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997A -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997A
KR20180021997A KR1020160106718A KR20160106718A KR20180021997A KR 20180021997 A KR20180021997 A KR 20180021997A KR 1020160106718 A KR1020160106718 A KR 1020160106718A KR 20160106718 A KR20160106718 A KR 20160106718A KR 20180021997 A KR20180021997 A KR 20180021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tream
streams
data
im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섭
이진
강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997A/ko
Priority to PCT/KR2017/008669 priority patent/WO2018038433A1/en
Priority to EP17186371.5A priority patent/EP3288273A3/en
Priority to US15/680,422 priority patent/US20180063218A1/en
Publication of KR2018002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04L65/60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3Details of error rate determination, e.g. BER, FER or 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9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media; by removing med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4Measured or subjectively estimated visual quality after decoding, e.g. measurement of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3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for rate control, e.g. request to the server to modify its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04W72/12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을 무선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각각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상기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APPARATUS, SYSTEM ON CHIP AND METHOD FOR TRANMITTING VIDEO IMAGE}
본 발명은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기술의 발달로 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HD, FHD 해상도뿐만 아니라 UHD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2.4GHz/5GHz 대역의 기존 Wi-Fi 기반의 무선 영상 전송 기술 및 60GHz 대역의 WirelessHD 및 WiGIG 기반의 무선 영상 전송 기술이 있다.
WirelessHD 기반의 영상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FHD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나 UHD(ultra HD) 해상도의 초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라 화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UHD 이상의 초고화질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무선 채널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영상 손상 또는 화질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을 무선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각각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상기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은,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는 서브 스트림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한 형태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포맷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스트림 생성부는, 상기 시스템온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각각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상기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영상 전송 방법은,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의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데이터 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로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서브 스트림을 생성함으로써 무선 채널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화질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스트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영상 복원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무선 송신 장치의 영상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영상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 시스템(1000)은 무선 송신 장치(100) 및 무선 수신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또는, 영상 프레임)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데이터 처리 모듈(110) 및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영상 소스(source) 장치로서,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 모듈(110)은 영상 프레임(또는, 영상 데이터)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110)은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기 전에 영상 프레임을 압축할 수 있다. 영상 프레임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내장(또는, 외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컨텐츠일 수 있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어,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c), 하드디스크, 블루레이(bluelay)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110)은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지정된 포맷을 가지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은, 예를 들어, 서브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및 CRC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110)은,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포맷을 제1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한 후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비디오 포맷은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한 형태의 영상 포맷(예: CEA 포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디오 포맷은 RGB 로우(raw) 데이터 및 동기 신호(예: Vsync, Hsync 및 DE(data enable) 신호)를 포함하는 형태의 영상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은 데이터 처리 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서브 스트림을 무선 수신 장치(200)의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은 WiHD(wirelessHD) 모듈일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은 WiHD 표준에 따라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무선 수신 장치(200)의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PER(packet error rate), SNR(signal to noise ratio)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110 )은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또는, 부하 분배율) 및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개수(또는, 영상 프레임의 총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채널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픽셀 파티셔닝(pixel partition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 모듈(110)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의 픽셀 파티셔닝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픽셀 파티셔닝이 수행되면 강건한 전송을 위해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중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110)은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에 의해 픽셀 파티셔닝이 수행되면,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도록 픽셀 파티셔닝에 의해 데이터가 제거될 영역을 고려하여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110 )은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픽셀 파티셔닝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또는, 부하 분배율) 및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개수(또는, 영상 프레임의 총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 및 데이터 처리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영상 싱크(sink) 장치로서, 예를 들어,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무선 송신 장치(100)의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로부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WiHD(wirelessHD) 모듈일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 각각은 WiHD 표준에 따라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로부터 