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856A -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 - Google Patents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856A
KR20180020856A KR1020167026269A KR20167026269A KR20180020856A KR 20180020856 A KR20180020856 A KR 20180020856A KR 1020167026269 A KR1020167026269 A KR 1020167026269A KR 20167026269 A KR20167026269 A KR 20167026269A KR 20180020856 A KR20180020856 A KR 20180020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atch
retainer
squib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안 분 다미엔 시트
밍구앙 우
히로유키 마수모토
Original Assignee
메아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엘티디.
제이.에스.티. 엠에프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아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엘티디., 제이.에스.티. 엠에프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메아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20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스퀴브 커넥터가 개시된다. 스퀴브 커넥터는 변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래치(30) 및 래치(30)의 단부에 형성된 래칭 돌출부(60)를 갖는 커버 하우징(10) - 래치(30)는 래치(30)와 단일 유닛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브리지(20)가 제공됨 - ; 암형 하우징(130)에 장착된 토크 보호부(170) 상의 하부 경사진 보강부(140) 및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와 커버 하우징(10)의 래치(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브리지 포켓(180)을 갖는 암형 하우징(130) - 브리지 포켓(18)에 따라 래치(30)와 가요성 브리지(20)가 암형 하우징(130) 내로 삽입될 수 있음 - ; 및 래치(30)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200)를 포함하고, 스퀴브 커넥터의 완전 정합 위치에서, 래치는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는 하부 고정부(90) 및 상부 고정부(80)에 의해 커넥터가 비정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넥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래치(30) 상의 관성 슬로프(400)는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여 임계 삽입력에 도달될 때까지 커넥터가 리테이너(200)와 정합된다.

Description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SHUNT-LESS SQUIB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커버의 연결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공보 제20140045361호는 플러그 커넥터 및 대응 홀더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및 커넥터 하우징에 제공된 래칭 암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는 리테이너와 함께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리테이너와 플러그 커넥터의 장착 시에 래칭 암이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 부분을 포함한다. 편향 부분은 이 편향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 이동에 대한 증가된 저항성을 제공하도록 성형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래칭 암의 분리 편향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분리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분리 부분은 분리 편향이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 이동에 대해 저항성을 제공하지 않도록 성형된다. 추가로, 커넥터 시스템은 래칭 암이 플러그 커넥터를 고정하도록 허용하는 래칭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뚜껑(104)에 의해 밀폐되는 커넥터 하우징(101)이 제공된다. 커넥터 하우징(101)은 안전 링(161)을 갖는 연결 튜브(160)가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연결 튜브(160)와 일체로 형성되는 2개의 래칭 암(102)이 추가로 제공된다. 내측을 향하는 래칭 돌출부(131)(또한 도 2 참조)가 제공되는 래칭 암(102)의 래칭 섹션(130)이 연결 튜브(160)로부터 절단된다. 래칭 암(102)은 래칭 암(102)의 중간 부분의 일부인 가요성 부분(연결 브리지)을 통하여 연결 튜브(160)에 연결된다. 추가로, 래칭 암(102)은 래칭 암(102)이 피벗 부재(140) 주위에서, 즉 가요성 부분(141)들 사이의 중간 부분 주위에서 피벗회전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101)을 향하여 내측으로 압축될 수 있는 분리 부재가 제공된다. 본 문헌의 커넥터 시스템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래칭 암(102)은 50N-200N 범위의 보유력을 구현하지 못할 수 있고(삽입력(401)의 방향에 상반된 힘), 이는 보유력을 견디기 위해 단지 래칭 암(102)을 사용함에 따라 래칭 암(102)이 조기에 리테이너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또는 기계적 파열/변형이 야기되며, 이에 따라 열악한 보유력 성능이 야기된다.
본 문헌에 개시된 설계는 삽입 중에 안정성의 유지를 저하시키며, 이는 내측을 향하는 래칭 돌출부(131)의 경사진 표면(133)이 리테이너(200)의 편향 부분(202) 상에 배열되고 동시에 삽입 방향(401)으로 필요한 힘의 임계값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질적으로, 하나의 경사진 표면(133)은 다른 경사진 표면(133)이 플러그 커넥터(100) 이전에 편향 부분(202)을 지나 외측을 향하여 편향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0)의 불균등/불균형 삽입이 야기된다. 이 시나리오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0)는 플러그 커넥터(100) 또는 뚜껑(104) 상에서 중심에서 인가되지 않은 삽입력(401)을 이용하여 리테이너(200)에 정합되어야 한다.
