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636A - 부착형 화분 - Google Patents

부착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636A
KR20180019636A KR1020180019135A KR20180019135A KR20180019636A KR 20180019636 A KR20180019636 A KR 20180019636A KR 1020180019135 A KR1020180019135 A KR 1020180019135A KR 20180019135 A KR20180019135 A KR 20180019135A KR 20180019636 A KR20180019636 A KR 20180019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moving bar
glass
sol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현
Original Assignee
송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현 filed Critical 송성현
Priority to KR102018001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636A/ko
Publication of KR2018001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흙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 물빠짐홀이 형성되고, 유리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면 또는 일측면에 배치되는 조도센서; 상기 용기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습도센서; 상기 용기가 유리에 고정되도록,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흡착판; 상기 제1 흡착판이 고정되는 상기 용기의 일면에 내재되는 태양전지부; 상기 태양전지부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반사판이 상기 용기의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대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장착된 제1 모터로 상기 반사판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용기의 상부로 햇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조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태양전지부 및 반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착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착형 화분{ADHERING TYPE FLOWER POT}
본 발명은 부착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일측이 유리에 부착되면서 용기의 양측에 지지대로 고정되는 반사판으로 용기의 상부에 햇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부착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창문은 채광 및 개방성을 높이기 위해 유리의 면적을 넓게 해서 제작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간 활용을 위해 유리에 부착되는 화분들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9981의 진공흡착에 의한 벽면부착 장식용 화분은 진공흡착부재에 걸림수단이 고정되고 걸림수단에 식재화분이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진공흡착에 의한 벽면부착 장식용 화분은 반사판이 없음으로써, 겨울같이 햇빛 조사량이 적은 계절에는 충분한 조사량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기의 양측에 지지대로 고정되는 반사판으로 용기의 상부에 햇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부착형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흙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 물빠짐홀이 형성되고, 유리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가 유리에 고정되도록,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흡착판 및 상기 용기의 상부로 햇빛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용기의 양측면에 회전축 결합으로 장착된 지지대로 고정되면서 각도가 조절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부착형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는 상기 유리와 마주보는 일측면 및 타측면의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형상의 제1 통기홀 및 제2 통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기홀에서 제2 통기홀까지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흡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재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에 다수의 제3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기홀을 통과한 일측의 외주면에 너트가 체결되도록 나선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기홀에 돌출된 타측의 외주면에 상기 용기의 표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지지판이 형성된 고정기둥 및 상기 지지판에 설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기둥은 바이오세라믹, 게르마늄, 토르말린, 참숯 및 옥이 첨가된 재질로 형성되어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평면 형상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흙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 물빠짐홀이 형성되고, 유리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면 또는 일측면에 배치되는 조도센서, 상기 용기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습도센서, 상기 용기가 유리에 고정되도록,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흡착판, 상기 제1 흡착판이 고정되는 상기 용기의 일면에 내재되는 태양전지부, 상기 태양전지부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반사판이 상기 용기의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대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장착된 제1 모터로 상기 반사판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용기의 상부로 햇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조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태양전지부 및 반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착형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부는 바 형상의 상측면에는 제2 모터의 회전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1 이동바 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1 태양전지판이 배치되는 제1 이동바 및 바 형상의 상측면에는 제3 모터의 회전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2 이동바 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2 태양전지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이동바의 소정의 간격에 상기 제2 태양전지판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이동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이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바 및 제2 이동바는 상기 습도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단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흡착판이 부착되는 상기 용기의 일면이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형 화분은 용기의 양측에 지지대로 고정되는 반사판으로 용기의 상부에 햇빛을 비춤으로써, 화분에 생장하는 식물에 충분한 조사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형 화분은 용기 내에 담긴 흙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착형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착부재의 장착 전, 후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착형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착형 화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태양전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착형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착부재의 장착 전, 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부착형 화분(1)은 용기(100), 제1 흡착판(200), 흡착부재(600), 지지대(510) 및 반사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흙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용기(100)는 바닥면에 물이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빠짐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빠짐홀(미도시)로 배출되는 물이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게, 용기(100) 바닥면에 물받이(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용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G)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0)는 상부 개구된 면적이 바닥면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타측면이 일측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0)는 제1 통기홀(110) 및 제2 통기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기홀(110) 및 제2 통기홀(120)은 용기(100) 내부에 내재된 흙 속으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흡착판(200)은 유리(G)와 마주보는 용기(100)의 일측면에 