제1 비디오 포맷의 서브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수신된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데이터 처리 모듈(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 각각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채널 상태 정보(예: PER, SNR 등)를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각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의 픽셀 파티셔닝에 의해 데이터 중 일부가 제거된 것을 확인하면, 데이터 중 일부가 제거된 영역에 더미 데이터를 삽입하여 제거되기 이전의 데이터 구조를 복원하여 데이터 처리 모듈(22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의 데이터 처리 모듈(220)은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또는,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무선 수신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영상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220)은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CRC 코드를 이용하여 서브 스트림의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의 데이터 처리 모듈(220)은 영상 프레임을 출력할 타이밍에 영상 프레임이 전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영상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하면, 현재 출력할 영상 프레임 대신 직전 영상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 및 무선 수신 장치(200)는 각각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및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신 장치(100)는 제1 무선 송신 모듈(120-1) 및 제2 무선 송신 모듈(120-2)을 포함하고, 무선 수신 장치(200)는 제1 무선 수신 모듈(210-1) 및 제2 무선 수신 모듈(2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 중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송신 모듈(120-1)은 제1 무선 수신 모듈(210-1)과 제1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제2 무선 송신 모듈(120-2)은 제2 무선 수신 모듈(210-2)과 제2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무선 송신 장치(100) 및 무선 수신 장치(200)가 각각 두 개의 무선 송신 모듈 및 무선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무선 송신 모듈 및 무선 수신 모듈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WiHD 기반의 송수신 시스템은 FHD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나 UHD(ultra HD) 해상도의 초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라 화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무선 채널 상태에 따라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또는, 부하 분배율) 및 영상 프레임의 총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무선 채널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영상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100)는 무선 송신 모듈에 의해 픽셀 파티셔닝이 수행되는 경우 픽셀 파티셔닝을 고려하여 서브 스트림을 생성함으로써 픽셀 파티셔닝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영상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스트림으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예: CRC 코드)를 부가함으로써 무선 송신 모듈 및 무선 수신 모듈에 의한 오류 검출과는 별개로 무선 수신 장치(200)가 영상 프레임의 오류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영상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영상 프레임의 수신이 지연되는 경우 대체 영상 프레임(예: 직전 영상 프레임)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질 저하 또는 영상 오류를 덜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데이터 처리 모듈(110) 및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110)은 인코더(111),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 및 복수의 포맷 변환부(115-1, 11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 모듈(110)의 구성들은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 모듈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모듈(110)에 포함된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는 영상 프레임을 압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는 무손실 압축(loseless compression) 또는 가시적 무손실 압축(visually loseless compress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는 제1 비디오 포맷의 영상 프레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비디오 포맷은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한 형태의 영상 포맷(예: CEA 포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디오 포맷은 RGB 로우(raw) 데이터 및 동기 신호(예: Vsync, Hsync 및 DE(data enable) 신호)를 포함하는 형태의 영상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는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 중 동기 신호를 제외한 RGB 로우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압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는 영상 프레임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의 압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111)는 영상 프레임의 해상도가 지정된 기준(예: FHD(Full HD)(1920*1080) 또는 UHD(ultra HD)(3840*2260))을 초과하면 압축을 수행(예: UHD 해상도의 영상 프레임을 FHD 해상도 또는 HD 해상도의 영상 프레임으로 압축)하고, 영상 프레임의 해상도가 지정된 기준 미만이면 압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는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의 압축 여부 및 압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111)는 영상 프레임의 해상도 대비 채널 상태가 지정된 기준 이상이면 압축을 수행하지 않고, 지정된 기준 미만이면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코더(111)는 채널 상태가 좋을수록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을 낮추고, 채널 상태가 나쁠수록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는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의 채널 상태 정보의 대표값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111)는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평균값,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압축 또는 비압축된)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에 의해 압축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제1 비디오 포맷의 영상 프레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제1 비디오 포맷의 영상 프레임이 입력되면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 중 데이터 동기 신호를 제외한 RGB 로우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영상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분할된 각각의 데이터 그룹에 헤더 및 CRC(cyclical redundancy check) 코드를 삽입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서브 스트림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또는, 부하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상대적으로 채널 상태가 좋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채널 상태가 나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 모듈의 배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무선 송신 장치(100)가 두 개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을 포함하는 경우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2*n개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120-1, 120-2)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스트림의 개수(또는, 영상 프레임의 총 전송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에) 채널 상태 정보 및 채널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최대 데이터량 정보가 매핑된 제1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제1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지정된 전송 주기는, 예를 들어, 채널이 상태가 정상(예: 채널 상태 정보가 지정된 기준 이상)일 때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있으면 무선 송신 모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예: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지정된 전송 주기에 전송할 제1 서브 스트림 및 제2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없으면 무선 송신 모듈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예: 네 개 또는 여섯개)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영상 프레임 중 일부를 이용하여 제1 전송 주기에 전송할 제1 서브 스트림 및 제2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고, 영상 프레임 중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주기에 전송할 제3 서브 스트림 및 