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094A - pillow for baby can sound and vibration - Google Patents

pillow for baby can sound and vib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094A
KR20180022094A KR1020160106969A KR20160106969A KR20180022094A KR 20180022094 A KR20180022094 A KR 20180022094A KR 1020160106969 A KR1020160106969 A KR 1020160106969A KR 20160106969 A KR20160106969 A KR 20160106969A KR 20180022094 A KR20180022094 A KR 20180022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ound
sounding
ringing
storage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5988B1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김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훈 filed Critical 김지훈
Priority to KR102016010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988B1/en
Publication of KR2018002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0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6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soun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A baby pillow making sounds and vib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pocket which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a sound device and a function of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so that the storage of the sound device is convenient and harmful effects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prevented. Moreover, since the sound device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in a form of a storage structure, hygiene and cleanliness of the pillow can be maintained by providing a condition for frequent laundries and laundry processes. In addition, a resonance space is separately provided to spread vibrations and sounds in three dimensions in the pillow, thereby naturally inducing comfort and coziness while enhanc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an effect of having no sense of heterogeneity about vibrations and sounds heard by babies. Emotional development, concentration and memory are enhanced and learning time and stress are expected to be reduced.

Description

소리와 진동을 내는 유아용 베개{pillow for baby can sound and vibr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for a baby,

본 발명은 소리와 진동을 내는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for infants,

베개에 심장박동 소리, 백색소음을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음향기기의 수납 기능, 전자파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수납포켓이 구비되어 음향기기의 수납에 대한 간편함과 전자파로 인한 유해 영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공명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베개에 진동과 소리가 입체적으로 퍼지도록 함으로써, 유아에게 들려주는 소리와 진동에 대하여 이질감이 없도록 하며 아울러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더욱 높이면서 안락함과 편안함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정서 발달 및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하고 학습시간 및 스트레스가 감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분리 가능한 구성을 통해 베개의 위생과 청결함을 위한 잦은 빨래 및 세탁을 통한 관리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t is equipped with a storage pouch that provides a sounding device that can record and play back the heartbeat sound, white noise on the pillow,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so that it is easy to store sound equipment and prevents the harmful influence from electromagnetic waves. In particular, resonance space is provided separately so that the vibration and sound are spread in three dimensions on the pillow, so that there is no sense of difference in sound and vibration to be heard by the infant, and furthermor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re enhanced and comfort and comfort are naturally induced And can improve the emotional development, concentration and memory, reduce learning time and stress, and provide a manageable environment through frequent laundry and laundry for hygiene and cleanliness of the pillow through separab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keep it.

소리와 진동을 내는 일반적인 유아용 베개는 간단한 예로 베개 피의 내부에 베개 속이 채워지고 상기 베개 속의 내부에는 음향기기의 일종인 유무선 스테레오 스피커 또는 심장박동 소리와 백색소음이 녹음된 IC녹음기(IC Voice Recording machine)가 매몰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A typical baby pillow that sounds and vibrates is a simple example of a pillow filled with a pillow inside, a wired or wireless stereo speaker, which is a type of sound device, or an IC Voice Recording machine in which a heartbeat sound and white noise are recorded, As shown in FIG.

위와 같이 매몰되는 유무선 스테레오 스피커는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전용 유무선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시켜 음악, 소리, 진동을 들The above-mentioned wired / wireless stereo speaker can b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or smart phone that can control it by wired or wireless,

려주거나 IC녹음기를 재생하여 사전에 녹음된 음악, 소리, 진동을 들려주게 된다.Or play an IC recorder to hear pre-recorded music, sounds, and vibrations.

그런데, 위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베개는 모두 유무선 스테레오 스피커 또는 IC 녹음기는 베개 속에 단순히 매몰시켜놓은 수준에 불과하여 전자파로 인한 유해 영향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ll of the pillows provided with the above functions are only a level that the wired / wireless stereo speakers or the IC sound recorder are simply buried in the pillow, so that the harmful influence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can not be fundamentally blocked.

