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448A - 그룹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그룹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448A
KR20180021448A KR1020160105994A KR20160105994A KR20180021448A KR 20180021448 A KR20180021448 A KR 20180021448A KR 1020160105994 A KR1020160105994 A KR 1020160105994A KR 20160105994 A KR20160105994 A KR 20160105994A KR 20180021448 A KR20180021448 A KR 20180021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group call
call session
communication terminal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범모
박지수
심상익
심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0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448A/ko
Publication of KR2018002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3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participants; by removing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 간에 그룹 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참여자 기반으로 미디어 처리를 수행하는 미디어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그룹 통화 시스템은, 제 1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통신 단말 간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 및 상기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초대하는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에 기초하여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킨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한다.

Description

그룹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SYSTEM AND METHOD FOR GROUP COMMUNICATION,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그룹 통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그룹 통화에서 미디어 처리를 수행하는 미디어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는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해 음성,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통합 네트워크인 ALL-IP 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의된 것이다. ALL-IP 망은 이동통신망 구조와 프로토콜을 IP 기반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와 시그널링을 IP 기반으로 전송하며, 전송(bearer), 제어(control) 및 서비스(service) 기능을 분리하고, 멀티미디어 통신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IMS 망을 통해 유무선 단말을 이용한 음성 통화 기능과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의 기본적인 기능에서부터, 텍스트, 음성, 이미지,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그리고 그룹 통화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웹(Web) 기반의 음성/영상 통화 솔루션인 WebRTC(Real Time Communication) 기술이 활성화되고 있다. WebRTC는 크롬(chrome), 파이어폭스(firefox), 사파리(safari) 등과 같은 브라우저 상에서 ID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음성 및 영상 전화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통화 기술이다.
위와 같은 통신 환경에서 필수적인 장비는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로서 주요 기능은 트랜스코딩(Transcoding)과 믹싱(Mixing)이다. 트랜스코딩(Transcoding)은 대화에 참여하는 두 통신 단말이 서로 다른 코덱을 사용 시 이들 간의 대화를 가능하도록 변환해주는 기능이다. 믹싱(Mixing)은 그룹 음성/영상대화에 참여한 통신 단말들이 송출한 음성/영상을 하나의 음성/영상을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이기종의 N개의 통신 단말들이 그룹으로 음성/영상 대화를 한다면, 각각의 통신 단말들은 미디어 서버(Media Server)에 접속해 각자 자신의 음성/영상 대화를 미디어 서버(Media Server)에 송출하고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는 이렇게 모인 N개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트랜스코딩과 믹싱이라는 과정을 거쳐 하나로 만들어 N개의 통신 단말로 각각 송출해 준다. 물론 N개의 통신 단말이 N-1개의 상대 통신 단말들과 1:1로 연결해 통신 단말 내에서 N-1개의 통신 단말이 보낸 음성/영상 데이터들을 직접 트랜스코딩 및 믹싱할 수 있지만, 고사양의 통신 단말 부재와 네트워크 대역폭의 한계로 4명 이상의 그룹 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를 둔 그룹 음성/영상 대화 서비스가 일반적이다.