래칭 암(102)은 래칭 암(102)의 중간 부분의 일부인 가요성 부분(연결 브리지)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100)에 연결된다. 이들 분리 부재(150)는 래칭 암(102)이 피벗 부재(140) 주위에서, 즉 가요성 부분(141)들 사이의 중간 부분 주위에서 피벗회전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101)을 향하여 내측을 압축될 수 있다. 이들 가요성 부분(141)에 따라 리테이너(20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00)를 적출하기 위해 큰 힘이 필요할 수 있고, 연결 튜브(160)와 상당히 통합되기 때문에 뒤틀림 기계식 고장에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병진 또는 회전 운동의 약간의 유연성을 허용하기 위해 과도하게 융통성이 없는 설계가 야기된다.
미국 특허 제5616045호는 스퀴브를 갖는 차량 에어백 조립체용 스퀴브 커넥터를 개시하며, 상기 스퀴브는 스퀴브 커넥터 수용 리셉터클 내에서 상향 연장되고 이에 고정된 한 쌍의 말단 핀을 가지며, 상기 스퀴브 커넥터는 스퀴브의 수용 리셉터클과 정합되는 부분을 갖는 커넥터, 스퀴브의 말단 핀과 전기적 연통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열된 말단 조립체, 래칭고정 위치로부터 분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래칭 조립체 - 상기 래칭 조립체는 래칭 조립체가 래칭고정 위치에 있을 때 스퀴브 상에 대응 래치 수용 부재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래칭 부재를 가짐 - , 래칭 조립체가 래칭고정 위치에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피벗회전 부재가 밀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칭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밀폐 위치로 그리고 이로부터 축 주위에서 피벗회전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에 힌지 연결된 피벗 부재를 포함한 커넥터 위치 및 고정 보장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서,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가 개시된다. 스퀴브 커넥터는 변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래치(30) 및 래치(30)의 단부에 형성된 래칭 돌출부(60)를 갖는 커버 하우징(10) - 래치(30)는 래치(30)와 단일 유닛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브리지(20)가 제공됨 - ; 암형 하우징(130)에 장착된 토크 보호부(170) 상의 하부 경사진 보강부(140) 및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와 커버 하우징(10)의 래치(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브리지 포켓(180)을 갖는 암형 하우징(130) - 브리지 포켓(18)에 따라 래치(30)와 가요성 브리지(20)가 암형 하우징(130) 내로 삽입될 수 있음 - ; 및 래치(30)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200)를 포함하고, 스퀴브 커넥터의 완전 정합 위치에서, 래치는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는 하부 고정부(90) 및 상부 고정부(80)에 의해 커넥터가 비정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넥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래치(30) 상의 관성 슬로프(400)는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여 임계 삽입력에 도달될 때까지 커넥터가 리테이너(200)와 정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기에서, 암형 하우징(130)과 커넥터(100)의 조합은 커넥터(100)로 언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래치(30)는 리테이너(200)와 커넥터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허용하는 피벗 지점으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래치(30)의 하부 단부는 이의 하부에 보강 슬로프(110) 및 이의 상부 표면에 관성 슬로프(400)를 갖는 래칭 돌출부(6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래치(30)는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래치의 움직임이 커넥터 상에 당김력이 인가되는 경우 커넥터를 제 위치에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상부 고정부(80)와 하부 고정부(90)는 래치(30)에서 래칭 돌출부(60)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관성 슬로프(400)는 암형 하우징(130)의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와 상호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보강 슬로프(110)는 암형 하우징(130)의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커버 하우징(10)의 말단 단부는 암형 하우징(130)에 커버 하우징(10)을 고정하기 위한 조립 래치(12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래치 과응력 보호부(50)는 추출 메커니즘(40)이 눌러지는 경우 가요성 브리지(20)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 하우징(10)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상부 고정부(80)와 하부 고정부(90)는 우발적인 결합해제를 견디기 위하여 초기에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래치(30)를 트랩고정하기 위해 암형 하우징의 하부에 스토퍼 슬롯(410)이 제공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켓 내로 삽입된 리테이너 및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커넥터 시스템을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무-션트 커넥터의 커버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의 커버 하우징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래치의 돌출 간섭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무-션트 커넥터의 암형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션트 커넥터의 암형 하우징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형 하우징의 하부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200) 내로 커넥터(100)의 삽입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형 하우징을 갖는 커버 하우징의 보유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200)로부터 커넥터(100)의 적출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 안정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삽입 안정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높은 보유력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은 보유력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션트 커넥터의 암형 하우징의 하부에 제공되는 스토퍼 슬롯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스토퍼 슬롯이 래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 보유력을 도시하는 도식적 도면.