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900A -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900A
KR20180019900A KR1020160104189A KR20160104189A KR20180019900A KR 20180019900 A KR20180019900 A KR 20180019900A KR 1020160104189 A KR1020160104189 A KR 1020160104189A KR 20160104189 A KR20160104189 A KR 20160104189A KR 20180019900 A KR20180019900 A KR 2018001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location information
smart
serve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978B1 (ko
Inventor
신주현
이강준
이문규
홍택은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78B1/ko
Priority to PCT/KR2016/013851 priority patent/WO2018034388A1/ko
Publication of KR2018001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0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원 각 구역에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비콘을 설치하고 환자가 착용한 스마트 슈즈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간호사나 보호자와 같은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환자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Patien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afety of nursing patient based on location determination}
본 발명은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원 각 구역에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비콘을 설치하고 환자가 착용한 스마트 슈즈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간호사나 보호자와 같은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환자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 의학의 발달로 노령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인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요양 병원과 같은 전문 병원의 설립이 점점 증가하고 추세이다.
치료나 검사를 위해 병원 내에서 환자 이동시 환자의 경로파악이 매우 중요하며, 경로파악을 소홀히 할 경우 환자가 방사선 구역, 폐기물 보관 구역과 같은 위험 구역으로 진입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간호사나 보호자, 요양보호사와 같은 관리자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데 관리자가 직접 환자와 동행하지 않을 경우 환자의 위치 파악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 내에서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관리자가 환자와 동행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위험 구역으로 진입할 경우 관리자의 스마트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로 알람을 출력하여 오프라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이동시 착용하게 되는 스마트 슈즈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환자의 착용 거부감은 최소화하면서도 환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이동경로를 관리자의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기기 또는 웹 기반의 모니터링 장치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위치에 제약이 없이 환자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 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병원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콘(beacon); 환자가 착용하며, 상기 비콘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아래의 서버로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슈즈; 상기 스마트 슈즈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상기 환자의 관리자가 소지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환자의 위치가 위험 구역에 존재할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지도상에 표시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환자의 위치가 위험 구역에 존재할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하고, 상기 관리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환자의 위치가 위험 구역에 존재할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슈즈:는, 슈즈 본체; 및 상기 슈즈 본체의 소정부분에 내장되고, 상기 비콘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상기 비콘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와이파이 모듈은 상기 위치 정보를 와이파이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슈즈는 상기 슈즈 본체의 소정부분에 착탈가능하도록 내장되고, 상기 통신모듈로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슈즈 본체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슈즈 본체의 뒷꿈치에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슈즈 본체의 바닥창에 내장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자가 스마트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환자가 위험 구역에 위치할 때 알람을 출력해 주어 오프라인상에서 즉시 조치가 취해지게 함으로써 환자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의 위치파악을 위한 통신모듈을 스마트 슈즈에 내장하여 환자의 착용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병원의 각 구역에 비콘을 설치하여 환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관리자의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기기 또는 웹 기반의 모니터링 장치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위치에 제약이 없이 환자의 실시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슈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 기기에 출력되는 환자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환자가 위험구역에 위치할 경우 스마트 기기에서 알람이 출력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환자가 위험 구역에 위치할 경우 웨어러블 기기에서 알람이 출력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장치가 환자의 위치를 출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100)은 비콘(110,beacon), 스마트 슈즈(120,smart shoes), 서버(130) 및 스마트 기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콘(110)은 병원(10)의 각 구역에 설치되며 식별 가능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비콘(110)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콘(110)은 방과 같은 병원(10)의 각 구역(A1, A2, A3, A4, B1, B2, B3, B4)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복도와 같은 통로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구역(A1, A2, A3, A4, B1, B2, B3, B4)에 설치된 비콘(110)은 설치된 해당구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저장된 위치 정보를 송출한다.
상기 스마트 슈즈(120)는 환자가 착용하는 신발형태로써, 상기 비콘(11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130)로 전송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슈즈(120)는 슈즈 본체(121), 통신 모듈(122) 및 배터리(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슈즈 본체(121)는 환자가 신을 수 있는 신발이며 슬리퍼 형태가 아닌 뒤꿈치를 감쌀수 있는 실내화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슈즈 본체(121)는 내장되는 통신 모듈(122)과 배터리(123)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22)은 상기 비콘(11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13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22)은 블루투스 모듈과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비콘(11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와이파이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를 와이파이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13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22)은 상기 슈즈 본체(121)의 뒤꿈치 부분에 내장되어 환자가 슈즈 착용에 이질감이 없도록 하였다.
