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51A -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551A
KR20180021551A KR1020160106269A KR20160106269A KR20180021551A KR 20180021551 A KR20180021551 A KR 20180021551A KR 1020160106269 A KR1020160106269 A KR 1020160106269A KR 20160106269 A KR20160106269 A KR 20160106269A KR 20180021551 A KR20180021551 A KR 2018002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passage
control valve
val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웅
박철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551A/ko
Priority to US15/682,081 priority patent/US20180051621A1/en
Publication of KR2018002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P11/16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coola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01P2025/46Engine parts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01P2025/52Heat exchange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8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은, 일측으로 냉각수를 공급받고, 타측으로 냉각수를 배출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그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부가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밸브,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및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가 상기 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의 폐쇄부를 관통하는 바이패스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ENGINE SYSTEM HAVING COOLANT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엔진의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럭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각각제어하여 전체적인 냉각효율과 엔진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열에너지로 배출된다. 특히, 냉각수는 엔진, 히터, 및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면서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외부로 방출한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낮으면, 오일의 점성이 높아져서 마찰력이 증가하고, 연료소모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배기가스의 온도가 천천히 상승하여 촉매가 활성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배기가스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의 기능이 정상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승객 및 운전자가 추울 수 있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과도하면, 노킹이 발생하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윤활유의 온도가 과도하면 윤활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특정부위는 냉각수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고, 다른 부위는 낮게 유지하는 등 하나의 밸브를 통해서 여러 개의 냉각요소를 제어하는 하나의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이 적용되고 있다.
아울러, 엔진에서 실린더헤드를 지나는 냉각수와 실린더블럭을 지나는 냉각수를 각각 제어하는 냉각수 분리 냉각방법이 소개되었으며, 실린더헤드는 비교적 낮은 온도로 제어되고, 실린더블럭은 비교적 높은 온도로 제어하여 연료소모를 줄이고,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린더헤드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온 센서가 배치되는데,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감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냉각수가 흐르도록 밸브에 바이패스홀이 형성되는데, 바이패스홀과 냉각수온 센서 사이의 거리차이로 인하여 냉각수의 실제온도와 감지온도 사이에 편차가 증가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온 센서에서 감지되는 감지온도와 냉각수의 실제온도 사이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은, 일측으로 냉각수를 공급받고, 타측으로 냉각수를 배출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그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부가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밸브,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및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가 상기 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의 폐쇄부를 관통하는 바이패스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에서 상기 폐쇄부의 외주면은 구의 표면을 따르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통로의 둘레 형태를 따라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의 상부와 하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폐쇄부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폐쇄부의 내측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는 상기 파이프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기 파이프 부재의 입구측을 지나는 냉각수온을 감지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에 배치되는 냉각수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에는 엔진의 실린더헤드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헤드 냉각수입구와 상기 엔진의 실린더블럭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블럭 냉각수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를 통해서 공급된 냉각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블럭 냉각수입구를 통해서 공급된 냉각수를 제어하도록 냉각수온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작동되는 블럭 써모스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와 상기 블럭 냉각수입구를 공급된 냉각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히터코어, 상기 엔진을 순환하는 오일과 열교환을 수행하는 오일쿨러, 및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라디에이터로 각각 분배될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온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작동되어 상기 라디에이터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제어하는 라디에이터 써모스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코어, 상기 오일쿨러, 상기 라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상기 엔진의 실린더블럭으로 펌핑하고, 펌핑된 냉각수는 상기 실린더헤드와 상기 실린더블럭을 지나서 순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은 일측에는 엔진의 실린더헤드로부터 헤드냉각수를 공급받는 헤드 냉각수입구와 상기 엔진의 실린더블럭으로부터 블럭냉각수를 공급받는 블록냉각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와 연결된 제1통로 및 상기 블록냉각수통로와 연결된 제2통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를 지난 냉각수하 모이고, 각 냉각수 수요처에 냉각수를 분배하는 혼합하우징,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그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통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부가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밸브, 냉각수온에 따라서 작동되어 상기 제2통로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블록써모스탯,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및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가 상기 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의 폐쇄부를 관통하는 바이패스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밸브에는 폐쇄부와 개방부가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파이프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폐쇄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의 중심부를 따라서 바이패스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부재의 타단부 입구측에 냉각수온 센서를 배치함으로써, 냉각수온의 감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이프 부재를 밸브의 폐쇄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밸브의 폐쇄부가 냉각수 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냉각수가 상기 바이패스통로를 용이하게 흐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에서 냉각수의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에 배치되는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에 배치되는 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에서 냉각수의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엔진시스템은 실린더헤드(105), 실린더블럭(110), 냉각수 제어밸브유닛(100), 히터코어(120), 오일쿨러(115), 라디에이터(130), 라디에이터 써모스탯(125), 및 냉각수펌프(14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100), 상기 라디에이터 써모스탯(125), 및 상기 냉각수펌프(14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운행조건과 냉각수온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100), 상기 라디에이터 써모스탯(125), 및 상기 냉각수펌프(14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공지기술을 참고한다.
