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074A - Flower pot - Google Patents

Flower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074A
KR20180056074A KR1020160153842A KR20160153842A KR20180056074A KR 20180056074 A KR20180056074 A KR 20180056074A KR 1020160153842 A KR1020160153842 A KR 1020160153842A KR 20160153842 A KR20160153842 A KR 20160153842A KR 20180056074 A KR20180056074 A KR 20180056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llen
flowerpot
pot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4366B1 (en
Inventor
임근용
Original Assignee
임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용 filed Critical 임근용
Priority to KR102016015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366B1/en
Publication of KR2018005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3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t produced to be connected in multiple layers such that a number of flowers or plants can be grown even in a narrow sp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ot, comprising: a plurality of pot containers each of which forms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a plant therein; and a support unit supporting an upper side pot container with respect to a lower side pot container so that the pot containers can be stack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ot, to which a multiple layer coupling structure is applied such that a number of flowers or plants can be grown even in a narrow space and in which the pots in each lay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make a plant share the plurality of pots with a root such that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Description

화분{Flower pot}Flower po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화초나 식물 등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ll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len which is produced in a multistage-coupled manner and in which a large number of plants and plants can be grown even in a narrow space.

사회가 점차로 정보화됨에 따라 삭막해져 가는 실내 분위기를 보다 인간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분위기로 꾸미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실내에서 화초를 기르는 것도 이러한 시도들 중 하나이며,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관상 혹은 건강의 목적으로 화초를 재배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에서는 주로 발코니 등에 화분을 구비하고, 각종 화초와 간단한 채소 등을 가꾸고 있다.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corate the indoor atmosphere, which is becoming more and more obsolete due to the increasingly informed society, in a more human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tmosphere. It is one of these attempts to grow plants indoors. Today, most homes and offices are planting plants for the purpose of coronary or healthcare. Especially, at home, they are mainly equipped with pollen on balconies, And so on.

종래에는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의 화초나 식물 등을 실내에서 화분을 이용하여 재배함에 있어서, 공간이 좁은 실내에서 여러 종류의 식물을 담기 위한 화분들로 인해 공간이 협소해지고, 바닥에 놓고 재배하는데 따른 공간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in the cultivation of various types of plants and plants by using pots in the room, space is narrowed due to pots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plants in a narrow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is constrained.

또한, 화분대 및 조립식 화분대가 사용되어 왔으나 그 재료가 플라스틱 합성수지, 스테인리스 강등의 재질로 만들어져 강도가 약하고 무거우며, 화분을 올려놓는 받침대의 정해진 규격으로 인하여 화분을 놓을 수 있는 수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활용에도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flowerpot and a prefabricated flowerpot have been used, but the material thereof is made of plastic synthetic resin, stainless steel, etc., and its strength is weak and heavy. Since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pedestal for placing the flowerpot is limited, There is also a problem in utilization of.

따라서, 여러 개의 화분을 협소한 공간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실외, 실내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화분대의 개발이 요구되며, 기존의 다단화분은 각각의 화분이 분리되어 있어 뿌리 발육에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화분의 수분을 유지하는데도 문제가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flowerpot which can be utilized in a wide range of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pot can be practically used in a narrow space, and a conventional multi-flowerpot is separated from each flowerpot, There is also a problem in maintaining the moisture of each pot.

KRKR 10-2001-008141610-2001-0081416 AA KRKR 10-119863510-1198635 B1B1 KRKR 20-029740720-0297407 Y1Y1 KRKR 20-047934620-0479346 Y1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단 형태로 결합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화초나 식물 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werpot which can be cultivated in a narrow space by applying a multi-tiered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다단 형태의 화분을 구성하되, 각 단의 화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식물이 복수의 화분을 뿌리로 공유할 수 있어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게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stage flowerpot, wherein the flowerpots at each stag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 plant can share a plurality of flowerpots as roots,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화분용기와; 상기 화분용기들을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측의 화분용기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werpot comprising: a plurality of flower pot containers each having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plants therein; And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upper flower pot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lower flower pot container so that the flower pot containers can be stacked and installed.