기존 영상 통화에서 작은 휴대폰 화면으로 4명 이상의 다수가 참여하는 것이 불편했다면, WebRTC 등의 ID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통해 TV, 노트북, 태블릿 등 다양한 통신 단말을 활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ID 기반의 통화 시스템과 전화번호 기반의 통화 시스템 간의 음성/영상 통화의 빈도는 증가될 것이며, 이러한 다수의 이기종 통신 단말들이 참여하는 그룹 통화 환경에서 미디어 서버(Media Server)의 부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전화번호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와 ID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는 각각 각자의 미디어 서버를 가지고 있음에도 두 네트워크 간에 음성 또는 영상 통화가 이루어질 때, 최초에 그룹 대화방이 생성된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신규 대화자가 계속 참여하는 방식이라 두 네트워크 간의 그룹 음성/영상 통화 시에 한쪽의 미디어 서버에 부하가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 간에 그룹 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참여자 기반으로 미디어 처리를 수행하는 미디어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그룹 통화 시스템은, 제 1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통신 단말 간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 및 상기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초대하는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에 기초하여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킨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한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일정 수 이상 존재하면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새로운 통신 단말의 초대 요청 수신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의 퇴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 또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모든 통신 단말이 퇴장한 경우, 상기 새로운 통신 단말로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의 접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통신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을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믹싱된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믹싱된 통화 데이터에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통화 데이터를 추가로 믹싱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통화 데이터를 믹싱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그룹 통화 시스템은,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에 제 1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도록 제어하여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 및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킨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 접속시키는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하는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의 세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부터 새로운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의 퇴장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통화 데이터를 믹싱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믹싱된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믹싱된 통화 데이터에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통화 데이터를 추가로 믹싱하여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제 1 네트워크에서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 1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초대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에 기초하여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킨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존재할 때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일정 수 이상 존재할 때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제 2 네트워크에서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 및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킨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 접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의 세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네트워크로부터,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부터, 새로운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제 1 네트워크에서 그룹 통화의 호를 처리하는 장치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부터 그룹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에서의 제 1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제어하는 세션 생성 제어부;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속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다른 통신 단말을 초대하여 접속시키고,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에 기초하여 세션 분산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접속 제어부; 및 상기 단말 접속 제어부에서 세션 분산을 결정한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세션 분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존재하면 세션 분산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일정 수 이상 존재하면 세션 분산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 간에 그룹 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각 네트워크에 속한 통신 단말에 대해 각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에서 미디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분산함으로써 부하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디어 서버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미디어 서버를 불필요하게 증설하는 비용을 줄여 설비 투자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통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 간의 그룹 통화 절차를 설명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이 제 2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을 초대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이 제 2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을 초대하는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TAS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통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통화 시스템은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110, 130)를 포함한다. 제 1 네트워크(11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이고 제 2 네트워크(130)는 WebRTC 네트워크이다.
제 1 네트워크(110)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111), MRF(Media Resource Function)(112) 및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113)를 포함한다. 제 1 네트워크(110)에 접속하는 통신 단말(140)은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고, 통신 단말(14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 1 네트워크(110)에 접속할 수 있다.
CSCF(111)는 호 세션 제어 노드로서, 호 처리를 수행하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를 위한 기본 기능 등을 수행하는 인프라 시스템이다. CSCF(111)는 가입자 등록, 인증, 과금, 서비스별 트리거링 및 라우팅, 착신자 위치 조회, SIP 메시지의 압축 및 해제 등을 처리하며, 역할에 따라 Proxy_CSCF, Interogating-CSCF, Serving-CSCF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CSCF(111)는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중인 두 통신 단말(140)(예컨대, UE-A와 UE-B) 중 방장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UE-A)로부터 임의의 통신 단말(예컨대, UE-C)(또는 대상 단말)에 대한 그룹 통화로의 초대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TAS(113)로 전달하고 TAS(113)로부터 통화 요청의 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그룹 초대를 요청한 통신 단말(UE-A)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AS(113)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중 하나로서 예컨대 발신자 표시, 발/착신 금지, 착신 전환, 그룹 통화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 동작 및 호 처리와 호 연결 관리 및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 필드 변경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호 처리용(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 서버이다. TAS(113)는 과금 처리와, CSCF(111), 가입자 정보 노드(HSS)(미도시), MRF(112) 및 부가 서비스 수행을 위해 다양한 노드들과의 연동 처리와, 운용(Operation), 관리(Administration) 및 유지보수(Maintenance)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AS(113)는 가입자 정보 노드(HSS)를 통해 통신 단말(140, 150)이 속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TAS(113)는 통신 단말(140)로부터 그룹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MRF(112)로 그룹 통화 대화방, 즉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고 제 1 네트워크(110)의 통신 단말(140) 또는 제 2 네트워크(130)의 통신 단말(150)을 초대하여 상기 그룹 통화 대화방에 참여시킨다. TAS(113)는 MRF(112)에 생성된 그룹 통화 대화방을 모니터링하여 그룹 통화 대화방에 참여한 다른 네트워크, 즉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에 기초하여 제 2 네트워크(13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들을 위한 그룹 통화 대화방, 즉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한다.
