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971A -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971A
KR20180018971A KR1020160103288A KR20160103288A KR20180018971A KR 20180018971 A KR20180018971 A KR 20180018971A KR 1020160103288 A KR1020160103288 A KR 1020160103288A KR 20160103288 A KR20160103288 A KR 20160103288A KR 20180018971 A KR20180018971 A KR 20180018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led display
display device
brightness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402B1 (ko
Inventor
나근식
권제영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6010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402B1/ko
Priority to PCT/KR2017/008567 priority patent/WO2018030760A1/ko
Publication of KR2018001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전방의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직시 여부에 따른 사용자의 집중도를 인지하고, 상기 검출된 거리 및 사용자의 집중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BRIGHTNES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와 오엘이디 표시 장치(OLED Display Device)의 거리 및 집중도에 따라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엘이디(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된 표시 장치(예 : 모니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상기 오엘이디(OLED)는 자연색에 가까운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반응속도가 기존의 엘시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에 비해 1000배 이상 빠르며, 백라이트가 필요 없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의료용 모니터로서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는 오엘이디(OLED)의 특성상 백라이트(BLU : Backlight Unit)가 아닌 화소 자체가 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밝은 영상을 장시간 표시할 경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수명이 현저히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20088호(2016.02.23.공개, UWB센서 기반 절전 및 밝기조절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와 오엘이디 표시 장치(OLED Display Device)의 거리 및 집중도에 따라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전방의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직시 여부에 따른 사용자의 집중도를 인지하고, 상기 검출된 거리 및 사용자의 집중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의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거리 및 사용자의 집중도 정보에 따라 휘도를 조절하되, 상기 SSM 모드의 설정 정보는, SSM 온/오프 설정, SSM 강/중/약 설정, 최소 검출 거리 설정, 최대 검출 거리 설정, 응답 시간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 및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가 듀얼 카메라 센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듀얼 카메라 센서를 이용해 전방의 사용자를 3차원 영상으로 촬영한 후, 상기 촬영된 3차원 영상의 깊이(Depth)에 의해 전방에 있는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를 직시하고 있다면 집중도가 높고,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를 직시하고 있지 않다면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 조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주변 조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보다 밝을 경우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디폴트값보다 기 설정된 비율 상향 조절하고, 반대로 주변 조도가 제2 기준보다 어두울 경우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디폴트값보다 기 설정된 비율 하향 조절하며, 상기 주변 조도가 상기 제1 기준과 제2 기준 사이일 경우에는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디폴트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를 적어도 3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제1 구간에 있으면,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에 상관없이 휘도를 기 설정된 최고값으로 조절하고, 사용자가 제2 구간에 있으면,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 및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디폴트값으로 휘도를 조절하고, 사용자가 제3 구간에 있으면,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에 상관없이 휘도를 기 설정된 최저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집중도 변화에 따른 휘도의 조절 시 원하지 않는 빈번한 휘도 조절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응답시간(Response Time) 동안 기다렸다가 휘도 조절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집중도 변화에 따른 휘도 조절 시, 상기 각 구간에 따라 설정된 휘도 조절을 위한 디폴트값에서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의 사용자 집중도에 따라 설정된 휘도 감소량에 대응하여 휘도를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되었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SSM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가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있는 현재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현재 구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디폴트값으로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거나, 거리 정보에 사용자의 집중도 정보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재 구간이 미리 설정된 3개의 구간 중 제1 구간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집중도에 상관없이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기 설정된 최고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재 구간이 미리 설정된 3개의 구간 중 제2 구간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집중도가 낮으면"거리에 대응하는 휘도 디폴트값 - SSM의 강/중/약 모드에 따라 할당된 휘도 감소량"에 대응하여 휘도를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재 구간이 미리 설정된 3개의 구간 중 제3 구간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집중도에 상관없이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기 설정된 최저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 및 사용자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조합하여,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각 구간별로 휘도를 각기 조절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와 오엘이디 표시 장치(OLED Display Device)의 거리 및 집중도에 따라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SSM(Smart Standing Mode)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SSM(Smart Standing Mode) 방식으로 제어할 때 사용자의 집중도에 따라 디폴트값에서 휘도를 감소시키는 비율을 설정한 테이블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와 집중도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SM(Smart Standing Mode) 방식으로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본 정보 설정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휘도 구동부(130), 및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는 센서(예 : 카메라 센서),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예 : 거리 센서), 및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예 :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여기서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와 집중도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4의 (a)와 (c)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인식하고,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집중도가 높은 경우(a)와 집중도가 낮은 경우(c)를 검출하는 것을 보인 것이고, 도 4의 (b)와 (d)는 듀얼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한 3차원 영상의 깊이(Depth)에 의해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듀얼 카메라 센서를 이용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집중도가 높은 경우(b)와 집중도가 낮은 경우(d)를 검출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정면을 주시)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인지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하고 있다면 집중도가 높고,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하고 있지 않다면 집중도가 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듀얼 카메라 센서일 수도 있다.
