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91A - Orchid cultiv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Orchid cultiv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1591A KR20180021591A KR1020160106361A KR20160106361A KR20180021591A KR 20180021591 A KR20180021591 A KR 20180021591A KR 1020160106361 A KR1020160106361 A KR 1020160106361A KR 20160106361 A KR20160106361 A KR 20160106361A KR 20180021591 A KR20180021591 A KR 201800215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t
- hole
- present
- seating
- holes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33855 Orchidaceae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382 Physalis alkeke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0 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1 light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최근 선물용 난 시장은 양란 등 키가 큰 대형 종의 소비가 감소하고, 중소형의 동양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주로 분포하는 난초과 식물인 동양란의 경우 직수입해서 선물용 화분에 이식하여 소비자들에게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small and medium-sized oriental lanterns has been increasing. Oriental flowers, which are mainly orchid plants distributed in Korea, China, Japan, and Taiwan, are directly imported into gift pots and sold to consumers.
이러한 동양란은 기온이 선선한 음지에서 주로 자생하는데, 수입된 식물체(난)이 별도의 적응과정 없이 화분에 이식되므로 최종 소비자 단계에서 쉽게 시들어 고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se oriental eggs are mainly grown in the temperate shade, and the imported plants (eggs) are transplanted into the pots without additional adaptation process, which causes the problem of easily wasting them in the final consumer stage.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한 결과, 동양란의 특히 뿌리부위가 실내의 따뜻한 온기에 적응하지 못하여, 시들어 죽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서 동양란은 가정에서 키우기 어렵다는 선입견이 형성되고 이러한 선입견은 선물용 난 시장의 활성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it was confirmed that the root parts of oriental flowers were not able to adapt to the warm warmth of the room and died. Due to these problems, there is a prejudice that oriental eggs are difficult to raise at home, and these prejudices are a factor that hinders the activation of the gift mark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성묘 재배 단계에서 맞춤형 독립 난분을 적용할 경우, 난의 고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 생산 농가의 노동력 및 생산비 절감이 가능한 난분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eptic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not only reducing the failure rate of eggs, but also reducing the labor and production costs of the egg-producing farmers when applying customized independent fertilization at the seedling growing sta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면부, 상기 하면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부측 단부에 형성된 상면부를 포함하는 제1 화분 및 상기 제1 화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화분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안착홀이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면에 안착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난 재배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t including a bottom portion, a first pot including a s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to an upper side and increasing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an upper portion and a top portion formed at an upper side end portion of the side portion, And 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supporting the fixing part on the ground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len.
이때, 상기 측면부에는 관통홀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상기 측면부의 하부측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spac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portion.
이때, 상기 상면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홀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가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portion may include a flange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of the seating hole to fix the flange.
이때, 상기 고정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상기 안착홀과 연결된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n insertion hole connected to the seating hol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이때, 상기 안착홀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안착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지지부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seating holes may be formed,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holes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화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화분이 상기 안착홀을 통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화분을 지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lower pot, and the support portion can support the first flower pot with the first flower pot inserted through the seating hole.
이때, 상기 지지부는 링형 단면으로서,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높이부 및 상기 높이부의 단부에 형성된 천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pport portion may have a ring-shaped cross section, and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a he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to an upper side,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portion increasing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a ceiling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height portion.
이때,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는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부는 격자무늬 형상일 수 있다. At this time, a vent hol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height portion may have a lattice pattern.
이때, 상기 하면부에는 배수가 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drain hole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to drain water.