또한, 위와 같이 유무선 스테레오 스피커 또는 IC녹음기를 베개 속 내부에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wired or wireless stereo speakers or IC recorder inside the pillow

단순히 매몰시켜놓은 수준이므로 사용자가 스테레오 스피커 또는 IC녹음기를 베개로부터 꺼내고자 할 경우, 우선 베개를 수용하고 있는 베개 피를 벗겨내고, 상기 베개 피 속에 매몰되어 있는 스테레오 스피커 또는 IC 녹음기를 찾아 꺼내야 함으로써, 스테레오 스피커 또는 IC녹음기의 수납에 대한 사용상 번거로움과 함께 신속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When the user wants to remove the stereo speaker or the IC recorder from the pillow, the user first peels off the pillow holding the pillow, finds out the stereo speaker or the IC recorder buried in the pillow,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not easy to use with the hassle of using for storing stereo speakers or IC recorder.

또한, 위와 같은 형태로 매몰되어 있는 유무선 스테레오 스피커 또는 IC녹음기는 베개 속에 매몰되어 있어 소리와 진동 전달이 베개 속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소리와 진동에 대한 전달은 물론, 베개에 대한 전체적인 울림 및 퍼짐성이 모두 미흡하여 유아가 이질감을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wired / wireless stereo speaker or IC recorder which is buried in the above-mentioned form is buried in the pillow, and the transmission of sound and vibration is blocked by the pillow, so that the sound and vibration are transmitted to the pillow as well as the overall sound and spreading The infant felt a sense of heterogeneity, and there was a limit to enhanc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아울러 기능성이 있는 베개 중에는 베개와 결합되어 있거나 혹은 베개 속에 기능 장치가 있는 베개로 위생과 청결함을 위한 잦은 빨래 및 세탁을 통한 관리를 하지 못하거나 관리를 위해 기능을 수용하고 있는 베개의 피를 벗겨내고, 상기의 베개 피 속에 있는 장치를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Among the functional pillows are pillows that are either paired with a pillow or have a functioning device in the pillow, which can not be managed through frequent laundry and laundry for hygiene and cleanlin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to take out the device in the above-mentioned pillow bloo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베개에 심장박동 소리, 백색소음을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음향기기의 수납 기능, 전자파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수납포켓이 구비되어 음향기기의 수납에 대한 간편함과 전자파로 인한 유해 영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공명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베개에 진동과 소리가 입체적으로 퍼짐으로써, 유아에게 들려주는 진동과 소리에 대하여 이질감이 없는 효과와 함께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더욱 높이면서 안락함과 편안함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정서발달 및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하고 학습시간 및 스트레스가 감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분리 가능한 구성을 통해 베개의 위생과 청결함을 위한 잦은 빨래 및 세탁을 통한 관리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sound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s of a heartbeat sound, And a storage pocket for provid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orage of the acoustic equipment and to prevent the harmful influence due to the electromagnetic wave. Especially, the resonance space is separately provided and the vibration and the sound are three- It is possible to induce comfort and comfort naturally by enhanc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feeling with the effect of having no sense of heterogeneity about the vibration and sound that is heard,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emotional development, concentration and memory and reduce learning time and stress And hygienic and cleanliness of the pillow through a detachable configuration For it was to maintain a managed environment with frequent washing and laundr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부 베개 몸체; 상기 상,하부 몸체에 각각 일부 매립되는 형태로 상,하부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체격을 갖는 제1 울림공간과 제2 울림공간이 양편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울림관; 상기 울림관의 내부로 음향기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울림관에 형성되는 수납포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리와 진동을 내는 유아용 베개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upper and lower pillow bodies detachably assembled; A resonance tube having a first resonating space and a second resonating space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dies in a form partially embedded in the upper and lower bodies and having a physiqu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ined through a baby pillow having a sound and vibration comprising a storage pocket formed in a ringing tube for receiving an acoustic device inside the ringing tube.

또한, 상기 수납포켓은 제1 울림공간과 제2 울림공간을 소통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통로에 형성되어 소리와 진동을 내는 베개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pocket is formed in a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ringing space and the second ringing space, thereby providing a sound and a vibrating pillow.

또한, 상기 제1,2 울림공간이 각각 위치하고 있는 울림관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제1,2 울림공간과 통하는 구조로, 각각에 제1,2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리와 진동을 내는 베개가 제공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ounding pip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ounding spaces are respectively disposed is provided with a sounding and vibrating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sounding spaces A pillow is provided.

