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139A - E-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139A
KR20180022139A KR1020160107070A KR20160107070A KR20180022139A KR 20180022139 A KR20180022139 A KR 20180022139A KR 1020160107070 A KR1020160107070 A KR 1020160107070A KR 20160107070 A KR20160107070 A KR 20160107070A KR 20180022139 A KR20180022139 A KR 20180022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transistor
area
cell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2091B1 (en
Inventor
양종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091B1/en
Priority to US15/350,651 priority patent/US10007454B2/en
Priority to CN201710718091.6A priority patent/CN107767916B/en
Publication of KR2018002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0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14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 G11C17/16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using electrically-fusible lin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14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 G11C17/18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 Dram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use array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fuse array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first control part using first data stored in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control part accessing a second region more frequently than the first region and using second data stored in the second region.

Description

이-퓨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E-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fuse and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퓨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이-퓨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fuse and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fuse having a structure for ensuring durability and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이-퓨즈 어레이(ARE; Array Electrical-fuse)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고전계를 인가하여 게이트 절연막을 럽쳐(rupture) 시키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프로그래밍)한다. 이러한 E-퓨즈 어레이는 주로 반도체 집적회로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된 특정 값을 셋팅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반도체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초기값을 셋팅하기 위해 사용된다. An array electrical fuse (ARE) stores (programs) data by applying a high electric field to the gate of the transistor to rupture the gate insulating film. Such an E-fuse array is mainly used to set a specific value determined through testing of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is particularly used to set an initial value when power is applied to a semiconductor device.

한편,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수많은 메모리 셀을 포함하며, 공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집적도가 증가하여 그 개수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 셀들 중 어느 하나에라도 결함이 발생하면 반도체 장치가 오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불량 셀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는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In general,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es a large number of memory cells, and as the process technology develops, the degree of integration increases and the number of semiconductor devices increases. If any one of these memory cells is defective, the semiconductor device malfunctions. Therefore, the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defective cell can not use the semiconductor device because it can not perform the desired operation.

하지만, 요즈음 반도체 장치의 공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확률적으로 소량의 메모리 셀에만 결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량의 불량으로 인하여 반도체 장치 전체를 불량품으로 폐기 처분하기에는 제품의 수율(yield)을 고려해 볼 때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반도체 장치 내에는 노멀 메모리 셀(nomal memory cell)과 더불어 리던던시 메모리 셀(redundancy memory cell)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However, as the process technology of semiconductor devices is developed these days, defects occur only in a small amount of memory cells. Due to such small defects, it is very inefficient to dispose of the entire semiconductor device as a defective product, considering the yield of the product.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redundant memory cell in addition to a normal memory cell.

노멀 메모리 셀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테스트를 통해 이를 미리 인지하고 있다가 특정 노멀 메모리 셀에 대한 접근 요청이 발생하면 결함이 발생한 노멀 메모리 셀 대신 리던던시 메모리 셀에 포함된 셀로 접속을 전환하기 위한 리던던시 제어 회로가 이용되고 있다. 즉, 리던던시 메모리 셀은 노멀 메모리 셀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이 불량이 발생한 메모리 셀(이하, '페일 셀'이라 한다)을 리페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메모리 셀이다.A redundancy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connection to a cell included in a redundancy memory cell instead of a normal memory cell in which a defect occurs when a request for access to a specific normal memory cell occurs, Is used. That is, the redundancy memory cell is a memory cell provided for repairing a memory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ail cell') in which a failure occurs in a normal memory cell.

구체적으로, 예컨대 리드/라이트 동작시 페일 셀이 액세스 되는 경우 내부적으로 페일 셀이 아닌 정상적인 메모리 셀을 액세스한다. 이때, 액세스되는 메모리 셀이 리던던시 메모리 셀이다.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a fail cell is accessed in a read / write operation, a normal memory cell is accessed internally, not a fail cell. At this time, the memory cell to be accessed is a redundancy memory cell.

따라서, 반도체 장치는 페일 셀의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경우 페일 셀이 아닌 리던던시 메모리 셀을 액세스하기 위한 동작(이하, '리페어 동작'이라 한다)에 의해 반도체 장치는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받는다.Accordingly, when the address of the fail cell is inputted, the semiconductor device is assured of normal operation by the operation for accessing the redundancy memory cell, which is not the fail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pair operation").

