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433A -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433A
KR20180021433A KR1020160105949A KR20160105949A KR20180021433A KR 20180021433 A KR20180021433 A KR 20180021433A KR 1020160105949 A KR1020160105949 A KR 1020160105949A KR 20160105949 A KR20160105949 A KR 20160105949A KR 20180021433 A KR20180021433 A KR 20180021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lamp
control unit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433A/en
Publication of KR2018002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4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1Water discharge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es: a tub providing a space receiving an object to be cleaned and having an injection open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opening; a display part displaying a control command; a lamp provided with power through a lamp power lin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 lamp switch opening and closing the lamp power line and emitting light to the tub when power is supplied; a first control part controlling the lamp switch; a power input part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to the first control part and the display part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to the display part;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opening and closing a control part-second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to the first control part; a detection part detecting whether the door allows the injection and is provid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t all times; and a second control part provid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t all times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par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part.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식기세척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apparatus such a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 dishwasher, and the lik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apparatus.

의류처리장치나 식기세척기 등의 전자기기 중에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터브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터브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램프로 구비되는 것이 있었다.Among electronic apparatuses such as a clothes disposal facility and a dishwasher, there are a tub for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bject to be clean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tub, and a lamp for emitting light into the inside of the tub when the door is opened.

이와 같은 종래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전원버튼(전력 입력부)을 누른 후 도어를 열면 상기 램프가 점등되도록 설계되거나,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별도의 램프 점등버튼을 누른 경우에만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였다.Such a conventional electronic apparatus may be designed such that when the user opens a door after pressing a power button (power input unit)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apparatus, the lamp is turned on, or when the user operates the separate apparatus The lamp was illuminated only when the lamp ON button was pressed.

한편,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면, 전자기기의 사용 전 도어를 열어 세척대상이나 식기를 터브 내부에 투입한 뒤 전원버튼을 비롯한 기타의 입력수단을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램프 점등버튼을 누르지 않고 도어를 열거나, 전원버튼을 누르지 않고 도어를 열 경우 램프가 점등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looks at the process of using the electronic device, it is common to open the door before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put the object to be cleaned or the tableware inside the tub, and then operate the power button or other input means. Therefore, the conventional electronic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that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without pressing the lamp-on button or opens the door without pressing the power-button, the lamp does not turn on.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면 램프가 세척대상이 수용된 공간에 빛을 방출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an electronic apparatus in which a lamp emits light in a space in which a cleaning object is accommodated when the door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은 대기전력의 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한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명령 입력부; 상기 터브에 빛을 방출하는 램프; 전원과 상기 램프를 연결하는 램프 전력선을 개폐하는 램프 스위치;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전원과 상기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어부 제1전력선, 전원과 상기 표시부를 연결하는 표시부 전력선 및 전원과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를 연결하는 입력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는 전력 입력부; 상기 전원과 상기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어부 제2전력선을 개폐하는 제2전력선 스위치;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는 감지부;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 및 제2전력선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었다는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제어부 전력공급단계; 및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가 상기 터브에 빛을 방출하게 하는 램프 전력공급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 tub provided with an inlet for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bject to be cleane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harging por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rol command; A control command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A lamp that emits light to the tub; A lamp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lamp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lamp;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mp switch; A power input unit f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first control unit, a display unit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display unit, and an input unit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A second power line switch for opening / closing a second power line of the control unit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first control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door is opened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t all times; And a second control unit that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and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A first control unit power supply step of causing the second control unit to operate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when the sensing unit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put port is opened; And a lamp power supplying step of causing the first control unit to control the lamp switch to cause the lamp to emit light to the tub.

본 발명은 상기 감지부가 상기 투입구가 폐쇄되었다는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램프 전력차단단계;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제1제어부 전력차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lamp power cutoff step of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lamp switch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lamp when the sensing unit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put port is closed; And a first controller power cutoff step of the second controller controlling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ler.

본 발명은 상기 램프 전력공급단계의 개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램프 전력차단단계;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제1제어부 전력차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lamp power cutoff step of c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lamp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tart of the lamp power supply step; And a first controller power cutoff step of the second controller controlling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ler.

본 발명은 상기 램프 전력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전력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컨트롤패널 전력공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anel power supply step of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while the lamp power supply step is in progress .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패널 전력공급단계의 개시 후 상기 투입구가 폐쇄되면,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램프 전력차단단계; 상기 터브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상기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공기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하부의 작동을 위한 제어명령이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부하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명령 실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lamp power cutoff step of, when the input port is closed after the control panel power supply step is started,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lamp switch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lamp;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connecting the turbine and the water supply source,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tub, and a heater for heating air or water supplied to the tub When the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the first control unit operates the load unit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command.