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커넥터(100)는 커버 하우징(10) 및 암형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shunt-less squib connector, 100)의 커버 하우징(10)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기재될지라도, 본 발명은 실시 형태의 많은 대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로, 요소 또는 재료의 임의의 적합한 크기, 형상 또는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서, 커버 하우징(10)은 가요성 브리지(20)와 단일 부분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으로 돌출된 래치(30)가 제공되는 일 단부를 갖는다. 래치(30)와 함께 가요성 브리지(20)는 가요성이며 커버 하우징(10)과 함께 융합된다. 래치(30)의 상부에는 추출 메커니즘(40)이 제공된다. 추출 메커니즘(40)은 차례로 래치(30)의 측면에 대해 압축되는 추출 메커니즘의 상부 상의 오목부가 이의 하부 단부가 암형 하우징(130)으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허용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요성 브리지(20)를 갖는 래치(30)는 래치(30)가 커버 하우징(10)을 보유하는 리테이너(200)로부터 쉽사리 결합 및 결합해제되도록 허용하는 피벗 지점으로서 기능을 하기 위하여 조합된다.
가요성 브리지(20)를 갖는 래치(30)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PS, PE, PBT, PP 등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고, 이에 따라 래치(30)는 당김력이 커넥터(100) 상으로 인가되는 위치에서 전체 커넥터(100)를 추가로 보유하기 위하여 래치(30)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능력을 갖는다. 가요성 브리지(20)는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병진운동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능력을 갖는다.
래치(30)의 하부 단부에서, 암형 하우징(130) 상에서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와 결합되도록 사용되는 보강 슬로프(110)가 제공된다. 도 5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돌출부(60)는 래치(30)의 단부 팁에 형성된다. 래칭 돌출부(60)는 상부 고정부(upper lock, 80) 및 하부 고정부(lower lock, 90)를 갖는다. 고정부(80, 90)는 추출 메커니즘(40)이 눌러지지 않는 한 커넥터(100)가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완전히 정합되도록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는 특징부를 갖는다. 상부 고정부(80)와 하부 고정부(90)는 우발적 결합해제를 견디기 위해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암형 하우징(130) 상에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와 상호작용하는 래칭 돌출부(60) 상에 제공된 관성 슬로프(400)가 있다. 관성 슬로프(400)는 GO/NO GO 효과(관성력)를 갖는 삽입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한다. 래치(30)에 인접하게 커버 하우징(10)의 에지 상에서, 래치 과응력 보호부(latch overstress protection, 50)가 제공되며 추출 메커니즘(40)이 눌러질 때 가요성 브리지(20)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조립 래치(120)는 커버 하우징(10)의 말단 단부 상에 형성되고 암형 하우징(130)의 조립 고정부(190)에 커버 하우징(10)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형 하우징(130)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측면 및 일 단부에 브리지 포켓(180)을 갖는 암형 하우징(130)의 사시도이다. 브리지 포켓(180)은 래치(30)와 가요성 브리지(20)가 커버 하우징(10)이 암형 하우징(130)에 완전히 고정될 때에 배치되도록 허용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는 래치(30)의 관성 슬로프(400)와 상호작용하고,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는 래칭 돌출부(60)가 리테이너(200)로부터 조기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100)가 우발적으로 결합해제될 때 래치(30)가 겪는 높은 당김력에 대해 기계식 보강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강 슬로프(110)와 상호작용한다. 복수의 밸런싱 립(160)이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00)와 접하는 암형 하우징(130)의 내부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밸런싱 립(160)은 커넥터(100)가 리테이너(200) 내로 정합될 때 커넥터(100)의 안정성/균형을 돕도록 제공된다. 이는 단일-필링 고임계 삽입력(single-feeling high threshold insertion force)이 삽입 중에 대항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커넥터(100)의 GO/NO GO 기능의 성능에 필수적이다. 이는 관성 슬로프(400)가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고 커넥터(100)의 활성화를 허용한다. 토크 보호부(170)는 양 측면 상에서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와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 모두의 측면에 위치된 립이다. 토크 보호부(170)는 커넥터(100)의 회전 안정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암형 하우징(130)의 단부 말단 및 에지에서 암형 하우징(130)에 제공된 조립 고정부(190)는 조립 래치(120)에 의해 커넥터(100)에 암형 하우징(130)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기 홀더(210)와 함께 리테이너(2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의 삽입을 도시한다. 