이때, 이-퓨즈 어레이에는 전술한 페일 셀에 대응하는 리던던시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e-fuse array is used to store the address of the redundancy memory cell corresponding to the fail cell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이-퓨즈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e-fuse array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이-퓨즈 어레이; 상기 제1 영역에 저장된 제1 데이터를 이용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영역이 액세스되는 횟수보다 더 많이 상기 제2 영역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저장된 제2 데이터를 이용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fuse array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first controller using first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And a second controller accessing the second area by using more of the second data stored in the second area than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area is acces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퓨즈 어레이는, 제1 트랜지스터가 포함되는 퓨즈 셀을 복수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제2 트랜지스터가 포함되는 퓨즈 셀을 복수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상이하다.The e-fuse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g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use cells including a first transistor and a second reg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use cells including a second transistor, The sizes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second transistor are differ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영역별로 액세스 횟수가 상이한 이-퓨즈 어레이에 있어서, 영역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트랜지스터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퓨즈 어레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fuse array having different access counts for each region, the durability of the e-fuse array can be improved by having transistors having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reg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퓨즈 어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이-퓨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도 2의 제2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리프레시 동작의 타이밍도.
도 4는 추가적인 리프레시 동작이 행해지는 구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a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와 트랜지스터의 수명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와 수명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c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과 성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n e-fuse arra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e-fuse array of Fig. 1; Fig.
3 is a timing chart of a refresh operation performed in the second control unit of Fig. 2;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section in which an additional refresh operation is performed;
FIG. 5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transistor and the lifetime of the transistor, FIG. 5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te length and the lifetime of the transistor,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퓨즈 어레이(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e-fuse arr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퓨즈 어레이(100)는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Fuse array 100 includes a first region 110 and a second region 120.

이-퓨즈 어레이(100)는 프로그램 트랜지스터와 셀렉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퓨즈 셀(13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The e-fuse array 1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fuse cells 130 composed of program transistors and selection transistor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로우 방향(도 1의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퓨즈 셀(130)은 공통의 워드라인에 연결된다. 즉,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퓨즈 셀(130)의 프로그램 트랜지스터의 게이트(PG)가 공통으로 연결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퓨즈 셀(130)의 셀렉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SG)가 공통으로 연결된다. A plurality of fuse cells 130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the lateral direction in FIG. 1) are connected to a common word line. That is, the gates (PG) of the program transistors of the plurality of fuse cells 130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are commonly connected and the gates (SG) of the selection transistors of the plurality of fuse cells 130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are common Lt; / RTI >

컬럼 방향(도 1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퓨즈 셀(130)은 공통의 비트라인에 연결된다. 즉,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퓨즈 셀(130)의 셀렉션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은 공통으로 연결된다.A plurality of fuse cells 130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1) are connected to a common bit line. That is, the source / drain of the selection transistor of the plurality of fuse cells 130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are connected in common.

이-퓨즈 어레이(100)의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은 예를 들면 이-퓨즈 어레이(100)의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은 워드라인은 상이하고 비트라인은 공통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110 and the second region 120 of the eFuse array 100 are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of the eFuse array 100, for example. Thus, the first region 110 and the second region 120 may be word lines different and bit lines common.

제1 영역(110)에는 제2 영역(120)에 저장된 데이터에 비해 액세스 횟수가 적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제1 영역(110)에는 이-퓨즈 어레이(100)가 포함된 반도체 장치의 부트업시 필요한 초기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초기 설정값에는 예를 들면 리페어 동작시 필요한 페일 셀의 어드레스가 포함될 수 있다. In the first area 110, data having a smaller number of accesses than the data stored in the second area 120 is stored. For example, in the first area 110, initial setting values necessary for booting up the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e-fuse array 100 can be stored. The initial set value may include, for example, an address of a fail cell required in a repair operation.

제2 영역(120)에는 제1 영역(1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비해 액세스 횟수가 많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제2 영역(120)에는 추가적인 리프레시가 필요한 셀의 어드레스가 저장될 수 있다. In the second area 120, data having a larger access frequency than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110 is stored. For example, the second region 120 may store the address of a cell that requires additional refresh.