TAS(113)는 MRF(112)에 생성된 그룹 통화 대화방에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이 존재할 경우 제 2 네트워크(13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고, 또는 MRF(112)에 생성된 그룹 통화 대화방에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이 일정한 수 이상(예컨대 3명) 존재할 경우 제 2 네트워크(13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그 기준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제 2 네트워크(130)에서 그룹 통화 세션이 추가로 생성되면, TAS(113)는 제 2 네트워크(13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부터 그룹 통화 세션에서 퇴장하는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의 정보를 수신한다. TAS(113)는 퇴장하는 통신 단말(150)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네트워크(110)의 통신 단말(140)에서 새로 초대하는 통신 단말(140, 150)을 제 1 네트워크(110)의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킬지 또는 제 2 네트워크(130)의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킬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 2 네트워크(130)의 그룹 통화 세션에 4명의 통신 단말(150)이 참여하였다가 2명의 통신 단말(150)이 퇴장하여 제 2 네트워크(130)의 그룹 통화 세션에 남은 통신 단말(150)의 수가 기준(예컨대 3명)보다 작아지는 경우, TAS(113)는 이후 제 1 네트워크(110)의 통신 단말(140)이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을 새로 초대하더라도 제 1 네트워크(110)의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하도록 제어한다. TAS(113)는 제 1 네트워크(110)의 CSCF(111) 및 제 2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GW)(131)를 경유하여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새로 초대할 통신 단말(150)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 반면, 제 2 네트워크(130)의 그룹 통화 세션에 기준보다 많은 통신 단말(150)이 참여하고 있고,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이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을 새로 초대할 경우, TAS(113)는 제 1 네트워크(110)의 CSCF(111) 및 제 2 네트워크(130)의 게이트웨이(GW)(131)를 경유하여 제 2 네트워크(13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150)의 정보를 전송한다.
MRF(112)는 미디어 스트림(stream) 자원(resource)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MRFC(Multimedia Resource Function Controller) 및 MRFP(Multimedia Resource Func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RF(112)는 미디어 서버로 칭해질 수 있다. MRF(112)는 미디어 스트림 자원을 제어하여 미디어 스트림을 믹싱(mixing)하고, 문자와 음성 간 변환, 음성 인식,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트랜스코딩(다른 코덱 간의 변환) 등을 위한 미디어 소스를 제공한다. MRF(112)는 TAS(113)의 요청에 따라 그룹 통화 대화방, 즉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고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통신 단말(140, 150)의 통화 데이터를 트랜스코딩 및 믹싱하여 통신 단말(140, 15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MRF(112)는 제 2 네트워크(130)의 미디어 서버(132)와 연동하여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하여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140)과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 간의 그룹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130)는 WebRTC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로서, 도 1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GW)(131), 미디어 서버(132)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를 포함한다. WebRTC 서비스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의 웹 앱(Web App)을 통해서 통신 단말의 OS(Operating System)와는 무관하게 웹 브라우저를 통한 실시간 통화(Real-Time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이 기술을 WebRTC라고 통칭한다. 따라서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은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웹 앱을 통해 실시간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WebRTC 서비스에서 통신 단말(150)은 별도의 고유의 전화번호를 갖지 않으며 ID 기반으로 사용자를 식별하여 통신을 제공한다.