상기 냉각수펌프(140)에 의해서 펌핑되는 냉각수는 상기 실린더블럭(110)의 일측으로 펌핑되고, 펌핑되는 냉각수의 일부는 상기 실린더블럭(110)을 지나고, 나머지는 상기 실린더헤드(105)로 분배된다.
상기 실린더헤드(105)와 상기 실린더블럭(110)을 지난 냉각수는 각각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100)의 양측으로 공급되고,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100)은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히터코어(120), 상기 오일쿨러(115), 및 상기 라디에이터(130)로 분배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100)은 상기 실린더헤드(105)를 지나는 헤드냉각수와 상기 실린더블럭(110)을 지나는 블럭냉각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 써모스탯(125)은 상기 제어부 또는 냉각수온에 의해서 작동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30)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히터코어(120), 상기 오일쿨러(115), 및 상기 라디에이터(130)를 지난 냉각수는 다시 상기 냉각수펌프(140)의 흡입측으로 재순환된다. 상기 히터코어(120), 상기 오일쿨러(115), 및 상기 라디에이터(130)의 구조 및 기능은 공지기술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수 제어밸브유닛(100)은 밸브 하우징(102), 액추에이터(230), 밸브(250), 헤드 냉각수입구(220), 블럭 냉각수입구(), 냉각수온 센서(200), 및 블럭 써모스탯(21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102)의 전면에는 상기 실린더헤드(105)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헤드 냉각수입구(220)와 상기 실린더블럭(1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블럭 냉각수입구(21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220)와 상기 블럭 냉각수입구(215)의 반대측에는 냉각수가 모이는 혼합 하우징(252)이 배치된다.
상기 혼합 하우징(252)에 모인 냉각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코어(120), 상기 오일쿨러(115), 및 상기 라디에이터(130)로 분배된다.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220)를 통해서 공급된 헤드냉각수는 상기 밸브 하우징(102)의 내부에 형성된 제1통로를 통해서 상기 혼합 하우징(252)으로 모이고, 상기 블럭 냉각수입구(215)를 통해서 공급된 블럭냉각수는 상기 밸브 하우징(102)의 내부에 형성된 제2통로를 통해서 상기 혼합 하우징(252)으로 모인다.
상기 제1통로에는 상기 밸브(250)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250)는 상기 액추에이터(230)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제1통로를 개폐한다. 아울러, 상기 제2통로에는 상기 블럭 써모스탯(210)이 배치되고, 상기 블럭 써모스탯(210)은 냉각수온에 의해서 작동되어 상기 제2통로를 개폐한다.
상기 밸브(250)의 냉각수입구 측에는 냉각수온 센서(200)가 배치된다. 상기 냉각수온 센서(200)는 상기 밸브 하우징(102)을 측면으로 관통하여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2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200)는 상기 밸브(250)의 바이패스통로(325)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냉각수온 감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밸브(250)의 구조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에 배치되는 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에 배치되는 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250)는 가상의 회전 중심축(302), 폐쇄부(300), 개방부(310), 연결 부재(312), 및 파이프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250)는 상기 회전 중심축(302)을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전 중심축(302)을 기준으로 후방측에 상기 폐쇄부(30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폐쇄부(300)와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개방부(3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폐쇄부(300)와 상기 개방부(310)는 약 90도의 회전차이를 두고 형성된다.