메모리 셀은 커패시터로서 구현된다. 즉,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에 의해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러한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전되어 데이터가 소실된다. 따라서, 메모리 셀에 대해 일정 시간 내에 전하를 회복시켜주는 리프레시(refresh)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The memory cell is implemented as a capacitor. That is, data is stored by the charge charged in the capacitor. Charges charged in these capacitors are discharged over time and data is lost. Therefore, a refresh operation for restoring the char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o the memory cell must be performed.

이러한 메모리 셀에 진행성 불량이 발생하여 리프레시 실력치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다시 말해, 리드/라이트 동작시 오류가 발생하는 통상의 불량과 달리,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가 주변 셀과의 커플링 등을 이유로, 설정된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에 데이터가 소실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메모리 셀을 위크 셀이라 한다.A progressive failure may occur in such a memory cell and the refreshing ability value may become insufficient. In other words, data is lost before the set refresh operation is performed, because data stored in the memory cell is coupled to peripheral cells or the like, unlike a normal failure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he read / write operation. The generated memory cell is called a wick cell.

전술한 위크 셀은 통상의 리페어 방식, 즉, 충분한 크기의 리던던시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구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리던던시 메모리 셀을 추가로 구비하고, 위크 셀을 리던던시 메모리 셀로 대체(리페어)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weak cells can be remedied using a normal repair method, that is, a method having redundant memory cells of sufficient size. Specifically, a method may be considered in which a redundancy memory cell is additionally provided, and a weak cell is replaced with a redundancy memory cell (repair).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리던던시 메모리 셀 및, 위크 셀과 리던던시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이-퓨즈 어레이(즉, 제1 영역(110))의 크기가 커진다. 이에 따라, 칩의 면적이 커져 웨이퍼당 다이(die) 수가 줄어들고 수율이 저하된다.In this case, however, the size of the redundancy memory cell and the e-fuse array (i.e., the first area 110) for storing the addresses of the weak cell and the redundancy memory cell become large. As a result, the area of the chip becomes large and the number of dies per wafer decreases, and the yield decreases.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위크 셀의 어드레스를 제2 영역(120)에 저장하고, 위크 셀에 대해 추가적인 리프레시를 수행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address of the wiccell is stored in the second area 120, and additional refresh is performed on the wiccle.

도 2는 도 1의 이-퓨즈 어레이(100)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10 including the e-fuse array 100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는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제1 래치부(210), 제2 래치부(220), 제1 제어부(310) 및 제2 제어부(3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emiconductor device 10 includes a first region 110, a second region 120, a first latch portion 210, a second latch portion 220, a first control portion 310, 2 < / RTI >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은 도 1에 도시된 이-퓨즈 어레이(100)의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에 각각 해당한다. 도 2에서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은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물리적으로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rea 110 and the second area 120 correspond to the first area 110 and the second area 120 of the e-fuse array 100 shown in FIG. Although the first region 110 and the second region 120 are shown as being separated in FIG. 2, they may be phys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제1 영역(110)에는 제2 영역(120)에 비해 액세스 횟수가 적은 데이터, 예를 들면 페일 어드레스 및 이에 대응하는 리던던시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리던던시 어드레스)가 럽처되어 있다.In the first area 110, data having a smaller number of accesses than the second area 120, for example, a fail address and the address (redundancy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redundancy memory cell are corrupted.

제2 영역(120)에는 제1 영역(110)에 비해 액세스 횟수가 많은 데이터, 예를 들면 위크 셀의 어드레스가 럽처되어 있다.In the second area 120, data having a larger number of accesses than the first area 110, for example, the address of a wick cell, is corrupted.

제1 래치부(210)는 제1 영역(110)에 저장된 데이터(DATA_1)를 저장한다. 제1 래치부(210)는 예를 들면 부트업시 제1 영역(110)에 저장된 데이터(DATA_1)를 모두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latch unit 210 stores data (DATA_1) stored in the first area 110. The first latch unit 210 may store all data (DATA_1) stored in the first area 110 at the time of boot-up, for example.