제4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무선 송신 모듈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한 경우 다음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서브 스트림 생성을 스킵(Skip)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제1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두 번의 전송 주기 동안 전송할 서브 스트림을 생성한 경우 제2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서브 스트림 생성을 스킵하고, 제3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포맷 변환부(115-1, 115-2)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을 WiHD 표준에서 지원 가능한 제2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한 후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데이터 처리 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제2 비디오 포맷의 서브 스트림을 WiHD 표준에 따라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WiHD 표준에 정의된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 및 PHY(physical) 레이어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서브 스트림에 CRC 코드를 삽입하고, 채널 코딩 및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WiHD 표준에서 정의하는 주파수 대역(예: 60 GHz 대역)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을 통해 서브 스트림을 패킷 단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채널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채널 상태 정보를 데이터 처리 모듈(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채널 상태에 따라 픽셀 파티셔닝(pixel partitio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은 채널 상태가 지정된 기준 이하이면 강건한 전송을 위해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중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은 채널 상태가 나쁠수록 데이터의 제거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은 픽셀 파티셔닝을 수행하는 경우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로 픽셀 파티셔닝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픽셀 파티셔닝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실제 데이터 및 더미 데이터의 구성 형태(예: 비율, 위치 등)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111)는 픽셀 파티셔닝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111)는 더미 데이터의 비율이 높아질수록(또는, 실제 데이터의 비율이 낮아질수록)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을 높이고, 더미 데이터의 비율이 낮아질수록(또는, 실제 데이터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을 낮출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에 의해 픽셀 파티셔닝이 수행되면, 픽셀 파티셔닝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픽셀 파티셔닝에 의해 데이터가 제거되는 영역을 고려하여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픽셀 파티셔닝에 의해 데이터가 제거되지 않을 영역에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픽셀 파티셔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중 일부만 픽셀 파티셔닝을 수행하는 경우 픽셀 파티셔닝을 수행하는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의 데이터량은 감소시키고 픽셀 파티셔닝을 수행하지 않는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의 데이터량은 증가시킬 수 있다. 채널 상태가 나쁠수록 픽셀 파티셔닝 정보의 실제 데이터의 비율이 낮아지고 더미 데이터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픽셀 파티셔닝 정보에서 실제 데이터의 비율이 높을수록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고, 실제 데이터의 비율이 낮을수록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픽셀 파티셔닝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스트림의 개수(또는, 영상 프레임의 총 전송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픽셀 파티셔닝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에) 실제 데이터와 더미 데이터의 비율 및 실제 데이터와 더미 데이터의 비율에 대응하는 최대 데이터량 정보가 매핑된 제2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제2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있으면 무선 송신 모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예: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스트림 생성부(113)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없으면 무선 송신 모듈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예: 네 개 또는 여섯 개)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스트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스트림은 제1 헤더(21), 제2 헤더(23) 페이로드(25) 및 CRC 필드(2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헤더(21)는 버전 필드(VER), 파티셔닝 형태 필드(PART_TYPE), SST 필드(SST), SSN 필드(SSN), WT 필드(WT), WN 필드(WN), CR 필드(CR) 및 FSEQ 필드(FSEQ)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헤더(21)는, 예를 들어, 32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버전 필드(VER)는 서브 스트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버전 정보는, 예를 들어, 서브 스트림의 구조를 나타내는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버전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송신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서브 스트림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확인된 서브 스트림의 구조에 따라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 및 무선 수신 장치(200) 간에 서브 스트림의 구조가 미리 약속되어 있는 경우 버전 필드(VER)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헤더(21) 및 제2 헤더(23)에 포함된 각각의 필드의 비트 수는 버전 정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버전 정보는 각 필드의 비트 수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파티셔닝 형태 필드(PART_TYPE)는 픽셀 파티셔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파티셔닝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실제 데이터 및 더미 데이터의 구성 형태(예: 비율, 위치 등)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픽셀 파티셔닝 정보는 무선 송신 모듈이 픽셀 파티셔닝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 모듈에 의해 픽셀 파티셔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파티셔닝 형태 필드(PART_TYPE)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SST 필드(SST)는 영상 프레임의 총 전송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총 전송 주기 정보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총 전송 주기 정보일 수 있다. 총 주기 정보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생성된 서브 스트림의 총 개수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두 개의 서브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이 제1 무선 통신 모듈(120-1) 및 제2 무선 통신 모듈(120-2)을 통해 한 번의 전송 주기에 걸쳐 전송되는 경우 각각의 서브 스트림의 SST 필드(SST)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네 개의 서브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네 개의 서브 스트림이 제1 무선 통신 모듈(120-1) 및 제2 무선 통신 모듈(120-2)을 통해 두 번의 전송 주기에 걸쳐 전송되는 경우 각각의 서브 스트림의 SST 필드(SST)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SSN 필드(SSN)는 서브 스트림의 시간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인덱스 정보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시간 분할 정보로서, 복수의 전송 주기로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시간 인덱스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네 개의 서브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네 개의 서브 스트림이 제1 무선 통신 모듈(120-1) 및 제2 무선 통신 모듈(120-2)을 통해 두 번의 전송 주기에 걸쳐 전송되는 경우, 제1 전송 주기에 전송되는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의 SSN 필드(SSN)는 0으로, 제2 전송 주기에 전송되는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의 SSN 필드(SSN)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WT 필드(WT)는 총 무선 채널 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총 무선 채널 수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송신 모듈의 개수(또는,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및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간에 서브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형성한 무선 채널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채널의 개수가 두 개인 경우, WT 필드(WT)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의 개수가 세 개인 경우 WT 필드(WT)는 2로 설정될 수 있다.