상기 듀얼 카메라 센서를 이용해 전방의 사용자를 3차원(3D) 영상으로 촬영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촬영된 3차원 영상의 깊이(Depth)에 의해 전방에 있는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도 4의 (b),(d) 참조), 상기 듀얼 카메라 센서가 상기 거리 센서를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조도 센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의 주변 조도를 검출한다.
상기 휘도 구동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주변 조도가 제1 기준보다 밝을 경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디폴트값보다 기 설정된 비율 상향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주변 조도가 제2 기준보다 어두울 경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디폴트값보다 기 설정된 비율 하향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변 조도가 상기 제1 기준과 제2 기준 사이일 경우에는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디폴트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로부터 전방에 있는 사용자까지의 거리에 따라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되, 상기 거리를 적어도 2개 이상의 구간(예 : 제1 구간, 제2 구간, 제3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별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휘도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또는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또한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휘도 조절을 위한 3개의 구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나눈 구간일 뿐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 더 많은 구간이나 더 적은 구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하고 있는지(즉,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인지하고(도 5 참조),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가령,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120)는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상향 조절하고(또는 디폴트값으로 조절하고),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20)는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하향 조절(또는 디폴트값보다 하향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은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거리에 따라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과 조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 및 상기 거리에 따라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조합하여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휘도 조절 방식을 SSM(Smart Standing Mode) 이라고 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SSM(Smart Standing Mode)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간(예 :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제1 지점까지의 구간)에서는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기 설정된 최고값(예 : 프리셋2)으로 조절하고, 제2 구간(예 :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사이 구간)에서는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면 거리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디폴트값으로 조절하고,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지 않으면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거리에 따른 디폴트값에서 기 지정된 비율만큼 하향 조절하고, 제3 구간(예 : 제2 지점 이상의 구간)에서는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기 설정된 최저값(예 : 프리셋1)으로 조절한다.
이때 상기 집중도(즉,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하는 정도)에 따른 휘도의 조절은 조건 만족(즉, 집중도 변화 검출) 시 곧바로 실행될 수도 있으나, 원하지 않는 빈번한 휘도 조절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20)가 기 설정된 응답시간(Response Time)(예 : 5초) 동안 기다렸다가 휘도 조절이 실행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SSM(Smart Standing Mode) 휘도 조절 방식은, SSM 모드 설정(예 : 강, 중, 약) 방식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 조절을 위한 디폴트값에서 휘도 감소량(또는 휘도 감소율)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SSM(Smart Standing Mode) 방식으로 제어할 때 사용자의 집중도에 따라 디폴트값에서 휘도를 감소시키는 비율을 설정한 테이블을 보인 예시도이다.
예컨대 상기 제2 구간에서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디폴트값으로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다가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가 떨어지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에 설정된 휘도 감소량만큼 휘도를 하향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구간에서도 상기 제어부(120)는 디폴트값(예 : 프리셋1) 대신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에 설정된 휘도 감소량만큼 휘도를 하향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2 구간 및 제3 구간에서의 휘도 감소량을 예시적으로 기재하였으나, 제1 구간에 대해서도 휘도 감소량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기재된 휘도 감소량은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므로, SSM(Smart Standing Mode)의 강,중,약 모드에 따른 휘도 감소량은 얼마든지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SM(Smart Standing Mode) 방식으로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본 정보 설정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SSM 방식의 적용 여부(SSM ON/OFF 여부), SSM 방식의 적용 시(ON 시) 설정 가능한 휘도 감소량 정도(예 : 강, 중, 약), SSM 방식의 적용 구간을 구분하기 위한 제1 지점(최소 검출 거리 : 50cm), SSM 방식의 적용 구간을 구분하기 위한 제2 지점(chleo 검출 거리 : 100cm), 및 휘도 조절을 위한 응답 시간(예 : 5초)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SM 방식으로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각 항목(예 : SSM 온/오프 설정, SSM 강,중,약 설정, 최소 검출 거리 설정, 최대 검출 거리 설정, 응답 시간 설정 등)의 값은 예시적으로 설정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 항목의 값은 실시예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의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되었는지 체크한다(S101).