상기 화분용기는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다각 기둥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하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상단에 상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하단이 안착되게 설치되되, 상측의 화분용기의 모서리 부분이 하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pollen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sidewall portions disposed adjacently to each other to form a polygonal column.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upper pollen container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lower pollen container.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pot is staggered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ide wall part of the lower pot.

상기 지지유닛은 화분용기의 측벽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화분용기의 모서리 일부분을 진입시킬 수 있게 진입홈을 형성하는 진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upport unit includes an entrance portion that extends outward from a side wall portion of the flowerpot container to form an entry groove to allow a portion of the corner of the upper flowerpot container to enter.

상기 화분용기는 측벽부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측벽부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측벽부의 제1끼움구멍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벽부의 제2끼움구멍에 상부가 삽입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en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itting holes which are drawn downward at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wall portion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sidewall portion and ar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idewall portion upwards at a predetermined depth, The support unit includes a support rod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hole of the side wall portion.

상기 지지유닛은 하측의 화분용기 바닥으로부터 상측의 화분용기의 바닥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upport unit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bottom of the flowerpot container on the upper side to the bottom of the flowerpot container on the lower side.

상기 화분용기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측에 상기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화분용기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부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지지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pollen container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t the center and an annular shape formed with the planting space portion at the edge side, the support uni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lowerpot container, And a control unit.

상기 화분용기와 상기 지지콘은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side of the flowerpot container and the support cone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화분용기의 외주면으로부터 화분용기와 멀어지게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분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uppor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ibs extending radially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lowerpot container and spa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erpot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다단 형태로 결합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화초나 식물 등을 재배할 수 있고, 각 단의 화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식물이 복수의 화분을 뿌리로 공유함으로써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grow plants or plants in a narrow space by applying a multi-stage structure. By connecting the pollen of each stage to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supplied continuous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ll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ll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ll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poll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le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le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lle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and 4.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ll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00)와 지지유닛을 구비한다.FIG. 1 shows a flowerp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llen container 100 and a support unit.

상기 화분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며, 서로 다른 사이즈로 복수가 구비된다. 상기 화분용기(100)는 평평한 바닥부(101)와, 바닥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다각 기둥을 형성 및 바닥부(101)와의 사이에 식재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103)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101)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배수공이 더 형성된다.The pollen container 100 is open at the top, and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plants therein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lants are provided in different sizes. The pollen container 100 includes a flat bottom portion 101 and upper portions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101 and disposed adjacently to each other to form a polygonal column and to form a planting space por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101 and the bottom portion 101 A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103 are formed. The bottom part 101 is further formed with a drain hole for discharging water.

본 실시 예에서는 바닥부(101)를 사각으로 형성하여 화분용기(100)를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바닥부(101)를 삼각이나 오각 또는 육각 등과 같은 다각으로 형성함으로써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part 101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the pot container 100 is formed in a square column shape. Alternatively, the bottom part 101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ular shape, a pentagonal shape or a hexagonal shape,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한편, 상기 화분용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화분용기(100)의 측벽부(103) 상단에 상측의 화분용기(100)의 측벽부(103) 하단이 안착되게 설치되되, 상측의 화분용기(100)의 모서리 부분(100a)이 하측의 화분용기(100)의 측벽부(103)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llen container 100 is install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03 of the upper pollen container 10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03 of the lower pollen container 100, The corner portions 100a of the pot pot 100 are staggered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ide wall portion 103 of the pot pot 100 at the lower side.

상기 화분용기(100)는 가장 큰 사이즈를 갖는 것이 가장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위로 사이즈가 작은 것들이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된다.The pollen container 100 is arranged such that the largest size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smallest size is sequentially stacked.