상기 제어명령 실행단계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1제어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제2제어부 및 상기 감지부에는 전력공급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step is complet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rupts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and maintains power supply to the second control unit and the sensing unit.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와 연통하는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 전원에 연결된 램프 전력선 및 상기 램프 전력선을 개폐하는 램프 스위치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터브에 빛을 방출하는 램프;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전원과 상기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어부 제1전력선 및 전원과 상기 표시부를 연결하는 표시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는 전력 입력부; 상기 전원과 상기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어부 제2전력선을 개폐하는 제2전력선 스위치;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는 감지부;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 제2전력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램프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a washing object and having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harging por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rol command; A lamp that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lamp power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a lamp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lamp power line and emits light to the tub when power is supplie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mp switch; A power input unit f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a first power line fo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power line for the display unit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display unit; A second power line switch for opening / closing a second power line of the control unit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first control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door is opened,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t all times; And a second control unit that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When the door opens the input port,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power line The first control unit operates the lamp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lamp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to the control unit by controlling the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본 발명은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터브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상기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공기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valve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connecting the turbine and a water supply source;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tub; And a load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load unit and the load unit.

본 발명은 전원과 상기 부하부를 연결하는 부하부 전력선; 상기 부하 전력선을 개폐하며,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부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unit power line connecting a power source and the load unit; And a load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load power line and is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unit.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는 두 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two or more sensors that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unit.

상기 제2제어부는 모든 센서로부터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었다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operate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when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put port is opened from all the sensors.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부터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었다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unit,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may be operated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when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at the first power line is open is received.

본 발명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명령 입력부; 전원과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를 연결하는 입력부 전력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제어부 제1전력선, 상기 표시부 전력선 및 상기 입력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command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And an input unit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The power input unit may be provided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first power line, the display unit power line, and the input unit power line.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면 램프가 세척대상이 수용된 공간에 빛을 방출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lamp emits light in a space in which the object to be cleaned is accommodated.

또한, 본 발명은 대기전력의 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한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of provid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that can minimize the consumption amount of standby power.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전자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how an example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전자기기의 일례로써 식기세척기(100)를 도시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apparatus that perform a unique function by receiving power, wherein the dish washer 100 i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apparatus.

상기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여 식기로부터 오물을 제거하고,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장치인데, 상기 식기세척기(100)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191, 193), 상기 분사암으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4)로 구비될 수 있다.The dishwasher 100 is a device for spraying water onto a washing object such as a dish to remove dirt from the dish and drying the dish by supplying heated air. The dish washer 100 includes a cabinet 1, A tub 11 provided inside the tub 1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bject to be cleaned, spray arms 191 and 193 for spraying water to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 pump 4 for supplying water to the spray gun .

상기 터브(11)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랙(rack)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랙은 터브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는 상부랙(171), 상기 상부랙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랙(173)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rack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rack 171 provided in an upper region of the tub, a lower rack 173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rack, .

상기 터브(11)는 투입구(111)를 통해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12)로 투입구(111)를 개방한 후 상기 랙들(171, 173)을 상기 터브(11)에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터브(11)의 밀폐를 위해 상기 터브(11)에는 가스켓(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tub 11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rough a charging port 111. The charging port 111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12. [ Therefore, the user can open the loading port 111 with the door 12, and then take out the racks 171, 173 from the tub 11. [ The tub 11 may further include a gasket 113 for sealing the tub 11.

한편, 상기 랙이 상부랙(171) 및 하부랙(173)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분사암은 상부랙(171)에 물을 분사하는 상부암(191), 하부랙(173)에 물을 분사하는 하부암(193)으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rack is provided as the upper rack 171 and the lower rack 173, the spraying rock is sprayed with water to the upper arm 191 and the lower rack 173 which spray water to the upper rack 171 As shown in FIG.

상기 분사암(191, 193)에서 세척대상에 분사된 물(터브에 잔류하는 물)은 섬프(14)로 회수된다. 상기 섬프(14)는 터브 바닥면(15)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11)의 외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터브 바닥면(15)에는 상기 섬프(14)와 상기 터브(11) 내부를 연통시키는 회수홀(151)이 구비된다.Water (water remaining in the tub) spray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in the spraying arms 191 and 193 is collected in the sump 14. [ The sump 14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15 of the tub and is positioned outside the tub 11. The bottom surface 15 of the tub 15 is connected to the sump 14 and the tub 11, A hole 151 is provided.

상기 섬프(14)는 급수유로(141)를 통해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유로(141)는 밸브(143, 솔레노이드 밸브 등)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섬프(14)에 저장된 물은 배수유로(145) 및 배수펌프(147)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펌프(147)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배수유로 내부의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임펠러(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ump 14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through a water supply channel 141 and the water supply channel 141 is opened and closed by a valve 143 (solenoid valve or the like). The water stored in the sump 1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through the drainage flow path 145 and the drain pump 147. The drain pump 147 may be provided as an impeller (not shown) that rotates by a motor and moves the water in the drainage passage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상기 섬프(14)에 저장된 물은 펌프(4) 및 공급유로(3)를 통해 상기 분사암(191, 193)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공급유로(3)는 상기 펌프(4)에 연결된 연결유로(31), 상기 연결유로와 상부암(191)을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33), 상기 연결유로와 하부암(193)을 연결하는 제2공급유로(35)로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tored in the sump 14 is supplied to the spraying arms 191 and 193 through the pump 4 and the supply flow path 3. The supply flow path 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low path 31, a first supply passage 33 connecting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upper arm 191, and a second supply passage 35 connecting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lower arm 193.