WN 필드(WN)는 채널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인덱스 정보는 서브 스트림이 전송될 채널(또는, 서브 스트림을 전송할 무선 송신 모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제1 무선 채널 및 제2 무선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제1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서브 스트림의 WN 필드(WN)는 0으로, 제2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서브 스트림의 WN 필드(WN)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할 때 채널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조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CR 필드(CR)는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률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모듈(110)이 영상 프레임을 압축한 비율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이 1/4인 경우 CR 필드(CR)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이 1/8인 경우 R 필드(CR)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FSEQ 필드(FSEQ)는 영상 프레임의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순서 정보는 전체 영상 프레임에서 현재 전송되는 영상 프레임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영상 프레임의 순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로 영상 프레임을 전달할 수 있다. FSEQ 필드(FSEQ)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헤더(23)는 LD_BAL 필드(LD_BAL) 및 LEN 필드(LEN)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헤더(23)는, 예를 들어, 32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LD_BAL 필드(LD_BAL)는 부하 분산율(Load Balancing Rat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분산율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의 무선 채널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비율(또는, 한 번의 전송 주기 동안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채널 및 제2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량이 동일한 경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LD_BAL 필드(LD_BAL)는 1:1에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량이 제2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량의 두 배인 경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LD_BAL 필드(LD_BAL)는 2:1에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LD_BAL 필드(LD_BAL)는, 예를 들어, 4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LEN 필드(LEN)는 서브 스트림의 페이로드의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의 길이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200)가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와 CRC 코드를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LEN 필드(LEN)는, 예를 들어, 28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헤더(21) 및 제2 헤더(23)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헤더(21) 및 제2 헤더(23) 각각에 포함된 필드의 종류 및 비트 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헤더(21)에 포함된 필드 중 일부는 제2 헤더(23)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2 헤더(23)에 포함된 필드 중 일부는 제1 헤더(2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이로드(25)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25)는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CRC 필드(27)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RC 필드(27)는 제1 헤더(21), 제2 헤더(23) 및 페이로드(25)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계산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CRC 필드(27)는, 예를 들어, 32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무선 송신 모듈과 무선 수신 모듈이 수행하는 오류 체크와는 별개로 서브 스트림에 삽입된 CRC 코드를 이용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제1 무선 수신 모듈(210-1), 제2 무선 수신 모듈(210-2) 및 데이터 처리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220)은 동기 제어부(221), 복수의 스트림 변환부(222-1, 222-2), 복수의 CRC 계산부(223-1, 223-2), 스트림 병합부(224), 저장부(225), 디코더(226), 영상 복원부(227) 및 주 제어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 모듈(220)의 구성들은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 모듈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모듈(220)에 포함된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무선 송신 장치(100)의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로부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WiHD(wirelessHD) 모듈일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로부터 제2 비디오 포맷을 가지는 서브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수신된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동기 제어부(221)로 전달할 수 있다. 각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은 각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의 픽셀 파티셔닝에 의해 데이터 중 일부가 제거된 것을 확인하면, 데이터가 제거된 영역에 더미 데이터를 삽입하여 제거되기 이전의 데이터 구조를 복원하여 데이터 처리 모듈(22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 제어부(221)는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간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로부터 입력되는 서브 스트림은, 예를 들어, 제2 비디오 포맷(예: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한 형태의 영상 포맷(예: CEA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 제어부(221)는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동기 신호(예: Vsync, Hsync, DE 신호 등)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 제어부(221)는 동기화된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복수의 스트림 변환부(222-1, 222-2)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트림 변환부(222-1, 222-2) 각각은 동기 제어부(221)로부터 입력되는 서브 스트림의 헤더 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림 변환부(222-1, 222-2) 각각은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 제어부(221)로부터 입력되는 서브 스트림의 포맷을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석된 헤더 정보는 주 제어부(228)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트림 변환부(222-1, 222-2)은 포맷이 변환된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복수의 CRC 계산부(223-1, 223-2)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CRC 계산부(223-1, 223-2) 각각은 복수의 스트림 변환부(222-1, 222-2)로부터 입력되는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CRC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CRC 계산부(223-1, 223-2) 각각은 서브 스트림의 헤더의 LEN 필드(LEN)에 포함된 페이로드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CRC 코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부터 CRC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CRC 계산부(223-1, 223-2) 각각은 서브 스트림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 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CRC 코드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CRC 계산부(223-1, 223-2) 각각은 서브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CRC 코드 및 계산된 CRC 코드를 비교하여 서브 스트림의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CRC 계산부(223-1, 223-2) 각각은 스트림 병합부(224)로 서브 스트림의 오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림 병합부(224)는 복수의 스트림 변환부(222-1, 222-2) 또는 복수의 CRC 계산부(223-1, 223-2)로부터 서브 스트림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림 