게이트웨이(GW)(131)는 제 1 네트워크(110)와 제 2 네트워크(130)의 연동, 제 2 네트워크(130)와 통신 단말(150)의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게이트웨이(GW)(131)는 제 1 네트워크(110)의 CSCF(111)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호 처리를 수행하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를 위한 기본 기능 등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GW)(131)는,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 간에 그룹 통화를 할 때 어느 한 통신 단말(150)로부터 그룹 통화의 초대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그룹 초대를 요청한 통신 단말(15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GW)(131)는 제 1 네트워크(110)의 TAS(113)로부터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들을 위한 그룹 통화 대화방, 즉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에는 통신 단말(150)들의 정보, 예를 들어 ID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GW)(131)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부터 그룹 통화 세션에서 퇴장한 통신 단말(150)의 정보, 예를 들어 ID를 수신하여 제 1 네트워크(110)의 CSCF(111)를 통해 TAS(113)로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는, 제 1 네트워크(110)의 TAS(113)에 대응하는 서버로서, 제 2 네트워크(130)에서 TAS(113)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는 발신자 표시, 발/착신 금지, 착신 전환, 그룹 통화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 동작 및 호 처리와 호 연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는 게이트웨이(GW)(131)를 통해 제 1 네트워크(110)의 TAS(113)로부터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들을 위한 그룹 통화 대화방, 즉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미디어 서버(132)로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고,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로 상기 미디어 서버(132)에서 생성된 그룹 통화 세션으로의 접속을 요청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는 이미 제 1 네트워크(110)의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통신 단말(150)로는 세션 변경 요청을 전송하고, 새로 초대되어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하는 통신 단말(150)로는 세션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미디어 서버(132)는 제 1 네트워크(110)의 MRF(112)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서버(132)는 미디어 스트림(stream) 자원(resource)를 제어한다. 미디어 서버(132)는 미디어 스트림 자원을 제어하여 미디어 스트림을 믹싱(mixing)하고, 문자와 음성 간 변환, 음성 인식,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트랜스코딩(다른 코덱 간의 변환) 등을 위한 미디어 소스를 제공한다. 미디어 서버(132)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의 요청에 따라 그룹 통화 대화방, 즉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고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통신 단말(140, 150)의 통화 데이터를 트랜스코딩 및 믹싱하여 통신 단말(140, 15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어 서버(132)는 제 1 네트워크(110)의 MRF(112)와 연동하여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하여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140)과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 간의 그룹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 간의 그룹 통화 절차를 설명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 A는 통신 단말 B와 그룹 통화를 하기 위해 CSCF(111)로 그룹 통화 요청을 전송한다(S201). 이때 그룹 통화 요청에는 통신 단말 B의 전화번호(IMSI 또는 MSISDN)가 포함될 수 있다. 호 처리를 수행하는 CSCF(111)는 수신된 그룹 통화 요청을 TAS(113)로 전송한다(S203).
TAS(113)는 그룹 통화를 위한 세션 생성을 위해 MRF(112)로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205).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에는 그룹 통화에 참여하는 통신 단말 A 및 B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MRF(112)는 TAS(113)의 요청에 따라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고(S207),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TAS(113)로 전송한다(S209). 확인 메시지에는 그룹 통화 세션의 식별정보 및 접속 정보(예컨대 URL)를 포함할 수 있다. TAS(113)는 확인 메시지를 CSCF(111)를 통해 통신 단말 A로 전송한다(S211, S213).
통신 단말 A는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통화 세션의 정보를 토대로 MRF(112)에서 생성한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다(S215). 그리고 TAS(113)는 통신 단말 B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S217). 초대 메시지에는 그룹 통화 세션의 식별정보 및 접속 정보 그리고 통신 단말 A의 정보(예컨대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 단말 B는 MRF(112)에서 생성한 상기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다(S219). 이에 따라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 A와 통신 단말 B는 그룹 통화를 시작한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이 제 2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을 초대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 A와 통신 단말 B 간에 그룹 통화 세션이 생성된 후 통신 단말 A(140)가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 C, D(150)를 초대하는 절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룹 통화 중인 통신 단말 A(140)는 그룹 통화 중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 C, D(150)를 초대한다. 예컨대 통신 단말 A(140)의 사용자는 통신 단말 C, D(150)의 ID를 입력하고 초대 버튼을 누른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 A(140)는 제 1 네트워크(110)의 CSCF(111)를 통해 TAS(113)로 초대 요청을 전송한다(S301).