상기 상부암(21)은 제1공급유로(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부암(23)은 제2공급유로(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arm 2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ly passage 33 and the lower arm 23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ly passage 35. [

상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는 연결유로(31)가 분지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의 분지점에는 각 공급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환밸브(37)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upply passage 33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35 may be provided by branching the connection passage 31. In this case, A switching valve 37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supply passage may be provided.

상기 전환밸브(37)는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상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witching valve 37 is selectively operated to selectively open the first supply passage 33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35 by receiving electric power or to supply the first supply passage 33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35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open at the same time.

상기 펌프(4)는 섬프(14)와 연결유로(31)를 연결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면 상기 섬프(14)에 저장된 물은 연결유로(31)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The pump 4 may include a housing that connects the sump 14 and the connection passage 31, and an impeller tha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rotates by a motor. According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and the impeller rotates, the water stored in the sump 14 will be moved to the connection passage 31.

상술한 식기세척기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식기세척기가 수행하는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을 표시하는 컨트롤패널(5)이 구비된다.The dishwasher includes a control panel 5 for displaying a control command selectable by a use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nd displaying progress of a control command performed by the dishwasher.

도 1은 상기 컨트롤패널(5)이 도어(12)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패널(5)에는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명령 입력부(53),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이 표시되는 표시부(55)가 구비될 수 있다.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panel 5 is provided on the door 12. The control panel 5 is provided with a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through which a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And a display unit 55 for displaying the control command and the progress of the control command.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에 구비되어 전력 공급을 요하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입력부(51)가 더 구비되는데, 도 1은 상기 전력 입력부(51)가 컨트롤패널(5)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wer input unit 51 is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5. The power input unit 51 includes a power input unit 51, Respectively.

상기 식기세척기에는 상기 터브 내부를 밝히는 램프(7)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램프(7)는 상기 도어(12)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경우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ishwasher may further include a lamp 7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tub. The lamp 7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when the door 12 opens the inlet 111.

이를 위해, 상기 식기세척기에는 상기 도어(12)가 투입구(11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는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한 경우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경우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shwasher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6 for sensing whether the door 12 has opened the inlet 111. The sensing unit 6 may be provided to generate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when the door is opened by the door and when the door is closed by the door.

즉,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자석이 제공하는 자력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자력감지센서, 상기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센서 등이 상기 감지부의 일례가 될 수 있다.That is, a magnet provided in the door and a magnetic sensor provided in the tub and generating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provided by the magnet, and a door, which is pressed by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A touch sensor or the like may be an example of the sensing unit.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되는 감지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센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두 개 이상의 센서로 도어(12)가 투입구(11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상기 도어(12)가 투입구(11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sensor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oor 12 has opened the inlet 111 by judging whether the door 12 has opened the inlet 111 with two or more sensors.

하나의 센서로만 감지부(6)가 구성될 경우,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따라 또는 식기세척기의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감지부(6)상기 도어(12)가 투입구(111)를 완전히 개방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감지부(6)는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한 것으로 인식(도어가 투입구를 완전히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투입구가 폐쇄된 것으로 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sensing unit 6 is configured with only one sensor and the door 12 does not fully open the inlet 111 depending on the user's usage habits or the frequency of use of the dishwasher, The sensing unit 6 may recognize that the door has been opened (the door recognizes that the door is closed even though th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상기 감지부(6)를 두 개 이상의 센서로 구비시킨 것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은 상기 감지부가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G. 1 shows a case where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with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as an example Respectively.

상기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는 도어(12)가 투입구(11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한 식기세척기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가 투입구(111)의 상부에 위치된 터브(11)에 고정된다면 터브(11) 내부로 분사되는 물에 의한 각 센서(61, 63)의 고장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f the dishwasher as long as the door 12 can determine whether the inlet 111 is opened. If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are fixed to the tub 11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111, The possibility of failure can be minimized.

상기 램프(7) 역시 터브(11) 내부를 밝힐 수 있는 한 식기세척기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은 상기 램프(7)가 터브(11)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1, the lamp 7 is fixed to the tub 11, and the light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ub 11. The lamp 7 is installed in the tub 11, As shown i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부하(load,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소비하는 대상)들은 제1제어부(8) 및 제2제어부(9)의 제어를 받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the load (load, which consumes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provided in the dishwasher is provided to be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unit 8 and the second control unit 9.

본 발명에 구비된 부하는 상기 밸브(143), 배수펌프(147), 전환밸브(37), 펌프(4) 및 램프(7)를 포함하는 제1부하부 및 상기 제1센서(61), 제2센서(63), 제어명령 입력부(53) 및 표시부(55)를 포함하는 제2부하부로 구분될 수 있다.The load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first load including the valve 143, the drain pump 147, the switching valve 37, the pump 4 and the lamp 7 and the first load 61 including the first sensor 61, A second sensor 63, a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and a display unit 55. The second load unit includes a second sensor 63, a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이 경우, 상기 제1부하부는 상기 제1제어부(8)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부하부는 상기 제2제어부(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load sec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section 8, and the second load sec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second control section 9. [