즉, 팔목형이나 의복형 웨어러블 기기와 비교하여 환자가 의식적으로 착용해야하는 것이 아닌 이동시 신으면 되므로 이질감이 적어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123)는 상기 통신 모듈(122)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슈즈 본체(121)의 바닥창 부분에 내장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123)는 탈착이 가능하여 외부에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서버(130)는 상기 스마트 슈즈(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에는 상기 스마트 슈즈(120)와 환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30)는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130)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 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의 이동 경로 파악이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 기기(140)는 상기 서버(130)와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버(13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40)는 간호사, 보호자 또는 요양보호사와 같은 관리자가 소지하며, 일반적인 스마트 폰, 태블릿 PC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 기기(14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갖는다면, 다양한 포터블 컴퓨팅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40)는 병원(10)의 실내 단면도와 같은 전자 지도를 저장하며, 상기 전자 지도상에 상기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함으로써 환자의 위치를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도 3은 상기 스마트 기기(140)가 출력하는 환자의 위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병원(10)의 실내 단면도(141)에 환자의 위치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또한, 환자의 위치는 점으로 표시될 수 있고, 환자가 위치하는 구역을 다른 구역과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환자가 B3구역에 위치할 때, B3구역을 다른 구역들과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환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예시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40)는 환자의 위치가 위험 구역에 존재할 경우 알람을 출력하여 관리자가 즉시 오프라인으로 안전조치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알람은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고,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는 상기 스마트 기기(140)에서 알람이 출력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환자가 B3구역에 위치하고, 상기 B3구역이 위험구역이라면, 상기 스마트 기기(140)는 특정환자가 위험 구역에 진입하였다는 알람 화면(142)을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100)에 의하면, 위험 구역 진입에 따른 환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40)에는 상기 전자 지도(141)와 위험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13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 지도(141) 상에 표시하며, 환자가 위험 구역에 진입할 경우 상기 알람 화면(142)을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 기기(140)와는 별도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고,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어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자기 및 광 기록을 겸할 수 있는 자기-광 기록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이 단독 또는 조합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일 수 있고,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로 짜여진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스마트 기기(140)와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140)에서 전송된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기기(170,wearable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170)는 관리자가 착용하는 손목형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기기(140)에서 전송되는 환자의 위치 정보를 메시지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웨어러블 기기(170)는 상기 스마트 기기(14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미러링하여 동일하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17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170)에서 알람 화면(142)이 출력될 때, 함께 연동되어 알람 화면(171)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140)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항상 상기 웨어러블 기기(170)를 착용하여 환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위험 구역 진입시 즉시 오프라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100)은 데이터 베이스(150) 및 모니터링 장치(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50)는 상기 서버(150)와 연결되며, 상기 서버(150)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160)는 웹을 통해 상기 서버(130)와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150)로 접근하여 환자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160)는 인터넷망에 연결 가능한 일반적인 컴퓨터일 수 있으며, 인터넷망에 연결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컴퓨팅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즉,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 기기(140)가 상기 서버(130)와 통신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더라도 인터넷 가능한 위치라면 웹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환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160)에는 환자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도 6은 상기 환자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링 장치(160)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환자 리스트를 출력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환자를 선택받 수 있는 환자 리스트창(161), 환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리스트를 출력하여 관리자를 선택받을 수 있는 관리자 리스트창(162), 병원의 전자 지도를 표시하는 전자 지도 표시창(163) 및 선택된 환자나 관리자의 특이 사항이 출력되는 특이사항 표시창(16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지도 표시창(163)에는 환자의 현재 위치가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환자가 위험구역에 위치할 경우 알람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100)에 의하면,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관리자가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환자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110:비콘
120:스마트 슈즈 121:슈즈 본체
122:통신 모듈 123:배터리
130:서버 140:스마트 기기
150:데이터 베이스 160:모니터링 장치
170:웨어러블 기기

Claims (9)

  1. 병원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콘(beacon);
    환자가 착용하며, 상기 비콘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아래의 서버로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슈즈;
    상기 스마트 슈즈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상기 환자의 관리자가 소지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환자의 위치가 위험 구역에 존재할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지도상에 표시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환자의 위치가 위험 구역에 존재할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하고, 상기 관리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환자의 위치가 위험 구역에 존재할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슈즈:는,
    슈즈 본체; 및