상기 지지유닛은 화분용기(100)들을 적층하여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측의 화분용기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1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하측의 화분용기(100)의 측벽부(103) 상단과 상측의 화분용기(100)의 바닥부(101) 저면에 각각 도포되는 접착제를 적용하였으나, 접착제와 다르게 벨크로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supports the upper pollen container 100 with respect to the lower pollen container 100 so that the pollen containers 100 can be stacked and installed and fix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art 101 of the upper and upper flowerpot containers 100 is applied, but a velcro tape may be applied differently from the adhesive.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에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10)와 지지유닛(210)을 구비한다.2, a poll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2, 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llen container 110 and a support unit 210. [

상기 화분용기(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며, 서로 다른 사이즈로 복수가 구비된다. 상기 화분용기(110)는 평평한 바닥부(111)와, 바닥부(1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다각 기둥을 형성 및 바닥부(111)와의 사이에 식재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111)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배수공이 더 형성된다.The pollen container 110 is open at the top, and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plants therein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lants are provided in different sizes. The pollen container 110 includes a flat bottom portion 111 and upper portions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s of the bottom portion 111 an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polygonal column and to form a planting space por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111 and the bottom portion 111 And a plurality of sidewall portions 113 which are formed on the sidewalls. A drain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part 111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상기 화분용기(11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The pollen container 110 has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그리고, 각각의 화분용기(110)는 측벽부(113)의 상단에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측벽부(113)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끼움구멍(115)이 형성되고, 측벽부(113)의 하단에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113)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끼움구멍(117)이 형성된다. 화분용기(110)의 바닥부(111)에도 제1끼움구멍(115) 및 제2끼움구멍(117)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다.Each of the flowerpot containers 110 has a plurality of first fitting holes 115 which are drawn downward at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113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side wall portion 113, A plurality of second fitting holes 117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portion 113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spaced along the side wall portion 113 at predetermined intervals. Holes are also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111 of the pot container 11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tting hole 115 and the second fitting hole 117, respectively.

상기 지지유닛(210)은 상기 지지봉은 하측의 화분용기(110)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110)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측의 화분용기(110)가 하측의 화분용기(110)와 분리되거나 유동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측벽부(113)의 제1끼움구멍(115)에 하부가 삽입되고, 측벽부(113)의 제2끼움구멍(117)에 상부가 삽입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The supporting unit 2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 bar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container 110 with respect to the lower pollen container 11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container 11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llen container 110, And a support rod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115 of the side wall portion 113 and the upp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hole 117 of the side wall portion 113. [

상기 지지봉은 하측의 화분용기(110)의 제1끼움구멍(115)에 삽입되는 제1끼움돌기(211)와, 상측의 화분용기(110)의 제2끼움구멍(117)에 삽입되는 제2끼움돌기(212)와, 제1끼움돌기(211)와 제2끼움돌기(212)를 연결하고 제1끼움돌기(211)와 제2끼움돌기(21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하측의 화분용기(110)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110)를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확장부(213)를 포함한다.The support bar has a first fitting protrusion 211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115 of the lower flower pot 110 an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211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hole 117 of the upper flower pot 110. [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212 and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211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212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211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212, And an extension 213 for spacing the upper flower pot 110 from the container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확장부(213)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와셔부재(214)가 더 구비된다.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213 are further provided with a washer member 214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cushion impact.

상기 지지봉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화분용기(110)의 하부 모서리 부분(100a)의 제2끼움구멍(117) 제2끼움돌기(212)를 끼워 결합하고, 하측의 화분용기(110)의 측벽부(113) 상측의 제1끼움구멍(115)에 제1끼움돌기(211)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상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supporting rod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tting hole 117 of the lower corner portion 100a of the upper flower pot 11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212 of the lower flower pot 110 is connected to the lower flower pot 110,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211 are fitted to the first fitting holes 115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113 of the side wall portion 113,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에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20)와 지지유닛(220)을 구비한다.3 and 4, the polle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3 and 4, 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llen container 120 and a support unit 220. [

상기 화분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며, 서로 다른 사이즈로 복수가 구비된다. 상기 화분용기(120)는 평평한 바닥부(121)와, 바닥부(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다각 기둥을 형성 및 바닥부(121)와의 사이에 식재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121)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배수공이 더 형성된다.The flowerpot container 120 is open at the top, and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plants therein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flowerpots are provided in different sizes. The pollen container 120 includes a flat bottom portion 121 and upper portions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121 and disposed adjacently to each other to form a polygonal column and to form a planting space por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121 and the bottom portion 121 A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123 are formed. A drain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part 121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용기의 바닥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 또는 오각이나 융각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quare shape,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or a structure formed in a pentagonal shape or a fresnel shape as shown in FIG.