본 발명에 구비된 부하들을 제1제어부(8)와 제2제어부(9)가 분리해서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은, 식기세척기가 소비하는 대기전력(standby power)의 양을 최소화하고, 전원 입력부(51)를 통해 각 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도 도어(12)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램프(7)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controller 8 and the second controller 9 separate the loads from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amount of standby power consumed by the dishwasher,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lamp 7 when the door 12 is opened through the input port 111 even if power is not supplied to each load through the door.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원(S)과 각 센서(61, 63)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감지부(6)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는 감지부 전력선(65), 전원(S)과 제2제어부(9)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제2제어부(9)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는 제2제어부 전력선(91)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ing part power line 65 for directly connecting the power source S and the sensors 61 and 63 to the sensing part 6, a power source S and a second control part 9) to directly supply power to the second control unit (9).

상기 전원(S)은 교류전원(S1),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부(S2), 상기 변환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정부(S3)로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source S may include an AC power source S1, a conversion unit S2 for converting an AC power source into a DC power source, and an adjustment unit S3 for adjusting the magnitude of a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version unit.

이 경우, 상기 감지부 전력선(65) 및 제2제어부 전력선(91)은 상기 조정부(S3)를 거친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6)에 요구되는 전력의 전압이나 제2제어부(9)에 요구되는 전력의 전압이 서로 다르다면, 상기 조정부(S3)는 서로 다른 전압의 전력을 출력하는 다수의 조정장치로 구분되어야 하고, 상기 감지부 전력선(65) 및 제2제어부 전력선(91)은 필요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조정장치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power line 65 and the second control unit power line 91 are preferably provided to receive the power through the adjusting unit S3. If the voltage of the power required by the sensing unit 6 or the voltage of the power requir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9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djusting unit S3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djusting devices And the sensing portion power line 65 and the second control portion power line 91 should be connected to a regulating device that outputs a voltage of a necessary magnitude.

한편,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53), 표시부(55), 제1제어부(8)는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식기세척기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된 때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된다.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the display unit 55 and the first control unit 8 are provided to receive power when a signal for requesting power supply to the dishwasher is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

즉, 상기 전력 입력부(51)는 전원과 제어명령 입력부(53)를 연결하는 입력부 전력선(59), 전원과 표시부(55)를 연결하는 표시부 전력선(57), 전원과 제1제어부(8)를 연결하는 제어부 제1전력선(85)을 동시에 개폐하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power input unit 51 includes an input power line 59 fo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a display unit power line 57 fo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display unit 55, a power source and the first control unit 8 And simultaneously opens / closes the control unit first power line 85 to be connected.

상기 제1부하부 중 밸브(143), 배수펌프(147), 전환밸브(37) 및 펌프(4)는 상기 전력 입력부(51)나 부하부 스위치(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개폐되는 부하부 전력선(89)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valve 143, the drain pump 147, the switching valve 37 and the pump 4 in the first load section are connected to a load (not shown)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at least one of the power input section 51 and the load section switch 83, And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through the auxiliary power line 89.

도 2는 상기 부하부 전력선(89)이 상기 전력 입력부(51) 및 부하부 스위치(82)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제1제어부(8), 제어명령 입력부(53) 및 표시부(55)에 전력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제1제어부(8)가 부하부 스위치(83)를 폐쇄하지 않으면, 제1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것이다.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oad section power line 89 is provided to be supplied with power by the power input section 51 and the load section switch 82. [ In this case, even if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8,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and the display unit 55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the first control unit 8 controls the load switch 83 If not closed, no power will be supplied to the first load part.

한편, 상기 제1부하부 중 상기 램프(7)는 램프 스위치(73)에 의해 개폐되는 램프 전력선(71)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된다.Meanwhile, the lamp 7 of the first load unit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lamp power line 71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 lamp switch 73.

나아가, 상기 제1제어부(8)는 제어부 제2전력선(87)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 제2전력선(87)에는 제어부 제2전력선을 개폐하는 제2전력선 스위치(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81)는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된 제2제어부(9)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된다.Further, the first control unit 8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87 of the control unit.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87 is provided with a second power line switch 8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power lin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81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trol unit 9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제1제어부(8), 제어명령 입력부(53) 및 표시부(55)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2제어부(9)가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81)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8)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제어부(8)가 램프 스위치(73)를 제어하면 상기 램프(7)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8,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and the display unit 55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the second control unit 9 can control the second power line The first control unit 8 can supply power to the lamp 7 by controlling the switch 81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8 and the first control unit 8 to control the lamp switch 73. [

상기 제1제어부(8)와 제2제어부(9)는 통신부(2)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53)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은 상기 통신부(2)를 통해 제1제어부(8)로 전송되고, 상기 제1부하부의 작동상태나 오작동 여부는 상기 통신부(2) 및 제2제어부(9)를 통해 표시부(55)에 표시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8 and the second control unit 9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 That is, th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8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 and the operation state or malfunction of the first load unit is det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 and /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5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9.

상기 통신부(2)는 전원(S)에 직접 연결되어 항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표시부(55) 등에 전력이 공급될 경우에만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통신부(2)가 통신 전력선(21)을 통해 항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communication unit 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 so as to be always supplied with power or may be provided to receive power on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55 or the like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have. 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2 is always provided with power via the communication power line 21.