상기 수납포켓의 수납구는 상부 베개 몸체와 하부 베개 몸체가 결합되었을 때 수납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부 베개 몸체와 하부 베개 몸체의 일부분이 수납구의 위치와 맞게 홈이 파여져 있고, 상기 수납포켓과 제 1,2 울림공간이 접하는 면을 포함하는 수납포켓의 내면에는 전자파차단소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와 진동을 내는 베개가 제공된다The upper pillar body and the lower pillow body may be formed with grooves so that a part of the upper pillow body and the lower pillow body coincide with the positions of the receiving ports when the upper pillow body and the lower pillow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 And a pillow for sound and vibration is provided,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pocket including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wo sounding spac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리와 진동을 내는 유아용 베개를 사용하게 되면, 음향기기의 수납 기능과 전자파를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수납포켓이 구비되어 음향기기의 수납에 대한 간편함과 전자파로 인한 유해 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전자기기인 음향기기가 수납구조로 되어있어 베개의 위생과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잦은 빨래 및 세탁 과정 환경을 제공해준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fant pillow is used for sound and vib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pocket for providing a function of storing sound devices and a function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is provided. Thus, it is easy to store audio equipment and harmful effects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power.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a storage structure, provides a frequent laundry and laundry process environment to maintain hygiene and cleanliness of the pillow.

또한, 공명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베개에 진동과 소리가 입체적으로 퍼짐으로써, 유아에게 들려주는 진동과 소리에 대하여 이질감이 없는 효과와 함께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더욱 높이면서 안락함과 편안함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정서발달 및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하고, 학습시간 및 스트레스가 감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onance space is provided separately, and the vibration and sound are spread in three dimensions on the pillow, so that the vibration and sound heard by the infant are free from the sense of heterogeneity, an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can be enhanced to naturally induce comfort and comfort , Emotional development, concentration and memory, and learning time and stress can be reduc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와 진동을 내는 유아용 베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분리사시도 이고, 도 1b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울림관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1A and 1B illustrate a baby pillow for sound and vib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1B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onance tube. Fig.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와 진동을 내는 유아용 베개(이하, 베개로 칭함)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베개(10)의 구성요소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베개(1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부 베개 몸체(12, 14)와, 상기 상,하부 몸체(12, 14)에 각각 일부 매립되는 형태로 상,하부 몸체(12, 14)의 사이에 배치되는 울림관(16)과, 상기 울림관(16)에 형성되는 수납포켓(18)과, 상기 수납포켓(18)에 수납되는 음향기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Figs. 1A and 2, a baby pillow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illow) is provided for sound and vib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illow 10 includes upper and lower pillow bodies 12 and 14 detachably assembled to each other, and upper and lower pillars 12 and 14, A sounding pipe 16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dies 12 and 14 so as to be partly embedded in the sounding holes 14 and 14, a storage pocket 18 formed in the sounding pipe 16, (20) housed in the housing (18).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베개 몸체(12)의 저면과 하부 베개 몸체(24)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울림관(16)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이 각각 매립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매립홈(22)과 하부 매립홈(24)이 울림관(16) 모양과 일치하는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pillow body 24 and the lower pillow body 24 may be fix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ringing tube 16 And the lower buried groove 24 are form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shape of the ringing tube 16.

또한, 상기 상부 베개 몸체(12)의 저면과 하부 베개 몸체(24)의 상면에는 상부 베개 몸체(12)가 하부 베개 몸체(24)의 상면에 놓이게 될 때, 서로 조립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6)와, 상기 결합돌기(26)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 홈(28)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베개 몸체(12)와 하부 베개 몸체(24)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 형태 및 구조 범위 내에서 성립할 수 있다.When the upper pillow body 12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illow body 24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illow body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illow body 24, The coupling protrusion 26 and the coupling groove 28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26 can be inserted are form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pillow body 12 and the lower pillow body 24 ) Can be maintained in the assembled state and within the range of structure.