상기 화분용기(12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The pollen container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상기 지지유닛(220)은 화분용기(120)의 측벽부(12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화분용기(120)의 모서리 일부분을 진입시킬 수 있게 진입홈(221)을 형성하는 진입부(222)를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220 includes an entrance part 222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side wall part 123 of the flowerpot container 120 and forms an entry groove 221 to allow a part of the corner of the upper flowerpot container 120 to enter, .

상기 진입부(222)는 하측의 화분용기(120)의 상부에 상측의 화분용기(120)를 엇갈리게 배치할 때, 상측의 화분용기(120)가 하측의 화분용기(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형성한 것으로서, 화분용기(120)의 모서리 형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receptacle 120,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of the corner of the pollen container 120. [

상기 진입부(222)는 측벽부(123)의 내주면으로부터 화분용기(120)의 모서리 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화분용기(120)의 모서리 부분(120a)이 진입할 수 있게 진입홈(221)이 형성된다.그리고, 진입부의 하부는 측벽부(123)에 의해 턱이 형성되어 즉, 진입부가 화분용기(120)의 상부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상측의 화분용기(120)가 하측의 화분용기(120) 내부로 완전히 진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entrance portion 222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123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shape of the flowerpot container 120 and the edge portion 120a of the flowerpot container 120 enters the inside thereof The lower part of the entrance part is formed by the side wall part 123 so that the entrance part is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flowerpot container 120 and the upper flowerpot container 120 is formed, Thereby preventing the inside of the pollen container 120 from completely entering into the lower pollen container 120.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30)와 지지유닛(230)을 구비한다.5, a polle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Referring to FIG. 5, 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llen container 130 and a support unit 230.

상기 화분용기(13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며,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장자리 측에는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화분용기(130)는 환 형상의 바닥부(131)와, 바닥부(1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외측벽부(133a)와, 바닥부(131)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내측벽부(133b)를 구비한다.The pollen container 13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 closed lower portion, and a hollow portion at the center. On the edge side,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plants therei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pollen container 130 includes an annular bottom portion 131, an outer wall portion 133a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portion 131, and an upper wall portion 133b extending upward from the inner edge of the bottom portion 131 And an inner side wall portion 133b.

상기 화분용기(13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The pollen container 130 has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상기 내측벽부(133b)에는 화분용기(130)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후술하는 지지콘의 수용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게 화분용기(130)와 지지콘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통구멍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inner wall 133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 communicating the flowerpot 130 with the support cone so that the root of the plant growing in the flowerpot 130 can ente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upport con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지지유닛(230)은 화분용기(130)의 중공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부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지지콘을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230 includes a support cone inserted to penetrate the hollow portion of the pollen container 130 and formed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as it extends upward.

상기 지지콘은 내부에 흙 등을 수용할 수 있게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이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콘은 상부가 일부 제거된 삼각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콘의 외주면에는 내측벽부(133b)에 형성된 연통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231)들이 형성된다.The support cone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to receive earth and the like, the top is opened, and the bottom is closed. Further, the support cone is formed in a triangular pyramid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is partially remov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one, holes 23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s formed in the inner wall portion 133b.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5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40)와 지지유닛(240)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Fig. 6 shows a po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llen container 140 and a support unit 240.