제2 래치부(220)는 제2 영역(120)에 저장된 데이터(DATA_2)를 저장한다. 제2 래치부(220)는 후술하는 제2 제어부(320)의 어드레스 제어 신호(ADDR_CON_2)에 기초하여 제2 영역(120)의 특정 데이터(DATA_2)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latch unit 220 stores data (DATA_2) stored in the second area 120. The second latch unit 220 may store the specific data DATA_2 in the second area 120 based on the address control signal ADDR_CON_2 of the second control unit 320 described later.

제1 제어부(310)는 제1 영역(110)에 저장된 데이터(DATA_1)를 이용하여 반도체 장치(10)를 제어한다. The first controller 310 controls the semiconductor device 10 using the data DATA_1 stored in the first area 110. [

예를 들면, 제1 제어부(310)는 리페어 제어부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110)에 럽처된 데이터(DATA_1)는 페일 셀의 어드레스일 수 있다. 제1 영역(110)에 럽처된 페일 셀의 어드레스(DATA_1)는 반도체 장치(10)의 부트업시 제1 래치부(210)에 저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310 may be a repair control unit. The data (DATA_1) laid out in the first area 110 may be the address of the fail cell. The address DATA_1 of the fail cell which is struck in the first area 110 may be stored in the first latch unit 210 at the boot-up tim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10. [

제1 제어부(310)는 래치부(210)에 저장된 페일 셀의 어드레스(DATA_1)를 이용하여 리페어 동작을 수행한다. The first control unit 310 performs a repair operation using the address DATA_1 of the fail cell stored in the latch unit 210. [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310)는 특정 메모리 셀에 대한 액세스가 요청되면, 제1 어드레스 제어신호(ADDR_CON_1)를 제1 래치부(210)에 전송한다. 제1 래치부(210)는 제1 어드레스 제어신호(ADDR_CON_1)에 응답하여 페일 셀의 어드레스(DATA_1)를 제1 제어부(310)에 전송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 unit 310 transmits the first address control signal ADDR_CON_1 to the first latch unit 210 when an access to the specific memory cell is requested. The first latch unit 210 transmits the address (DATA_1) of the fail cell to the first control unit 310 in response to the first address control signal ADDR_CON_1.

제1 제어부(310)는 입력 어드레스(ADD)와 페일 셀의 어드레스(DATA_1)가 일치하면 내부적으로 액세스가 요청된 특정 메모리 셀 대신에 리던던시 메모리 셀에 액세스하도록 리페어 제어 신호(REP_CON)을 생성한다.The first control unit 310 generates a repair control signal REP_CON so as to access the redundant memory cell instead of the specific memory cell which is requested internally when the input address ADD matches the address DATA_1 of the fail cell.

제2 제어부(320)는 제2 영역(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도체 장치(10)를 제어한다. The second controller 320 controls the semiconductor device 10 using data stored in the second area 120.

예를 들면, 제2 제어부(320)는 리프레시 제어부일 수 있다. 제2 영역(120)에는 위크 셀의 어드레스가 저장될 수 있다. 제2 제어부(320)는 소정의 주기로 메모리 셀 전체에 대해 리프레시를 수행하고, 메모리 셀 중 위크 셀에 대해서는 추가로 리프레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unit 320 may be a refresh control unit. In the second area 120, an address of a week cell may be stored. The second controller 320 controls the entire memory cells to refresh in a predetermined cycle, and further refreshes the weak cells in the memory cells.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320)는 리프레시 커맨드(REF)에 응답하여 제2 영역(120)에 제2 어드레스 제어신호(ADDR_CON_2)를 전송한다. 제2 영역(120)은 제2 어드레스 제어신호(ADDR_CON_2)에 해당하는 데이터, 즉 위크 셀의 어드레스(DATA_2)를 제2 래치부(220)에 전송한다. Specifically, the second controller 320 transmits the second address control signal ADDR_CON_2 to the second area 120 in response to the refresh command REF. The second area 120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ddress control signal ADDR_CON_2, that is, the address (DATA_2) of the wake cell, to the second latch unit 220.