상기 연결 부재(312)는 상기 밸브(250)의 상부와 하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재(312)와 상기 폐쇄부(300) 사이에 상기 개방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310)는 상기 제1통로의 형태와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25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302)과 거리를 두고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파이프 부재(320)가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320)의 중심부에는 바이패스통로(325)가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파이프 부재(320)의 선단부는 상기 연결 부재(312)의 하단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320)의 후단부는 상기 폐쇄부(300)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통로(325)가 상기 파이프 부재(32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폐쇄부(300)가 상기 제1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헤드(105)에서 배출된 냉각수는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220), 상기 파이프 부재의 입구(), 및 상기 바이패스통로(325)를 통해서 상기 혼합 하우징(252)으로 순환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온 센서(200)는 상기 파이프 부재(320)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수온감지성능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냉각수온을 나타낸다.
오픈(open) 상태에서 수온센서 출력값과 헤드내 냉각수 직접 측정값은 거의 유사한 특성을 보여준다. 수온센서 출력값이 헤드내 냉각수 직접 측정값보다 조금 낮은 수준을 보인다.
그리고, 닫힌(close) 상태에서 수온센서 출력값과 헤드내 냉각수 직접 측정값은 오픈(open)상태에서 높은 값을 유지하되, 닫힌 상태에서 수온센서 출력값이 상승하여 헤드내 냉각수 직접 측정값을 추종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즉, 밸브(250)가 닫힌 상태에서 수온센서 출력값과 헤드내 냉각수 직접 측정값 사이에 차이값이 종래의 기술보다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102: 밸브 하우징
105: 실린더헤드 115: 오일쿨러
120: 히터코어 125: 라디에이터 써모스탯
130: 라디에이터 140: 냉각수펌프
110: 실린더블럭 200: 냉각수온 센서
210: 블럭 써모스탯 215: 블럭 냉각수입구
220: 헤드 냉각수입구 230: 액추에이터
250: 밸브 252: 혼합 하우징
300: 폐쇄부 302: 회전 중심축
310: 개방부 312: 연결 부재
320: 파이프 부재 325: 바이패스통로

Claims (18)

  1. 일측으로 냉각수를 공급받고, 타측으로 냉각수를 배출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및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그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부가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밸브; 를 포함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및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가 상기 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의 폐쇄부를 관통하는 바이패스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밸브에서 상기 폐쇄부의 외주면은 구의 표면을 따르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통로의 둘레 형태를 따라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밸브의 상부와 하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폐쇄부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폐쇄부의 내측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파이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는 상기 파이프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기 파이프 부재의 입구측을 지나는 냉각수온을 감지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에 배치되는 냉각수온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에는 엔진의 실린더헤드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헤드 냉각수입구와 상기 엔진의 실린더블럭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블럭 냉각수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를 통해서 공급된 냉각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블럭 냉각수입구를 통해서 공급된 냉각수를 제어하도록 냉각수온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작동되는 블럭 써모스탯;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9. 제7항에서,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와 상기 블럭 냉각수입구를 공급된 냉각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히터코어;
    상기 엔진을 순환하는 오일과 열교환을 수행하는 오일쿨러; 및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라디에이터;
    로 각각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라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온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작동되어 상기 라디에이터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제어하는 라디에이터 써모스탯;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11. 제9항에서,
    상기 히터코어, 상기 오일쿨러, 상기 라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상기 엔진의 실린더블럭으로 펌핑하고, 펌핑된 냉각수는 상기 실린더헤드와 상기 실린더블럭을 지나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12. 일측에는 엔진의 실린더헤드로부터 헤드냉각수를 공급받는 헤드 냉각수입구와 상기 엔진의 실린더블럭으로부터 블럭냉각수를 공급받는 블록냉각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냉각수입구와 연결된 제1통로 및 상기 블록냉각수통로와 연결된 제2통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를 지난 냉각수하 모이고, 각 냉각수 수요처에 냉각수를 분배하는 혼합하우징;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그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통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부가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밸브;
    냉각수온에 따라서 작동되어 상기 제2통로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블록써모스탯;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및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가 상기 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의 폐쇄부를 관통하는 바이패스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13. 제12항에서,
    상기 밸브에서 상기 폐쇄부의 외주면은 구의 표면을 따르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통로의 둘레 형태를 따라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14. 제13항에서,