병합부(224)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또는,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림 병합부(224)는 CRC 확인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서브 스트림(또는, 정상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병합부(224)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 모두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고, 복수의 서브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하면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림 병합부(224)는 헤더의 WT 필드(WT) 및 WN 필드(WN)에 포함된 총 무선 채널 수 정보 및 채널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채널 인덱스에 따른 조합 순서로 병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림 병합부(224)는 헤더의 LEN 필드(LEN)에 포함된 페이로드의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와 CRC 코드를 구분하고, 서브 스트림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림 병합부(224)는 헤더의 파티셔닝 형태 필드(PART_TYPE)에 포함된 픽셀 파티셔닝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로드에서 유효 비트(또는, 실제 데이터) 및 더미 비트(또는, 더미 데이터)를 구분하고, 유효 비트만을 선택적으로 병합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채널 상태에 따라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은 복수의 전송 주기에 걸쳐 수신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림 병합부(224)는 서브 스트림이 입력될 때마다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병합부(224)는 헤더의 SST 필드(SST) 및 SSN 필드(SSN)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총 전송 주기 정보 및 시간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림 병합부(224)는 영상 프레임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스트림 병합부(224)는 서브 스트림을 저장부(225)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림 병합부(224)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면, 현재 입력된 서브 스트림 및 임시 저장된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225)는 스트림 병합부(224)에 의해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225)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 중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225)는 데이터 처리 모듈(220)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데이터 처리 모듈(220) 외부에 포함되어 데이터 처리 모듈(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코더(226)는 저장부(225)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압축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226)는 FHD 해상도 또는 HD 해상도의 영상 프레임을 UHD 해상도의 영상 프레임으로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코더(226)는 헤더의 CR 필드(CR)에 포함된 압축률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프레임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률이 1/4인 경우, 디코더(226)는 복원된 영상이 4배 해상도로 변환되도록 압축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압축륙이 1/8인 경우, 디코더(226)는 복원된 영상이 8배의 해상도로 변환되도록 압축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코더(226)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복원부(227)는 압축 해제된 영상 프레임의 포맷을 제1 비디오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원부(227)는 압축 해제된 영상 프레임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한 형태의 제1 비디오 포맷으로 복원할 수 있다. 제1 비디오 포맷은, 예를 들어, CEA 포맷 또는 HDMI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복원부(227)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 제어부(228)는 헤더의 버전 필드(VER)에 포함된 버전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스트림의 구조(또는, 포맷)를 확인할 수 있다. 주 제어부(228)는 확인된 서브 스트림의 구조에 기초하여 데이터 처리 모듈(22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 제어부(228)는 무선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제어부(228)는 서브 스트림의 헤더의 파티셔닝 형태 필드(PART_TYPE)에 포함된 픽셀 파티셔닝 정보, LD_BAL 필드(LD_BAL)에 포함된 부하 분산율 정보, SST 필드(SST)에 포함된 총 전송 주기 정보 및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복수의 무선 채널 각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 제어부(228)는 무선 채널 상태가 지속적으로 악화되면 사용자에게 채널 열화를 경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 제어부(228)는 저장부(225)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 중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영상을 선택하고,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코더(226) 및 영상 복원부(227)는 주 제어부(228)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영상 프레임의 압축 해제 및 포맷 변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 제어부(228)는 서브 스트림의 오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로 전달할 영상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제어부(228)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고,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주 제어부(228)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직전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직전 영상 프레임은, 예를 들어, 오류가 발생한 영상 프레임 직전에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 제어부(228)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수신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로 전달할 영상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이 두 번의 전송 주기에 걸쳐 수신될 수 있다. 주 제어부(228)는 제1 전송 주기에 복수의 서브 스트림 중 일부가 수신되면 직전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후, 제2 전송 주기에 복수의 서브 스트림 중 나머지 일부의 수신이 완료되면, 주 제어부(228)는 제1 전송 주기에 수신된 서브 스트림과 제2 전송 주기에 수신된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고,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무선 수신 모듈이 수행하는 오류 체크와는 별개로 서브 스트림에 삽입된 CRC 코드를 이용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된 영상 프레임의 손상 여부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영상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영상 프레임의 수신이 지연되는 경우 대체 영상 프레임(예: 직전 영상 프레임)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질 저하 또는 영상 오류를 덜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FHD 영상의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UHD 영상을 전송할 수 있어, 기존의 무선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UHD 영상의 무선 전송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영상 복원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이 두 개의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소스 영상은 무선 송신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 모듈(110)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일 수 있다. 서브 스트림은 데이터 처리 모듈(110)에 의해 영상 프레임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서브 스트림일 수 있다. 복원 영상은 무선 수신 장치(200)의 데이터 처리 모듈(220)에 의해 복원된 영상 프레임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시각(t1)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번째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생성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을 두 개의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시각(t2)에 무선 수신 장치(200)는 N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서브 스트림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고, N번째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정상 수신된 N번째 영상 프레임을 저장부(225)에 저장할 수 있다.