제2 제어부(320)는 제2 래치부(220)로부터 위크 셀의 어드레스(DATA_2)를 읽어내어, 위크 셀의 어드레스(DATA_2)에 추가적인 리프레시가 수행되도록 리프레시 제어신호(REF_CON)를 생성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320 reads the address DATA_2 of the wicule cell from the second latch unit 220 and generates the refresh control signal REF_CON so that additional refresh is performed on the address DATA_2 of the wake cell.

도 3은 도 2의 제2 제어부(320)에서 수행되는 리프레시 동작의 타이밍도이다.3 is a timing diagram of the refresh operation perform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320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리프레시 커맨드(REF)는 예를 들어 64ms마다 입력될 수 있다. 제2 제어부(320)는 리프레시 커맨드(REF)에 응답하여 64ms의 주기마다 예를 들어 8K개의 워드라인에 대해 리프레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Case 1).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셀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64ms 동안 2회, 즉 32ms의 주기로 리프레시를 수행한다(Case 2). Referring to FIG. 3, the refresh command REF may be input, for example, every 64 ms. The second control unit 320 may cause the refresh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for example, 8K word lines at a cycle of 64 ms in response to the refresh command REF (Case 1). However, in this embodiment,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ory cell, the refresh is performed twice for 64 ms, that is, for 32 ms (Case 2).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위크 셀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6ms마다 위크 셀에 대해 추가적인 리프레시를 수행한다(Case 3).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dditional refreshes are performed on the week cells every 16 m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ek cells (Case 3).

구체적으로 도 3의 Case 3을 참조하면, 16ms 동안 8K개의 워드라인 중 절반인 4K개의 워드라인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α 구간 동안 위크 셀이 포함된 워드라인에 대해 추가적인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Case 3 of FIG. 3, a refresh operation is performed on 4K word lines which are half of 8K word lines for 16ms. Then, an additional refresh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word line including the wake cell during?

이때, 위크 셀의 어드레스는 제2 영역(120)에 저장되어 있다. 제2 제어부(320)는 제2 영역(120)에 액세스하여 획득한 위크 셀의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address of the wick cell is stored in the second area 120. The second controller 320 accesses the second area 120 and performs an additional refresh operation using the address of the acquired wake cell.

위크 셀이 포함된 워드라인에 대한 추가적인 리프레시 동작의 종료 후, 제2 제어부(320)는 8K개의 워드라인 중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나머지 4K개의 워드라인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제2 제어부(320)는 위크 셀이 포함된 워드라인에 대해 추가적인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한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additional refresh operation for the word line including the wake cell, the second controller 320 performs the refresh operation on the remaining 4K word lines for which the refresh operation is not performed among the 8K word lines. Thereafter, the second controller 320 performs an additional refresh operation on the word line including the wikel cell.

즉, 도 3에서 8K개의 워드라인의 리프레시 주기는 32ms+2*α이다. 위크 셀이 포함된 워드라인은 8K개의 워드라인이 리프레시되는 동안 1회 리프레시되고, α구간에서 1회 리프레시 된다. 따라서, 위크 셀이 포함된 워드라인은 32ms+2*α 동안 3회 리프레시가 수행된다.That is, in FIG. 3, the refresh period of 8K word lines is 32ms + 2 * ?. The word line including the Week cell is refreshed once while the 8K word lines are being refreshed, and is refreshed once in the [alpha] section. Therefore, the word line including the Week cells is refreshed three times during 32ms + 2 * [alpha].

도 4는 도 3의 추가적인 리프레시 동작이 행해지는 구간(α 구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section (a section) where the additional refresh operation of Fig. 3 is performed.

도 4를 참조하면, 4K번째 워드라인(WL4k)에 대한 리프레시 동작이 종료한 후, 4K+1번째 워드라인(WL4k+1)에 대한 리프레시 동작이 시작되기 이전에, 위크 셀이 포함된 n개의 워드라인(wWL1~wWLn)에 대해 추가적인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다. 위크 셀이 포함된 n개의 워드라인(wWL1~wWLn)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증폭(ARE sensing)되어 리프레시(Weak WL Refresh)가 수행된다.4, after the refresh operation for the 4K-th word line WL4k is completed and before the refresh operation for the 4K + 1-th word line WL4k + 1 is started, n An additional refresh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word lines wWL1 to wWLn. (ARE sensing) is sequentially performed for each of the n word lines wWL1 to wWLn including the wake cell to perform refresh (Weak WL Refresh).