    상기 밸브의 상부와 하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폐쇄부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15. 제14항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폐쇄부의 내측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파이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는 상기 파이프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16. 제15항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기 파이프 부재의 입구측을 지나는 냉각수온을 감지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에 배치되는 냉각수온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17. 제12항에서,
    상기 냉각수수요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히터코어;
    상기 엔진을 순환하는 오일과 열교환을 수행하는 오일쿨러; 및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라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18. 제17항에서,
    상기 라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온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작동되어 상기 라디에이터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제어하는 라디에이터 써모스탯;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KR1020160106269A 2016-08-22 2016-08-22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KR20180021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69A KR20180021551A (ko) 2016-08-22 2016-08-22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US15/682,081 US20180051621A1 (en) 2016-08-22 2017-08-21 Engine system having coolant control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69A KR20180021551A (ko) 2016-08-22 2016-08-22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51A true KR20180021551A (ko) 2018-03-05

Family

ID=6119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69A KR20180021551A (ko) 2016-08-22 2016-08-22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051621A1 (ko)
KR (1) KR201800215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3852A (zh) * 2021-04-22 2021-07-16 浙江阳明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智能电子控制节温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0075B2 (en) * 2017-05-31 2019-12-31 Mahle International Gmbh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n oil cooler in a motor vehicle
KR102496255B1 (ko) * 2017-12-11 2023-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량제어밸브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5604A (en) * 1991-05-10 1994-04-26 Techco Corporation Control valve for bootstrap hydraulic systems
US5361739A (en) * 1993-05-12 1994-11-08 Coates George J Spherical rotary valve assembly for use in a rotary val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79390B1 (en) * 1996-12-17 2001-08-28 Denso Corporation Thermostat malfunction detecting system for engine cooling system
FR2827360B1 (fr) * 2001-07-11 2005-10-28 Valeo Thermique Moteur Sa Vanne de commande pour un circuit de circulation de fluide, en particulier pour un circuit de refroidissement d'un moteur
US9032915B2 (en) * 2012-07-30 2015-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ooling of cylinder head and block
US10693218B2 (en) * 2014-07-01 2020-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ructural tank integrated into an electronic device case
KR101619278B1 (ko) * 2014-10-29 2016-05-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냉각수 제어밸브를 갖는 엔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3852A (zh) * 2021-04-22 2021-07-16 浙江阳明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智能电子控制节温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51621A1 (en)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338B1 (ko) 엔진의 냉각수 제어밸브
KR101619278B1 (ko) 냉각수 제어밸브를 갖는 엔진시스템
KR101713742B1 (ko)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KR102496255B1 (ko) 유량제어밸브
KR101601234B1 (ko) 냉각수 제어밸브를 갖는 엔진시스템
US7263954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olant flow
KR101558377B1 (ko) 냉각수 제어 밸브를 갖는 엔진
US20180245503A1 (en) Cool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23307B2 (en) Engine system having coolant control valve
US10605150B2 (en) Cool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21551A (ko)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KR20150080660A (ko) 엔진의 냉각시스템
KR102371257B1 (ko) 냉각수 제어 밸브유닛을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KR20190045995A (ko) 차량용 냉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65628B1 (ko) 냉각수온 센서를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JP2019105199A (ja) 冷却水制御弁装置
US4011988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oling water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496812B1 (ko) 냉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807046B1 (ko) 냉각수온 센서를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KR101619405B1 (ko) 냉각수 제어밸브를 갖는 엔진시스템
KR102478089B1 (ko) 차량용 냉각시스템 제어방법
KR102451920B1 (ko) 유량 제어 밸브, 이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8225A (ko)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KR20180055174A (ko) 냉각수 제어 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JPH02125910A (ja) 内燃機関の冷却水流量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