제2 시각(t2)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1번째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생성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을 두 개의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시각(t3)에, 무선 수신 장치(200)는 N+1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서브 스트림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고, N+1번째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정상 수신된 N+1번째 영상 프레임을 저장부(225)에 저장할 수 있다.
제3 시각(t3)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2번째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생성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을 두 개의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N+2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서브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제4 시각(t4)에, 무선 수신 장치(200)는 N+2번째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의 오류 발생을 확인하고, N+2번째 프레임 대신에 저장부(225)에 저장된 N+1번째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제4 시각(t4)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3번째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생성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을 두 개의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5 시각(t5)에, 무선 수신 장치(200)는 N+3번째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서브 스트림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고, 정상 수신된 N+3번째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정상 수신된 N+3번째 영상 프레임을 저장부(225)에 저장할 수 있다.
제4 시각(t4) 및 제5 시각(t5)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채널 열화를 확인하고 N+4번째 영상 프레임 중 일부를 이용하여 N+4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네 개의 서브 스트림 중 두 개(stream (N+4,0,0), stream (N+4,1,0))를 생성할 수 있다. 제5 시각(t5)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4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네 개의 서브 스트림 중 두 개(stream (N+4,0,0), stream (N+4,1,0))를 두 개의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6 시각(t6)에 무선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고, N+4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수신 장치(200)는 저장부(225)에 저장된 N+3번째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두 개의 서브 스트림(stream (N+4,0,0) 및 stream (N+4,1,0))을 저장부(225)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5 시각(t5) 및 제6 시각(t6) 사이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4번째 영상 프레임 중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N+4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네 개의 서브 스트림 중 나머지 두 개(stream (N+4,0,1), stream (N+4,1,1))를 생성할 수 있다. 제6 시각(t6)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4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네 개의 서브 스트림 중 나머지 두 개(stream (N+4,0,1), stream (N+4,1,1))를 두 개의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7 시각(t7)에 무선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고, N+4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N+4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여 N+4번째 영상 프레임을 복원하고,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정상 수신된 N+4번째 영상 프레임을 저장부(225)에 저장할 수 있다.
제6 시각(t6) 및 제7 시각(t7) 사이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5번째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서브 스트림 생성을 스킵하고, N +6번째 영상 프레임 중 일부를 이용하여 N+6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네 개의 서브 스트림 중 두 개(stream (N+6,0,0), stream (N+6,1,0))를 생성할 수 있다. 제7 시각(t7)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6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네 개의 서브 스트림 중 두 개(stream (N+6,0,0), stream (N+6,1,0))를 두 개의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8 시각(t8)에 무선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고, N+6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수신 장치(200)는 저장부(225)에 저장된 N+4번째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두 개의 서브 스트림(stream (N+6,0,0) 및 stream (N+6,1,0))을 저장부(225)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7 시각(t7) 및 제8 시각(t8) 사이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N+6번째 영상 프레임 중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N+6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네 개의 서브 스트림 중 나머지 두 개(stream (N+6,0,1), stream (N+6,1,1))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송신 장치(100)는 제8 시각(t8)에 N+6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네 개의 서브 스트림 중 나머지 두개(stream (N+6,0,1), stream (N+6,1,1))를 두 개의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9 시각(t9)에 무선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두 개의 서브 스트림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고, N+6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N+6번째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여 N+6번째 영상 프레임을 복원하고,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정상 수신된 N+6번째 영상 프레임을 저장부(225)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채널 열화로 인해 영상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무선 채널의 데이터 전송률이 낮은 경우 무선 수신 장치(200)는 디스플레이에 직전 영상 프레임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영상 손상을 덜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무선 송신 장치의 영상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송신 장치는(100)는, 610 동작에서,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각각의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PER(packet error r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은 무선 수신 장치(200)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620 동작에서,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 파티셔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픽셀 파티셔닝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실제 데이터 및 더미 데이터의 구성 형태(예: 비율, 위치 등)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620 동작은 610 동작보다 먼저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620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630 동작에서,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채널 상태 정보 및 픽셀 파티셔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영상 프레임의 해상도, 채널 상태 정보 및 픽셀 파티셔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의 압축 여부 및 압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채널 상태 정보 및 픽셀 파티셔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또는, 부하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채널 상태 정보 및 픽셀 파티셔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스트림 개수(또는, 영상 프레임의 총 전송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결정된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 