커넥터(100)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리테이너(200) 내로 삽입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의 초기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초기 위치에서, 래치(30)의 관성 슬로프(400)는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여 커넥터(100)에 인가된 임계 삽입력에 도달될 때까지 커넥터(100)가 리테이너(200)와 정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임계 삽입력에 도달되면, 커넥터(100)는 리테이너(200)와 관성 슬로프(400)의 상호작용에 의해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래치(30)가 가요성 브리지(20)에 의해 피벗회전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100)는 순간적으로 정합 위치에 배열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완전히 정합 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서, 커넥터(100)는 이의 최종 위치에 배열되고 래치(30)는 리테이너(200)에 대해 상부 고정부(80)와 하부 고정부(90)와 함께 이의 정지 위치로 재차 회전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하우징(10)의 보유를 도시한다. 커넥터(100)가 완전히 정합된 위치에 있을 때,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당김력이 가해진다. 래치(30)는 커넥터(100)가 정지/고정 특징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는 상부 고정부(80)와 하부 고정부(90)에 의해 비정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력이 더 큰 크기로 인가됨에 따라, 래치(30)는 래치(30)의 래칭 돌출부(60) 상에 형성된 보강 슬로프(110) 및 관성 슬로프(400)가 각각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 및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와 상호작용하도록 허용하는 가요성 브리지(20)에 의해 하향 이동하고, 이에 따라 래칭 돌출부(60)는 리테이너(200)와 암형 하우징(130)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압착/트랩고정되도록 허용되며 당김력을 견디는데 있어서 더 큰 기계적 지지가 허용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200)로부터 커넥터(100)의 적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커넥터는 래치(30)에서 추출 메커니즘(40)을 누름으로써만 비정합될 수 있다. 추출 메커니즘(40)에 따라 상부 고정부(80)와 하부 고정부(90)는 이동할 수 있고 리테이너(200)로 부터 이동하여 커넥터가 빼내진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커넥터는 우수한 삽입 안정성을 제공한다. 커넥터(100)의 삽입 중에, 밸런싱 립(160)이 리테이너(200) 내로 암형 하우징(130)을 유도하기 위해 제공되어 커넥터(100)가 직선으로 정렬된다. 래칭 돌출부(60) 상의 관성 슬로프(400)가 리테이너(200)와 접촉할 때, 커넥터(100)는 직선형으로 펼쳐진다. 이에 따라 2개의 래칭 돌출부(60)가 동시에 그리고 이들 상에 동일한 압축 응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는 관성 단일-필링 삽입력을 구현하고 이에 따라 관성 슬로프(400)의 불균등/불균형 작동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돌출부(60) 상에 형성된 돌출 간섭부(70)는 래치(30)가 리테이너(200)의 더 큰 표면 영역과 결합하도록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래칭 돌출부(60)의 보유력이 증가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서, 가요성 브리지(20)는 이의 피벗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이는 이의 가요성 단면 프로파일로 인함이다. 가요성 브리지(20)는 추출 메커니즘(40)을 누르기 위해 필요한 힘이 제어되고 힘이 최소로 유지되도록 보장하며, 또한 가요성 브리지(20)가 겪는 비틀림 또는 회전 응력이 최소화되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이는 커넥터의 삽입 및 적출 단계 중에 비틀림 또는 회전 감소(failure)를 겪는 가요성 브리지(20)의 가능성의 감소를 도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커넥터(100)의 래치(30)는 바람직하게는 PVC, PS, PBT, PP 또는 PE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지만 이는 금속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암형 하우징(130)의 연장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서, 하나의 래치(30)는 리테이너(200)에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래치(30)는 임의의 방향으로 응력을 겪거나 또는 정지 시에 자가-조절 또는 자가-회전한다.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 및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는 커넥터(100)의 연장부로서 형성될 수 있고 플라스틱 재료 이외의 금속으로부터 제조된다.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와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는 평평한 표면을 가지며, 본 발명에 따라 하부 고정부(90)와 상부 고정부(80)에 의해 래치(30)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지지한다. 경사진 보강부(140, 150)는 0 내지 30°의 각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의 각도를 갖는다.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싱 립(160)은 임의의 프로파일, 예를 들어 리테이너(200) 내로의 커넥터의 삽입을 안정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을 갖는다. 밸런싱 립(160)은 암형 하우징(130)의 커넥터 튜브(260)의 내부 주변을 따라 제공된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의 암형 하우징이 하부에 제공되는 스토퍼 슬롯(410)의 단면도이다. 스토퍼 슬롯(410)은 래치를 보유할 수 있고 노치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특징부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 보유력을 도시하는 도식적 도면이다. 래치(30)는 스토퍼 슬롯(410) 및 리테이너(200) 내에 트랩고정된다(trap). 래치(30)의 트랩고정은 래치(3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지만 래치(30)를 우발적인 당김이 해제되는 경우에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가요성 브리지(20)는 0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 mm 내지 7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 mm 내지 2 m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 mm 내지 1.5mm의 크기로 임의의 병진운동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가요성 브리지(20)는 커넥터(100) 및 암형 하우징(130) 상에 임의의 위치에서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특정 요건에서 요구되는 보유력/당김력은 1N 내지 250 N, 바람직하게는 30 N 내지 230 N,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N 내지 220 N,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0 n 내지 210 N, 심지어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N 내지 200N,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N 내지 250N 범위의 보유럭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서, 커넥터의 특정 실시 형태만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점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일 실시 형태의 양태 또는 특징부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양태 및 특징부와 함께 사용 또는 조합될 수 있다.