초대 요청을 수신한 TAS(113)는 통신 단말 C, D의 ID를 기초로 초대 대상이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한 것을 확인하고, CSCF(111)로 초대 메시지를 전달한다(S303). 또한 TAS(113)는 통신 단말 C, D가 참여함을 알려주기 위해 MRF(112)로 대화방 정보, 즉 세션 정보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S305). 이때 세션 정보 변경 요청에는 통신 단말 C, D의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ID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대 메시지에는 MRF(112)에서 생성된 그룹 통화 세션의 접속 정보(예컨대 URL)와 초대한 통신 단말 A(140)의 정보(예컨대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CSCF(111)는 제 2 네트워크(130)의 게이트웨이(GW)(131)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고(S307), 제 2 네트워크(130)의 게이트웨이(GW)(131)는 통신 단말 C, D(150)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S308). 통신 단말 C, D(150)는 사용자의 수락 입력에 따라 게이트웨이(GW)(131)를 통해 제 1 네트워크(110)의 MRF(112)에 생성되어 있는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다(S311). 이에 따라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 A, B와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 C, D는 제 1 네트워크(110)의 MRF(112)에서 생성한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하여 그룹 통화를 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이 제 2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을 초대하는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 A, B 그리고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 C, D가 그룹 통화를 하는 중에 통신 단말 A가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다른 통신 단말 E를 그룹 통화에 초대하는 절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 A(140)는 그룹 통화 중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 E(150)를 초대한다. 예컨대 통신 단말 A(140)의 사용자는 통신 단말 E(150)의 ID를 입력하고 초대 버튼을 누른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 A(140)는 제 1 네트워크(110)의 CSCF(111)를 통해 TAS(113)로 초대 요청을 전송한다(S401).
초대 요청을 수신한 TAS(113)는, 통신 단말 A(140)가 접속하고 있는 그룹 통화 세션에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의 수가 기준, 본 실시예에서 3명 이상이 되므로,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 C, D, E(150)의 미디어 처리가 제 2 네트워크(130)에서 이루어지도록 제 2 네크워트(130)의 게이트웨이(GW)(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403). 이때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에는 통신 단말 C, D, E(150)의 정보(예컨대, ID)와 제 1 네트워크(110)의 그룹 통화 세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13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는 제 2 네트워크(130)의 미디어 서버(132)로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전송하고(S405), 미디어 서버(132)는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한다(S407). 상기 단계 S405의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에는 해당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할 통신 단말 C, D 및 E의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ID가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미디어 서버(132)는 확인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 회신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는 제 1 네트워크(110)의 TAS(113)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 2 네트워크(130)에서의 그룹 통화 세션이 생성되면, TAS(113)는 통신 단말 C, D가 제 1 네트워크(110)의 그룹 통화 세션에서 퇴장함을 알려주기 위해 MRF(112)로 대화방 정보, 즉 세션 정보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S409). 이때 세션 정보 변경 요청에는 퇴장하는 통신 단말 C, D의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ID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는 이미 제 1 네트워크(110)의 그룹 통화 세션을 통해 그룹 통화 중인 통신 단말 C, D(150)로는 세션 변경 요청을 전송하고(S411), 새로 참여할 통신 단말 E(150)로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S413). 세션 변경 요청과 초대 메시지에는 미디어 서버(132)에서 생성된 그룹 통화 세션의 접속 정보(예컨대, URL)가 포함될 수 있다.