이때, 상기 제1 화분의 내부에는 배양토가 수용되고, 상기 배양토에는 난이 식재되되, 상기 제1 화분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제2 화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cultured soil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ot, and the cultivated soil is further cultivated with eggs, and the second pot can have a receiving recess formed therein to receive the first p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는 제1 화분을 포함하여 초보자라도 제2 화분에 간단하면서도 보기 좋게 옮길 수 있으며 고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 생산 농가의 노동력 및 생산비도 절감할 수 있다. The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first flower pot so that even a novice can easily and easily move to the second flower pot and can reduce the rate of mortality and reduce labor and production costs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 및 제2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이 내부에 수용된 제2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flower pot of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flower pot of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flower pot of the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pot and a second pot of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flower pot in which a first flowerpot of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where a section such as a layer, a film, an area, a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section,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On the contrary, where a section such as a layer, a film, an area, a plate, etc. is referred to as being "under" another sec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section is "directly undernea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 및 제2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의 제1 화분이 내부에 수용된 제2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1)는 제1 화분(10) 및 거치대(30)를 포함함으로써 제1 화분에 심은 난의 고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 생산 농가의 노동력 및 생산비도 절감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flower pot of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flower pot of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flower pot of the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pot and a second pot of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flower pot in which a first flowerpot of an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FIG. 1, 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화분(10)은 하면부(12), 측면부(18) 및 상면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분(10)은 링 형 단면으로서, 원통형상과 유사하고, 내부에 배양토가 수용될 수 있고, 배양토에는 난이 식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면부(12)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면부(12)에는 배수홀(13)이 형성됨으로써, 난에 투입되는 물이 배수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수홀(13)의 외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보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 화분은 배수성 및 환기성이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면부(12)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에는 제1 통기홀(15)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sions (not shown) protru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측면부(18)는 하면부(12)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부(18)는 단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증가함으로써 거치대(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측면부(18)에는 관통홀(19)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관통홀(19)은 측면부의 하부측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관통홀(19)을 통해 제1 화분(10) 내부와의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1 화분 내부의 공기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through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상면부(21)는 측면부(18)의 상부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면부(21)는 링 형 단면으로서, 상면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랜지(23)가 형성될 수 있다.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플랜지(23)는 링 형 단면으로서, 상면부(21)에 연결되고 상면부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거치대(30)는 고정부(32) 및 지지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32)는 판 형상으로서, 사각 단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고정부(32)에는 복수개의 안착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홀(33)은 원형 단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1 화분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제1 화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때 고정부(32)에는 안착홀(33)과 연결된 삽입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삽입홀(3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삽입홀(35)이 형성됨으로써 안착홀(33)에 삽입된 제1 화분(10)을 들어올릴 때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37)는 고정부(32)를 지면에 안착시키기 위해서 고정부의 하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안착홀(33) 중 적어도 하나와 지지부(37)가 연결됨으로써 고정부(32)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을 참고하면, 지지부(37)는 5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고정부(32)를 지면에서 기울지 않고 세울 수 있다면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37)는 제1 화분(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화분이 안착홀(33)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화분을 지지할 수 있다. 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지지부(37)는 링형 단면으로서, 바닥부(39), 높이부(41) 및 천장부(43)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부(39)는 원판 형상으로서, 중심부에 제2 통기홀(39a)이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순환 및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높이부(41)는 하면부(12)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높이부(41)의 단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증가함으로써 제1 화분(1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높이부(41)는 격자무늬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용이하게 하여 제1 화분 내부의 공기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천장부(43)는 높이부(41)의 상부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천장부(43)는 링 형 단면으로서, 천장부에는 걸림턱(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턱(45)은 안착홀(33)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화분(10)이 안착홀(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화분의 플랜지(23)의 하부면이 걸림턱(45)의 상부면에 걸림으로써 제1 화분이 고정부(32)에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화분(10)의 내부에는 배양토가 수용되고, 배양토에는 난이 식재될 수 있다. 이때 어느 정도 크기로 자란 난을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제1 화분(10)에 식재된 난을 분 갈이 하는 것 없이 제2 화분(50) 내부에 형성된 수용홈(52)에 삽입할 수 있다.5 and 6,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ltivated soil may be contained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 장치는 제1 화분을 포함하여 초보자라도 화분에 간단하면서도 보기 좋게 옮길 수 있으며 고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 생산 농가의 노동력 및 생산비도 절감할 수 있다. The egg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first flowerpot to easily and easily transfer the flowerpot to a flowerpot, reduce the rate of mortality, and reduce labor and production costs ha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난 재배 장치
10 : 제1 화분
12 : 하면부
13 : 배수홀
15 : 제1 통기홀
18 : 측면부
19 : 관통홀
21 : 상면부
23 : 플랜지
30 : 거치대
32 : 고정부
33 : 안착홀
35 : 삽입홀
37 : 지지부
39 : 바닥부
39a : 제2 통기홀
41 : 높이부
43 : 천장부
45 : 걸림턱
50 : 제2 화분
52 : 수용홈1: I cultivation apparatus 10: the first pot
12: Lower part 13: Drain hole
15: first ventilation hole 18:
19: through hole 21: upper surface portion
23: Flange 30: Cradle
32: fixing part 33: seating hole
35: insertion hole 37: support
39: bottom portion 39a: second vent hole
41: height portion 43: ceiling portion
45: hanging chin 50: second pot
52: receiving groove
Claims (10)
상기 제1 화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화분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안착홀이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면에 안착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난 재배 장치.A first pot including a bottom portion, a s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to an upper side and increasing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an upper portion, and a top portion formed at an upper side end portion of the side portion,
A stationary part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erpot so that the first flowerpot is inserted and fixed and 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to support the stationary part on the ground, Device.