나아가, 상기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는 상기 제2제어부(9)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뿐 아니라 제1제어부(8)에도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not onl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unit 9 but als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control unit 8, which can determine whether the door has opened the door As shown in FIG.

도 3은 상술한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of the dishwash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부(6) 및 상기 제2제어부(9)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단계(S11, S13, S15), 상기 감지부(6)가 상기 투입구(111)가 개방되면 상기 제1제어부(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제어부 전력공급단계(S52), 상기 제1제어부(8)가 상기 램프(7)가 상기 터브(11)에 빛을 방출하게 하는 램프 전력공급단계(S53)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holding step S11, S13 and S15 for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ing unit 6 and the second control unit 9, A first control unit power supply step S52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8 when the first control unit 8 is opened and the first control unit 8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8 when the first control unit 8 causes the lamp 7 to emit light to the tub 11 And a lamp power supply step (S53).

상기 유지단계(S11, S13, S15)는 사용자가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제1제어부(8), 제어명령 입력부(53) 및 표시부(55)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제2제어부 전력선(91), 감지부 전력선(65)을 통해 제2제어부(9) 및 감지부(6)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이다.The maintenance steps S11, S13 and S15 are perform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power line 91 (FIG. 9) without the use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8,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and the display unit 55 via the power input unit 51 And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control unit 9 and the sensing unit 6 through the sensing unit power line 65. [

즉, 상기 유지단계는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한 전력공급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제2제어부(9)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11),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한 전력공급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13, S15)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tep S11,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9 even if the power supply signal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is not input, (S13, S15) of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even if no input is made.

상기 제1제어부 전력공급단계(S52)는 상기 투입구(111)가 개방된 경우에 진행되는데, 상기 투입구(111)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는 상기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2제어부(9)가 상기 투입구(111)가 개방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power supply step S52 is performed when the input port 111 is opened. The step S51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port 111 is opened is performed by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2 sensor 63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control unit 9 has receive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put port 111 is opened.

상기 제2제어부(9)가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로부터 투입구(111)가 개방된 경우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제어부(9)는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81)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제어부(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제어부 전력공급단계(S52)를 진행한다.When the second control unit 9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when the input port 111 is opened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the second control unit 9 controls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81 (S52)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8) by operating the first control unit (8).

상기 램프 전력공급단계(S53)는 상기 제1제어부(8)가 상기 램프 스위치(73)를 제어(램프 전력선을 폐쇄)하여 상기 램프(7)를 점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식기세척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도 사용자가 도어(12)를 열기만 하면 상기 램프(7)가 점등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식기의 수납을 용이하게 하고, 대기전력의 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하다.The lamp power supply step S53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unit 8 controls the lamp switch 73 to turn on the lamp 7 by closing the lamp power line. Therefore, even if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dishwasher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the lamp 7 can be turned on only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12,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store the dishes And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can be minimized.

상기 램프(7)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투입구(111)가 도어(12)에 의해 폐쇄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1)가 도어에 의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6)에서 상기 제2제어부(9)는 상기 제1센서(61)와 제2센서(63)가 상기 투입구(111)가 폐쇄되었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면 투입구(111)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power supplied to the lamp 7 can be progressed until the inlet 111 is closed by the door 12. [ The second control unit 9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have closed the inlet 111 in the step S56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let 111 is closed by the door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port 111 is closed.

상기 램프(7)에 전력이 공급된 뒤 도어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제어부(8)는 램프 스위치(73)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7)에 공급되는 전력을 중단하는 램프 전력차단단계(S57)를 진행한다.The first control unit 8 controls the lamp switch 73 so that the power supplied to the lamp 7 is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8 And proceeds to the step S57 of cutting off the lamp power to be interrupted.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제2제어부(9)는 제2전력선 스위치(81)를 제어하여 제1제어부(8)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제1제어부 전력차단단계(S58)를 진행한다.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lamp is cut off, the second controller 9 controls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81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ler 8, .

상기 램프 및 제1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S57, S58)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유지단계(S11, S13, S15)만 진행하게 될 것이다.When the steps S57 and S58 for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amp and the first control unit are complet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proceed only to the maintenance steps S11, S13 and S15.

한편, 상기 램프(7)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53)는 램프에 전력이 공급된 뒤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S561)된 때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step S53 of supplying power to the lamp 7 may be set to be terminated whe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elapses after power is supplied to the lamp (S561).

통상적으로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식기세척기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은 채 투입구(111)를 개방한 것은 식기세척기를 랙(171, 173)에 수납하거나, 랙에 수납돼 있는 식기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제1부하에부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도 상기 투입구(111)가 개방된 때 상기 램프(7)를 점등하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식기의 수납이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inlet 111 is opened without supplying power to the dishwasher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because the dishwasher is housed in the racks 171 and 173 or the tableware housed in the rack is taken out to the outside . Therefore, even if a signal for requesting power supply to the first load terminal is not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lighting the lamp 7 when the input port 111 is opened allows the user to store or retrieve the tableware .

