 전면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일 예로 코끼리 두상 제작을 위한 부속들의 후면 전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 및 도 2의 부속들을 이용해 제작한 코끼리 두상의 전면 및 후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다른 예로 흑곰의 전면 및 후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또 다른 예로 백곰의 전면 및 후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또 다른 예로 백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LED 구동을 위한 회로 구성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 및 도 2의 부속들을 이용해 제작한 코끼리 두상을 벽면에 장식한 상태를 전면 및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또 다른 예로 펭귄을 벽면에 장식한 상태를 전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또 다른 예로 사막여우를 벽면에 장식한 상태를 전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은 입체적인 모형을 갖도록 복수의 부속을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접고, 접힌 복수의 부속을 이어붙여 제작한다.
이와 같은 종이모형(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끼리의 두상을 만들수도 있지만, 이외에도 유아나 어린이의 동물 학습을 위해 코뿔소, 순록, 사자, 상어, 북극곰, 반달가슴곰, 기린, 캥거루, 하마, 원숭이, 독수리, 돌고래, 곤충, 문어, 악어, 공룡 등 다양한 동물의 두상이나 특정 부위 또는 전체를 제작 가능하며, 동물 이외에도 꽃이나 특이한 형태의 식물 등 다양한 소재를 바탕으로 전개도를 제작하고, 전개도상의 부속들을 떼어내 이어붙여 입체적인 모형을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의 교육을 위해 멸종위기의 동물들의 두상 또는 특정 부위를 입체 형상으로 제작하여 벽면에 장식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형상의 종이모형의 제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형상의 종이모형(100)은 전개도(1)에서 복수의 부속(110)을 뜯어낸다.
이때, 전개도(1)의 부속(110)은 색상이 없거나 단색으로 이루어지는 단색지(單色紙)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양한 문양이 인쇄되어 있는 칼라색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부속(110)은 모두 전개도(1)상에서 가위나 칼을 이용해 재단하지 않고 절취선(1a)을 따라 편리하게 뜯어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속(110)은 추후 부속들을 서로 붙여 입체 형상의 종이모형으로 제작하기 위해 각이 진 형태로 접을 수 있는 접힘선(11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합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힘선(112)은 일 예로 청색 점선으로 형성하면 안쪽으로 접고, 적색 점선으로 형성하면 바깥쪽으로 접는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끼리 두상 제작을 위한 부속(110)을 이용해 예를 들어 코 부분(A), 상아 부분(B,C), 콧등 부분(D), 안면 부분(E), 목 부분(F), 몸통 일부분(G), 귀 부분(H,I)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각 부분(A-I)의 접합을 위해 각 부속의 접합부('A1', 'A2' 등)이 표시되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복수의 부속(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도(1)에서 분리한 후, 입체형상을 만들기 위해 부속(110)을 접힘선(112)을 중심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는다. 이 경우 실제와 같은 곡면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속(110)에 절개선(미도시됨)이 더 형성되어 절개선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접은 부속(110)을 도 1의 순서도에 따라 부속(110)의 접합부(114)에 목공풀 등의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한다. 이 경우 복수의 부속(110)은 예를 들어 코 부분(A), 상아 부분(B,C), 콧등 부분(D), 안면 부분(E), 목 부분(F), 몸통 일부분(G), 귀 부분(H,I)을 우선 제작한 후 각 부분들을 순서대로 이어 붙여 종이모형(100)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이모형(100)은 내부에 공간부(S)가 형성되는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종이모형의 상부 후면에는 벽(W)에 붙이거나 벽에 고정된 못 등의 걸림구(W1) 등에 걸수 있는 양면테이프가 일체로 부착되거나 걸침공(1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종이모형(100)을 제작한 후에는 추가로 작업자가 그림을 그리거나 상황에 따라 동물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의 수염을 입주위에 부착하거나 눈 등이 인쇄된 스티커를 눈부위에 부착하는 등의 부속물을 더 부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 1 내지 도 5의 종이모형은 색상이 단색 또는 없는 무지 등의 경우이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흑곰의 두상 모형과 같이 종이모형(100)의 각 부속(110)이 인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종이모형의 후면 상단에 걸침공(116)이 형성되어 벽에 고정된 못 등의 걸림구(W1)에 걸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일 예로 백곰의 두상에서와 같이 후면을 마감하는 부속(110')으로 마감하고, 종이모형(100)의 공간부(S)에는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전원부(130)의 전원이 투입되면 점등되는 LED(142)가 구비되는 LED기판(14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LED(142)는 종이모형(100)의 입체감을 살려주며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LED(142)는 종이모형(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S)에 설치하는 것 이외에도 입체모형의 특성에 따라 위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코끼리 등의 경우 귀 뒷면에도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LED기판(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는 콘센트 등에 접속하는 플러그(132)와, 상기 플러그(132)를 통해 공급되는 가정용 전원을 LED(142) 점등을 위한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134)로 구성되거나, 상기 전원부(130)는 배터리(136)로 구성된다.
이때, 가정용 전원의 공급이 용이한 경우 상기 전원부(130)는 플러그(132) 및 어댑터(134)로 구성하며, 가정용 전원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터리(136)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종이모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LED기판(140)의 LED(142) 점등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종이모형(100)에는 투광용 구멍(119)을 형성한다. 이 경우 복수의 부속(110) 중에 일부 부속(예를 들어 눈부위 또는 입부위)에 투광용 구멍(119)이 형성된된다. 이때, 상기 투광용 구멍(119)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한지, 필름 등으로 마감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지, 필름은 다양한 색상이 가미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모형(100)의 후측에 구비되는 양면테이프를 실내의 벽(W)에 붙이거나 걸침공(116)을 벽에 고정된 못 등의 걸림구(W1)에 걸어 놓고, 스위치(120) 조작을 통해 종이모형(100) 내부에 구비되는 LED기판(140)의 LED(142)를 점등시키면 눈부위 또는 입부위 등에 형성된 투광용 구멍(119)을 통해 빛이 투과되어 좀 더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함은 물론 유아나 어린이의 호기심을 유도하여 학습용으로 활용시 몰입도를 높여줄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또 다른 예로 펭귄을 벽면에 장식한 상태를 전면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복수의 입체 종이모형(100a,100b)인 몸체와 다리를 각각 독립 제작하고 벽면에 장식한 경우이다.
아울러,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의 또 다른 예로 사막여우를 벽면에 장식한 상태를 전면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이 역시 복수의 입체 종이모형(100a,100b)인 몸체와 다리를 각각 독립 제작하고 벽면에 각각 장식한 경우이다.
즉, 동물의 경우 두상 등의 특정부위 하나만으로 입체 종이모형을 제작하여 장식하는 경우에 비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입체 종이모형으로 제작하여 장식하면 보다 생동감있게 동물을 표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전개도 1a: 절취선
100: 종이모형 110: 부속
112: 접힘선 114: 접합부
119: 투광용 구멍 120: 스위치
142: LED 140: LED기판
132: 플러그 134: 어댑터
136: 배터리 S: 공간부
W: 벽 W1: 걸림구