여기서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 및 사용자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 간의 거리에 따라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조합하여,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조절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체크 결과,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으면(S101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검출한다(S102).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된 정보 중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제어 구간(예 : 제1 구간, 제2 구간, 제3 구간)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S103).
만약 SSM 모드가 처음 실행된 경우에는 구간이 변경된 것으로 간주한다.
다음 상기 판단 단계(S103)에서 구간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S103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변경된 구간(즉, 현재 구간)을 판단한다(S104).
상기 구간 판단(S104) 결과, 사용자가 제1 구간(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제1 지점까지의 구간)에 있으면, 상기 제어부(120)는 미리 지정된 응답시간(예 : 5초)에 따라 대기한 후,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기 설정된 최고값(예 : 프리셋2)으로 조절한다(S106).
다음 상기 구간 판단(S104) 결과, 사용자가 제2 구간(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사이 구간)에 있으면,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는지 판단한다(S105). 그리고 상기 판단(S105)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고 있는 상태이면(S105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미리 지정된 응답시간(예 : 5초)에 따라 대기한 후, 거리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디폴트값으로 조절한다(S107).
그런데 상기 제2 구간에서 사용자의 집중도를 판단(S105)한 결과,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면(S105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20)는 미리 지정된 응답시간(예 : 5초)에 따라 대기한 후, "거리에 대응하는 휘도 디폴트값 - SSM의 강,중,약 모드에 따라 할당된 휘도 감소량"에 대응하여 휘도를 하향 조절한다(S108).
한편, 상기 구간 판단(S104) 결과, 사용자가 제3 구간(예 : 제2 지점 이상의 구간)에 있으면, 상기 제어부(120)는 미리 지정된 응답시간(예 : 5초)에 따라 대기한 후, 사용자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를 직시(또는 집중)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를 기 설정된 최저값(예 : 프리셋1)으로 조절한다.
다만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3 구간에서도 집중도에 따라 휘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휘도 감소량(또는 휘도 감소율)을 적용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의 휘도를 100% 오프(암전 상태) 시키지 않고 최저값(예 : 프리셋1)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100)가 정상 기동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와 오엘이디 표시 장치(OLED Display Device)(100) 간의 거리 및 사용자의 집중도에 따라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휘도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이나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또한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부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센서부
120 : 제어부
130 : 휘도 구동부
140 : OLED 디스플레이부

Claims (14)

  1.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전방의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직시 여부에 따른 사용자의 집중도를 인지하고, 상기 검출된 거리 및 사용자의 집중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의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거리 및 사용자의 집중도 정보에 따라 휘도를 조절하되,
    상기 SSM 모드의 설정 정보는, SSM 온/오프 설정, SSM 강/중/약 설정, 최소 검출 거리 설정, 최대 검출 거리 설정, 응답 시간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 및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가 듀얼 카메라 센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듀얼 카메라 센서를 이용해 전방의 사용자를 3차원 영상으로 촬영한 후, 상기 촬영된 3차원 영상의 깊이(Depth)에 의해 전방에 있는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를 직시하고 있다면 집중도가 높고,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를 직시하고 있지 않다면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 조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주변 조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보다 밝을 경우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디폴트값보다 기 설정된 비율 상향 조절하고,
    반대로 주변 조도가 제2 기준보다 어두울 경우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디폴트값보다 기 설정된 비율 하향 조절하며,
    상기 주변 조도가 상기 제1 기준과 제2 기준 사이일 경우에는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디폴트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를 적어도 3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제1 구간에 있으면,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에 상관없이 휘도를 기 설정된 최고값으로 조절하고,
    사용자가 제2 구간에 있으면,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 및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디폴트값으로 휘도를 조절하고,
    사용자가 제3 구간에 있으면,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에 상관없이 휘도를 기 설정된 최저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집중도 변화에 따른 휘도의 조절 시 원하지 않는 빈번한 휘도 조절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응답시간(Response Time) 동안 기다렸다가 휘도 조절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집중도 변화에 따른 휘도 조절 시,