상기 화분용기(1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형성된다. 화분용기(140)의 하부는 바닥부(141)에 의해 폐쇄되고, 바닥부(141)의 중앙에는 저수를 위한 융기부(145)가 더 형성된다.The pollen container 1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plants therein is formed. A lower portion of the pollen container 140 is closed by a bottom portion 141 and a ridge 145 for storing water is further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141.

상기 융기부(145)는 화분용기(140)의 바닥부(141)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높이 융기되어, 측벽부(143)와 바닥부(141) 및 융기부(145) 사이에 저수를 위한 저수공간을 형성하며, 이 융기부(145)에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된다. 화분용기(14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흐르는 물 중 일부는 융기부(145)에 마련된 배수구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저수공간에 저장된다.The protruding portion 145 is raised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141 of the pollen container 140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143 and the bottom portion 141 and the protruding portion 145,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s 145 so that water can escape. A part of the water flowing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container 140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a drain port provided in the ridge 145 and the remaining part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상기 화분용기(14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The pollen container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상기 지지유닛(240)은 화분용기(140)의 외주면으로부터 화분용기(140)와 멀어지게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화분용기(140)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241)를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24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ibs 241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len container 140 and away from the pollen container 140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len container 140 do.

상기 지지리브(241)는 화분용기(140)의 상측 또는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며,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하 길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241)의 단부에는 하측의 화분용기(140)에 대해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하측의 화분용기(140)의 측벽부(143) 상단이 끼워질 수 있게 인입된 끼움홈(242)이 형성된다. The support ribs 241 extend away from the upper portion or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flowerpot container 140 and are formed so that the vertical leng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poin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ib 241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242 which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143 of the lower flower pot container 140 so as to be fixed to the lower flower pot container 140 Is formed.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6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50)와, 지지유닛(250)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Fig. 7 shows polle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llen container 150 and a support unit 250.

상기 화분용기(15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The pollen container 150 has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그리고, 화분용기(150)는 바닥부(151)와, 바닥부(15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및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측벽부(153)를 구비한다.The pollen container 150 has a bottom portion 151 and side wall portions 153 that extend upward from the edges of the bottom portion 151 and are convex outwardly.

상기 지지유닛(250)은 하측의 화분용기(150) 바닥으로부터 상측의 화분용기(150)의 바닥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250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bottom of the upper flower pot 150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flower pot 150.

상기 연결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 단이 하측 화분용기(150)의 바닥부(151)에 고정되며, 타 단이 상측 화분용기(150)의 바닥부(151)에 고정된다.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화분용기(150)와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플랜지(251)가 형성된다.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end is fixed to the bottom portion 151 of the lower potting pot 15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ottom portion 151 of the upper potting pot 150. Flanges 25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facilitate fixing to the pot container 150.

상기 연결부는 하측의 화분용기(150)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150)를 일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길이는 상측의 화분용기(150)가 하측의 화분용기(150)와 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The connection part is inclin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container 150 can be positioned at one side relative to the lower part of the pollen container 150.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is longer than that of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container 150 As shown in Fig.

그리고, 연결부는 상측 화분용기(150)의 물이 하측 화분용기(150)로 이동할 수 있게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252)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따라 흐르는 물이 화분용기(150)의 식재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출구멍(253)들이 다수 형성된다.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with a hollow part 25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water of the upper part flowerpot 150 can be moved to the lower part flowerpot 150 and water flowing along the hollow part can flow into the flowerpot 150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53 are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ve to the planting spa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construction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화분용기
100a : 모서리 부분
101 : 바닥부
103 : 측벽부
113 : 제1끼움구멍
115 : 제2끼움구멍
133a : 외측벽부
133b : 내측벽부
145 : 융기부
210 : 지지유닛
211 : 제1끼움돌기
212 : 제2끼움돌기
213 : 확장부
221 : 진입홈
100: Pots container
100a: corner portion
101:
103:
113: first fitting hole
115: second fitting hole
133a:
133b: inner side wall portion
145:
210: support unit
211: first fitting projection
212: second fitting projection
213: Extension portion
221: Entry Home