Claims (8)

  1.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100)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전개도(1)에서 상기 종이모형(100) 제작을 위해 각이 진 형태로 접을 수 있는 접힘선(11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합부(114)가 형성되는 복수의 부속(110)을 뜯어내는 제1단계;
    상기 부속(110)들을 접힘선(112)을 중심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고 접합부(114)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여 내부에 공간부(S)가 형성되는 입체 형상의 종이모형(100)을 제작하는 제2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모형(100)의 상부 후면에는 벽(W)에 붙이거나 벽에 고정된 걸림구(W1) 에 걸 수 있는 양면테이프가 일체로 부착되거나 또는 걸침공(1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상기 종이모형(100)에 그림을 그리거나 또는 부속물을 부착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상기 종이모형(100)의 공간부(S)에는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전원부(130)의 전원이 투입되면 점등되는 LED(142)가 구비되는 LED기판(140)을 설치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30)는 콘센트 등에 접속하는 플러그(132)와 상기 플러그(132)를 통해 공급되는 가정용 전원을 LED(142) 점등을 위한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134)로 구성되거나, 또는 배터리(1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LED기판(140)의 LED(142) 점등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종이모형(100)에는 투광용 구멍(119)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용 구멍(119)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한지 또는 필름으로 마감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8. 제 1항 내지 제7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
KR1020160107691A 2016-08-24 2016-08-24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 KR20180022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691A KR20180022357A (ko) 2016-08-24 2016-08-24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691A KR20180022357A (ko) 2016-08-24 2016-08-24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357A true KR20180022357A (ko) 2018-03-06

Family

ID=6172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691A KR20180022357A (ko) 2016-08-24 2016-08-24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3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3078A (zh) * 2018-10-09 2019-02-19 乐米智拓(北京)科技有限公司 折纸模型生成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3078A (zh) * 2018-10-09 2019-02-19 乐米智拓(北京)科技有限公司 折纸模型生成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3129A (en) Removable scene-scapes bordered by an interchangeable window frame for decorating the walls of children's rooms
US20060135032A1 (en) Three-dimensional coloring product
US6132821A (en) Sculpted wall adornment
CN210205886U (zh) 溶接性珠玩具用装饰玩具和溶接性珠玩具套装
WO2015051182A1 (en) Lens eye assembly
KR20180022357A (ko) 벽걸이 장식용 입체 종이모형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입체 종이모형
CN203264298U (zh) 儿童立体涂鸦玩具
US20160096115A1 (en) Customizable Mannequin Form
US8371895B1 (en) Toy play set
CN206483126U (zh) 新型益智趣味的儿童拼装小屋
JP3635055B2 (ja) 縫いぐるみ玩具
KR101823775B1 (ko) 부분 형상 결합 구조의 접이 방식의 종이 완구
CN219096382U (zh) 一种led火焰灯与雕塑结合艺术展示品
JP3062671U (ja) 動物立体模型を用いる教育玩具セット
CN205388253U (zh) 一种平板挂墙式彩色闪灯的树形装置
RU209194U1 (ru) Магнитная игра
CN213565235U (zh) 一种拼贴画
CN215871726U (zh) 电子产品结构及夜灯及蓝牙音箱
JP2014510200A (ja) 装飾実用的な物品
US7861664B2 (en) Toy door knocker, and construction and educational kits including a door knocker
KR20030006920A (ko) 색채학습용 교구
JP3144905U (ja) 和紙成形品
KR200288549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인테리어용 장식 판넬
KR200311127Y1 (ko) 실내용 연날리기 기구
CN102140754A (zh) 一种洗衣机上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