세션 변경 요청을 수신한 통신 단말 C, D(150)는 제 1 네트워크(110)의 그룹 통화 세션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 2 네트워크(130)의 미디어 서버(132)에서 생성된 그룹 통화 세션에 접속하여 참여한다(S415). 그리고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 단말 E(150)는 사용자의 수락 입력에 따라 제 2 네트워크(130)의 미디어 서버(132)에서 생성된 그룹 통화 세션에 접속하여 참여한다(S417). 그리고 제 2 네트워크(130)의 미디어 서버(132)는 제 1 네트워크(110)의 MRF(112)로 그룹 통화 세션의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S419). 이에 따라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 A, B(140)에 대한 미디어 처리는 제 1 네트워크(110)의 MRF(112)에서 수행되고,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 C, D, E(150)에 대한 미디어 처리는 제 2 네트워크(130)의 미디어 서버(132)에서 수행되면서 그룹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절차에 따라 제 1 네트워크(110)의 MRF(112)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처리가 제 2 네트워크(130)로 분산되어 제 1 네트워크(110)의 MRF(112)의 부하가 분산된다.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의 수가 기준 이상이 될 때 부하 분산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이 1명 이상이 되면 부하 분산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IMS 네트워크인 제 1 네트워크(110)에서 최초에 그룹 통화가 이루어지고 제 2 네트워크(130)로 미디어 서버의 부하 분산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네트워크(130)에서 최초에 그룹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실행 주체가 제 2 네트워크(130)로 변경될 뿐 절차는 동일하다. 또한 제 2 네트워크(130)의 예로서 WebRTC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네트워크(130)는 제 1 네트워크(110)와 마찬가지로 다른 통신 사업자의 IMS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TAS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TAS(113)는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는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TAS(113)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TAS(113)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용량형, 저항형, 적외선형 등의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TAS(113)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TAS(113)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외부 포트를 통한 통신 또는 RF 신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회로는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RF 신호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TAS(113)는 세션 생성 제어부(501), 단말 접속 제어부(503) 및 세션 분산 제어부(50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되어 실행될 수 있다.
세션 생성 제어부(501)는 통신 단말(140)로부터 그룹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미디어 서버인 MRF(112)로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한다.
단말 접속 제어부(503)는 그룹 통화에 참여하는 통신 단말(140, 150)을 상기 MRF(112)에서 생성된 그룹 통화 세션에 초대하여 접속시킨다.
단말 접속 제어부(503)는 통신 단말(140)이 그룹 통화 요청을 하여 MRF(112)에서 그룹 통화 세션이 생성되면 그룹 통화 세션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확인 메시지를 그룹 통화를 요청한 통신 단말(140)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 접속 제어부(503)는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140)로부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초대 메시지를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140, 150)로 전송한다. 초대 메시지에는 통신 단말(140)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접속 제어부(503)는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하는 다른 네트워크, 본 실시예에서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이 존재하거나 또는 기준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세션 분산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 접속 제어부(503)는 다른 네트워크, 본 실시예에서 제 2 네트워크(13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부터 그룹 통화 세션에서 퇴장한 통신 단말(15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하는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이 존재하거나 또는 기준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세션 분산 제어부(505)는 상기 단말 접속 제어부(503)에서 세션 분산을 결정한 경우 제 1 네트워크(110)의 MRF(112)에서 생성한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하는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들이 참여할 수 있는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제 2 네트워크(13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S)(133)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 2 네트워크(130)의 미디어 서버(132)에서 그룹 통화 세션이 생성되어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들이 접속하고 그 그룹 통화 세션은 제 1 네트워크(110)의 그룹 통화 세션과 연결되어 제 1 네트워크(110)에 속하는 통신 단말(140)과 제 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통신 단말(150) 간에는 지속적인 그룹 통화가 가능해진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 간에 그룹 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각 네트워크에 속한 통신 단말에 대해 각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에서 미디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분산함으로써 부하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미디어 서버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미디어 서버를 불필요하게 증설하는 비용을 줄여 설비 투자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제 1 네트워크
111 : CSCF
112 : MRF
113 : TAS
130 : 제 2 네트워크
131 : 게이트웨이
132 : 미디어 서버
133 : AS
140, 150 : 통신 단말

Claims (23)

  1. 제 1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통신 단말 간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 및
    상기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초대하는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에 기초하여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킨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일정 수 이상 존재하면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새로운 통신 단말의 초대 요청 수신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의 퇴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 또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그룹 통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모든 통신 단말이 퇴장한 경우, 상기 새로운 통신 단말로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의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통신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을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믹싱된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믹싱된 통화 데이터에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통화 데이터를 추가로 믹싱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통화 데이터를 믹싱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9.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에 제 1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도록 제어하여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 및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킨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 접속시키는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하는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의 세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부터 새로운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의 퇴장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통화 데이터를 믹싱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믹싱된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믹싱된 통화 데이터에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의 통화 데이터를 추가로 믹싱하여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통신 단말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통화 시스템.