이때, 제1 영역(110)은 부트업시 액세스되어 제1 영역(110)에 저장된 리페어 데이터가 래치부(210)에 모두 저장되는 것과는 달리, 제2 영역(120)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위크 셀의 어드레스는 추가적인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될 때마다 액세스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area 110 is accessed during boot-up, and unlike the case where the repair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110 is all stored in the latch part 210, the data stored in the second area 120, The address of the cell is accessed each time an additional refresh operation is performed.

제1 영역(110)의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제2 영역(120)의 데이터도 부트업시 모두 래치부(220)에 저장한 후 래치부(220)에 액세스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래치부(220)의 면적이 커진다. It is conceivable to store the data of the second area 120 in the latch unit 220 and access the latch unit 220 at the time of boot-up as well as the data of the first area 110. [ However,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latch portion 220 is increas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영역(120)의 데이터는 필요시마다 제2 영역(120)에 직접 액세스하여 래치부(220)에 저장한 후 이용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data in the second area 120 is used after being directly accessed to the second area 120 and stored in the latch part 220 whenever necessary.

이-퓨즈 어레이(1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부 부트업시 래치부(210, 220)에 저장되는 경우 이-퓨즈 어레이(100)는 부트업시 한번만 액세스된다. 따라서, 이-퓨즈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는 통상의 메모리 셀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에 비해 액세스 횟수가 적으므로 요구되는 신뢰성의 정도가 높지 않다.When the data stored in the e-fuse array 100 are all stored in the latch units 210 and 220 during boot-up, the -fuse array 100 is accessed only once during boot-up. Therefore,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e-fuse array 100 has a lower degree of reliability than that of a transistor constituting a normal memory cell because the number of accesses is small.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을 포함하는 이-퓨즈 어레이(100)는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의 액세스 횟수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10)에 저장된 페일 셀의 어드레스는 부트업시에만 액세스된다. 제2 영역(120)에 저장된 위크 셀의 어드레스는 리프레시 동작시마다 액세스된다. However, the e-fuse array 100 including the first area 110 and the second area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in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first area 110 and the second area 120 . For example, the address of the fail cell stored in the first area 110 is accessed only at boot-up time. The addresses of the week cells stored in the second area 120 are accessed every refresh operation.

따라서, 이-퓨즈 어레이(100)의 제2 영역(120)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는 제1 영역(110)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에 대해 요구되는 신뢰성보다 높은 정도의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120 of the e-fuse array 100 must be assured of a degree of reliability higher than the reliability required for the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110. [

도 5a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Tox)와 트랜지스터의 수명(LT)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Lg)와 수명(LT)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c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W)과 성능(IDS)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5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Tox)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transistor and the lifetime LT of the transistor, FIG. 5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te length Lg of the transistor and the lifetime LT, 5C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te width W of the transistor and the performance (IDS).

여기에서, 게이트 산화막은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구조에서, 기판과 게이트 구조를 상하방향으로 분리하기 위해 게이트 구조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산화막을 의미한다. 게이트 폭은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게이트의 길이를 의미한다. 게이트 길이는, 상기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및 상기 게이트 폭에 수직인 게이트의 길이를 의미한다.Here, the gate oxide film means an oxide film formed at the bottom of the gate structure to separate the substrate and the gate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gate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 The gate width means the length of the gate between the source and the drain. The gate length means the thickness of the gate oxide film and the length of the gate perpendicular to the gate width.

도 5a를 참조하면, 실선은 제1 영역(110)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를 나타내고, 점선은 제2 영역(120)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Tox)와 수명(LT)은 비례한다. Referring to FIG. 5A, a solid line indicates a transistor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110, and a dotted line indicates a transistor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120. As shown in FIG. 5A, the thickness (Tox) and the lifetime LT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transistor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다만, 제1 영역(110)의 트랜지스터는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에 비해 액세스 횟수가 적다. 따라서, 예를 들어 10년의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영역(110)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Tox1)는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Tox2)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transistor of the first region 11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istor of the second region 120. Therefore, for example, the thickness (Tox1)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transistor of the first region 110 required to ensure a lifetime of 10 years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Tox2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transistor of the second region 120 Can be set.