따라서, 위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결합돌기(26)와 결합홈(28) 간의 결합 구조를 통해 상기 상부 베개 몸체(12)와 하부 베개 몸체(24) 간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아울러 상기 상,하부 베개(12, 14)는 용이한 세탁과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라텍스(latex)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라텍스 외에 통풍성 및 항균 효과를 지닌 가볍고 압력이 없을 시 기존 형태로 복원되는 신소재 등은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pillow body 12 and the lower pillow body 24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26 and the coupling grooves 28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illows 12 and 14 may be made of latex in consideration of easy washing and hygienic aspects. Likewi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preferable to use a light material having air permeability and antimicrobial effect other than latex, and a new material to be restored to an existing form in the absence of pressure.

상기 울림관(16)은 울림에 좋은 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좌측과 우측 내부에The sounding pipe 16 is made of a wood material good for sounding,

는 각각 체적을 갖는 제1 울림공간(30)과 제2 울림공간(32)이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1 울림공간(30)과 제2 울림공간(32)은 수납포켓(18)이 형성되는 연결통로(34)를 통해 서로 소통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 통로(34)로부터 확관 되는 형태로 제1,2 울림공간(30, 32)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ringing space 30 and the second ringing space 32 having the respective volumes are arrang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ringing space 30 and the second ringing space 32 arranged in this manner are disposed in the storage pocket 1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passage 34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s 34 are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inging spaces 30 and 32 are formed in a shape expanded from the connection passage 34.

또한, 상기 제1,2 울림공간(30, 32)이 각각 위치하고 있는 울림관(16)의 상면에는 각각 해당하는 제1,2 울림공간(30, 32)과 통하는 구조로 제1,2 통공(36, 38)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sounding pipe 16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ounding spaces 30 and 32 are located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ounding spaces 30 and 32, 36, and 38 are formed.

또한, 상기 연결통로(34)에는 음향기기(20)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포켓(18)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수납포켓(18)의 수납구(40)는 상부 베개 몸체(12)와 하부 베개 몸체(14)가 결합되었을 때 수납구(40)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부 베개 몸체(12)와 하부 베개 몸체(14)의 일부분이 수납구(40)의 위치와 맞게 홈이 파여 있는 형태로 측면에 형성된다.The storage space 18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ssage 34 so that the sound device 20 can be received therein. The storage space 18 of the storage pocket 18 is formed with the upper pillow body 12 and the lower A portion of the upper pillow body 12 and the lower pillow body 14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groove so as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opening 40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receiving opening 40 when the pillow body 14 is engag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수납포켓(18)과 제1,2 울림공간(30, 32)이 접하는 면을 포함하는 수납포켓(18)의 내면에는 전자파차단소재(42)가 부착되어 있어 이러한 전자파차단 소재(42)에 의하여 수납포켓(18)에 수용된 음향기기(20)로부터 발생 되는 전자파가 수납포켓(18)의 외부로 방출되는 유해 요인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A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42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pocket 18 including the surface where the storage pocket 18 and the first and second resonating spaces 30 and 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harmful factors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pocket 18 by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acoustic equipment 20 housed in the storage pocket 18. [

상기 음향기기(20)는 녹음과 재생 및 타이머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가 사용되며, 이러한 상기 음양기기(20)의 양 측면에는 음향기기를 수납포켓(18)의 내부로 삽입 시 상기 제1 울림공간(30)과 제2 울림공간(32)을 향해 전달될 수 있도록 소리와 진동이 출력되는 스피커(44)가 구비되어 있다.When the sound device 2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pocket 18 on both sides of the sound field device 20, And a speaker 44 for outputting sound and vibration so as to be transmitted toward the first sounding room 30 and the second sounding room 32 are provided.

특히, 발명에 따른 베개(10)는 수납포켓(18)으로 삽입된 음향기기(20)를 동작시켜 음향기기(20)에 구비된 스피커(44)를 통하여 진동과 소리가 출력되게 되면, 상기 스피커(44)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와 진동은 각각 해당하는 제1,2 울림공간(30,32)으로 이동하면서 제1,2 울림공간(30, 32)이 갖는 확관 구조와 체적을 통해 공명을 일으키게 되고, 그로 인해 소리와 진동이 베개(10) 전체로 퍼지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pillow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sound device 20 inserted into the storage pocket 18 and outputs vibration and sound through the speaker 44 provided in the sound device 20, The sound and the vibration output from the first sounding room 44 are resonated through the expansion structure and the volume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ing rooms 30 and 32 while moving to the first and second sounding rooms 30 and 32, respectively , So that sound and vibration are spread throughout the pillow (10).