상기 측면부에는 관통홀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상기 측면부의 하부측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이격배치되는 난 재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spac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portion.
상기 상면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홀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가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난 재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portion includes a flange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of the seating hole to fix the flange.
상기 고정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상기 안착홀과 연결된 삽입홀이 형성된 난 재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n insertion hole connected to the seating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상기 안착홀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안착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지지부가 연결되는 난 재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ating holes are formed,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holes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화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화분이 상기 안착홀을 통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화분을 지지하는 난 재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art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lower pot and the support part supports the first flower pot with the first flower pot inserted through the seating hole.
상기 지지부는 링형 단면으로서,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높이부 및 상기 높이부의 단부에 형성된 천장부를 포함하는 난 재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portion is a ring-
And a cei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to an upper side and having a height portion increasing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a ceiling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height portion.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는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부는 격자무늬 형상인 난 재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vent hole is formed in a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height portion is a lattice pattern.
상기 하면부에는 배수가 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는 난 재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inag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portion so as to drain water.
상기 제1 화분의 내부에는 배양토가 수용되고, 상기 배양토에는 난이 식재되되,
상기 제1 화분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제2 화분을 더 포함하는 난 재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ots contain culture soil, the cultivation soil is planted with eggs,
And a second pot containing a receiving recess for receiving the first po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361A KR20180021591A (en) | 2016-08-22 | 2016-08-22 | Orchid cultiv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361A KR20180021591A (en) | 2016-08-22 | 2016-08-22 | Orchid cultiv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1591A true KR20180021591A (en) | 2018-03-05 |
Family
ID=6172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6361A KR20180021591A (en) | 2016-08-22 | 2016-08-22 | Orchid cultiv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2159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66797A (en) * | 2017-07-27 | 2019-03-27 | Plantopia Ltd | Carry tray for planting pots |
-
2016
- 2016-08-22 KR KR1020160106361A patent/KR20180021591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66797A (en) * | 2017-07-27 | 2019-03-27 | Plantopia Ltd | Carry tray for planting po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22821A (en) | Hydroponic culturing device | |
US20120000127A1 (en) | Flower pot having removable base | |
KR101371128B1 (en) | Exchange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cultivation module | |
JP6650091B2 (en) | Hydroponic cultivator | |
US20160309670A1 (en) | Multi-functional flowerpot | |
KR101334603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darkroom maintain cover | |
KR20180021591A (en) | Orchid cultivation apparatus | |
KR20080004675U (en) | Pot for the culture orchid of porous great | |
JP2006042725A (en) | Flowerpot for cultivating orchid | |
CN202340511U (en) | Flowerpot | |
KR200463816Y1 (en) | Functional flowerpot | |
KR20150083359A (en) | Flowerpot kit for cultivating Hydroponic plants and equipment used for growing plants | |
KR200408442Y1 (en) | A flowerpot | |
KR20180056074A (en) | Flower pot | |
KR101379738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water diffusion supply unit | |
KR20190125730A (en) | Flower container | |
JP2517105Y2 (en) | Pot for plant cultivation of orchids | |
JP2014045669A (en) | Hydroponic device | |
KR20150095529A (en) | Plants cultivation vessel | |
JP3076746U (en) | Gardening tray | |
KR101914112B1 (en) | Flowerpot | |
JP5899362B1 (en) | flower pot | |
KR102106693B1 (en) | Pot | |
KR200483887Y1 (en) | Flowerpot | |
JP2023061457A (en) | Orchid nursery pot and method for growing orchi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