고정나사(미도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흡착판(200)은 용기(100)가 유리(G)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흡착부재(600)는 용기(100)가 유리(G)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흡착부재(600)는 고정기둥(610) 및 제2 흡착판(6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기둥(610)은 중공부(614)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기둥(610)은 외주면에 다수의 제3 통기홀(6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통기홀(611)은 중공부(614)를 통해 들어온 외부 공기가 용기(100)에 내재된 흙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기둥(610)은 제1 통기홀(110)에서 제2 통기홀(120)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기둥(610)은 제2 통기홀(120)에 돌출된 일측 방향의 외주면에 너트(630)가 체결되도록 나선형홈(61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기둥(610)은 제1 통기홀(110)에 돌출된 타측 방향의 외주면에 용기(100)의 표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지지판(6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613)의 일측에는 제2 흡착판(620)이 일체형으로 내재되거나, 또는 착탈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고정기둥(610)은 바이오세라믹, 게르마늄, 토르말린, 참숯 및 옥이 첨가된 재질로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성 및 내병성을 향상 시키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다.
제2 흡착판(620)은 흡착부재(600)가 유리(G)에 흡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지지대(510)는 용기(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전축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대(510)는 반사판(520)을 고정할 수 있다.
반사판(520)은 용기(100)의 상부로 햇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판(520)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사판(520)은 평평한 형상 또는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반사판(520)은 유리,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착형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착형 화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태양전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부착형 화분(1)은 용기(100), 조도센서(700), 습도센서(800), 제1 흡착판(200), 태양전지부(400), 배터리(300), 반사부(50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흙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용기(100)는 바닥면에 물이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빠짐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유리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0)는 제1 흡착판(200)이 부착되는 일면이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재질일 수 있다. 용기(100)는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재질일 수도 있다. 용기(100)는 타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부(400)가 내재되도록, 제1 흡착판(200)이 고정되는 용기(100)의 일면에 공간(S1)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배터리(300) 및 제어부(900)가 용기(100)에 내재되도록, 공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700)는 용기(100)의 상단면 또는 일측면에 배치되면서, 반사부(500)로 반사되는 햇빛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습도센서(800)는 용기(100)의 내주면에 배치되면서, 용기(100)내 흙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흡착판(200)은 유리(G)와 마주보는 용기(100)의 일측면에 고정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흡착판(200)은 용기(100)가 유리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태양전지부(400)는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시킨 후 배터리(300)에 전력을 저장시킬 수 있다. 태양전지부(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판(200)이 고정되는 용기(100)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S1)에 내재될 수 있다. 태양전지부(400)는 제1 이동바(410), 제2 모터(430), 제1 태양전지판(420), 제2 이동바(440), 제3 모터(460) 및 제2 태양전지판(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바(410)는 바 형상의 상측면에 제2 모터(430)의 회전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1 이동바 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터(430)는 제1 이동바(410)를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제2 모터(430)는 방수가 되도록, 커버(미도시)가 씌워질 수도 있다.
제1 태양전지판(420)은 제1 이동바(410) 하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태양전지판(420)은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시켜 배터리(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이동바(440)는 바 형상의 상측면에 제3 모터(460)의 회전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2 이동바 홈(4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바(440)는 제1 이동바(410)의 소정의 간격에 제2 태양전지판(450)이 위치하도록, 제1 이동바(4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터(460)는 제2 이동바(44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제3 모터(460)는 방수가 되도록, 커버(미도시)가 씌워질 수도 있다.
제2 태양전지판(450)은 제2 이동바(440) 하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태양전지판(450)은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시켜 배터리(3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바(410) 및 제2 이동바(4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내 흙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습도센서(800)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900)의 신호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제1 태양전지판(420) 또는 제2 태양전지판(450)이 겹치게 이동함으로써, 햇빛이 용기(100)에 담겨있는 흙에 채광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이동바(410) 및 제2 이동바(440)는 제1 이동바(410)의 제1 태양전지판(420)이 제2 태양전지판(450)에 겹쳐지도록, 이동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원상복귀하고, 제2 이동바(440)의 제2 태양전지판(450)이 제1 태양전지판(420)에 겹쳐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제2 태양전지판(450)에 가려져 있던 흙도 채광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300)는 제1 모터(530), 제2 모터(430), 제3 모터(460) 및 제어부(9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300)는 용기(100)에 내재되거나, 또는 용기(100) 외측면에 방수처리 되면서 장착될 수도 있다.
반사부(500)는 용기(100)의 상부로 햇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부(500)는 지지대(510), 반사판(520), 제1 모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510)는 용기(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전축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대(510)는 길이가 조절되는 다단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520)은 용기(100)의 상부로 햇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판(520)은 평평한 형상 또는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반사판(520)은 유리,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제1 모터(530)는 반사판(52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반사판(520)이 고정되는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모터(530)는 양방향으로 반사판(5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모터(530)는 방수 되도록, 커버(미도시)가 씌워질 수도 있다.
제어부(900)는 조도센서(700), 습도센서(800)의 신호를 전달받아 태양전지부(400) 및 반사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용기(100)의 공간(S2)에 내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부착형 화분
100 : 용기
110 : 제1 통기홀
120 : 제2 통기홀
200 : 제1 흡착판
300 : 배터리
400 : 태양전지부
410 : 제1 이동바
411 : 제1 이동바 홈
420 : 제1 태양전지판
430 : 제2 모터
440 : 제2 이동바
441 : 제2 이동바 홈
450 : 제2 태양전지판
460 : 제3 모터
500 : 반사부
510 : 지지대
520 : 반사판
530 : 제1 모터
600 : 흡착부재
610 : 고정기둥
611 : 제3 통기홀
612 : 나선형홈
613 : 지지판
614 : 중공부
620 : 제2 흡착판
630 : 너트
700 : 조도센서
800 : 습도센서
900 : 제어부