선호되는 및 다른 실시 형태의 전술된 기술 내용은 출원인에 의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또는 적용가능성을 제한 또는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본 발명의 사상을 개시하는데 있어서, 출원인은 청구항에 의해 허여된 모든 특허 권리를 요구한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하기 청구항 및 이의 균등물 내에 있는 모든 변경 및 개조를 포함한다.

Claims (23)

  1. 스퀴브 커넥터로서,
    변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래치(30) 및 래치(30)의 단부에 형성된 래칭 돌출부(60)를 갖는 커버 하우징(10) - 래치(30)는 래치(30)와 단일 유닛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브리지(20)가 제공됨 - ;
    암형 하우징(130)에 장착된 토크 보호부(170) 상의 하부 경사진 보강부(140) 및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와 커버 하우징(10)의 래치(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브리지 포켓(180)을 갖는 암형 하우징(130) - 브리지 포켓(18)에 따라 래치(30)와 가요성 브리지(20)가 암형 하우징(130) 내로 삽입될 수 있음 - ; 및
    래치(30)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200)를 포함하고,
    스퀴브 커넥터의 완전 정합 위치에서, 래치는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는 하부 고정부(90) 및 상부 고정부(80)에 의해 커넥터가 비정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넥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래치(30) 상의 관성 슬로프(400)는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여 임계 삽입력에 도달될 때까지 커넥터가 리테이너(200)와 정합되는 것이 방지되는 스퀴브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래치(30)는 리테이너(200)와 커넥터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허용하는 피벗 지점으로서 구성되는 스퀴브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래치(30)의 하부 단부는 이의 하부에 보강 슬로프(110) 및 이의 상부 표면에 관성 슬로프(400)를 갖는 래칭 돌출부(60)가 제공되는 스퀴브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래치(30)는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래치의 움직임이 커넥터 상에 당김력이 인가되는 경우 커넥터를 제 위치에 보유할 수 있는 스퀴브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는 래치(30)의 팁에서 래칭 돌출부(60) 상에 제공되는 스퀴브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관성 슬로프(400)는 암형 하우징(130)의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와 상호작용하는 스퀴브 커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보강 슬로프(110)는 암형 하우징(130)의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와 결합되는 스퀴브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커버 하우징(10)의 말단 단부는 암형 하우징(130)에 커버 하우징(10)을 고정하기 위한 조립 래치(120)가 제공되는 스퀴브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래치 과응력 보호부(50)는 추출 메커니즘(40)이 눌러지는 경우 가요성 브리지(20)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 하우징(10) 상에 형성되는 스퀴브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고정부(80)와 하부 고정부(90)는 우발적인 결합해제를 견디기 위하여 초기에 리테이너(200)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는 스퀴브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보강 슬로프(110)는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와 상호작용하고 관성 슬로프(400)는 더 큰 당김력이 커넥터에 인가되는 경우 우발적인 결합해제를 견디기 위한 추가 지지부로서 사용되는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와 상호작용하는 스퀴브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암형 하우징(130)은 암형 하우징(130)을 커버 하우징(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에지를 따라 조립 고정부(190)가 제공되는 스퀴브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는 래치(30)의 관성 슬로프(400)와 상호작용하고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는 높은 당김력에 대해 기계식 보강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강 슬로프(110)와 상호작용하는 스퀴브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토크 보호부(170)는 양 측면 상에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와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 모두의 측면에 위치된 립인 스퀴브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토크 보호부(170)는 커넥터의 회전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퀴브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커넥터가 당겨지도록 허용하기 위해 리테이너(200)로부터 이동하고 상부 고정부(80)와 하부 고정부(90)가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추출 메커니즘(40)을 누름으로써 비정합되는 스퀴브 커넥터.