그런데, 상기 램프(7)를 점등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투입구(111)가 폐쇄되지 않는 상황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도어(12)의 열림으로 볼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황(감지부의 고장, 도어의 고장, 사용자가 도어를 열어 터브 내부를 환기시키는 경우 등)에서도 램프(7)를 계속해서 점등시키는 것은 전력을 낭비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A situation in which the inlet 111 is not clos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lamp 7 is turned on can be seen as opening of the door 12 which is not intended by the user, A failure of the door, a failure of the door, a user opening the door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tub, etc.), the lamp 7 will be wasted.

따라서, 도어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뒤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한 때 램프(7)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한 것 역시 대기전력의 소비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ower supplied to the lamp 7 when the door is opened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after the door is opened also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도 4는 본 발명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유지단계(S11, S13, S15)의 진행 중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전력공급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 1차 전력공급 요청신호 확인단계)를 진행한다.FIG. 4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ower supply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during the maintenance step S11, S13, and S15 (S20, primary power supply request signal checking step).

상기 전력공급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는 제1제어부(8)가 상기 전력 입력부(51)에 의해 개폐되는 제어부 제1전력선(85)을 통해 전력을 공급 받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The step S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upply request signal is inputted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ontrol unit 8 receives power through the first power line 85 of the control unit opened and closed by the power input unit 51 .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1제어부(8)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31),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53)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32)를 진행한다.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8 (S31),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S32 ).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표시부(57)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도 진행될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51,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proceed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unit 57. FIG.

상기 제1제어부(8) 및 제어명령 입력부(53)에 전력이 공급(S31, S32)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투입구(111)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33)하고, 투입구(111)가 개방된 경우 상기 램프(7)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34)를 진행한다.When the first control unit 8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ar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S31 and S32,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put port 111 is opened (S33) (S34) of supplying power to the lamp (7) when the lamp is opened.

상기 투입구(111)가 개방되었는지 여부(S33)는 상기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가 전송하는 신호를 제2제어부(9)가 감지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투입구(111)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제어부(9)는 통신부(2)를 통해 제1제어부(8)에 이를 통지하며, 상기 제1제어부(8)는 상기 램프 스위치(73)를 통해 램프에 전력을 공급(S34)한다.Whether or not the input port 111 is opened S33 is detect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9 by detecting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and the input port 111 The second control unit 9 notifies the first control unit 8 via the communication unit 2 that the first control unit 8 can supply power to the lamp through the lamp switch 73 (S34).

다만, 상기 제1제어부(8)가 상기 제1센서(61)가 발생시키는 전기적 신호 및 제2센서(63)가 발생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직접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111)가 개방되었는지 여부(S33)는 제1제어부(8)가 제2제어부 및 통신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가 발생하는 신호를 직접 감지함으로써 진행될 것이다.However, the first control unit 8 may receive the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61 and the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the second sensor 63 directly.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put port 111 is opened (S33). That is, the first controller 8 controls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It will proceed by detecting it directly.

상기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34)는 상기 램프에 전력이 공급된 뒤 상기 투입구가 폐쇄(S35)되거나, 상기 투입구의 개방이 감지된 뒤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S351)하면 종료(S36)된다.In step S34, power is supplied to the lamp, and then the charging port is closed (S35) after power is supplied to the lamp. Whe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elapses after the opening of the charging port is detected (S351) )do.

상기 투입구(111)가 폐쇄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가 전송하는 신호를 제2제어부(9)가 감지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투입구(111)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제어부(9)는 통신부(2)를 통해 제1제어부(8)에 이를 통지하며, 상기 제1제어부(8)는 상기 램프 스위치(73)를 통해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Whether or not the input port 111 is closed is determin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9 detecting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and the input port 111 is closed The second control unit 9 notifies the first control unit 8 via the communication unit 2 that the first control unit 8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amp through the lamp switch 73 do.

상기 제1제어부(8)가 상기 제1센서(61)에서 발생하는 신호 및 제2센서(63)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직접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투입구(111)가 폐쇄되었는지 여부(S33)는 제1제어부(8)가 제2제어부 및 통신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1센서(61) 및 제2센서(63)가 발생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직접 감지함으로써 진행될 것이다.When the first control unit 8 is provided to receiv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or 63 direc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port 111 is closed S33 will proceed by directly sensing the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61 and the second sensor 63 without the first control unit 8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S36)의 완료 후 본 발명은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53)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7)를 진행한다.After completing the step S36 of interrup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lamp,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step S37 of determining whether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

제어명령의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7)는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53)에서 발생된 신호가 제2제어부(9)에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The step S37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control command is inputted can be proceeded through whether or not the signal generated in the control command input part 53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rol part 9. [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53)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본 발명은 입력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단계(S38)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명령 실행단계(S38)는 제2제어부(9)가 입력된 제어명령을 통신부(2)를 통해 제1제어부(8)에 전송하면, 상기 제1제어부(8)가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부하부 스위치(82)를 통해 제1부하부를 제어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step S38 of executing the input control command.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step S38 is a step in which when the second control unit 9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control unit 8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 Can be proceeded by controlling the first load through the load switch (82).