다시 말해 일반적인 소리와 진동을 내는 유아용 베개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무선 스테레오 스피커 또는 IC 녹음기가 베개 속에 파묻혀 있어 소리와 진동에 대한 이질감 또는 울림이나 퍼짐성이 미흡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2 울림공간(30, 32)을 통해 진동과 소리가 공명을 일으키면서 아울러 상기 연결통로(34)부터 점차 확대되는 제1,2 울림공간(30, 32)의 구조를 통해 소리 및 진동에 대한 이질감 없이 베개(10)의 전체에 대하여 입체감 있게 퍼지게 된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infant pillow which generates a general sound and vibration has a problem that the wired or wireless stereo speaker or the IC sound recorder is buried in the pillow and the sound or vibration is insufficient or the sound or vibration is insufficient. Vibrations and sounds resonate through the resonance spaces 30 and 32 and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spaces 30 and 32 are gradually expanded from the connection channel 34 without any sense of sound and vibration So that the pillow 10 spreads in three dimensions.

그로 인해 유아에게 들려주는 진동과 소리에 대하여 배경기술과 같이 이질감이 없어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더욱 높이면서 안락함과 편안함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re is no sense of heterogeneity in the vibration and sound heard to the infant, as in the background technique, so that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can be enhanced and the comfort and comfort can be naturally induc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기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베개 몸체의 상면 중앙에 오목하게 파진 오목홈을 형성하여 머리 부분이 두상을 교정할 수 있으며 안정감 있게 위치하도록 하게하고, 아울러 상기 오목홈으로부터 경사면을 두어 목 부분도 안정감 있게 위치하도록 하게 하여 마치, 아기가 엄마 품속을 느낄 수 있게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actical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pper pillow body may have concave groove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head part can be calibrated and stable in posi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from the concave groove so that the neck part can be stably positioned You can let your baby feel like a moth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베개
12 : 상부 베개 몸체
14 : 하부 베개 몸체
16 : 울림관
18 : 수납포켓
20 : 음향기기
22 : 상부 매립홈
24 : 하부 매립홈
30 : 제1 울림공간
32 : 제2 울림공간
34 : 연결통로
36 : 제1 통공
38 : 제3 통공
40 : 수납구
44 : 스피커
10: pillow
12: upper pillow body
14: lower pillow body
16: Sounding tube
18: storage pocket
20: Sound Equipment
22: Upper buried groove
24: Lower buried groove
30: 1st ringing room
32: 2nd sounding room
34: Connection passage
36: First through hole
38: Third passage
40:
44: Speaker

Claims (5)