  17. 제1항에 있어서, 밸런싱 립(160)은 리테이너(200) 내로 커넥터의 삽입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커넥터 튜브(260)의 내부 주변을 따라 배열되는 스퀴브 커넥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와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는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의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스퀴브 커넥터.
  19.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브리지(20)는 0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 mm 내지 7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 mm 내지 5 mm, 심지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0 mm 내지 3 mm, 심지어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 mm 내지 2 m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 mm 내지 1.5mm의 범위에 대응하는 크기의 임의의 병진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퀴브 커넥터.
  20. 제1항에 있어서, 래칭 돌출부(60) 상의 돌출 간섭부(70)는 보유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래치(30)가 리테이너(200)의 더 큰 표면 영역을 후크고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스퀴브 커넥터.
  21. 제1항에 있어서, 래치(30)는 이의 피벗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스퀴브 커넥터.
  22. 제1항에 있어서, 래치(30)의 래칭 돌출부(60) 상에 형성된 보강 슬로프(110) 및 관성 슬로프(400)가 각각 상부 경사진 보강부(140) 및 하부 경사진 보강부(150)와 상호작용하여 래칭 돌출부(60)가 리테이너(200)와 암형 하우징(130)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압착/트랩고정되도록 허용되며 당김력을 견디는데 있어서 더 큰 기계적 지지가 허용되는 스퀴브 커넥터.
  23. 제1항에 있어서, 래치(30)를 트랩고정하기 위해 암형 하우징의 하부에 스토퍼 슬롯(410)이 제공되는 스퀴브 커넥터.
KR1020167026269A 2015-06-26 2015-06-26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 KR20180020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G2015/050183 WO2016209163A1 (en) 2015-06-26 2015-06-26 Shunt-less squib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856A true KR20180020856A (ko) 2018-02-28

Family

ID=5758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269A KR20180020856A (ko) 2015-06-26 2015-06-26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20856A (ko)
WO (1) WO20162091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6953B1 (en) * 1997-12-04 2001-08-21 Thoma & Betts International, Inc.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JP2002324638A (ja) * 2001-04-26 2002-11-08 Jst Mfg Co Ltd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US6893277B2 (en) * 2003-02-26 2005-05-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quib connector assembly with CPA
DE102005043903B3 (de) * 2005-09-14 2007-03-01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er
WO2015036611A1 (en) * 2013-09-16 2015-03-19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ctrical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9163A1 (en)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9625B1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roduct
CN105308802B (zh) 连接器组件
KR101797249B1 (ko) 커넥터 단자 위치 보장 장치
US9281614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s
JP5978398B2 (ja) コネクタ
EP3005486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421403B1 (ko) 커넥터 조립체
CN106340730A (zh) 推入夹式保持器、推入夹组件和电连接器元件
TWI651899B (zh) 插座結構
US831754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992248B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connectivity assurance
WO2012007343A1 (en) Connection with connection position assurance (cpa) device on locking element
US9356398B2 (en) Lock mechanism of shield connector
US10116090B2 (e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EP1821372B1 (en) A connector and a mounting method
JP6694872B2 (ja) クリップロックを備える高電流プラグ
US11670887B2 (en) Protection cover device for socket and socket
CN217507820U (zh) 快拆连接器组件及具有它的线缆
US20140106602A1 (en) Spring lock type connector
EP2949007B1 (en) Locking mechanism and connector assembly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CA2680871C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CN103688421B (zh) 电连接器组件
CN107342487B (zh) 连接器组件、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KR20180020856A (ko) 무-션트 스퀴브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