입력된 제어명령의 실행이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제어부(8)에 공급되는 전력 및 제어명령 입력부(53)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S391, S393)한 뒤 유지단계(S11, S13, S15)를 진행한다.When the execution of the input control command is complet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8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S391, S393) S13, and S15.

한편, 1차 전력공급 요청신호 확인단계(S20)에서 전력공급 요청신호의 입력이 없었음에도 투입구(111)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S51)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제어부(9)가 제2전력선 스위치(81)를 통해 제1제어부(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제어부 전력공급단계(S52)를 진행한다.If it is detected that the input port 111 is opened (S51) even though there is no input of the power supply request signal in the primary power supply request signal checking step S20, the second control unit 9 The first control unit power supply step S52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8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81 is performed.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이 공급(S52)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제어부(8)가 램프 스위치(73)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7)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53)를 진행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S52, the first control unit 8 controls the lamp switch 73 to supply power to the lamp 7 (S53) .

상기 램프 전력공급단계(S53)의 진행 중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전력공급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4, 2차 전력공급 요청신호 확인단계)를 진행한다.During the lamp power supply step (S53),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step S54 (step S54) of checking whether the power supply reques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S54) .

상기 램프 전력공급단계(S53)의 진행 중 전력 공급요청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표시부(55) 및 제어명령 입력부(53)에 전력을 공급하는 컨트롤패널 전력공급단계(S55)를 진행한 뒤 투입구 폐쇄 여부 확인, 램프 전력차단 및 입력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들(S35, S351, S36, S37, S38, S391, S393)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upply request signal is input while the lamp power supply step S53 is in progress,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panel power supply step S55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55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53 (S35, S351, S36, S37, S38, S391, and S393) are executed sequentially afte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input port is closed, the lamp power is cut off, and the inputted control command.

그러나, 상기 2차 전력공급 요청신호 확인단계(S54)에서 전력공급 요청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다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투입구가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6), 램프 전력차단단계(S57) 및 제1제어부 전력차단단계(S58)를 순차적으로 진행한 뒤 유지단계(S11, S13, S15)를 실행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upply request signal is not inputted in the secondary power supply request signal checking step S54,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S56 of determining whether the charging port is closed, S57) and the first controller power cutoff step (S58), and executes the maintenance steps (S11, S13, S15).

도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램프 전력차단단계(S57)는 상기 투입구가 도어에 의해 폐쇄되지 않더라도 상기 램프에 전력이 공급된 뒤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진행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As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lamp power cutoff step S57 may be set such that the lamp is powered on even if the input port is not closed by the door, and then proceeds after the reference time elapses.

상술한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위한 의류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dishwasher and a dishwasher control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washing or drying clothes.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의류(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며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급수유로,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펌프, 상기 터브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가열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물가열부로 구비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tub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and clothing (object to be cleaned), a door hav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has opened the inlet,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tub, an air heater for supplying air heated by the heater, and an air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tub.

세탁을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터브는 물이 저장되는 제1터브 및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터브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기공급부는 터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 및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washing, the tub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tub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second tub in which the clothes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first tub, A duct for supplying air and a fan, and a heater provided inside the duct for heating the air.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부하부(밸브, 배수펌프, 공기가열을 위한 히터, 팬, 물 가열을 위한 히터 및 램프) 및 제2부하부(제어명령 입력부, 표시부 및 감지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제어부, 제2제어부 및 다수의 스위치에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의류처리장치 역시 도 3 내지 도 4의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first load section (the valve, the drain pump, the heater for heating the air, the fan, the heater and the lamp for heating water) and the second load section (control command input section, display section, A second control unit, and a plurality of switches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method of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캐비닛 11: 터브 111: 투입구
12: 도어 14: 섬프 141: 급수유로
143: 밸브 145: 배수유로 147: 배수펌프
3: 공급유로 4: 펌프 5: 컨트롤패널
51: 전력 입력부 53: 제어명령 입력부 55: 표시부
57: 표시부 전력선 59: 입력부 전력선 6: 감지부
61: 제1센서 63: 제2센서 65: 감지부 전력선
7: 램프 71: 램프 전력선 73: 램프 스위치
8: 제1제어부 9: 제2제어부
1: cabinet 11: tub 111: inlet
12: Door 14: Sump 141: Water supply channel
143: valve 145: drainage channel 147: drainage pump
3: Supply flow 4: Pump 5: Control panel
51: power input unit 53: control command input unit 55:
57: display portion power line 59: input portion power line 6:
61: first sensor 63: second sensor 65: sensing part power line
7: Lamp 71: Lamp power line 73: Lamp switch
8: first control unit 9: second control unit