    상기 슈즈 본체의 소정부분에 내장되고, 상기 비콘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상기 비콘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와이파이 모듈은 상기 위치 정보를 와이파이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슈즈는 상기 슈즈 본체의 소정부분에 착탈가능하도록 내장되고, 상기 통신모듈로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 본체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슈즈 본체의 뒷꿈치에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슈즈 본체의 바닥창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160104189A 2016-08-17 2016-08-17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896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89A KR101896978B1 (ko) 2016-08-17 2016-08-17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PCT/KR2016/013851 WO2018034388A1 (ko) 2016-08-17 2016-11-29 환자 안전을 위한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89A KR101896978B1 (ko) 2016-08-17 2016-08-17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00A true KR20180019900A (ko) 2018-02-27
KR101896978B1 KR101896978B1 (ko) 2018-10-18

Family

ID=6119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89A KR101896978B1 (ko) 2016-08-17 2016-08-17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6978B1 (ko)
WO (1) WO20180343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106B1 (ko) * 2019-12-27 2021-02-24 (주)선우하이테크 스마트 이동 기기의 실내 측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5966B (zh) * 2021-02-07 2023-03-24 户永杰 一种病床呼叫方法及系统
CN115767436B (zh) * 2022-11-12 2023-08-18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医护与患者智能手表联动寻回患者的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9795A (ko) * 2012-10-18 2014-04-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20140060164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가능한 신발,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US20150018011A1 (en) * 2005-05-09 2015-01-15 Ehud Mendel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rastructure to enable indoor navigation and special local base services applications indoor malls inside stores shopping centers resort cruise ships and buildings utilize RF beacons, wifi or bluetooth
KR20170041395A (ko) 2015-10-07 2017-04-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슈즈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5110A (ko) 2015-12-22 2017-07-0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바이오 슈즈
KR20170130071A (ko) 2016-05-18 2017-11-28 조승빈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슈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1685B2 (ja) * 2004-06-30 2008-04-30 オムロン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795110B1 (ko) * 2006-05-08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 및방법
KR101287557B1 (ko) * 2012-04-27 2013-07-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관심 존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관심 존 모니터링 서버
KR101958723B1 (ko) * 2014-07-22 2019-03-15 인텔 코포레이션 지오펜스 크로싱 기반 제어를 위한 시스템들 및 기술들
KR101644464B1 (ko) * 2014-09-01 2016-08-01 이승진 와이파이 비콘 신호 발생기와, 와이파이 비콘 기반의 위치 추적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0827A (ko) * 2014-10-06 2016-04-15 이원찬 장애인과노인보호관찰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8011A1 (en) * 2005-05-09 2015-01-15 Ehud Mendel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rastructure to enable indoor navigation and special local base services applications indoor malls inside stores shopping centers resort cruise ships and buildings utilize RF beacons, wifi or bluetooth
KR20140049795A (ko) * 2012-10-18 2014-04-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20140060164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가능한 신발,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70041395A (ko) 2015-10-07 2017-04-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슈즈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5110A (ko) 2015-12-22 2017-07-0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바이오 슈즈
KR20170130071A (ko) 2016-05-18 2017-11-28 조승빈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슈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106B1 (ko) * 2019-12-27 2021-02-24 (주)선우하이테크 스마트 이동 기기의 실내 측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4388A1 (ko) 2018-02-22
KR101896978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9860B2 (ja) 応急処置キットの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EP3234826B1 (en) Medical bracelet standard
US86868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location of an alarm condition
US20160232758A1 (en) Safety equipment criteria verification
CN107111677A (zh) 连接护理提供者的可佩戴物
KR101896978B1 (ko)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US9945672B2 (en) Wearable device for tracking real-time ambient health conditions and method for destination selection based on tracked real-time ambient health conditions
CN105408903A (zh) 处理医学设备的警报信号
KR101754150B1 (ko) 영상 분석을 이용한 병원 내의 의료용 안전 보호구 착용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9224A (ko)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3275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3179808A1 (en) Population malady identification with a wearable glucose monitoring device
KR20140049795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20170049997A (ko) 안구 상태로부터 피로도를 판단하여 추천장소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추천장소 제공서버 및 방법
KR2021001666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응급 상황에서의 구조 요청 방법
CN110602646A (zh) 社区人员活动路径追踪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21671A (ko)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JP20190536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766438B1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그룹 내 구성원들의 관리 지원 시스템
Rajwade et al. Wearable sensors based pilgrim tracking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JP2009110038A (ja) 情報提示システム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39743B1 (ko) 마우스 리테이너를 이용한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WO2019172441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10125189A (ko) 스마트밴드 착용자 관리 시스템, 스마트밴드 착용자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