    상기 각 구간에 따라 설정된 휘도 조절을 위한 디폴트값에서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의 사용자 집중도에 따라 설정된 휘도 감소량에 대응하여 휘도를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10. 제어부가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되었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SSM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가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있는 현재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현재 구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디폴트값으로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거나, 거리 정보에 사용자의 집중도 정보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구간이 미리 설정된 3개의 구간 중 제1 구간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집중도에 상관없이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기 설정된 최고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구간이 미리 설정된 3개의 구간 중 제2 구간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집중도가 낮으면"거리에 대응하는 휘도 디폴트값 - SSM의 강/중/약 모드에 따라 할당된 휘도 감소량"에 대응하여 휘도를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구간이 미리 설정된 3개의 구간 중 제3 구간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대한 집중도에 상관없이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를 기 설정된 최저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SSM(Smart Standing Mode)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에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 및
    사용자와 상기 오엘이디 표시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조합하여,
    상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각 구간별로 휘도를 각기 조절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
KR1020160103288A 2016-08-12 2016-08-12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 KR10185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288A KR101853402B1 (ko) 2016-08-12 2016-08-12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
PCT/KR2017/008567 WO2018030760A1 (ko) 2016-08-12 2017-08-08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288A KR101853402B1 (ko) 2016-08-12 2016-08-12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971A true KR20180018971A (ko) 2018-02-22
KR101853402B1 KR101853402B1 (ko) 2018-05-02

Family

ID=6116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288A KR101853402B1 (ko) 2016-08-12 2016-08-12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3402B1 (ko)
WO (1) WO20180307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424A1 (en) * 2019-08-07 2021-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lumin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7839B (zh) * 2017-10-20 2020-01-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亮度调节方法及相关产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474A (ko) * 2008-01-17 2009-07-22 임차성 사용자 맞춤형 자동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20110107025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60471B1 (ko) * 2012-02-29 2014-02-11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의 반응에 기반한 동적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20920A (ko) * 2013-08-19 2015-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160020088A (ko) * 2014-08-13 2016-02-23 주식회사 에스원 Uwb센서 기반 절전 및 밝기조절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424A1 (en) * 2019-08-07 2021-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lumin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thereof
US11386868B2 (en) 2019-08-07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lumin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thereof
US11670259B2 (en) 2019-08-07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lumin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402B1 (ko) 2018-05-02
WO2018030760A1 (ko)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8975B2 (en) Image sensor for measuring illumination, proximity and color temperature
TWI442286B (zh) 觸控式輸入方法及其裝置
US8248519B2 (en) Brightness adju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080304011A1 (en) Safe eye detection
US1014739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88141A1 (en) Brightness sensing system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same
KR101647970B1 (ko)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200729125A (en) Light control circuit and LCD control drive device
WO2016039256A1 (ja) 表示機能付きミラー装置および表示切替方法
US201500917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49811A1 (en) Method for sensing light
TW201610955A (zh) 顯示螢幕亮度調節方法及系統
WO2008059637A1 (fr) Appareil d'affichage d'image et procédé d'affichage d'image
US9931027B2 (en) Video processor
KR101853402B1 (ko)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
US2013032164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bject detection device
KR20150021753A (ko) 표시장치
US9699385B2 (en)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nd exposure amount control method
KR10176915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플래시 구동 방법
KR101929217B1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KR20200027174A (ko)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144828B1 (ko) 지능형 표시장치
JP5291555B2 (ja) モニタ装置及び画面輝度制御方法
JP5631085B2 (ja) 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位置検出方法
KR101344612B1 (ko) Cctv 카메라의 포커스 렌즈 조절 장치 및 그 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