Claims (13)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명령 입력부; 상기 터브에 빛을 방출하는 램프; 전원과 상기 램프를 연결하는 램프 전력선을 개폐하는 램프 스위치;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전원과 상기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어부 제1전력선, 전원과 상기 표시부를 연결하는 표시부 전력선 및 전원과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를 연결하는 입력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는 전력 입력부; 상기 전원과 상기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어부 제2전력선을 개폐하는 제2전력선 스위치;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는 감지부;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 및 제2전력선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었다는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제어부 전력공급단계;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가 상기 터브에 빛을 방출하게 하는 램프 전력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A tub provided with an inlet for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bject to be cleane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harging por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rol command; A control command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A lamp that emits light to the tub; A lamp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lamp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lamp;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mp switch; A power input unit f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first control unit, a display unit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display unit, and an input unit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A second power line switch for opening / closing a second power line of the control unit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first control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door is opened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t all times; And a second controller which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and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Maintaining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A first control unit power supply step of causing the second control unit to operate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when the sensing unit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put port is opened;
And controlling the lamp switch to allow the lamp to emit light to the tub.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lamp switch to emit light to the t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상기 투입구가 폐쇄되었다는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램프 전력차단단계;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제1제어부 전력차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amp power cutoff step of controlling the lamp switch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lamp when the sensing unit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put port is closed;
And a first controller power cut-off step of controlling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by the second controller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전력공급단계의 개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램프 전력차단단계;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제1제어부 전력차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amp power cutoff step of c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lamp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tart of the lamp power supply step;
And a first controller power cut-off step of controlling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by the second controller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전력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전력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컨트롤패널 전력공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panel power supply step of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while the lamp power supply step is in progress Method of control of equip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 전력공급단계의 개시 후 상기 투입구가 폐쇄되면,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램프 전력차단단계;
상기 터브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상기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공기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하부의 작동을 위한 제어명령이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부하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명령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 lamp power cutoff step of, when the input port is closed after the start of the control panel power supply step,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lamp switch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lamp;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connecting the turbine and the water supply source,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tub, and a heater for heating air or water supplied to the tub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command execution step of causing the first control unit to operate the load unit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command when the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실행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제어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제2제어부 및 상기 감지부에는 전력공급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stopping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when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step is completed, and maintaining power supply to the second control unit and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control method comprises: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와 연통하는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
전원에 연결된 램프 전력선 및 상기 램프 전력선을 개폐하는 램프 스위치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터브에 빛을 방출하는 램프;
상기 램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전원과 상기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어부 제1전력선 및 전원과 상기 표시부를 연결하는 표시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는 전력 입력부;
상기 전원과 상기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어부 제2전력선을 개폐하는 제2전력선 스위치;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는 감지부;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 제2전력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램프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기기.
A tub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having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harging por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rol command;
A lamp that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lamp power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a lamp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lamp power line and emits light to the tub when power is supplie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mp switch;
A power input unit f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a first power line fo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power line for the display unit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display unit;
A second power line switch for opening / closing a second power line of the control unit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first control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door is opened,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t all times;
And a second controller which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t all times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When the door opens the charging port,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operates the lamp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lamp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of the control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터브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상기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공기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of a valve that is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unit and opens and closes a flow path connecting the turbine and the water supply source, a drain pump that discharges water stored in the tub, and a heater that heats air or water supplied to the turbine And a load unit includ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ad units.
제8항에 있어서,
전원과 상기 부하부를 연결하는 부하부 전력선;
상기 부하 전력선을 개폐하며,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load section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load section;
Further comprising: a load switch that opens / closes the load power line and is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는 두 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ing unit comprises at least two sensors that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모든 센서로부터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었다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when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put port is opened from all the senso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부터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었다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제2전력선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that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ler,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power line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when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put port is opened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제7항에 있어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명령 입력부;
전원과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를 연결하는 입력부 전력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제어부 제1전력선, 상기 표시부 전력선 및 상기 입력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control command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And an input unit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Wherein the power input unit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first power line of the control unit, the power lin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power line of the input unit.
KR1020160105949A 2016-08-22 2016-08-22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800214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49A KR20180021433A (en) 2016-08-22 2016-08-22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49A KR20180021433A (en) 2016-08-22 2016-08-22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433A true KR20180021433A (en) 2018-03-05

Family

ID=6172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949A KR20180021433A (en) 2016-08-22 2016-08-22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143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862A (en) * 2018-03-13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106770A (en) * 2020-02-21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862A (en) * 2018-03-13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106770A (en) * 2020-02-21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1952702B2 (en) 2020-02-21 2024-04-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8025A1 (en) Dishwasher with fault identification
KR20150142528A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U2006241299A1 (en) Laundry machine and washing method with steam for the same
US20040099287A1 (en) Dishwasher control method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US20080104770A1 (en)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machine
US10945582B1 (en) Consumer appliances and methods of operation
KR20130085276A (en) Apparatus to detect opening and closing of door in washing machine
KR20180021433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090022857A (en) Controlling method for dish washer
KR20100052225A (en) Dish washer and the method of the same
US20120194348A1 (en)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a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KR20090120122A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50323A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US7797952B2 (en) Defrosting method of drum-type washing machine
US8671488B2 (en) Steam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drum washing machine
US20130174872A1 (en) Prolonged operation heater protection in an appliance
KR20190005414A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073506B1 (en) A control method of an washing machine
CN111163672B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KR20070098682A (en) Dish washer
RU2519898C2 (en) Household appli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9691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nintentional button activation and implementing an automatic response
JP2021007635A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JP6214141B2 (en) Washing machine
KR20180072254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