영상 프레임의 개수 및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에 따라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픽셀 파티셔닝에 의해 더미 데이터가 삽입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서브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640 동작에서,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120-1, 120-2)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200)로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WiHD 표준에 따라 무선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제1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영상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710 동작에서, 복수의 무선 수신 모듈(210-1, 210-2)을 통해 무선 송신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720 동작에서, 복수의 서브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된 CRC 코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하였으면, 740 동작에서, 저장부(225)에 저장된 직전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730 동작에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740 동작에서, 저장부(225)에 저장된 직전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수신이 완료되면, 750 동작에서, 수신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병합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또는, 복원)하고,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760 동작에서, 수신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부(225)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장치(200)는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수신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부(22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또는, 유닛)"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을 무선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각각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상기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무선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은 WiHD(wirelessHD) 모듈인 무선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PER(packet error rate)을 포함하는 무선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대적으로 채널 상태가 좋은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채널 상태가 나쁜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감소시키도록 설정된 무선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이 상기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제1 프레임 중 일부를 이용하여 제1 전송 주기에 전송할 제1 서브 스트림 및 제2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중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주기에 전송할 제3 서브 스트림 및 제4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무선 송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제2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생성을 스킵하고, 제3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3 전송 주기에 전송할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무선 송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압축률에 따라 상기 영상 프레임을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영상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무선 송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의 채널 상태가 좋을수록 상기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을 낮게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의 채널 상태가 나쁠수록 상기 영상 프레임의 압축률을 높게 결정하도록 설정된 무선 송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채널 상태가 지정된 기준 미만이면 상기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중 일부를 제거하여 전송하는 픽셀 파티셔닝(pixel partitioning)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픽셀 파티셔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픽셀 파티셔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무선 송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채널 상태가 지정된 기준 미만이면 서브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중 일부를 제거하여 전송하는 픽셀 파티셔닝(pixel partitioning)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픽셀 파티셔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스트림 내에서 상기 데이터가 제거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무선 송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헤더를 삽입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헤더는,
    버전 정보, 픽셀 파티셔닝 정보, 총 전송 주기 정보, 시간 인덱스 정보, 총 무선 채널 수 정보, 채널 인덱스 정보, 압축률 정보, 영상 프레임의 순서 정보, 부하 분산 정보 및 페이로드 길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장치.
  12.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에 있어서,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는 서브 스트림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한 형태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포맷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스트림 생성부는,
    상기 시스템온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각각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상기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시스템온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트림 생성부는,
    상대적으로 채널 상태가 좋은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채널 상태가 나쁜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감소시키도록 설정된 시스템온칩.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트림 생성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해상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영상 프레임을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이 상기 지정된 전송 주기 내에 전송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프레임 중 일부를 이용하여 제1 전송 주기에 전송할 제1 서브 스트림 및 제2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중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제2 전송 주기에 전송할 제3 서브 스트림 및 제4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시스템온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트림 생성부는,
    제2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생성을 스킵하고, 제3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3 전송 주기에 전송할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시스템온칩.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압축률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압축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스트림 생성부는,
    상기 압축된 영상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시스템온칩.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트림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픽셀 파티셔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픽셀 파티셔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시스템온칩.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트림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픽셀 파티셔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스트림 내에서 상기 픽셀 파티셔닝에 의해 데이터가 제거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시스템온칩.