Claims (4)

  1. 흙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 물빠짐홀이 형성되고, 유리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면 또는 일측면에 배치되는 조도센서;
    상기 용기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습도센서;
    상기 용기가 유리에 고정되도록,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흡착판;
    상기 제1 흡착판이 고정되는 상기 용기의 일면에 내재되는 태양전지부;
    상기 태양전지부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반사판이 상기 용기의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대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장착된 제1 모터로 상기 반사판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용기의 상부로 햇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조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태양전지부 및 반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착형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는
    바 형상의 상측면에는 제2 모터의 회전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1 이동바 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1 태양전지판이 배치되는 제1 이동바 및
    바 형상의 상측면에는 제3 모터의 회전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2 이동바 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2 태양전지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이동바의 소정의 간격에 상기 제2 태양전지판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이동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이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바 및 제2 이동바는 상기 습도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단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화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착판이 부착되는 상기 용기의 일면이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화분.
KR1020180019135A 2018-02-19 2018-02-19 부착형 화분 KR20180019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35A KR20180019636A (ko) 2018-02-19 2018-02-19 부착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35A KR20180019636A (ko) 2018-02-19 2018-02-19 부착형 화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886A Division KR101922760B1 (ko) 2015-10-30 2015-10-30 부착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636A true KR20180019636A (ko) 2018-02-26

Family

ID=6153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35A KR20180019636A (ko) 2018-02-19 2018-02-19 부착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96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9093A (zh) * 2018-07-07 2018-11-23 杭州林迪德瑞科技有限公司 节省能源的蔬菜养殖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9093A (zh) * 2018-07-07 2018-11-23 杭州林迪德瑞科技有限公司 节省能源的蔬菜养殖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489B2 (en) Solar stepping stone
JP4883458B2 (ja) 太陽エネルギー温室
US20140133139A1 (en) Solar power apparatus providing illumination to hanging flower planters or potted flowers
CN211047965U (zh) 一种新型农业温室大棚光线调节装置
KR910002378B1 (ko) 재배용온실
KR101922760B1 (ko) 부착형 화분
KR20180019636A (ko) 부착형 화분
JP4677537B1 (ja) 複層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における自動日照システム
KR101709680B1 (ko) 태양광 발전식 창문 융합형 식물공장 시스템
CN107404852B (zh) 用于园艺以及其它应用的照明
KR101610804B1 (ko) 화단용 조립식 화분
TW201429386A (zh) 太陽能植物栽培系統
KR20160103303A (ko) 수직형 회전 화분 식물 재배 장치
CN106171648A (zh) 带有阳光追踪装置的温室种植系统
CN207298529U (zh) 一种蝴蝶兰选育用自动式光线强度控制装置
KR101409049B1 (ko) 조경용 화분
KR101189800B1 (ko) 식물재배 온실용 태양광 조명장치
WO2020157351A1 (es) Dispositivo para el cultivo de plantas y/u hongos
CN112753439B (zh) 一种草莓种植智能化大棚装置
CN106069282A (zh) 温室用自动寻光多功能种植架
CN215446314U (zh) 一种光能转换室内装置
CN214790918U (zh) 一种增强植物光合作用的漫反射装置
CN213343490U (zh) 一种种植架
CN215774519U (zh) 一种具备智能调控光照功能的农业温室大棚
JP2023026078A (ja) 陰性又は半陰性植物の栽培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