  15. 제 1 네트워크에서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 1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초대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에 기초하여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킨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존재할 때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일정 수 이상 존재할 때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2 네트워크에서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 및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시킨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 접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과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 중인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의 세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부터,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부터, 새로운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초대 대상의 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그룹 통화 세션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 네트워크에서 그룹 통화의 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로부터 그룹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에서의 제 1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을 제어하는 세션 생성 제어부;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속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다른 통신 단말을 초대하여 접속시키고,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에 기초하여 세션 분산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접속 제어부; 및
    상기 단말 접속 제어부에서 세션 분산을 결정한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제 2 그룹 통화 세션의 생성 요청을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세션 분산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존재하면 세션 분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제 1 그룹 통화 세션에 참여한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이 일정 수 이상 존재하면 세션 분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60105994A 2016-08-22 2016-08-22 그룹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21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94A KR20180021448A (ko) 2016-08-22 2016-08-22 그룹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94A KR20180021448A (ko) 2016-08-22 2016-08-22 그룹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448A true KR20180021448A (ko) 2018-03-05

Family

ID=6172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994A KR20180021448A (ko) 2016-08-22 2016-08-22 그룹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14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532B1 (ko) * 2022-12-12 2024-03-21 김송환 무선이동통신 슈퍼페이징 시스템 및 블록체인 암복호화 보안 통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532B1 (ko) * 2022-12-12 2024-03-21 김송환 무선이동통신 슈퍼페이징 시스템 및 블록체인 암복호화 보안 통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58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 conference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ferencing terminal
US910671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ross-platform conference convergence
US11950018B2 (en) Video connection continuity between devices
US8180933B2 (en) Dynamic call handling from multiple attached devices wherein devices advertize its capabililes before facilitating call through appropriate device
US106306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bscription to a service and use of the service
US20080137643A1 (en) Accessing call control functions from an associated device
US20130282803A1 (en) Engaging session elements in conference sessions
RU2428807C2 (ru) Сеансовая связь
US9264662B2 (en) Chat preauthorization
US11716363B2 (en) Messaging resource function
CN111314647A (zh) 电子白板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电子白板系统
WO2012155641A1 (zh) 一种多媒体会议业务的实现方法及相应设备
CN110650254B (zh) 信息的发送方法、信息的接收方法、终端及存储介质
KR20180021448A (ko) 그룹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N111835674A (zh) 通信方法、装置、第一网元及通信系统
CN113949596B (zh) 一种设备连接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80077720A (ko) Id 기반의 통화와 전화번호 기반의 통화를 연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929371A (zh) 会话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介质
KR20180074341A (ko) 통화 중 단말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114557A (ko) 피티티 서비스 네트워크에서의 가입자 정보 제공 장치 및방법
KR102271638B1 (ko) 대용량 ptt를 위한 sip 기반 서버
EP4287612A1 (en) Audio/video conference implementation method, audio/video conference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CN113872778B (zh) 一种设备连接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3221855A1 (zh) 数据通道应用列表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5277569A (zh) 多媒体通信方法、系统、相关设备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