Claims (8)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화분용기와;
상기 화분용기들을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측의 화분용기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A plurality of flower pot containers each having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plants therein;
And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upper flower pot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lower flower pot container so that the flower pot containers can be stacked and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용기는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다각 기둥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하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상단에 상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하단이 안착되게 설치되되, 상측의 화분용기의 모서리 부분이 하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len container comprises a plurality of sidewall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polygonal column,
And the lower part of the sidewall of the upper flowerpot container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of the lower flowerpot container and the corner part of the upper flowerpot container is staggered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idewall part of the lower flowerpot container. Potted plan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화분용기의 측벽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화분용기의 모서리 일부분을 진입시킬 수 있게 진입홈을 형성하는 진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unit includes an entrance portion that extends outward from a side wall portion of the flowerpot container to form an entry groove to allow a portion of an edge of the upper flowerpot container to en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용기는 측벽부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측벽부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측벽부의 제1끼움구멍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벽부의 제2끼움구멍에 상부가 삽입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llen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itting holes which are drawn downward at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wall portion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sidewall portion and ar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idewall portion upwards at a predetermined depth, A plurality of second fitt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Wherei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support rod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hole of the side wal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하측의 화분용기 바닥으로부터 상측의 화분용기의 바닥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unit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ottom of the upper pot container to the bottom of the lower pot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용기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측에 상기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화분용기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부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지지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len container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t the center and an annular shape formed with the planting space at the edge side,
Wherein the support unit comprises a support con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pollen container and formed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as it extends upward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용기와 상기 지지콘은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llen container and the support cone are formed so that the inside thereof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화분용기의 외주면으로부터 화분용기와 멀어지게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분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unit
And a plurality of support ribs extending radially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ollen container and spa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len container.

KR1020160153842A 2016-11-18 2016-11-18 Flower pot KR1018843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42A KR101884366B1 (en) 2016-11-18 2016-11-18 Flower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42A KR101884366B1 (en) 2016-11-18 2016-11-18 Flower 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74A true KR20180056074A (en) 2018-05-28
KR101884366B1 KR101884366B1 (en) 2018-08-02

Family

ID=6245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42A KR101884366B1 (en) 2016-11-18 2016-11-18 Flower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3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82B1 (en) * 2019-07-23 2020-08-28 황호성 Fire pit for camp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4349B2 (en) * 2018-06-26 2022-10-11 Zona Productions, Llc Transportable plan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46Y1 (en) * 2013-12-03 2014-05-19 박상원 Planting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82B1 (en) * 2019-07-23 2020-08-28 황호성 Fire pit for cam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366B1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3877B1 (en) Stackable planter
US6125579A (en) Drainage disk and reservoir system for a planter
US20160135386A1 (en) Plant growth support pot
US5501038A (en) Planted pot self-positioning plant support device
CN109475093A (en) Improve flowerpot
KR101884366B1 (en) Flower pot
KR101343379B1 (en) Flowerpot
US20180049375A1 (en) Plant container assembly with nested growth substrates
KR101249978B1 (en) The multistage growing instrument for a hydroponic plants
US20170064915A1 (en) Systems for cultivating plants with aerial roots
KR102320508B1 (en) stackable structure flowerpot
KR101826930B1 (en) stackable flowerpot assembly for cultivating plant
KR20110003274U (en) Functional flowerpot
KR200490244Y1 (en) A Pot
JP3117647U (en) Pot seedling grouping fixture
KR200466148Y1 (en) Pot for cultivating vegetables
KR200470118Y1 (en) The interior vegetable garden cultivation receptacle
KR102538925B1 (en) Bottom-up water supply planter
US20110179707A1 (en) Sloped Slot Pot
KR102106693B1 (en) Pot
KR20190125730A (en) Flower container
KR20110114765A (en) The multistage growing instrument for a hydroponic plants
KR20170003332U (en) pot insert flowerpot
KR101152363B1 (en) Inner supporter of flowerpot and flowerpot using it
KR20120056080A (en) Stacking type plant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