도 5b를 참조하면, 실선은 제1 영역(110)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를 나타내고, 점선은 제2 영역(120)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Lg)와 수명(LT)은 비례한다. Referring to FIG. 5B,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110, and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120. In FIG. As shown in FIG. 5B, the gate length Lg of the transistor and the lifetime LT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다만, 제1 영역(110)의 트랜지스터는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에 비해 액세스 횟수가 적다. 따라서, 예를 들어 10년의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영역(110)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Lg1)는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Lg2)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transistor of the first region 11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istor of the second region 120. Therefore, for example, the gate length Lg1 of the transistor of the first region 110 required to ensure a lifetime of 10 years can be set to be smaller than the gate length Lg2 of the transistor of the second region 120 .

도 5c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W)과 성능(IDS)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점선은 실선에 비해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Tox) 또는 게이트 길이(Lg)가 큰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5C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te width W and the performance IDS of the transistor, and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transistor having the gate oxide film thickness Tox or gate length Lg larger than the solid line.

도 5c의 아래 방향으로 표시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또는 게이트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소스간의 전류(IDS) 값이 IDS1에서 IDS2로 감소한다. 이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소스간의 전류(IDS)는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낸다.As shown by the downwardly directed arrows in Fig. 5C, the current (IDS) value between the drain and source of the transistor decreases from IDS1 to IDS2 as the gate oxide film thickness or gate length increases. At this time, the current (IDS) between the drain and the source of the transistor represents the performance of the transistor.

따라서, 도 5a 및/또는 도 5b에서와 같이 제2 영역(120)의 수명을 제1 영역(110)의 수명과 동일한 정도로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또는 게이트 길이를 증가시키면,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의 성능이 감소한다.Thus, to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second region 120 to the same extent as the lifetime of the first region 110, as shown in FIGS. 5A and / or 5B, the thickness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transistor of the second region 120, Increasing the length reduces the performance of the transistors in the second region 120.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W)과 드레인-소스 간의 전류(IDS), 즉 성능은 비례한다. 따라서,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및/또는 게이트 길이를 증가시킨 경우,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의 감소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게이트 폭(W)을 증가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5C, the gate width W of the transistor and the current (IDS) between the drain and the source, that is, the performance, are proportional. Thus,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transistor in the second region 120, if the thickness and / or the gate length of the gate oxide film are increased, the gate width W ) Can be increased.

즉, 게이트 폭(W1)을 갖는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및/또는 게이트 길이를 증가시켜 성능이 저하된 경우(도 5c의 화살표를 참조), 게이트 폭(W1)을 게이트 폭(W2)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성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That is, in the transistor of the second region 120 having the gate width W1, when the gate oxide film thickness and / or the gate length are increased to deteriorate the performance (see arrows in FIG. 5C) ) To the gate width W2, it is possible to prevent degradation of perform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퓨즈 어레이(100)는 액세스 횟수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The e-fuse arr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structure depending on the number of accesses.

특히, 액세스 횟수가 적은 영역(제1 영역(110))에 대해서는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작게 하고, 액세스 횟수가 많은 영역(제2 영역(120))에 대해서는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크게 한다. Particularly, the size of the transistor is reduced for the area with a small number of accesses (the first area 110) and the size of the transistor is increased for the area with a large number of accesses (the second area 120).