분리 가능하되 서로 조립되는 상,하부 베개 몸체(12,14);
상기 상,하부 몸체(12,14)에 각각 일부 매립되는 형태로 상,하부 몸체(12,14)의 사이에 배치되며 체적을 갖는 제1 울림공간(30)과 제2 울림공간(32)이 양편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울림관(16);
상기 울림관(16)의 내부로 음향기기(2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울림관(16)에 형성되는 수납포켓(1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와 진동을 내는 유아용 베개.
Upper and lower pillow bodies 12, 14 that are detachable but assembled together;
A first ringing space 30 and a second ringing ring space 32, which are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dies 12 and 14 and have a volume and are partially embedded in the upper and lower bodies 12 and 14, respectively, A sounding pipe (16) formed inside the both sides;
And a storage pocket (18) formed on the sounding pipe (16) so that the sound device (20) can be housed inside the sounding pipe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포켓(18)의 수납구(40)는 상부 베개 몸체(12)와 하부 베개 몸체(14)가 결합되었을 때 수납구(40)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부 베개 몸체(12)와 하부 베개 몸체(14)의 일부분이 수납구(40)의 위치와 맞게 홈이 파여져 있고, 상기 수납포켓(18)과 제 1,2 울림공간(30, 32)이 접하는 면을 포함하는 수납포켓(18)의 내면에는 전자파차단소재(42)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와 진동을 내는 베개.
Claim 1
The receiving pockets 40 of the storage pockets 18 are formed in the upper pillow body 12 and the lower pillow body 12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receiving port 40 when the upper pillow body 12 and the lower pillow body 14 are coupled. A portion of the storage pocket 18 and the first and second ringing spaces 30 and 32 are in contact with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port 40.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pocket 18 includ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torage pocket 18 and the first and second ringing spaces 30 and 32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42) is attach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울림관(16)은 음향기기(20)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진동이 선명하고 길게전달 될 수 있도록 하는 소재로 심장박동 및 백색소음과 소리, 진동을 진폭시켜주는 매개체.
Claim 1
The sounding pipe (16) is a material that allows sound and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sound device (20) to be transmitted clearly and long, and is a medium that amplifies the heartbeat, white noise, sound and vib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울림공간(30, 32)이 각각 위치하고 있는 울림관(16)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제1,2 울림공간(30, 32)과 통하는 구조로, 각각에 제1,2 통공(36, 3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와 진동을 내는 베개.
Claim 1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ounding pipe 16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ounding spaces 30 and 32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s provided with a first and a second sounding spaces 30 and 32, And two through-holes (36, 38)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포켓(18)은 제1 울림공간(30)과 제2 울림공간(30)을 소통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통로(34)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와 진동을 내는 베개.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pocket (18) is formed in a connecting passage (34) connected to communicate the first ringing space (30) and the second ringing space (30).
KR1020160106969A 2016-08-23 2016-08-23 pillow for baby can sound and vibration KR101835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969A KR101835988B1 (en) 2016-08-23 2016-08-23 pillow for baby can sound and vib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969A KR101835988B1 (en) 2016-08-23 2016-08-23 pillow for baby can sound and vib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94A true KR20180022094A (en) 2018-03-06
KR101835988B1 KR101835988B1 (en) 2018-03-08

Family

ID=6172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969A KR101835988B1 (en) 2016-08-23 2016-08-23 pillow for baby can sound and vib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98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5650A (en) * 2020-04-13 2020-06-30 安徽方科迅科技有限公司 Electromagnetic wave resonance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sleep pillow
KR20220139536A (en) * 2021-04-08 2022-10-17 김청수 Functional pillow
KR20230149149A (en) 2022-04-19 2023-10-26 이미현 body pillow for Infa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916Y1 (en) * 2002-11-13 2003-03-31 김남섭 Pillow equipped with heat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5650A (en) * 2020-04-13 2020-06-30 安徽方科迅科技有限公司 Electromagnetic wave resonance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sleep pillow
KR20220139536A (en) * 2021-04-08 2022-10-17 김청수 Functional pillow
KR20230149149A (en) 2022-04-19 2023-10-26 이미현 body pillow for Inf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988B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4573B (en) Headphone type audio device
US7587772B2 (en) Infant nesting device
USRE37398E1 (en) Headphone
ES2692569T3 (en) Pillow sleep system with sound
KR101835988B1 (en) pillow for baby can sound and vibration
FI126874B (en) Device for the overall perception of sound
US20070154046A1 (en) Noise reducing headphones with sound conditioning
US4809811A (en) Ear pad construction for earphones
JP2005151183A (en) Bone conduction speaker, and pillow, chair or headphone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CN109314805B (en) Loudspeaker device
CN208707945U (en) Audio device and its loudspeaker unit and bass mould group
JP6246949B2 (en) Earbud set, hearing aid and earphone using the same
US20080199035A1 (en) In-Ear Phone
JP2004057281A (en) Pillow with speaker
KR100825478B1 (en) Sound vibrator of tuning fork type
KR20060004136A (en) Pillows having a speaker
JPH0499000A (en) Reproducing device
JP2015039127A (en) Earphone
JPH0775186A (en) Speaker device
JP3115814U (en) Speaker unit for pillow
KR200297733Y1 (en) Sound pillow
JP3101326U (en) Sleep pillow with speaker
CN209072718U (en) Bed with audio device
US10856066B2 (en) Earphone device
KR200218592Y1 (en) Built in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