  19. 무선 송신 장치의 영상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의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림 각각에 포함될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데이터 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무선 수신 장치로 상기 복수의 서브 스트림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대적으로 채널 상태가 좋은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는 동작; 및
    상대적으로 채널 상태가 나쁜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서브 스트림에 포함될 데이터량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06718A 2016-08-23 2016-08-23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 KR20180021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18A KR20180021997A (ko) 2016-08-23 2016-08-23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
PCT/KR2017/008669 WO2018038433A1 (en) 2016-08-23 2017-08-10 Apparatus, system on chip,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image
EP17186371.5A EP3288273A3 (en) 2016-08-23 2017-08-16 Apparatus, system on chip,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image
US15/680,422 US20180063218A1 (en) 2016-08-23 2017-08-18 Apparatus, system on chip,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18A KR20180021997A (ko) 2016-08-23 2016-08-23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997A true KR20180021997A (ko) 2018-03-06

Family

ID=5971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718A KR20180021997A (ko) 2016-08-23 2016-08-23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063218A1 (ko)
EP (1) EP3288273A3 (ko)
KR (1) KR20180021997A (ko)
WO (1) WO201803843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082B1 (ko) * 2018-04-02 2019-09-17 주식회사 와이젯 무선영상 접속장치
KR20200032953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와이젯 채널환경에 따른 무선영상 가변 전송방법
WO2022014971A1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들의 동작 방법
US11575974B2 (en) 2018-10-12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5438B (zh) * 2016-12-01 2021-12-28 Lg 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设备和包含该图像显示设备的图像显示系统
US10749630B2 (en) * 2016-12-28 2020-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ally partitioning media streams
US10681365B2 (en) * 2018-05-04 2020-06-09 Lg Electronics Inc. Image transmitting device
US11743366B1 (en) * 2020-10-13 2023-08-29 Marvell Asia Pte Ltd Communication of sensor data in a motor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568B2 (en) * 2002-03-01 2003-10-21 Qualcomm Data transmission with non-uniform distribution of data rates for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US7558330B2 (en) * 2005-12-07 2009-07-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le stream co-phasing fo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systems
US20070230461A1 (en) * 2006-03-29 2007-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video data packetization for transmission over wireless channels
US8861597B2 (en) * 2006-09-18 2014-10-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istributed channel time allocation for video streaming over wireless networks
US8194750B2 (en) * 2006-10-16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having a circulant bit interleaver for equal error protection (EEP) and unequal error protection (UEP)
US20100121971A1 (en) * 2008-11-10 2010-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ath transmission of three-dimensional video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57026B1 (en) * 2009-02-03 2013-06-04 Sibeam, Inc. Enhanced wireless data rates using multiple beams
US8331765B2 (en) * 2009-02-27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gainst copying contents by using WiHD device
US8520728B2 (en) * 2010-09-23 2013-08-27 Intel Corporation Adaptive data transmission rate control for a wireless display device
JP2014519224A (ja) * 2011-04-28 2014-08-0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率調節方法及び装置
US20140140415A1 (en) * 2011-05-19 2014-05-22 Lg Electronics Inc. Video stream transmitting device, video stream receiving device, video stream transmitting method, and video stream receiving method
EP2870730A4 (en) * 2012-06-11 2016-03-30 Intel Corp DISTRIBUTION OF MULTIMEDIA FLOWS LAYED IN LAYERS USING A PLURALITY OF RADIO BONDS
US9648363B2 (en) * 2012-09-28 2017-05-09 Marvell World Trade Ltd. Enhanced user experience for miracast devices
GB2509151B (en) * 2012-12-21 2016-07-20 Canon Kk Communication de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s for processing data in such devices
US11310302B2 (en) 2014-01-09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dash content over broadcast channels
KR20180021998A (ko) * 2016-08-23 201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수신을 위한 무선 수신 장치, 데이터 처리 모듈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082B1 (ko) * 2018-04-02 2019-09-17 주식회사 와이젯 무선영상 접속장치
KR20200032953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와이젯 채널환경에 따른 무선영상 가변 전송방법
US11575974B2 (en) 2018-10-12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O2022014971A1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들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8433A1 (en) 2018-03-01
EP3288273A3 (en) 2018-03-07
EP3288273A2 (en) 2018-02-28
US20180063218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1997A (ko)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 송신 장치, 시스템온칩 및 그 방법
US11223874B2 (en) Transmission and detection of multi-channel signals in reduced channel format
TWI517629B (zh) 傳輸流封包標頭壓縮技術
CN103988518B (zh) 图像传输装置
EP3485650B1 (en) Wireless receiv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odule
KR100919370B1 (ko) 비트스트림 처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유닛 및 비트스트림 처리 방법
US83456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audio in wireless networks
WO2013042264A1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US8711017B2 (en) Serial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transmitter apparatus and receiver apparatus, for use in transmission of AV data
EP3429101B1 (en) Transmitter with bias balancing
JP2014146924A (ja) ソース機器、シンク機器、通信システムおよび画像送信方法
US20120033727A1 (en) Efficient video codec implementation
CN107483868B (zh) Vbo信号的处理方法、fpga及激光电视
WO2013018248A1 (ja) 画像伝送装置、画像伝送方法、画像受信装置および画像受信方法
US20140177735A1 (en) Image receiving device and image receiving method
US201601651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CN111294562B (zh) 一种模拟视频处理方法、系统及装置
US9215047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by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
JP5739262B2 (ja) 画像伝送装置、画像伝送方法、画像受信装置および画像受信方法
JP2019092183A (ja) 画像出力装置および出力方法
JP6472845B2 (ja) 画像受信装置
US9648144B2 (en) Data compression method and decompression method
JP2015198343A (ja) 非圧縮デジタル映像信号を伝送する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101605181B1 (ko) 에이치디엠아이/엠에이치엘 리시버에서 제어신호 전송오류 복구 방법
JPWO2011004647A1 (ja) 信号種別判断装置、及び信号種別判断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