예를 들면,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게이트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영역(110)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은 제1 영역(110)보다 클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transistor and the length of the gate of the second region 12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110. In addition, the gate width of the transistor of the second region 12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110.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액세스 횟수가 많은 제2 영역(120)의 트랜지스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 전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since the lifetime of the transistor of the second region 120 having a large number of accesses can be extended,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Claims (20)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이-퓨즈 어레이;
상기 제1 영역에 저장된 제1 데이터를 이용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영역이 액세스되는 횟수보다 더 많이 상기 제2 영역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저장된 제2 데이터를 이용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An e-fuse array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first controller using first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And
A second controller accessing the second area by using more of the second data stored in the second area than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area is access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ze of a transistor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and a size of a transistor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는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ate length of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is larger than the gate length of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은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ate width of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is larger than the gate width of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은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ate width of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is larger than the gate width of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firs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저장된 제1 데이터를 부트업시 저장하는 래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atch unit for storing the first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at boot-
The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래치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accesses the latch unit and uses the first dat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페일 셀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data is an address of a fail cel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입력 어드레스와 상기 래치부에 저장된 페일 셀의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입력 어드레스 대신에 페일 셀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리던던시 어드레스에 액세스함으로써 리페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performs a repair operation by accessing a redundancy address corresponding to an address of a fail cell instead of an input address when an input address matches an address of a fail cell stored in the latch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는 위크 셀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data is an address of a week cel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위크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에 대해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액세스하여 획득한 상기 위크 셀의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위크 셀에 대해 추가로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omprises:
A refresh operation is performed on a memory cell including the wick cell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further performs a refresh operation on the weak cell using the address of the weak cell obtained by accessing the second reg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위크 셀에 대해 상기 소정의 주기의 2배의 주기로 추가적인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omprises:
And performs an additional refresh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wick cell at a cycle twice the predetermined period.
제1 트랜지스터가 포함되는 퓨즈 셀을 복수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제2 트랜지스터가 포함되는 퓨즈 셀을 복수 포함하는 제2 영역
을 포함하며,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퓨즈 어레이.
A first reg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use cells including a first transistor,
A second reg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use cells including the second transistor
/ RTI >
Wherein the siz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size of the second transistor are differe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퓨즈 어레이.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second transistor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ate oxide film of the first transist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퓨즈 어레이.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gate length of the second transistor is greater than a gate length of the first transist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퓨즈 어레이.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gate width of the second transistor is greater than the gate width of the first transis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퓨즈 어레이.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gate width of the second transistor is greater than the gate width of the first transist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자주 액세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퓨즈 어레이.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region is accessed more frequently than the first reg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부트업시 액세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퓨즈 어레이.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irst area is accessed during boot-up.
KR1020160107070A 2016-08-23 2016-08-23 E-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92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70A KR102492091B1 (en) 2016-08-23 2016-08-23 E-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5/350,651 US10007454B2 (en) 2016-08-23 2016-11-14 Memory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1710718091.6A CN107767916B (en) 2016-08-23 2017-08-21 Memory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70A KR102492091B1 (en) 2016-08-23 2016-08-23 E-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139A true KR20180022139A (en) 2018-03-06
KR102492091B1 KR102492091B1 (en) 2023-01-30

Family

ID=6172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070A KR102492091B1 (en) 2016-08-23 2016-08-23 E-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09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9063A (en) * 1995-06-07 1997-03-11 Hitachi Ltd Low-electric-power memory system
KR20140113191A (en) * 2013-03-15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refresh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9063A (en) * 1995-06-07 1997-03-11 Hitachi Ltd Low-electric-power memory system
KR20140113191A (en) * 2013-03-15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refresh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091B1 (en)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3510B1 (en) Memory device including redundancy routine for correcting random errors
JP4191355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7180775B2 (en) Different numbers of bits per cell in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6445625B1 (en) Memory device redundancy selection having test inputs
KR20040027450A (en) A method of self-repair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9240248B2 (en) Method of using non-volatile memories for on-DIMM memory address list storage
US10031792B2 (en) Flash memory
US9886339B2 (en) Semiconductor device using fuse arrays to store weak cell addresses
JP2006344345A (en) 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161857B2 (en) Memory redundancy programming
CN107767916B (en) Memory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67576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achieving high reliability without increasing process complexity and cost
US20080285358A1 (en) Method and circuit for stressing upper level interconnects in semiconductor devices
JP384802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provided with electric fuse element
KR102547107B1 (en) Memory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551498B2 (en) Implementation of column redundancy for a flash memory with a high write parallelism
US972823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80237587A1 (en) Method and circuit for stressing upper level interconnects in semiconductor devices
US20060028878A1 (en) Programming and evaluating through PMOS injection
KR102492091B1 (en) E-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5513691A (en) DRAM with half-memory density ROM
JP2007122640A (en) Storage device
JP2013030251A (en) Memory system
US20230377626A1 (en) Flash memory devices including dram
US20210202024A1 (en) Memory redundancy rep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